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95B1 - Support member - Google Patents

Support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695B1
KR102122695B1 KR1020197008329A KR20197008329A KR102122695B1 KR 102122695 B1 KR102122695 B1 KR 102122695B1 KR 1020197008329 A KR1020197008329 A KR 1020197008329A KR 20197008329 A KR20197008329 A KR 20197008329A KR 102122695 B1 KR102122695 B1 KR 10212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member
support member
space
vibration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9805A (en
Inventor
신이치 다케무라
다카유키 혼다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기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벽부를 구비하고, 공간 내에는, 당해 공간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한 제진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지지 부재.A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article in a stat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base end as a fixed end and the leading end as a free end, comprising a reinforcing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 and having a tube wall portion formed with a space therein, In the space, a support member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damping member is movable in the space is disposed.

Figure R1020197008329
Figure R1020197008329

Description

지지 부재Support member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n article.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지지 부재는, 기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물품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는, 강화 섬유 복합 섬유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As a support member which supports an article, what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known. This support member supports the article in a st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base end as a fixed end and the leading end as a free end.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reinforced fiber composite fiber material,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9661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7-196615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에 있어서는, 사용시에 있어서, 물품의 설치시나 철거시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a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an article with a base end as a fixed end and a leading end as a free end, vibration may occur during installation or removal of the article during use. Therefore, it is desired to suppress vibrations generated in the support member.

그래서, 본 발명은,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pport member capable of suppressing vibration.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는, 기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벽부를 구비하고, 공간 내에는, 당해 공간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한 제진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n article in a stat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base end as a fixed end and a free end as a free end, and includes a reinforced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 , A pipe damping member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a damping member capable of moving at least a part of the space are disposed in the space.

지지 부재에 있어서, 관벽부의 공간 내에는 제진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진 부재는, 공간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지지 부재의 진동시에는 공간 내에서 제진 부재가 이동하고, 당해 이동에 따라 관벽부와 충돌을 반복함으로써, 지지 부재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지지 부재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a damp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tube wall portion. At least a part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movable in the space. Therefore, when the support member is vibrated,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moves in the space, and by repeatedly colliding with the tub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attenuated.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suppressed by the above.

지지 부재에 있어서, 제진 부재는,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에 비해 변형되기 쉬운 변형 용이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 부재의 충격 흡수성이 향상된다.In the support membe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compared to a reinforced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hock absorbing property of the damping member is improved.

지지 부재에 있어서, 제진 부재는, 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 부재는 길이 방향의 일정 범위에 걸쳐서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제진 부재의 충격 흡수성이 향상된다.In the support membe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pace.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damping member can collide over a certain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ock absorbing property of the damping member is improved.

지지 부재에 있어서, 제진 부재는 관벽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관벽부의 공간 내에서 제진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the damping member may be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from being changed in the space of the tube wall portion.

지지 부재에 있어서, 제진 부재는, 관벽부에 대하여 비고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조시에 있어서, 제진 부재를 관벽부의 공간 내에 배치하기만 해도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진다.In the support membe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may be non-fixed with respect to the tube wall por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damping member may simply be placed in the space of the tube wall portion during manufacturing, manufacturing becomes easy.

지지 부재에 있어서, 제진 부재는, 공간 내에 있어서 선단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 부재의 진동은 선단측 쪽이 진폭이 크기 때문에, 당해 선단측에 제진 부재가 배치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on the tip side in the space. Since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has a large amplitude on the tip side,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can be efficiently attenuated by arranging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on the tip side.

지지 부재에 있어서, 제진 부재는, 선단측의 위치에서 관벽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가 선단측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으면, 제진 부재 전체로서의 위치가, 충격 흡수성이 양호한 선단측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the damping member may be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at a position on the tip end side.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fixed at the front end side pos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front end side having good shock absorption.

지지 부재에 있어서, 제진 부재의 부피 밀도는 0.02g/cm3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 부재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supporting member, the bulk density of the damping member may be 0.02 g/cm 3 or mor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지지 부재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지지 부재가 적용된 기판 수납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른 지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진 부재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제진 부재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제진 부재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관한 지지 부재의 제조 조건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실시예에 관한 지지 부재에서 사용한 프리프레그의 사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9의 (a)는, 지지 부재의 중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9의 (b)는 제진 부재의 사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0은, 제진 부재의 사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1의 (a)는 비교예의 진동 감쇠 성능의 측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1의 (b)는 실시예의 진동 감쇠 성능의 측정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조건 및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3은, 실시예의 조건 및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조건 및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5의 (a)는 실시예의 조건 및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15의 (b)는 실시예의 조건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6은, 실시예의 조건 및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7은, 폴리 로프의 사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18은, 폴리 로프의 길이와 진동 억제 스펙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관한 제진 부재의 사양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20은, 실시예의 조건 및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strate storage cassette to which a supporting memb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member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damping member.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damping member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damping members.
7 is a table showing manufacturing conditions of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8 is a table show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prepreg used in 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a)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upport member, and FIG. 9(b) is a table show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damping member.
10 is a table showing specifications of the damping member.
Fig. 11(a)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measurement results of vibration damping performan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Fig. 11(b)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measurement results of vibration damping performance of the example.
12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and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13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and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14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and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Fig. 15(a)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and measurement results of the examples, and Fig. 15(b)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of the examples.
16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and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17 is a table showing specifications of the poly rope.
18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poly rope and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s.
19 is a table showing specifications of the damp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0 is a table showing the conditions and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 in each drawing,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지지 부재(10)는,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10)를 기판 수납 카세트의 서포트 바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지지 부재(10)는 모든 용도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봇 핸드, 로봇 암, 자동 창고용 리프터, 물품 반송용 포크, 포크리프트의 갈고리 등에 적용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0 is a member for supporting an artic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member 10 is used as a support bar for a substrate storage cassette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0 can be used for all applications,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robot hands, robot arms, automatic warehouse lifters, fork for conveying goods, hooks of forklifts, and the lik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수납 카세트(1)는, 기판(S)을 수용하기 위한 직육면체 상자 형상의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의 일측벽에는, 하우징(2) 내에 대한 기판(S)의 반입 및 반출을 행하기 위한 개구(2a)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 내에는, 복수단(예를 들어 20 내지 30단)의 수납부(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판 수납 카세트(1)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며, 기판(S)으로서 유리 기판이 로봇 핸드에 의해 각 수납부(3)에 일시적으로 수납된다.As shown in FIG. 1, the board|substrate storage cassette 1 is equipped with the housing 2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hape for accommodating the board|substrate S. As shown in FIG. An opening 2a for carrying in and taking out the substrate S into the housing 2 i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housing 2. In the housing 2, a plurality of stages (for example, 20 to 30 stages) are provided with a storage portion 3. This substrate storage cassette 1 is used, for example,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s a substrate S, a glass substrate is temporarily stored in each storage unit 3 by a robot hand.

각 수납부(3)에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의 서포트 바로서 기능하는 지지 부재(10), 복수개(예를 들어 3개)의 사이드 바(4) 및 복수개(예를 들어 3개)의 사이드 바(5)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수납부(3)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지지 부재(10), 복수개의 사이드 바(4) 및 복수개의 사이드 바(5)에 의해 1매의 기판(S)이 수평으로 지지된다.Each storage part 3 includes a plurality of (for example 3) support members 10 functioning as support bars, a plurality of (for example 3) side bars 4 and a plurality (for example 3) ) Is provided with a side bar 5. Thereby, in each storage part 3, one board|substrate S is supported horizontally by the some support member 10, the some side bar 4, and the some side bar 5.

지지 부재(10)는, 개구(2a)에 대향하는 하우징(2)의 배면에 캔틸레버 상태로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지지 부재(10)는, 기단(10a)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10b)을 자유단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기판(S)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10)의 선단(10b)은, 개구(2a)의 근방에 이르고 있다.The support member 10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2 facing the opening 2a in a cantilever state,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support member 10 supports the substrate S in a stat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ase end 10a as a fixed end and the leading end 10b as a free end. The leading end 10b of the support member 10 reaches the vicinity of the opening 2a.

사이드 바(4)는, 개구(2a)에 대향하는 배면에 수직인 하우징(2)의 한쪽의 측면에 캔틸레버 상태로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사이드 바(4)는, 기단(4a)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4b)을 자유단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기판(S)의 한쪽의 테두리부를 지지한다. 사이드 바(4)의 선단(4b)은, 한쪽의 지지 부재(10)의 근방에 이르고 있다.The side bar 4 is fixed to the cantilever state on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facing the opening 2a,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side bar 4 supports on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S in a stat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ase end 4a as a fixed end and the leading end 4b as a free end. The front end 4b of the side bar 4 reaches the vicinity of one of the support members 10.

사이드 바(5)는, 개구(2a)에 대향하는 배면에 수직인 하우징(2)의 다른쪽의 측면에 캔틸레버 상태로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사이드 바(5)는, 기단(5a)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5b)을 자유단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기판(S)의 다른쪽의 테두리부를 지지한다. 사이드 바(5)의 선단(5b)은, 다른쪽의 지지 부재(10)의 근방에 이르고 있다.The side bar 5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pposite to the opening 2a in a cantilever state,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side bar 5 supports the other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S in a state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base end 5a as a fixed end and the leading end 5b as a free end. The front end 5b of the side bar 5 reaches the vicinity of the other support member 10.

상술한 지지 부재(1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사이드 바(4, 5)에 대해서도, 지지 부재(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1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Moreover,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support member 10 can also be adopted for the side bars 4 and 5.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는, 선단(10b)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중공 파이프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판(S)이 적재되어 지지 부재(10)의 선단(10b)이 하방으로 약간 휘었다고 해도,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수납부(3) 사이에 있어서 지지 부재(10)의 선단(10b)의 간격이 충분히 유지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구(2a)에 대향하는 하우징(2)의 배면에는, 후술하는 알루미늄 부재(15)에 해당하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 부재가 입설되어 있으며, 이 돌기 부재가 지지 부재(10)의 기단(10a)측의 단부에 삽입되고, 접착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알루미늄 부재(15)는, 하우징(2)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지지 부재(10)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부재(10)는,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공간(21)(도 2 참조)이 형성된 관벽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10)는, 기단(10a)측에, 곧게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10A)를 갖고, 선단(10b)측에, 선단(10b)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10B)를 갖고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부(10A) 중, 기단(10a)으로부터 소정 치수의 영역에는, 상술한 알루미늄 부재(15)가 삽입되어 있다. 알루미늄 부재(15)는, 중실 또는 중공의 막대 형상 부재이며, 중공인 관벽부(20)의 내부 공간(21)을 매립하도록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member 10 is a tapered hollow pipe whose tip is tapered toward the tip 10b. Thereby, even if the board|substrate S is loaded and the front end 10b of the support member 10 is slightly bent downward, the front end 10b of the support member 10 is located between the accommodating parts 3 adjoining up and down. ) Is sufficiently maintain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cylindrical projection member corresponding to the aluminum member 15 to be described later is plac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2 facing the opening 2a, and the projection member is a support member. It is inserted into the end portion of the base end 10a side of (10) and is fixed to each other by adhesi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luminum member 15 has a base portion fixed to the housing 2 by a bolt or the like, and a rod-shaped portion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1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member 10 is made of a reinforced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 and includes a tube wall portion 20 in which a space 21 (see FIG. 2) is formed. The support member 10 has a straight portion 10A extending straight on the base end 10a side, and a tapered portion 10B tapering toward the tip 10b on the tip end 10b side. . Moreover, the aluminum member 15 mention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area|region of predetermined dimension from the base end 10a among the straight parts 10A. The aluminum member 15 is a solid or hollow rod-shaped member and is provided to fill the inner space 21 of the hollow tube wall portion 2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벽부(20)는, 기단(10a)으로부터 선단(10b)에 걸쳐서 연장되는 원형관 형상(환언하면, 원통 형상)의 내측층(1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측층(11)의 상측 및 하측은, 기단(10a)으로부터 선단(10b)에 걸쳐서 연장되는 단면 원호 형상의 외측층(14)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원호 형상의 외측층(14)의 단면 원주 방향의 길이는, 원주의 대략 1/4에 상당하는 길이, 즉 각도로는 대략 90°에 상당하는 길이가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외측층(14)을 생략해도 된다.As shown in FIG. 3, the tube wall part 20 is provided with the inner layer 11 of the circular tube shape (in other words, cylindrical shape) extending from the base end 10a to the front end 10b.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layer 11 are covered by an outer layer 14 having a circular arc shape in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the base end 10a to the front end 10b. In addition, the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rc-shaped outer layer 14 may be a length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1/4 of the circumference, that is, an angle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90°. In addition, the outer layer 14 may be omitted.

내측층(11) 및 외측층(13, 14)은,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로서, 유리 섬유 강화 수지(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나 탄소 섬유 강화 수지(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등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내측층(11) 및 외측층(13, 14)은, 1매 또는 복수매의 프리프레그가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e inner layer 11 and the outer layers 13 and 14 are made of a reinforced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 Reinforced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s include fiber reinforced plastics such as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GFRP) and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The inner layer 11 and the outer layers 13 and 14 are configured by laminating one or a plurality of prepregs.

탄소 섬유 강화 수지의 섬유는, PAN계 탄소 섬유(인장 탄성률: 230 내지 600GPa) 또는 피치계 탄소 섬유(인장 탄성률: 600 내지 900GPa)이어도 된다. 탄소 섬유 강화 수지 시트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로서는, 일방향 프리프레그, 직물 프리프레그 등이 사용된다. 일방향 프리프레그는, 섬유가 일방향으로만 배향된 프리프레그이며, 강도 및 강성을 얻고자 하는 부위에 사용되어도 된다. 직물 프리프레그는, 평직, 능직 등이 된 프리프레그이며, 원형관 형상의 지지 부재에 대하여 반경 방향 하중을 부하한 경우의 깨짐의 발생의 방지, 기판을 받아들기 위한 받침 부재 설치용의 구멍 등의 기계 가공 부위에서의 버 발생의 방지를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탄소 섬유 강화 수지 시트에 함침되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시아네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채용되어도 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채용되어도 된다. 탄소 섬유 강화 수지 시트의 섬유 단위 면적당 중량은, 25 내지 500g/m2로 설정되어도 된다. 탄소 섬유 강화 수지 시트의 수지 함유율은, 18 내지 50wt%로 설정되어도 된다. 탄소 섬유 강화 수지 시트의 두께는, 0.03 내지 0.5mm로 설정되어도 된다.The fibers of the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may be PAN-based carbon fibers (tensile modulus: 230 to 600 GPa) or pitch-based carbon fibers (tensile modulus: 600 to 900 GPa). As the prepreg constituting the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sheet, a one-way prepreg, a fabric prepreg, or the like is used. The unidirectional prepreg is a prepreg in which fibers are oriented only in one direction, and may be used for a site to obtain strength and rigidity. The fabric prepreg is a prepreg made of plain weave, twill, etc., and prevents occurrence of cracking when a radial load is applied to a circular tube-shaped support member, and a machine such as a hole for installing a support member for receiving a substrate It may be us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urrs at the processing site. As the resin impregnated into the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sheet,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epoxy resins, phenol resins, cyanate resin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imide resins, and bismaleimide resins may be employed, and thermoplastic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Resin may be employed. The weight per fiber unit area of the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sheet may be set to 25 to 500 g/m 2 . The resin content ratio of the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sheet may be set to 18 to 50 wt%. The thickness of the carbon fiber reinforced resin sheet may be set to 0.03 to 0.5 mm.

유리 섬유 강화 수지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로서는, 일방향 프리프레그, 직물 프리프레그 등이 사용된다. 유리 섬유 강화 수지에 함침되는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시아네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채용되어도 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채용되어도 된다. 유리 섬유 강화 수지의 섬유 단위 면적당 중량은, 25 내지 500g/m2로 설정되어도 된다. 유리 섬유 강화 수지의 수지 함유율은, 18 내지 50wt%로 설정되어도 된다. 유리 섬유 강화 수지의 두께는 0.03 내지 0.5mm로 설정되어도 되고, 0.1mm 이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As the prepreg constituting the glass fiber reinforced resin, a one-way prepreg, a fabric prepreg, or the like is used. As the resin impregnated with the glass fiber reinforced resin,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epoxy resins, phenol resins, cyanate resin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imide resins and bismaleimide resins may be employed, and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May be employed. The weight per fiber unit area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resin may be set to 25 to 500 g/m 2 . The resin content ratio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resin may be set to 18 to 50 wt%. The thickness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resin may be set to 0.03 to 0.5 mm, or may be set to 0.1 mm or mor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21) 내에는, 당해 공간(21)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한 제진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제진 부재(30)는, 지지 부재(10)의 진동에 따라 공간(21)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관벽부(20)와 충돌을 반복하여, 지지 부재(10)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진 부재(30)는, 지지 부재(10)의 진동에 따라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벽부(20)의 하단측에 충돌하고,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관벽부(20)의 상단측에 충돌한다. 또한, 제진 부재(30)는, 관벽부(20)의 가로 방향의 단부측에 충돌해도 된다.As shown in FIG. 4, in the space 21, the damping member 30 at least partially movable in the space 21 is disposed.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a member for repeatedly damping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by repeatedly colliding with the tube wall portion 20 by moving in the space 21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damping member 30 collides with the lower end side of the tube wall portion 20 as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is indicated by a virtual line It collides against the upper side of the tube wall portion (20). Furthe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may collide with the end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ube wall portion 20.

제진 부재(30)는, 강화 섬유 복합 재료에 비해 변형되기 쉬운 변형 용이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변형 용이 재료란, 금속 등과 같이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가 아니라, 소정의 힘으로 압박됨으로써 변형될 정도로 낮은 강성을 갖는 재료이다. 예를 들어, 변형 용이 재료로서, 수지 재료, 탄성 재료, 발포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재료로서, 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탄성 재료로서,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 재료로서, 폴리스티렌, 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compared to a reinforcing fiber composite material. The easily deformable material is not a material having a high rigidity such as metal, but a material having a rigidity low enough to be deformed by being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an elastic material, a foam material, etc. are mentioned as an easily deformable material. Vinyl, polyester, polystyrene, urethane, etc. are mentioned as a resin material. Examples of the elastic material include rubber and silicone rubber. Polystyrene, urethane, etc. are mentioned as a foam material.

제진 부재(30)는, 공간(21) 내에서 관벽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진 부재(30)는, 끈 형상, 봉 형상의 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진 부재(30)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각형, 성형, 이형 등 어느 형상이어도 되고, 중실이어도 중공이어도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는 하나의 끈체여도 되고, 복수의 끈체로 구성되어도 되고, 섬유 형상인 것을 짠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는, 긴 형상을 관벽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시킨 상태에서, 공간(21)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단, 끈 상의 제진 부재(30)를 접어서 공간(21) 내에 배치해도 된다.The damping member 30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wall portion 20 in the space 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damping member 30 may have a string shape or a rod-shaped elongate shape.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may be any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a molding shape, a mold release shape, or a solid shape, a hollow shape, or any shape. In addition,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one string body, may consist of a plurality of string bodies, or may be woven in a fibrous shape. Furthe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21 in a state in which the elongated shape is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wall portion 20. However, the damping member 30 on a string may be folded and placed in the space 21.

단, 제진 부재(3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진 부재(30)는 선단에 설치된 봉, 판, 파이프의 형상을 갖는 것이며, 그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 중공, 중실과 같은 형상이어도 된다.However, the damping member 30 may not have a configura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damping member 30 has a shape of rods, plates, and pipes installed at the tip, and its cross-sectional shape may be a shape such as square, rectangular, circular, elliptical, hollow, solid.

제진 부재(30)는, 관벽부(20)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진 부재(30)는, 고정 부재(31)를 통해 관벽부(20)에 고정되어도 된다. 고정 부재(31)는 관벽부(2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진 부재(30)는 당해 고정 부재(31)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31)는, 관벽부(20)의 내경 이상의 치수로 구성됨으로써, 관벽부(20)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어도 된다. 혹은, 고정 부재(31)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관벽부(20)에 고정되어도 된다. 고정 부재(31)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발포 스티롤(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에틸렌, 우레탄폼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의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관벽부(20)의 공간(21) 내에 제진 부재(30)를 걸림 결합시키는 걸림 결합부를 마련하고, 당해 걸림 결합부에 제진 부재(30)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를 접착제 등으로 관벽부(20)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를 관벽부(20)에 고정하는 경우는, 제진 부재(30) 전체를 관벽부(20)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제진 부재(30)의 일부분이 관벽부(2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해지도록, 제진 부재(30)의 일부를 관벽부(20)에 고정한다.The damping member 30 may be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through the fixing member 31. The fixing member 31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wall portion 20, and the damp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31. The fixing member 31 may be fixed by a frictional force with the tube wall portion 20 by being configured with a dimension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e wall portion 20. Alternatively, the fixing member 31 may be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The material of the fixing member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de of expanded styrene (polystyrene), expanded polyethylene, urethane foam,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xing method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locking engagement portion for engaging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n the space 21 of the pipe wall portion 20 is provided, and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 30) may be fixed by engaging. Further,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fixing the damping member 30 to the pipe wall portion 20, rather than fixing the entire damping member 30 to the pipe wall portion 20, at least a part of the damping member 30 is a pipe wall portion 20 ), a part of the damp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so as to be movable.

혹은, 제진 부재(30)는, 관벽부(20)에 대하여 비고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진 부재(30)를 관벽부(20)의 내면 상에 단순히 적재하기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진 부재(30)가 끈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을 때에는, 제진 부재(30)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시킨 상태에서, 관벽부(20) 내에 적재하기만 해도 된다.Alternatively,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non-fixed with respect to the tube wall portion 20. That is, the damping member 30 may simply be loa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wall portion 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has a string-like shape, in the state in which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ube wall portion 20 ).

제진 부재(30)는, 공간(21) 내에 있어서, 선단(10b)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도 4, 도 5의 (a), (b)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진 부재(30)가, 공간(21)에 있어서의 선단(10b) 부근의 영역에 배치되어도 된다. 단, 제진 부재(30)의 공간(21) 내에 있어서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진 부재(30)가 공간(21) 중 기단(10a)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혹은, 제진 부재(30)가 공간(21) 중, 지지 부재(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 부근에 배치되어도 된다.The damping member 3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21 at a position on the tip end 10b side. That is, as shown in Figs. 4, 5 (a), (b), and 6 (b), the damping member 30 is located in an area near the tip 10b in the space 21. It may be arranged. However,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n the space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the base end of the space 21 ( It may be arranged on the 10a) side. Alternatively,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21 near the center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제진 부재(30)는, 선단(10b)측의 위치에서 관벽부(20)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진 부재(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긴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정 부재(31)를 길이 방향을 따른 어느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1)는, 제진 부재(30) 중 가장 선단(10b)측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 부재(30) 중, 선단(10b)측의 단부 부근의 부분은, 지지 부재(10)의 진동에 따라 공간(21) 내를 이동 가능하다. 단, 제진 부재(30)를 어느 부분에서 고정할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진 부재(30) 중 어느 위치에서 고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0)는, 기단(10a)측의 단부에서 고정해도 되고, 제진 부재(30) 중 중앙 위치 부근에서 고정되어도 된다.The damping member 30 may be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at a position on the tip end 10b side. That is, since the damping member 30 has a long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member 31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fixing member 3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por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at the most distal end 10b side. With this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near the end portion on the tip end 10b side can move within the space 21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However, in which par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to be fix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ixed at any position among the vibration damping members 30.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10 may be fixed at the end of the base end 10a side, or may be fixed near the central position among the damping members 30.

제진 부재(30)의 형상으로서 긴 부재를 채용하는 경우, 제진 부재(30)의 길이(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부분의 길이)는 제진 부재(30)가 지지 부재(10)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경우 50mm 이상이어도 되고, 100mm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가 지지 부재(10)의 기단측에 배치되는 경우, 제진 부재(30)의 길이를 750mm 이상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길이로 설정함으로써, 제진 부재(30)는 충분히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진 부재(30)의 길이는, 지지 부재(10) 전체의 길이에 대하여 3% 이상이어도 되고, 6%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의 길이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지 부재(10)의 공간 내 전부에 삽입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의 횡단면의 직경(원 이외의 형상인 경우에는 평균 직경)은 1.5mm 이상이어도 되고, 2mm 이상이어도 된다. 제진 부재(30)의 직경 혹은 수직 방향의 높이는, 지지 부재(10)의 내측 치수에 대하여 8.0% 이상이어도 되고, 94% 이하여도 된다. 이러한 직경으로 설정함으로써, 제진 부재(30)는 충분히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진 부재(30)의 직경의 상한값은, 적어도 관벽부(20) 내에서 제진 부재(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관벽부(20)의 내경 이하의 치수여도 된다.When a long member is employed as the shape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the length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the length of the freely movable portion excluding the fixed portion) is determined by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being the support member 10. When disposed on the tip side, it may be 50 mm or more, or 100 mm or more. Moreover, when the damping member 30 is arrange|positioned at the bas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 the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750 mm or more. By setting this length,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can sufficiently suppress vibration. The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3% or more, or 6% or more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10. Moreover,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3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you may insert it in the whole space of the support member 10.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n the case of a shape other than a circle, the average diameter) may be 1.5 mm or more, or 2 mm or more. The diameter of the damping member 30 or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8.0% or more, or 94% or less, of the inner dimension of the support member 10. By setting this diameter,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can sufficiently suppress vibration.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diameter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may be a dimension equal to or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wall portion 20 so tha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can move at least within the pipe wall portion 20.

제진 부재(30)의 부피 밀도는 0.02g/cm3 이상이어도 되고, 0.03g/cm3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진 부재(30)의 부피 밀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83g/cm3 이하여도 된다.The volume density of the damping member 30 may be 0.02 g/cm 3 or more, or 0.03 g/cm 3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bulk density of the damping memb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83 g/cm 3 or less.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supporting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관벽부(20)의 공간(21) 내에는 제진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진 부재(30)는, 공간(21)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지지 부재(10)의 진동시에는 공간(21) 내로 제진 부재(30)가 이동하고, 당해 이동에 따라 관벽부(20)와 충돌을 반복함으로써, 지지 부재(10)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지지 부재(10)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mping member 30 is disposed in the space 21 of the tube wall portion 20. At least a part of the damping member 30 is movable in the space 21. Therefore, when the support member 10 is vibrated,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moves into the space 21, and by repeatedly colliding with the tube wall 20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is attenuated. Can be.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can be suppressed by the above.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제진 부재(30)는, 강화 섬유 복합 재료에 비해 변형되기 쉬운 변형 용이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 부재(30)의 충격 흡수성이 향상된다. 제진 부재(30)로서, 예를 들어 금속의 부재를 채용한 경우, 중량의 증가에 더하여, 제진 특성이 의외로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금속의 부재를 지지 부재(10)의 선단에 배치한 경우, 금속 재료는 일반적으로 강성이 높기 때문에, 금속의 부재는 진동에 의해서도 지지 부재(10) 내부의 관벽에 반복하여 충돌하기 어렵다. 따라서, 금속의 부재를 제진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은, 진동을 억제하는 것으로는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금속의 부재를 제진 부재로서 사용하는 것은, 지지 부재(10)의 선단에 중량물을 설치하는 것도 되기 때문에, 지지 부재(10)의 고유 진동수의 저하를 초래하여, 예상대로의 진동의 수렴 거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제진 부재(30)로서 변형 용이 재료로 구성된 것을 채용한 구성은, 금속 부재를 제진 부재로 한 구성에 비해 적합하게 충격 흡수를 행할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able compared to the reinforcing fiber composite material. By such a structure, the shock absorption of the damping member 30 is improved. As a damping member 30, for example, when a metal member is employed, in addition to an increase in weight, the damping properties may not be unexpectedly exhibited. That is, when the metal member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support member 10, the metal material is generally highly rigid, so that the metal member is difficult to repeatedly collide against the tube wall inside the support member 10 even by vibration. Therefore, using a metal member as a vibration damping member may not lead to suppressing vibration. In addition, the use of a metal member as a vibration damping member may also provide a heavy object at the tip of the support member 10,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converging behavior of vibration as expected. There are cases that do not lead to. On the other hand, a structure employing a vibration damping member 30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able can absorb shock more appropriately than a metal vibration damping member.

여기서, 지지 부재의 제진 구조로서, 지지 부재의 선단에 탄성체를 통해 중량체를 배치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단, 당해 구성에 있어서는, 중량체부의 고유 진동수와 지지 부재 자체(파이프 자체)의 고유 진동수의 관계를 조정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즉, 지지 부재가 흔들리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중량체가 흔들리도록, 탄성체의 길이, 탄성률, 중량체의 질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지 부재 단독으로 보면, 기판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와 무적재된 상태에서는 그의 고유 진동수가 변화된다. 따라서, 소정의 탄성체 및 중량체의 조합을 배치한 경우, 기판 적재시에는 제진 효과가 높아도, 무적재된 경우에는 반대로 공진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진동이 언제까지라도 수렴되지 않거나, 무적재된 경우에는 제진 효과가 높아도, 기판 적재시에는 반대로 공진 상태가 되어, 진동이 언제까지라도 수렴되지 않는 사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서는, 기판 적재, 무적재에 관계없이 지지 부재의 제진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as a damp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a configuration in which a weight body is arranged through an elastic body at the tip of the support member is considered.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weight part and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upport member itself (pipe itself). That is,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the modulus of elasticity, and the mass of the weighted body so that the weighted body is shak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ing member is shaken. In particular, when viewed from the support member alone, its natural frequency changes when the substrate is loaded and in the unloaded state. Therefore, when a combination of a predetermined elastic body and a weight body is arranged, even if the damping effect is high when the substrate is stack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onance state is reversed when not loaded. In such a case, even if the vibration does not converge forever, or when the vibration-reduction effect is high when not loaded, the vibration may conversely occur when the substrate is loaded, and vibration may not converge forever. In contrast, 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vibration damping performance of the support member regardless of the substrate loading and unloading.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제진 부재(30)는, 공간(2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 부재(30)는, 길이 방향의 일정 범위에 걸쳐서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제진 부재(30)의 충격 흡수성이 향상된다.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space 21.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damping member 30 can collide over a certain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ock absorbing property of the damping member 30 is improved.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제진 부재(30)는 관벽부(20)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관벽부(20)의 공간(21) 내에서 제진 부재(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amping member 30 from being changed in the space 21 of the tube wall portion 20.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제진 부재(30)는 관벽부(20)에 대하여 비고정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조시에 있어서, 제진 부재(30)를 관벽부(20)의 공간(21) 내에 배치하기만 해도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진다.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not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damping member 30 may simply be placed in the space 21 of the tube wall portion 20 during manufacturing, manufacturing is facilitated.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제진 부재(30)는, 공간(21) 내에 있어서 선단(10b)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10)의 진동은 선단(10b)측 쪽이 진폭이 크기 때문에, 당해 선단(10b)측에 제진 부재(30)가 배치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disposed in the space 21 at a position on the tip 10b side. Since the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10 has a larger amplitude on the tip 10b side,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disposed on the tip 10b side, whereby vibration can be attenuated efficiently.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제진 부재(30)는, 선단(10b)측의 위치에서 관벽부(20)에 고정되어 있다. 제진 부재(30)가 선단(10b)측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으면, 제진 부재(30) 전체로서의 위치가, 충격 흡수성이 양호한 선단측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b)와 같이, 제진 부재(30)가 선단(10b)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기단(10a)측에서 고정되어 있는 경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제진 부재(30) 중 선단(10b)측에 배치되어 있었던 부분이, 서서히 기단(10a)측의 고정 부재(31)측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선단(10b) 부근에서의 제진 부재(30)의 진동 억제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5의 (a)와 같이, 선단(10b)측에서 제진 부재(30)가 고정되어 있으면, 적어도 제진 부재(30)가 선단(10b) 부근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supporting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mping member 30 is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20 at a position on the tip end 10b side.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fixed at the position of the tip 10b sid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osi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as a whole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tip end having good shock absorp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b),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is disposed on the front end 10b side and is fixed on the base end 10a side,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 3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rtion disposed on the tip 10b side gradually approaches the fixing member 31 on the base 10a side.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ibration suppressing effect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30 near the tip 10b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a), if the damping member 30 is fixed on the tip 10b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t least the damping member 30 from moving away from the vicinity of the tip 10b.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부재(10)에 있어서, 제진 부재(30)의 부피 밀도는 0.02g/cm3 이상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진 부재(30)의 충격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support memb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lk density of the damping member 30 is 0.02 g/cm 3 or mor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hock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damping member 30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진 부재의 형상이나 크기나 배치는, 지지 부재의 감쇠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ny configuration may be adopted for the shap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as long as the damping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reduced.

[실시예] [Example]

이어서, 지지 부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단, 지지 부재는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examples of the supporting member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upport member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지지 부재의 구성) (Configuration of support member)

지지 부재의 전체 길이를 1850mm(도 1의 「서포트 바 전체 길이」의 치수)로 하고, 이 중 스트레이트부를 310mm(도 1의 「기초부 스트레이트 길이」의 치수)로 하였다. 또한, 기단측의 스트레이트부의 장경(수직 방향의 직경)을 22mm로 하고, 선단의 장경(수직 방향의 직경)을 15mm로 하였다. 테이퍼부에 대해서는, 선단을 향해 22mm부터 15mm로 직경이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하였다. 알루미늄 부재의 삽입 길이에 대해서는 282mm, 200mm, 150mm(도 1의 「알루미늄 삽입 길이」의 치수)의 3타입의 길이를 준비하였다.The total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was 1850 mm (dimension of "full length of the support bar" in FIG. 1), of which the straight portion was 310 mm (dimension of "base straight length" in FIG. 1). In addition, the long diameter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raight portion at the base end was 22 mm, and the long diameter (diame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ip was 15 mm. For the tapered portion, the diameter was inclined to decrease at a constant rate from 22 mm to 15 mm toward the tip. As for the insertion length of the aluminum member, three types of lengths of 282 mm, 200 mm, and 150 mm (dimensions of "aluminum insertion length" in Fig. 1) were prepared.

지지 부재의 관벽부를 CFRP의 시트를 복수 적층함으로써 구성하였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각 층에 No1 내지 No5로 번호를 부여하고, 각 층에 있어서의 조건을 도 7에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의 표에 있어서의 「적층 각도」는, 지지 부재의 축 방향에 대한 섬유의 각도이다. 「PPG」는, 프리프레그의 형식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MPT」는, 프리프레그 1매당의 성형 후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PLY수」는, 프리프레그의 적층 매수를 나타내고 있다. 「적층 위치」는, 시트의 설치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시트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감고 있거나(도 3의 내측층(11)에 대응), 상하의 단부만 감고 있거나 하는 것을(도 3의 외측층(14)에 대응)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각 프리프레그의 사양의 상세한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AFW」란 강화 섬유의 단위 면적당의 중량을 나타내고, 「RC」란 프리프레그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수지의 중량 비율을 나타내고, 「GF」란 유리 파이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The tube wal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was construct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sheets of CFRP. Each layer is numbered No1 to No5 from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o the outer side, and the conditions in each layer are shown in FIG. 7. In addition, "lamination angle" in the table|surface of FIG. 7 is the angle of the fiber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a support member. "PPG" represents the prepreg model number. "MPT" represents the thickness after molding per sheet of prepreg. "PLY number" indicates the number of layers of prepregs. The "lamination position" indicates the installation situation of the sheet, and whether the sheet is woun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layer 11 in FIG. 3) or only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wound (the outer layer 14 in FIG. 3). )). 8 show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s of each prepreg. "AFW" in FIG. 8 represents the weight per unit area of the reinforcing fibers, "RC" represents the weight ratio of the matrix resin contained in the prepreg, and "GF" represents the state of the glass fiber.

(강성 및 중량) (Stiffness and weight)

상술한 제조 조건으로, 알루미늄 부재의 삽입 길이를 282mm, 200mm, 150mm로하여 지지 부재를 3개 준비하였다. 이들 지지 부재의 선단에 300gf의 부하를 부여하고, 휨을 측정하였다. 「하중 휨」이 6mm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서포트 바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알루미늄 삽입 길이의 지지 부재에 대해서도 휨이 6mm가 되고, 「하중 휨±6mm」이라는 조건을 만족하였다. 한편, 중량에 대해서는, 450g 이하인 것이 서포트 바로서는 보다 바람직하지만,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삽입 길이 150mm인 경우에, 중량을 450g 이하로 할 수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삽입 길이 200mm의 중량은 450g이었지만, 제진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450g보다 커진다. 따라서, 이하의 각 실험에서는, 알루미늄 삽입 길이를 150mm로 하였다.Under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conditions, three supporting members were prepared with the insertion length of the aluminum members being 282 mm, 200 mm, and 150 mm. A load of 300 gf was applied to the tip of these support members, and the warpage was measured. It is more preferable as a support bar that the "load bending" satisfies the condition of 6 mm or less. As shown in Fig. 9(a), the bending was 6 mm for any supporting member having an aluminum insertion length, and the condition of "load bending ±6 mm" was satisfied.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weight, 450 g or less is more preferable as a support bar, but as shown in Fig. 9A, when the aluminum insertion length is 150 mm, the weight can be 450 g or less. Further, the weight of the aluminum insert length of 200 mm was 450 g, but when inserting the damping member, it was larger than 450 g. Therefore, in each of the following experiments, the aluminum insertion length was set to 150 mm.

(비교예 및 실시예)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알루미늄 삽입 길이를 150mm로 하고, 상술한 제조 조건으로 지지 부재를 준비하였다. 이 중, 제진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지지 부재를 비교예로 하고, 각종 조건에 관한 제진 부재를 배치한 것을 실시예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건에 관한 제진 부재를 갖는 지지 부재로서, 실시예 1 내지 26을 준비하였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건에 관한 제진 부재를 갖는 지지 부재로서, 실시예 31 내지 36을 준비하였다. 「제진 부재」의 항목에서는, 채용한 제진 부재의 품명을 나타내고 있다. 각 품명의 사양은, 도 9의 (b)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삽입 위치」는, 지지 부재의 내부의 공간 내에 있어서의, 제진 부재를 배치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당해 항목에 있어서 「선단」의 경우에는, 지지 부재의 선단과 제진 부재의 선단이 일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안쪽」의 경우에는, 지지 부재의 기단과 제진 부재의 기단측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삽입 길이」의 항목에서는, 제진 부재를 지지 부재 내에서 연장시켰을 때의 전체 길이의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의 항목에서는, 제진 부재의 고정의 유무와, 고정 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선단 고정」의 경우에는, 지지 부재의 기단의 위치에 고정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진 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고정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투명 튜브 B를 사용한 경우에는, 직경 13mm의 원기둥형 발포 스티롤에 직경 7mm의 원형 오목부를 부여하고, 여기에 투명 튜브를 삽입함으로써 고정하였다. 폴리 로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직경 13mm의 원기둥형 발포 스티롤을 지지 부재의 선단부에 압입하고, 이 때에 폴리 로프마다 동시에 끼워 넣음으로써 고정하였다. 「비용」의 항목에서는, 제진 부재에 관한 비용을 나타내고 있다. 「총 중량」의 항목에서는, 제진 부재를 포함한 지지 부재의 합계의 중량을 나타내고 있다.The aluminum insertion length was set to 150 mm, and a supporting member was prepared under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conditions. Among them, a support member without a damping member was used as a comparative example, and a damping member with various conditions was arranged as an example. Specifically, Examples 1 to 26 were prepared as support members having a damping memb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s shown in FIGS. 12 and 13. Further, Examples 31 to 36 were prepared as support members having a damping memb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s shown in Fig. 14. In the item "vibration damping member", the product name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employed is shown. The specifications of each product name are shown in Figs. 9B and 10. "Insert position" indicates the position in which the damp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space inside the support member. In the said item, in the case of "tip", it shows that it arrange|positioned so that the front end of a support member and the front end of a damping member may match. In the case of "inside", the base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end of the base end side of the damping member are arranged to coincide. The item of "insertion length" shows the dimension of the entire length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extended in the support member. The item "fixed"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fixed and where it is fixed. In the case of "tip fixing", it shows that the damping member is being fixed in a state where the fix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bas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As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xing member, in the case of using the transparent tube B, a circular concave portion having a diameter of 7 mm was provided to a cylindrical foamed styrol having a diameter of 13 mm, and was fixed by inserting a transparent tube therein. In the case where a poly rope was used, a cylindrical foamed styrol having a diameter of 13 mm was press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at this time, it was fixed by inserting each poly rope at the same time. In the item of "cost", the cost related to the damping member is shown. In the item of "total weight", the total weight of the supporting members including the damping member is shown.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건에 관한 제진 부재를 갖는 지지 부재로서, 실시예 37 내지 40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37 내지 40에서는, 제진 부재로서 「실리콘 튜브 C」를 채용하였다. 「실리콘 튜브 C」의 사양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삽입 위치」는 모두 「안쪽」, 즉 지지 부재의 기단이었다. 「고정」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진 부재는, 지지 부재의 기단측에 마련되어 있는 알루미늄 부재에 고정되었다. 기타 조건은,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였다.Moreover, Examples 37-40 were prepared as a support member which has a damping member regarding the conditions as shown in FIG. In Examples 37 to 40, "silicon tube C" was adopted as a vibration damping member. The specification of "silicon tube C" is shown in FIG. The "insertion position" was all "inside", that is, the base of the support member. As shown in "fixation", the damping member was fixed to the aluminum member provid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Other conditions were the same as in the other examples.

(진동 감쇠 특성)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굴곡 진동 감쇠 특성 평가 장치를 사용하여, 진동 감쇠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장치에서는, 지지 부재의 기단을 고정함으로써 캔틸레버 고정 상태로 하였다. 레이저 변위계로 진동시의 지지 부재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의 샘플링 간격을 1msec로 하고, 샘플링 포인트수를 40000포인트로 설정하고, 측정 시간을 40sec로 설정하였다. 당해 설정 조건으로, 지지 부재의 선단에 900gf의 부하(초기 휨은 약 18mm)를 부여하고, 당해 부하를 해제한 후, 지지 부재의 선단의 진폭이 ±7.5mm가 된 상태로부터 진폭이 ±1.5mm 이하가 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진동 억제 스펙으로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의 일례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의 (a)에 비교예의 감쇠 모습이 도시되고, 도 11의 (b)에 실시예의 감쇠 모습이 도시된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휨이 감쇠되는 속도가 느리고,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빠르게 휨이 작아져 있다. 도 12 내지 14에서는, 「진동 억제 스펙」의 항목에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평가」의 항목에서는, 진동 억제 스펙이 5초 이하인 것이, 진동 억제 효과가 특히 큰 것으로서 「○」라 평가하였다. 또한, 진동 억제 스펙이 5초보다 크지만, 적어도 비교예보다 작은 것을 「△(감쇠)」라 평가하였다. 또한, 총 중량이 450g보다 큰 것은, 「△(중량)」이라 평가하였다. 도 12 내지 14 및 도 2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진 부재를 지지 부재의 내부의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적어도 비교예보다는 진동 억제 스펙이 향상되어 있다. 이로부터, 제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지지 부재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The vibration damping property was measured using a flexural vibration damping property evaluation device. In this apparatus, the cantilever was fixed by fixing the base end of the support member. The displacement of the support member during vibration was measured with a laser displacement meter. The sampling interval of the measurement was 1 msec, the number of sampling points was set to 40000 points, and the measurement time was set to 40 sec. Under the set conditions, a load of 900 gf (initial bending is about 18 mm) was applied to the tip of the support member, and after the load was released, the amplitude was ±1.5 mm from the state where the amplitude of the tip of the support member became ±7.5 mm. The time required until the following was measured was measured as a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Fig. 11 shows an example of the measurement result. The attenuation of the comparative example is shown in FIG. 11(a), and the attenuation of the embodiment is shown in FIG. 11(b). As shown in Fig. 11(a),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speed at which the decay is attenuated is slow, and as shown in Fig. 11(b), the deflection is rapidly reduced in the embodiment. 12-14, the measurement result is shown in the item of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e item of "evaluation", a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of 5 seconds or less was evaluated as "○" as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was particularly large. Moreover, although the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was larger than 5 seconds, at least smaller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was evaluated as "Δ (attenuation)". In addition, what was larger than 450 g was evaluated as "△ (weight)". As understood from FIGS. 12 to 14 and 20, the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is improved at least a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by arranging the damping member in the space inside the support member. From this, it is understood that vibration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suppressed by using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제진 부재의 선정) (Selection of damping member)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12에 대하여 평가를 행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제진 부재의 선정을 행하였다. 이 중, 실시예 3의 투명 튜브 A에서는 진동 억제 스펙이 0.25초가 되고, 실시예 12의 폴리 로프에서는 진동 억제 스펙이 0.68초가 되고, 높은 제진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3의 투명 튜브 A에서는, 총 중량의 면에서 조건을 상회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제진 부재는 어느 정도의 무게가 있으며, 지지 부재 내에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직경으로 설정함으로써, 충분한 진동 억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제진 부재로서 투명 튜브 및 폴리 로프를 채용하면, 보다 진동 억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튜브, 저발포 스티롤, 띠 형상 부직포, 면끈, 펠트재를 사용한 경우에도 진동 억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By evaluating Example 1, Example 2, Example 3, and Example 12, more suitable damping members were selected. Among them, in the transparent tube A of Example 3, the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became 0.25 seconds, and in the poly rope of Example 12, the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became 0.68 seconds, and showed high vibration damping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e transparent tube A of Example 3, conditions were exceeded in terms of the total weight. From these results, it is understood tha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has a certain amount of weight, and that sufficient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by setting it to a diameter sufficiently movable within the support membe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if a transparent tube and a poly rope are employed as the damping member,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it is understood that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even when a silicone tube, low-foamed styrol, band-shaped nonwoven fabric, cotton string, or felt material is used.

(제진 부재의 위치) (Position of damping member)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에 대하여 평가를 행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제진 부재의 위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시예 4와 실시예 5 및 실시예 6과 실시예 7에서는, 제진 부재가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는지,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에서만 조건이 상이하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측에 제진 부재를 배치한 쪽이 진동 억제 스펙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제진 부재를 지지 부재의 선단측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진동 억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By evaluating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and Example 7, the position of a more suitable damping member was examined. In Example 4 and Example 5, and Example 6 and Example 7, the condition differs only in whether the damp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tip end side or the base end side. In either case, the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was improved in that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was disposed on the tip end sid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arranging the damping member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제진 부재의 길이)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실시예 18 내지 20 및 실시예 21 내지 26에 대하여 평가를 행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제진 부재의 길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시예 18 내지 20은, 투명 튜브 B를 채용하고, 제진 부재의 삽입 길이만을 변화시켰다. 실시예 21 내지 26은, 폴리 로프를 채용하고, 제진 부재의 삽입 길이만을 변화시켰다. 실시예 21 내지 26에 대하여, 폴리 로프의 길이와 진동 억제 스펙의 관계성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를 도 18에 도시한다. 각 실시예에서는, 제진 부재의 길이를 길게 하면 할수록, 진동 억제 스펙이 상승되었다. 특히, 투명 튜브 B 및 폴리 로프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제진 부재가 지지 부재의 선단측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삽입 길이 400mm이면, 강성, 총 중량, 진동 억제 성능, 비용 중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양호한 평가가 얻어지는 것이 이해된다.By evaluating Examples 18 to 20 and Examples 21 to 26, the length of a more suitable damping member was examined. In Examples 18 to 20, transparent tube B was employed, and only the insertion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was changed. In Examples 21 to 26, a poly rope was employed, and only the insertion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was changed. For Examples 21 to 26, the graph plot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poly rope and the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 is shown in FIG. 18. In each example, as the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was increased, the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s were increa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ransparent tube B and the poly rope,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if the insertion length is 400 mm, a good evaluation is given for any of rigidity, gross weight,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and cost. It is understood that it is obtained.

(최종 평가) (Final evaluation)

상술한 평가 및 검토로부터, 서포트 바에 대한 제진 부재로서 적합한 조건을 설정한 실시예 27을 최종 평가용의 샘플로서 제작하였다. 실시예 27에서는 제진 부재로서 600mm의 폴리 로프를 채용하고, 고정 부재로서 폴리에틸렌재에 구멍을 뚫어 폴리 로프에 삽입하고, 지지 부재의 선단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27에서는,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의 (a)에 도시한 층 구성에 대하여, No4의 「PLY수」를 4로 한 점 이외는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하였다. 실시예 27로서 3개의 샘플을 준비하여 실시예 27-1, 27-2, 27-3으로 하였다. 이들의 휨, 총 중량 및 진동 억제 스펙의 측정 결과를 도 15의 (a)에 나타낸다. 「총 중량(지지 부재+제진 부재)」이란, 지지 부재 전체의 총 중량을 나타내고, 「총 중량(지지 부재만)」이란, 지지 부재로부터 제진 부재의 중량을 제외한 중량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한 결과로부터, 어느 최종 샘플에서도 강성, 총 중량, 진동 억제 성능에 있어서 모두 양호한 평가가 얻어졌다.From the evaluation and review described above, Example 27, in which conditions suitable as a damping member for the support bar were set, was prepared as a sample for final evaluation. In Example 27, a 600 mm poly rope was used as the damping member, a hole was made in the polyethylene material as a fixing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poly rope, and the tip of the support member was fixed using an adhesive. Further, in Example 27, as shown in Fig. 15(b), for the layer configuration shown in Fig. 7(a), the conditions were the same except that the number of "PLY numbers" of No4 was 4. Did. Three samples were prepared as Example 27, and were used as Examples 27-1, 27-2, and 27-3.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se warpage, total weight, and vibration suppression specifications are shown in Fig. 15(a). The "total weight (support member + damping member)" refers to the total weight of the entire support member, and the "total weight (support member only)" refers to the weight of the support member minus the weight of the damping member. From the results shown in Fig. 12, in all of the final samples, good evaluations were obtained for stiffness, total weight, and vibration suppression performance.

(제진 부재의 질량 변화 및 부피 밀도) (Mass change and bulk density of damping member)

실시예 27의 제진 부재는 3가닥 트위스트의 끈 형상이며, 이것을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2/3로 분할(3가닥 트위스트 중 2가닥분)한 것을 실시예 28로 하였다. 실시예 27의 제진 부재를 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1/3로 분할한 것(3가닥 트위스트 중 1가닥분)을 실시예 29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27의 제진 부재를 백업 부재로 한 것을 실시예 30으로 하였다. 폴리 로프의 구체적인 사양에 대해서는 도 17에 나타낸다. 각 실시예의 측정 결과를 도 16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내지 29의 측정 결과로부터, 길이당의 질량이 클수록, 진동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폴리 로프 3가닥 트위스트 중 1가닥분으로 한 경우의 부피 밀도는 0.83g/cm3이고, 백업 부재의 부피 밀도는 0.02g/cm3이지만, 실시예 29와 실시예 30의 비교로부터, 제진 부재가 동일한 무게여도, 부피 밀도가 높은 폴리 로프 쪽이 진동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는 것이 이해된다.The damping member of Example 27 was a string of three-stranded twist, and this was divided into two-thirds (two strands out of the three-stranded twist)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of Example 27 was divided into 1/3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ne strand out of three strand twists) was used as Example 29. In addition, what used the damping member of Example 27 as a backup member was made into Example 30. 17 shows the specific specifications of the poly rope. 16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each example.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27 to 29, it is understood that the larger the mass per length, the higher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In addition, the volume density in the case of one strand of the three strands of poly rope twist is 0.83 g/cm 3, and the volume density of the backing member is 0.02 g/cm 3, but from the comparison of Example 29 and Example 30, the vibration suppression It is understood that even if the members have the same weight, the polyrope having a high bulk density has a higher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기단측으로의 제진 부재의 배치) (Arrangement of the damping member toward the base end)

도 12의 실시예 5, 7 및 도 20의 실시예 37 내지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진 부재를 지지 부재의 기단측에 배치한 경우에도, 「평가」가 비교예보다도 양호한 「○」나 「△」가 되었다. 「삽입 길이」가 750mm 이상인 실시예 37 내지 39에서는, 「평가」가 「○」가 되었다. 「삽입 길이」가 500mm인 실시예 40에서는, 감쇠 성능의 관점에서 「평가」가 「△」가 되었다. 이 점으로부터, 제진 부재를 지지 부재의 기단측에 배치한 경우, 제진 부재의 충분한 삽입 길이를 확보함으로써, 진동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실리콘 튜브 C를 사용한 제진 부재를 지지 부재의 기단측에 배치한 경우, 삽입 길이를 750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진동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As shown in Examples 5, 7 of FIG. 12 and Examples 37-40 of FIG. 20, even when the damp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Evaluation" or "△" in which "evaluation" is better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It became. In Examples 37 to 39 in which the "insertion length" was 750 mm or more, "evaluation" was "○". In Example 40, in which the "insertion length" was 500 mm, "evaluation" was "Δ" from the viewpoint of damping performance. From this point, it is understood that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dispos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can be improved by ensuring a sufficient insertion length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t is understood that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using the silicone tube C is dispos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the vibration suppression effect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insertion length to 750 mm or more.

10: 지지 부재
20: 관벽부
21: 공간
30: 제진 부재
31: 고정 부재
10: support member
20: pipe wall part
21: space
30: no damping
31: fixing member

Claims (10)

기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또한 선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관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 내에는, 당해 공간 내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가능한 제진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진 부재는, 수지 재료, 탄성 재료, 섬유 형상인 것을 짠 재료, 또는 부직포를 사용한 재료에 의한, 상기 강화 섬유 복합 수지 재료에 비해 변형되기 쉬운 변형 용이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긴 형상을 갖는 상기 변형 용이 재료가 상기 관벽부의 하단측 및 상단측에 충돌하는, 지지 부재.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n article in a stat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base end as a fixed end and the leading end as a free end,
It comprises a reinforced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 and has a pipe wall portion having a space therein,
In the space, a damping member that is at least partially movable in the space is disposed,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made of a resin material, an elastic material, a fibrous material woven material, or a material using a nonwoven fabric,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deformed compared to the reinforced fiber composite resin material, and has a long shape. A supporting member, in which the easily deformable material collides against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tube wal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의 길이는, 상기 지지 부재 전체의 길이에 대하여 3% 이상인, 지지 부재.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ength of the damping member is 3% or more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진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관벽부의 내면 상에 적재되어 있는, 지지 부재.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damping member is loa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wall portion in the space without the support member vibrat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는,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mping member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p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의 고정 위치에 있어서 상기 관벽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위치 이외의 부분이 상기 공간 내에 있어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관벽부와 충돌하는, 지지 부재.
The said vibration damping member is fixed to the said pipe wall part in the fixed position of a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Claim 4,
A support member colliding with the tube wall portion by moving a portion other than the fixed position in the sp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는, 상기 관벽부에 대하여 비고정으로 되어 있는, 지지 부재.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mping member is non-fixed with respect to the tube wall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는, 상기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선단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지지 부재.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tip end in the sp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는, 상기 선단측의 위치에서 상기 관벽부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부재.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amping member is fixed to the tube wall portion at a position on the tip end si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의 부피 밀도는 0.02g/cm3 이상인, 지지 부재.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mping member has a bulk density of 0.02 g/cm 3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부재는 끈체에 의해 구성되는, 지지 부재.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amping member is constituted by a string body.
KR1020197008329A 2016-08-24 2017-08-23 Support member KR10212269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3921 2016-08-24
JPJP-P-2016-163921 2016-08-24
PCT/JP2017/030181 WO2018038174A1 (en) 2016-08-24 2017-08-23 Support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805A KR20190039805A (en) 2019-04-15
KR102122695B1 true KR102122695B1 (en) 2020-06-12

Family

ID=6124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329A KR102122695B1 (en) 2016-08-24 2017-08-23 Support memb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92201B2 (en)
KR (1) KR102122695B1 (en)
CN (1) CN109642635B (en)
TW (2) TWM590592U (en)
WO (1) WO2018038174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888A (en) 2000-01-18 2001-07-27 Honda Motor Co Ltd Damping device
JP2008215405A (en) * 2007-02-28 2008-09-18 Tokai Rubber Ind Ltd Plate spring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2668055A (en) * 2009-11-20 2012-09-12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Support bar and substrate containing cassett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06091A (en) * 1972-07-13 1975-09-17 Brown Tractors Ltd Tractor roll-bars and the like
GB2305220B (en) * 1981-07-02 1998-01-07 Secr Defence Propeller dampers
JP3771360B2 (en) * 1997-10-24 2006-04-26 新日本石油株式会社 Tubular body made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JP2003266359A (en) * 2002-03-08 2003-09-24 Tatsumo Kk Conveyance device having damping function
JP4029104B2 (en) 2006-01-30 2008-01-09 新日本石油株式会社 Elliptical support member
JP2008111538A (en) * 2006-10-31 2008-05-15 Toyota Motor Corp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for damping material
JP4881905B2 (en) * 2008-03-29 2012-02-2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Fork damping device
JP6144084B2 (en) * 2013-03-27 2017-06-07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Support member
FR3014517B1 (en) * 2013-12-05 2016-01-01 Seco E P B DAMPING ELEMENT ADAPTABLE TO AT LEAST ONE EXTRINSIC FACTOR OF THE SHOCK ABSOR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888A (en) 2000-01-18 2001-07-27 Honda Motor Co Ltd Damping device
JP2008215405A (en) * 2007-02-28 2008-09-18 Tokai Rubber Ind Ltd Plate spring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2668055A (en) * 2009-11-20 2012-09-12 吉坤日矿日石能源株式会社 Support bar and substrate containing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2635A (en) 2019-04-16
JPWO2018038174A1 (en) 2019-03-14
JP6592201B2 (en) 2019-10-16
TW201825560A (en) 2018-07-16
WO2018038174A1 (en) 2018-03-01
KR20190039805A (en) 2019-04-15
TWM590592U (en) 2020-02-11
CN109642635B (en)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662B1 (en) Method for shock-absorbing packaging
KR20180018666A (en) Multilayer damping material
Solaimurugan et al. Progressive crushing of stitched glass/polyester composite cylindrical shells
KR102122695B1 (en) Support member
CN212202944U (en) Supporting member
TWI498260B (en) Support rod and substrate storage case
JP7149188B2 (en) CARBON FIBER REINFORCED MOLDED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CARBON FIBER REINFORCED MOLDED PRODUCT
KR101307627B1 (en) Conveyance member made of cfrp and robot hand employing the same
JP5778600B2 (en) Robot hand frame and robot hand
JPWO2017170801A1 (en) Fiber-reinforced resin hollow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201446481A (en) Tube formation body
KR100760168B1 (en) Transport member
JP2020026836A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57533B2 (en) Roll holder
JP2005054541A (en) Beam member made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and beam member reinforced by carbon fiber
TWI727735B (en) Cantilever, its vibration damping structure and cassette having the cantilever
CZ21621U1 (en) Composite beam with damping
KR101664621B1 (en) A structur for shock absorbing, a triggering mechanisam for failure initia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1504566A (en)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ad by vibration damping, in particular for supporting the coordinate measuring device
Kozioł EFFECT OF STRAIN RATE ON STATIC ELASTIC RESPONSE OF GLASS-POLYESTER COMPOSITE. PART 1: DESCRIPTION OF TEST METHOD
JP2004066831A (en) Plate-like formed body made of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Mizukami et al. Study of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GFRTP and JFRTP deep-drawn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