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721B1 -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721B1
KR102122721B1 KR1020190124984A KR20190124984A KR102122721B1 KR 102122721 B1 KR102122721 B1 KR 102122721B1 KR 1020190124984 A KR1020190124984 A KR 1020190124984A KR 20190124984 A KR20190124984 A KR 20190124984A KR 102122721 B1 KR102122721 B1 KR 102122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roller
body portion
val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위더스이엠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더스이엠티(주) filed Critical 위더스이엠티(주)
Priority to KR102019012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기 분해 장치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의 경우, 상호 나사결합된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를 분리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소화기의 몸체부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롤러부가 롤러 회동을 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밸브부를 축으로 몸체부가 회전되어 밸브부가 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는 상술한 소화기 분해 장치를 통해 밸브부가 분리된 몸체부 내측의 분말을 흡입함으로써 상기 분말을 회수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와 상기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의 조합을 통해, 소화기의 분해 및 분해된 소화기 내측의 분말 회수 과정 모두가 전자동적으로 일원화되어 진행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소화기 분말 회수를 위한 모든 과정시 발생할 수 있는 인력의 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Device for disassembling fire extinguisher, system for disassembling fire extinguisher and collecting powder inside of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 분해 장치와,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를 분리하기 위한 소화기 분해 장치와,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를 분리한 후 상기 몸체부 내측의 분말을 회수하기 위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는 불을 끄는 데 사용되는 기구의 한 가지이며, 주로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 사태에 사용되고, 내측에는 분사하면 쉽게 불을 끌 수 있는 분말형 화학 물질이 채워져 있다.
또한, 소화기는 손으로 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조작이 쉬워 화재 진압 초기 단계에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소화기(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소화기(10)는 전반적으로 몸체부(11)와 밸브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의 경우 내부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그 말단에는 이러한 중공 구조와 연통되는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그 내측에 소화용 분말(d)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12)는 상기 개구부(11-1)에 구비되고 상기 분말(d)의 분출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분말(d)은 일정량 이상 소진되면 그 체적의 감소로 인해 밸브부(12)를 통해 원활히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남은 분말(d)을 회수하여 신규로 생산된 소화기(10)로 충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화기(10) 분해 및 분말(d) 회수 과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당한 수고와 체력 소모를 요하게 되고, 다수개의 소화기(10)를 상대로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시, 막대한 인력과 시간의 소모가 발생되는 등 각종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분말(d)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다소 포함된 바, 수작업을 통해 분말(d)을 회수하고자 할 시, 작업자에게 건강상 불측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인력을 요하지 않고 전자동적으로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를 분리할 수 있는 소화기 분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또한 본 발명은 인력을 요하지 않고 전자동적으로 소화기를 분해한 후 분해된 소화기로부터 분말을 회수할 수 있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장치는, 몸체부와 밸브부가 상호 나사 결합된 소화기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를 분리하기 위한 소화기 분해 장치로서, 상기 밸브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밸브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접촉한채 회동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롤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밸브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 가능한 고정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롤러 구조로 형성되고 길이축이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축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와 대향하고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로 근접 및 이격 가능하되 상기 몸체부로 근접한 경우 길이축이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축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축 각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상기 소화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몸체부의 각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상기 소화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은, 몸체부와 밸브부가 상호 나사 결합된 소화기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를 분리한 후 상기 몸체부 내측의 분말을 회수하기 위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밸브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밸브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접촉한채 회동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가 회전하여 상기 밸브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몸체부 내측의 분말을 흡입하는 회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은 소화기 분해 장치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의 경우, 상호 나사결합된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를 분리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소화기의 몸체부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롤러부가 롤러 회동을 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밸브부를 축으로 몸체부가 회전되어 밸브부가 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는 상술한 소화기 분해 장치를 통해 밸브부가 분리된 몸체부 내측의 분말을 흡입함으로써 상기 분말을 회수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와 상기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의 조합을 통해, 소화기의 분해 및 분해된 소화기 내측의 분말 회수 과정 모두가 전자동적으로 일원화되어 진행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소화기 분말 회수를 위한 모든 과정시 발생할 수 있는 인력의 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B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2 플레이트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C-C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수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수부에 의한 분말 회수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소화기의 몸체부와 밸브부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10)는 몸체부(11) 및 밸브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의 경우 개구부(11-1)가 형성된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에 소화용 분말(d)이 구비되고, 상기 밸브부(12)는 상기 개구부(11-1)에 구비되고 상기 분말(d)의 분출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와 상기 밸브부(12)는 상호 나사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11)와 상기 밸브부(12)는 상호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몸체부(11)와 상기 밸브부(12)를 상호 분리하기 위해서는 양 구성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킨 후, 나머지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나사결합을 해제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화기(10) 내측에 잔존하는 분말(d)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몸체부(11)와 상기 밸브부(12)간의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개구부(11-1)를 개방 상태로 조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1000)은, 소화기 분해 장치(2000)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30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1000)의 구성 중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2000)가 소화기(10)의 몸체부(11)와 밸브부(12)를 분리하는 것인 바, 이에 대해 먼저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2 플레이트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2000)는, 플레이트부(100), 롤러부(200), 고정부(300) 및 회전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경우,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와, 가이드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10)는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며, 이때 소화기(10)의 길이축이 상기 플레이트 구조에 대향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120)는 소화기(10)가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에 구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소화기(10)의 길이축과 대향한다.
덧붙여,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과 위치 구조의 측면에서 상기 제 2 플레이트(12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에 구조에 대응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120)를 상호 연결하며, 이때 제 2 플레이트(120)가 상기 가이드 부재(130)를 따라 이동하며 제 1 플레이트(110)로 근접 및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130)를 이용한 제 2 플레이트(120)의 이동은 유압 실린더 구동, 공압 실린더 구동, 피스톤 구동 등 다양한 수단으로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200)의 경우 각기 롤러 구조로 형성되는 제 1 롤러(210)와 제 2 롤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롤러(21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기(10)를 회전시키도록 길이축이 이와 대향하는 소화기(10)의 길이축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롤러(220)는 소화기(10)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제 2 롤러(220)는 상술한 제 2 플레이트(120)의 이동에 대응하여 몸체부(11)로 근접 및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플레이트(120)가 소화기(10)에 근접한 경우 상기 소화기(10)를 회전시키도록 길이축이 이와 대향하는 상기 소화기(10)의 길이축에 접촉된다.
즉, 상기 제 2 롤러(220)는 상기 제 1 롤러(210)와의 관계에 있어서 몸체부(11)에 접촉되는 위치만이 차이가 날 뿐, 그 전체적인 형상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롤러(210)에 대응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0)의 경우, 이동축(310)과, 고정 조절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축(310)은 제 1 플레이트(110)에 소화기(10)가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그 말단이 제 1 플레이트(110)에 구비된 상기 밸브부(12)의 말단과 대향하며, 밸브부(12)로 이격 및 근접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조절부재(320)는 밸브부(12)의 양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밸브부(12)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 조절부재(320)는 상기 이동축(310)의 말단에 구비되고, 밸브부(12)의 양 측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하도록 한 쌍이 상호 대향한다.
또한, 상술한 밸브부(12) 가압 및 가압 해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고정 조절부재(320)는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축(310), 상기 고정 조절부재(320)의 이동은 유압 실린더 구동, 공압 실린더 구동, 피스톤 구동 등 다양한 수단으로 행해질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고정부(300)의 경우 고정 조절부재(32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밸브 지지부재(320)와 고정 조절부재(320)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에서 소화기(10)의 밸브부(12)가 구비되는 구간에 구비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00)는 상기 제 1 롤러(210) 또는 상기 제 2 롤러(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일 예로써, 상기 회전부(400)는 모터부재(410)와, 상기 모터부재(410)의 회전 동력을 상기 제 1 롤러(210) 또는 상기 제 2 롤러(220)로 전달하는 벨트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소화기(10)의 밸브부(12)와 몸체부(11)간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자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110)와 대향하는 구간이 제 1 롤러(210)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가 밸브부(12)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밸브부(12)가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도 6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레이트(120)가 소화기(10)로 근접 이동함으로써 상기 몸체부(11)에서 상기 제 2 플레이트(120)와 대향하는 구간이 제 2 롤러(220)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의 상태에서 모터부재(410)가 회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 회전력은 벨트부재(420)를 매개로하여 모터부재(410)와 연결된 제 1 롤러(210) 또는 제 2 롤러(22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력 전달을 통해, 상기 제 1 롤러(210) 또는 상기 제 2 롤러(220)는 회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상기 제 1 롤러(210) 또는 상기 제 2 롤러(220)와 접촉하는 몸체부(11)에도 그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몸체부(11)로의 회전력 전달을 통해, 몸체부(11)는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되는 밸브부(1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몸체부(11)와 밸브부(12)간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롤러부(200)의 회동은 회전부(400)에 의해 전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인 바, 이러한 자동식 구동 구조를 통해 소화기(10) 분해 과정 중 수반될 수 있는 인력 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롤러(210)와 제 2 롤러(220) 각각은 각기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상에서 몸체부(11)를 감싸도록 각기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가 몸체부(11)의 양 측을 감싸는 구조를 통해, 소화기(10)가 도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이에 따라 소화기(10) 분해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덧붙여, 상술한 소화기(10) 이탈 방지 구조에 대한 예시로서 도 2에는 제 1 롤러(210)가 소화기(10)의 각 측면에 하나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예컨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소화기(10)의 각 측면에는 제 1 플레이트(110) 상에서 몸체부(11)의 길이축 각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제 1 롤러(210)가 상기 소화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2 롤러(220)는 상술한 상기 제 1 롤러(210)의 배치구조에 대응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도 2에 도시된 롤러 배치 구조와 비교하여 보면, 전체 롤러의 개수에서 차이가 존재하나,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 각각에 대응되는 소화기(10)의 각 측면들이 롤러부(200)에 접촉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즉, 이와 같이, 소화기(10)의 이탈 방지를 위한 롤러부(200)의 배치 구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롤러와 소화기(10) 몸체부(11)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인 바,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감안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직경 차이가 나는 다양한 종류의 소화기(10)들이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2000)에 호환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 1 롤러(210) 및 제 2 롤러(220)의 직경과, 제 1 롤러(210)들 간의 간격 및 제 2 롤러(220)들 간의 간격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플레이트(120)가 제 1 플레이트(110)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를 기준으로 몸체부(11)의 직경 대소에 따라 제 1 롤러(210)와 제 2 롤러(220)간의 거리 차이가 존재할 뿐, 롤러부(200) 전체는 몸체부(11)에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C-C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수부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수부에 의한 분말 회수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3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3000)는, 소화기(10)의 몸체부(11) 내측의 분말(d)을 회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송부(500), 안착부(600), 회수부(700) 및 분사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이때, 분말(d)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소화기(10)의 밸브부(12)가 몸체부(1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몸체부(11)가 개구 상태로 조성되어야 하는 바, 이와 같은 소화기(10) 분해 작업은 전술한 소화기 분해 장치(2000) 또는 수작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600)의 경우 상기 몸체부(11)가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이때 상기 이송부(500)가 상기 소화기 분해 장치(2000)로부터 밸브부(12)가 제거된 상기 몸체부(11)를 상기 안착부(6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부(500)는 로봇팔, 아암 등 다양한 이송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700)의 경우, 회수축 가이드(710)와, 밀봉부재(720)와, 회수관(730)과, 분사관(7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축 가이드(710)는 밸브부(12)가 제거된 몸체부(11)의 개구부(11-1)로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체이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720)는 상기 회수축 가이드(710)를 따라 상기 몸체부(11)의 개구부(11-1)로 근접 및 이격되며, 상기 개구부(11-1)에 근접된 경우 상기 개구부(11-1)를 밀봉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720)는 상기 개구부(11-1)와 접촉하는 테두리를 따라 탄성 복원재가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개구부(11-1)에 대한 실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관(740)은 상기 밀봉부재(720)를 관통하며 상기 밀봉부재(72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일단이 상기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고 일단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지닌 기체인 분사 기체(g)가 분사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분사관(740)의 타단은 분사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수단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관(730)은 분말(d)을 회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이 상기 밀봉부재(720)와 연통되고,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11) 내측의 분말(d)은 상기 회수관(730)으로 요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회수관(730)의 타단은 별도의 분말 회수 저장 탱크 등과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몸체부(11) 내측의 분말(d)을 회수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에서 도 8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720)가 개구부(11-1)로 근접 이동함으로써 개구부(11-1)를 밀폐한다.
이와 같은 밀폐 과정을 통해, 분사관(740)의 일단은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회수관(730)과 몸체부(11)의 내측은 상호 연통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740)에서 분사 기체(g)가 분사됨으로써 상기 분사 기체(g)의 분사 압력에 의해 몸체부(11)의 내측에는 분말(d)이 분진되어 회수관(730)의 내측으로 요입된다.
이후, 상기 분말(d)은 상기 회수관(730)을 따라 분말 회수 저장 탱크(미도시) 등으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수관(730)의 내측에는 분말(d) 회수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소정의 음압(s)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회수관(730)은 별도의 음압 조성 수단(미도시)과도 연결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 제어부(800)의 경우 압력 제어모듈(810)과 타이머 모듈(8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제어모듈(810)은 상기 분사관(740)으로부터 분사되는 분사 기체(g)의 분사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 모듈(820)은 상기 분사관(740)으로부터 분사되는 분사 기체(g)의 분사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분사 제어부(800)를 통해, 분말 회수 과정은 소화기(10)별 평균적인 잔존 분말량 등 각종 가변 요인에 대응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회수축 가이드(710)의 이동 및 분사 기체(g) 분사 과정은 조작 레버(미도시) 등 각종 조작 수단을 통해 수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d : 분말
g : 분사 기체
s : 음압
10 : 소화기
11 : 몸체부
11-1 : 개구부
12 : 밸브부
1000 :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2000 :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장치
3000 :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
100 : 플레이트부
110 : 제 1 플레이트
120 : 제 2 플레이트
130 : 가이드 부재
200 : 롤러부
210 : 제 1 롤러
220 : 제 2 롤러
300 : 고정부
310 : 이동축
320 : 고정 조절부재
400 : 회전부
410 : 모터부재
420 : 벨트부재
500 : 이송부
600 : 안착부
700 : 회수부
710 : 회수축 가이드
720 : 밀봉부재
730 : 회수관
740 : 분사관
800 : 분사 제어부
810 : 압력 제어모듈
820 : 타이머 모듈

Claims (5)

  1. 삭제
  2. 몸체부와 밸브부가 상호 나사 결합된 소화기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를 분리하기 위한 소화기 분해 장치로서,
    상기 밸브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밸브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접촉한채 회동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롤러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밸브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 가능한 고정 조절부재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장치.
  3. 몸체부와 밸브부가 상호 나사 결합된 소화기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를 분리하기 위한 소화기 분해 장치로서,
    상기 밸브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밸브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접촉한채 회동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롤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롤러 구조로 형성되고 길이축이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축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와 대향하고 롤러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로 근접 및 이격 가능하되 상기 몸체부로 근접한 경우 길이축이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축과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롤러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축 각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상기 소화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몸체부의 각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상기 소화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장치.
  5. 삭제
KR1020190124984A 2019-10-10 2019-10-10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KR102122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84A KR102122721B1 (ko) 2019-10-10 2019-10-10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84A KR102122721B1 (ko) 2019-10-10 2019-10-10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721B1 true KR102122721B1 (ko) 2020-06-15

Family

ID=7108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984A KR102122721B1 (ko) 2019-10-10 2019-10-10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7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524A (ko) * 2014-10-07 2017-05-19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 검사 방법
KR101978851B1 (ko) * 2018-07-25 2019-05-16 주식회사 소방 119 폐분말소화기의 분말소화약제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524A (ko) * 2014-10-07 2017-05-19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에어 리크 검사 방법
KR101978851B1 (ko) * 2018-07-25 2019-05-16 주식회사 소방 119 폐분말소화기의 분말소화약제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49547A (zh) 一种遥操作智能监控灭火机器人
KR102122721B1 (ko)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KR102122719B1 (ko)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CN205669958U (zh) 一种抛掷森林灭虫弹或灭火弹的气动抛投器
CN203647920U (zh) 一种灭火器用启动阀
CN207562251U (zh) 一种化工用新型消防装置
CN202371273U (zh) 气体灭火选择阀
KR101948814B1 (ko)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CN110694191A (zh) 一种面罩旁通大气装置以及消防空气呼吸器
CN116570870A (zh) 一种用于消防自动喷水灭火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23237B1 (ko)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CN205626576U (zh) 密闭式吸痰管设备及其开关接头总成
CN211434830U (zh) 一种面罩旁通大气装置以及消防空气呼吸器
CN211659124U (zh) 一种消防用灭火器装置
CN211434870U (zh) 一种灭火剂用备压式储存容器
KR20220096642A (ko) 자동소화기용 밸브장치
CN203215132U (zh) 防松消防水带接头
KR20150027576A (ko) 자동화연동소화장치
CN206928377U (zh) 一种消防栓及其配套水管接头
CN216358768U (zh) 一种油品运输车用灭火器
CN202561301U (zh) 一种充压密封连接件
CN204411545U (zh) 一种密封炮闩
CN205525972U (zh) 一种苯加氢催化剂周转罐
CN220588789U (zh) 一种机器人灭火装置
CN212187530U (zh) 一种高层建筑灭火机器人供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