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977B1 - 암반 암파쇄장치 - Google Patents

암반 암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977B1
KR102120977B1 KR1020190149458A KR20190149458A KR102120977B1 KR 102120977 B1 KR102120977 B1 KR 102120977B1 KR 1020190149458 A KR1020190149458 A KR 1020190149458A KR 20190149458 A KR20190149458 A KR 20190149458A KR 102120977 B1 KR102120977 B1 KR 10212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uide
fixing
rock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봉
Original Assignee
오상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봉 filed Critical 오상봉
Priority to KR1020190149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6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fluid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중심축부와, 중심축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암반의 표면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부와, 중심축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천공홀 내부에서 암반의 균열을 유도하는 파쇄부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심축부는, 관체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레일홈부와, 몸체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제3레일홈부로 이루어진 중심축관과; 몸체 내부에 구비된 고정대에 설치되는 유압회동모터와; 상기 유압회동모터 후방에 설치되는 고정지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회동모터는, 모터본체와, 모터본체와 연결된 구동축 및, 구동축 단부에 설치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지지체의 선단에는 고정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용부가 형성되어 유압회동모터가 구동되면 고정지지체를 중심으로 모터본체와 중심축관이 일체로 함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암반 암파쇄장치{ROCK BREAKING DEVICE}
본 발명은 터널 등의 지중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지반을 굴착하는 과정중에 나타나는 암반을 파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리적 가압방식을 이용하여 진동 및 분진이 발생하지 않고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적음 힘으로도 암반의 굴착 및 제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암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 터널을 위한 지중 굴착 과정중에는 암반을 굴착하거나 제거해야 하는 작업이 수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암반굴착의 대표적인 방법은 천공후 발파시키는 방법(Drill & Blast Method)을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파공법은 소음이나 진동 등에 의해 많은 민원이 야기될 뿐 아니라 환경저해 및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암반에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별도의 암파쇄장치를 천공홀에 삽입시켜 천공홀을 확장시키면서 암반을 파괴하는 방식의 작업이 개발되었다.
그 예의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94476호의 "암파쇄장치"가 있다. 상기 암파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의 몸체(22)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실린더(24)와; 양측 부위가 길이 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축(26)에 연장 설치되는 쐐기(30)와; 상호 근접되어 봉 형상의 한 조를 이루고, 일단부가 상기 몸체의 다른 단부에 삽입되어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측벽이 상기 쐐기의 경사면에 각각 대응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라이너(32a,3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파쇄장치를 이용한 암반의 굴착은 암반에 천공기를 이용해 75~105mm 정도의 직경을 가진 천공홀을 다수 형성시키고, 중장비에 종래기술의 암파쇄장치를 장착하여 라이너를 천공홀에 삽입시킨다. 상기 천공홀에 삽입된 한 쌍의 라이너 사이에 실린더를 이용하여 쐐기를 삽입시키면, 상기 한 쌍의 라이너의 외경이 확장되면서 천공홀 내부에서 암반을 균열 및 파괴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너를 이용한 암반의 균열 정도는 라이너가 확장되면서 천공홀의 외벽을 가압할 수 있는 정도에 비례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라이너가 쐐기에 의해 확장되기 전의 외경은 천공홀과 대략 비슷한 크리로 5mm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천공홀의 내경과 라이러의 외경의 차이가 미세하기 때문에 천공기를 이용해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기와 암파쇄장치를 교체하여 라이너를 천공홀에 삽입시킬 때 중장비로는 미세한 조종이 어렵기 때문에 라이너를 천공홀에 정확히 삽입시키는 작업 자체가 쉽지 않게 된다.
또한 천공기에 의해 형성된 다수 개의 천공홀은 그 깊이의 길이방향으로 수직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하여 라이너를 천공홀에 삽입하는 과정 중에 라이너가 파손되거나, 천공홀에 라이너가 삽입되었다 하여도 상기 라이너의 수직도와 천공홀의 수직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라이너의 작동 중 천공홀 내부에서 파손되어 작업이 진행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0-0294476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암파쇄작업 중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공작업을 위한 장치와 암파쇄작업을 위한 장치 사이에 유기적인 구조 관계를 가지게 함으로써,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에 암파쇄작업을 위한 장치를 삽입시킬 때 작업자가 눈으로 보면서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상기 암파쇄작업을 위한 장치가 정확히 천공홀과 일치되도록 하는 암파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관체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레일홈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레일홈부로 이루어지는 중심축관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대에 설치고정되는 유압회동모터와 상기 유압회전모터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유압회전모터가 회동하도록 하는 고정지지체로 이루어진 중심축부와; 상기 중심축관의 제1레일홈부에 설치되어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부와; 상기 중심축관의 제3레일홈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어 암반을 파쇄하는 파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회동모터는 모터본체와, 상기 모터본체에 의해 회동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지지체의 선단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지지체의 후단에는 중장비에 설치고정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체의 장착부는 중장비에 설치고정되고, 상기 고정지지체의 고정수용부에는 유압회동모터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수용부로부터 고정부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편이 상기 고정수용부가 폐쇄되도록 볼트체결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유압회동모터가 작동할 때 고정부재가 고정지지체의 고정수용부에 고정됨으로써 유압회동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지지체의 고정수용부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의해 유압회동모터와 중심축관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 암반 파쇄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유압회동모터의 고정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체의 고정수용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상기 고정수용부와 고정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으로 고정핀이 삽입되고 볼트체결에 의해 설치고정된다.
또한 상기 천공부(2상기 천공부는 한 쌍의 제1수직편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을 연결하는 제1연결편으로 이루어진 H형상의 천공가이드체와; 상기 천공가이드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고정안내공이 구비된 제1지지편 및; 상기 천공가이드체에 설치되어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 일측에는 중심축관의 제1레일홈에 삽입되는 제1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 타측에는 제2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천공체는 제2레일이 삽입되는 제2레일홈부가 구비된 천공브라켓과, 상기 천공브라켓에 설치되는 드리프터몸체와, 상기 드리프터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편의 제1고정안내공을 관통하는 천공로드 및, 상기 천공로드의 선단에 설치되는 비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쇄부는 한 쌍의 제2수직편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을 연결하는 제2연결편으로 이루어진 H형상의 파쇄가이드체와; 상기 파쇄가이드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고정안내공이 구비된 제2지지편 및; 상기 파쇄가이드체에 설치되어 천공체에 의해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어 암반을 파쇄하는 파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2수직편 일측에는 중심축관의 제3레일홈부에 삽입되는 제3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수직편 타측에는 제4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파쇄체는 파쇄가이드체의 제4레일이 삽입되는 제4레일홈부가 구비된 파쇄브라켓과, 상기 파쇄브라켓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파쇄유압잭과, 상기 파쇄유압잭에 설치되어 제2지지편의 제2고정안내공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파쇄홀이 구비된 파쇄관 및, 상기 파쇄홀에 삽입되어 암반을 파쇄하는 파쇄돌기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중심축관의 몸체 내부에는 첨두부가 구비된 관체형상의 중심체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첨두부 내면과 유압회동모터 사이에는 중심유압로드가 구비된 중심유압잭이 설치되고, 상기 중심유압로드의 신축에 의해 중심체가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암반 파쇄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중심체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5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체의 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6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체의 제5레일과 천공가이드체의 제1레일 사이에는 제5레일이 삽입되는 제5레일홈부와, 제1레일이 삽입되는 제6레일홈부가 구비된 제1간격유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체의 제6레일과 파쇄가이드체의 제3레일 사이에는 제6레일이 삽입되는 제7레일홈부와, 제3레일이 삽입되는 제8레일홈부가 구비된 제2간격유지편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중심축관을 기준으로 천공부의 중심과 파쇄부의 중심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천공부를 이용하여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중심축관을 회동시켜 상기 천공홀의 중심과 파쇄부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게 되므로, 파쇄부를 천공홀에 일치시키기 위한 작업자의 노력이 현저히 줄어들고, 작업자의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작업자의 정밀성이 대폭 향상되며, 그에 따라 암반을 파쇄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천공작업후 암파쇄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암반 파쇄작업을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암파쇄작업은 수평방향에 대한 암반 파쇄작업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에 대한 암반 파쇄작업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사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암파쇄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파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암패쇄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중장비에 설치한 상태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지지체와 유압회전모터의 고정부재의 고정에 관한 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천공가이드체의 밀착편에 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파쇄관의 각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제2지지편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중심체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중심체가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의 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고정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라켓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인 가이드고정체가 구비된 암파쇄장치를 이용한 암반 절단 및 파쇄를 위한 절단라인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암파쇄장치에 의한 천공 및 암파쇄작업 방향을 조정하는 수단에 관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반 파쇄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암반 파쇄장치(10)의 A-A단면도, 도 4는 암반 파쇄장치(10)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암반 파쇄장치(10)를 백호우 등 중장비(본 발명에서는 이를 '중장비'로 총칭한다)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암반 파쇄장치(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부(100)와, 상기 중심축부(100)를 중심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천공부(200)와, 중심축부(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파쇄부(300)로 이루어진다.
중심축부(100)는, 중장비에 장착되어 천공작업이나 파쇄작업시 중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중심축관(110)과, 중심축관(110) 내부에 설치되는 유압회동모터(120) 및, 유압회동모터(120) 후방에 설치되어 유압회동모터(120)와 중심축관(110)이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지지체(130)로 이루어진다.
중심축관(110)은 관체형상의 몸체(111)와, 몸체(11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레일홈부(112)와, 몸체(111)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제3레일홈부(113)로 이루어진다.
유압회동모터(120)는 중심축관(1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천공부(200)와 파쇄부(3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압회동모터(120)는 모터본체(121)와, 모터본체(121)와 연결된 구동축(122) 및, 구동축(122)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회동모터(120)는 중심축관(110)의 몸체(111) 내부에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회동모터(120)는 몸체(111) 내부에 구비된 고정대(116)에 의해 설치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1)를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몸체(111)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유압회동모터(120)가 회동할 때 중심축관(110)을 중심으로 천공부(200)와 파쇄부(300)가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고정지지체(130)는 중장비에 장착된 상타에서 유압회동모터(120)와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유압회동모터(120)가 중심축관(110)을 회동시키기 위해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지지체(130)는 중장비 또는 후술하는 정착체(170)에 장착되는 장착부(133)와, 고정부재(123)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용부(131)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용부(131)는 유압회동모터(120)의 고정부재(123)를 수용하면서, 상기 유압회동모터(120)가 작동할 때 고정부재(123)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수용부(131)에 고정부재(123)가 삽입되고 고정수용부(131)로부터 고정부재(12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수용부(131)의 단부에는 고정편(132)이 볼트체결에 의해 설치된다.
이때 고정수용부(131)로부터 고정부재(12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터본체(121)의 단부에는 단턱(121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C"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용부(131)에 고정부재(123)가 삽입될 때 단턱(121a)을 감싸아 고정수용부(131)의 선단에 고정편(132)이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편(132)에 단턱(121a)이 걸림되어 고정수용부(131)로부터 유압회동모터(1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압회동모터(120)가 작동하면 구동축(122)이 회동하게 되는데 고정부재(123)가 고정수용부(131)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하지 못하고, 모터본체(121)가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123)가 고정수용부(131)에 고정됨으로써 모터본체(121)가 회동하게 되고, 모터본체(121)의 회동으로 인해 중심축관(110)이 함께 회동하면서 천공부(200)와 파쇄부(300)를 회동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압회동모터(120)의 고정부재(123)가 고정수용부(131)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고정부재(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지지체(130)의 고정수용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6의 (a)에서와 같이 고정핀(124)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23)의 단면은 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수용부(131)는 고정부재(123)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핀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고정부재(123)와 고정수용부(131)에는 이를 관통하는 관통공(123a,13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3a,131a)에는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고정핀(124)이 삽입된다.
따라서 모터본체(121)가 구동되면 고정수용부(131)에 고정된 고정부재(123)에 의해 모터본체(121)가 회동되면서 중심축관(11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b)에서와 같이 각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고정부재(123)의 크기는 고정수용부(131)에 삽입되었을 때 상호 맞물린 상태가 되어야 한다.
천공부(200)는 중심축관(110)의 제1레일(21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암반 표면에 천공홀을 형상시키는역할을 한다. 이러한 천공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가이드체(210)와, 상기 천공가이드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고정안내공(221)이 구비된 제1지지편(220) 및, 상기 천공가이드체(210)에 설치되어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체(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가이드체(210)는 한 쌍의 제1수직편(211)과, 상기 제1수직편(211)을 상호 연결하는 제1연결편(212)으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211) 일측에는 중심축관(110)의 제1레일홈부(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1레일(213)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211) 타측에는 후술하는 천공브라켓(231)이 설치되어 슬라이딩이 가능케하는 제2레일(214)이 구비된다.
상기 천공체(230)는 천공가이드체(210)의 제2레일(214)이 삽입되는 제2레일홈부(231a)가 구비된 천공브라켓(231)과, 상기 천공브라켓(231)에 설치되는 드리프터몸체(233)와, 상기 드리프터몸체(233)에 설치되는 천공로드(234) 및, 상기 천공로드(234)의 선단에 설치되는 비트(2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공브라켓(231)은 천공가이드체(210)의 제1레일홈부(112)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천공브라켓(231)이 전방으로 이동한 후 암반 표면에 천공홀을 형성시킬 때 천공로드(234)가 흔들릴 수 있으므로, 천공가이드체(210)의 제2레일(214) 선단부에는 제1고정안내공(221)이 구비된 제1지지편(220)을 구비시켜 천공로드(234)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천공홀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천공부(200)는 암반에 천공작업을 하기 전, 천공가이드체(21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암반 표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천공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암반표면에 고정된 천공가이드체(210)가 흘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가이드체(210)의 선단에는 암반과 접하는 밀착편(215)이 구비되고, 상기 밀착편(215)의 외면에는 밀착돌기(215a)가 구비된다.
천공가이드체(2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암반에 밀착하면, 밀착돌기(215a)에 의해 고정력이 향상되어 천공작업할 때 천공부(20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천공부(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가이드체(210)의 후방에는 제1브라켓(216)이 구비되고, 중심축관(110)의 후방에는 제2브라켓(1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2브라켓(216,114)의 사이에는 제1유압로드(401)가 구비된 제1유압잭(400)이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브라켓(216)은 천공가이드체(210)의 제1연결편(212) 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즉 한 쌍의 제1수직편(211) 사이에서 중심축관(110)의 몸체(111)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2브라켓(114)은 상기 몸체(111)와 천공가이드체(2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1)의 일면에서 천공가이드체(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2브라켓(216,114) 사이에 설치된 제1유압잭(400)의 제1유압로드(401)에 의해 천공가이드체(21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기 위해 천공체(230)가 이동하는데 이를 위해서 천공가이드체(210)의 전방에는 제1연결편(212) 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천공브라켓(231) 방향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제1수직편(211) 사이에는 제3브라켓(217)이 구비되고, 천공브라켓(231)의 하부에는 천공브라켓(231) 하부에서 천공가이드체(210) 방향으로 돌출된 제4브라켓(2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브라켓(217)에는 제1회전유압축(501)이 구비된 제2유압잭(500)이 설치되고, 제4브라켓(232)에는 제1체인기어(232a)가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유압축(501)과 제1체인기어(232a)는 제1체인(502)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유압축(501)이 회전함에 따라 천공브라켓(231)은 천공가이드체(210)의 상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파쇄부(300)는 중심축관(110)의 제3레일(31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암반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에서 균열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공체(230)에 의해 천공홀이 형성되면, 유압회동모터(120)에 의해 중심축관(110)이 회동하면서 파쇄부(300)가 천공홀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고 이후 파쇄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파쇄부(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관(110)의 제3레일홈부(113)에 설치되는 파쇄가이드체(310)와, 상기 파쇄가이드체(310)에 설치되는 파쇄체(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쇄가이드체(310)는 중심축관(110)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파쇄체(330)가 암반을 파쇄하도록 이동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제2수직편(311)과, 상기 한 쌍의 제2수직편(311)을 연결시켜주는 제2연결편(3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수직편(311) 일측에는 중심축관(110)의 제3레일홈부(113)에 삽입되는 제3레일(313)이 구비되고, 한 쌍의 제2수직편(311) 타측에는 제4레일(314)이 구비된다.
파쇄체(330)는 파쇄가이드체(310)의 제4레일(314)이 삽입되도록 제4레일홈부(331a)가 구비된 파쇄브라켓(311)과, 상기 파쇄브라켓(3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쇄방향을 조정하는 회전모터(333)와, 상기 회전모터(333)와 연계되어 천공홀 내부에 균열을 발생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파쇄유압잭(334)과, 상기 파쇄유압잭(33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천공홀에 삽입되는 파쇄홀(335a)이 구비된 파쇄관(335) 및, 상기 파쇄홀(335a)에 삽입되어 암반의 균열을 유도하는 파쇄돌기(3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쇄브라켓(331)이 파쇄가이드체(310)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파쇄관(335)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쇄가이드체(310)의 제4레일(314) 선단에는 제2고정안내공(321)이 구비된 제2지지편(320)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돌기(336)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관(335)의 파쇄홀(335a)에 삽입되는 봉형상의 파쇄봉(339)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역쐐기(337)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한 쌍의 역쐐기(337)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역쐐기(337) 사이에 파쇄유압잭(334)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쐐기(338)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파쇄유압잭(334)에 의해 쐐기(338)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한 쌍의 역쐐기(337)는 파쇄홀(335a)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쐐기압을 이용하여 암반을 파쇄할 때는 도 8의 (b)에서와 같이 쐐기(338)가 전진하면서 한 쌍의 역쐐기(337)가 양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지지편(320)의 제2고정안내공(321)의 내경은 역쐐기(337)가 벌어질 때 함께 벌어지거나, 내경의 크기가 처음부터 크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파쇄관(335)이 천공홀에 삽입되기 위해 전진할 때 진동에 의해 흔들려 천공홀로 정확히 삽입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지지편(3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편(320)은 한 쌍의 제2수직편(311)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지지판(322)과, 반원형 홈이 구비된 고정안내편(323a)과, 상기 고정안내편(323a)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전지지판(322)의 일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지지편(323b)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고정안내판(3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안내판(323)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판(322)의 일면에 고정안내편(323a)이 상호 교차되도록 고정지지편(323b)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안내편(323a)의 반원형 홈이 서로 접하게되면서 제2고정안내공(321)을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안내공(321)으로 역쐐기(337)와 쐐기(338)가 구비된 파쇄관(335)이 위치한다.
이때 파쇄유압잭(334)에 의해 쐐기(338)가 전진하면서 한 쌍의 역쐐기(337)를 외부로 밀어낸다. 상기 한 쌍의 역쐐기(337)가 양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도 9의 (b)에서와 같이, 제2고정안내공(321)이 역쐐기(337)에 의해 양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방향으로 벌어지는 한 쌍의 역쐐기(337)에 의해 함께 한 쌍의 회전고정안내판(323)도 양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제2고정안내공(321)이 넓어지게 되어 쐐기압을 이용한 파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안내공(321)의 형상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한 쌍의 고정안내편(323a)의 외측에는 회전브라켓(323c)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브라켓(323c)과 회전지지판(322)의 일면에는 지지유압로드(324a)가 구비된 지지유압잭(324)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유압잭(324)은 회전지지판(322)에 설치되어 지지유압로드(324a)를 이용해 고정안내편(323a)을 지지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고정안내공(321)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면서, 쐐기압에 의해 벌어진 제2고정안내공(321)의 내경을 다시 원위치되도록 하여 파쇄관(335)을 고정시켜준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안내편(323a)의 외측에는 회전브카렛(323c)이 구비되고, 회전지지판(322)의 상단에는 이동슬릿(325a)이 구비된 걸림편(325)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323c)과 한 쌍의 걸림편(325) 사이에는 이동슬릿(325a)을 관통하여 회전브라켓(323c)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봉(326)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326)에는 스프링(327)이 설치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7의 (b)에서와 같이, 쐐기압에 의해 한 쌍의 회전고정안내판(323)이 양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 회전브라켓(323c)에 의해 스프링(327)이 눌리게되고, 지지봉(326)은 걸림편(325)의 이동슬릿(325a)을 따라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더불어 쐐기압이 해제되면 한 쌍의 회전고정안내판(323)은 스프링(327)의 탄성력에 의해 제2고정아내공(321)의 내경을 다시 복원하게 된다.
이때 이동슬릿(325a)으로부터 지지봉(32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봉(326)의 하단에는 걸림돌기(326a)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파쇄부(300)의 작동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가이드체(310)의 후방에는 제5브라켓(315)이 제2연결편(312) 일면에 중심축관(110)의 몸체(11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관(110)의 후방에는 몸체(111) 타면에 제6브라켓(115)이 파쇄가이드체(3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6브라켓 사이에는 제3유압로드(601)가 구비된 제3유압잭(6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중심축관(110)의 제3레일홈부(113)부에 파쇄가이드체(310)의 제3레일(3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3유압잭(600)의 제3유압로드(601)의 신축에 의해 상기 파쇄가이드체(31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게된다.
더불어 상기 파쇄가이드체(310)의 전방에는 제7브라켓(316)이 한 쌍의 제2수직편(311) 사이에 구비되고, 천공브라켓(231)의 하부에는 제8브라켓(332)이 파쇄가이드체(3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7브라켓(316)에는 제2회전유압축(701)이 구비된 제4유압잭(700)이 설치되고, 상기 제8브라켓(332)에는 회전가능한 제2체인기어(332a)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회전유압축(701)과 제2체인기어(332a)는 제2체인(70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2회전유압축(701)의 회전에 의해 파쇄가이드체(310)의 제4레일(314)에 설치된 파쇄브라켓(331)이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암반 파쇄장치(10)에 중심체(14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암반 파쇄장치(10)의 중심체(140)가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암반 파쇄장치(10)는 중심축관(110)을 중심으로하여 양측으로 동일한 중심선 거리를 가지는 천공부(200)와 파쇄부(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암반 파쇄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반에 천공가이드체(210)가 밀착한 상태에서 천공체(230)를 이용해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체(230)와 천공가이드체(210)를 후방으로 원위치 시킨 다음 유압회동모터(120)를 작동시켜 중심축관(110)을 회전시킨다.
이때 중심축관(110)의 회전시 천공부(200)와 파쇄부(300)의 안정된 회전을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관(110)의 몸체(111) 내부에는 첨두부(140a)가 구비된 관체형상의 중심체(140)가 상기 몸체(111)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체(140)은 작동은 중심유압로드(141a)가 구비된 중심유압잭(14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유압잭(141)은 첨두부(140a)의 내면과 유압회동모터(1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심유압로드(141a)의 신축에 의해 중심체(140)가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중심체(140)가 구비된 본 발명의 암반 파쇄장치(10)는, 천공가이드체(210)가 암반표면에 밀착하기 전에 중심유압잭(141)에 의해 중심체(140)가 먼저 전방으로 이동하여 암반표면에 고정되고 이후 천공가이드체(21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암반에 밀착한다.
상기 천공가이드체(210)와 파쇄가이드체(31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중심축관(110)으로부터 돌출되어 암반표면에 밀착하게 되는데, 상기 중심체(140)로 인해 그 돌출의 정도가 길어져 천공작업이나 파쇄작업시 천공,파쇄가이드체(210,310)가 흔들려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중심체(140)와 천공가이드체(210) 및 파쇄가이드체(310)의 사이에는 제1,2간격유지편(150,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체(14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5레일(142)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체(140)의 타면에는 제6레일(143)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체(140)의 제5레일(142)과 천공가이드체(210)의 제1레일(213) 사이에는 제5레일(142)이 삽입되는 제5레일홈부(151)와, 제1레일(213)이 삽입되는 제6레일홈부(152)가 구비된 제1간격유지편(150)이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중심체(140)의 제6레일(143)과 파쇄가이드의 제3레일(313) 사이에는, 상기 제6레일(143)이 삽입되는 제7레일홈부(161)와, 상기 제3레일(313)이 삽입되는 제8레일홈부(162)가 구비된 제2간격유지편(160)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2간격유지편(150,160)에 의해 천공가이드체(210)와 파쇄가이드체(310)의 전방이동에 의해 중심축관(110)으로부터 많이 돌출되어도, 천공작업이나 파쇄작업시 상기 천공가이드체(210) 및 파쇄가이드체(3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암반 파쇄장치(10)의 천공부(200)의 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암반 파쇄장치(10)의 일부 구성인 가이드고정체(2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암반 파쇄장치(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가이드체(210)와, 상기 천공가이드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고정안내공(221)과 통과홀(222)이 구비된 제1지지편(220)과, 상기 천공체(230)에 의해 먼저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천공체(230)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고정체(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기 천공가이드체(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수직편(211)과, 상기 제1수직편(211)을 연결시켜주는 제1연결편(21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211)의 일측에는 제1레일(213)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211) 타측에는 제2레일(214)이 구비된다. 상기 천공체(23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레일(214)에 설치되는 제2레일홈부(231a)가 구비된 천공브라켓(231)과, 상기 천공브라켓(231)에 설치되는 드리프터몸체(233)와, 상기 드리프터몸체(2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지지편(220)의 제1고정안내공(221)을 관통하는 천공로드(234) 및, 상기 천공로드(234)의 선단에 착탈이 가능한 비트(23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트(235)의 조립구조는 후술하는 가이드고정체(24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파쇄부(300)의 파쇄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이드고정체(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천공체(230)에 의해 먼저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천공체(230)가 선행 천공체(230)에 일부분이 중첩된 후행 천공홀을 천공하는 과정 중 상기 천공체(230)가 선행 천공홀 방향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천공체(230)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고정체(240)는 드리프터몸체(233)에 설치되는 고정이동책과, 상기 고정이동잭(241)에 설치되는 가이드봉로드(242) 및, 가이드봉로드(242)의 선단에 설치되어 비트(235)의 밀림을 방지하면서 비트(235)의 전진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봉(243)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봉로드(242)는 고정이동잭(241)에 커플러 등을 이용한 탈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도 14는 연결브라켓(244)에 의해 상호 연결된 가이드봉(243)과 천공로드(234) 및 비트(235)와의 관계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미여, 도 15는 상기 암반 파쇄장치(10)를 이용하여 암반을 절단하고 파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상기 가이드봉(243)은 연결브라켓(244)에 의해 천공로드(234)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브라켓(244)은 천공로드(234)에 설치되는 고정봉(244a)과, 가이드봉(243)에 설치되는 이동봉(244b)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고정봉(244a)과 가이드봉(243)은 함께 이동하는 일체적 구조를 가진다.
상기 천공로드(234)의 선반부에는 지지턱(234a)에 의해 구분되는 설치관부(234b)가 구비되는 바, 고정봉(244a)에는 상기 설치관부(234b)가 삽입되는 삽입홀(244c)이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봉(244a)은 지지턱(234a)과 비트(235) 사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봉(243)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요홈(243b)이 구비되며, 상기 요홈(243b)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원은 비트(235)의 외경과 일치하여, 비트(235)는 요홈(243b)의 내면과 접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의하여 인접한 천공홀들은 일부분이 상호 중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요홈(243b)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트렌치(243a)가 구비되고, 상기 트렌치(243a)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봉(244b)이 끼움 결합된다. 이때 트렌치(243a)와 이동봉(244b)의 각 단면은 역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게 하는 등 트렌치(243a)상에서 이동봉(244b)이 이동하는 과정중에 상기 트렌치(243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가이드봉(243)이 구비된 본 발명의 암반 파쇄장치(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일부분이 중첩되면서 연속적인 천공홀을 형성시켜 암반을 소정의 면적으로 절단한 후, 그 절단된 부분을 다시 잘게 파쇄시킴으로써 분진이나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암반을 구찰 내지 파쇄할 수 있게 된다.
고정지지체(130)의 후방에는, 상기 고정지지체(130)를 지지하면서 암반 파쇄장치(10)를 중장비에 쉽게 정착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암반 파쇄장치(10)에 의한 천공 및 암파쇄작업 방향의 각도를 좌우로 조정할 수 있도록 정착체(1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고정지지체(130)의 장착부(133)와 정착체(170) 사이의 연결은 체결볼트에 의한 핀결합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좌우 각도조절을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제의 양 측부에는 제1측브라켓(134)이 설치되고, 장착부(133)의 양측부에도 제2측브라켓(171)이 설치되며, 상기 제1,2측브라켓(134,171)은 수평보정유압잭(80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정착체(170)의 일측 수평보정유압잭(800)의 보정유압로드(801)를 신장시키면서, 상기 정착체(170)의 타측 수평보정유압잭(800)의 보정유압로드(801)를 축소시키게 되면 정착체(170)에 대한 고정지지체(130)의 각도가 변화하면서 암반 표면에 대한 암반 파쇄장치(10)의 작업 방향이 조정되어 정확한 작업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암반 파쇄장치 100 ; 중심축부
110 ; 중심축관 111 ; 몸체
112 ; 제1레일홈부 113 ; 제3레일홈부
114 ; 제2브라켓 115 ; 제6브라켓
116 ; 고정대 120 ; 유압회동모터
121 ; 모터본체 122 ; 구동축
123 ; 고정부재 123a ; 관통공
124 ; 고정핀 130 ; 고정지지체
131 ; 고정수용부 131a ; 관통공
132 ; 고정편 133 ; 장착부
134 ; 제1측브라켓 140 ; 중심체
141 ; 중심유압잭 141a ; 중심유압로드
142 ; 제5레일 143 ; 제6레일
150 ; 제1간격유지편 151 ; 제5레일홈부
152 ; 제6레일홈부 160 ; 제2간격유지편
161 ; 제7레일홈부 162 ; 제8레일홈부
170 ; 정착체 171 ; 제2측브라켓
200 ; 천공부 210 ; 천공가이드체
211 ; 제1수직편 212 ; 제1연결편
213 ; 제1레일 214 ; 제2레일
215 ; 밀착편 215a ; 밀착돌기
216 ; 제1브라켓 217 ; 제3브라켓
220 ; 제1지지편 221 ; 제1고정안내공
222 ; 통과홀 230 ; 천공체
231 ; 천공브라켓 231a ; 제2레일홈부
232 ; 제4브라켓 232a ; 제1체인기어
233 ; 드리프터몸체 234 ; 천공로드
234a ; 지지턱 234b ; 설치관부
235 ; 비트 240 ; 가이드고정체
241 ; 고정이동잭 242 ; 가이드봉로드
243 ; 가이드봉 243a ; 트렌치
244 ; 연결브라켓 244a ; 고정봉
244b ; 이동봉 300 ; 파쇄부
310 ; 파쇄가이드체 311 ; 제2수직편
312 ; 제2연결편 313 ; 제3레일
314 ; 제4레일 315 ; 제5브라켓
316 ; 제7브라켓 320 ; 제2지지편
321 ; 제2고정안내공 322 ; 회전지지판
323 ; 회전고정안내판 323a ; 고정안내편
323b ; 지지판 323c ; 회전브라켓
324 ; 지지유압잭 324a ; 지지유압로드
330 ; 파쇄체 331 ; 파쇄브라켓
331a ; 제4레일홈부 332 ; 제8브라켓
332a ; 제2체인기어 333 ; 회전모터
334 ; 파쇄유압잭 335 ; 파쇄관
335a ; 파쇄홀 336 ; 파쇄돌기
337 ; 역쐐기 338 ; 쐐기
400 ; 제1유압잭 401 ; 제1유압로드
500 ; 제2유압잭 501 ; 제1회전유압축
502 ; 제1체인 600 ; 제3유압잭
601 ; 제3유압로드 700 ; 제4유압잭
701 ; 제2회전유압축 702 ; 제2체인
800 ; 수평보정유압잭 801 ; 보정유압로드

Claims (23)

  1. 중심축부(100)와, 중심축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암반의 표면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부(200)와, 중심축부(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천공홀 내부에서 암반의 균열을 유도하는 파쇄부(300)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심축부(100)는, 관체형상의 몸체(111)와, 몸체(111)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레일홈부(112)와, 몸체(111)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또 다른 한 쌍의 제3레일홈부(113)로 이루어진 중심축관(110)과; 몸체(111) 내부에 구비된 고정대(116)에 설치되는 유압회동모터(120)와; 상기 유압회동모터(120) 후방에 설치되는 고정지지체(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회동모터(120)는, 모터본체(121)와, 모터본체(121)와 연결된 구동축(122) 및, 구동축(122) 단부에 설치된 고정부재(123)로 이루어지며, 유압회동모터(120)의 모터본체(121) 후단에는 단턱(121a)이 형성되고, 고정지지체(130)의 고정수용부(131)의 선단에는 단턱(121a)을 감싸아 고정지지체(130)에 고정시킴으로서, 고정부재(123)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132)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지지체(130)의 선단에는 고정부재(123)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수용부(131)가 형성되어 유압회동모터(120)가 구동되면 고정지지체(130)를 중심으로 모터본체(121)와 중심축관(110)이 일체로 함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유압회동모터(120)의 고정부재(123)와 고정지지체(130)의 고정수용부(131)는 고정핀(124)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압회동모터(120)의 고정부재(123)는 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체(130)의 고정수용부(131)는 고정부재(123)에 대응되는 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용부(131)에 고정부재(123)가 삽입되었을 때 상호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천공부(200)는, 한 쌍의 제1수직편(211)과, 각 제1수직편(211)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편(212)으로 이루어진 H형상의 천공가이드체(210)와; 상기 천공가이드체(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고정안내공(221)이 구비된 제1지지편(220) 및; 천공가이드체(210)에 설치되어 암반의 표면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체(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편(211)의 일단에는 중심축관(110)의 제1레일홈부(112)에 삽입되는 제1레일(213)이 형성되고, 한 쌍의 제1수직편(211)의 타단에는 제2레일(214)이 구비되며,
    상기 천공체(230)는, 제2레일(214)이 삽입되도록 제2레일홈부(231a)가 구비된 천공브라켓(231)과, 천공브라켓(231)에 설치되는 드리프터몸체(233)와, 드리프터몸체(2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고정안내공(221)을 관통하는 천공로드(234) 및, 천공로드(234)의 선단에 설치되는 비트(2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천공가이드체(210)의 선단에는 암반과 접하는 밀착편(215)이 구비되고, 상기 밀착편(215)의 일면에는 암반의 표면에 밀착 고정되는 밀착돌기(215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천공가이드체(210)의 후방에는 제1브라켓(216)이 구비되고, 중심축관(110)의 후방에는 제2브라켓(1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브라켓(216)과 제2브라켓(114) 사이에는 제1유압로드(401)가 구비된 제1유압잭(4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천공가이드체(210)의 전방에는 제3브라켓(217)이 구비되고, 천공브라켓(231)의 하부에는 제4브라켓(232)이 구비되되,
    상기 제3브라켓(217)에는 제1회전유압축(501)이 구비된 제2유압잭(500)이 설치되고, 제4브라켓(232)에는 제1체인기어(232a)가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유압축(501)과 제1체인기어(232a)는 제1체인(50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파쇄부(300)는, 한 쌍의 제2수직편(311)과, 각 제2수직편(311)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편(312)으로 이루어진 H형상의 파쇄가이드체(310)와; 상기 파쇄가이드체(3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2고정안내공(321)이 구비된 제2지지편(320) 및; 파쇄가이드체(310)에 설치되어 암반의 내부에서 균열을 유도하는 파쇄체(3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제2수직편(311)의 일단에는 중심축관(110)의 제3레일홈부(113)에 삽입되는 제3레일(313)이 형성되고, 한 쌍의 제2수직편(311)의 타단에는 제4레일(3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파쇄체(330)는, 파쇄가이드체(310)의 제4레일(314)이 삽입되도록 제4레일홈부(331a)가 구비된 파쇄브라켓(331)과, 상기 파쇄브라켓(331)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33)와, 회전모터(333)와 연계되어 설치되는 파쇄유압잭(334)과, 파쇄유압잭(334)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2지지편(320)의 제2고정안내공(321)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파쇄홀(335a)이 구비된 파쇄관(335) 및, 상기 파쇄관(335)에 삽입되어 암반의 균열을 유도하는 파쇄돌기(3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지지편(320)은, 한 쌍의 제2수직편(311)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지지판(322)과; 반원형 홈이 구비된 고정안내편(323a)과, 상기 고정안내편(323a)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전지지판(322)의 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고정지지편(323b)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고정안내판(32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회전고정안내판(323)은 상호 교차되어 회전지지판(32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 고정안내편(323a)의 반원형 홈이 서로 접하여 제2고정안내공(321)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안내편(323a) 외측에는 회전브라켓(323c)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브라켓(323c)과 회전지지판(322) 일면 사이에는 지지유압로드(324a)가 구비된 지지유압잭(324)이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고정안내편(323a)에 의해 형성된 제2고정안내공(321)은 지지유압잭(324)에 의해 내경이 확장 및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안내편(323a) 외측에는 회전브라켓(323c)이 구비되고, 회전지지판(322)의 상단에는 이동슬릿(325a)이 구비된 한 쌍의 걸림편(325)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브라켓(323c)과 걸림편(325) 사이에는 이동슬릿(325a)을 관통하여 회전지지판(322)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봉(326)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326)에는 스프링(327)이 설치되어 제2고정안내공(321)의 내경이 확장 및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파쇄가이드체(310)의 후방에는 제5브라켓(315)이 구비되고, 중심축관(110)의 후방에는 제6브라켓(115)이 구비되며, 상기 제5브라켓(315)과 제6브라켓(115) 사이에는 제3유압로드(601)가 구비된 제3유압잭(6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파쇄가이드체(310)의 전방에는 제7브라켓(316)이 구비되고, 파쇄브라켓(331)의 하부에는 제8브라켓(332)이 구비되되,
    상기 제7브라켓(316)에는 제2회전유압축(701)이 구비된 제4유압잭(700)이 설치되고, 제8브라켓(332)에는 제2체인기어(332a)가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유압축(701)과 제2체인기어(332a)는 제2체인(70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중심축관(110)의 몸체(111) 내부에는 첨두부(140a)가 구비된 중심체(140)가 설치되고, 상기 첨두부(140a)와 유압회동모터(120) 사이에는 중심유압로드(141a)가 구비된 중심유압잭(14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중심체(14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제5레일(142)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체(140)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또 따른 한 쌍의 제6레일(143)이 구비되며,
    중심체(140)의 제5레일(142)과 천공가이드체(210)의 제1레일(213) 사이에는, 상기 5레일(142)이 삽입되는 제5레일홈부(151)와 제1레일(213)이 삽입되는 제6레일홈부(152)로 이루어진 제1간격유지편(150)이 구비되고,
    중심체(140)의 제6레일(143)과 파쇄가이드체(310)의 제3레일(313) 사이에는, 상기 제6레일(143)이 삽입되는 제7레일홈부(161)와 제3레일(313)이 삽입되는 제8레일홈부(162)로 이루어진 제2간격유지편(1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천공부(200)에는 천공체(230)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가이드고정체(240)가 구비되되,
    상기 천공부(200)의 제1지지편(220)에는 제1고정안내공(221)과 통과홀(2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가이드고정체(240)는, 드리프터몸체(233)에 설치되는 고정이동잭(241)과, 고정이동잭(241)에 설치되는 가이드봉로드(242)와, 가이드봉로드(242)의 선단에 설치되어 통과홀(222)을 관통하는 가이드봉(2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천공로드(234)의 선단부에는 지지턱(234a)에 의해 구분되는 설치관부(234b)가 구비되고, 설치관부(234b)와 가이드봉(243)은 연결브라켓(244)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가이드봉(243)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트렌치(243a)가 구비되고, 연결브라켓(244)은 설치관부(234b)가 삽입되도록 삽입홀(244c)이 구비된 고정봉(244a)과, 상기 고정봉(244a)과 일체로 구성되면서 트렌치(243a)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이동봉(244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체(130)의 후방에는, 고정지지체(130)를 지지하면서 천공 및 파쇄작업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정착체(1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고정지지체(130)의 양 측부에는 제1측브라켓(134)이 설치되고, 상기 정착체(170)의 양 측부에는 제2측브라켓(171)이 설치되되,
    상기 제1측브라켓(134)과 제2측브라켓(171)은 보정유압로드(801)가 구비된 수평보정유압잭(800)이 설치되어, 상기 보정유압로드(801)의 신축에 의해 정착체(170)에 대한 고정지지체(130)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파쇄장치.
KR1020190149458A 2019-11-20 2019-11-20 암반 암파쇄장치 KR10212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58A KR102120977B1 (ko) 2019-11-20 2019-11-20 암반 암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58A KR102120977B1 (ko) 2019-11-20 2019-11-20 암반 암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977B1 true KR102120977B1 (ko) 2020-06-09

Family

ID=7108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458A KR102120977B1 (ko) 2019-11-20 2019-11-20 암반 암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051B1 (ko) * 2020-12-15 2021-06-08 오상봉 탈착형 암파쇄장치
KR102454176B1 (ko) * 2022-02-28 2022-10-14 오송건설산업 주식회사 회동암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476B1 (ko) 1998-07-22 2001-07-12 석철기 암반파쇄장치
JP2014109148A (ja) * 2012-12-03 2014-06-12 Shimizu Corp アンカー施工装置
KR20180049574A (ko) * 2016-11-03 2018-05-11 강릉건설 주식회사 절리면 강제이완 방식을 이용한 할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476B1 (ko) 1998-07-22 2001-07-12 석철기 암반파쇄장치
JP2014109148A (ja) * 2012-12-03 2014-06-12 Shimizu Corp アンカー施工装置
KR20180049574A (ko) * 2016-11-03 2018-05-11 강릉건설 주식회사 절리면 강제이완 방식을 이용한 할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051B1 (ko) * 2020-12-15 2021-06-08 오상봉 탈착형 암파쇄장치
KR102454176B1 (ko) * 2022-02-28 2022-10-14 오송건설산업 주식회사 회동암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977B1 (ko) 암반 암파쇄장치
KR102095574B1 (ko) 절단형 회동 암파쇄장치
KR101613313B1 (ko) 듀얼 천공기
US6702040B1 (en) Telescopic drilling method
US11002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or cleaving rock
PL233012B1 (pl) Sposób wybierania materiału ze ściany wyrobiska, maszyna górnicza do wrębiania w ścianę wyrobiska
US9068454B1 (en) Method for wire saw excavation
EP2407630A2 (en) Pipe umbrella drilling method
US35073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through soil and rock layers
US6736225B2 (en) Guide for attachment to a roof bolter to allow for core drilling
KR102120971B1 (ko) 회동 암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 방법
CN113250701A (zh) 一种竖井掘进机及其刀盘
KR102120982B1 (ko) 회동 암반 파쇄장치
RU2689455C1 (ru) Способ проходки горной выработ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454176B1 (ko) 회동암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US20190234161A1 (en) Drill rod for breaking up the edges of boreholes and a method for breaking up the edges of boreholes
JP2876102B2 (ja) トンネル切羽面外周部の穿孔装置
KR102509897B1 (ko) 자유면 형성을 위한 트리플 이동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암반의 자유면 시공방법
JP2020111918A (ja) ベアリングプレート設置面切削研磨方法及び装置
JP2935401B2 (ja) 既設長尺孔内への割岩装置の挿入方法及び装置
KR102660209B1 (ko) 내경 절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돌기 형성 방법
CN209832219U (zh) 一种岩石铣槽机
JP2954818B2 (ja) 既設トンネル改築用壁体穿孔装置
KR20210108025A (ko) 천공확대방법 및 밀뚝 정착구의 설치공법
KR102196558B1 (ko) 콘기둥 형상 천공 언더컷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