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950B1 -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950B1
KR102122950B1 KR1020200008013A KR20200008013A KR102122950B1 KR 102122950 B1 KR102122950 B1 KR 102122950B1 KR 1020200008013 A KR1020200008013 A KR 1020200008013A KR 20200008013 A KR20200008013 A KR 20200008013A KR 102122950 B1 KR102122950 B1 KR 102122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exterior panel
panel assembly
air
dust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송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민석 filed Critical 송민석
Priority to KR102020000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03Glass or glass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고정된 지지철물 고정되는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철물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종/횡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개방면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5면체의 외장패널;와,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와 외장패널의 사이에 수용되는 미세먼지 저감수단; 및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켜 미세먼지 저감수단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외장패널의 4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유통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외장패널에는 외부공기를 빠르게 미세먼지 저감수단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수의 가이드플레이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영역에서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향해 경사지게 호퍼 형태로 배치되어 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FINISH PANEL ASSEMBLY FOR FINE DUST REDUC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외장패널에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에 의해 저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내장하되, 상기 미세먼지 저감수단은 외장패널의 4측면을 따라 유통되는 공기의 유입속도를 증대시켜 미세먼지의 필터링 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키는 한편, 빗물 또는 급수배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통해 내부에 마련된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자동세척할 수 있도록 구조의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도로 발전하는 산업기술에 힘입어 건설 시공업의 기술 또한 큰 발전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건축자재의 많은 연구와 노력으로 훌륭한 건축자재가 창작되고 있는데, 특히 건축외장재의 경우 다양한 마감 특성을 갖는 여러종류의 재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건축물에 있어서 외부의 콘크리트 마감이 차가운 느낌을 주고, 메마른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단점이 있는 바, 이에 더욱 부합된다.
결국 고도의 기능을 가진 다양한 건축외장재가 등장하고 그에 따른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 건물 미관을 수려하게 함으로써 건축물의 가치를 더 높이고, 도시경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우기 최근의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을 살펴보면, 조적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등의 건물 외벽의 구조체에 다양한 금속 등을 이용한 외벽패널을 시공함으로써 건축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특히 중,고층 빌딩에 하이테크한 느낌을 살릴 수 있는 시공을 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또한, 고층빌딩의 경우 철골구조(S구조)나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RC구조)를이루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건축물의 외벽은 대부분 하중을 받지 아니하는 커튼월구조(Curtain Wall)로 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커튼월은 하중을 거의 받지 아니하므로 비내력벽으로 시공될 수 있어 상기 외벽패널을 사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종래 특허로 "건물외벽 오염방지용 외벽패널 고정브라켓과 이를 이용한외벽패널 고정구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3273호)"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 특허는 외벽패널의 오염을 방지하는 미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로 구성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 몽골 및 중국발 황사 및 중국발 미세먼지가 유입되어 심각한 공기 오염이 1년 내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고, 미세먼지는 중국 등에서 유입될 뿐만 아니라 도시화, 산업화에 의하여 비산 미세먼지의 발생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기질의 악화로 시민들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 속에는 발암물질 등의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국민 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고 있어 차량의 2부제 운행, 대기배출사업장 단축 운영, 공공기관 주차장 폐쇄, 운행 경유차의 매연 배출 허용기준 강화 등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미세먼지 대책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정부 대책으로 미세먼지 저감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미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종래 특허와 같이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건물의 외장패널(마감패널, 외벽패널)을 도입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32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외장패널에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에 의해 저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내장하되, 상기 미세먼지 저감수단은 외장패널의 4측면을 따라 유통되는 공기의 유입속도를 증대시켜 미세먼지의 필터링 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외장패널에 내장된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빗물 또는 세척수에 의해 자동 세척되도록 한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건물 외벽에 고정된 지지철물 고정되는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지지철물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종/횡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개방면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는 5면체의 외장패널;와,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와 외장패널의 사이에 수용되는 미세먼지 저감수단; 및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켜 미세먼지 저감수단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외장패널의 4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유통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외장패널에는 외부공기를 빠르게 미세먼지 저감수단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수의 가이드플레이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외장패널의 각 모서리 영역에서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향해 경사지게 호퍼 형태로 배치되어 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수단은 자연풍 및 빌딩풍과 더불어 건물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강한 상향풍에 의해 손상됨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난연성 재질인 나노금속망 또는 화이버글라스망 또는 나노섬유 차단막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정화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외장패널에는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고정할 수 있는 끼움리브를 더 형성하되, 상기 각 끼움리브는 "『"의 형태로 구성되어 강풍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미세먼지 저감수단의 각 모서리를 끼움결합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외장패널의 상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급수배관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에 따르면, 외장패널의 4측면을 따라 유통되는 공기의 유입속도를 증대시켜 미세먼지의 필터링 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심의 미세먼지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외장패널에 내장된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빗물에 의해 자동 세척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건물의 외벽에 붙은 간판, 커튼월, 드라이비트 대용 및 혼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파급효과가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외장패널에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필터링에 의해 저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내장하되, 상기 미세먼지 저감수단은 외장패널의 4측면을 따라 유통되는 공기의 유입속도를 증대시켜 미세먼지의 필터링 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키는 한편, 빗물 또는 급수배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통해 내부에 마련된 미세먼지 저감수단을 자동세척할 수 있도록 구조의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100)는 건물의 외벽에 마감패널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건물의 외벽에 붙은 간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커튼월에 연설시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일반적인 마감패널에 혼용시켜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건물 외벽에 시공된 드라이비트 대용 및 드라이비트와 혼용시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100)는 내부에 내장된 미세먼지 저감수단과 지지패널은 건물의 외벽체에 공기층을 형성되도록 하여 단열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지지플레이트(20)와, 베이스플레이트(30)와, 외장패널(40) 및 미세먼지 저감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는 방수를 위해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지지철물(10)을 지지삼아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는 외장패널(40)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20)의 면상에 종/횡방향으로 배치된 격자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40)은 지지플레이트(20)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개방면이 5면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개방된 개방면은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30)의 면상에 일체로 결합되어 밀폐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장패널(40)은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4측면에 다수의 공기유통구(41)가 형성된다.
상기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은 외장패널(40)과 베이스플레이트(30)의 사이에 공간에 수용되어 외장패널(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유통되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저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은 난연성으로 이루어지며, 빗물 또는 세척수에 의해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필터링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난연성 재질인 나노금속망 또는 화이버 글라스 또는 나노섬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정화필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나노금속망 또는 화이버 글라스 또는 나노섬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정화필터로 이루어지는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은 자연풍 및 빌딩풍과 더불어 건물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강한 상향풍에 의해 손상됨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 또는 외장패널(40)에는 외부공기를 빠르게 미세먼지 저감수단(50)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수의 가이드플레이트(G)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가이드플레이트(G)는 외장패널(40)의 내부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장패널(40)의 각 모서리 영역에서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을 향해 경사지게 호퍼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가이드플레이트(G)는 외장패널(40)의 4측면에 형성된 공기유통구(41)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어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 또는 외장패널(40)에는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의 각 모서리에 끼움결합되어는 끼움리브(R)를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각 끼움리브(R)는 "『"의 형태로 구성되어 강풍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의 각 모서리를 끼움결합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에는 외장패널(40)의 상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급수배관(60)을 더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배관(60)은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100) 중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100)에만 설치하여 낙수효과에 의해 하부에 배치된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100)의 미세먼지 저감수단(50)까지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 자연풍 및 빌딩풍이 발생되면 외장패널(40)의 4측면에 형성된 공기유통구(41)로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면 외장패널(40)의 내부에 수용된 미세먼지 저감수단(50)에 의해 미세먼지가 필터링되어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패널(40)의 4측면에 형성된 공기유통구(41)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가이드플레이트(G)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어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우천시에는 외장패널(4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공기유통구(41)로 빗물의 유입되는 바, 유입되는 빗물은 가이드플레이트(G)에 의해 미세먼지 저감수단(50)으로 낙하되어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을 자연 세척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거나, 비가 오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급수배관(60)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을 강제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지지철물
20: 지지플레이트
30: 베이스플레이트
40: 외장패널 41: 공기유통구
50: 미세먼지 저감수단
60: 급수배관
G: 가이드플레이트 R: 끼움리브
100: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Claims (4)

  1. 건물 외벽에 고정된 지지철물(10)에 고정되는 외장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철물(10)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20);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종/횡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30);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개방면이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30)에 결합되는 5면체의 외장패널(40);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30)와 외장패널(40)의 사이에 수용되는 미세먼지 저감수단(50); 및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켜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외장패널(40)의 4측면에 형성되는 공기유통구(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 또는 외장패널(40)에는 외부공기를 빠르게 미세먼지 저감수단(50)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수의 가이드플레이트(G)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플레이트(G)는 상기 외장패널(40)의 각 모서리 영역에서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을 향해 경사지게 호퍼 형태로 배치되어 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베르누이 효과에 의해 외부공기를 유입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은 자연풍 및 빌딩풍과 더불어 건물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강한 상향풍에 의해 손상됨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난연성 재질인 나노금속망 또는 화이버글라스망 또는 나노섬유 차단막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정화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 또는 외장패널(40)에는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을 고정할 수 있는 끼움리브(R)를 더 형성하되,
    상기 각 끼움리브(R)는 "『"의 형태로 구성되어 강풍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미세먼지 저감수단(50)의 각 모서리를 끼움결합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에는 외장패널(40)의 상부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급수배관(60)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KR1020200008013A 2020-01-21 2020-01-21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KR10212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13A KR102122950B1 (ko) 2020-01-21 2020-01-21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13A KR102122950B1 (ko) 2020-01-21 2020-01-21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950B1 true KR102122950B1 (ko) 2020-06-26

Family

ID=7113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013A KR102122950B1 (ko) 2020-01-21 2020-01-21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065B1 (ko) * 2022-09-07 2023-10-1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전력으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제거가 가능한 벽체 배수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14A (ja) * 2000-08-22 2002-02-2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二重外壁構造の建物を用いる大気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外壁構造体
JP2005514541A (ja) * 2002-01-11 2005-05-19 アバディーン ユニバーシティ 通気外装パネル
KR100773273B1 (ko) 2007-04-03 2007-11-05 이용진 건물외벽 오염방지용 외벽패널 고정브라켓과 이를 이용한외벽패널 고정구조
KR20100027261A (ko) * 2008-09-02 2010-03-11 가산토건 주식회사 대기환경 정화장치
KR20200003484A (ko) * 2018-07-02 2020-01-10 (주)더숨 필터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쉬 에어 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1314A (ja) * 2000-08-22 2002-02-2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二重外壁構造の建物を用いる大気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外壁構造体
JP2005514541A (ja) * 2002-01-11 2005-05-19 アバディーン ユニバーシティ 通気外装パネル
KR100773273B1 (ko) 2007-04-03 2007-11-05 이용진 건물외벽 오염방지용 외벽패널 고정브라켓과 이를 이용한외벽패널 고정구조
KR20100027261A (ko) * 2008-09-02 2010-03-11 가산토건 주식회사 대기환경 정화장치
KR20200003484A (ko) * 2018-07-02 2020-01-10 (주)더숨 필터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쉬 에어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065B1 (ko) * 2022-09-07 2023-10-1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전력으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제거가 가능한 벽체 배수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88962U (zh) 一种拼装式自清洁施工围挡
KR102122950B1 (ko) 미세먼지저감 외장패널 조립체
KR20080026423A (ko) 조립식 환기장치
CN102704712A (zh) 一种复合材料制成的整体浴室及其组装方法
CN206289739U (zh) 一种节能钢结构单元及钢结构系统
CN104608994A (zh) 一种露天安放的智能快件箱的箱体结构
TWM509829U (zh) 通風罩
CN209837237U (zh) 混凝土下水道排水组件
CN201426012Y (zh) 用于变电站的组合式固定窗
CN202430966U (zh) 一种地面排风口结构
CN206071107U (zh) 一种环保卫生间
KR200343879Y1 (ko) 타일 스페이서
CN218233884U (zh) 一种外墙门窗精装修一体化预制外墙构件
KR100892872B1 (ko) 방음패널
CN210421384U (zh) 一种高纤维聚酯木装配式轻重钢木屋
CN217379894U (zh) 一种装配式公共厕所
CN212129632U (zh) 一种安装有可拆卸清洗件的防水保温屋顶
KR200367730Y1 (ko) 원형집수조의 원형돔 덮개
CN1035539A (zh) 多功能承载薄壁空心墙与其应用及承载薄壁空心构件
JP2003064730A (ja) 家庭用雨水貯水タンク
CN218970525U (zh) 人防进风竖井结构及人防结构
JP2007040051A (ja) 大型バルコニー
KR102660761B1 (ko) 건축용 벽체의 마감패널 조립 구조
CN213626282U (zh) 一种装配式建筑用轻量化外挂墙板
WO2016006206A1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