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814B1 -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 Google Patents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814B1
KR101948814B1 KR1020180151014A KR20180151014A KR101948814B1 KR 101948814 B1 KR101948814 B1 KR 101948814B1 KR 1020180151014 A KR1020180151014 A KR 1020180151014A KR 20180151014 A KR20180151014 A KR 20180151014A KR 101948814 B1 KR101948814 B1 KR 10194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oxygen
fasten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봉
박은진
최가영
최정인
최정우
Original Assignee
최상봉
박은진
최가영
최정인
최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봉, 박은진, 최가영, 최정인, 최정우 filed Critical 최상봉
Priority to KR102018015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814B1/ko
Priority to PCT/KR2019/014643 priority patent/WO20201115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산소통과; 컵 형상으로서, 상기 휴대용 산소통의 하단부에 삽입되며 상측 단부에 제1-1 체결나사산이 형성된 하단 케이스와; 통 형상으로서, 상기 휴대용 산소통 상단부에 삽입되며, 하측 단부에 상기 제1-1 체결나사산과 체결되는 제1-2 체결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휴대용 산소통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 제2-2 체결나사산이 형성되는 중단 케이스와; 마개 형상으로서, 하측 단부에 상기 제2-2 체결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1 체결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 상기 휴대용 산소통의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키는 가압단이 형성된 상단 케이스와; 상기 중단 케이스 또는 상단 케이스에 형성되는 산소 분사구로; 구성되어 상기 하단 케이스와 중단 케이스로 휴대용 산소통을 내부에 삽입 체결시키고, 상기 상단 케이스와 중단 케이스의 체결거리 변화에 의해 상기 가압단이 상기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산소통의 산소 분출량을 조절하고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시판되는 휴대용 산소통에 가볍고 간단한 구조의 연결 장치를 개발하여 휴대성을 강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며, 사용 편의성을 강화시켜 화재대피용품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Fixed-injection type oxygen canister for fire escape and fire escape hood using it}
본 발명은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휴대용 산소통과 화재 대피용 후드를 손쉽게 연결시켜 화재시 산소를 공급하는 긴급 대피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방안전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화재로 인한 인명사고는 화염에 의한 경우보다는 유독가스와 연기에 의한 질식 사망이 대부분이다.
통계에 의하면 화재 발생 후 1분 경과 시마다 생존율이 7~10%씩 감소하여, 생존율은 5분 경과 시 25%, 10분 경과 시 5% 미만 정도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화재에 대한 긴급 대피 용구로는 소화용구나 완강기 등이 있는데, 빌딩이나 아파트에 구비된 소화용구나 완강기는 이와 같은 유독가스나 연기로 인한 질식에 대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지하철 역사와 같은 지하구조물에는 유독성 외기 가스를 필터로 정화하여 사용하는 비상용 방독면이 다량 비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독면은 여러 종류의 유독물질을 동시에 완전히 걸러낼 수는 없고, 화재로 인해 산소가 연소되어 공기 중의 산소량이 18%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호흡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화재 현장이나 유독가스 누출 현장에서는 산소의 원활한 공급과 함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져야 질식사 등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산소를 호흡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699514 '비상용 산소호흡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62480 '비상용 산소호흡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38192 '비상용 산소호흡기' 등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 개발된 기술들이다.
그런데 상기 산소호흡기는 시판되는 휴대용 산소통에 공히 크고 무거운 감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휴대성이 약화되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여 화재대피용품으로 널리 보급되기 힘든 장벽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699514 '비상용 산소호흡기'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62480 '비상용 산소호흡기'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338192 '비상용 산소호흡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판되는 휴대용 산소통에 가볍고 간단한 구조의 연결 장치를 개발하여 휴대성을 강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며, 사용 편의성을 강화시켜 화재대피용품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즐부가 육각 기둥형 머리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 상단에 분사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 측면에 산소 분사구가 형성된 휴대용 산소통과; 통 형상으로서, 상측에 상기 휴대용 산소통의 노즐부에 압입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역회전 방지용 톱니 기어와 제2-2 체결나사산이 순차 다단 형성되며, 중단 측면에 상기 산소 분사구에 연통되는 산소 분사통공이 형성되는 중단 케이스와; 상기 중단 케이스에 체결되는 마개 형상으로서, 하측 단부에 상기 제2-2 체결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1 체결나사산과 상기 톱니 기어에 치합되는 치합기어가 순차 다단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 상기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의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키는 가압단이 돌설 형성된 상단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중단 케이스로 상기 휴대용 산소통을 압입 체결시키고, 상기 상단 케이스를 상기 중단 케이스에 체결시키는 체결거리 변화에 의해 상기 가압단이 상기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산소통의 산소 분출량이 조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은 상기 중단 케이스 하측 단부에는 제1-2 체결나사산을 형성시키고, 통형상으로서, 상단에 상기 제1-2 체결나사산과 체결되는 제1-1 체결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산소통을 내부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중단 케이스에 체결되는 하단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단 케이스와 중단 케이스의 체결로 상기 휴대용 산소통을 내부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단에는 내측 중심부에 형성시킨 공이 체결통공과;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서 압출되고, 몸체에 제1 안전핀 체결공이 형성된 공이와; 상기 상단 케이스에 상기 제1 안전핀 체결공과 연통하는 제2 안전핀 체결공을 형성시키거나, 상기 상단 케이스 상측으로 상기 제1 안전핀 체결공이 노출되게 관통시켜 상기 공이의 제1 안전핀 체결공에 고정시키는 안전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상시 상기 안전핀을 제거하면 상기 공이가 탄성 압출되어 상기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킴으로써 산소를 고정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이 체결통공은 다각형 통공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공이에는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 형합 삽입되는 다각형 머리를 형성시켜, 상기 상단케이스와 상기 공이를 관통하는 안전핀 삽입공을 일직선상에 쉽게 맞출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단 케이스에는 외측에 상기 산소 분사통공에 연통되는 산소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산소 분사 노즐로 외부 호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단케이스 또는 중단케이스에는 노끈 결합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이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후드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이 내부에 내장되며, 입구부가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의 안전핀과 연결되어 사용을 위해 입구부를 열면 상기 안전핀이 분리되어 내부에 산소가 공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후드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시판되는 휴대용 산소통에 가볍고 간단한 구조의 연결 장치를 개발하여 휴대성을 강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며, 사용 편의성을 강화시켜 화재대피용품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단 케이스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단 케이스 사시도
도 6와 도 7은 본 발명의 상단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화재대피후드
도 9은 본 발명의 화재대피후드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예시에 대한 저면도
(도9(a) 화재대피후드 개방 전, 도9(b) 화재대피후드 개방 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은 크게 휴대용 산소통(10)과 제1-1 체결나사산(1-1)과 하단 케이스(30)와 제1-2 체결나사산(1-2)과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11)와 관통부(23)와 톱니 기어(21)와 제2-2 체결나사산(2-2)과 중단 케이스(20)와 제2-1 체결나사산(2-1)과 치합기어(41)와 가압단(6)이 형성된 상단 케이스(40)와 산소 분사구(12)와 산소 분사통공(22)과 스프링(600)과 단턱(610)과 공이(60)와 안전핀(50)과 산소 분사 노즐(20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산소통(10)의 종류는 매우 많은데 일반적인 부탄 가스통과 같은 형상 이외에도 도 4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11)가 육각 기둥형 머리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11) 상단에 분사 스위치(100)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11) 측면에 산소 분사구(12)가 형성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은 하단 케이스(30)와 중단 케이스(20)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중단 케이스(20)는 상기 휴대용 산소통(10) 상단부에 압입 고정되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다.
상기 중단 케이스(20)의 원통 형상의 의미는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중단 케이스(20)의 내측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11)를 삽입시키는 관통부(23)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부(23)에 상기 휴대용 산소통(10) 노즐부(11)를 압입시켜 상기 중단 케이스(20)를 상기 휴대용 산소통(10)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23)의 입구부는 상기 휴대용 산소통(10) 노즐부(11)의 압입 고정을 위하여 내향 플랜지를 아주 작게 형성시키는 것도 고려할 만 하다.
필요한 경우 상기 중단 케이스(20)의 하단부와 상기 휴대용 산소통(10) 상단부는 서로 형합되게 형성시켜 상기 중단 케이스(20)와 상기 휴대용 산소통(10)의 결합시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육각 기둥형 노즐부(11)를 가지는 휴대용 산소통(10)에 적합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중단 케이스(20)의 휴대용 산소통(10)을 고정시키는 관통부(23)는 상기 육각 기둥형 머리가 형합 삽입되는 육각 통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산소 분사통공(22)은 상기 중단 케이스(2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11)에 형성된 산소 분사구(12)에 연통시켜 형성된다.
상기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11) 상단에는 산소 분사를 조절하는 분사 스위치(10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단 케이스(40)의 내측에는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11)의 분사 스위치(100)를 가압시키는 가압단(6)이 형성되므로, 상기 상단 케이스(40)와 중단 케이스(20)의 체결 거리는 상기 분사 스위치(100)의 가압시키는 가압력의 크기가 되어 산소 분사량을 조절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중단 케이스(20)의 상측 단부에는 톱니 기어(21)와 제2-2 체결나사산(2-2)이 순차 다단 형성된다.
상기 톱니 기어(21)는 상기 제2-2 체결나사산(2-2)의 직경과 다르게 형성되어 상단기어(40)의 치합기어(41)에 접촉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단 케이스(40)는 마개 형상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단부에 상기 제2-2 체결나사산(2-2)과 체결되는 제2-1 체결나사산(2-1)과 상기 톱니 기어(21)에 치합되는 치합기어(41)가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 상기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11)의 분사 스위치(100)를 가압시키는 가압단(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상단 케이스(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단 케이스(20)와 제2-1 체결나사산(2-1)과 제2-2 체결나사산(2-2)의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단 케이스(40)와 중단 케이스(20)의 체결은 상기 톱니 기어(21)와 치합기어(41)에 의해서도 실현되는데, 상기 치합기어(41)는 상기 톱니 기어(21)가 수톱니 기어로 형성될 때, 이에 치합되는 암톱니기어로 형성된다.
상기 톱니 기어(21)와 치합기어(41)는 상기 상단 케이스(40)를 중단 케이스(20)에 체결시키는 방향(닫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여유를 두고 결합시킨다.
이러한 경우, 닫는 방향의 회전은 허용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톱니의 치합으로 회전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 케이스(40)와 중단 케이스(20)의 결합은 닫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역회전 방지 결합 구조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산소 분사통공(22)은 상기 중단 케이스(20)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시 상기 상단 케이스(40)를 회전시켜 상기 중단 케이스(20)에 잠그면 상기 분사 스위치(100)가 작동되어 손을 놓더라도 산소가 일정하게 분사되며, 상단 케이스(40)의 역회전이 차단되므로 상단 케이스(40)의 역회전에 의한 산소 분사 차단의 염려가 없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시 산소를 고정 분사되게 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대피후드(800) 내에 넣어두면 대피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화재대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산소통을 고정하기 위하여 하단 케이스(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케이스(30)는 상기 휴대용 산소통 하단부가 삽입되는 컵 형상으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단부에 제1-1 체결나사산(1-1)이 형성된 케이스이다.
즉, 상기 하단 케이스(30)는 입구에 제1-1 체결나사산(1-1)이 형성된 평범한 컵형 통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케이스(30)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중단 케이스(20)에는 상기 하단 케이스(30)와 결합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체결나사산(1-2)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중단 케이스(20)와 하단 케이스(30)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산소통(10)을 내부에 케이싱하면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가압단(6)에 도 3과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시킨 공이 체결통공(410)과 상기 공이 체결통공(410)에 삽입되는 스프링(600)과 상기 공이 체결통공(410)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600)에 지지되는 단턱(610)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0)에 의해 상기 공이 체결통공(410)에서 압출되는 공이(60)와 상기 공이(60)를 관통하여 상기 상단 케이스(40)에 공이(60)를 고정시키는 안전핀(50)을 포함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안전핀(5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공이에는 몸체에 제1 안전핀 체결공(620)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 안전핀 체결공(620)에 안전핀(50)을 삽입시켜 상기 상단 케이스(40)에 공이(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핀(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케이스(40)와 공이(60)를 관통하여 형성시키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케이스(40) 상측으로 상기 공이(60)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노출된 단부에 상기 안전핀 체결공이 체결통공(41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공이(60)와 안전핀(50)의 체결이 상기 상단 케이스(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케이스(40)에 상기 제1 안전핀 체결공(620)과 연통하는 제2 안전핀 체결공(500)을 형성시키면 된다.
상기 안전핀(50)은 상기 상단 케이스(40)와 공이(60)를 관통하여 형성시키는 경우, 상기 안전핀(50)과 공이(60)의 조립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공이 체결통공(410)은 다각형 통공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공이(60)에는 상기 공이 체결통공(410)에 형합 삽입되는 다각형 머리를 형성시켜 상기 상단 케이스(40)와 상기 공이(60)를 관통하는 안전핀 삽입공(620)을 일직선상에 쉽게 맞출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이(60)와 안전핀(50) 만을 체결시키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이(60)의 단부를 상기 상단 케이스(40) 상측으로 관통 노출시키고, 노출 부분에 상기 제1 안전핀 체결공(620)을 형성시키면 상기 상단 케이스(40) 외측에서 공이(60)에 안전핀(50)을 체결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이 체결통공(410)은 상기 휴대용 산소통(10)의 분사 스위치(100)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이(60)는 상기 스프링(600)에 의해 탄성 압출되는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안전핀(50)이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안전핀(50)을 제거하면 공이(60)가 탄성력으로 상기 분사 스위치(100)를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상기 안전핀(50)의 제거만으로 간단하게 산소가 일정하게 분사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재시 산소 분사량을 고정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대피후드(800) 내부에 넣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 상기 안전핀(50)의 제거로 인한 상단 케이스(40)에서의 산소 누출은 화재대피후드(800) 내부에서의 누출이 되므로 화재대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중단 케이스(20)의 산소 분사구(22)에는 산소 분사 노즐(20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산소 분사 노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단 케이스(20)에 단턱이 형성된 노즐을 압입시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 분사 노즐(200)에 호스(820)를 연결시킨 후, 상기 화재대피후드(800)에 형성된 외부호스 결합노즐(810)에 연결시켜 본 발명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가)이 체결된 휴대용산소통(가)을 보조 산소통으로 추가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산소 분사 노즐(200)에 의해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산소통을 화재대피 후드(800)의 외측에서 단독 또는 보조용으로 사용하기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단 케이스(40), 중단 케이스(20) 또는 하단 케이스(30)에는 노끈 결합고리(220)를 형성시켜, 노끈(230)으로 몸에 결합시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이 내부에 내장되는 화재대피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대피후드(800)의 입구부 일측에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의 안전핀(50)을 연결시키고, 타측에 안전핀(50)을 후드 내부 끈(830)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도 9(b)와 같이 상기 화재대피후드(800)를 사용하기 위하여 화재대피용 후드(800)의 입구부를 열면 상기 안전핀(50)이 분리되어 비상시 사용 가능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되는 비상상황에서 화재대피후드(800) 착용시 화재대피용 후드(800) 내부에 산소가 자동 공급되는 화재대피후드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 : 제1-1 체결나사산
1-2 : 제1-2 체결나사산
2-1 : 제2-1 체결나사산
2-2 : 제2-2 체결나사산
6 : 가압단
10 : 휴대용 산소통
11 :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
12 : 산소 분사구
20 : 중단 케이스
21 : 톱니 기어
22 : 산소 분사통공
23 : 관통부
30 : 하단 케이스
40 : 상단 케이스
41 : 치합기어
50 : 안전핀
51 : 안전용 고정끈
60 : 공이
100 : 분사스위치
200 : 산소 분사 노즐
220 : 결합고리
230 : 노끈
410 : 공이 체결통공
500 : 제2 안전공 체결공
600 : 스프링
610 : 단턱
620 : 제1 안전핀 삽입공
630 : 분사스위치 가압면
800 : 화재대피후드
810 : 외부호스 결합노즐
820 : 호스
830 : 후드 내부 끈

Claims (8)

  1. 노즐부가 육각 기둥형 머리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 상단에 분사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 측면에 산소 분사구가 형성된 휴대용 산소통과;
    통 형상으로서, 상측에 상기 휴대용 산소통의 노즐부에 압입시키는 관통부가 형성되며, 역회전 방지용 톱니 기어와 제2-2 체결나사산이 순차 다단 형성되며, 중단 측면에 상기 산소 분사구에 연통되는 산소 분사통공이 형성되는 중단 케이스와;
    상기 중단 케이스에 체결되는 마개 형상으로서, 하측 단부에 상기 제2-2 체결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1 체결나사산과 상기 톱니 기어에 치합되는 치합기어가 순차 다단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 상기 휴대용 산소통 노즐부의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키는 가압단이 돌설 형성된 상단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중단 케이스로 상기 휴대용 산소통을 압입 체결시키고, 상기 상단 케이스를 상기 중단 케이스에 체결시키는 체결거리 변화에 의해 상기 가압단이 상기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산소통의 산소 분출량이 조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은
    상기 중단 케이스 하측 단부에는 제1-2 체결나사산을 형성시키고,
    통형상으로서, 상단에 상기 제1-2 체결나사산과 체결되는 제1-1 체결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휴대용 산소통을 내부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중단 케이스에 체결되는 하단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단 케이스와 중단 케이스의 체결로 상기 휴대용 산소통을 내부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에는
    내측 중심부에 형성시킨 공이 체결통공과;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서 압출되고, 몸체에 제1 안전핀 체결공이 형성된 공이와;
    상기 상단 케이스에 상기 제1 안전핀 체결공과 연통하는 제2 안전핀 체결공을 형성시키거나, 상기 상단 케이스 상측으로 상기 제1 안전핀 체결공이 노출되게 상기 공이 단부를 관통시켜, 상기 제2 안전핀 체결공을 통하거나 직접 상기 공이의 제1 안전핀 체결공에 고정시키는 안전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상시 상기 안전핀을 제거하면 상기 공이가 탄성 압출되어 상기 분사 스위치를 가압시킴으로써 산소를 고정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 체결통공은 다각형 통공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공이에는 상기 공이 체결통공에 형합 삽입되는 다각형 머리를 형성시켜
    상기 상단케이스와 상기 공이를 관통하는 안전핀 삽입공을 일직선상에 쉽게 맞출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케이스에는
    외측에 상기 산소 분사통공에 연통되는 산소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산소 분사 노즐로 외부 호스를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케이스 또는 중단케이스에는
    노끈 결합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이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후드.
  8. 제3항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이 내부에 내장되며,
    입구부가 상기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의 안전핀과 연결되어 사용을 위해 입구부를 열면 상기 안전핀이 분리되어 내부에 산소가 공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대피후드.
KR1020180151014A 2018-11-29 2018-11-29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KR10194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14A KR101948814B1 (ko) 2018-11-29 2018-11-29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PCT/KR2019/014643 WO2020111538A1 (ko) 2018-11-29 2019-10-31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14A KR101948814B1 (ko) 2018-11-29 2018-11-29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814B1 true KR101948814B1 (ko) 2019-02-15

Family

ID=6536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014A KR101948814B1 (ko) 2018-11-29 2018-11-29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8814B1 (ko)
WO (1) WO20201115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538A1 (ko) * 2018-11-29 2020-06-04 최상봉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KR20230050031A (ko) *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다니엘 휴대용 공기호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258A (en) 1999-02-25 2000-12-05 Voege; John S. Oxygen delivery system
KR100527050B1 (ko) 2003-01-08 2005-11-09 박상복 기체 공급 장치
KR101862089B1 (ko) 2016-02-04 2018-05-29 원희정 휴대용 산소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505A (ja) * 2009-09-30 2013-02-28 エセックス ピー.ビー. アンド アール. コーポレーション 緊急呼吸装置
KR101872354B1 (ko) * 2017-05-22 2018-06-28 허욱 비상탈출용 방독면
KR101948814B1 (ko) * 2018-11-29 2019-02-15 최상봉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258A (en) 1999-02-25 2000-12-05 Voege; John S. Oxygen delivery system
KR100527050B1 (ko) 2003-01-08 2005-11-09 박상복 기체 공급 장치
KR101862089B1 (ko) 2016-02-04 2018-05-29 원희정 휴대용 산소마스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1538A1 (ko) * 2018-11-29 2020-06-04 최상봉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KR20230050031A (ko) *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다니엘 휴대용 공기호흡장치
KR102643144B1 (ko) * 2021-10-07 2024-03-05 주식회사 다니엘 휴대용 공기호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538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814B1 (ko) 고정 분사식 화재대피용 산소통 및 이를 사용하는 화재대피후드
KR101549684B1 (ko) 다인용 휴대 호흡기
KR101699514B1 (ko) 비상용 산소호흡기
KR200388729Y1 (ko)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KR102115151B1 (ko) 콕밸브가 구비된 소화기
US20080236687A1 (en) Coupling Device For A Compressed Gas Cylinder
KR100890907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2115414B1 (ko) 안전핀이 필요없는 소화기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KR102298628B1 (ko)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100914361B1 (ko) 교육용 소화장치
KR102111511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KR100243896B1 (ko) 투척용 소화기
KR200390186Y1 (ko) 공기호흡기장착 소화약제겸용장치
TWI535472B (zh) Fire extinguisher intake structure
KR101607577B1 (ko) 방독면이 장착된 분사기
KR100233296B1 (ko) 휴대용 소화기
CN207506883U (zh) 一种厨房自动灭火装置
JP2016083191A (ja) 補助消火機能を付加した市民消火栓
KR20090001152U (ko) 자동소화기용 실린더 밸브
KR100899884B1 (ko) 검거를 위한 휴대 전용 최루액 분사장치
US20100044058A1 (en) Non-collapsible foam extension hose
KR200408329Y1 (ko) 갈퀴의 탈착이 가능한 자동등짐펌프
KR102107701B1 (ko) 가스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