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270B1 -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270B1
KR102122270B1 KR1020180065934A KR20180065934A KR102122270B1 KR 102122270 B1 KR102122270 B1 KR 102122270B1 KR 1020180065934 A KR1020180065934 A KR 1020180065934A KR 20180065934 A KR20180065934 A KR 20180065934A KR 102122270 B1 KR102122270 B1 KR 10212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ver
sound signal
neck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460A (ko
Inventor
원용관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2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4Acoustic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되며, 사용자 목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작동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바디부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작동부가 탈부착되어 상기 작동부를 고정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을 감싸며, 사용자의 앞목에 고정되는 커버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감지 센서를 통해 주변 잡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높은 감도로 호흡소리 신호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잠을 잘 때 발생할 수 있는 코골이 및 무호흡 등의 수면 호흡장애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적으로 구현되는 작동부가 밴드 형태의 바디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바디부의 오염시 세척할 수 있어서 위생적인 상태로 바디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Signal detector for breathing sound}
본 발명은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착용자)의 목에 이것을 부착한 후 사용자가 잠을 잘 때 발생하는 호흡소리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 및 무호흡과 같은 수면 호흡장애를 검사하기 위한 호흡소리 신호 수집 방법으로 수면하는 공간에 호흡소리의 신호감지 장치를 설치하는 무구속 방법과 수면자의 신체에 호흡소리 신호 감지장치를 착용시키는 구속적 방법이 있다. 구속적 방법은 사용자가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를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된다. 이 방법은 편리하고 편안한 착용감과 호흡소리에 대한 높은 감도 및 주변 잡음 소리에 대한 차단이 수면 호흡장애 검사를 위한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착용형 감지장치는 기능적으로 구조적으로 수면 중 착용감 및 호흡소리 감지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호흡신호 감지 센서부가 신체에 직접 맞닿아 착용되는 밴드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우, 땀과 같은 신체 분비물에 의해 밴드에 오염이 발생시 밴드를 별도로 세척할 수가 없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3483호(공개일: 2017. 07. 18.)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공개된 발명은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 단말본체와, 단말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수면 중 호흡신호를 포함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와, 단말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자극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자극발생부와,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생체정보가 설정된 자극인가 조건에 해당하면 사용자에게 자극이 인가되게 자극발생부를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목에 착용하는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수면다원검사장치(PSG)가 가진 많은 선에 의한 착용상의 불편함 및 전문가의 절대적 관여 요구에 따른 고가의 비용과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수면 중의 실시간 감시를 통해 위급한 수면장애로부터 즉각적인 탈피를 유도할 수 있어 심각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할 수 있는 작동부에 관한 기술이 구비되지 아니하여 정확하게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되는 것으로 ,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할 수 있는 작동부가 사용자(착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바디부에 탈부착할 수 있고, 바디부의 오염시 세척을 함으로써 위생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고, 편리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목의 피부에 밀착되어 성대를 통과하는 호흡소리를 높은 감도로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바디부를 갖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 신호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이 되며,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작동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바디부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작동부가 탈부착되고 사용자의 앞 목 앞부분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는 상기 작동부가 탈부착 될 수 있는 탈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탈부착부에 탈부착되는 본체 및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호흡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원부가 내장되는 제1 본체와, 상기 호흡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호흡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외부로 송출하되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출부가 내장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회로적으로 탈부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본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호흡 감지 센서에 연결된 전선이 커버부를 관통할 수 있는 절개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호흡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 호흡시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상기 커버부에 부착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호흡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감지부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상기 감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동 방지판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커버부에 탈부착되며, 상기 변형 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포켓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출부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해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외부 수신 기기로 송출하기 위해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 변환기와, 상기 신호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외부 수신 기기로 송출하는 송출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흡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유동 방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벨크로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탈부착될 수 있게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유동 방지부에 구비된 벨크로와 대응되는 벨크로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부에 부착된 상기 호흡 감지 센서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 포켓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포켓은 상부 모서리 부분이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고정되며, 나머지 세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벨크로가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부착된 벨크로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서 일측이 탈부착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의 일측 정면과 타측 배면에는 상기 밴드부가 상호 탈부착 될 수 있게 상호 대응되게 벨크로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밴드부와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단부에는 결합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에는 상기 결합링에 결합되는 결합 후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 후크를 고정하며, 상기 결합 후크에 의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패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밴드부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정면에는 벨크로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양단과 제1 밴드부 및 제2 밴드부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부의 양측 하단부에는 바디부를 목에 착용할 때 호흡 감지 센서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주름 구조의 셔링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감지 센서를 통해 주변 잡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높은 감도로 호흡소리 신호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코골이 및 무호흡 등의 수면 호흡장애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적으로 구현되는 작동부가 밴드 형태의 바디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바디부의 오염시 세척을 통해 위생적인 상태로 바디부를 사용할 수 있다.
호흡장애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기존 장치에 비해 편리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과 이물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가의 소모성 소리 또는 진동감지 센서로 구성된 호흡 감지 센서가 고가의 작동부로부터 분리되므로, 다수가 사용할 경우 호흡 감지 센서를 일회용으로 사용함으로써 피부 접촉에 의한 질병 전염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부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을 사용자에게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흡 신호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부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사용자에게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는 바디부(100), 작동부(200) 및 고정부(300-1)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된다. 그리고 바디부(100)는 작동부(200)가 탈부착되어, 작동부(200)를 고정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 부분을 감싸며, 사용자의 앞 목에 고정되는 커버부(110)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로 바디부(100)와 커버부(11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시 이물감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인 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0)의 전면에는 작동부(200)가 탈부착 될 수 있는 탈부착부(111)가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탈부착부(111)는 스냅 단추로 이루진다.
그리고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목의 굴곡진 형상에 의하여 커버부(110)가 늘어나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가 구비된다.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는 커버부(110)가 사용자의 목을 감싸며 고정시 사용자의 목의 형상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110)는 편안한 착용감 및 밀착을 위하여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평면도상 하부 측은 중앙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 측도 마찬가지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0)의 양측 하단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셔링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셔링부(113)는 커버부(110) 하단부를 주름 형태로 유지하여, 커버부(110)가 사용자 목을 감싸며 고정시 사용자의 목과 커버부(110)의 밀착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작동부(200)는 바디부(100)의 커버부(110) 전면에 탈부착되며, 사용자 목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200)는 본체(210), 전원부(220), 송출부(230) 및 호흡 감지 센서(240-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0)는 커버부(110)의 전면에 탈부착부(111)에 의해 탈부착된다. 이를 위해, 본체(210)의 테두리에는 커버부(110)의 탈부착부(111)의 스냅 단추와 대응되는 스냅 단추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본체(210)는 제1 본체(210a), 제2 본체(210b) 및 제3 본체(21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본체(210a)는 탈부착부(111)에 의해 커버부(110)의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원부(220)는 내장된다.
일실시예로 전원부(220)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팩 구조를 가지며, 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210b)는 호흡 감지 센서(240-1)에서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부(230)가 내장된다.
실시예로 송출부(230)와 전원부(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220)의 전원 공급을 통해 작동된다.
상기 제3 본체(210c)는 제1 본체(210a)와 제2 본체(210b) 사이에 설치되며, 호흡 감지 센서(240-1)가 탈부착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3 본체(210c)는 호흡 감지 센서(240-1)가 탈부착 시 발생하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함입된 반원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본체(210c)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1)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211c)가 구비된다.
다른 실시예로 연결 단자(211c)는 호흡 감지 센서(240-1)를 송출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전원부(220)에서 송출부(230)로 전원이 구동 시 전원부(22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서 호흡 감지 센서(240-1)가 구동된다.
한편, 커버부(110)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1)에 연결된 전선이 커버부(110)를 관통할 수 있는 절개홀(112)이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송출부(230)는 호흡 감지 센서(24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필터(231), 증폭기(232), 신호 변환기(233), 송출기(23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231)는 호흡 감지 센서(240-1)로부터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다. 증폭기(232)는 필터(231)를 통해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증폭한다. 신호 변환기(233)는 증폭기(232)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외부 수신기기(미도시)로 송출하기 위해 신호를 변환한다. 일실시예로 신호 변환기(233)는 외부 기기로 송출 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송출기(234)는 신호 변환기(233)를 통해 변환된 신호를 외부 수신 기기로 송출한다. 다른 실시예로 외부 수신기기는 송출기(234)에서 송출된 신호를 저장 및 분석하고 신호를 기초로 다양한 수면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송출부(230)는 별도의 외부 기기가 이외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시켜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수면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호흡시 발생하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는 본체(210)에 탈부착되며 송출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호흡 감지 센서(240-1)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설치되되, 감지부(241-1) 및 유동 방지판(242-1)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241-1)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241-1)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241-1)에 의해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는 연결 단자(211c)를 통해 송출부(230)로 전달된다.
상기 유동 방지판(242-1)은 감지부(241-1)에서의 정확한 호흡소리 신호 감지를 위한 구성으로서, 감지부(241-1)에서 연장형성 되며 커버부(110)의 배면에 고정되어 감지부(241-1)의 유동을 방지한다.
한편,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고정 포켓(115)이 구비된다. 따라서 유동 방지판(242-1)은 고정 포켓(115)에 삽입되어 커버부(110)의 배면에 고정됨으로써 감지부(24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커버부(110)에 탈부착되며, 변형 방지 플레이트(114) 및 고정 포켓(115)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커버재(116)는 사용자 목에 접촉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면 소재 또는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재(116)의 양측단에는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탈부착될 수 있도록 벨크로(117)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1)는 커버부(110)가 사용자의 앞 목에 착용될 때 커버부(110)를 고정시키며, 바디부(100)의 양단을 연결하여, 바디부(10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고정부(300-1)는 커버부(110)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부(320-1)를 포함하고, 밴드부(320-1)의 일측 정면과 타측 배면에는 상기 밴드부(320-1)가 상호 탈부착 될 수 있게 상호 대응되게 벨크로(321-1)가 각각 부착된다.
한편, 사용자 목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한바 착용의 편의성 및 밀착 향상을 위하여 밴드부(320-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커버부(110)와 밴드부(320-1)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탄성 스프링(310-1)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는 본체(210), 전원부(220) 및 송출부(23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로 호흡 감지 센서(240-2)는 감지부(241-2), 플레이트부(242-2), 유동 방지부(243-2)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241-2)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한다.
상기 플레이트부(242-2)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되며, 감지부(241-2)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고정시 감지부(241-2)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110)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유동 방지부(243-2)는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감지부(241-2)에서 연장 형성되며, 감지부(241-2)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감지부(241-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로 구성되고 그 작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레이트부(242-2)와 유동 방지부(243-2)의 일면에는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벨크로(244-2)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2)가 탈부착될 수 있게 플레이트부(242-2)와 유동 방지부(243-2)에 구비된 벨크로(244-2)와 대응되는 벨크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0)의 배면에는 호흡 감지 센서(240-2)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부착된 호흡 감지 센서(240-2)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 포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포켓(120)은 일단이 커버부(110)의 배면에 고정된다. 실시예로 커버 포켓(120)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커버부(110)의 배면에 재봉선(122)에 의해 고정된다. 나머지 세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벨크로(121)가 부착되어, 커버부(110)의 배면에 구비된 벨크로(미도시)에 의해서 커버부(110)의 배면에서 일측이 탈부착된다.
다만, 커버 포켓(120)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벨크로(121)가 부착되는 경우, 감지부(241-2)가 커버부(110) 하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감지부(241-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 모서리 중심부는 벨크로(121)가 부착되지 않는다.
일실시예로 커버 포켓(120)은 사용자의 목에 접촉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게 면 소재 또는 쿠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2)는 커버부(110)의 사용자의 목앞에 착용시 커버부(110)를 고정시키고, 바디부(100)의 양단을 연결하여, 바디부(100)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고정부(300-2)는 제1 고정 밴드부(320a-2) 및 제2 고정 밴드부(320b-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 밴드부(320a-2)는 단부에 결합링(321a-2)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 밴드부(320b-2)에는 결합링(321a-2)에 결합 후크(321b-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밴드부(320b-2)의 배면에는 결합 후크(321b-2)를 고정하며, 결합 후크(321b-2)에 의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패딩부(330b-2)가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패딩부(330b-2)는 사용자가 착용할 때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게 면 소재 또는 쿠션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밴드부(320b-2)는 제1 고정 밴드부(320a-2)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게 제1 고정 밴드부(320a-2) 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제2 고정 밴드부(320b-2)의 정면에는 벨크로(340b-2)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밴드부(320b-2)는 결합 후크(321b-2)를 통해 결합링(321a-2)에 결합된 후 제1 고정 밴드부(320a-2)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하여, 제1 고정 밴드부(320a-2)와 제2 고정 밴드부(320b-2) 간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커버부(110)의 양단과 제1 고정 밴드부(320a-2) 및 제2 고정 밴드부(320b-2)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310a-2)(310b-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1)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고, 호흡 감지 센서(240-1)(240-2)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송출부(230)가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고 송출부(230)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외부 기기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수면 패턴을 검사할 수 있다.
이상 앞에서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균등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100: 바디부 110: 커버부
111: 탈부착부 112: 절개홀 113: 셔링부 114: 변형 방지 플레이트 115: 고정 포켓 116: 커버재
117, 121, 321-1, 340b-2: 벨크로 120: 커버 포켓
122: 재봉선 200: 작동부 210: 본체
220: 전원부 230: 송출부 231: 필터
232: 증폭기 233: 신호 변환기 234: 송출기
240-1, 240-2: 호흡 감지 센서 300-1, 300-2: 고정부
310-1, 310b-2: 탄성 스프링 320-1: 밴드부 321a-2: 결합링

Claims (14)

  1.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작동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바디부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사용자의 목 앞부분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부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는 상기 작동부가 탈부착될 수 있는 탈부착부가 포함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탈부착부에 탈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호흡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전원부가 내장되는 제1 본체와, 상기 호흡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외부로 송출하되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출부가 내장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회로적으로 탈부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본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커버부를 관통할 수 있는 절개홀이 포함되고,
    상기 호흡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상기 커버부에 부착시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상기 감지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동 방지판을 삽입할 수 있는 고정 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감지부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 방지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커버부에 탈부착 되며, 상기 변형 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포켓을 커버할 수 있는 커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용자의 목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의 일측 정면과 타측 배면에는 상기 밴드부가 상호 탈부착될 수 있게 상호 대응되는 벨크로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5.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밴드 형태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작동부와, 상기 바디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바디부가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사용자의 목 앞부분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부가 포함되고,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는 상기 작동부가 탈부착될 수 있는 탈부착부가 포함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탈부착부에 탈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에 탈부착되며,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호흡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전원부가 내장되는 제1 본체와, 상기 호흡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호흡소리 신호를 수신 받아 이를 외부로 송출하되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출부가 내장되는 제2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회로적으로 탈부착되는 제3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본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커버부를 관통할 수 있는 절개홀이 포함되고,
    상기 호흡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방패 연골과 쇄골 사이의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목 피부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고 동시에 상기 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발생되는 호흡소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 또는 진동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유동 방지부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벨크로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는 상기 호흡 감지 센서가 탈부착될 수 있게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유동 방지부에 부착된 벨크로와 대응되는 벨크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부착된 상기 호흡 감지 센서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 포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포켓은 상부 모서리 부분이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고정되며, 나머지 세 모서리 부분 중 적어도 한 곳에 벨크로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 구비된 벨크로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의 배면에서 일측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도록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 고정 밴드부와 제2 고정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단부에는 결합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에는 상기 결합링에 결합되는 결합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배면에는 상기 결합 후크를 고정하며, 상기 결합 후크에 의한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는 패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는 상기 제1 고정 밴드부의 일부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고정 밴드부 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고정 밴드부의 정면에는 벨크로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부의 양단과 제1 고정 밴드부 및 제2 고정 밴드부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양측 하단부에는 상기 바디부를 사용자의 목에 착용할 때 호흡 감지 센서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셔링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65934A 2018-06-08 2018-06-08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KR10212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34A KR102122270B1 (ko) 2018-06-08 2018-06-08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34A KR102122270B1 (ko) 2018-06-08 2018-06-08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60A KR20190139460A (ko) 2019-12-18
KR102122270B1 true KR102122270B1 (ko) 2020-06-12

Family

ID=6905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34A KR102122270B1 (ko) 2018-06-08 2018-06-08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935B1 (ko) * 2020-08-21 2022-06-14 주식회사 하벤 가변형 센싱태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3232A1 (en) * 2013-04-05 2015-03-12 Intelligent Widget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irflow diagnosis and restoration
WO2018044170A1 (en) * 2016-09-02 2018-03-08 Nightbalance B.V. Sleep trainer with heart rate measurement b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3232A1 (en) * 2013-04-05 2015-03-12 Intelligent Widget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irflow diagnosis and restoration
WO2018044170A1 (en) * 2016-09-02 2018-03-08 Nightbalance B.V. Sleep trainer with heart rate measurement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60A (ko)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3776B2 (ja) 生体電気信号モニタ用衣類
US5800351A (en) Electrode supporting head set
US20180338743A1 (en) Acoustic detection mask systems and/or methods
US9572517B2 (en) Baby monitoring mat based on fiber optic sensor
KR100734986B1 (ko) 생체신호 측정의복
US66814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n oximeter probe to a patient
EP2581037B1 (e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CN111938576B (zh) 睡眠生理警示系统
JP6220016B2 (ja) 生体電気信号モニタ用衣類
US20120101399A1 (en) Respiratory Monitoring System
KR102122270B1 (ko) 호흡소리 신호 감지 장치
US20210298623A1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JP6386402B2 (ja) 呼吸に伴う人間の体表面の変位を検出するセンサ装置
WO2015012511A1 (ko) 휴대형 수면 데이터 계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검사 시스템
CN211835886U (zh) 一种隔离面罩
WO2020179845A1 (ja) 生体信号取得用具
WO2017109520A1 (en) A wearable heart rate and activity monitor system
JP6013047B2 (ja) 生体情報収集装置
CN220192999U (zh) 一种用于穿戴设备的绑带及穿戴设备
KR102480227B1 (ko)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장치
CN216908275U (zh) 一种下肢牵引带
US20230062867A1 (en) Wearable device
WO2018030721A1 (ko) 맥파 측정 장치
KR200208627Y1 (ko) 자세교정대용 어깨완충장치
JPH0249639A (ja) 呼吸曲線導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