KR102123362B1 -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362B1
KR102123362B1 KR1020180170371A KR20180170371A KR102123362B1 KR 102123362 B1 KR102123362 B1 KR 102123362B1 KR 1020180170371 A KR1020180170371 A KR 1020180170371A KR 20180170371 A KR20180170371 A KR 20180170371A KR 102123362 B1 KR102123362 B1 KR 102123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wage
sludge
supply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심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심건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심건업
Priority to KR102018017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은 복수개의 본체(1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본체(10)를 휴지상태로 전환하고, 미생물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본체(10)의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지(2)에 미생물을 공급하여,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2)가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에 의해 미생물이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2)가 효과적으로 분해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저장탱크(70)가 연결됨으로, 본체(10)에 가라앉은 슬러지(2) 중에서 미처 분해되지 못한 슬러지(2)는 저장탱크(70)로 배출하여 장시간에 걸쳐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를 장시간 동안 휴지상태로 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쪽의 본체(10)에 슬러지(2)가 차기 전에 휴지상태의 본체(10)를 활성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으로, 동시에 2개의 본체(10)가 휴지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sewage disposal system}
본 발명은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개구부(12)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11)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측에는 각각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10)와, 화장실과 상기 본체(10)의 공급구를 연결하는 오수관(14)과, 상기 본체(10)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수관(1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상기 개구부(12)가 지면(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지면(1)에 매립되며, 개구부(12)에는 덮개(13)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오수관(14)을 통해 공급된 오수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본체(10)의 내부 하측으로 가라앉아 제거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배출수는 상기 배수관(15)을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은 오수관(14)을 통해 공급된 오수에서 분리된 오염물질이 본체(10)의 내부 하측으로 가라앉아 슬러지가 발생됨으로, 일정주기로 상기 덮개(13)를 열고 내부를 청소하여 슬러지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슬러지발생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미생물은 통상 EM이라 불리는 혐기성미생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오수나 슬러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고, 슬러지를 분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경우, 지속적으로 오수관(14)을 통해 공급된 오수가 본체(1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발생됨으로, 상기 오수에 미생물을 공급하더라도, 미생물이 본체(10)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오염물질에 작용하지 못하고, 배출수와 함께 상기 배수관(15)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공성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에 미생물이 부착된 볼을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투입하여, 미생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미생물에 의한 슬러지의 분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11926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수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부(12)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11)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측에는 각각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10)와, 화장실과 상기 본체(10)의 공급구를 연결하는 오수관(14)과, 상기 본체(10)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수관(15)을 포함하는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오수관(14)의 후단부에는 상기 공급구에 연결되는 분기부(14a)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20)와,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면 이를 감지하는 오수감지센서(30)와,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측정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가라앉은 슬러지(2)에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수단(5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지(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슬러지측정수단(60)과,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된 저장탱크(70)와, 상기 본체(10)와 저장탱크(70)를 연결하며 중간부에는 배출펌프(74)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에 남은 슬러지(2)를 상기 저장탱크(70)로 배출하는 배출관(73)과, 상기 배수관(15)으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이용하여 상기 유속측정수단(40)을 세척하는 세척수단(80)과,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유속측정수단(40)과 슬러지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밸브(20)와 미생물공급수단(50)과 배출펌프(7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측정수단(40)은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1)과, 상기 지지브라켓(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42)와, 상기 임펠러(42)에 연결되어 임펠러(4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감지센서(43)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공급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분사구(51a)가 형성된 교반날(51)과, 상기 교반날(51)에 연결되어 교반날(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미생물이 저장된 미생물탱크(53)와, 상기 교반날(51)의 유로와 미생물탱크(53)를 연결하며 중간부에 공급펌프(55)가 구비되어 상기 미생물탱크(53)에 저장된 미생물을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공급관(54)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측정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구동모터(6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의 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블레이드(63a)가 구비된 회전부재(63)와, 상기 회전부재(63)에 연결되어 회전부재(63)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64)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80)은 연결관(81a)을 통해 상기 배수관(15)에 연결되어 배수관(15)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저수탱크(81)와,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에 상기 임펠러(42)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공급관(82a)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81)에 연결되는 분사노즐(82)과, 상기 공급관(82a)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8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유속측정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오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분기부(14a)을 통과하는 물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유속측정수단(40)에 의해 측정된 오수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세척수단(80)을 작동시켜 임펠러(42)에 배출수를 분사함으로써 임펠러(42)에 부착된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하고, 세척수단(80)을 작동시킨 후에도 유속측정수단(40)에 의해 측정된 오수의 속도가 상승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밸브(20)를 제어하여 상기 분기부(14a)를 밀폐하여 해당 본체(10)를 오수가 공급되지 않는 휴지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미생물공급수단(50)을 작동시켜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내부로 미생물을 공급하고, 상기 슬러지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슬러지(2)의 양이 미리 설정된 양 이하로 줄어들 경우, 상기 배출펌프(74)를 작동시켜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슬러지(2)를 상기 저장탱크(70)로 배출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어밸브(20)를 개방하여 본체(10)에 오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00)와,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90)과 무선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관리자가 소유하는 휴대용 단말기(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감지수단(1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12)가 본체(1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집수케이스(111)와,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집된 오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00)와 누수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1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변동되거나, 상기 누수감지수단(110)에 오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에 경고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은 복수개의 본체(1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본체(10)를 휴지상태로 전환하고, 미생물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본체(10)의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지(2)에 미생물을 공급하여,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2)가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에 의해 미생물이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2)가 효과적으로 분해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저장탱크(70)가 연결됨으로, 본체(10)에 가라앉은 슬러지(2) 중에서 미처 분해되지 못한 슬러지(2)는 저장탱크(70)로 배출하여 장시간에 걸쳐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를 장시간 동안 휴지상태로 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쪽의 본체(10)에 슬러지(2)가 차기 전에 휴지상태의 본체(10)를 활성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으로, 동시에 2개의 본체(10)가 휴지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누수감지센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상측에 개구부(12)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11)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측에는 각각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10)와, 화장실과 상기 본체(10)의 공급구를 연결하는 오수관(14)과, 상기 본체(10)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수관(15)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는 복수개(본 실시예의 경우, 2개)로 구성되어,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지면(1)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상기 개구부(12)가 지면(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며, 상기 개구부(12)에는 덮개(13)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오수관(14)의 후단부에는 상기 공급구에 연결되는 분기부(14a)가 형성되고, 상기 분기부(14a)에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20)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밸브(20)를 선택적으로 개폐제어함으로써, 상기 오수관(14)을 통해 공급된 오수가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2개의 본체(10) 중에서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면 이를 감지하는 오수감지센서(30)와,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측정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가라앉은 슬러지(2)에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수단(5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지(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슬러지측정수단(60)과,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된 저장탱크(70)와, 상기 본체(10)와 저장탱크(70)를 연결하며 중간부에는 배출펌프(74)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에 남은 슬러지(2)를 상기 저장탱크(70)로 배출하는 배출관(73)과, 상기 배수관(15)으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이용하여 상기 유속측정수단(40)을 세척하는 세척수단(80)과,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유속측정수단(40)과 슬러지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밸브(20)와 미생물공급수단(50)과 배출펌프(7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수감지센서(30)는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90)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오수감지센서(30)는 둘레면에는 한 쌍의 전극(31)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일측의 전극(31)에 미세전류를 인가하고, 타측의 전극(31)에 전기가 인가되는 지를 감지하여,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오수가 수집되는 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극(31)은 상호 이격되어 있음으로,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측의 전극(31)으로 인가된 전류가 타측의 전극(31)에서 감지되지 않다.
그리고,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에 상기 전극(31)이 잠길 정도로 오수가 공급되면, 일측의 전극(31)에 인가된 전기가 오수를 통해 타측의 전기로 인가됨으로, 타측의 전극(31)에 전기가 인가된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유속측정수단(40)은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1)과, 상기 지지브라켓(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42)와, 상기 임펠러(42)에 연결되어 임펠러(4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감지센서(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41)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회전축(41a)이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42)는 상기 회전축(4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면 오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감지센서(43)는 상기 회전축(41a)에 구비되어 임펠러(4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수값을 상기 제어수단(90)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감지센서(43)는 일반적인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미생물공급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분사구(51a)가 형성된 교반날(51)과, 상기 교반날(51)에 연결되어 교반날(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미생물이 저장된 미생물탱크(53)와, 상기 교반날(51)의 유로와 미생물탱크(53)를 연결하며 중간부에 공급펌프(55)가 구비되어 상기 미생물탱크(53)에 저장된 미생물을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공급관(5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2)를 이용하여 교반날(51)을 구동시키면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가라앉은 슬러지(2)가 교반되며, 상기 공급펌프(55)를 구동시키면, 상기 미생물탱크(53)에 저장된 미생물이 상기 교반날(51)의 둘레부에 형성된 분사구(51a)를 통해 슬러지(2)의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미생물과 슬러지(2)가 상호 교반되도록 한다.
상기 슬러지측정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구동모터(6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의 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블레이드(63a)가 구비된 회전부재(63)와, 상기 회전부재(63)에 연결되어 회전부재(63)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63)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재(63)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회전감지센서(64)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재(63)에 각각 1개씩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63)는 상기 회전축(61)의 둘레부에 적절한 마찰을 갖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63)가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오수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61)이 회전되면, 회전부재(63)가 회전축(61)과 함께 회전되고, 회전부재(63)가 본체(10)의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지(2)에 묻힌 상태에서 회전되면 회전부재(63)는 회전되지 않고 회전축(61)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하측에 슬러지(2)가 가라앉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62)를 구동시켜 회전축(61)을 회전시키면, 슬러지(2)에 묻힌 회전부재(63)는 회전되지 않고 회전축(61)만 회전되고, 상기 슬러지(2)의 상부로 노출된 회전부재(63)는 회전축(61)과 함께 회전됨으로, 상기 회전감지센서(64)를 이용하여 각 회전부재(63)의 회전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슬러지(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70)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측에는 덮개(71)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72)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71)가 노출되도록 지면(1)에 매립된다.
상기 세척수단(80)은 연결관(81a)을 통해 상기 배수관(15)에 연결되어 배수관(15)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저수탱크(81)와,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에 상기 임펠러(42)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공급관(82a)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81)에 연결되는 분사노즐(82)과, 상기 공급관(82a)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8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펌프(83)를 구동시키면 상기 저수탱크(81)에 저장된 배출수가 상기 분사노즐(82)을 통해 임펠러(42)로 분사되어, 임펠러(42)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유속측정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오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분기부(14a)을 통과하는 물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유속측정수단(40)에 의해 측정된 오수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세척수단(80)을 작동시켜 임펠러(42)에 배출수를 분사함으로써 임펠러(42)에 부착된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척수단(80)을 작동시킨 후,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유속측정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유속측정수단(40)에 의해 측정된 오수의 속도가 상승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수단(90)은 본체(10)의 내부에 많은 양의 슬러지(2)가 쌓여 본체(10)를 통과하는 오수의 흐름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제어밸브(20)를 제어하여, 슬러지(2)가 쌓인 본체(10)에 연결된 분기부(14a)를 밀폐함으로써, 해당 본체(10)를 오수가 공급되지 않는 휴지상태가 되도록 하여, 다른 한쪽의 본체(10)에만 오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휴지상태의 본체(10)에 구비된 미생물공급수단(50)을 작동시켜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슬러지(2)를 교반함과 동시에 슬러지(2)의 내부로 미생물을 공급함으로써, 슬러지(2)가 효과적으로 미생물과 혼합되고,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2)가 분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미생물공급수단(50)을 적정시간동안 작동시킨 후,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미생물공급수단(5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슬러지측정수단(60)의 구동모터(6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회전감지센서(64)의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10)의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2)의 높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2)의 높이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하로 낮아지거나, 다른 쪽 본체(10)의 내부에 슬러지(2)가 쌓여 본체(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오수의 속도가 낮아진 것을 감지하면, 상기 배출펌프(74)를 구동시켜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바닥면에 남은 슬러지(2)를 상기 저장탱크(70)로 배출하고, 상기 제어밸브(20)를 제어하여, 휴지상태인 본체(10)에 연결된 분기부(14a)를 개방함으로써, 휴지상태인 본체(10)를 오수가 공급되는 활성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다른 쪽 본체(10)의 내부에 슬러지(2)가 쌓일 경우, 상기 제어수단(90)은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본체(10)에 쌓인 슬러지(2)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70)로 배출된 슬러지(2)는 슬러지(2)와 혼합된 미생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분해되며, 슬러지(2) 중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은 이물질이 저장탱크(70)에 남은 경우, 상기 덮개(71)를 열어 개구부(72)를 개방하고, 상기 개구부(72)를 통해 저장탱크(70)에 남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분기부(14a)에 개발된 제어밸브(20)를 제어하여 2개의 본체(10)가 동시에 휴지상태가 되지 않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은 복수개의 본체(1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본체(10)를 휴지상태로 전환하고, 미생물공급수단(50)을 이용하여 본체(10)의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지(2)에 미생물을 공급하여,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2)가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에 의해 미생물이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2)가 효과적으로 분해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저장탱크(70)가 연결됨으로, 본체(10)에 가라앉은 슬러지(2) 중에서 미처 분해되지 못한 슬러지(2)는 저장탱크(70)로 배출하여 장시간에 걸쳐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를 장시간 동안 휴지상태로 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쪽의 본체(10)에 슬러지(2)가 차기 전에 휴지상태의 본체(10)를 활성상태로 전환할 수 있음으로, 동시에 2개의 본체(10)가 휴지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수관(14)에는 2개의 분기부(14a)가 형성되어, 2개의 본체(1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분기부(14a)를 3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오수관(14)에 2개 이상의 본체(10)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00)와,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90)과 무선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관리자가 소유하는 휴대용 단말기(1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0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누수감지수단(1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12)가 본체(1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집수케이스(111)와,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집된 오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112)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케이스(111)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개구부(12)의 둘레부가 본체(10)의 둘레부에 수밀하게 접착고정되어, 외부에서 발생된 습기 또는 수분은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본체(10)의 둘레부에 크랙(C)이 발생될 경우, 이 크랙(C)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 오수만이 내부에 수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112)는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집된 오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90)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수감지센서(112)는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동일하게, 상호 이격된 전극(112a)이 구비되어,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오수가 수집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0)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와 통신가능하게 구성된 무선통신수단(9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00)와 누수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1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변동되거나, 상기 누수감지수단(110)에 오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에 경고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본체(1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변동된다고 하는 것은, 지반침하 또는 기타 다양한 이유로 본체(10)가 기울어진 것을 의미하게 되며, 이와 같이, 본체(10)가 과도하게 기울어질 경우, 상기 본체(10)와 급수관 및 배수관(15)의 연결부위가 손상이 발생되어,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오수나, 본체(10)에서 배수관(15)으로 배출되는 배출수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00)에 측정된 본체(1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변동되면, 본체(10)가 기울어진 것을 알리는 경고신호 또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본체(10)를 유지보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오수가 저장됨으로, 본체(10)에 크랙(C)이 발생될 경우, 내부에 저장된 오수가 크랙(C)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는 누수감지수단(110)이 구비되어, 본체(10)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 상기 유출된 오수의 일부가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집되고, 상기 누수감지센서(112)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수감지센서(112)에 오수가 감지된다는 것은 상기 본체(10)에 크랙(C)이 발생된 것을 의미하게 되며, 이때, 상기 관리서버는 본체(10)에 크랙(C)이 발생된 것을 알리는 경고신호 또는 미시지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본체(10)를 유지보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은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00)와,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90)과 무선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관리자가 소유하는 휴대용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본체(10)가 기울어지거나 크랙(C)이 발생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를 함으로써, 신속하게 본체(10)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제어밸브
30. 오수감지수단 40. 유속측정수단
50. 슬러지측정수단 60. 슬러지측정수단
70. 저장탱크 80. 세척수단
90. 제어수단

Claims (2)

  1. 상측에 개구부(12)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11)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측에는 각각 공급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10)와,
    화장실과 상기 본체(10)의 공급구를 연결하는 오수관(14)과,
    상기 본체(10)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수관(15)을 포함하는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오수관(14)의 후단부에는 상기 공급구에 연결되는 분기부(14a)가 형성되며,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20)와,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오수가 공급되면 이를 감지하는 오수감지센서(30)와,
    상기 분기부(14a)에 구비되어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측정수단(40)과,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가라앉은 슬러지(2)에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수단(5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지(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슬러지측정수단(60)과,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된 저장탱크(70)와,
    상기 본체(10)와 저장탱크(70)를 연결하며 중간부에는 배출펌프(74)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에 남은 슬러지(2)를 상기 저장탱크(70)로 배출하는 배출관(73)과,
    상기 배수관(15)으로 배출되는 배출수를 이용하여 상기 유속측정수단(40)을 세척하는 세척수단(80)과,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유속측정수단(40)과 슬러지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밸브(20)와 미생물공급수단(50)과 배출펌프(7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속측정수단(40)은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브라켓(41)과,
    상기 지지브라켓(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분기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오수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42)와,
    상기 임펠러(42)에 연결되어 임펠러(4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감지센서(43)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공급수단(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분사구(51a)가 형성된 교반날(51)과,
    상기 교반날(51)에 연결되어 교반날(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본체(10)와 별도로 구비되고 내부에는 미생물이 저장된 미생물탱크(53)와,
    상기 교반날(51)의 유로와 미생물탱크(53)를 연결하며 중간부에 공급펌프(55)가 구비되어 상기 미생물탱크(53)에 저장된 미생물을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공급관(54)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측정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구동모터(6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의 둘레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블레이드(63a)가 구비된 회전부재(63)와,
    상기 회전부재(63)에 연결되어 회전부재(63)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64)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80)은
    연결관(81a)을 통해 상기 배수관(15)에 연결되어 배수관(15)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수의 일부를 저장하는 저수탱크(81)와,
    상기 분기부(14a)의 내부에 상기 임펠러(42)를 향하도록 구비되며 공급관(82a)을 통해 상기 저수탱크(81)에 연결되는 분사노즐(82)과,
    상기 공급관(82a)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수펌프(83)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오수감지센서(30)와 유속측정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오수감지센서(30)에 의해 상기 분기부(14a)을 통과하는 오수가 감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유속측정수단(40)에 의해 측정된 오수의 속도가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세척수단(80)을 작동시켜 임펠러(42)에 배출수를 분사함으로써 임펠러(42)에 부착된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하고, 세척수단(80)을 작동시킨 후에도 유속측정수단(40)에 의해 측정된 오수의 속도가 상승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밸브(20)를 제어하여 상기 분기부(14a)를 밀폐하여 해당 본체(10)를 오수가 공급되지 않는 휴지상태가 되도록 한 후, 상기 미생물공급수단(50)을 작동시켜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내부로 미생물을 공급하고, 상기 슬러지측정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여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슬러지(2)의 양이 미리 설정된 양 이하로 줄어들 경우, 상기 배출펌프(74)를 작동시켜 휴지상태인 본체(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슬러지(2)를 상기 저장탱크(70)로 배출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어밸브(20)를 개방하여 본체(10)에 오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의 기울기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센서(100)와,
    상기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본체(10)에서 발생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수단(110)과,
    상기 제어수단(90)과 무선통신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관리자가 소유하는 휴대용 단말기(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감지수단(1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12)가 본체(10)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집수케이스(111)와,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케이스(111)의 내부에 수집된 오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센서(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기울기감지센서(100)와 누수감지수단(1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1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변동되거나, 상기 누수감지수단(110)에 오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에 경고신호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KR1020180170371A 2018-12-27 2018-12-27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KR10212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371A KR102123362B1 (ko) 2018-12-27 2018-12-27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371A KR102123362B1 (ko) 2018-12-27 2018-12-27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362B1 true KR102123362B1 (ko) 2020-06-26

Family

ID=7113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371A KR102123362B1 (ko) 2018-12-27 2018-12-27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3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265Y1 (ko) 1995-03-04 1998-06-01 진상호 유효미생물군을 이용한 합병 처리 분뇨 정화조
KR20080055114A (ko) * 2006-12-14 2008-06-19 현남홍 미생물과 다중 침전조에 의한 정화조
JP2013138976A (ja) * 2011-12-28 2013-07-1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echatronics Systems Ltd 排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265Y1 (ko) 1995-03-04 1998-06-01 진상호 유효미생물군을 이용한 합병 처리 분뇨 정화조
KR20080055114A (ko) * 2006-12-14 2008-06-19 현남홍 미생물과 다중 침전조에 의한 정화조
JP2013138976A (ja) * 2011-12-28 2013-07-1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echatronics Systems Ltd 排水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6071A1 (en) Aerobic sewage system
KR102123362B1 (ko) 저장탱크가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KR102123361B1 (ko) 이송관이 구비된 개인하수처리시스템
KR101720606B1 (ko) 역류방지 및 배출수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컴제거장치
JPH09964A (ja) 厨芥破砕処理システム
KR20100047920A (ko) 폭기식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JP2000061491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CN105525485A (zh) 一种全自动洗衣机
JP3452641B2 (ja) 生活排水送出装置
KR102348207B1 (ko) 부유물질과 고형물질의 배출에 전문화된 오수탱크 시스템
KR100756659B1 (ko) 폐기물 슬러지 펌핑장치
CN211849901U (zh) 一种用于调蓄池的清洗系统
CN207159012U (zh) 一种污水环保处理系统
US8980092B2 (en) Septic system
CN103415666A (zh) 生态马桶
KR102106330B1 (ko) 개인하수처리시설 관리시스템
JP2000317483A (ja) 排水処理装置
US20140367332A1 (en) Septic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sewage and grease
US9868658B2 (en) Method for treating fluid waste material
JP2001000992A (ja) 排水処理装置
CN213803445U (zh) 玻璃钢化粪池
CN213956883U (zh) 一种虹吸自流污水取样箱
JP3901337B2 (ja) 下水圧送装置
KR102302477B1 (ko) 음식물처리기
JP2003328979A (ja) 液槽の水位制御方法及び液槽の水位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