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237B1 -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237B1
KR102223237B1 KR1020200062027A KR20200062027A KR102223237B1 KR 102223237 B1 KR102223237 B1 KR 102223237B1 KR 1020200062027 A KR1020200062027 A KR 1020200062027A KR 20200062027 A KR20200062027 A KR 20200062027A KR 102223237 B1 KR102223237 B1 KR 10222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extinguishing agent
fire
uni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20006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기의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소화기의 밸브부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의해 밸브부가 분리된 몸체부 내측의 소화약제를 회수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그립부와 흡입부의 순차 상호 작용을 통해, 소화기의 분해 및 분해된 소화기 내측의 소화약제 회수 과정 모두가 전자동적으로 일원화되어 진행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소화약제 회수를 위한 모든 과정시 발생할 수 있는 인력의 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Device for disassembling fire extinguisher and collecting powder inside of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기의 밸브부와 소화기의 몸체부를 분리한 후 상기 몸체부 내측의 소화약제를 회수하기 위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는 불을 끄는 데 사용되는 기구의 한 가지이며, 주로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 사태에 사용되고, 내측에는 분사하면 쉽게 불을 끌 수 있는 분말형 화학 물질인 소화약제가 충진되어 있다.
상술한 소화기는 내측에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몸체부와, 개구된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며 소화약제의 분출을 제어하는 밸브부와, 밸브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호스와, 가압시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화기의 사용 방법으로는, 먼저 안전핀을 제거하고, 호스를 소화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레버를 가압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가 화재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소화약제는 일정량 이상 소진되면 그 충진 분말의 체적 감소로 인해 원활히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소화기의 잔존 소화약제를 회수하여 신규로 생산된 소화기로 충진시킴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유통기관이 경과한 소화기를 폐기하고자 하는 경우, 몸체부 등 소화기의 각 구성품과 성분이 상이한 소화약제는 별도로 수거 및 폐기하여야 한다.
즉, 재활용 또는 폐기와 같이 어느 경우에서든 소화약제는 별도로 회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소화약제 회수 방안으로는, 먼저 소화기의 밸브부와 소화기의 몸체부를 분리하여 몸체부가 개구되도록 한 후, 몸체부 내측에 잔존하는 소화약제가 개구된 몸체부의 일단을 통해 반출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과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당한 수고와 체력 소모를 요하게 되고, 다수개의 소화기를 상대로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시, 막대한 인력과 시간의 소모가 발생되는 등 각종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소화약제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다소 포함된 바, 수작업을 통해 소화약제를 회수하고자 할 시, 작업자에게 건강상 불측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803772 B1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인력을 요하지 않고 전자동적으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소화기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를 회전시켜 상기 밸브부를 상기 소화기로부터 분리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밸브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을 밀착 파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밸브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밸브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부가 구비된 측면을 향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동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회동축 부재의 말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회동축 부재의 어느 하나의 측면 말단에 연결되는 제 1 베이스 암과, 각기 상기 제 1 베이스 암 각 말단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베이스 암과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그립암과, 상기 회동축 부재의 동심 축에 대하여 오목한 구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1 그립암 각각의 말단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부의 일측에 돌출된 압력 게이지의 목부 구조인 게이지 목부에 밀착 가능한 곡률을 구비한 제 1 파지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회동축 부재의 어느 하나의 측면 말단에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암과, 각기 상기 제 2 베이스 암 각 말단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암과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 그립암과, 상기 회동축 부재의 동심 축에 대하여 오목한 구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 그립암 각각의 말단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부의 타측에 돌출된 걸림 고리의 목부 구조인 고리 목부에 밀착 가능한 곡률을 구비한 제 2 파지 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밸브부를 상기 소화기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동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소화기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소정의 기체인 분사 기체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여 상기 분사 기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소화약제가 비산되도록 한 후, 비산되어 분진화된 상기 소화약제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밸브부가 분리된 상기 소화기의 개구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기의 개구부로 근접 및 이격되는 밀봉부재와, 상기 밀봉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밀봉부재의 이동에 대응하여 일단이 상기 소화기의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며 소정의 가압력을 지닌 기체인 분사 기체가 분사되는 분사관과, 상기 밀봉부재와 연통되고 상기 몸체부 내측의 소화약제가 요입되는 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관은 내측에 소정의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레버인 레버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말단이 상기 레버부에 대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한 가압축과, 상기 레버부와 마주하는 상기 가압축의 말단에 구비되는 가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압축을 내측에 수용하는 가압 케이싱과, 상기 가압 케이싱의 양 측면에 상기 가압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 핀과, 말단이 상기 가압단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 핀에 관통 지지되는 거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레버부를 가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가압 결정 모듈과, 상기 가압부가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가압부가 상기 레버부를 가압 완료한 이후에 상기 그립부가 상기 밸브부를 상기 소화기로부터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분리 결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소화기의 몸체부 둘레 구간 또는 상기 소화기의 몸체 목부 둘레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밀착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내측에 상기 소화기 몸체부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부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1 밀착구간이 형성되며 일측 방향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히 구비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소화기의 길이 중심축에 대해 각각이 상기 각 제 1 고정부재와 대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대응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내측에 상기 소화기 몸체 목부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 목부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2 밀착구간이 형성되는 제 2 고정부재와 상기 소화기의 길이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 2 고정부재와 대칭되는 제 2 대응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재 전체 또는 상기 제 1 대응 고정부재 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몸체부를 밀착 가압 및 가압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대해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재 전체 또는 상기 제 2 대응 고정부재 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몸체 목부를 밀착 가압 및 가압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목부에 대해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소화기의 길이축이 중력 방향에 대해 직교 내지 반대되는 범위 내로 구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소화기의 몸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소화기의 밸브부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밸브부간의 나사결합을 해제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에 의해 밸브부가 분리된 몸체부 내측의 소화약제를 회수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그립부와 흡입부의 순차 상호 작용을 통해, 소화기의 분해 및 분해된 소화기 내측의 소화약제 회수 과정 모두가 전자동적으로 일원화되어 진행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라 소화약제 회수를 위한 모든 과정시 발생할 수 있는 인력의 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소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화기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화기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B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가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가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가압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가압부가 레버부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그립부가 밸브부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그립부가 밸브부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5에 도시된 흡입부와 소화기가 상호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흡입부가 소화기 내측의 소화약제를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의 도 1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소화기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소화기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화기의 좌측 사시도 및 우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소화기(10)는 몸체부(11), 밸브부(12) 및 레버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의 경우, 내부 중공 구조로 형성되며 내측에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가 충진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의 일단에 형성된 몸체 목부(11-1)는 개구되어 상기 몸체 목부(11-1)를 통해 상기 소화약제(d)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12)의 경우, 일단부가 회전 방식으로 상기 몸체 목부(11-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이에 대한 일 예로서 나사 결합 방식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12)는 상기 소화약제(d)의 분출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일측에 상기 소화약제(d)가 분출되는 분출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분출공(12-5)은 호스(12-6)와 연통되어, 결국 소화약제(d)는 상기 호스(12-6)를 통해 최종 분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부(12)의 일측에는 게이지 목부(1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게이지 목부(12-2)의 말단에는 압력 게이지(1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부(12)의 타측에는 고리 목부(12-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리 목부(12-4)의 말단에는 걸림 고리(1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소화기(10)의 일 종류로서 축압식 소화기가 있으며, 이는 상기 가압 가스(p)의 축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소화약제(d)를 분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압력 게이지(12-1)는 축압식 소화기(10) 내 상기 가압 가스(p)의 축압 정도를 계측 및 시각화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즉, 상기 압력 게이지(12-1)를 통해, 사용자로서는 소화기(10)의 내측에 가압 가스(p)가 충분히 충진되어 소화약제(d)가 원활히 분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가압 가스(p)의 축압력을 측정 가능하도록 상기 압력 게이지(12-1)는 상기 게이지 목부(12-2) 내측을 통해 상기 몸체부(11) 내측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 게이지(12-1)는 현행 소방 법규상 축압식 소화기(10)에는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이다.
덧붙여, 소화기(10)의 종류로는 상술한 축압식 소화기 외에 가압식 소화기가 존재하며, 상기 가압식 소화기에는 상기 압력 게이지(12-1)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식 소화기의 경우 압축 가스가 충진되는 압력 봄베(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와 같은 압력 봄베의 봉판(미도시)을 파괴함으로써 소화약제(d) 분사를 위한 가압력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소화약제(d) 분출을 위한 가압력이 일시적으로만 제공되는 가압식 소화기의 특성상 상술한 압력 게이지(12-1)는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어, 이로 인해 관련 법규상 압력 게이지(12-1)의 경우 가압식 소화기에는 강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술한 가압식 소화기의 경우 높은 폭발 위험성이 있어 현재 가급적 사용되지 않는 소화기 종류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 고리(12-3)의 경우, 소화기(10)의 거치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소화기(10)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방 법규상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때, 후술할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그 적용 대상을 축압식 소화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이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13)의 경우, 일종의 레버 조작을 통해 상기 밸브부(12)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조 및 기능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인 소화기(10)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을 마쳤으며, 이하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B 구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더 참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1000)는 거치부(100), 가압부(200), 분사물 회수부(300), 공구 설치부(400), 회전 구동부(500), 그립부(600), 흡입부(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00)의 경우, 분해 및 소화약제(d) 회수 작업 대상인 소화기(10)가 거치되는 구성이며, 거치 프레임(110)과, 제 1 레일(120)과, 거치 플레이트(130)와, 가압판 부재(140)와, 가이드 수단(150)과, 고정수단(160)과, 링크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치 프레임(110)은 각종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일종의 지지체 구조로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레일 구조를 갖는 상기 제 1 레일(1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 1 레일(120)과 결합되며 상기 제 1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인 제 1 이동 방향(m1)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판 부재(140)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 부재(140)는 제 1 가압판(141)과, 제 1 대응 가압판(142)과, 제 2 가압판(143)과, 제 2 대응 가압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압판(141)의 경우 거치 플레이트(130)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 1 대응 가압판(142)은 거치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가압판(141)과 마주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판(143)의 경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의 일측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 2 대응 가압판(144)은 거치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가압판(143)과 마주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수단(150)의 경우 거치 플레이트(130)와 가압판 부재(1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수단(150)은 제 1 가이드 부재(151)와 제 2 가이드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151)의 경우, 상기 제 1 가압판(141)과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 사이 또는 상기 제 1 대응 가압판(142)과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151)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며, 거치 플레이트(130)의 일측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152)의 경우, 상기 제 2 가압판(143)과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 사이 또는 상기 제 2 대응 가압판(144)과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152)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수단(170)의 경우 상기 가압판 부재(140)와 상기 가이드 수단(150)을 연결시키며, 제 1 링크(171)와 제 2 링크(17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링크(171)의 경우, 상기 제 1 가압판(141) 또는 상기 제 1 대응 가압판(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각 제 1 가이드 부재(151)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링크(171)는 상기 제 1 가압판(141) 또는 상기 제 1 대응 가압판(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자신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각 제 1 가이드 부재(151)와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172)의 경우, 상기 제 2 가압판(143) 또는 상기 제 2 대응 가압판(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각 제 2 가이드 부재(152)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2 링크(172)는 상기 제 2 가압판(143) 또는 상기 제 2 대응 가압판(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자신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각 제 2 가이드 부재(152)와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각 링크수단(170)은 각각에 대응되는 각 가이드 수단(150)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위 구조를 통해 각 가이드 수단(150)에는 접촉 지지력이 작용되어 그 탈선 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가압판 부재(140)는 상술한 각 링크수단(170)에 의한 링크 결합을 통해 자신이 결합된 각 가이드 수단(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방향인 고정 방향(e)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60)의 경우 상기 가압판 부재(14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 1 고정부재(161)와, 제 1 대응고정부재(162)와, 제 2 고정부재(163)와, 제 2 대응 고정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고정부재(161)의 경우, 제 1 가압판(141)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소화기(10) 몸체부(11)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부(11)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1 밀착구간(1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대응고정부재(162)의 경우, 제 1 대응 가압판(142)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소화기(10) 몸체부(11)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부(11)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1 밀착구간(16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고정부재(161)와 상기 제 1 대응고정부재(162)는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 1 대응고정부재(162)는 상기 소화기(10)의 길이 중심축에 대해 상기 각 제 1 고정부재(161)와 대칭된다.
이와 같은 대칭 구조를 통해, 제 1 가압판(141)과 제 1 대응 가압판(142)이 상호 근접하도록 상기 고정 방향(e)을 따라 이동한 경우, 제 1 고정부재(161)와 제 1 대응 고정 부재 사이에는 상기 몸체부(11)가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제 1 고정부재(161)와 제 1 대응고정부재(162)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 1 밀착구간(165)의 내측에 상기 몸체부(11)가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고정부재(161) 및 상기 제 1 대응고정부재(162)는 거치 플레이트(130)의 일측을 향해 적어도 두 쌍 이상이 나란하게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1)의 길이축을 따라 상기 제 1 고정부재(161) 및 상기 제 1 대응고정부재(162)의 개수에 대응되는 고정 효과가 더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고정부재(163)의 경우, 제 2 가압판(143)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소화기(10) 몸체 목부(11-1)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 목부(11-1)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2 밀착구간(16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대응 고정부재(164)의 경우, 제 2 대응 가압판(144)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소화기(10) 몸체 목부(11-1)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 목부(11-1)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1 밀착구간(16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고정부재(163)와 상기 제 2 대응 고정부재(164)는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제 2 대응 고정부재(164)는 상기 소화기(10)의 길이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 2 고정부재(163)와 대칭된다.
이와 같은 대칭 구조를 통해, 제 2 가압판(143)과 제 2 대응 가압판(144)이 상호 근접하도록 상기 고정 방향(e)을 따라 이동한 경우, 제 2 고정부재(163)와 제 2 대응 고정 부재 사이에는 상기 몸체 목부(11-1)가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제 2 고정부재(163)와 제 2 대응 고정부재(164)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제 2 밀착구간(166)의 내측에 상기 몸체 목부(11-1)가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몸체 목부(11-1)의 개구단이 지면 방향을 향하게 될 경우,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소화약제(d)의 유출이 발생할 있으므로, 소화기(10) 분해 및 소화약제(d) 회수시 소화약제(d) 등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 설계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거치부(100)의 설계시 상기 소화기(10)의 길이축이 중력 방향에 대해 직교 내지 반대되는 범위 내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소화기(10)의 길이축과 나란한 몸체 목부(11-1)의 개구단이 지면을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시로서, 상술한 제 1 밀착구간(165)과 제 2 밀착구간(166)의 내주면 경사는 중력 방향에 대해 직교 내지 반대되는 범위 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상세 예시로서, 도 5 내지 도 8에는 제 1 밀착구간(165)과 제 2 밀착구간(166)의 내주면 경사가 중력 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이에 따라 소화기(10) 또한 중력 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사 구조를 통해, 제 1 밀착구간(165)과 제 2 밀착구간(166)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소화기(10)는 그 몸체 목부(11-1)가 최소한 중력 방향과 직교하거나, 소정 각도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되어, 이에 따라 중력에 의한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중력 반대 방향이라는 것은 중력 방향에 대해 180도 경사를 지닌 것을 의미한다.
이때, 도 5 이하를 통해 상술한 사항은 예시일 뿐이며, 앞서 언급한 내용을 종합하면 제 1 밀착구간(165)과 제 2 밀착구간(166)의 내주면 경사는 중력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범위를 초과하면서도 중력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범위 내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어서,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가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가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가압부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가압부가 레버부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여 상기 가압부(200) 및 상기 분사물 회수부(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00)는 레버부(13)를 가압하여 소화기(10) 내측의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 등을 분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압 케이싱(210)과, 가압축(220)과, 가압단(230)과, 가이드홈(240)과, 거치 핀(250)과, 거치 바(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물 회수부(300)는 소화기(10)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약제(d) 등이 적재되는 수단으로서, 일종의 개구관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 케이싱(210)의 경우, 상기 제 2 고정부재(163) 및 상기 제 2 대응 고정부재(164)가 구비되는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상기 가압축(220)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축(220)은 소화기(10)의 레버부(13)에 대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하도록 피스톤, 슬라이더, 링크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고정부재(163)와 마주하는 말단에 상기 가압단(230)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도 9 및 도 12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축(220)의 말단이 밸브부(12)가 구비된 거치부(100)의 일측으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 상기 가압단(230)은 레버부(13)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레버부(13) 가압 구동을 통해, 소화기(10) 내측의 잔존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는 대량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100)에 구비되는 소화기(10)의 경우 레버 구동을 위해 안전핀(미도시)이 제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축(220)은 도 12 및 도 9에 도시된 순과 같이 레버부(1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소화기(10)는 밸브부(12)의 분출공(12-5)이 지면을 향하도록 상기 거치부(10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분사물 회수부(300)는 그 개구부가 상기 분출공(12-5)과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단(230)이 레버부(13)를 가압하는 경우 소화기(10)로부터 분출되는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는 즉각적으로 상기 분사물 회수부(300)에 적재되어, 이를 통해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의 비산이 방지되고 그 수거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가압 케이싱(210)은 상기 분사물 회수부(300)에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240)은 상기 가압 케이싱(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 케이싱(210)의 양 측에 절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 핀(250)은 상기 가이드홈(24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 바(260)는 말단이 상기 가압단(230)과 연결되고 상기 가압 케이싱(2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 핀(250)에 관통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가압축(220)이 레버부(13)를 향해 근접 및 이격되는 경우, 상기 가압단(230) 및 이와 연결된 거치 바(260)는 상기 거치 핀(250)의 지지하에 상기 가이드홈(240)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홈(240)은 그 절개 길이와 폭에 대응되는 만큼 가압단(230)의 이동 동선을 간섭 및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가압축(220)이 급격하기 구동하거나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술한 가이드홈(240)에 의한 공간 간섭 및 지지력 발생을 통해, 가압축(220) 및 가압단(230)의 구동 안정성이 향상되고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어서,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그립부가 밸브부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우측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5에 도시된 그립부가 밸브부에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더 참조하여 상기 공구 설치부(400), 상기 회전 구동부(500) 및 상기 그립부(6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6을 더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공구 설치부(400)는 공구 프레임(410)과, 제 2 레일(420)과, 공구 플레이트(430)와, 제 3 레일(440)을 포함한다.
상기 공구 프레임(410)은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과 마주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레일(420)은 길이축이 소화기(10)가 거치부(100)에 구비된 상태를 기준으로 소화기(10)의 길이축과 직교할 수 있도록 상기 공구 프레임(4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구 플레이트(430)는 상기 제 2 레일(420)과 연결되며, 도 6을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레일(420)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인 제 2 이동 방향(m2)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레일(440)은 상기 공구 플레이트(430)에 설치되며, 소화기(10)의 길이축에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구동부(500)는 회동 거치판(510)과, 회동부재(520)와, 회동축 부재(53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 거치판(510)의 경우, 상기 제 3 레일(440)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레일(440)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인 제 3 이동 방향(m3)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520)의 경우, 상기 회동 거치판(510)에 설치되며 밸브부(12)가 몸체부(1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인 분해 방향(t)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부(12)와 몸체부(11)가 나사 결합된 경우를 예시로 한다면, 상기 분해 방향(t)은 상기 제 3 이동 방향(m3)을 회전 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 부재(530)는 상기 회동부재(520)와 연결되며 상기 거치부(100)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520)에 회동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600)는 밸브부(12)를 몸체부(1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 1 베이스 암(611)과, 제 2 베이스 암(612)과, 한 쌍의 제 1 그립암(621)과, 한 쌍의 제 2 그립암(622)과, 제 1 파지 구간(631)과, 제 2 파지 구간(63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 암(611)과 상기 제 2 베이스 암(612)은 각기 상기 회동축 부재(530)의 어느 하나의 측면 말단에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동부재(520)의 회전 축선과 소화기(10)의 길이 중심선이 상호 일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이스 암(611) 또는 상기 제 2 베이스 암(612)은 전술한 거치부(100)에 거치된 밸브부(12)의 게이지 목부(12-2) 또는 고리 목부(12-4)와 마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베이스 암(611)과 상기 제 2 베이스 암(612)을 모두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베이스 암(611)과 상기 제 2 베이스 암(612) 각각은 게이지 목부(12-2)와 고리 목부(12-4) 중 어느 하나씩과 마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 그립암(621)은 각각이 상기 제 1 베이스 암(611) 각 말단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2 그립암(622)은 각각이 상기 제 2 베이스 암(612) 각 말단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지 구간(631)은 상기 회동축 부재(530)의 동심 축에 대하여 오목한 구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1 그립암(621) 각각의 말단 내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파지 구간(631)은 게이지 목부(12-2) 또는 고리 목부(12-4)에 밀착 가능한 곡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파지 구간(632)은 상기 회동축 부재(530)의 동심 축에 대하여 오목한 구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 그립암(622) 각각의 말단 내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파지 구간(632)은 게이지 목부(12-2) 또는 고리 목부(12-4)에 밀착 가능한 곡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덧붙여, 제 1 파지 구간(631)과 제 2 파지 구간(632)을 모두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 각 파지 구간(631, 632)에 의해 게이지 목부(12-2)와 고리 목부(12-4)가 모두 밀착 파지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파지 구간(631)이 게이지 목부(12-2)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구조로 형성된다면, 이 경우 상기 제 2 파지 구간(632)은 고리 목부(12-4)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오목 구조의 배치는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술한 예시와 같이 설계된 제 1 파지 구간(631)과 제 2 파지 구간(632)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축압식 소화기의 밸브부(12) 양 측에 돌출된 게이지 목부(12-2)와 고리 목부(12-4)를 모두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1 베이스 암(611)과 제 2 베이스 암(612)은 게이지 목부(12-2)와 고리 목부(12-4)간의 거리차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상호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파지 구간(631)과 제 2 파지 구간(632) 각각은 게이지 목부(12-2)와 고리 목부(12-4)와 대향하여 이를 정확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부(600)를 설계함에 있어 적어도 고리 목부(12-4) 형상에 대응되는 오목 구조가 구비된 파지구간(631, 632)이 포함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 고리(12-3)의 경우 현 소방 법규상 그 종류에 관계 없이 소화기(10)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인 바, 이를 통해 각종 소화기(10)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고리 목부(12-4) 형상에 대응되는 파지구간(631, 632)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축압식 소화기에 가압식 소화기 등 모든 종류의 소화기(10)의 측면 돌출부인 걸림 고리(12-3)를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립부(600)의 설계 경우의 수는 상술한 예시 사항들 외에도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 그립암(621)과 상기 한 쌍의 제 2 그립암(622) 각각은 상기 제 1 베이스 암(611)과 상기 제 2 베이스 암(612)과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동하는 방향인 파지 방향(r)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 특성을 확보를 통해, 상기 그립부(600)는 게이지 목부(12-2) 또는 고리 목부(12-4) 등에 대한 파지 및 파지 해제 기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 1 그립암(621)과 한 쌍의 제 2 그립암(622) 각각은 상기 회동축 부재(530)의 동심 축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 또는 곡률을 갖는 오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오목 구조의 구현을 통해, 한 쌍의 제 1 그립암(621)과 한 쌍의 제 2 그립암(622) 각각은 그 단부인 각 파지구간(631, 632)끼리만 최대한 근접 가능하고, 그 외 길이 구간들은 상술한 오목 구조의 곡률 등에 대응되는 만큼 상호 이격되는 일종의 집게 구조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 1 그립암(621)과 한 쌍의 제 2 그립암(622) 각각은 각자의 파지 대상을 파지하고자 상호 근접하게 될 시, 파지 지점인 각 파지구간(631, 632)만 상호 필요한 만큼 근접하게 될 뿐, 그 외 길이 구간들이 불필요하게 상호 충돌 및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게이지 목부(12-2) 또는 고리 목부(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그립부(600)에 의해 파지되면, 전술한 회동부재(520)가 상기 분해 방향(t)으로 회동함으로써 밸브부(12)와 몸체부(11)간의 나사 결합을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분해 방향(t)에 대한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 거치판(510)은 상기 제 3 이동 방향(m3)을 따라 소화기(10)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동축 부재(530)에 연결된 그립부(600) 또한 소화기(10)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520)의 회동을 통해 밸브부(12)와 몸체부(11)간 나사 결합 등을 회전하기 위한 회전력이 제공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 거치판(510)의 이동을 통해 밸브부(12)와 몸체부(11)가 상호 이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덧붙여, 고정수단(160)은 소화기(10)의 몸체부(11)와 몸체 목부(11-1)에 밀착한 채 소화기(10)를 지속 가압한다고 전술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지속 밀착 가압 기능을 통해, 회전식 분리에 대한 고정점인 몸체부(11)의 회전이 방지되어 밸브부(12)의 선별 분리 효율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 목부(11-1)는 제 2 고정부재(163) 및 제 2 대응 고정부재(164)에 의해 감싸져 있는 상태이고, 몸체 목부(11-1)의 직경은 몸체부(11)의 직경에 비해 소정 크기 이상 작은 구조이다.
그리하여, 상술한 직경 차이로 인해 제 2 고정부재(163) 및 제 2 대응 고정부재(164)는 이와 마주하는 몸체부(11)의 전면과 면접촉 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 거치판(510)을 상기 제 3 이동 방향(m3)을 따라 소화기(10)로부터 이격되게 한다면, 몸체부(11)의 전방과 접촉하는 제 2 고정부재(163) 및 제 2 대응 고정부재(164)가 일종의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받침 작용은 밸브부(12)를 분리하고자 하는 상기 제 3 이동 방향(m3)의 동선상에서 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1)의 부동성 확보를 통해, 소화기(10)를 분해하고자 할 시 몸체부(11)가 밸브부(12)와 함께 잡아 당겨져 소화기(10) 전체가 거치부(100)로부터 이탈되거나 분해 과정이 실패 하는 것과 같은 공정 사고 및 공정 실패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술한 소화기(10) 분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립부(600)와 소화기(10)를 상호 대향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는 상기 그립부(600)가 설치된 공구 플레이트(430)가 전술한 제 2 이동 방향(m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또는, 소화기(10)가 거치된 거치 플레이트(130)가 전술한 제 1 이동 방향(m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7은 도 5에 도시된 흡입부와 소화기가 상호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흡입부가 소화기 내측의 소화약제를 회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더 참조하여 상기 흡입부(7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 및 18을 더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700)는 밸브부(12)가 분리된 몸체부(11) 내측의 소화약제(d)를 회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수축 가이드(710)와, 밀봉부재(720)와, 분사관(730)과, 회수관(7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축 가이드(710)의 경우, 거치부(100)에 구비된 몸체 목부(11-1)와 대향하도록 공구 플레이트(430)의 일측에 구비되며, 거치부(100)를 향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수축 가이드(710)가 거치부(100)에 근접 및 이격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서, 피스톤, 실린더 등 각종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720)의 경우 상기 회수축 가이드(710)의 말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수축 가이드(710)가 몸체 목부(11-1) 방향으로 소정 거리 내 근접한 경우 상기 몸체 목부(11-1)를 밀봉한다.
이때, 상기 몸체 목부(11-1)와 접촉되는 상기 밀봉부재(720)의 테두리에는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지닌 탄성 복원재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른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몸체 목부(11-1)에 대한 실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몸체 목부(11-1) 밀봉을 위해 흡입부(700)와 소화기(10)를 상호 대향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는 그립부(600)에 대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공구 플레이트(430) 또는 거치 플레이트(130)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관(730)의 경우, 상기 밀봉부재(720)의 이동에 대응하여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며 소정의 가압력을 지닌 기체인 분사 기체(g)가 분사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분사관(730)은 분사 기체(g)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수단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관(740)의 경우, 몸체부(11) 내측의 소화약제(d)가 요입되도록 상기 밀봉부재(720)와 연통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회수관(740)은 별도의 소화약제 저장 수단과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몸체부(11) 내측의 소화약제(d)를 회수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730)이 몸체부(11)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상기 분사관(730)으로부터 분사 기체(g)가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 기체(g)의 가압력에 의해 몸체부(11) 내측에서는 소화약제(d)가 비산되어 분진화되어 상기 회수관(740)으로 요입된다.
이때, 분말 회수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상기 회수관(740)의 내측에는 소정의 음압(s)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회수관(740)은 별도의 음압(s) 조성 수단(미도시)과도 연결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제어부(8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1000)의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결정 모듈(810)과, 분리 결정 모듈(820)과, 회동 제어 모듈(8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결정 모듈(810)의 경우, 가압부(200)가 레버부(13)를 가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압 결정 모듈(810)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200)가 상기 레버부(13)를 가압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분리 결정 모듈(820)은 상기 가압부(200)가 상기 레버부(13)를 가압 완료한 이후에 상기 그립부(600)가 상기 밸브부(12)를 상기 소화기(10)로부터 분리하도록 각 구성들의 구동 순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소화기(10) 내측에 소화약제(d) 또는 가압 가스(p)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소정 기준치 이상 존재하여 흡입부(700)만으로 소화약제(d)를 회수하기에 무리가 있는 경우 활용되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일차적으로 몸체부(11) 내측의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는 최대한 분사되고, 밸브부(12)가 분리된 몸체부(11) 내측의 잔존 소화약제(d)는 이차적으로 흡입부(700)에 의해 회수된다.
또는, 소화기(10) 내측에 소화약제(d) 또는 가압 가스(p)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소정 기준치 미만으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분리 결정 모듈(820)은 상술한 그립부(600)의 작용이 배제되도록 하고, 곧바로 그립부(600)의 소화기(10) 분해 및 흡입부(700)의 소화약제(d) 회수 구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가압부(200)의 구동 여부는 사용자의 조작등에 의해 상기 가압 결정 모듈(810)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제어 모듈(830)에는 전술한 회동부재(520)의 단위 시간당 회동수인 제 1 분해 속도가 설정된다.
즉, 상기 제 1 분해 속도가 설정됨으로써 전체적인 소화기(10) 분해 속도가 결정되는 것이며, 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분해 속도에 대응하여, 그립부(600)가 밸브부(12)를 당기는 속도, 즉 전술한 회동 거치판(510)이 제 3 이동 방향(m3)을 따라 소화기(10)로부터 이격되는 속도 또한 적절히 조절될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만약 상기 회동 거치판(510)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 1 분해 속도 대비 느린 경우, 밸브부(12)와 몸체부(11)간의 연결 구간에는 그립부(600)의 과회전이 유발된다.
이로 인해, 밸브부(12)와 몸체부(11)간의 연결 구간에는 과회전수에 대응되는 만큼 밸브부(12)가 헛돌아 지나친 마찰이 유발되어 마모 등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그립부(600)에 상당한 과부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는, 상기 회동 거치판(510)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 1 분해 속도 대비 빠른 경우, 밸브부(12)는 몸체부(11)로부터 억지로 당겨져 밸브부(12)와 몸체부(11)간의 연결 구간에는 우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그립부(600) 뿐만아니라 회동 거치판(510) 및 제 3 레일(440)에도 억지 당김으로 인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손상 및 과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 제어 모듈(830)은 상기 제 1 분해 속도에 대응되는 회동 거치판(510)의 이동 속도인 제 2 분해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그립부(600)와 연결된 회동 거치판(510)의 이동 속도 제어에 적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제어부(800)에는, 상술한 기능들 외에도 분사 기체(g) 분사 압력 설정, 분사 기체(g)의 분사 시간 설정 등 다양한 기능들이 더 포함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1000)를 이용한 소화기(10) 분해 및 소화약제(d) 회수 과정에 대해 요약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한 바와 같이 거치부(100)에 소화기(10)가 거치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한 바와 같이 레버부(13)가 가압부(200)에 의해 가압되어 소화기(10) 내측의 소화약제(d) 및 가압 가스(p)가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가압부(200)의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화기(10) 내측의 소화약제(d) 또는 가압 가스(p)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양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13을 비교 참조한 바와 같이, 그립부(600)가 밸브부(12)를 파지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 과정 이후, 그립부(600)가 밸브부(12)를 몸체부(11)로부터 분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잡아당김으로써 밸브부(12)는 몸체부(11)로부터 분리되어 몸체부(11)는 개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한 바와 같이, 흡입부(700)가 몸체부(11)와 밀착한 후 몸체부(11) 내측의 소화약제(d)를 흡입함으로써 소화기(10)에 잔존하는 대부분의 소화약제(d)는 회수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 뿐만아니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 소화기 11 : 몸체부
11-1 : 몸체 목부 12 : 밸브부
12-1 : 압력 게이지 12-2 : 게이지 목부
12-3 : 걸림 고리 12-4 : 고리 목부
12-5 : 분출공 12-6 : 호스
13 : 레버부 d : 소화약제
p : 가압 가스 g : 분사 기체
s : 음압
1000 :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100 : 거치부 110 : 거치 프레임
120 : 제 1 레일 130 : 거치 플레이트
140 : 가압판 부재 141 : 제 1 가압판
142 : 제 1 대응 가압판 143 : 제 2 가압판
144 : 제 2 대응 가압판 150 : 가이드 수단
151 : 제 1 가이드 부재 152 : 제 2 가이드 부재
160 : 고정수단 161 : 제 1 고정부재
162 : 제 1 대응 고정부재 163 : 제 2 고정부재
164 : 제 2 대응 고정부재 165 : 제 1 밀착구간
166 : 제 2 밀착구간 170 : 링크수단
171 : 제 1 링크 172 : 제 2 링크
200 : 가압부 210 : 가압 케이싱
220 : 가압축 230 : 가압단
240 : 가이드홈 250 : 거치 핀
260 : 거치 바 300 : 분사물 회수부
400 : 공구 설치부 410 : 공구 프레임
420 : 제 2 레일 430 : 공구 플레이트
440 : 제 3 레일 500 : 회전 구동부
510 : 회동 거치판 520 : 회동부재
530 : 회동축 부재 600 : 그립부
611 : 제 1 베이스 암 612 : 제 2 베이스 암
621 : 제 1 그립암 622 : 제 2 그립암
631 : 제 1 파지 구간 632 : 제 2 파지 구간
700 : 흡입부 710 : 회수축 가이드
720 : 밀봉부재 730 : 분사관
740 : 회수관 800 : 제어부
810 : 가압 결정 모듈 820 : 분리 결정 모듈
830 : 회동 제어 모듈

Claims (10)

  1. 소화기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를 회전시켜 상기 밸브부를 상기 소화기로부터 분리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밸브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을 밀착 파지하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밸브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소화기의 밸브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밸브부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부가 구비된 측면을 향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회동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회동축 부재의 말단에 연결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회동축 부재의 어느 하나의 측면 말단에 연결되는 제 1 베이스 암;
    각기 상기 제 1 베이스 암 각 말단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베이스 암과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그립암; 및
    상기 회동축 부재의 동심 축에 대하여 오목한 구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1 그립암 각각의 말단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부의 일측에 돌출된 압력 게이지의 목부 구조인 게이지 목부에 밀착 가능한 곡률을 구비한 제 1 파지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회동축 부재의 어느 하나의 측면 말단에 연결되는 제 2 베이스 암;
    각기 상기 제 2 베이스 암 각 말단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베이스 암과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동함으로써 상호 근접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 그립암; 및
    상기 회동축 부재의 동심 축에 대하여 오목한 구조를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 그립암 각각의 말단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부의 타측에 돌출된 걸림 고리의 목부 구조인 고리 목부에 밀착 가능한 곡률을 구비한 제 2 파지 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밸브부를 상기 소화기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동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소화기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장치는,
    몸체부의 내측에 소정의 기체인 분사 기체를 소정의 압력으로 분사하여 상기 분사 기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소화약제가 비산되도록 한 후, 비산되어 분진화된 상기 소화약제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밸브부가 분리된 상기 소화기의 개구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기의 개구부로 근접 및 이격되는 밀봉부재;
    상기 밀봉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밀봉부재의 이동에 대응하여 일단이 상기 소화기의 내측으로 인입 및 인출되며 소정의 가압력을 지닌 기체인 분사 기체가 분사되는 분사관; 및
    상기 밀봉부재와 연통되고 상기 몸체부 내측의 소화약제가 요입되는 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관은,
    내측에 소정의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레버인 레버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말단이 상기 레버부에 대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한 가압축; 및
    상기 레버부와 마주하는 상기 가압축의 말단에 구비되는 가압단;
    상기 가압축을 내측에 수용하는 가압 케이싱;
    상기 가압 케이싱의 양 측면에 상기 가압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구조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 핀; 및
    말단이 상기 가압단과 연결되고 상기 거치 핀에 관통 지지되는 거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8. 제 6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는,
    가압부가 레버부를 가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가압 결정 모듈과, 상기 가압부가 상기 레버부를 가압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가압부가 상기 레버부를 가압 완료한 이후에 상기 그립부가 상기 밸브부를 상기 소화기로부터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분리 결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소화기의 몸체부 둘레 구간 또는 상기 소화기의 몸체 목부 둘레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밀착 고정 가능하고,
    상기 거치부는,
    내측에 상기 소화기 몸체부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부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1 밀착구간이 형성되며 일측 방향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히 구비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소화기의 길이 중심축에 대해 각각이 상기 각 제 1 고정부재와 대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대응 고정부재;
    내측에 상기 소화기 몸체 목부의 소정 둘레부가 밀착되도록 내측에 상기 몸체 목부의 둘레 곡률에 대응되는 절곡 구간인 제 2 밀착구간이 형성되는 제 2 고정부재; 및
    상기 소화기의 길이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 2 고정부재와 대칭되는 제 2 대응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 전체 또는 상기 제 1 대응 고정부재 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몸체부를 밀착 가압 및 가압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대해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2 고정부재 전체 또는 상기 제 2 대응 고정부재 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몸체 목부를 밀착 가압 및 가압 해제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목부에 대해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소화기의 길이축이 중력 방향에 대해 직교 내지 반대되는 범위 내로 구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KR1020200062027A 2020-05-25 2020-05-25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KR10222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27A KR102223237B1 (ko) 2020-05-25 2020-05-25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27A KR102223237B1 (ko) 2020-05-25 2020-05-25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237B1 true KR102223237B1 (ko) 2021-03-04

Family

ID=7517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27A KR102223237B1 (ko) 2020-05-25 2020-05-25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2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7074A (ja) * 2013-12-27 2015-07-09 Thk株式会社 チャック
KR101803772B1 (ko) 2016-07-06 2017-12-01 김영선 소화기용 분말소화약제 회수 장치
KR101883856B1 (ko) * 2018-03-09 2018-08-01 주식회사 소방 119 폐분말소화기 자동 해체장치
KR102041782B1 (ko) * 2019-05-21 2019-11-27 이준호 폐소화기 자동 재생 장치
KR20200022216A (ko) * 2018-08-22 2020-03-03 이현준 소화기의 손잡이 분리장치
KR20200052050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7074A (ja) * 2013-12-27 2015-07-09 Thk株式会社 チャック
KR101803772B1 (ko) 2016-07-06 2017-12-01 김영선 소화기용 분말소화약제 회수 장치
KR101883856B1 (ko) * 2018-03-09 2018-08-01 주식회사 소방 119 폐분말소화기 자동 해체장치
KR20200022216A (ko) * 2018-08-22 2020-03-03 이현준 소화기의 손잡이 분리장치
KR20200052050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정렬장치
KR102041782B1 (ko) * 2019-05-21 2019-11-27 이준호 폐소화기 자동 재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7162U (ja) 携帯式消火器
KR102223237B1 (ko) 소화기 분해 및 소화약제 회수 장치
KR102041782B1 (ko) 폐소화기 자동 재생 장치
CN116576258A (zh) 一种具有防误触功能的消防阀
CN210355756U (zh) 移动式干粉灭火器装置
CN111729229A (zh) 适用于多种环境的多功能消防装置
CN212067536U (zh) 一种机器人灭火装置
KR102122719B1 (ko) 소화기 잔량 회수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KR102122721B1 (ko) 소화기 분해 장치, 소화기 분해 및 소화기 잔량 회수 시스템
KR102109204B1 (ko) 소화기의 손잡이 분리장치
CN216653202U (zh) 一种新型灭火器
CN214912916U (zh) 一种用于施工现场的消防装置
CN211752068U (zh) 一种应用于消防机器人的消防器喷头夹持装置
CN214286415U (zh) 一种油田采油临时灭火设备
CN109132485B (zh) 用于化工反应罐的送料装置
CN109132486B (zh) 全自动化工反应罐投料机械手
CN111659058B (zh) 一种移动方便的消防泡沫灭火装置
CN220588789U (zh) 一种机器人灭火装置
CN104897469A (zh) 一种消防水带爆破压力的试验装置
CN213527255U (zh) 一种室内消防工程灭火装置
CN113082568B (zh) 一种特高压设备用灭火装置
CN220370349U (zh) 一种火灾气体灭火装置
CN213220669U (zh) 一种工地施工微型快速消防及警务执勤保障装备
CN115154969A (zh) 一种防爆型消防水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