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386B1 -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386B1
KR102121386B1 KR1020200007308A KR20200007308A KR102121386B1 KR 102121386 B1 KR102121386 B1 KR 102121386B1 KR 1020200007308 A KR1020200007308 A KR 1020200007308A KR 20200007308 A KR20200007308 A KR 20200007308A KR 102121386 B1 KR102121386 B1 KR 10212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laundry
washing wat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우
Original Assignee
한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우 filed Critical 한상우
Priority to KR102020000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386B1/ko
Priority to KR1020200067516A priority patent/KR2021009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2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본체부 및 믹싱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믹싱부의 내부를 촬영하는 스캔부, 외부 전력을 센싱부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부, 커뮤니케이션부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일단이 본체부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접속부 및 제1 접속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지속적인 면접촉을 통해 외부 전력을 용이하게 센싱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기가 갖는 사전세탁 및 세탁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 및 생략할 수 있어 전기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급히 세탁된 옷을 입어야 하는 사용자에게 신속히 세탁된 옷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신속히 안겨줄 수 있다.

Description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omitted}
본 발명은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범용형 세탁 제어를 위한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북미시장에 한국기업의 드럼 세탁기 및 건조기가 진출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에너지를 절약함은 물론 코인 세탁기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오염 제거 미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력 때문이다.
이때, 코인 세탁기는 마이콤(Micom)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모드를 선택 및 선택된 모드에 따른 구동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30218호(2011.03.23 공개)에는, 선택 가능한 코스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업용 코인 세탁기의 경우, 마이콤을 이용하기 때문에 개발 및 제작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세탁기와 건조기, 일반형과 상업형 간의 호환이 되지 않아 유지 보수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마이콤을 이용하여 한번 개발 및 제작이 된 경우, 하드웨어 및 프로그램의 변경이 되면, 처음부터 다시 개발 및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세탁기의 경우 세탁물의 세탁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세탁의 일시중지 또는 정지를 실시할 수 없고,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22948호 (2011.03.08.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 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세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세탁기와는 차별화된 세탁 공정을 갖는 세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세탁 과정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본체부 및 믹싱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믹싱부의 내부를 촬영하는 스캔부, 외부 전력을 센싱부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부, 커뮤니케이션부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일단이 본체부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접속부 및 제1 접속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접속부를 더 포함하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지속적인 면접촉을 통해 외부 전력을 용이하게 센싱부로 전달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를 선택하는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가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차지(Charge)하는 단계, 차지된 금액이 수금되는 경우,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세탁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기가 갖는 사전세탁 및 세탁수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 및 생략할 수 있어 전기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히 세탁된 옷을 입어야 하는 사용자에게 신속히 세탁된 옷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신속히 안겨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세탁기 및 건조기의 동작은 물론, 가정용 및 상업용의 제어 프로그램이 일체로 내장되어 모든 전자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며, PLC 이용하여 제어 변경이 있을지라도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하나의 터치 패널과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일반 제품 및 코인 제품에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제작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만 세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제어 단말이 세탁기에 적용되어 구동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 믹싱부 및 롤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 및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단계를 세부화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단계를 세부화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 제어 단말(5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3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 제어 단말(5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 제어 단말(5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적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제어 단말(5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5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범용형 세탁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제어 단말(50)과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범용형 세탁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제어 단말(50)과 연결되거나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의 일 예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네트워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 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 제어 단말(5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양자의 경우 모두에 제어 단말(50)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실시예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는, 제어 단말(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세탁기일 수 있다. 이때, 제어 단말(50)에 의해 세탁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세탁 모드로 구동되는 세탁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는, 제어 단말(50)을 통하여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로부터 범용형 세탁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로 동기화하는 세탁기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는, 일반형 세탁기 또는 상업형 세탁기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세탁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과 연동되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 전송하는 세탁기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는, 제어 단말(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건조기일 수 있다. 이때, 제어 단말(50)에 의해 건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건조모드로 구동되는 건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는, 제어 단말(50)을 통하여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로부터 범용형 세탁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로 동기화하는 건조기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는, 일반형 건조기 또는 상업형 건조기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건조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과 연동되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 전송하는 건조기일 수 있다.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과 제어 단말(5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에서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제어 단말(50)로 결제완료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및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상태 데이터를 제어 단말(5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로부터 데이터 업데이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단말(5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에서 정산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제어 단말(5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피드백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내에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어 단말(50)은, 일반형 또는 상업형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에서 모두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단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및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가 하나의 제어 단말(50)과 연결된 경우에는, 하나의 제어 단말(50)에서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와 연동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및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에서 설정 또는 테스트를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및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제어 단말(50)을 통하거나 직접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와 연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제어 단말(50)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제어하는 단말일 수 있고, 제어 단말(5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하거나 직접 제어단말(50)을 통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6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예를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제어 단말(50)을 통하거나 직접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와 연동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제어 단말(50)로 업데이트 신호를 송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업데이트하는 단말일 수 있고, 제어 단말(5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정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설정 또는 테스트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하거나 직접 제어 단말(5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의 정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30)의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 범용형 세탁 서비스 제공 서버(40), 제어 단말(5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이, 네트워크(30)로 연결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와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범용 제어부(51)는,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범용 제어부(51)는, 세탁기 및 건조기 동작을 위한 일체형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모든 전자 부품 및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범용 제어부(51)는,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프로그램을 모두 보유하여 하나의 컨트롤러로 두 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PLC 제어부(52)는,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53)는,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 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도어 잠금 장치의 동작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제어부(54)는, 터치 패널(57)로부터 입력된 제어값에 대응하는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고,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입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Relay) 제어부(55)는, PLC 제어부(52)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입출력 제어부(53) 및 온도 제어부(54)의 시작 또는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인버터(Inverter) 제어부(56)는, PLC 제어부(52)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도록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드럼 회전 속도일 수 있고, 인버터 제어부(56)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에 설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터치 패널(57)은, 범용 제어부(51)에서 일반형 또는 상업형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일반형 또는 상업형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동작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일반형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일반형 건조기(20), 적어도 하나의 상업형 세탁부(400), 적어도 하나의 상업형 건조기(20)와 PLC(Power Language Communication)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과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제어 단말(50)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의 제어 객체가 상업형이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의 결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의 결제 수단을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에서 선택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하도록 하거나, 제어 단말(50)과 연동된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에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과 연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은, 제어 단말(50)과 연동된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 서버(40)를 통하여, 제어 객체인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상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는 현금, 카드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스마트 폰 결제가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의 제어 단말(50)의 구동 과정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단말(50)은,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선택하는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가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대한 설정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50)은, 입력된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금액을 차지(Charge)하고, 차지된 금액이 수금되는 경우, 설정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일반형 또는 상업형의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따른 구동플로우(Flow)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 및 구동 플로우는, 제어단말(50)의 관리자 모드에서 업데이트 또는 재설정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모드 는 원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을 통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의 관리자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자동 운전, 수동 운전, 정산 관리, 설정 및 테스트, 인버터 및 PLC의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운전 메뉴 또는 수동 운전 메뉴는, 세탁 속도 및 탈수 속도를 조절하는 메뉴, 세탁 모드의 냉수, 온수 및 스팀의 설정 및 해제하는 메뉴, 헹굼 모드의 냉수, 온수 및 스팀의 설정 및 해제하는 메뉴, 틸팅(Tilting)의 설정 및 해제하는 메뉴, 온도의 시간 및 센서를 설정하는 메뉴 및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플로우에 따른 시간을 설정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및 테스트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도어락 개폐, 도어 열림 알람, 결제 수단, LCD 보정, 냉수 밸브, 온수 밸브, 스팀 밸브, 배수 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세팅하거나 테스트하는 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정산 관리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따른 금액 설정,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결제 금액, 결제 수단, 운전 횟수 및 운전 시간을 설정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메뉴일 수 있다.
여기서, 인버터 및 PLC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회전 속도를 설정 또는 테스트하며,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동작을 설정 또는 테스트하는 메뉴일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50)의 관리자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자동운전, 수동 운전, 정산 관리, 알람 및 시간 설정의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 운전 메뉴 또는 수동 운전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따른 시간을 설정하는 메뉴이고, 정산 관리 메뉴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따른 설정,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결제 금액, 결제 수단, 운전 횟수 및 운전 시간을 설정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메뉴일 수 있다.
한편,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과 연동되고,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70)에서 설정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 또는 동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과 연동되고,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에서 제어 단말(50)로 제어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어 데이터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50)은 오염도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에서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의 헹굼 모드가 종료된 경우, 헹굼 모드의 마지막 운전에서 배수된 물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 잔류 오염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부터 잔류 오염 알람에 대한 피드백으로 재운전 제어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과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단말(50)은 재운전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를 재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단말(50)은, 재구동하는 단계 이후 알람 전송 단계, 저장 단계 및 재구동 단계를 헹굼 모드의 마지막 운전에서 배수된 물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 이하일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즉, 상업형 세탁기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세탁이 끝날 시간에 다시 세탁소를 방문하여 자신의 세탁물을 찾으러 가는데, 이때 세탁물의 오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세탁을 설정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반복해야 하는데, 이러한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오염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제가 제대로 헹궈지지 않았거나, 때가 제대로 빠지지 않은 경우에는 재세탁을 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원격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단말(50)은, 헹굼 모드의 마지막 운전에서 배수된 물의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세제 성분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헹굼 모드를 재구동하고, 세탁물의 오염에 의한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탁 모드 및 헹굼 모드를 재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운전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를 재구동한 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60)로 재구동에 대응하는 결제 금액을 부과하고, 결제 금액이 정산되지 않은 상태로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구동이 종료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어 단말(50)에서 선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어를 개방하지만, 선결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재구동이 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음으로써 세탁물을 찾기 위해서는 결제를 해야만 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 사용자가 세탁부(40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고, 결제를 하도록 구성된다.
(b) 이때, 제어 단말(50)은, 사용자가 자동 운전을 선택한 경우에는, 3 가지 코스 중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여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c) 자동 운전의 공정을 설정할 수도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d) 제어 단말(50)은, 현재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자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e) 제어 단말(50)은, 자동 운전, 수동 운전, 정산 관리, 설정 및 테스트, 인버터 및 PLC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f) 자동 운전의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세탁 급수 시간, 세탁 시간, 헹굼 급수 시간, 헹굼 시간, 헹굼 횟수, 탈수 시간, 탈수 속도, 정역 시간 및 정역 정지 시간, 탈수 정렬 시간, 탈수 지연 시간, 온도 설정 시간 등의 자동 운전의 시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g) 자동 운전의 시간을 설정할 때, 세제별 공급 시간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 단말(50)에서 수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a) 제어 단말(50)은, 수동 운전의 공정을 선택 및 설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b) 수동 운전의 시간 및 공정을 설정하는 메뉴가 선택된 경우, 시간 및 공정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그리고, 시간 및 공정 설정에서 다음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c) 제어 단말(50)은 세제 공급 시간 설정, 온도 설정, 섬유 유연제 공급 시간 설정, 수위 설정 등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d)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인 코스에 따른 가격을 설정할 수 있고, 총 결제 금액, 주화 결제 금액, 카드 결제 금액, 운전 횟수, 운전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e) 제어 단말(50)은 적어도 하나의 세탁부(400)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f) 인버터 및 PLC의 설정값을 세팅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g) 제어 단말(50)은 인버터의 알람 발생 기록을 포함하는 알람 발생 횟수 및 이상 데이터 기록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건조기(20)의 경우, (a) 제어단말(50)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고 결제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b) 제어 단말(50)은, 자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c) 수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각의 시간,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d) 제어 단말(50)은, 자동 운전 또는 수동 운전에 따른 잔여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e) 관리자 모드로 전환된 경우, 자동 운전, 수동 운전, 정산관리, 알람 및 시간 설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f) 제어 단말(50)은, 관리자 모드에서 자동 운전에 대한 정지 시간, 회전시간 및 팬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g) 정산 관리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전 모드에 따른 금액과, 결제 시간, 결제 금액, 주화로 결제된 금액, 카드로 결제된 금액, 운전 횟수 및 운전 시간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 단말(50)은, (h) PLC 제어를 위하여, 탈수 가속 시간 및 감속 시간 등과 같은 제어값을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단말(50)은, (i) 알람 화면을 통하여 이상 기록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 단말(50)은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인버터(INVERTER), 터치 패널(HMI), PLC 제어부(CPU), 온도 제어부(TEMR), 입출력 제어부(I/O)의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 단말(50)은, 냉수 밸브, 온수 밸브, 스팀 밸브, 배수 밸브, 세제 밸브 등이 입출력 제어부로부터 제어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는 수원(水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100), 저장부(100)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히팅부(300) 및 세탁부(400)로 이동시키는 세탁수 공급부(200),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팅부(300), 세탁수를 공급받아 세탁물(a)을 세탁하는 세탁부(400) 및 상기 세탁부(400)의 세탁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세탁수 공급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세탁수는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로 구분된다. 상세하게, 제1 세탁수(w1)는 세탁수 공급부(200)에서 세탁부(400)로 즉시 투입되는 세탁수로서, 후술할 제2 세탁수(w2)와 비교했을 때 비교적 낮은 온도로 구비된다. 즉, 제1 세탁수(w1)는 제1 온도(t1)를 갖고, 이는 제2 세탁수(w2)의 제2 온도(t2)보다 낮은 온도로 구비된다. 또한, 제2 세탁수(w2)는 세탁수 공급부(200)에서 히팅부(300)로 이동한 세탁수가 가열되어 세탁부(400)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세탁수(w1)의 제1 온도(t1)보다 높은 제2 온도(t2)를 갖는다. 즉, 제1 세탁수(w1)는 냉수이고, 제2 세탁수(w2)는 온수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세탁수(w2)의 제2 온도(t2)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춰 가변할 수 있지만, 보다 용이한 세탁물(a)의 세탁을 위해 섭씨 30 내지 40도이록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00)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저장부(100)는 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탁수로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00)는 급수 탱크 등의 저장수단으로 구비되고 후술할 세탁수 공급부(200)와 연결된다.
세탁수 공급부(200)는 세탁수를 후술할 히팅부(300) 및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세탁수 공급부(200)는 저장부(100)와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히팅부(300) 및 세탁부(400)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세탁수 공급부(200)는 별도의 제어 수단을 통해 세탁수를 공급하는 펌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별도의 제어 수단은 후술할 제어부 또는 세탁부(400) 내 제어 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세탁수 공급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세탁수 공급부(200)는 후술할 히팅부(300) 및 세탁부(400)를 향해 각각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공급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한 쌍의 세탁수 공급부(200) 중 어느 하나의 세탁수 공급부(200)는 세탁부(400)와 바로 연결됨으로써 제1 온도(t1)를 갖는 제1 세탁수(w1)를 공급하고, 나머지 세탁수 공급부(200)는 히팅부(300)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한 후, 상기 히팅부(300)에서 제2 온도(t2)로 가열되어 형성된 제2 세탁수(w2)가 세탁부(400)에 공급되도록 한다.
히팅부(300)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구성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세탁부(400)에 제2 온도(t2)를 갖는 제2 세탁수(w2)를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해 히팅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히팅부(300)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세탁수 공급부(200)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다. 이후 세탁수를 가열하여 제2 세탁수(w2)로 형성한 후 이를 세탁부(400)로 공급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히팅부(300)는 가스, 전기 등으로 구동되는 전기 온수기, 가스 온수기 등으로 귑될 수 있고, 이외에도 별도의 히팅 수단을 사용하여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세탁부(400)는 세탁물(a)을 수용한 후 세탁수를 공급받아 세탁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세탁부(400)는 저장부(100) 및 히팅부(300)와 연결되어 각각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공급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부(400)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410), 믹싱부(420) 및 롤러부(43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세탁부(400)는 세탁물(a)을 세탁하는 구성으로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본체부(410) 및 회전함으로써 세탁물(a) 및 세탁수를 교반하는 믹싱부(420)를 포함한다.
본체부(410)는 믹싱부(420)가 회전 과정에서 과도하게 큰 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할 스캔부(430)가 용이하게 믹싱부(42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본체부(4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믹싱부(420)가 위치한다. 여기서, 본체부(410) 및 믹싱부(420)는 서로 동일한 제1 회전축(z1)을 공유하고, 본체부(410)의 내주면은 믹싱부(42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길이(d1)의 반경을 갖는다.
믹싱부(420)는 세탁수 및 세탁물(a)을 교반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믹싱부(42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개폐수단을 통해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믹싱부(420)는 제2 길이(d2)의 반경을 갖고,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제1 회전(s1)(도 5 및 도 6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하여 세탁수 및 세탁물(a)을 서로 교반함으로써 세탁을 실시한다. 또한, 믹싱부(420)는 하측 방향에 위치한 동력부(460)와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제1 회전(s1)을 실시한다.
스캔부(430)는 믹싱부(420)의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탁물(a)의 세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캔부(430)는 본체부(410) 및 믹싱부(4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에 위치한 센싱부(434)를 통해 믹싱부(420)의 내부를 촬영한다. 또한, 스캔부(430)는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본체부(410)의 내주면을 따라 제1 회전(s1)함으로써 촬영을 실시한다. 보다 용이하고 명확한 세탁물(a)의 촬영을 위해, 스캔부(430)는 축부(431), 삽입부(432) 및 롤러부(433)를 포함한다.
축부(431)는 스캔부(430)의 제1 회전(s1) 및 센싱부(434)의 지속적인 세탁물(a) 측정을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축부(431)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본체부(410) 및 믹싱부(4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축부(431)는 후술할 롤러부(43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하측 방향에는 후술할 삽입부(432)가 구비되며, 상측 방향에는 선술한 센싱부(434)가 구비된다. 축부(431)의 제1 회전(s1)을 통한 공전을 통해, 센싱부(434)는 제1 회전(s1)하는 믹싱부(420)에 대응하여 세탁물(a)을 지속적으로 촬영함으로써, 고속 회전하는 세탁물(a)의 형태를 보다 용이하고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삽입부(432)는 축부(431)가 제1 회전(s1)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삽입부(432)는 축부(43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호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432)의 하면은 본체부(410)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삽입부(432)가 지속적으로 본체부(410)와 면접촉을 이룸에 따라, 축부(431)가 제1 회전(s1) 과정에서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게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체부(410)는 가이드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11)는 삽입부(432)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가이드부(411)는 삽입부(432)가 미리 지정된 경로만을 따라 제1 회전축(z1)을 중심축으로 제1 회전(s1) 및 공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411)는 본체부(4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원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432)의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삽입부(432)의 공전 경로 상에 형성된다. 즉, 삽입부(432)는 한 쌍의 가이드부(4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432)는 한 쌍의 가이드부(41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가이드부(411)를 따라 공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축부(431)의 의도치 않은 떨림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세탁물(a)의 보다 명확한 촬영이 가능하다.
롤러부(433)는 회전 운동을 통해 축부(431)를 공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롤러부(433)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2 회전(s2)을 통해 축부(431)를 제1 회전(s1)시킨다. 이를 위해, 롤러부(433)는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축부(431)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외주면이 본체부(410)의 내주면 및 믹싱부(420)의 외주면과 동시에 접하도록 상기 소정의 간격(d3)만큼의 직경을 갖는다. 이를 통해, 롤러부(433)는 믹싱부(420)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믹싱부(420)의 제1 회전(s1)에 대응하여 축부(431)의 중심축인 제2 회전축(z2)을 중심으로 제2 회전(s2)(도 6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한다. 여기서, 축부(431)는 한 쌍의 가이드부(411)에 삽입된 삽입부(432)와 연결되기 때문에, 롤러부(433)와 일체로 제2 회전(s2)하지 않고 제1 회전축(z1)을 지속적으로 바라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롤러부(433)가 구비됨으로써, 센싱부(434)를 믹싱부(420)의 회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롤러부(433)는 믹싱부(4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믹싱부(420)의 속도와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선명한 세탁물(a)의 촬영이 가능하다.
센싱부(434)는 믹싱부(42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a)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434)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추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세탁물(a)의 세탁 공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세탁부(400)와 연결되고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에 따라 세탁물(a)을 세탁하며, 상기 세탁 공정은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 공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433) 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롤러부(433)는 원통형의 주행부(4331), 상기 주행부(4331)의 내주면에 접하고 축부(431)의 외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베어링볼(43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433)의 회전이 용이해지고, 진동으로 인한 세탁물(a)의 촬영 장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센싱부(434)의 이동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행부(4331)의 외주면은 탄성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부(433)의 본체부(410) 및 믹싱부(420)와의 마찰이 증가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케이션부(4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뮤니케이션부(440)는 외부에 별도 구비되는 전력 공급수단을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센싱부(434)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부(440)는 축부(43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축부(431)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커뮤니케이션부(440)는 후술할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접촉 시에만 센싱부(434)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1 접속부(441)는 후술할 제2 접속부(451)와의 접촉을 통해 통전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센싱부(434)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접속부(441)는 커뮤니케이션부(4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일단이 본체부(410)의 내주면을 향하고 타단이 축부(431)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접속부(44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양 단자 및 음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접속부(441)는 후술할 제2 접속부(451)와 접함으로써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센싱부(434)는 이를 통해 믹싱부(4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a)을 지속적으로 관찰 및 촬영할 수 있다.
제2 접속부(451)는 선술한 제1 접속부(441)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접속부(451)는 본체부(41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제2 접속부(451)는 본체부(4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되, 제1 접속부(441)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접속부(451)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4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통해, 축부(431)가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과정에서, 제1 접속부(441)는 제2 접속부(451)와 지속적인 면접촉을 이루면서 지속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센싱부(434)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절연부(442)는 한 쌍의 제1 접속부(441)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절연부(442)는 커뮤니케이션부(440)의 외주면으로부터 본체부(410)의 내주면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절연부(442)는 통전되지 않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절연부(442)가 구비됨으로써, 제1 접속부(441)가 외력에 의해 서로 접근하더라도 상기 절연부(442)에 가로막혀 접촉이 방지될 수 있어 누전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속부(44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접속부(441)는 탄성체(443)를 통해 커뮤니케이션부(440)와 연결된다. 탄성체(443)는 후술할 회전부(450)에 의해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접촉이 해제될 때 제1 접속부(441)가 과도하게 커뮤니케이션부(44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탄성체(443)는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등으로 구비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442) 및 회전부(4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회전부(450)의 회전에 따른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회전부(450)는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접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지속적인 접촉 시, 세탁물(a)의 관측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도 센싱부(434)에는 외부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회전부(450) 구성을 개시한다.
회전부(450)는 본체부(410) 및 제2 접속부(45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회전부(450)는 제3 회전축(z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450)의 내측 방향에는 선술한 제2 접속부(451)가 구비되되, 상기 제2 접속부(451)는 제1 접속부(441)와 동일하거나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회전부(450)가 제3 회전축(z3)을 중심으로 제3 회전(s3)함으로써 제2 접속부(451)는 상기 회전부(450)와 일체로 제3 회전(s3)하고, 이로 인해 제1 접속부(441)는 제2 접속부(451)와 접촉이 해제되며 센싱부(434)로 향하는 외부 전력의 공급이 해제된다.
회전부(45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는 음각홈(452)이 더 구비된다. 음각홈(452)은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접촉 해제 시, 제1 접속부(441)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 접속부(441)는 탄성체(443)에 의해 본체부(410)의 내주면을 향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음각홈(452)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제1 접속부(441)가 무분별하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절연부(442)의 둘레면은 제3 회전(s3)하는 제2 접속부(451)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접속부(451)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속부(451)의 보다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제2 접속부(451) 간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2a는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로서, 외부 전력이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를 통과하여 센싱부(434)로 공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는 서로 접촉되며, 한 쌍의 제1 접속부(441) 및 한 쌍의 제2 접속부(451) 각각은 절연부(442)에 의해 접촉이 방지된다.
도 12b는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센싱부(434)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경우이다. 상세하게, 회전부(450)가 제3 회전축(z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접속부(451)는 상기 회전부(450)와 일체로 제3 회전(s3)한다. 여기서, 회전부(450) 및 제2 접속부(451)가 90도만큼 제3 회전(s3)할 경우,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 간의 접촉이 해제되고 제1 접속부(441)는 탄성체(443)의 복원력에 의해 음각홈(452)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접속부(441), 제2 접속부(451), 절연부(442), 및 회전부(450)를 통해, 사용자가 세탁물(a)을 보지 않을 경우 회전부(450)를 제3 회전(s3)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각홈(452)이 구비됨으로써 제1 접속부(441)가 회전부(450) 및 제2 접속부(451)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게 위치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세척 공정은 제1 모드(m1), 제2 모드(m2) 및 제3 모드(m3)를 포함하며, 제1 모드(m1), 제2 모드(m2) 및 제3 모드(m3)는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제1 모드(m1)는 세탁물(a)에 세척제를 투입하고 삶는 모드를 뜻한다. 상세하게, 제1 모드(m1)에서는 세탁부(400)에 투입된 세탁물(a)에 대해 세척제를 투입시킨 후 세탁수를 이용하여 삶는다. 여기서, 세탁수는 세탁물(a)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용이하게 세탁물(a)을 삶기 위하여 세탁수는 제2 세탁수(w2)로 설정되어 투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세척제의 투입 이후 제2 세탁수(w2)는 세탁부(400)의 내부로 투입되고, 세탁부(400)는 세탁물(a)을 삶아 세탁을 실시한다. 여기서, 제2 세탁수(w2)는 선술한 바와 같이 섭씨 30 내지 40도로 구비되거나, 보다 높은 제2 온도(t2)를 가져 스팀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제2 모드(m2)는 제1 모드(m1) 이후 실시되고, 세탁물(a)을 일부 탈수하고 세탁수를 투입하여 세척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해, 세탁부(400)는 제어부의 통제에 따라 세척제와 섞인 세탁수를 제거하여 탈수하고, 또다른 세탁수를 공급받아 세탁물(a)을 헹구는 과정을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모드(m2)에서는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세탁부(400)에 투입하여 세척제를 제거하고, 또다른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재투입하여 세탁물(a)을 세척한다. 상기와 같은 제2 모드(m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제3 모드(m3)는 세탁물(a)로부터 세탁수를 완전 제거하는 모드로서 제2 모드(m2) 이후에 수행된다. 이를 위해, 제3 모드(m3)에서는 세탁물(a)을 가열하거나 원심 분리 원리를 통해 세탁물(a)을 탈수하여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완전히 제거한다.
제1 모드 내지 제3 모드를 통해,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세탁부(400)에 즉시 공급할 수 있어 세탁 시간 및 전기사용량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기와 비교했을 때 세탁수를 받는 시간을 단축하고, 제2 세탁수(w2)를 공급할 때 소모되는 전기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세탁기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사전세탁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세탁수 및 전기사용량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본 발명 및 종래의 세탁기의 세탁 과정에 대한 비교 및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사용량 및 세탁시간에 대한 표가 하기 표 1 및 표 2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개시됨에 따라, 세탁부(400)를 이용하여 세탁물(a)을 세탁하는 일을 하는 세탁소나 세탁 시설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종래의 세탁기
세척제 투입 및 삶기 세척제 투입 및 사전 세탁
세탁물(a)의 일부 탈수 세탁물(a)의 일부 탈수
세탁물(a)의 헹굼 세탁물(a)의 삶기
세탁물(a)의 일부 탈수 세탁물(a)의 일부 탈수
세탁물(a)의 헹굼 세탁물(a)의 헹굼
세탁물(a)의 완전 탈수 세탁물(a)의 일부 탈수
세탁물(a)의 헹굼
세탁물(a)의 완전 탈수
실제 세탁 시간: 38분 실제 세탁 시간: 56분
세탁수 온도
(섭씨 온도)
전기사용량
(Kwh)
세탁시간
(분)
4 11 84
65 5 42
4 6 74
65 4 38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s100), 세탁수를 세탁부(400)로 투입하는 배출 단계(s200) 및 세탁물(a)을 세척하는 세탁 단계(s300)를 포함한다.
저장 단계(s100)는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저장부(100)는 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를 수용한다.
배출 단계(s200)는 세탁수를 배출하여 세탁부(400) 및 히팅부(300)로 투입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배출 단계(s200)에서는 저장부(100)와 연결된 세탁수 공급부(200)를 통해 세탁수를 전달한다. 여기서, 세탁수 공급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세탁수 공급부(200)는 세탁부(400) 및 히팅부(300)를 향해 각각 세탁수를 공급한다. 또한, 배출 단계(s200)는 제1 공급 단계(s210) 및 제2 공급 단계(s220)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세탁 단계(s300)는 제어부를 통해 통제되는 세탁부(400)를 이용하여 세탁물(a)을 세탁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세탁 단계(s300)에서는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세탁 공정에 기반하여 세탁물(a)의 세탁이 실시된다. 상세하게, 세탁 단계(s300)에서는 집중 세정 단계(s310), 헹굼 단계(s320) 및 마무리 단계(s330)를 포함하고,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단계(s200)를 세부화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배출 단계(s200)는 제1 공급 단계(s210) 및 제2 공급 단계(s220)를 통해 세척수를 세탁부(400)에 공급한다.
제1 공급 단계(s210)는 제1 세탁수(w1)를 세탁부(400)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단계로서, 통상적인 냉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뜻한다. 이를 위해, 제1 공급 단계(s210)에서 저장부(100)에 수용된 제1 세탁수(w1)는 세탁수 공급부(200)를 통해 세탁부(400)에 직접 공급된다.
제2 공급 단계(s220)는 제2 세탁수(w2)를 세탁부(400)에 공급하여 후술할 집중 세정 단계(s310)에서 적용하기 위한 단계로서, 통상적인 온수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제2 공급 단계(s220)에서 세탁수 공급부(200)와 연결된 히팅부(300)를 세탁수를 공급받아 가열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가열된 세탁수는 제2 세탁수(w2)로 형성되어 세탁부(400)로 투입된다. 여기서, 제2 세탁수(w2)는 제2 온도(t2)를 갖고, 제1 세탁수(w1)의 제1 온도(t1)보다 높은 온도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1 공급 단계(s210) 및 제2 공급 단계(s220)를 통해, 세탁부(400)는 온도가 상이한 제1 세탁수(w1) 및 제2 세탁수(w2)를 즉시 공급받을 수 있어 세탁 시간 및 전기사용량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단계(s300)를 세부화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세탁 단계(s300)는 집중 세정 단계(s310), 헹굼 단계(s320) 및 마무리 단계(s330)를 포함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세탁물(a)의 세탁을 실시한다.
집중 세정 단계(s310)는 선술한 제1 모드(m1)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세탁물(a)을 보다 집중적으로 세탁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집중 세정 단계(s310)에서는 세탁물(a)에 세척제를 투입하고 제2 세탁수(w2)를 통해 세탁물(a)을 삶는 제1 모드(m1)를 실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집중 세정 단계(s310)에서 세탁부(400) 내 수용된 세탁물(a)에는 세척제 및 제2 세탁수(w2)가 공급되고, 세탁부(400)가 구동하여 세탁물(a)을 삶는 과정을 실시한다. 집중 세정 단계(s310)가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세탁기가 갖는 사전 세탁을 생략하고, 세탁물(a)에 대한 세탁을 즉시 실시할 수 있어 전기사용량 및 세탁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헹굼 단계(s320)는 선술한 제2 모드(m2)를 실시함으로써 삶아진 세탁물(a)에 묻은 세척제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헹굼 단계(s320)에서는 세탁부(400)의 구동에 따라 세척제 및 세탁수를 제거하여 세탁물(a)을 일부 탈수하고, 히팅부(300) 및 저장부(100)에 수용된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가 세탁부(400)에 투입되어 세탁물(a)을 세척함으로써, 세탁물(a)에 함유된 세척제를 완전히 제거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헹굼 단계(s320)는 상기와 같은 제2 모드(m2)가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헹굼 단계(s320)에서 세탁물(a)의 일부 탈수 및 헹굼 과정이 1차례 완료된 이후, 세탁물(a)을 재차 일부 탈수하고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재차 공급받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a)에 묻은 세척제 또는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마무리 단계(s330)는 헹굼 단계(s320)가 완료된 세탁물(a)에 대하여 선술한 제3 모드(m3)를 실시하여 세탁을 완료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마무리 단계(s330)에서 세탁부(400)는 세탁물(a)을 가열하거나 원심 분리 원리를 통해 세탁물(a)을 완전 탈수하여 제1 세탁수(w1) 또는 제2 세탁수(w2)를 완전히 제거한다. 이를 통해, 세탁물(a)을 보다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통해, 세탁 시간 및 세탁에 드는 전기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어, 비용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대상물(a)을 세탁하는 세탁부(400)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세탁부(400)는,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410);
    상기 본체부(4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제1 회전(s1)하여 세탁수 및 대상물(a)을 교반하는 원통 형상의 믹싱부(420); 및
    상기 본체부(410) 및 믹싱부(4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믹싱부(420)의 내부를 촬영하는 스캔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부(420)의 상기 제1 회전(s1) 시, 상기 스캔부(430)는 상기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며,
    상기 스캔부(43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 회전축(z2)을 갖는 봉 형상의 축부(431);
    상기 믹싱부(420)의 외주면 및 상기 본체부(410)의 내주면과 동시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축부(431)에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롤러부(433); 및
    상기 축부(431)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센싱부(4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부(431)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롤러부(433)는 상기 제2 회전축(z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센싱부(434)는 상기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상기 본체부(410) 및 믹싱부(420)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축부(431)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어, 외부 전력을 상기 센싱부(434)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부(440);
    상기 커뮤니케이션부(4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일단이 상기 본체부(410)의 내주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접속부(441); 및
    상기 제1 접속부(4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4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접속부(4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부(441) 및 제2 접속부(451)의 지속적인 면접촉을 통해 외부 전력을 용이하게 상기 센싱부(434)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43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부(410)의 하면과 접하는 삽입부(4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432)는 상기 제1 회전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410)의 하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432)의 공전 경로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부(4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432)는 상기 가이드부(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장부(100);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여 상기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히팅부(300);
    상기 저장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를 상기 히팅부(300) 및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부(200); 및
    상기 세탁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a)의 세탁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는 미리 설정된 제1 온도를 갖는 제1 세탁수 및 상기 히팅부(300)를 통해 가열되어 상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를 갖는 제2 세탁수로 구분되고,
    상기 세탁수 공급부(200)는 한 쌍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1 세탁수를 상기 히팅부(300) 및 세탁부(40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세탁 공정에 따라 상기 대상물(a)을 세탁하고,
    상기 세탁 공정은,
    상기 대상물(a)에 세척제를 투입하고 삶는 제1 모드(m1);
    상기 대상물(a)을 일부 탈수하고 상기 세탁수를 투입하여 세척하는 제2 모드(m2); 및
    상기 대상물(a)을 완전 탈수하는 제3 모드(m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200007308A 2020-01-20 2020-01-20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KR102121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08A KR102121386B1 (ko) 2020-01-20 2020-01-20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200067516A KR20210093722A (ko) 2020-01-20 2020-06-04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08A KR102121386B1 (ko) 2020-01-20 2020-01-20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516A Division KR20210093722A (ko) 2020-01-20 2020-06-04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386B1 true KR102121386B1 (ko) 2020-06-10

Family

ID=710873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308A KR102121386B1 (ko) 2020-01-20 2020-01-20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KR1020200067516A KR20210093722A (ko) 2020-01-20 2020-06-04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516A KR20210093722A (ko) 2020-01-20 2020-06-04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213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948A (ko)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680662B1 (ko) * 2010-03-15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7079861A (ja) * 2015-10-23 2017-05-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948A (ko)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시스템
KR101680662B1 (ko) * 2010-03-15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2017079861A (ja) * 2015-10-23 2017-05-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722A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0296B1 (en) Washing machine system
JP6074612B2 (ja) 洗濯機システム
US9534332B2 (en) Water bearing household appliance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US2010009546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20090139036A1 (en) Laundry machine and washing method with steam for the same
US10468908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080273B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hing and program-controlled washing machine suitable therefor
KR20170076397A (ko)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0904616A (zh) 信息处理方法和洗衣机
US9951462B2 (en) Method for supplying heated water from a water heater appliance to a washing machine appliance
KR102121386B1 (ko) 범용형 세탁 제어 서비스 제공장치
US20230392316A1 (en) Sharing cycle settings between connected appliances
US11768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an appliance is using the latest operating software
KR102121380B1 (ko) 세탁코스 제어 방법
CN110714296B (zh) 衣物处理装置
JP2022164790A (ja) 洗濯機用管理装置
US20220298706A1 (en) Travel cycle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KR102182809B1 (ko) 듀얼 급수 세탁 시스템
KR102121373B1 (ko) 자동목표 전력관리 시스템
US11936491B2 (en) Methods of coordinating engagement with a laundry appliance
US11947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appliance access
US20230308306A1 (en) Household appliances with personality management
US202301341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washing operation based on feedback from a drying operation
US20240102232A1 (en) Laundry appliances 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086841B1 (ko) 고효율 세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