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99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599B1
KR102122599B1 KR1020130144748A KR20130144748A KR102122599B1 KR 102122599 B1 KR102122599 B1 KR 102122599B1 KR 1020130144748 A KR1020130144748 A KR 1020130144748A KR 20130144748 A KR20130144748 A KR 20130144748A KR 102122599 B1 KR102122599 B1 KR 10212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attern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386A (ko
Inventor
방희석
이재혁
신주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99B1/ko
Priority to US14/542,826 priority patent/US9331135B2/en
Priority to CN201410687167.XA priority patent/CN104681584B/zh
Publication of KR2015006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비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 제1기판과 대항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제2기판,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갖는 패턴 및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패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표시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극 사이의 얇은 발광층을 이용한 자발광 소자로 종이와 같이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산소에 의한 전극 및 발광층의 열화, 발광층-계면간의 반응에 의한 열화 등 내적 요인에 의한 열화가 있는 동시에 외부의 수분, 산소, 자외선 및 소자의 제작 조건 등 외적 요인에 의해 쉽게 열화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부의 산소와 수분은 소자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므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패키징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에서 시인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며 인슐레이션 기판의 접착 불량의 검출이 용이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비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 제1기판과 대항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제2기판,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갖는 패턴 및 제1기판과 제2기판 사이에 패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며 인슐레이션 기판의 접착 불량의 검출이 용이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A-A’로 절단하였을 때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패턴의 개구부 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7는 제2실시예는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데이터 라인들(DL1~DLm)과 게이트 라인들(GL1~GLn)의 교차에 따라 다수의 화소(P: Pixel)가 정의된 표시패널(110)과,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라인들(DL1~DLm)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130)와, 타이밍 컨트롤러(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라인들(GL1~GLn)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130)와, 데이터 구동부(130) 및 게이트 구동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부(120)는, 일 예로,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 부착될 수도 있거나, 표시패널(110)의 양 측에 부착될수도 있고, GIP(Gate Drive IC in Panel)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일 측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패널(110)에서 데이터 라인들(DL1~DLm)과 게이트 라인들(GL1~GLn)의 교차에 따라 정의되는 다수의 화소(P) 각각은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유기발광소자 (OLED)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화면의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DT: Driving Transistor)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패널(110)의 각 화소(P)가 형성되어 빛이 발광하는 부분을 표시영역이라 할 수 있고, 화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인 비표시영역에는 주로 패드 또는 배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전술할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비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항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제2기판,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 및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갖는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패널(110)은 유기발광소자가 수분 또는 산소에 의해 손상이 될 수 있으므로, 화소(P)가 형성된 표시영역은 플라스틱 박막 또는 금속 시트 등의 인캡슐레이션 기판인 제2기판을 이용하여 인캡슐레이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기판(201)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표시영역(A/A)과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비표시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비표시영역은 표시영역(A/A) 이외의 영역이다. 그리고 제1기판(201)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된 투명기판이다.
비표시영역의 일 모서리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는 다수의 게이트 패드(2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표시영역의 다른 일 모서리에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은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게이트 패드(210)가 표시영역(A/A)의 좌측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면, 데이터 패드(220)는 표시영역(A/A)의 하측 또는 상측 비표시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게이트 패드(210)는 표시영역(A/A)의 좌측 및 우측 비표시영역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패드(220)는 표시영역(A/A)의 하측 및 우측 비표시영역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비표시영역 중 다수의 게이트 패드(210)와 다수의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지 않은 비표시영역의 상측 및 우측에는 “ㄱ”자 형상의 패턴(2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패턴(230)은 빛을 통과시키지 않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불투명한 재질은, 예를 들어, 금속일 수 있으며, 패턴(230)은 게이트 금속 물질 또는 소스/드레인 금속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230)은 외부광 비침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더미패턴으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으로 형성된 패턴(230)은 유기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의 일부로 사용 가능하다.
제1기판(201) 상부에는 제2기판(202)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기판(202)은 인캡슐레이션 기판으로 제1기판(201)의 표시영역을 인캡슐레이션하여 외부로부터 산소 또는 수분 등이 유기발광소자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기판(202)은 경량 박형의 금속 시트(sheet)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2기판(202)은 표시영역(A/A)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표시영역(A/A)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게이트 패드(210)와 데이터 패드(220) 및 패턴(23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은 접착층에 의해 합착된다. 접착층은 광경화형, 열경화형 또는 자연경화형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진 계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은 제2기판(202)과 동일하게 표시영역(A/A)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표시영역(A/A)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게이트 패드(210)와 데이터 패드(220) 및 패턴(23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게이트 패드(210), 데이터 패드(220) 또는 패턴(230)의 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제1기판(201)의 좌측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제1게이트 패드(210a)와 제1게이트 패드(210a)와 마주보는 우측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제2게이트 패드(210b)를 포함한다.
제1기판(201)의 표시영역(A/A)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된다.
제1기판(201)의 제1게이트 패드(210a)와 제2게이트 패드(210b),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지 않은 비표시영역의 상측에는 “-”자 형상의 패턴(230)이 형성된다.
제1기판(201) 상부에는 제2기판(202)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잇다.
제2기판(202)은 표시영역(A/A)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표시영역(A/A)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제1게이트 패드(210a), 제2게이트패드(210b), 데이터 패드(220) 및 패턴(23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제1기판(201)의 표시영역(A/A)을 제2기판(202)으로 유기발광소자를 인캡슐레이션하여, 외부로부터 유기발광소자 내로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201)의 비표시영역에 불투명한 패턴(230)이 형성되어 표시영역(A/A)의 외부광 비침을 방지하여 소자의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소자를 제2기판(202)을 사용하여 인캡슐레이션 하는 경우에,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을 접착층으로 접합시에 제2기판(202)의 가장자리 영역에 접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제2기판(202)의 접착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기포나 이물질 등이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 사이로 침투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201) 또는 제2기판(202)이 투명한 경우 두 기판(201, 202) 사이의 기포나 흠 등이 형성된 것을 시각적으로 발견하여 불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불량을 찾아내는 것을 스크리닝(Screening) 공정이라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제2기판(202)이 금속 시트로 형성된 경우 제2기판(202)을 통한 접착불량 검출은 가능하나, 금속 기판의 표면 상태의 불균일로 접착불량의 검출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투명한 제1기판(201)을 통하여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 사이의 접착불량을 검출한다. 그러나, 패턴(230)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패턴(230)에 가려진 부분의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 검출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패턴(230)이 형성된 비표시영역의 제2기판(202) 접착불량 검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패턴(230)의 일부를 개구하여 그 부분의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 검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를 A-A’로 절단하였을 때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기판(201)의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표시영역(A/A)에는 유기발광소자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201)의 비표시영역의 일 모서리에 다수의 게이트 패드(210)가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 다른 일 모서리에는 다수의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패드(210)는 표시영역(A/A)의 좌측에 위치한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데이터 패드(220)는 표시영역(A/A)의 하측에 위치한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게이트 패드(210)은 좌측 비표시영역 대신 우측 비표시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데이터 패드(220)는 하측 비표시영역 대신 상측 비표시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201)의 비표시영역 중 다수의 게이트 패드(210) 및 다수의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개구부(240)가 형성된 “ㄱ”자 형상의 패턴(230)이 형성되어 있다.
패턴(230)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패턴(230)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게이트 금속 물질 또는 소스/드레인 금속 물질로 형성이 가능하다. 패턴(230)이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 유기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예를 들어 저전압공급라인 또는 고전압공급라인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패턴(230)의 개구부(240)는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240)는 일정한 크기가 되어야 한다. 즉, 개구부(240)는 기포 등의 이물질을 발견할 수 있도록 최소 이물질 크기 이상이 되어야 하고, 외부광 비침 방지 역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 시인성 저해 크기 이하의 직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개구부(240)의 크기는 3~10㎛의 직경일 수 있다.
이때, 패턴(230)은 다양한 형태의 개구부(24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240)의 형태는 가로선, 세로선, 대각선, 교차선, 원 또는 다각형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패턴의 개구부 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201)의 형성된 개구부(240)의 형태는 구형(a), 사각형(b), 스트라이프형(c) 및 펄스형(d) 등 형태인 것을 알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부가 개구된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개구부(240)는 제2기판(202)으로 제1기판(201)을 인캡슐레이션 하였을 경우 개구부(240)를 통하여 접착불량 검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개구부(240)의 형태와 크기는 제한되지 않고,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고 외부광 비침 방지가 가능한 범위 안에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제1기판(201)이 금속 시트로 형성된 제2기판(202)으로 인캡슐레이션 되는 경우, 제1기판(201)의 하부를 통하여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의 검출이 가능하고, 패턴(230)이 형성된 부분도 패턴(230)의 개구부(240)를 통하여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기판(201) 상부에는 제2기판(202)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유기발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2기판(202)은 표시영역(A/A)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표시영역(A/A)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240)를 갖는 패턴(23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 사이에는 접착층(2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은 접착층(225)에 의해 합착된다. 접착층(225)은 열경화형, 광경화형 또는 자연경화형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레진 계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25)은 제2기판(202)과 동일하게 유기발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표시영역(A/A)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표시영역(A/A)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개구부(240)가 형성된 패턴(230)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패턴(230)의 전체에 개구부(24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어도 접착층(225)이 덮는 패턴(230)의 일부에만 개구부(2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기판(201)을 제2기판(202)으로 인캡슐레이션 시킨 후에 접착된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을 검출해 내는 스크리닝 공정시 제1기판(201)을 통하여 패턴(230)의 개구부(240)를 통하여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에서 발생하는 기포 등의 이물질을 발견해 낼 수 있다.
한편, 기판(201)의 비표시영역에서 패턴(230)이 형성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201)은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표시영역(A/A)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기판(201)의 비표시영역 좌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게이트 패드(210a)와 비표시영역 하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데이터 패드(220)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비표시영역의 우측 모서리에 다수의 제2게이트 패드(201b)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2게이트 패드(210a, 210b) 및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201)의 비표시영역에는 “-“자 형상의 패턴(230)이 형성되어 있다.
패턴(230)은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도 7의 240)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기판(201) 상부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기판(202)이 형성되어 제1기판(201)을 인캡슐레이션 시킨다.
따라서, 제1기판(201)이 금속 시트로 형성된 제2기판(202)으로 인캡슐레이션 되는 경우, 제1기판(201)의 하부를 통하여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의 검출이 가능하고, 패턴(230)이 형성된 부분도 패턴(230)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201)의 비표시영역 중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제1게이트 패드(210a) 및 제2게이트 패드(210b)와, 기판(201)의 또 다른 모서리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된 모서리와 마주하는 비표시영역의 모서리에 형성된 “-“자 형상의 패턴(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기판(201) 상부에는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기판(2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패턴(230)은 비표시영역 중 데이터 패드(220)와 게이트 패드들(210 a, 201b)가 형성된 모서리들이 만나는 위치에도 더 형성될 수 있다.
기판(201) 상의 비표시영역 중 제1게이트 패드(210a), 제2게이트 패드(210b) 및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도 6의 240)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기판(201)이 금속 시트로 형성된 제2기판(202)으로 인캡슐레이션 되는 경우, 제1기판(201)의 하부를 통하여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의 검출이 가능하고, 패턴(230)이 형성된 부분도 패턴(230)의 개구부를 통하여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230)은 비표시영역 중 제1게이트 패드(210a)와 데이터 패드(220)의 사이의 영역과 제2게이트 패드(210b)와 데이터 패드(220) 사이의 영역에도 형성되어 외부광 비침을 방지하며 제2기판(202)의 접착불량 검사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또다른 변형예의 관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기판(201)의 비표시영역에 제1게이트 패드(210a), 제2게이트 패드(210b), 데이터 패드(220) 및 패턴(230)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의 한 모서리에는 서로 이격되어 다수의 제1게이트 패드(210a, 210a’)가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제1게이트 패드(210a, 210a’)와 마주하는 모서리에는 서로 이격되어 제2게이트 패드(210b, 210b’)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한 모서리에는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제1게이트 패드(210a)와 게이트 패드(10a’)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제2게이트 패드(210b)와 제2게이트 패드(210b’)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데이터 패드(220)는 표시영역의 하부 모서리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비표시영역 중 제1게이트 패드(210a, 210a’), 제2게이트 패드(210b, 210b’) 및 데이터 패드(22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를 갖는 패턴(230)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게이트 패드(210a)와 다른 제1게이트 패드(210a’) 사이에 개구부를 갖는 패턴(230)이 더 형성되어 있고, 제2게이트 패드(210b)와 다른 제2게이트 패드(210b’) 사이에도 개구부를 갖는 패턴(230)이 더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비표시영역에 패턴을 형성하여 비침광 현상을 최소화하여 소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 제2기판 접착시 발생하는 접착불량을 용이하게 검사해 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게이트패드와 데이터패드가 비표시영역의 서로 다른 모서리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게이트패드와 데이터패드가 비표시영역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표시영역과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비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항하여 이격되어 배치된 제2기판;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며 개구부를 갖는 패턴;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상기 패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게이트 패드들과 상기 제1 기판의 비표시영역 중 하나 이상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과 상기 제1기판의 외곽 사이의 영역 중 상기 패드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패드 사이의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접착층이 덮도록 형성된 일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금속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게이트금속 물질 또는 소스/드레인 금속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게이트 패드들 사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데이터 패드들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유기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의 일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일부분은 상기 접착층의 외곽과 상기 제1기판의 외곽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접착층의 외곽과 상기 제1기판의 외곽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패턴의 일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30144748A 2013-11-26 2013-11-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12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748A KR102122599B1 (ko) 2013-11-26 2013-11-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4/542,826 US9331135B2 (en) 2013-11-26 2014-11-17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201410687167.XA CN104681584B (zh) 2013-11-26 2014-11-25 有机发光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748A KR102122599B1 (ko) 2013-11-26 2013-11-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86A KR20150060386A (ko) 2015-06-03
KR102122599B1 true KR102122599B1 (ko) 2020-06-12

Family

ID=5318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748A KR102122599B1 (ko) 2013-11-26 2013-11-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31135B2 (ko)
KR (1) KR102122599B1 (ko)
CN (1) CN104681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82B1 (ko) * 2014-12-29 2021-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03019B1 (ko) * 2015-06-16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패널, 표시 장치용 패널의 코드 판독 방법 및 표시 장치용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352002B1 (ko) * 2015-07-31 2022-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0817B1 (ko) * 2015-11-05 2022-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727434B2 (en) * 2016-07-25 2020-07-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organic material overflow
KR20210121371A (ko) * 2020-03-27 2021-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4927A1 (en) 2004-02-14 2005-08-25 Won-Kyu Kwak Flat panel display
US20060250083A1 (en) 2005-05-03 2006-11-09 Lg.Philips Lcd Co. Lt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20070195252A1 (en) 2006-02-22 2007-08-23 Yu-Chi Tsai Electronic Ink Display
US20100019665A1 (en) 2008-07-22 2010-01-28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7751C (zh) * 2000-02-17 2005-11-16 Lg电子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显示板及其封装方法
US6900590B2 (en) * 2000-10-17 2005-05-31 Samsung Sdi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non-continuous metal auxiliary electrodes
KR100637146B1 (ko) * 2004-02-14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10B1 (ko) * 2004-02-18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3226A (ko) * 2006-06-30 2008-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4927A1 (en) 2004-02-14 2005-08-25 Won-Kyu Kwak Flat panel display
US20060250083A1 (en) 2005-05-03 2006-11-09 Lg.Philips Lcd Co. Lt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US20070195252A1 (en) 2006-02-22 2007-08-23 Yu-Chi Tsai Electronic Ink Display
US20100019665A1 (en) 2008-07-22 2010-01-28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31135B2 (en) 2016-05-03
CN104681584A (zh) 2015-06-03
US20150144911A1 (en) 2015-05-28
KR20150060386A (ko) 2015-06-03
CN104681584B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59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8458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6454673B2 (ja) 表示装置とその検査方法
US1135504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on thereof
KR10206284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114664B2 (ja) 有機el表示装置
KR102615177B1 (ko) 평판표시장치
CN103779382A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测试方法
KR20150026922A (ko)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493339B1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50051602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2312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81105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4005654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15676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1722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93783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135140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19087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197613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223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4551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91059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by laser cutting an area of a display panel
US20230209866A1 (en) Display Apparatus
KR1022452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봉지용 접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