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11B1 - 무전원 비상 유도등 - Google Patents

무전원 비상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511B1
KR102122511B1 KR1020180103659A KR20180103659A KR102122511B1 KR 102122511 B1 KR102122511 B1 KR 102122511B1 KR 1020180103659 A KR1020180103659 A KR 1020180103659A KR 20180103659 A KR20180103659 A KR 20180103659A KR 102122511 B1 KR102122511 B1 KR 10212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able
case
adjacent
induc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781A (ko
Inventor
서종권
박동국
남성진
가원석
Original Assignee
크로바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바하이텍(주) filed Critical 크로바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8010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전자기장을 통해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축전되거나 직결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송전케이블의 전자기장을 통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내장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유도전류 발생수단이 설치된 케이스부과, 이 케이스부의 일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 사이에 밀착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회전지지용 홀더부를 구비함으로써, 송전케이블의 근방에서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비상 유도등을 설치하여 항상 유도 조명이 가능하고 유도 조명의 유지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전원 비상 유도등{EMERGENCY INDUCTION LAMP WITHOUT ELECTRIC POWER SUPPLY}
본 발명은 무전원 비상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전자기장을 통해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축전되거나 직결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전력 설비에서 전력은 전력 가공 송전 선로 및 지중 송전 선로의 형태로 송전된다. 여기서, 지중송전 선로는 관로, 직매 또는 전력구 등의 형태로 선로가 구성되어 전력을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배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주게 된다.
대부분의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어 있는데,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나 지중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전력구 통로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공급 전원을 이중화하여, 통로 상부에 설치된 전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중인 전등의 공급 전력이 상실되는 경우, 전력구 내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조명등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작업자가 별도로 휴대용 손전등을 소지하지 않게 되면, 시야확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전력구 통로에서 전등의 공급 전력이 상실되면, 작업자의 시야 확보가 불가능해지므로, 안전한 대피가 불가능하며 이를 통해 안전 사고에 대한 발생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공급 전원 상실에 대비하여, 축전지를 활용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축전지를 활용하여 평시에 축전지를 충전하고, 비상시 축전지 내에 축전된 전력을 전등에 공급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전력구의 길이가 장거리로서 최대 6.8km 정도의 구간인 경우, DC 선로 및 DC 전등 구성에 대한 경제성 저하로 실제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야광캡을 케이블 지지 행거의 통로측에 부착하는 기술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야광캡을 통해, 작업자는 비상시에도 전력구를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야광캡은 케이블 지지대의 끝에 부착되는 특징에 기인하여, 작업자의 충돌에 의한 분실 문제가 존재하고, 야광캡에 포함된 야광물질은 화학적인 제품이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발광 저하가 존재한다.
종래의 비상 유도등의 경우, 실내 작업 현장에선 건물 내전기 배선을 통한 전력 공급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나, 야외 작업 현장에선 별도의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되 주기적으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점검 및 관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비상등은 화재시 정전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점등되어 비상구를 안내할 수 있는 전원체계, 즉 계통 상용전원과 이를 백업하는 예비 보조배터리가 함께 운영된다.
비상등은 평상시에도 점등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크고,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최소한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배터리는 오랜 기간 방치되는 경우 누액이 발생하는 등 유지 보수가 필요한 소모품으로서 장시간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특히, 터널과 같이 큰 규모의 시설물에서는 더 많은 비상등이 필요하지만, 평상시 높은 전력 소비, 보조배터리의 유지보수비용, 보조배터리 운영시 비상등의 부족한 조도 등을 고려할 때 무전원의 비상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비상유도등은 화재 발생시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비상등을 점멸시키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부저가 경고음을 내도록하여 탈출을 유도하도록 하는 비상등 시스템이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LED 모듈에 대한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지만,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시스템 전반을 관리 제어하는 제어부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계통 전원 및 보조배터리로 운영되고 있어 정전 상황에 효율성이 떨어지고 예비 배터리의 유지보수비가 발생하는 등과 같이 적절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1363호 (2017년03월2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0099호 (2013년08월30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6706호 (2006년05월1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송전케이블의 근방에서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비상 유도등을 설치하여 항상 유도 조명이 가능하고 유도 조명의 유지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케이블의 근방에 비상 유도등의 설치작업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설치비용 및 설치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부를 기준해서 케이스부의 램프의 조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동시에 케이스부의 설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케이블에 의한 유도전류의 자계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램프의 발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부위를 최적화하는 동시에 송전케이블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전자기장을 통해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축전되거나 직결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으로서, 송전케이블의 전자기장을 통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내장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유도전류 발생수단이 설치된 케이스부(10); 및 상기 케이스부(10)의 일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 사이에 밀착되는 홀더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10)와 상기 홀더부(20)를 송전케이블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홀더부(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부(10)의 일단에는 상기 홀더부(20)의 회전홈에 회전하도록 끼워맞춤되는 회전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돌기의 외곽둘레에는 상기 램프의 조사각도를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에 의해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도전류 발생수단은,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의 중심 연결선을 기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20)는,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중앙부위에 함몰 형성된 회전홈; 일방의 송전케이블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편의 일방에 연장 형성된 제1 접촉편; 및 상기 일방의 송전케이블에 인접한 타방의 송전케이블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편의 타방에 연장 형성된 제2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접촉편에는 서로 다른 일방의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서로 다른 사이즈의 제1 만곡홈 및 제2 만곡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접촉편에는 서로 다른 타방의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만곡홈 및 제2 만곡홈과 다른 사이즈의 제3 만곡홈 및 제4 만곡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회전지지용 홀더부를 구비함으로써, 송전케이블의 근방에서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비상 유도등을 설치하여 항상 유도 조명이 가능하고 유도 조명의 유지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송전케이블의 외곽둘레에 밴드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이용하여 케이스부와 홀더부를 인접하게 설치함으로써, 송전케이블의 근방에 비상 유도등의 설치작업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설치비용 및 설치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스부의 회전돌기가 홀더부의 회전홈에 회전이 소정각도 만큼씩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치형이 형성됨으로써, 홀더부를 기준해서 케이스부의 램프의 조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동시에 케이스부의 설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유도전류 발생수단이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의 중심 연결선을 기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송전케이블에 의한 유도전류의 자계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램프의 발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홀더부의 접촉편에는 서로 다른 일방의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서로 다른 사이즈의 만곡홈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부위를 최적화하는 동시에 송전케이블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을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무전원 비상 유도등은, 케이스부(10), 홀더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100)의 전자기장을 통해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축전되거나 직결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이다.
케이스부(10)는, 송전케이블(100)의 전자기장을 통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내장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유도전류 발생수단이 설치된 케이스수단으로서, 케이스(11), 유도전류 발생수단(12), 램프(13), 스위치(14) 및 회전돌기(15)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11)는, 송전케이블(100)의 전자기장을 통해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10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재로서, 난연성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사용하여 제작되며고 대략 사각형상의 박스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유도전류 발생수단(12) 등과 같은 전력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1)의 일방에는 내부공간에 유도전류 발생수단(12) 등과 같은 전력수단을 장착하여 개폐하도록 커버 또는 덮개가 탈부착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에폭시로 충진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유도전류 발생수단(12)은,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며 3개의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100)의 하부에서 전자기장을 통해 유도전류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전력생성수단으로서, 코일이 권취된 봉재와 자성코어와 회로기판, 충전기, 축전지, 배터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도전력설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유도전류 발생수단(12)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전류량을 증대시키도록 서로 인접한 2개의 송전케이블(100)의 중심 연결선을 기준해서 하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램프(13)는, 케이스(11)의 외부면 일방 및 타방 중 적어도 일방에 1개 이상이 설치된 조명수단으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과 같이 저전력의 조명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14)는, 케이스(11)의 외부면 일방에 설치된 절환수단으로서, 온 오프 기능을 구비한 토글스위치나 푸쉬버튼 스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유도전류 발생수단(12)과 램프(13) 사이의 통전을 절환하게 된다.
회전돌기(15)는, 케이스(11)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홀더부(20)의 회전홈에 소정각도 만큼씩 회전하도록 끼워맞춤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돌기(15)의 외곽둘레에는, 램프(13)의 조사각도를 회전돌기(15)의 회전에 의해 소정각도 만큼씩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외부 치형(15a)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홀더부(20)는, 케이스부(10)의 일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지지하며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100) 사이에 근접해서 밀착되는 지지부재로서, 지지편(21), 회전홈(22), 제1 접촉편, 제1 연결홀(25), 제2 접촉편 및 제2 연결홀(28)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편(21)은,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100)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로서,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100)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송전케이블(100) 사이의 설치공간에 최대한으로 근접해서 설치되도록 일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홈(22)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편(21)의 중앙부위에 원통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회전지지부재로서, 여기에 회전돌기(15)가 끼워맞춤되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홈(22)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15)의 외부 치형(15a)과 치합하도록 내부 치형(22a)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홈(22)의 후단에는 회전돌기(15)의 결합위치를 한정하도록 고정지지하는 지지판(22b)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접촉편은, 일방의 송전케이블(100)에 접촉하도록 지지편(21)의 일방에 연장 형성된 접촉부재로서, 일방의 송전케이블(100)의 외주 만곡면에 근접해서 밀착되도록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접촉편은 서로 다른 사이즈의 송전케이블의 일방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서로 다른 사이즈의 제1 만곡홈(23)과 제2 만곡홈(2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연결홀(25)은, 지지편(21)의 일단에 슬롯으로 절취 형성된 홀부재로서, 여기에 지지부(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되어 고정되며, 송전케이블(100)의 사이즈에 따라 지지부(3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 결합시키도록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접촉편은, 일방의 송전케이블에 인접한 타방의 송전케이블에 접촉하도록 지지편(21)의 타방에 연장 형성된 접촉부재로서, 타방의 송전케이블(100)의 외주 만곡면에 근접해서 밀착되도록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접촉편에는 서로 다른 사이즈의 송전케이블의 타방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제1 만곡홈(23) 및 제2 만곡홈(24)과 다른 사이즈의 제3 만곡홈(26) 및 제4 만곡홈(27)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연결홀(28)은, 지지편(21)의 타단에 슬롯으로 절취 형성된 홀부재로서, 여기에 지지부(30)의 타단이 삽입되어 연결되어 고정되며, 송전케이블(100)의 사이즈에 따라 지지부(3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 결합시키도록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지부(30)는, 홀더부(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케이스부(10)와 홀더부(20)를 송전케이블(10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일단은 제1 연결홀(25)에 연결되어 있고 다단은 제2 연결홀(28)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재질의 밴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지지부(30)로는, 홀더부(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송전케이블(100)의 전체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회전지지용 홀더부를 구비함으로써, 송전케이블의 근방에서 유도전류에 의해 조명하도록 비상 유도등을 설치하여 항상 유도 조명이 가능하고 유도 조명의 유지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송전케이블의 외곽둘레에 밴드부재로 이루어진 지지부를 이용하여 케이스부와 홀더부를 인접하게 설치함으로써, 송전케이블의 근방에 비상 유도등의 설치작업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설치비용 및 설치인력을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스부의 회전돌기가 홀더부의 회전홈에 회전이 소정각도 만큼씩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치형이 형성됨으로써, 홀더부를 기준해서 케이스부의 램프의 조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동시에 케이스부의 설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유도전류 발생수단이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의 중심 연결선을 기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송전케이블에 의한 유도전류의 자계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램프의 발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홀더부의 접촉편에는 서로 다른 일방의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서로 다른 사이즈의 만곡홈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부위를 최적화하는 동시에 송전케이블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케이스부
20: 홀더부
30: 지지부

Claims (7)

  1.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송전케이블의 전자기장을 통해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축전되거나 직결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으로서,
    송전케이블의 전자기장을 통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내장된 램프를 점등하여 조명하도록 유도전류 발생수단이 설치된 케이스부(10);
    상기 케이스부(10)의 일단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 사이에 밀착되는 홀더부(20); 및
    상기 홀더부(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10)와 상기 홀더부(20)를 송전케이블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홀더부(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송전케이블의 전체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케이스부(10)는,
    상기 송전케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서로 인접한 복수개의 송전케이블의 중심 연결선을 기준해서 하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도전류 발생수단;
    상기 케이스의 외부면 일방 및 타방 중 적어도 하나에 1개 이상이 설치된 램프;
    상기 케이스의 외부면 일방에 설치된 스위치; 및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며, 외곽둘레에 상기 램프의 조사각도를 회전에 의해 소정각도 만큼씩 조절하도록 복수개의 외부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20)는,
    서로 인접한 송전케이블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중앙부위에 함몰 형성된 회전홈;
    일방의 송전케이블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편의 일방에 연장 형성된 제1 접촉편;
    상기 일방의 송전케이블에 인접한 타방의 송전케이블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편의 타방에 연장 형성된 제2 접촉편;
    상기 지지편의 일단에 슬롯으로 절취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되어 고정되며, 송전케이블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지지부(3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 결합시키도록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제1 연결홀; 및
    상기 지지편의 일단에 슬롯으로 절취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0)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되어 고정되며, 송전케이블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지지부(3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 결합시키도록 2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제2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외부 치형과 치합하도록 내부 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홈의 후단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결합위치를 한정하도록 고정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편은 서로 다른 일방의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서로 다른 사이즈의 제1 만곡홈 및 제2 만곡홈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접촉편은 서로 다른 타방의 송전케이블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만곡홈 및 제2 만곡홈과 다른 사이즈의 제3 만곡홈 및 제4 만곡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비상 유도등.
KR1020180103659A 2018-08-31 2018-08-31 무전원 비상 유도등 KR10212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59A KR102122511B1 (ko) 2018-08-31 2018-08-31 무전원 비상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659A KR102122511B1 (ko) 2018-08-31 2018-08-31 무전원 비상 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81A KR20200025781A (ko) 2020-03-10
KR102122511B1 true KR102122511B1 (ko) 2020-07-13

Family

ID=6980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659A KR102122511B1 (ko) 2018-08-31 2018-08-31 무전원 비상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4474A (zh) * 2020-05-25 2020-08-18 安徽华能集团电器有限公司 一种电子式电流互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362B1 (ko) * 2017-02-22 2017-06-15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명각도의 정밀조정이 가능한 엘이디 탑재형 실내조명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569Y2 (ja) * 1992-09-04 1998-03-30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把持用スペーサ
KR200416706Y1 (ko) 2006-03-10 2006-05-19 이상엽 비상로 안내를 위한 휴대형 유도 시스템
KR20090026573A (ko) * 2007-09-10 2009-03-13 한국광기술원 무접점 led램프
KR101300099B1 (ko) 2013-02-04 2013-08-30 (주)하이텍영상 무전원 방향 유도등을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
KR20170031363A (ko) 2015-09-11 2017-03-21 이명한 무전원 비상유도등 및 그 시스템
KR101912246B1 (ko) * 2016-10-07 2018-10-26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도전원형 전력선 표시등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362B1 (ko) * 2017-02-22 2017-06-15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명각도의 정밀조정이 가능한 엘이디 탑재형 실내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81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0616A1 (en) Led light fixture for use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CN101334136B (zh) 具有和不具有紧急照明的出口标记装置
KR102122511B1 (ko) 무전원 비상 유도등
TW201738503A (zh) 具有電池備用功能之電燈
KR101230061B1 (ko) 휴대용 비상등을 구비한 비상유도등
CN203549561U (zh) 一种感应led灯
CN101740962A (zh) 具有应急照明功能的供电装置
JP3176527U (ja) Led電球
EP4123874B1 (en) Power supply device for wireless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an emergency luminaire
JP6916986B2 (ja) 照明装置
KR101206469B1 (ko) Led 조명장치
CN207796861U (zh) 一种能连接市电的安全电压标志灯
KR101454465B1 (ko) 조명시간이 연장되는 비상조명등
KR101402411B1 (ko) 조명등용 젠더
KR100918246B1 (ko) 보호 스크린을 가진 등기구
JP2006286379A (ja) 航空標識灯
KR200170734Y1 (ko) 램프 겸용 활선 접근 경보기
KR101209025B1 (ko) Led 조명장치
US20080205050A1 (en) Lighting apparatus
KR20120032798A (ko) Led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KR101449618B1 (ko) Led 조명장치
WO2012170649A2 (en) Backup lighting accessory
KR100788712B1 (ko) 옥외용 중계기의 전원공급장치 구조
KR20120132858A (ko) 복합형 유도등
KR20090121746A (ko) 배전자동화 제어함용 led를 이용한 이동 가능한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