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740B1 -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 Google Patents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740B1
KR102121740B1 KR1020190079420A KR20190079420A KR102121740B1 KR 102121740 B1 KR102121740 B1 KR 102121740B1 KR 1020190079420 A KR1020190079420 A KR 1020190079420A KR 20190079420 A KR20190079420 A KR 20190079420A KR 102121740 B1 KR102121740 B1 KR 102121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books
main body
loan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휘근
오광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콤
Priority to KR102019007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7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7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9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box-like containers, e.g. videocassettes, boo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A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that accommodates a large number of books and provides borrowing and returning operations of accommodated books; a plurality of monitors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main body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nd input commands; and a plurality of book slot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Dual type smart book device{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본 발명은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및 후면 양쪽에서 도서 검색 및 도서 대출반납이 가능한 듀얼 구조로 되어 복수의 이용자들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that can b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by a dual structure capable of searching and returning books from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It is about.

기존의 도서관 개념은 도서관 건물을 건설하여 책을 보유하고 사서를 고용하여 도서관을 운영하는 형태이나, 현대의 바쁜 생활 속에서 시민들은 일일이 멀리 떨어져 있는 도서관을 찾아가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도서관 이용률은 현저히 떨어지는 실정이다.The existing library concept is to build a library building to hold books and hire a librarian to operate the library, but in modern busy life, citizens are reluctant to visit a library far away, so the library utilization rate is significantly lower. to be.

이에 최근에는 자판기 형태의 무인자동화기기에 적재되어 있는 도서 중 원하는 책을 선택하여 즉시 대출하고 반납할 수 있는 스마트 도서관이 공공시설, 터미널, 회사 등의 각처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책을 빌릴 수 있고 책 대출, 반납도 원하는 시간대에 이용할 수 있어 이용자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 smart library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public facilities, terminals, companies, etc., where books can be borrowed and returned immediately by selecting the desired book from the books loaded in the vending machine type. Loan and return are also available at the desired time, so the number of users is expanding.

현행 스마트 도서관 장치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모니터와 도서 투입구가 모두 전면에 배치되어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몰릴 경우 줄을 서서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current smart library device, a touch screen type monitor and a book inlet are all arranged at the front, which causes inconvenience of waiting in line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are driven at the same time.

한국등록특허 제10-1771671호는 도서대출반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기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된 개구부와 관통되어 있는 북입출입부, 상기 북입출입부로 전송된 제1도서가 놓여지는 트레이, 상기 북입출입부 또는 상기 트레이에 놓여진 상기 제1도서의 두께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부, 상기 두께 감지부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도서의 두께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지지프레임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들 각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랙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랙,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트레이를 상기 랙홈들 중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랙홈들에 삽입하는 이송로봇, 및 상기 제1도서의 두께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트레이가 삽입된 한 쌍의 랙홈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도서의 두께에 따라, 상기 트레이가 삽입될 한 쌍의 랙홈들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이송로봇을 제어하여, 랙에 배치되는 트레이들 간의 간격을, 도서의 두께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는, 도서대출반납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71671 relates to a book loan return system, a housing in which the front is open, a door that covers the opened front of the housing, an opening formed in the door and a through-in and out part that penetrates the A tray on which the first book transmitted to the entry/exit unit is placed, a thickness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thickness of the entry/exit unit or the first book placed on the tray,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hickness sensing unit, the first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a book, a support fram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facing each other, each of the support frames having a rack groov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tra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storage robot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ok and the position of the pair of rack grooves in which the tray is inserted, and a transfer robot for inserting the one of the rack grooves into a pair of rack grooves facing each other. Including,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air of rack grooves to which the tray is to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book, and controls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o determine the spacing between the trays arranged in the rack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book loan return system, which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a book.

한국등록특허 제10-1015165호는 도서 대출 반납 장치 및 이를 갖는 도서 대출 반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에 의해 상,하부에 거리를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는 무한궤도 구조의 상,하부 트렉 사이에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스크린 도어 및 우측 스크린 도어, 상기 좌,우측 스크린 도어의 개폐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다수개소의 도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측에 배치되는 도서 수용부, 상기 좌,우측 스크린 도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시에 이동시켜 선택된 도서 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좌,우측 스크린 도어를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부, 및 상기 좌,우측 스크린 도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모듈화되고, 모듈화된 도서 대출 반납 장치를 적어도 2개 이상 적층시켜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조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15165 relates to a book loan returning device and a book loan returning system having the sam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racks of a caterpillar structure installed by maintaining a distance above and below by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On the inside of the space formed by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ok receiving spaces that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left screen door and the right screen door and the left and right screen doors that are movably installed along the trajectory. Book receiving unit to be arranged, the left and right screen doors are moved to the left or right at the same time to open and close the left and right screen doors to open and close the selected book receiving space, and the left and right screen doors, except for the left and right screen doors It is composed of a housing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rest of the componen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stacked with at least two modular and modular book loan return devices to connect to a server and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Disclosed is a technology capable of constructing a system.

한국등록특허 제10-1771671호(2017.08.21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71671 (2017.08.21 registered) 한국등록특허 제10-1015165호(2011.02.09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15165 (2011.02.09 regist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 및 후면 양쪽에서 도서 검색 및 도서 대출반납이 가능한 듀얼 구조로 되어 복수의 이용자들이 동시에 이용 가능하여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that can b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efficiency by using a dual structure capable of searching for books and returning books on both front and back si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모니터 및 도서 투입구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이들 사이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을 형성하여 1개의 도서 이동장치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nitor and a book inl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front and rear parts, thereby forming a book loan return area therebetween so that a single book moving device can be used joint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book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 모니터들을 통해 도서 검색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도서 대출 및 반납 동작을 인증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that can simultaneously use the book search through the monitors disposed on the front and back, and sequentially perform the book loan and return operations in the order of authentication.

실시예들 중에서,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는 다수의 도서를 수용하고 수용된 도서의 대출 및 반납 동작이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마련되고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모니터들, 및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도서들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함들을 포함하고 전후 양쪽으로 도서 보관 영역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도서 이송 공간을 형성하는 도서 보관부, 상기 도서 이송 공간을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서 보관부에 보관된 특정 도서를 인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대출 이용자 측의 도서 투입구로 이송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반납 이용자 측의 도서 투입구에 투입된 도서를 이송시켜 상기 도서 보관부의 지정된 보관 위치에 보관시키는 도서 이송부, 일측 전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하나의 도서 투입구의 투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서 투입 공간의 상단에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들 중 하나의 모니터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도어부, 및 일측 후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다른 하나의 도서 투입구의 투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서 투입 공간의 상단에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들 중 다른 하나의 모니터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부와 상기 제2 도어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도서 대출반납 영역에 상기 도서 이송부가 위치하여 상기 제1 도어부와 상기 제2 도어부에 각각 형성된 도서 투입 공간을 통해 양쪽으로 도서 대출 및 반납을 위한 도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ooks and is provided on a body in which a loan and return operation of the received books are performed,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main body, and provides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and commands It includes a plurality of monitors for input, and a plurality of book slots provid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t least one storage box for storing a plurality of books, and a book storage area in both front and rear sides. The book storage unit to form a book transfer space therebetween, and moving the book transfer space in the horizontal (x-axis) and vertical (y-axis) directions, withdrawing the plurality of books stored in the book storage unit Book transfer unit to transfer to the book input port of the loan user from among the book input slots, or to transfer the book input to the book input port of the return user from the plurality of book input slots and store it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of the book storage unit, on one front A first door unit provided and forming an input space of one of the plurality of book input ports therein and an installation space of one of the plurality of monitors at an upper end of the book input space, and one side A second door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and forming an input space of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book input ports therein and an installation space of another monitor of the plurality of monitors on the upper end of the book input space It includes a portion, and the first door portion and the second door portion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book loan return area in the space between them, the book transfer unit is located in the book loan return area so that the first door portion and Book transfer for book lending and return can be made on both sides through book input spac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second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들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전면 모니터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마련되는 후면 모니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모니터와 상기 후면 모니터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이용자들이 동시에 도서 검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nitors is composed of a front monitor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rear monitor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monitor and the rear monito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multiple users can simultaneously search for books. It can be enabled.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전면 도서 투입구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마련되는 후면 도서 투입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도서 투입구와 상기 후면 도서 투입구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 도서 투입구와 상기 후면 도서 투입구 사이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ook inlets is composed of a front book inlet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nd a rear book inlet provided in the rea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book inlet and the rear book inl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face the front book A book loan return area may be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rear book inlet.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은 일반 이용자들의 도서 대출 및 반납을 위한 도서 투입구와 차를 탄채로 도서 대출 및 반납할 수 있는 드라이브 쓰루(drive-through)용 도서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ook slots may include a book slot for borrowing and returning books by general users, and a drive-through book slot for borrowing and returning books while riding a car.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the specific embodiment does not mean that all the following effects should be included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are included,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는 전면 및 후면 각각에 모니터와 도서 투입구를 마련하여 전후 양쪽에서 복수의 이용자들이 동시에 도서 검색 및 도서 대출과 반납을 함으로써 대기 시간을 줄이고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nitor and a book slot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by reducing waiting time by using a plurality of users at the same time before and after searching and borrowing and returning books. Can incre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는 모니터와 도서 투입구를 모두 듀얼로 형성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하여 이들 사이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1개의 도서 이동장치를 공동으로 사용하여 도서의 대출 및 반납 동작을 할 수 있다.In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a monitor and a book inlet are formed in dual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book loan return area therebetween, thereby using one book moving device jointly By doing so, you can borrow and return boo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 모니터를 통해 도서 검색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도서 대출 및 반납을 인증된 이용자부터 순서대로 이용할 수 있다.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ultaneously use book search through monitors dispos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may use book lending and return in order from an authenticated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도서 대출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도서 반납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ook loan process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ook return process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us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the lik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ex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xample,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dentifi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tat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o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는 전면을, (나)는 후면을 각각 나타낸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presents the front, (B) represents the rear, respectively.

도 1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본체(110), 본체(110)의 전면부(120a)에 있는 전면 모니터(130a)와 전면 도서 투입구(140a), 및 본체(110)의 후면부(120b)에 있는 후면 모니터(130b)와 후면 도서 투입부(140b)를 포함하여 듀얼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 1,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front monitor 130a and a front book inlet on the front part 120a of the main body 110. It may be of a dual type, including (140a), and the rear monitor 130b and the rear book input unit (140b) on the rear portion (120b) of the main body (110).

본체(110)는 다수의 도서를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할 수 있는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케이스에 해당한다.The main body 110 corresponds to a case that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books and may include mechanical and electrical components capable of borrowing and returning the received books.

본체(110)에는 전면부(120a)와 후면부(120b)가 마련되고, 전면부(120a)와 후면부(120b) 각각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모니터(130a,130b)가 구비된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ront portion 120a and a rear portion 120b, and monitors 130a and 130b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nd inputting commands to each of the front portion 120a and the rear portion 120b. Is provided.

전면 모니터(130a)와 후면 모니터(130b)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되 본체(11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모니터(130a)와 후면 모니터(130b)에는 도서 대출 및 반납에 필요한 정보 및 공익광고, 기업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이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면 모니터(130a)와 후면 모니터(130b)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하여 모니터(130a,130b)를 통하여 도서 대출 및 반납에 필요한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ront monitor 130a and the rear monitor 130b are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but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main body 110. The front monitor 130a and the rear monitor 130b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quired for loan and return of books and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nd corporate advertisements. The front monitor 130a and the rear monitor 130b may be configured with a touch screen to be configured to input commands and data necessary for loan and return of books through the monitors 130a and 130b.

본체(110)의 전면부(120a)와 후면부(120b)에는 또한 사용자가 책을 넣어 반납하거나 책을 꺼낼 수 있도록 도서 투입구(140a,140b)가 각각 구비된다.The front part 120a and the rear part 120b of the main body 110 are also provided with book openings 140a and 140b, respectively, so that a user can put in a book and return or take out a book.

전면 도서 투입구(140a)와 후면 도서 투입구(140b)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되 본체(110)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모니터(130a,130b)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도서 투입구(140a)와 후면 도서 투입구(140b)는 입구부분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도서 대출 및 반납 과정에서 도어가 열리고 도서 대출 및 반납 완료시 도어가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book inlet 140a and the rear book inlet 140b are configured in the same shape, but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onitors 130a and 130b. The front book inlet 140a and the rear book inlet 140b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entrance to open the door during the book loan and return process and to close the door when the book loan and return is completed.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도 1에 보여진 바와 같은 외형을 이룰 수 있어,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chieve an appearance as shown in FIG. 1, and thus can be used by multiple users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utilization efficienc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도서 보관부(210), 도서 이송부(220), 제1 도어부(230) 및 제2 도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include a book storage unit 210, a book transfer unit 220, a first door unit 230, and a second door unit 240. have.

도서 보관부(210)은 복수개의 도서들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함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보관부(210)는 내부에 복수개의 도서들을 각각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도서들을 적재할 수 있는 도서 적재 영역과 도서들을 대출 및 반납하는 도서 대출반납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The book storage unit 21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storage box that stores a plurality of books. In one embodiment, the book storage unit 210 may be divided into a book loading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books can be stored, and a book loading area in which books can be stored and a book loan return area in which books are loaned and returned.

도서 이송부(220)는 도서의 대출 또는 반납 과정에서 도서 보관부(210)에 보관된 특정 도서를 찾아 도서 투입구로 이동시키고 도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도서를 도서 보관함(210)의 지정된 보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부(220)는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도서 선반을 도서 보관함(210)에 대해 수평(x축) 방향과 수직(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부(220)는 이용자가 선택한 대출하고자 하는 도서가 배치된 도서 보관부(210)의 도서 보관 위치로 이동하여 보관된 도서를 도서 선반으로 옮긴 후 이동하여 도서 선반이 이용자측의 도서 투입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부(220)는 반납되는 도서일 경우에 이용자가 도서 투입구에 도서를 투입시키면 도서 선반에 투입된 도서를 올려 해당 도서의 지정 보관 위치로 이동시켜 도서 보관함(210)의 내부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서 이송부(220)는 전후 양측에 마련된 도서 대출반납 영역에 배치되고 양측으로 도서 대출 및 반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ok transfer unit 220 finds a specific book stored in the book storage unit 210 during the loan or return process of the book and moves it to the book input port and moves the book input through the book input port to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of the book storage box 210. Can be. In one embodiment, the book transfer unit 22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capable of moving the book shelf in the horizontal (x-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ok shelf 210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 In one embodiment, the book transfer unit 220 moves the book to the book storage location of the book storage unit 210 in which the book to be borrowed i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n moves the stored book to the book shelf to move the book shelf to the user side It can be located in the book slot of the. In one embodiment, the book transfer unit 220 when a user returns a book to a book inlet when a book is returned, the book is put on the book shelf and moved to the designated storage location of the book to move into the book storage box 210 Can be kept. The book transfer unit 220 may be arranged in the book loan return area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and book loans and returns may be made to both sides.

제1 도어부(230)는 스마트 도서 장치(100)의 일측 전면부(120a)에 마련되고 내부에 도서 투입구(140a)의 투입 공간(231)이 형성되고 도서 투입공간(231)의 상단에 전면 모니터(130a)의 설치 공간(233)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oor unit 23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120a of one side of the smart book apparatus 100, an input space 231 of the book input port 140a is formed inside, and a front side of the book input space 231 is formed. An installation space 233 of the monitor 130a may be formed.

제2 도어부(240)는 스마트 도서 장치(100)의 일측 후면부(120b)에 마련되고 내부에 도서 투입구(140b)의 투입 공간(241)이 형성되고 도서 투입공간(241)의 상단에 후면 모니터(130b)의 설치 공간(24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unit 240 is provided on one side rear portion 120b of the smart book device 100, an input space 241 of the book input port 140b is formed inside, and a rear monito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ok input space 241. An installation space 243 of 130b may be formed.

제1 도어부(230)와 제2 도어부(24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이들 사이의 공간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도서 대출반납 영역에는 도서 이송부(220)가 위치하여 양쪽 도어부(230,240)에 형성된 도서 투입공간(231,241)을 통해 양쪽으로 도서 대출 및 반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door unit 230 and the second door unit 24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book loan return area may b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m, and a book transfer unit 220 may be located in the book loan return area, and Book rental and return operations may be performed on both sides through the book input spaces 231 and 241 formed in the door units 230 and 2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도서 보관부(310), 도서 이송부(320), 제1 도어부(330), 제2 도어부(34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includes a book storage unit 310, a book transfer unit 320, a first door unit 330, a second door unit 340, and a control unit 260. Includes.

도서 보관부(310)는 n×m의 행렬 형태로 복수개의 도서 보관함이 양쪽으로 배치되어 내부에 복수개의 도서들을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보관부(310)는 전후 양쪽으로 도서 보관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도서 보관 영역 사이로 도서 이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book storage unit 310, a plurality of book storage box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in a matrix form of n×m to store a plurality of books therein. In one embodiment, the book storage unit 310 may include a book storage area on both sides before and after, and may form a book transport space between the book storage areas.

도서 이송부(320)는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도서 이송 공간을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레일 이동하면서 도서 보관부(310)에 보관된 도서를 인출하여 이송하거나 이송해온 도서를 도서 보관부(310)에 인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서 이송부(320)에는 도서를 받쳐서 이동할 수 있게 이동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ok transfer unit 320 receives the drive power of the motor and moves the rails in the horizontal (x-axis) and vertical (y-axis) rails while drawing or transferring the books stored in the book storage unit 310. Can be drawn into the book storage unit 310. In one embodiment, the book transfer unit 320 may include a movable shelf to support and move books.

제1 도어부(330)는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도서 투입구(331)와 모니터(3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서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도서 투입구(331)는 전면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도서 투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 도서 투입구(331)는 대출시 회원증인증 후, 반납시 도서인증 후 자동으로 전면부가 개폐되면서 반납될 도서가 투입되거나 대출된 도서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door part 3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rt and may include a book input port 331 and a monitor 333. In one embodiment, the book input port 331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smart book device 100 may b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and a book input space may be formed therein. The front book inlet 331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of the book after the membership certificate is authenticated upon loan, and the book to be returned or the loaned book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 실시예에서, 전면 도서 투입구(331)의 상단에 설치된 모니터(333)는 도서 보관함(310)에 보관된 도서에 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공익광고, 기업광고 또는 신간이나 이용자가 원하는 도서에 관련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이용자들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면 모니터(333)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하여 도서 대출 및 반납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nitor 333 installed at the top of the front book slot 331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books stored in the book storage box 310, a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a corporate advertisement, or a new or desired use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book can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users. The front monitor 333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o input data required for book loan and return.

제2 도어부(340)는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도서 투입구(341)와 모니터(34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도서 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된 도서 투입구(341)는 전면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도서 투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 도서 투입구(341)는 전면 도서 투입구(331)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면 도서 투입구(331)는 일반적인 이용자들의 도서 대출 반납 창구로써 이용될 수 있고, 후면 도서 투입구(341)는 차를 탄 채로 이용할 수 있는 드라이브 쓰루(drive-through)용 도서 대출 반납 창구로써 이용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part 340 may be formed on the rear part and may include a book input port 341 and a monitor 343. In one embodiment, the book inlet 341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smart book device 100 may be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and can form a book input space therein. The rear book slot 341 may b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front book slot 331 and a book loan return area may be formed therebetween. Here, the front book slot 331 can be used as a window for returning books to general users, and the rear book slot 341 is used as a drive-through book loan return window that can be used while riding a car. Can be used.

후면 도서 투입구(341)는 전면 도서 투입구(331)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동 개폐될 수 있다. 후면 도서 투입구(341)는 대출시에 회원인증, 반납시에 도서인증을 통해 자동으로 전면부가 개폐되면서 반납될 도서가 투입되거나 대출된 도서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rear book slot 341 may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ront book slot 331. The rear book input port 341 may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front part through member authentication at the time of loan, and book authentication at the time of return, so that the book to be returned or the loaned book may be discharged outside.

일 실시예에서, 후면 도서 투입구(341)의 상단에 설치된 모니터(343)는 도서 보관함(310)에 보관된 도서에 관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공익광고, 기업광고 또는 신간이나 이용자가 원하는 도서에 관련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이용자들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면 모니터(343)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하여 도서 대출 및 반납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nitor 343 installed on the top of the rear book slot 341 may display information on books stored in the book storage 310,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corporate advertisements, or new or desired by users. Information related to books can be displayed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users. The front monitor 343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o input data required for book loan and return.

일 실시예에서, 전면 모니터(333)와 후면 모니터(343)는 상호 동기되어 동일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ont monitor 333 and the rear monitor 343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and the sam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r differe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needed.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이용자들은 전면 모니터(333)와 후면 모니터(343)를 통해 도서 검색 등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도서 대출 및 반납 동작의 경우에는 신청 순서대로 도서 이송부(320)가 이송 동작하여 먼저 신청한 이용자가 선택한 도서의 대출 또는 반납 완료한 후 후속 이용자에 대해 도서 대출 또는 반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users may simultaneously use book search or the like through the front monitor 333 and the rear monitor 343. In the case of the book loan and return operation, the book transfer unit 320 transfers the job in the order of application so that the book loan or return oper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subsequent users after completing the loan or return of the book selected by the user who applied first.

제어부(350)는 스마트 도서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도서 이송부(320), 제1 도어부(330) 및 제2 도어부(3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book device 100 and manage a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 book transfer unit 320, the first door unit 330, and the second door unit 340. .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에서 수행되는 도서 대출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ook loan process performed in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전면부(120a) 및 후면부(120b)에 듀얼 타입(dual type)으로 설치된 전면 모니터(130a) 및 후면 모니터(130b)를 통해 복수의 이용자들 각각이 대출을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서를 선택하여 도서 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단계 S410).In FIG. 4,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ront monitor 130a and a rear monitor 130b installed in a dual type on the front part 120a and the rear part 120b. Through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can be applied for a book loan by selecting at least one book you want to borrow (step S410).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도서 대출을 신청한 이용자들에 대해 대출 사용 신청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20). 일 실시예에서,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사전 발급한 회원 정보를 토대로 대출 사용 신청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perform loan use applicant authentication for users who have applied for book loan (step S420). In one embodiment,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perform loan use applicant authentication based on pre-issued member information.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복수의 이용자들이 대출 신청한 경우 먼저 인증된 순서대로 인증된 사용자부터 대출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단계 S430).When a plurality of users apply for a loan,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start the loan service from the authenticated users in the order of authentication (step S430).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사용자 인증 시 도서 이송부(220)가 이동할 최적화된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이동 위치 순서를 정할 수 있다(단계 S440). 여기에서, 이동거리는 다음의 수학식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order of the moving positions by calculating the optimized moving distance to which the book transport unit 220 will move upon user authentication (step S440). Here, the moving distanc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Mathematics]

Figure 112019067765498-pat00001
Figure 112019067765498-pat00001

여기에서, Dmove는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의 좌표 (0,0)에서 (Dx,Dy)의 종착점에 대한 최단거리를 나타낸다.Here, Dmove represents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end point of (Dx,Dy) at coordinates (0,0) in the horizontal (x-axis) and vertical (y-axis) directions.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이용자가 복수개의 도서들을 대출 신청한 경우에 복수개의 도서들 각각의 보관 위치에 대해 최소 이동시간을 갖는 이동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determine a movement path having a minimum movement time for each storage location of a plurality of books when a user applies for lending multiple books.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각각에 도서 위치 별로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동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선택한 도서의 위치에서 도서를 꺼내어 도서 선반으로 이동할 수 있다(단계 S450).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simultaneously move in the horizontal (x-axis) and vertical (y-axis) directions for each book position to sequentially take out books from the selected book position and move them to the book shelf (step S450). ).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도서 선반으로 도서 이동 완료 후 이용자측 도서 투입구로 이동하여 이용자에게 도서 대출을 할 수 있다(단계 S460).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complete a book movement to a book shelf and then move to a user's book input slot to loan a book to the user (step S460).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먼저 인증된 사용자부터 대출서비스를 시작할 때, 복수의 이용자들이 각각 대출 신청한 도서들을 일괄적으로 도서 보관함(210)으로부터 이송해와 먼저 인증된 사용자가 신청한 도서부터 순차적으로 해당 도서 투입구로 인출되게 동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면 모니터(130a)를 통해 대출 신청이 먼저 이루어지고 후면 모니터(130b)를 통해 후속으로 대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에, 도서 이송부(220)는 전면 모니터(130a) 이용자가 선택한 도서부터 먼저 이송하여 전면 도서 투입구(140a)로 내보낸 다음 후면 모니터(130B) 이용자가 선택한 도서를 이송하여 후면 도서 투입구(140B)로 내보내거나 전면 모니터(130a)와 후면 모니터(130b) 이용자들이 각각 선택한 도서들을 일괄 이송한 후 전면 도서 투입구(140a)로 먼저 선택한 도서를 내보낸 다음 후면 도서 투입구(140b)로 선택한 해당 도서를 내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rst starts a loan service from an authenticated user, and then transfers the books requested by the plurality of users from the book storage 210 collectively and authenticates the book first. It may operate to be withdrawn from the book requested by the user sequentially to the corresponding book slot. For example, when a loan application is first made through the front monitor 130a and a subsequent loan application is made through the rear monitor 130b, the book transfer unit 220 transfers the book selected by the user of the front monitor 130a first. After exporting to the front book slot 140a, the book selected by the rear monitor 130B is transferred to the rear book slot 140B, or the books selected by the users of the front monitor 130a and rear monitor 130b are collectively transferred. After that, the first selected book can be exported to the front book inlet 140a, and then the selected book can be exported to the rear book inlet 140b.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의 도서 반납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ook return process of a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에서,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반납 이용자가 전면 또는 후면 도서 투입구(140a,140b)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도서를 반납하고자 할 경우에 먼저 반납할 도서에 대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10).In FIG. 5,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on the book to be returned first when the return user wants to return the book by selecting one of the front or rear book input ports 140a and 140b. There is (step S510).

도서 인증 후,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선택된 도서 투입구의 전면부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반납 이용자가 반납할 도서를 투입할 수 있다(단계 S520). 일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이용자는 전면 도서 투입구(140a)를 통해 반납할 도서를 투입할 수 있고, 전면부(120a)에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을 때 후면 도서 투입구(140b)를 통해 반납할 도서를 투입할 수 있다. 예컨대,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가 드라이브 쓰루 가능한 장소에 설치된 경우 후면 도서 투입구(140b)에 대해 차에서 내리지 않고 차에 탄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After the book is authenticated,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automatically open the front portion of the selected book input port and input a book to be returned by the returned user (step S520). In one embodiment, in general, a user may input a book to be returned through the front book inlet 140a, and when a user is located in the front portion 120a, a book to be returned through the rear book inlet 140b is input can do. For example, when 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drive-through is possible, the rear book input port 140b may be used in a state of getting on the car without getting off the car.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전면 또는 후면 도서 투입구(140a,140b)를 통해 반납할 도서가 투입되면 전면 도어를 닫은 후 도서 이송부(220)가 이동할 최적화된 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반납할 도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면 계산된 이동거리를 토대로 이동 위치 순서를 정할 수 있다(단계 S530).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calculates an optimized travel distance to which the book transfer unit 220 moves after closing the front door when the book to be returned is input through the front or rear book input ports 140a and 140b, and returns the book to be returned If is at least one or more, the moving position ord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moving distance (step S530).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100)는 각각에 도서 위치 별로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동시 이동하여 반납한 도서의 해당 위치에 도서를 보관하여 반납 완료할 수 있다(단계 S540).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100 may simultaneously move in the horizontal (x-axis) and vertical (y-axis) directions for each book position to store the book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eturned book and complete the return (step S540) ).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는 전후면 양쪽으로 모니터 및 도서 투입구를 이중화함으로써, 다수의 이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여 도서 대출 및 반납을 위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dual-type smart boo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dual monitors and book slots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so that multiple users can use the book simultaneously, minimizing the waiting time for book lending and return and maximizing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0: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
110: 본체
120a: 전면부 120b: 후면부
130a: 전면 모니터 130b: 후면 모니터
140a: 전면 도서 투입구 140b: 후면 도서 투입구
210: 도서 보관부 220: 도서 이송부
230: 제1 도어부 240: 제2 도어부
231,241: 도서 투입공간 233,243: 모니터 설치공간
310: 도서 보관부 320: 도서 이송부
330: 제1 도어부 340: 제2 도어부
331,341: 도서 투입구 333,343: 모니터
350: 제어부
100: dual type smart book device
110: main body
120a: front portion 120b: rear portion
130a: Front monitor 130b: Rear monitor
140a: front book slot 140b: rear book slot
210: book storage unit 220: book transfer unit
230: first door unit 240: second door unit
231,241: Book input space 233,243: Monitor installation space
310: book storage unit 320: book transfer unit
330: first door unit 340: second door unit
331,341: Book slot 333,343: Monitor
350: control unit

Claims (8)

다수의 도서를 수용하고 수용된 도서의 대출 및 반납 동작이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마련되고 이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모니터들; 및
상기 본체의 전면부와 후면부 각각에 마련되고 그중 하나는 차를 탄채로 도서 대출 및 반납할 수 있는 드라이브 쓰루(drive-through)용인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도서들을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관함들을 포함하고, 전후 양쪽으로 도서 보관 영역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도서 이송 공간을 형성하는 도서 보관부;
상기 도서 이송 공간을 수평(x축) 및 수직(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서 보관부에 보관된 특정 도서를 인출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대출 이용자 측의 도서 투입구로 이송하거고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반납 이용자 측의 도서 투입구에 투입된 도서를 이동시켜 상기 도서 보관부의 지정된 보관 위치에 보관시키는 도서 이송부;
일측 전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하나의 도서 투입구의 투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서 투입 공간의 상단에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들 중 하나의 모니터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도어부; 및
일측 후면부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다른 하나의 도서 투입구의 투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서 투입 공간의 상단에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들 중 다른 하나의 모니터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부와 상기 제2 도어부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도서 대출반납 영역에 상기 도서 이송부가 위치하여 상기 제1 도어부와 상기 제2 도어부에 각각 형성된 도서 투입 공간을 통해 양쪽으로 도서 대출 및 반납을 위한 도서 이송이 이루어지되,
상기 도서 이송부는 이동거리를 토대로 이동 위치 순서를 정하고 복수의 이용자들이 각각 대출 신청한 도서들을 일괄적으로 상기 도서 보관함으로부터 이송해와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 중 해당 도서 투입구에 순차적으로 내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
A body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ooks and performs loan and return operations of the received books;
A plurality of monitors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main body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nd input commands; And
It is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main body, one of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book inputs for drive-through (drive-through) that can be borrowed and returned books while riding a car,
The main body
A book storag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torage box for storing a plurality of books, forming book storage areas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and forming a book transport space therebetween;
While moving the book transfer space in the horizontal (x-axis) and vertical (y-axis) directions, the specific book stored in the book storage section is withdrawn and transferred to the book input port of the loan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ook input ports. A book transfer unit for moving the book inserted into the book input port of the return user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ook input ports and storing the book in a designated storage location of the book storage unit;
A first door provided on one front surface and forming an input space of one of the plurality of book input ports therein and an installation space of one of the plurality of monitors on the top of the book input space part; And
I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one side to form an input space of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book slots therein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monitor of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monitors on top of the book input space Including a door part,
The first door part and the second door par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book loan return area in a space therebetween, and the book transfer part is positioned in the book loan return area so that the first door part and the second door Book transfer for book lending and return is made on both sides through the book input space formed in each department,
The book transfer unit determines the order of the moving location based on the distance traveled, and transfers the books requested by a plurality of users from the library, and sequentially exports the books to the corresponding book slot among the plurality of book slots. Dual type smart book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들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전면 모니터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마련되는 후면 모니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모니터와 상기 후면 모니터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이용자들이 동시에 도서 검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onitors
It is composed of a front monitor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rear monitor provid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monitor and the rear monitor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simultaneously search for books. Dual type smart book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서 투입구들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전면 도서 투입구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마련되는 후면 도서 투입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도서 투입구와 상기 후면 도서 투입구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 도서 투입구와 상기 후면 도서 투입구 사이에 도서 대출반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스마트 도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ook slots
It consists of a front book inlet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rear book inlet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book inlet and the rear book inl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book inlet and the rear book inlet are arranged. Dual type smart book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book loan return area between.
삭제delete
KR1020190079420A 2019-07-02 2019-07-02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KR1021217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20A KR102121740B1 (en) 2019-07-02 2019-07-02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20A KR102121740B1 (en) 2019-07-02 2019-07-02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740B1 true KR102121740B1 (en) 2020-06-12

Family

ID=7108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420A KR102121740B1 (en) 2019-07-02 2019-07-02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7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183A (en) * 2003-10-28 2005-05-03 임중표 Video tape and dvd automatic lending equipment with many axis transport equipment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101015165B1 (en) 2010-10-06 2011-02-17 주식회사 나이콤 Device for book reserve/return and book reserve/return system havimg device thereof
KR20120019586A (en) * 2010-08-26 2012-03-07 서울특별시 은평구청(은평구립도서관장)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in and out of books
KR101771671B1 (en) 2017-05-30 2017-08-25 주식회사 이씨오 System for lending a book or returning a boo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183A (en) * 2003-10-28 2005-05-03 임중표 Video tape and dvd automatic lending equipment with many axis transport equipment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20120019586A (en) * 2010-08-26 2012-03-07 서울특별시 은평구청(은평구립도서관장)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in and out of books
KR101015165B1 (en) 2010-10-06 2011-02-17 주식회사 나이콤 Device for book reserve/return and book reserve/return system havimg device thereof
KR101771671B1 (en) 2017-05-30 2017-08-25 주식회사 이씨오 System for lending a book or returning a boo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365B1 (en) Book rental return system
WO2018113602A1 (en) Parking management robot,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2082733B1 (en) Books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for lending a books
JP2022502765A (en) Mobile vending machine
JP2011253295A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01832084A (en) Unattended full-automatic safe deposit box system
CN108975101A (en) Elevator control method, device,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7430793A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ccess control system
Knight et al. Taking candy from a robot: Speed features and candy accessibility predict human response
KR102121740B1 (en) Dual type smart book apparatus
US20170167154A1 (en) Automated vehicle parking system
CN108596733A (en) The control method of jewelry intelligence sale device
CN108921582A (en) Method of servicing and system after a kind of automobile
GB2430529A (en) Vehicle parking system
JP202402909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30078128A (en) Stamp robot and system of exhibition
KR102094209B1 (en) Book transfer apparatus having pressing function
JP2017159994A (en) Electrically-driven movable shelf device in library using communication robot
GB2549188B (en) Assignment of a motorized personal assistance apparatus
CN111091651A (en) Self-service book returning system of books with navigation function
KR102370689B1 (en) Autonomous smart library apparatus
JP2006127005A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2339929B1 (en) Smart cage for multiuser data facility
KR102364153B1 (en) System for automated lend/return a book
CN208351633U (en) Jewelry intelligence retail se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