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99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999B1
KR102122999B1 KR1020130153436A KR20130153436A KR102122999B1 KR 102122999 B1 KR102122999 B1 KR 102122999B1 KR 1020130153436 A KR1020130153436 A KR 1020130153436A KR 20130153436 A KR20130153436 A KR 20130153436A KR 102122999 B1 KR102122999 B1 KR 10212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reen zone
driving information
gree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7921A (en
Inventor
문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9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6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9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차량의 목적지에 대한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차량 데이터 및 기 설정된 그린 존의 유무를 고려하여, 그린 존을 경유하는 경로 또는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oute through the green zone or a route bypassing the green zone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ce of vehicle data and a preset green zone collected from the vehicl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for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that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Description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본 실시예는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내 그린 존의 유무와 차량 데이터를 고려하여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green zones and vehicle data in a route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below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은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 알맞은 신속, 안전, 쾌적한 차세대 교통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차량 특성, 속도 등의 교통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최적의 운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은 교통 여건, 도로 상황,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 소요 시간, 주차장 상황 등 각종 교통 정보를 차량 내 단말기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신속,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최적 교통을 지원한다.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are systems for realizing a rapid, safe and comfortable next-generation transportation system suitable for an increasingly accelerated information society.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detects traffic information such as vehicle characteristics and speed on the road using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analyzes it to provide an optimal driving servic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provides safe and smooth optimal transportation by providing various traffic information, such as traffic conditions, road conditions, the shortest route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time required, and parking conditions, to the driver through terminals in the vehicle quickly and accurately. do.

최근,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환경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서도, 글로벌 에너지 위기와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의 교통체계 및 교통 제어 전략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서도 보다 친환경적인 지능형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필요로 한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dustry,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come increasingly serious, and th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in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the need for a low-carbon green growth-based transportation system and a traffic control strategy to respond to the global energy crisis and global warming is emerging. Against this background,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lso requires a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more eco-friendly intelligent transportation service.

본 실시예는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차량 데이터 및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내 기 설정된 그린 존의 유무를 고려하여, 그린 존을 경유하는 경로 또는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최대한 차량 이용에 불편함이 없이 안전하고 원활한 최적 운행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더 나아가 각 지역의 대기 오염을 관리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지능형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of a vehicle, a route through the green zon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vehicle data collected from the vehicl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eset green zone in the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Or, by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that bypasses the green zone, it provides safe and smooth optimal operation assistance service without any inconvenience to the vehicle as much as possible, and furthermore, it is eco-friendly to manage air pollution in each reg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ervices.

본 실시예는,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Green Z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경로 상에 상기 그린 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그린 존 진입 허용 여부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rocess of obtaining vehicle data including some or all of a vehicle type,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of a vehicle; Receiving a destination input from the driver of the vehicle;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an entry control zone, exists on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Determining whether entry of the vehicle into the green zone is permitted based on the vehicle data when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And it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whether or not to allow the green zone.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기기에 있어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Green Z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경로 상에 상기 그린 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부의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운행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it is checked whether a green zone as an entry control zone exists on a path from a current location of a vehicle to a destination. Confirmation part; If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a determination is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vehicle data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vehicle model,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part; And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ing unit.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Green Z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경로 상에 상기 그린 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및 그린 존 진입 허용 여부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function for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an entry control zone, exists on a path from a current location of a vehicle to a destination; A fun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entry into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is permitted based on vehicle data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vehicle type,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of the vehicle when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that realizes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green zone entry is allowed.

본 실시예는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차량 데이터 및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내 기 설정된 그린 존의 유무를 고려하여, 그린 존을 경유하는 경로 또는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최대한 차량 이용에 불편함이 없이 안전하고 원활한 최적 운행보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더 나아가 각 지역의 대기 오염을 관리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지능형 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rocess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of a vehicle, a route through the green zone is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vehicle data collected from the vehicl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reset green zone in the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Or, by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that bypasses the green zone, it provides safe and smooth optimal operation assistance service without any inconvenience to the vehicle as much as possible, and furthermore, it is eco-friendly to manage air pollution in each reg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er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nvironment-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린 존(Green Zone)은 관리 권역의 대기 오염도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입이 통제되는 지역을 의미하며, 그린 존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교통 통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진입을 억제하거나 일정 조건 하에서 진입이 가능하도록 통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은 그린 존에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량 데이터 예컨대, 차종, 연비, 탄소배출량 등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차량별 오염 유발도 등급이 적정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적정 기준치를 만족시키는 차량에 대해서는 그린 존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의 사용을 원하는 경우, 그린 마일리지를 소비하는 조건 하에서 그린 존에 진입이 가능하도록 통제할 수도 있다.Green Zone refers to an area where vehicle entry is controlled based on the air pollution level in the management area, and for vehicles entering the Green Zone, it is possible to suppress entry or enter under certain conditions by sending a traffic control message. Can be controlled. Here, a certain condition means a case in which the pollution degree of each vehicle set in advance meets an appropriate standard value based on vehicle data of a vehicle to enter the green zone, for example, vehicle model, fuel efficiency, carbon emission, etc., and a vehicle satisfying an appropriate standard value For, it can be controlled to allow entry into the green zone. 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use the green mileage hel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it may be controlled to allow entry into the green zone under the condition of consuming the green mileage.

한편, 그린 존은 대기오염도 정보, 교통 수요량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각 지역별 차량 탄소 배출량 및 대기오염 예측치를 기초로 설정된다. 이때, 이벤트 정보는 특정 또는 관심 지역에서 개최되는 각종 행사, 사고, 재난재해, 교통 정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그린 존은 교통 수요량 정보 및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예측된 차량 탄소 배출량과 대기오염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대기오염 예측치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설정된다. 예컨대, 그린 존은 산출된 대기 오염 예측치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지역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그린 존은 산출된 대기 오염 예측치가 제1 임계치 미만이고, 제1 임계치보다 낮은 제2 임계치 이상인 지역인 경우, 이 지역에 대한 이벤트 정보에 근거하여 그린 존으로 추가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린 존은 도로별, 교차로별, 일정 구간별 등으로 구분된 지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 구, 시 등의 행정구역 단위의 지역 또는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기 설정된 영역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green zone is set based on vehicle carbon emission and air pollution prediction values for each region calculated using ai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traffic demand amoun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event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events, accidents, disasters, and traffic jams held in a specific or interested area. In more detail, the green zone is se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dicted air pollution calcula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traffic demand amount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calculated using the predicted vehicle carbon emissions and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green zone may be set for an area where the calculated air pollution prediction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In addition, the green zone may be additionally set as a green zone based on event information for the region when the calculated air pollution prediction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e green zone may be an area divided into roads, intersections, and certain sec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set as an area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such as east, ward, city, or a preset area that can be expanded or reduced. It may b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nvironment-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시스템은 차량장치(110), 제1 통신 네트워크(120), 제1 통신기기(130), 제2 통신 네트워크(140) 및 제2 통신기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기기(130)가 차량 데이터 및 그린 존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경우를 제1 실시예로, 제2 통신기기(150)가 차량 데이터 및 그린 존 정보를 기반으로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1 통신기기(130)에 제공하는 경우를 제2 실시예로 상정하여 설명한다.The environment-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device 110,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20,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40,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do. Her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irectly generates and provides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vehicle data and green zone information as a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uses vehicle data And a case in which eco-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green zone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s assumed as a second embodiment.

차량장치(110)는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차량에 구비되고, 이 차량에 대해 수집한 차량 데이터를 제1 통신기기(130)로 전송한다. 차량 데이터에는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차량장치(110)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차량 데이터를 제1 통신기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장치(110)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직접 차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차량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제1 통신기기(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데이터가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을 포함한다고 명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그린 존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차량 관련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무관하다.The vehicle device 110 is provided in a vehicle to receiv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vehicle data collected for the vehicle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Vehicle data may include vehicle type,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Meanwhile, the vehicle device 110 may collect vehicle data by communicating with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collected vehicle data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n addition, the vehicle device 110 may receive and store vehicle data directly from a driver of the vehicle, and transmit the stored vehicle data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it is stated that the vehicle data includes the vehicle type,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of the vehicl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any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that can determine whether to enter the green zone is irrelevant.

제1 통신 네트워크(120)는 차량 내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차량장치(110)와 제1 통신기기(130) 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한편, 제1 통신 네트워크(1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Ethernet 또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20 refers to an in-vehicle network, and refers to a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vehicle device 11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be implemented as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Ethernet, or Zigbee, Bluetooth, an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제2 통신 네트워크(140)는 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제1 통신기기(130)와 제2 통신기기(150) 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예컨대, 제2 통신 네트워크(130)는 와이파이(WiFi), 3G, 4G 등의 이동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40 refers to a wireless network and refers to a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30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3G, 4G.

제1 통신기기(13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에 탑재되는 임베디드 장치(Embedded Device)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차량의 운전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a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and a tablet PC, a laptop, and a personal computer (PC). ,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embedded device mounted in a vehicle, or a terminal carried by a driver of a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Does not.

제1 통신기기(130)는 친환경 운행정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차량 데이터 및 그린 존 정보를 기반으로 직접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통신기기(150)로 차량 데이터 및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고,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생성된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장치(110)로부터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를 차량장치(110)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로부터 차량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식별정보는 차량번호, 차량 소유주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차량과 다른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무관하다.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로부터 차종, 연비, 단소 배출량 등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해 두고, 저장되어 있던 차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s a device that provides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irectly generates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vehicle data and the green zone information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vehicle data and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receives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do.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quires vehicle data for a vehicle that is to receiv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device 110. At this tim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obtain and obtain vehicle data from the vehicle device 110, but may also receiv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obtain vehicle data based on the vehicle data. Here, th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vehicle number, vehicle owner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ny information as long as it is information that can distinguish a vehicle from other vehicles to receiv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o.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receive and store vehicle data for a vehicle type, fuel efficiency, and a small discharge amount from a driver, and may also obtain and obtain the stored vehicle data.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driv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는 수신한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 이후,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그린 존 정보 요청신호를 제2 통신기기(150)로 송신한다. 이때, 그린 존 정보 요청신호에는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경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1 통신기기(130)는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received destination information. Subsequentl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ends the green z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to check whether a green zone, which is an access control zone existing on th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exists. Send. At this time, the green z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destination information. There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또한, 제1 통신기기(130)는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수신한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고려하지 않은 경로정보를 운전자에 제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does not exist on the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een zone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oes not consider the green zone. Provide route information to the driver.

제1 통신기기(13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이 전기차(EV)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이 연비가 높고 탄소 배출량이 적은 하이브리드 차 또는 소형차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이후, 제1 통신기기(13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운행정보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일 수도 있지만, 대중교통 환승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예컨대, 그린 존 내에 목적지가 있는 경우, 그린 존 내의 특정 위치까지 경로를 안내하고, 그 이후에 목적지까지의 이동을 위한 대중교통 환승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vehicle data received from the vehicle device 110.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EV) based on the vehicle data,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In addition, based on the vehicle data,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is a hybrid vehicle or a small vehicle with high fuel efficiency and low carbon emission. There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and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rout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but may also be a concept including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re is a destination in the green zone, the route may be guided to a specific location in the green zone, and thereafter, public transport transfer information for moving to the destination may be guid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가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통신기기(13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린 존을 완전히 경유하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차량이 그린 존 내에서 운행 가능한 운행 거리를 추출하고, 해당 운행 거리에 도달한 이후, 그린 존을 우회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will be describ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the dest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through the green zone completely based on the vehicle data, but extracts the driving distance that the vehicle can travel within the green zone, and the corresponding driving distance After reaching, it is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that can reach the destination by bypassing the green zone.

제1 통신기기(13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회피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기기(130)는 목적지가 그린 존 내에 있는 경우, 그린 존 주변 예컨대, 주차장까지의 경로 및 해당 주차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대중 교통 환승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avoiding the green zone. In this case, when the destination is in the green zon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for example, a route to the parking lot around the green zone and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to the destination.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회피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차량의 운전자가 소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근거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린 마일리지는 환경 파괴를 줄이거나 보전을 위해 노력한 만큼 그 실적을 적립시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적립 포인트로서 차량의 운전자가 소유한 차량의 종류, 차량 운전자의 자전거, 도보 및 대중교통 등의 이용빈도, 그린 존 진입 통제의 준수 여부 등에 따라 마일리지가 기 적립될 수 있다. 즉,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운전자에게 그린 마일리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고, 그린 마일리지의 사용 여부를 추가로 확인한다.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가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1 통신기기(130)는 그린 존 통과를 위해 소요되는 마일리지와 운전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를 비교하고, 운전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소요 마일리지보다 더 큰 경우,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운전자가 보유한 그린 마일리지가 소요 마일리지보다 작은 경우, 그린 존을 우회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가 소유 마일리지보다 작은 경우에도 일단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부족한 마일리지만큼 그린 마일리지를 마이너스로 관리할 수도 있다.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가 소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따라 그린 존 내의 운행 가능 거리를 고려하여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가 소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근거하여 그린 존 내에서 운행 가능한 운행 거리를 추출하고, 해당 운행 거리에 도달한 이후, 그린 존을 우회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로부터 사용하고자 하는 그린 마일리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그린 마일리지를 기반으로 그린 존 내에서 운행 가능한 거리를 고려하여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avoiding the green zone, but the gree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green mileage own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zone. Green mileage is a kind of accumulation point that can be used to reduce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or to accumulate and use the results as much as efforts to preserve it. Mileage may be accrued depending on compliance with green zone entry control.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provides a guide to the green mileag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further checks whether the green mileage is use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ndicates that the driver intends to use the green mileag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ducts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and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the destination.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compares the mileage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green zone and the green mileage held by the driver, and when the green mileage held by the driver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mileage,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reen zone. can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green mileage held by the driver is smaller than the required mileage, it is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that bypasses the green zone. However, even if the driver's green mileage is smaller than the owned mileag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reen zone by subtracting the green mileage and manage the green mileage as negative as the insufficient mileage. .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al distance in the green zone according to the green mileage owned by the driver.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extracts a serviceable driving distance in the green zone based on the green mileage owned by the driver, and after reaching the corresponding driving distance, can bypass the green zone and reach the destination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green mileage to be used from the driver, and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a distance that can be operated in the green zone based on the green mileage.

제1 통신기기(130)는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기 생성된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제1 통신기기(130)는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그린 존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그린 존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통신기기(130)가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하는 도로의 진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에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할 수 있는 도로로의 진입 위치를 이미 지나쳤는지 여부에 따라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예컨대,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할 수 있는 우회 도로로의 진입로를 지나쳐 버린 경우에는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도록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지나치지 않은 경우에는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하도록 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is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operating based on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and update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vehicle to provide it to the driver. have. That is, whe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checks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included in the previously generated operation information is changed, and the green zone is chang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t may generate and provid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upd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updated driving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before the vehicle reaches the entry position of the road bypassing the changed green zone. Through this, when the vehicle is unable to enter the changed green zon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perates to bypass the changed green zone and reach the destination.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updates th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has already passed the entry position to the road to bypass the changed green zone.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to allow entry into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passes the access road to the bypass road that can bypass the changed green zone, and bypasses the changed green zone if not exceeded. It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to do so.

제1 통신기기(13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차량 데이터 및 목적지 정보를 제2 통신기기(150)로 전송한다. 이후, 제1 통신기기(130)는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생성된 운행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transmits vehicle data and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There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기기(15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통신기기(150)는 서버 형태로 구현되며, 제1 통신기기(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제2 통신기기(1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로 기 파악된 그린 존 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그린 존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업데이트된 그린 존 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로 제공한다. 또한, 제2 통신기기(15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로 제공한다.Hereinafter,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provides the green zone information previously identifi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then, when the green zone information is updated, the updated green Zon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generates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the generated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i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한편, 제2 통신기기(15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 및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receives vehicle data and destination information for a vehicle to receiv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receives the received destination information Create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또한, 제2 통신기기(130)는 기 수집된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 생성된 경로정보를 운전자에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green zone o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e-collected green zon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30 provides the pre-generated route information to the driver.

한편, 제2 통신기기(150)는 기 수집된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신한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제2 통신기기(150)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기기(150)가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제1 통신기기(130)가 그린 존 진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pre-collected green zon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s based on the vehicl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Thereafter,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provides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re drawn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pecified above. It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allow zone entry and the method of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제2 통신기기(150)는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기 생성된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통신기기(150)가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제1 통신기기(130)가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is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based on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and generates a group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hanged green zone is detect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updated operation information. The method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generates upd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green zone is changed is the same as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pecified above generates th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한편, 도 2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가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의 제1 통신기기(130)에 구비된 구성요소 및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in FIG. 2, the components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210),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제어부(230), 제2 통신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10, a user interface 220, a control unit 230, and a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40. It includes. At this tim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1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제1 통신 네트워크(120)를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차량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제1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차량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차량장치(110)로부터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등을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30)로 제공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10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device 110 provided in the vehicl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20.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10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device 110, and through this, receives the vehicle data including the vehicle model,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device 110,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ler 230 ).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어부(230)로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는 차량의 식별정보, 목적지 정보 및 그린 마일리지에 대한 사용 여부를 포함한 그린 마일리지 사용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220 provides an interface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and provides the user input information input using the interface to the control unit 230. Meanwhile, the user input information input using the user interfac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reen mileage usag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o use the green mileage.

제어부(23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210),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240)를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제어부(230)는 확인부(232), 결정부(234) 및 운행정보 제공부(236)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230 generates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10, the user interface 22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40,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Meanwhile, the control unit 230 includes a confirmation unit 232, a determination unit 234, and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확인부(232)는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결과를 생성한다. 즉, 확인부(232)는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수신한 그린 존에 대한 정보 및 운전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운행정보 제공부(236)에 의해 생성된 차량의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 내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확인부(232)는 확인결과를 결정부(234) 및 운행정보 제공부(236)로 제공한다.The confirmation unit 232 checks whether a green zone, which is an entry control zone, exists on th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and generates a confirmation result. That is, the confirmation unit 232 is based on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een zone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driver. Then, it is checked whether a green zone exists in the route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nfirmation result. Thereafter, the confirmation unit 232 provides the confirmation result to the determination unit 234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또한, 확인부(232)는 운행정보 제공부(236)로부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확인부(232)는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수신한 그린 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기반으로 그린 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확인결과를 운행정보 제공부(236)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firmation unit 232 checks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operating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That is, the confirmation unit 232 checks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update information for the green zone receiv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checks the result of the check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send.

결정부(234)는 확인부(232)로부터 생성된 확인결과에 근거하여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신한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결정부(234)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차량별 오염 유발도 등급이 적정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의 차량에 한해서 그린 존에 진입 가능한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예컨대, 결정부(234)는 차량이 전기차(EV)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결정부(234)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이 연비가 높고 탄소 배출량이 적은 하이브리드 차 또는 소형차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unit 234 determines tha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generated by the verification unit 232, and based on the vehicl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entry is permitted, and a determination result is generated. The determination unit 234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capable of entering the green zone only for vehicles in which the pollution degree of each vehicle set in advance based on vehicle data satisfies an appropriate standard value. For example, if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EV), the determination unit 234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In addition, based on the vehicle data, the determination unit 234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is a hybrid vehicle or a small vehicle with high fuel efficiency and low carbon emission.

운행정보 제공부(236)는 결정부(234)의 판단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운행정보 제공부(326)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운행정보는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일 수도 있으며, 그린 존을 회피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가 소유한 그린 마일리지의 사용 여부에 따라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운행정보 제공부(236)가 결정부(234)의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ing unit 234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At this time,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may b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a destin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avoiding the green zone. It might be. In addition, it may b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green zon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green mileage owned by the driver is us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generates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234,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운행정보 제공부(236)는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기 생성된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운행정보 제공부(236)가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based on the previously generated oper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hanged green zone has been recognized.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may be updated and provided. At this time,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by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제2 통신 네트워크(140)를 이용하여 제2 통신기기(150)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제2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제2 통신기기(150)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제2 통신 인터페이스(240)는 그린 존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업데이트된 그린 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30)로 제공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4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40. Meanwhile,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4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through this,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Thereafter, when the green zone information is updated,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240 receives the updated green zon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230.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기기(1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기기(150)가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의 제2 통신기기(150)에 구비된 구성요소 및 각각의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in Figure 3 will be describ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기기(15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 제어부(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310 and a control unit 320.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제2 통신 네트워크(140)를 이용하여 제1 통신기기(130)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차량 데이터, 목적지 정보 및 그린 마일리지에 대한 사용 여부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2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제어부(320)로부터 생성된 운행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31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40. Meanwhi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10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whether to use vehicle data,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reen mileag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32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10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320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제어부(32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를 이용하여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집한 정보 및 기 저장된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1 통신기기(130)로 제공한다. 제어부(320)는 확인부(322), 결정부(324) 및 운행정보 제공부(326)를 포함한다. 도 3에 명시된 확인부(322), 결정부(324) 및 운행정보 제공부(326)는 도 2에 명시된 확인부(232), 결정부(234) 및 운행정보 제공부(236)와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320 use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310 to generat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information on the pre-stored green zone, and this i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To provide. The control unit 320 includes a confirmation unit 322, a determination unit 324, and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The confirmation unit 322, the determination unit 324,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specified in FIG. 3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rmation unit 232, the determination unit 234,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36 specified in FIG. Since it performs the func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확인부(322)는 기 저장된 그린 존에 대한 정보 및 운행정보 제공부(326)가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 정보에 근거하여 기 생성한 차량의 경로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 내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생성한다.The confirmation unit 322 is based on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previously generated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by the information on the pre-stored green zone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exists, and a confirmation result is generated.

한편, 확인부(322)는 운행정보 제공부(326)로부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운행정보 제공부(326)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confirmation unit 322 checks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operating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and transmits a confirmation result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do.

결정부(324)는 확인부(322)로부터 생성된 확인결과에 근거하여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신한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생성한다. 이후, 결정부(324)는 생성된 판단결과를 운행정보 제공부(326)로 제공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based on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generated by the verification unit 322, the determination unit 324 determines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t is determined whether entry is permitted, and a determination result is generated. Thereafter, the determination unit 324 provides the generated determination result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운행정보 제공부(326)는 결정부(324)의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운행정보 제공부(326)를 통해 생성되는 운행정보는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일 수도 있으며,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가 소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근거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일 수도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ing unit 324,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At this time,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may b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a destination, or may b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bypassing the green zone. have. In addition, it may b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green zone based on the green mileage owned by the driver.

또한, 운행정보 제공부(326)는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기 생성된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26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is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operating based on the previously generated oper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recognized green zone is changed.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may be updated and provided.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4에서 명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행되며,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수행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eanwhile,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pecified in FIG. 4 is perform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n the first embodiment, and perform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n the second embodi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using other communication devices.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먼저, 통신기기(제1 통신기기(130), 제2 통신기기(150))가 차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410). 이때, 차량 데이터는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를 차량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다수의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기 입력받아 저장하고, 차량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차량 데이터 중 차량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통신기기(150)는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차량 데이터를 수신한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arts from a process in which a communication devic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quires vehicle data. It becomes (S410). At this time, the vehicle data may include a vehicle model,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vehicle data from the vehicle device 110.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and stores vehicle data for a plurality of vehicles in advance, and when receiving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s vehicle data corresponding to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eviously stored vehicle data, thereby corresponding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vehicle data fo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receives vehicle data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통신기기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S42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며,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통신기기(150)는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S420).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using a user interface,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 To receive destination information.

통신기기는 단계 S420에서 생성한 경로정보 및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30).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통신기기(130)는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수신하며, 제2 실시예의 경우, 제2 통신기기(150)는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여 저장하고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checks whether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route information and the green zone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S420 (S430).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s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is identified and stored in advance.

통신기기는 단계 S430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410에서 획득한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예컨대, 통신기기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이 전기차(EV)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통신기기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이 연비가 높고 탄소 배출량이 적은 하이브리드 차 또는 소형차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통신기기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 생성된 경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from step S430 to the destination in step S430, the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vehicle data obtained in step S410 (S44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is an electric vehicle (EV) based on vehicle data.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is a hybrid vehicle or a small vehicle having high fuel efficiency and low carbon emission based on vehicle data. 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does not exist o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provides the generated route information to the driver.

통신기기는 단계 S440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450). 한편, 운행정보는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일 수도 있지만, 대중교통 환승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단계 S450에서 통신기기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한다.The communication device generates and provides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440 (S450). Meanwhile,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route information to a destination, but may also be a concept including public transport transfer information. In step S4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mmunication device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the destination.

한편, 통신기기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o bypass the green zone.

한편, 통신기기는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차량의 운전자가 소유한 그린 마일리지에 근거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통신기기는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확인하여 안내하고, 운전자로부터 그린 마일리지 사용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후, 통신기기는 수신한 응답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이를 통해,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신기기가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bypassing the green zone, but based on the green mileage owned by the driver of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green zone.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device checks and guides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and receives a response to the use of the green mileage from the driver.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deduct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and through this,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reen zone. Meanwhile, a meth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device subtracts the driver's green mileage and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reen zon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통신기기는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기 생성된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기기가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green zone is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operating based on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changed green zone is detected. It can also be updated and provided. At this time, the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to generate the updated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에서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통신기기는 단계 S420에서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목적지 정보 및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에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FIG. 4, steps S410 to S450 are sequentially execut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4 may be changed and executed or one or more steps may be executed in parallel, FIG. 4 is not limited to a time series sequen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does not perform a process of generating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step S420, and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가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eco-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도 5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통신기기(130)가 차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502). 이때, 차량 데이터는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를 차량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다수의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기 입력받아 저장하고, 차량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저장된 차량 데이터 중 차량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quires vehicle data (S502). At this time, the vehicle data may include a vehicle model,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In step S502,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vehicle data from the vehicle device 110.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and stores vehicle data for a plurality of vehicles in advance, and when receiving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s vehicle data corresponding to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reviously stored vehicle data, thereby corresponding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vehicle data for.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S420).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driver, and generate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S420).

제1 통신기기(130)는 제2 통신기기(150)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존재하는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그린 존 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506). 이후, 제1 통신기기(130)는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508). 한편, 단계 S506에서 제2 통신기기(150)로 송신되는 그린 존 정보 요청신호에는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경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transmits a green z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to confirm whether a green zone, which is an access control zone existing on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exists. (S506). There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S508). Meanwhile, the green zone inform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n step S506 may include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destination information.

제1 통신기기(130)는 단계 S508에서 수신한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단계 S510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420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경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S512).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termines whether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een zone received in step S508 (S510). 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does not exist o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51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provides the previously generated route information to the driver using the step S420. (S512).

제1 통신기기(130)는 단계 S510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502에서 수신한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4). 단계 S514에서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이 전기자(EV)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이 연비가 높고 탄소 배출량이 적은 하이브리드 차 또는 소형차인 경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 차량이라고 판단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51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llows the vehicle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vehicle data received in step S5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514). In step S514,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permitted to enter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is the armature EV based on the vehicle data. Furth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is a hybrid vehicle or a small vehicle having high fuel efficiency and low carbon emission based on vehicle data.

제1 통신기기(130)는 단계 S514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한다(S518).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린 존을 완전히 경유하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차량이 그린 존 내에서 운행 가능한 운행 거리를 추출하고, 해당 운행 거리에 도달한 이후, 그린 존을 우회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514,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a destination. (S518).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through the green zone completely based on the vehicle data, but extracts the driving distance that the vehicle can travel within the green zone, and the corresponding driving distance After reaching, it is possible to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ute that can reach the destination by bypassing the green zone.

제1 통신기기(130)는 단계 S514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확인하여 안내하고(S520), 운전자로부터 수신한 그린 마일리지 사용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운행정보를 생성 및 제공한다(S522). 단계 S522에서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로부터 수신한 응답이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인 경우,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1 통신기기(130)는 목적지가 그린 존 내에 있는 경우, 그린 존 주변 예컨대, 주차장까지의 경로 및 해당 주차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대중 교통 환승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514,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checks and guides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S520), and receives the green mileage received from the driver The driv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response to the use (S522). In step S522, when the response received from the driver is a response that the green mileage is not used,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at bypasses the green zone. In this case, when the destination is in the green zon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for example, a route to the parking lot around the green zone and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to the destination.

한편, 제1 통신기기(130)는 운전자로부터 수신한 응답이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겠다는 응답인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이를 통해,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제1 통신기기(130)가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response received from the driver is a response to use the green mileag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ubtracts the driver's green mileage, and through this, includes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the destination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Meanwhile, a method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reen zone by subtracting the driver's green mileag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통신기기(130)는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제2 통신기기(150)로부터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S524). 이후, 제1 통신기기(130)는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그린 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한다(S526). 단계 S526에서 제1 통신기기(130)는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그린 존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단계 S510 내지 S522 과정을 재수행하고, 이를 통해,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기기(130)가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하는 도로의 진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1 통신기기(130)는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할 수 있는 도로로의 진입 위치를 이미 지나쳤는지 여부에 따라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s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based on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S524). Thereafte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etermines whether the green zone included in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and updates the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is (S52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26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has changed the green zone included in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the process of steps S510 to S522 is performed again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updated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by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s the same as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specifi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Mean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updated driving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before the vehicle reaches the entry position of the road bypassing the changed green zone.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updates th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has already passed the entry position to the road that can bypass the changed green zone.

도 5에서는 단계 S502 내지 단계 S526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통신기기(130)는 단계 S504에서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목적지 정보 및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에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lthough FIG. 5 describes that steps S502 to S526 are executed sequenti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5 may be changed and executed or one or more steps may be executed in parallel, FIG. 5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does not perform a process of generating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step S504, and the vehicle current is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from the location to the destin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통신기기(150)가 친환경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FIG. 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eco-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도 6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2 통신기기(150)가 차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602). 이때, 차량 데이터는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602에서 제2 통신기기(150)는 차량 데이터를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신한다.As illustrated in FIG. 6, a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cquires vehicle data (S602). At this time, the vehicle data may include a vehicle model,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In step S602,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receives vehicle data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제2 통신기기(150)는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S604),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한다(S606).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604), and generates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S606).

제2 통신기기(150)는 기 수집된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S608),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0). 한편,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10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606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경로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에 제공한다(S612).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checks information on the pre-collected green zone (S608), and determines whether a green zone exists on a path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green zone (S610). 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does not exist on the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61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communicates the previously generated path information using step S606. Provided to the device 130 (S612).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10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602에서 수신한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4). 단계 S614에서 제2 통신기기(150)가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61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allows the vehicle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vehicle data received in step S6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614). In step S614, the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data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14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에 제공한다(S618).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614,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a destination. , Provides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618).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14에서 판단된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그린 존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확인한다(S62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ed in step S614,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checks the driver's green mileage (S620).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20에서 확인한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제1 통신기기(130)에 안내하고(S622),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그린 마일리지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응답을 수신한다(S624).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guides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identified in step S620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622), and a response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o use the green mileage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t receives (S624).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24에서 수신한 응답이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인 경우,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행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에 제공한다(S628). 이때, 제2 통신기기(150)는 목적지가 그린 존 내에 있는 경우, 그린 존 주변 예컨대, 주차장까지의 경로 및 해당 주차장에서 목적지까지의 대중 교통 환승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If the response received in step S624 is a response not to use the green mileag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bypassing the green zon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as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to 130 (S628). In this case, when the destination is in the green zon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may generat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around the green zone, for example, a path to the parking lot and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to the destination.

제2 통신기기(150)는 제1 통신기기(130)로부터 수신한 응답이 그린 마일리지를 사용하겠다는 응답인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이를 통해, 그린 존을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운행정보를 생성한다(S630). 이후,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30에서 생성된 운행정보를 제1 통신기기(130)에 제공한다(S632). 한편, 제2 통신기기(150)가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여 그린 존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바와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f the response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s a response to use the green mileag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deducts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and through this, can pass through the green zone to reach the destin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route is generated (S630). Thereafter,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provides the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S630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S632). Meanwhile, a method in whic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reen zone by subtracting the driver's green mileag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통신기기(150)는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도중,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기 생성된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한다(S634). 단계 S634에서 제2 통신기기(150)는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기 생성된 운행정보에 포함된 그린 존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단계 S608 내지 S630 과정을 재수행하고, 이를 통해,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기기(150)가 그린 존 업데이트 정보에 근거하여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앞서 명시된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며 이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checks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based on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and updates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is (S634). In step S63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reen zone included in the previously generated driving information is changed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performs the steps S608 to S630 again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updated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green zone update information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is the same as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specifi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서는 단계 S602 내지 단계 S63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6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통신기기(150)는 단계 S606에서 목적지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목적지 정보 및 그린 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그린 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에 운행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lthough FIG. 6 describes that steps S602 to S634 are executed sequenti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since the steps described in FIG. 6 may be changed and executed or one or more steps may be executed in parallel, FIG. 6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50 does not perform a process of generating a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 step S606, and the vehicle's current status is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green zone. After performing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from the location to the destination, the driv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 5, 6에 기재된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described in FIGS. 4, 5, and 6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recorde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such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may b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10: 차량장치 120: 제1 통신 네트워크
130: 제1 통신기기 140: 제2 통신 네트워크
150: 제2 통신기기 210: 제1 통신 인터페이스
220: 사용자 인터페이스 230: 제어부
232: 확인부 234: 결정부
236: 운행정보 제공부 240: 제2 통신 인터페이스
110: vehicle device 120: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30: first communication device 140: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50: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10: first communication interface
220: user interface 230: control unit
232: confirmation unit 234: decision unit
236: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the second communication interface

Claims (15)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Green Z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경로 상에 상기 그린 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그린 존 진입 허용 여부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소비하는 조건 하에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에서의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
Obtaining vehicle data including some or all of a vehicle type,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Receiving a destination input from the driver of the vehicle;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an entry control zone, exists on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Determining whether entry of the vehicle into the green zone is permitted based on the vehicle data when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And
Generates and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entry into the green zone is permitted, and generates the driving information under the condition of consuming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if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y providing
Eco-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행정보는 상기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이거나 또는 상기 그린 존 주변의 주차장까지의 경로 및 상기 주차장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환승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f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 path bypassing the green zone or a route to a parking lot around the green zone and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information from the parking lot to the destination.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확인하여 안내하는 과정; 및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그린 마일리지의 사용 의사를 포함한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entry into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is not permitted,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Checking and guiding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And
When a response including the intention to use the green mileage is received from the driver, a process of subtracting the green mileage and generating the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respons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그린 존 내에서 운행 가능한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driving information,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drivin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hat the vehicle can operate in the green zone based on the vehicl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 도중 상기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green zone is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process of updating and providing the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는 상기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하는 도로의 진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is provided before the vehicle reaches the entry position of the road bypassing the changed green zone,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할 수 있는 도로로의 진입 위치를 이미 지나쳤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cess of providing and upda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information is upd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has already passed an entry position to a road that can bypass the changed green zone.
친환경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기기에 있어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Green Z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경로 상에 상기 그린 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부의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소비하는 조건 하에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운행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In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eco-friendly operation information,
A confirmation unit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which is an entry control zone, exists on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If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route, a determination is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based on vehicle data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vehicle model,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part;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and when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the driv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provided under the condition of consuming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r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그린 존을 우회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그린 존 주변의 주차장까지의 경로 및 상기 주차장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대중교통 환승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path for bypassing the green zone when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or from the path to the parking lot around the green zone and the parking lot.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ublic transport transfer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운행정보 제공부는, 상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확인하여 안내하고,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그린 마일리지의 사용 의사를 포함한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그린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The method of claim 8,
If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checks and guides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and when receiving a response including the intention to use the green mileage from the driver, deducts the green mileage and generates the driving information based on the respons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그린 존 내에서 운행 가능한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generates the driving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a distance that the vehicle can travel within the green zone based on the vehicle dat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도중 상기 그린 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운행정보 제공부는 상기 그린 존의 변경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checking unit checks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updates the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the green zone has been chang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하는 도로로의 진입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업데이트된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es th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before the vehicle reaches an entry position to a road bypassing the changed green zon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제공부는, 상기 차량이 변경된 그린 존을 우회할 수 있는 도로로의 진입 위치를 이미 지나쳤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운행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updates th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has already passed an entry position to a road that can bypass the changed green zone.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진입 통제 구역인 그린 존(Green Zone)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경로 상에 상기 그린 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차종, 연비 및 탄소배출량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차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및
그린 존 진입 허용 여부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차량의 상기 그린 존에 대한 진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그린 마일리지를 소비하는 조건 하에 상기 운행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
을 실현하는 친환경 운행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a green zone, an entry control zone, exists on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A fun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entry into the green zone of the vehicle is permitted based on vehicle data including some or all of the vehicle type, fuel efficiency, and carbon emissions of the vehicle when the green zone exists on the path; And
Generates and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entry into the green zone is permitted, and when the vehicle is not allowed to enter the green zone, generates the driving information under the condition of consuming the green mileage of the driver. Feature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n eco-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that realizes the environment.
KR1020130153436A 2013-12-10 2013-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KR102122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36A KR102122999B1 (en) 2013-12-10 2013-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36A KR102122999B1 (en) 2013-12-10 2013-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21A KR20150067921A (en) 2015-06-19
KR102122999B1 true KR102122999B1 (en) 2020-06-15

Family

ID=5351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36A KR102122999B1 (en) 2013-12-10 2013-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9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467B1 (en) * 2016-10-06 2022-11-11 한국교통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sing Traveling Path Dat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85A (en) * 2001-01-30 2002-08-16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Roadsid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JP2009176187A (en) * 2008-01-28 2009-08-06 Nec Corp Traffic flow distribution system, traffic flow distribution method, traffic flow distribution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85A (en) * 2001-01-30 2002-08-16 Natl Inst For Land & Infrastructure Management Mlit Roadsid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JP2009176187A (en) * 2008-01-28 2009-08-06 Nec Corp Traffic flow distribution system, traffic flow distribution method, traffic flow distribution program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21A (en)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1136B2 (en) Methods and software for managing vehicle priority in a self-organizing traffic control system
CN10478686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route and charging plan
US20170004712A1 (en) Regional electric vehicle sha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202901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 Power Enablement with Predictive Capability
CN105070084A (en) Vehicle speed gu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S11102833B2 (en) Apparatus for switching communication mode and method thereof
CN105551298A (en) Intelligent parking communication system and parking appointment method
CN106663373A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ffic efficiency and flow control
CN103712630A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vehicle navigation method
JP20025366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relevant traffic information and for dynamic route optimization
US10801848B2 (en) Crowd sourcing to predict vehicle energy consumption
WO2013098989A1 (en) Center-side system and vehicle-side system
KR102018437B1 (en)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beacon
CN105096199A (en) Vehicle generated social network updates
US20200209888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202013503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9219845A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management method
KR1021229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Driving Information
KR2016004906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nected car service
WO2020162282A1 (en) Vehicle management device, vehicle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90004149A (en) The advertisement server and advertisement server control method
JP70281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mobile systems
US202003023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ity network
KR20130121408A (en) Method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service of bicycle rental
KR20190063752A (en)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harging electric vehicle using transportation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