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914B1 -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 Google Patents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914B1
KR102120914B1 KR1020190038628A KR20190038628A KR102120914B1 KR 102120914 B1 KR102120914 B1 KR 102120914B1 KR 1020190038628 A KR1020190038628 A KR 1020190038628A KR 20190038628 A KR20190038628 A KR 20190038628A KR 102120914 B1 KR102120914 B1 KR 102120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face
face identification
nose
polynucleo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성원
이시우
도준형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3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9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a polynucleotid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nucleotides composed of SEQ ID NOs: 1-7 and a combination thereof, or comprising a polynucleotide complementary thereto; a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a preparation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the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a kit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a microarray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the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face identification. The marker composition for frontal face identification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rive genetic influences of diseases associated with facial phenotypes, and also can be widely utilized in crime investigations.

Description

정면 얼굴 판별용 마커{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Marker for face recognition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본 발명은 정면 얼굴 판별용 마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상기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조성물, 상기 얼굴 판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키트, 상기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얼굴 판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er for front face identifica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olynucleot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ucleotides of SEQ ID NOs: 1 to 7 and combinations thereof, or polynucleotides complementary thereto. Includes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discrimination, a face discrimination composition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the face discrimination marker composition, a kit for face discrimination including the face discrimination composition, and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discrim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array for face identific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face identification.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상태 측정, 적정 운동량 관리 등의 사전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피검자의 체질, 현재 건강상태 등의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피검자의 현재 건강상태는 피검자의 주변환경 및 생활환경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를 변수로 사용하여 건강관리를 수행하기는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나, 피검자의 체질은 좀처럼 변하지 않으므로, 이를 건강관리에 이용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s interest in quality of life increases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preferences for proactive health management such as health status measurement and proper exercise management are increasing. The most important of th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such management can be said to be information such as the constitution of the subject and the current state of health. Since the current health status of the subject is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subjec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perform health management using this as a variable, but since the constitution of the subject is rarely changed, it is necessary for health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to use.

이와 관련하여, 사상의학에서는 같은 질병이나 증상에 대해서도 체질에 따라 치료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시하고 있으며, 사람의 체질을 오장육부의 편차에 따라 4가지로 나누고 있다. 이러한 사상의학에 근거한 체질의 판별은 사상체질의학회에서 인증한 '설문지를 이용한 사상체질판별 프로그램(QSSCCII)'을 통해 각각의 체질병증을 찾아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진단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신빙성에 한계가 있으므로, 보다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체질을 판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this regard, Sasang Medicine suggests that it is effective to differently treat the same disease or symptom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divides the constitution of a person into four according to the deviation of the genital organs. In order to discriminate constitutions based on Sasang Medicine, a method of finding and confirming each constitutional disease is used through the Sasang Constitutional Discrimination Program (QSSCCII) using a questionnaire certified by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ssociation. However, such a conventional method often relies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diagnostician, so there is a limit to reliability, and thus studies for determining constitution based on more objective fac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얼굴 표현형은 개체간의 다름을 나타내는 가장 눈에 띄는 표현형 중의 하나이다. 유전적인 특성에 의해 조절됨이 확실시되고 있지만, 얼굴 표현형 결정에 대한 유전자의 작용 기전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더불어, 질병의 유전적 위험도와 얼굴 표현형의 유전적 특징과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 또한 미흡한 상태이다.The face phenotype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henotypes representing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Although it is certain that it is controlled by genetic characteristics, the mechanism of action of genes for facial phenotype determination remains unknown. In addition,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tic risk of the disease and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face phenotype are also insufficient.

얼굴 표현형 중 얼굴 형태학은 법 의학에 있어 중요한 특징으로 분류된다. 얼굴 형태에서 안면 기형은 선천성 기형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환자들의 사회적 부적응까지 초래하고 있다. 법의학에서, 유전 정보는 홍채와 머리카락 색과 같은 외부적인 특징과 개인 식별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요한 증거로 간주된다. 최근, 얼굴 형태학을 통계적 가치로서 사용하는 고해상도 3차원 이미징 기술이 DNA 정보와 접목되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Of the facial phenotypes, facial morphology is classified as an important feature in forensic medicine. Facial anomalies in the face form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congenital anomalies, leading to social maladjustment of patients. In forensic science, genetic information is considered important evidence that provides data on personal identification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iris and hair color. Recently, high-resolution 3D imaging technology that uses face morphology as a statistical value has been combined with DNA information to open up new possibilities.

얼굴 형태학은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얼굴 형성 과정은 다양한 조직 세포의 세포 이동, 상호작용, 확산 및 분화와 연관된 진화적으로 보존되는 정밀한 과정이다. 선천적인 두개골 기형을 가진 인간의 피실험자와 동물 모델을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얼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들을 밝혀왔다. 예를 들어, 뼈 형태 형성 단백질, 소닉 고슴도치, 섬유질 폭발 성장 계수, 성장 호르몬 수용기, 그리고 Wnt/β-카테닌 경로를 포함한 배아 두개골 형태 형성 과정에서 복수의 신호 경로가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Facial morphology is determined by genetic factors rather than environmental factors. The face-building process is an evolutionarily conserved precise process associated with cell migration, interaction, diffusion and differentiation of various tissue cells. Studies using human subjects and animal models with congenital skull anomalies have identified genetic factors affecting facial formation. For example, multiple signaling pathways have been reported to be important factors during embryonic skull morphogenesis, includ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sonic hedgehog, fibrous explosive growth factor, growth hormone receptor, and Wnt/β-catenin pathway.

더 나아가 최근에는 게놈 전반에 걸친 연관성 연구(GWAS)를 실시하여 PAX3 로커스의 유전적 변종이 코 모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유럽 피험자에게서 PAX3 로커스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얼굴 형태학에 영향을 미치는 4개의 새로운 유전체를 유전자 PRDM16, TP63, C5orf50, COL17A1에 알아내었다. 아울러, 코의 표현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SOX9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인 rs2193054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한국등록특허 제10-1761801호).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과는 유전 형질이 다른 유럽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이고, 현재까지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Furthermore, a recent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was conducted to discover that the genetic variant of the PAX3 locus was related to the shape of the nose, confirming the association of the PAX3 locus in European subjects, and affecting facial morphology. Four new genomes were identified in the genes PRDM16, TP63, C5orf50, and COL17A1. In addition, to determine the phenotype of the nose, a technique using rs2193054, an SNP present in the SOX9 gene, was developed (Korean Patent No. 10-1761801). However, the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uropeans whose genetic traits differ from Asians, including Koreans, and to date, studies on Asians have been insufficient.

한편, 범죄 수사에서의 몽타주는 수배해야 할 범인의 사진을 입수할 수 없을 때 이용된다. 몽타주 작성시에 사용하는 현재의 방법은 범인의 얼굴을 목격한 사람들의 기억에 의거하여 범인의 특징과 유사점을 찾아내 윤곽·눈·코·입·귀·턱·눈썹·머리털 등의 닮은 부분을 골라내어 합성·복제한다. 이 기본사진을 목격자에게 다시 보여 목격자가 가지고 있는 범인에 대한 이미지에 합치할 때까지 수정을 되풀이하여 정확성이 높은 몽타주 사진을 만들고 있다. 하지만, 목격자의 기억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어 현재의 방법으로 작성한 몽타주는 실제로 검거한 범인의 얼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몽타주 또한 용의자의 DNA 분석에 의한 범인의 검거와 같은, 보다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montages in criminal investigations are used when photographs of criminals to be arranged are not available. The current method used to create a montage finds the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of the criminal based on the memory of the people who witnessed the criminal's face, and resembles similar parts such as contours, eyes, nose, mouth, ears, chin, eyebrows, and hair. Choose, synthesize, and replicate. This basic photo is shown to the eyewitness again, and the correction is repeated until a match is made to the image of the criminal who has the eyewitness. However,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memory of the eyewitness could be distorted, so the montage created in the current way often did not match the face of the criminal who was arrest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ontage to be prepared based on more objective facts, such as the arrest of a criminal by suspect DNA analysis.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정면에서 바라보는 얼굴 형태학적 표현형에 대하여 전장유전체연관분석 (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및 추가 적 검증 분석으로 Replication 분석을 통하여 얼굴 윤곽, 눈 윤곽, 눈 꼬리 길이, 코 너비와의 연관성이 확립된 5개의 유전자(OSR1-WDR35, HOXD-MTX2, WDR27, SOX9, DHX35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 염기 다형성(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을 발굴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Under these backgrounds, the present inventors performed a full profile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on the face morphological phenotype viewed from the front, and additional verification analysis to analyze the face profile, eye profile, and eye tail length through replication analysis.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derived from five genes (OSR1-WDR35, HOXD-MTX2, WDR27, SOX9, and DHX35 gen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to have a correlation with nose width was discover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내지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discrimination comprising a polynucleotide selected from one or more polynucleotide groups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s: 1 to 7 or a polynucleotide complementary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e recognition kit compri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array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the marker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얼굴 판별을 위한 정보의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face identification.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Each description and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ach other description and embodiment. That is, all combinations of the various ele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descriptions described be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서열번호 1 내지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a polynucleotide selected from one or more polynucleotide group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to 7 or a polynucleotide complementary thereto to provide.

본 발명의 용어 "서열번호 1 내지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란, 얼굴에 대한 표현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다형성 부위를 포함하는 다형성 서열(polymorphic sequence)로서, 다형성 서열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중에 SNP를 포함하는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를 포함하는 서열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은 DNA 또는 RNA가 될 수 있다.The term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s: 1 to 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orphic sequence including a polymorphic region of a gene involved in phenotype for a face, and a polymorphic sequence is a polynucleotide sequence. It means a sequence comprising a polymorphic site containing SNP. The polynucleotide sequence may be DNA or RNA.

본 발명의 용어 "다형성(polymorphism)"이란, 하나의 유전자 좌위(locus)에 두 가지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 중에서, 단일 염기만이 다른 것을 단일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라 한다. 구체적인 예로 다형성 마커는 선택된 집단에서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10% 이상의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두 가지 이상의 대립유전자를 가진다.The term "polymorph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ase where two or more alleles exist in one locus, and among polymorphic sites, only a single base is different from a single base polymorphism ( It is call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As a specific example, a polymorphic marker has two or more alleles showing a frequency of occurrence of 1% or more, more preferably 5% or 10% or more, in a selected population.

본 발명의 용어 "대립유전자(allele)"란, 상동염색체의 동일한 유전자좌위에 존재하는 한 유전자의 여러 타입을 의미한다. 대립유전자는 다형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기도 하며, 예컨대, SNP는 두 종류의 대립인자(biallele)를 갖는다.The term "alle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several types of a gene that exist at the same locus of a homologous chromosome. Alleles are also used to indicate polymorphism, for example, SNPs have two types of alleles.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정면 얼굴 윤곽과 관련된 OSR1-WDR35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인 rs756728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열번호 2는 상단 눈꺼풀의 곡률과 관련된 HOXD-MTX2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인 rs97079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3은 눈 꼬리 길이와 관련된 WDR27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인 rs37367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열번호 4는 코 하위폭과 관련된 DHX35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인 rs220643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5 내지 7은 측면 코 각도, 코 길이, 코 끝 돌출 및 코 윤곽선과 관련된 SOX9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인 rs9910003, rs1859979 및 rs991519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얼굴 판별용 마커는 코 표현형 유전자로 알려진 SOX9 유전자에 존재하는 SNP인 rs2193054를 포함하는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may include rs7567283, which is SNP present in the OSR1-WDR35 gene associated with the frontal facial contour, and SEQ ID NO: 2 relates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eyelid SRS present in the HOXD-MTX2 gene may include rs970797, and SEQ ID NO: 3 may include rs3736712, SNP present in the WDR27 gene related to the length of the eye tail, and SEQ ID NO: 4 related to the nose sub-width It may include the SNP present in the DHX35 gene, rs2206437, and SEQ ID NOs: 5 to 7 include s9910003, rs1859979, and rs9915190, SNPs present in the SOX9 gene related to lateral nasal angle, nasal length, nasal tip protrusion, and nasal contour. can do. In addition, the marker for face identifica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which includes SRS rs2193054, which is the SNP present in the SOX9 gene, known as the nose phenotype gene.

상기 서열번호 1에 포함된 SNP인 rs7567283의 175번째 염기서열은 C 또는 T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2에 포함된 SNP인 rs970797의 141번째 염기서열은 C 또는 A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3에 포함된 SNP인 rs3736712의 141번째 염기서열은 T 또는 C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4에 포함된 SNP인 rs2206437의 141번째 염기서열은 A 또는 T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5에 포함된 SNP인 rs9910003의 141번째 염기서열은 C 또는 T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6에 포함된 SNP인 rs1859979의 141번째 염기서열은 T 또는 C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7에 포함된 SNP인 rs9915190의 141번째 염기서열은 C 또는 A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8에 포함된 rs2193054의 141번째 염기서열은 G 또는 C가 될 수 있다. The 175th base sequence of rs7567283, which is the SNP included in SEQ ID NO: 1 may be C or T, and the 141th base sequence of rs970797, which is the SNP included in SEQ ID NO: 2, may be C or A, and the sequence The 141st nucleotide sequence of rs3736712, the SNP included in SEQ ID NO: 3 may be T or C, and the 141st nucleotide sequence of rs2206437, SNP included in SEQ ID NO: 4 may be A or T, and SEQ ID NO: 5 The 141st base sequence of rs9910003, which is SNP included in, may be C or T, and the 141th base sequence of rs1859979, which is SNP included in SEQ ID NO: 6, may be T or C, included in SEQ ID NO:7 The 141st base sequence of rs9915190, which is an SNP, may be C or A, and the 141st base sequence of rs2193054 included in SEQ ID NO: 8 may be G or C.

본 발명의 용어 "얼굴 판별"이란, 정면 얼굴 윤곽, 상단 눈꺼풀의 곡률, 눈꼬리 길이, 코 하위폭, 코 끝 돌출, 콧등 깊이, 측면 코 영역, 측면 코 입술 각도, 측면 코 각도에 대한 표현형을 기반으로 얼굴을 분석하여 판별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The term "face discri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phenotype for frontal face contour, curvature of the upper eyelid, eye tail length, nose sub-width, nose tip protrusion, nose depth, side nose area, side nose lip angle, side nose angle By means of analyzing the face by mean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얼굴 표현형을 판별한 결과, OSR1-WDR35 유전 부위 (rs7567283)는 정면 얼굴 윤곽과 관련하여 en-ex-go [(A) enR-exR-goR]로 표현된 오른쪽 얼굴 각도와 연관됨을 확인하였으며(P = 2.75Х10-8), HOXD-MTX2 유전 부위 (rs970797)는 상단 눈꺼풀의 곡률과 관련이 있었다. 즉, 왼쪽 눈 el3의 접선 각도(P = 7.40Х10-9) 및 오른쪽 눈 er3 의 접선 각도[(A) Tan_er3](P = 3.97Х10-9)와 관련이 있었으며, WDR27 유전 부위 (rs3736712)는 눈 꼬리 길이 (psR-exR) 와 관련이 있었다(P=8.44Х10-10). 또한, SOX9의 rs2193054는 코 모양으로서 측면 코 각도[(A) n-prn-sn)](P = 6.17 Х 10-17) 및 코 끝 돌출[(H) prn-sn](P = 5.34 Х 10-9)과 관련이 있으며, DHX35의 rs2206437는 코 하위 폭(sbalR-sbalL)과 연관이 있음(P = 1.61Х10-9)을 확인하였다(도 3).Specifically,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face phenotyp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SR1-WDR35 genetic region (rs7567283) is expressed as en-ex-go [(A) enR-exR-goR] in relation to the frontal facial contour. It was confirmed to be related to the right face angle (P = 2.75Х10 -8 ), and the HOXD-MTX2 genetic region (rs970797) was related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eyelid. That is, the tangential angle of the left eye el3 (P = 7.40Х10 -9 ) and the tangential angle of the right eye er3 [(A) Tan_er3] (P = 3.97Х10 -9 ), and the WDR27 genetic region (rs3736712) was associated with the eye. It was associated with tail length (psR-exR) (P=8.44Х10 -10 ). In addition, the rs2193054 of SOX9 is nose-shaped with lateral nose angle [(A) n-prn-sn)] (P = 6.17 Х 10 -17 ) and nose tip protrusion [(H) prn-sn] (P = 5.34 Х 10 -9 ), and it was confirmed that rs2206437 of DHX35 is associated with the nose sub-width (sbalR-sbalL) (P = 1.61Х10 -9 ) (FIG. 3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견 GWAS의 위치학적 연관성을 확인함으로서 SOX9 유전자좌의 다중 신호를 확인하였다. 이 4 개의 신호는 다섯개의 코 표현형에 대하여 유사하게 관련된 패턴으로 나타났으며, 다섯개의 특징은 코 끝 돌출[(H) prn-sn], 콧등 깊이[(H) n-prn], 측면 코 영역 [(AR) n-prn-sn], 측면 코 입술 각도[(A) prn-sn], 측면 코 각도 [(A) n-prn-sn]이있다. 신호를 나타내는 SNP는 SOX9 전사 개시 부위의 약 91, 238, 688 및 974kb 상류에 각각 위치하는 rs2193054, rs9910003, rs1859979 및 rs9915190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얼굴 윤곽, 눈 윤곽, 눈 꼬리 길이, 코 너비와의 연관성이 확립된 5개의 유전자(OSR1-WDR35, HOXD-MTX2, WDR27, SOX9, DHX35 유전자)로부터 유래된 단일 염기 다형성을 발굴하여 얼굴 표현형간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면 얼굴 표현형에 대하여 판별 또는 예측이 가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4). In addition, multiple signals of the SOX9 locus were identified by confirming the locational relevance of the GWAS fou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four signals appeared in similarly related patterns for the five nasal phenotypes, and the five characteristics were the nasal tip protrusion [(H) prn-sn], the nose depth [(H) n-prn], and the lateral nasal region. There are [(AR) n-prn-sn], lateral nose lip angle [(A) prn-sn], and lateral nose angle [(A) n-prn-sn]. Signaling SNPs were rs2193054, rs9910003, rs1859979 and rs9915190 located upstream of about 91, 238, 688 and 974kb, respectively, of the SOX9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and through these results, facial contour, eye contour, eye tail length, nose width and A single base polymorphism derived from five genes (OSR1-WDR35, HOXD-MTX2, WDR27, SOX9, and DHX35 genes) having established associations was discovered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facial phenotypes. It can be seen that discrimination or prediction may be possible for a phenotype (FIG.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the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본 발명의 용어 "마커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 란, 상기 얼굴 판별용 마커에 포함된 SNP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SNP를 증폭시킬 수 있는 제제로서, 구체적으로는 SNP가 포함된 다형성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probe), 상기 SNP 마커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특이적으로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The term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a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agent capable of specifically recognizing or amplifying the SNP contained in the marker for face discrimination, or specifically, amplifying the SNP. It may be a probe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to a polymorphic site containing SNP, a polynucleotide containing the SNP marker, or a primer capable of specifically amplifying a complementary polynucleotide thereof.

본 발명의 용어 "프로브(probe)"란 mRNA와 특이적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짧게는 수 염기 내지 길게는 수백 염기에 해당하는 RNA 또는 DNA 등의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라벨링(labeling) 되어 있어 특정 mRNA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브는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일 사슬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 사슬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term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nucleic acid fragment such as RNA or DNA corresponding to a few bases to hundreds of bases in short, capable of achieving specific binding with mRNA, and is label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mRNA can be confirmed. The prob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oligonucleotide probe, a single stranded DNA probe, a double stranded DNA probe, or an RNA probe.

본 발명에서 SNP 마커에 결합하여 인식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브는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대해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DNA, RNA 또는 DNA-RNA 잡종(hybrid)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육안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프로브의 5' 또는 3' 말단에 형광 표지인자, 방사선 표지 인자 등을 추가로 부착할 수 있다The probe used to recognize and bind to the SNP mark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quence complementary to a polynucleotide sequence comprising SNP,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 the form of DNA, RNA or DNA-RNA hybrids. . In addition, a fluorescent labeling factor, a radiolabeling factor, etc. may b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5'or 3'end of the probe in order to be visually recognizable.

본 발명의 용어 "프라이머"란,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염기서열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주형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서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SNP 마커 증폭에 사용되는 프라이머는, 적절한 버퍼 중의 적절한조건(예를 들면, 4개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DNA, RNA 폴리머라제 또는 역전사 효소와 같은 중합제) 및 적당한 온도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시작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될 수 있는데, 상기 프라이머의 적절한 길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15 내지 30 뉴클레오티드의 크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서열은 상기 SNP 마커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의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완전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으며, 혼성화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이면 사용가능하다.The term "pri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sequence having a short free 3'terminal hydroxyl group (free 3'hydroxyl group) can form a complementary template (template) and base pair (base pair) and start for template strand copying A short sequence that functions as a point. The primers used for amplifying SNP markers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olded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in suitable buffers (e.g., four different nucleoside triphosphates and polymers such as DNA, RNA polymerases or reverse transcriptases) and suitable temperatures. It may be a single-stranded oligonucleotide tha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synthesis of the indicated DNA, and the appropriate length of the primer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but can be usually used in a size of 15 to 30 nucleotides. The primer sequence need not be completely complementary to the polynucleotide containing the SNP marker or a complementary polynucleotide thereof, but can be used if it is sufficiently complementary to hybridize.

또한, 프라이머는 변형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틸화, 캡화, 뉴클레오타이드의 치환 또는 뉴클레오타이드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mers can be modified, e.g. methylation, encapsulation, substitution of nucleotides or modification between nucleotides, e.g. uncharged linkages (e.g. methyl phosphonate, phosphotriester, phosphoroamidate, Carbamate, etc.) or charged linkers (eg, phosphorothioate, phosphorodithioate, etc.).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트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키트, DNA 분석용 (예, DNA 칩) 키트일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discriminating faces comprising the composition. Specifically, the ki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n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kit, a DNA analysis (eg, DNA chip) kit.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SNP의 염기를 증폭을 통해 확인하거나, 또는 mRNA의 발현 수준을 확인함으로써 얼굴 표현형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키트는 RT-PCR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키트일 수 있다.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face phenotype by confirming the base of SNP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mplification using the above composition, or by checking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As a specific example, the k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kit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necessary for performing RT-PCR.

예를 들어, RT-PCR 키트는, 상기 SNP에 대한 특이적인 각각의 프라이머 쌍 외에도 RT-PCR 키트는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및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량 대조군으로 사용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쌍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RT-PCR kits, in addition to each primer pair specific for the SNP, RT-PCR kits include test tubes or other suitable containers, reaction buffers (pH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vary), deoxynucleotides (dNTPs) , Taq-polymerase and enzymes such as reverse transcriptase, DNase, RNAse inhibitor, DEPC-water (DEPC-water), sterilized water,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rimer pair specific to the gene used as a quantitative control.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키트는 DNA 칩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DNA칩 키트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NA chip kit for face identification including essential elements necessary to perform a DNA chip.

본 발명의 용어 "DNA 칩"이란, 수십만 개의 DNA의 각 염기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DNA 마이크로어레이의 하나를 의미한다.The term "DNA chip"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one of the DNA microarrays that can identify each base of hundreds of thousands of DNA at once.

상기 DNA 칩 키트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고체 지지판, 전형적으로는 현미경용 슬라이드보다 크지않은 유리 표면에 핵산 종을 격자형 배열(gridded array)로 부착한 것으로, 칩 표면에 핵산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DNA 칩 상의 핵산과 칩 표면에 처리된 용액 내에 포함된 상보적인 핵산 간에 다중 혼성화(hybridization) 반응이 일어나 대량 병렬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이다.The DNA chip kit is a flat solid support plate, typically a nucleic acid species attached to a glass surface that is not larger than a microscope slide in a gridded array, in which nucleic acids are regularly arranged on the chip surface, DNA It is a tool that enables multiple parallel analysis by generating multiple hybridization reactions between nucleic acids on a chip and complementary nucleic acids contained in a solution treated on a chip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이크로어레이를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array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the marker composition.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는 DNA 또는 RNA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는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마이크로어레이로 이루어진다.The microarray may include DNA or RNA polynucleotides. The microarray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microarray, except that the polynucleo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probe polynucleotide.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기판상에 고정화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혼성화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핵산의 상보성 가닥에 서열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로브로서, 같은 종의 두 구성원으로부터 유래한 핵산 단편 중에 다형성 부위가 존재하여, 한 구성원으로부터 유래한 DNA 단편에는 혼성화하나,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유래한 단편에는 혼성화하지 않는다. 이 경우 혼성화 조건은 대립유전자간의 혼성화 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대립유전자 중 하나에만 혼성화 하도록 충분히 엄격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대립유전자 형태 간에 좋은 혼성화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브는 대립유전자를 검출하여 얼굴 표현형 판단 방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판단방법에는 서던 블롯트 등과 같은 핵산의 혼성화에 근거한 검출방법들이 포함되며, DNA 칩을 이용한 방법에서 DNA 칩의 기판에 미리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혼성화란 엄격한 조건, 예를 들면 1M 이하의 염 농도 및 25 ℃ 이상의 온도하에서 보통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x SSPE(750 mM NaCl, 50 mM Na Phosphate, 5 mM EDTA, pH 7.4) 및 25-30℃의 조건이 대립유전자 특이적 프로브 혼성화에 적합할 수 있다.Methods for preparing microarrays by immobilizing probe polynucleotides on a substrate are well known in the art. The probe polynucleotide means a polynucleotide capable of hybridizing, and means an oligonucleotide capable of specifically binding to a complementary strand of a nucleic acid.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llele-specific probe, in which a polymorphic site is present in a nucleic acid fragment derived from two members of the same species, and hybridizes to a DNA fragment derived from one member, but not to a fragment derived from another member. . In this case, the hybridization condition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ybridization intensity between alleles, and must be sufficiently strict to hybridize to only one of the alleles. This can lead to good hybridization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allelic forms.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method for determining a face phenotype by detecting an allele. The determination methods include detection methods based on hybridization of nucleic acids, such as Southern blots,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pre-bonded to a substrate of a DNA chip in a method using a DNA chip. The hybridization can usually be carried out under stringent conditions, for example a salt concentration of 1M or less and a temperature of 25°C or higher. For example, conditions of 5× SSPE (750 mM NaCl, 50 mM Na Phosphate, 5 mM EDTA, pH 7.4) and 25-30° C. may be suitable for allele specific probe hybridization.

본 발명의 얼굴 판별과 연관된 프로브 폴리뉴클레오티드를 기판상에 고정화하는 과정도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어레이 상에서의 핵산의 혼성화 및 혼성화 결과의 검출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검출은 예를 들면, 핵산 시료를 형광 물질 예를 들면 Cy3 및 Cy5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검출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표지 물질로 표지한 다음, 마이크로어레이 상에 혼성화하고 상기 표지 물질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혼성화 결과를 검출할 수 있다.The process of immobilizing the probe polynucleotide associated with the face ident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substrate can also be easily performed using this conventional technique. In addition, hybridization of nucleic acids on microarrays and detection of hybridization results are well known in the art. The detection is, for example, by labeling a nucleic acid sample with a labeling substance capable of generating a detectable signal comprising a fluorescent substance such as Cy3 and Cy5, then hybridizing on a microarray and generating from the labeling substance. The hybridization result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signal to be per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는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서열번호 1 내지 7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SNP를 포함하는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증폭된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리된 시료의 DNA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orphic site comprising (a) a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s: 1 to 7 from DNA of a sampl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or an SNP selected from one or more polynucleotide groups complementary thereto. (Polymorphic site) amplifying; And (b) determining a base of the amplified polymorphic site. At this time, the DNA of the isolated sample can be obtained from a sample separated from an individual.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얼굴 표현형을 판단하고자 하는 대상인 사람을 의미하며, 상기 사람으로부터 얻어진 분리된 검체를 이용하여, 상기 SNP를 포함하는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얼굴 표현형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검체로는 털, 뇨, 혈액, 각종 체액, 분리된 조직, 분리된 세포 또는 타액과 같은 시료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term "individual"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person who is an object to determine a face phenotype, and by using the separated sample obtained from the person, the base of the polymorphic site containing the SNP is analyzed to determine the face phenotype. Can be. The sample may be a sample such as hair, urine, blood, various body fluids, separated tissue, isolated cells, or saliva,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상기 (a) 단계의 DNA로부터 상기 SNP의 다형성 부위를 증폭하는 단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적 핵산을 PCR을 통하여 증폭하고 이를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그 외 리가제 연쇄반응(LCR)(Wu 및 Wallace, Genomics 4, 560(1989), Landegren 등, Science 241, 1077(1988)), 전사증폭(transcription amplification)(Kwoh 등, Proc. Natl.Acad. Sci. USA 86, 1173(1989)) 및 자가유지 서열 복제(Guatelli 등, Proc. Natl. Acad. Sci. USA 87, 1874(1990)) 및 핵산에 근거한 서열 증폭(NASBA)이 사용될 수 있다.The step of amplifying the polymorphic site of the SNP from the DNA of step (a) can be any method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can be obtained by amplifying and purifying the target nucleic acid through PCR. Other ligase chain reactions (LCR) (Wu and Wallace, Genomics 4, 560 (1989), Landegren et al., Science 241, 1077 (1988)), transcription amplification (Kwoh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 1173 (1989)) and autologous sequence replication (Guatell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7, 1874 (1990)) and nucleic acid based sequence amplification (NASBA) can be used.

상기 방법 중 (b) 단계의 증폭된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것은 서열 분석,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대립유전자 특이적인 PCR(allele specific PCR), 다이나믹 대립유전자 혼성화 기법(dynamic allele-specifichybridization, DASH), PCR 연장 분석, PCR-SSCP, PCR-RFLP 분석 또는 TaqMan 기법, SNPlex 플랫폼(Applied Biosystems), 질량 분석법(예를 들면, Sequenom의 MassARRAY 시스템), 미니-시퀀싱(minisequencing)방법, Bio-Plex 시스템(BioRad), CEQ and SNPstream 시스템(Beckman), Molecular Inversion Probe 어레이 기술(예를 들면, Affymetrix GeneChip), 및 BeadArray Technologies(예를 들면, Illumina GoldenGate 및 Infinium 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방법들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이용 가능한 다른 방법에 의해, 상기 SNP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대립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이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DNA칩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base of the amplified polymorphic site in step (b) of the above method is sequence analysis, hybridization by microarray, allele specific PCR, dynamic allele hybridization technique (dynamic allele- specifichybridization, DASH), PCR extension analysis, PCR-SSCP, PCR-RFLP analysis or TaqMan technique, SNPlex platform (Applied Biosystems), mass spectrometry (e.g. Sequenom's MassARRAY system), minisequencing method, Bio -Plex system (BioRad), CEQ and SNPstream system (Beckman), Molecular Inversion Probe array technology (e.g., Affymetrix GeneChip), and BeadArray Technologies (e.g., Illumina GoldenGate and Infinium analysis) Howev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lleles can be identified in the polynucleotide containing the SNP by the above methods or other methods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Determining the base of such a mutation site can preferably be performed through a DNA chip.

상기 TaqMan 방법은 (1) 원하는 DNA 단편을 증폭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 및 TaqMan 탐침을 설계 및 제작하는 단계; (2)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의 탐침을 FAM 염료 및 VIC 염료로 표지(Applied Biosystems)하는 단계; (3) 상기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의 프라이머 및 탐침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4) 상기의 PCR 반응이 완성된 후, TaqMan 분석 플레이트를 핵산 분석기로 분석 및 확인하는 단계; 및 (5) 상기 분석결과로부터 단계(1)의 폴리뉴클레오티들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TaqMan method includes (1)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primer and a TaqMan probe to amplify a desired DNA fragment; (2) labeling probes of different alleles with FAM dye and VIC dye (Applied Biosystems); (3) using the DNA as a template, and performing PCR using the primers and probes; (4) after the PCR reaction is completed, analyzing and confirming the TaqMan assay plate with a nucleic acid analyzer; And (5) determining the base of the polynucleotides of step (1) from the analysis results.

상기 시퀀싱 분석은 염기서열 결정을 위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유전자분석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대립유전자 특이적 PCR은 변이 부위가 위치하는 염기를 3' 말단으로 하여 고안한 프라이머를 포함한 프라이머 세트로 상기 변이가 위치하는 DNA 단편을 증폭하는 PCR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의 원리는, 예를 들어, 특정 염기가 A에서 G로 치환된 경우, 상기 A를 3' 말단염기로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적당한 크기의 DNA 단편을 증폭할 수 있는 반대 방향 프라이머를 고안하여 PCR 반응을 수행할 경우, 상기 변이 위치의 염기가 A인 경우에는 증폭반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원하는 위치의 밴드가 관찰되고, 상기 염기가 G로 치환된 경우에는 프라이머는 주형 DNA에 상보결합할 수 있으나, 3' 말단 쪽이 상보결합을 하지 못함으로써 증폭 반응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DASH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린스 등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sequencing analysis may use a conventional method for sequencing, and may be performed using an automated genetic analyzer. In addition, allele specific PCR refers to a PCR method for amplifying a DNA fragment in which the mutation is located with a primer set including a primer designed with the base at which the mutation site is located as the 3'end. The principle of the method is, for example, when a specific base is substituted from A to G, a primer comprising A as a 3'end base and a reverse primer capable of amplifying a DNA fragment of a suitable size are designed and PCR When performing the reaction, when the base of the mutation site is A, the amplification reaction is normally performed to observe the band at the desired position, and when the base is substituted with G, the primer may complementarily bind to the template DNA, This is because the amplification reac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because the 3'end does not complement. DASH can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preferably by a method such as Prince.

한편, PCR 연장 분석은 먼저 단일염기 다형성이 위치하는 염기를 포함하는 DNA 단편을 프라이머 쌍으로 증폭한 다음, 반응에 첨가된 모든 뉴클레오티드를 탈인산화시킴으로써 불활성화시키고, 여기에 특이적 연장 프라이머, dNTP 혼합물,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 반응 완충액 및 DNA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프라이머 연장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 프라이머는 변이 부위가 위치하는 염기의 5' 방향의 바로 인접한 염기를 3' 말단으로 삼으며, dNTP 혼합물에는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와 동일한 염기를 갖는 핵산이 제외되고, 상기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는 변이를 나타내는 염기 종류 중 하나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A에서 G로의 치환이 있는 경우, dGTP, dCTP 및 TTP 혼합물과 ddATP를 반응에 첨가할 경우, 상기 치환이 일어난 염기에서 프라이머는 DNA 중합효소에 의하여 연장되고, 몇 염기가 지난 후 A 염기가 최초로 나타나는 위치에서 ddATP에 의하여 프라이머 연장반응이 종결된다. 만일 상기 치환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그 위치에서 연장반응이 종결되므로, 상기 연장된 프라이머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변이를 나타내는 염기 종류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PCR extension analysis first amplifies a DNA fragment containing a base in which a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is located with a primer pair, and then deactivates it by dephosphorylating all nucleotides added to the reaction, and a specific extension primer, dNTP mixture , By performing a primer extension reaction by adding didioxynucleotide, reaction buffer and DNA polymerase. At this time, the extension primer uses the 5'direction of the base where the mutation site is located as the 3'end, and a nucleic acid having the same base as the didioxynucleotide is excluded from the dNTP mixture. It is selected from one of the base types indicated.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ubstitution from A to G, when a mixture of dGTP, dCTP and TTP and ddATP are added to the reaction, the primer at the base where the substitution occurs is extended by a DNA polymerase, and after several bases, A The primer extension reaction is terminated by ddATP at the position where the base first appears. If the substitution does not occur, the extension reaction is terminated at that position, and thus the length of the extended primer can be compared to determine the type of base representing the variation.

이때, 검출방법으로는 연장 프라이머 또는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를 형광 표지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염기서열 결정에 사용되는 유전자 분석기(예를 들어, ABI사의 Model 3700 등)를 사용하여 형광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변이를 검출할 수 있으며, 무-표지된 연장 프라이머 및 디디옥시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MALDI-TOF(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기법을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SNP의 유전적 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detection method, when the extension primer or didioxynucleotide is fluorescently labeled, the mutation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fluorescence using a gene analyzer (eg, Model 3700 of ABI) used for general sequencing. When using a non-labeled extension primer and didioxynucleotide, genetic variation of the SNP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molecular weight using a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LDI-TOF) techniqu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면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이용하면, 얼굴 형태 표현형 관련 질병의 유전적 영향력을 도출함과 더불어 범죄수사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marker composition for front face discrimina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will be able to derive the genetic influence of diseases related to facial morphological phenotype and be widely used in criminal investigations.

도 1은 얼굴 특징에 사용되는 얼굴 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참가자는 정면 및 윤곽선에서 사진을 찍었으며, 23 개의 정면 및 7 개의 측면 얼굴 점이 추출되었다. 거리, 각도 및 면적과 같은 얼굴 표현형은 자체적으로 안면 데이터 수집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측정되었다. A는 우안 영역에서의 점, B는 좌안 영역에서의 점, C는 정면 영역에서의 점, D는 측면에서의 점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2g는 5개의 새로운 위치에 대한 위치적 관계를 나타내는 플롯 (plot)이다. 발견 GWAS에서 개별 SNP의 연관성을 염색체 염기쌍 위치에 대하여 log10 (P)으로 나타내었다. 오른쪽의 y-축은 HapMap CHB 및 JPT 집단으로부터 추정된 재조합율을 나타낸다. P 값은 발견 단계에서 도출된 값이다. 보라색원과 다이아몬드는 각각 발견 및 메타 분석 (1 단계 + 2 단계)의 결과를 나타낸다. 메타 분석 (1 단계 + 2 단계)에서 게놈 전체의 중요한 P 값을 보여주는 5 개의 새로운 SNP에 대한 7 가지 신호 플롯이 설명되어 있다. 도 2a는 of en-ex-go[(A) enR-exR-goR]의 오른쪽 얼굴 각도에 대한 rs7567283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플롯이며, 도 2b는 er3 [(A) Tan_er3]의 접선각도에 대한 rs970797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플롯이며, 도 2c는 el3 [(A) Tan_el3]의 접선각도에 대한 rs970797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플롯이며, 도 2d는 눈꼬리 길이(psR-exR)에 대한 rs3736712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플롯이며, 도 2e는 측면 코 각도[(A) n-prn-sn]에 대한 rs2193054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플롯이며, 도 2f는 코 끝 돌출[(H) prn-sn]에 대한 rs2193054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플롯이며, 도 2g는 코 하위 폭(sbalR-sbalL)에 대한 rs2206437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플롯이다.
도 3은 5개의 새로운 SNP에 대하여 연관된 얼굴 특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얼굴의 특징과 이와 관련된 5개의 새로운 SNP를 얼굴 정면, 측면 및 눈 이미지에 나타냈다. ①은 rs7567283 (OSR1-WDR35)와 우측 안면 각, ②는 rs970797 (HOXD1-MTX2)와 윗 눈꺼플의 왼쪽 및 오른쪽 곡률, ③은 rs3736712 (WDR27)와 오른쪽 눈 꼬리 길이, ④는 rs2193054 (SOX9)와 코 모양(각도 및 높이), ⑤는 rs2206437 (DHX35)와 코 하위 폭을 나타낸다.
도 4는 SOX9 위치 및 SOX9의 근처의 유전적 환경에서의 연관 신호를 나타내는 플롯이다. 5가지 패널들은 다중 신호를 나타낸다. 다섯가지 코 특징; 콧등 깊이[(H) n-prn], 코 끝 돌출 [(H) prn-sn], 측면 코 영역 [(AR) n-prn-sn], 측면 코 입술 각도 [(A) prn-sn], 측면 코 각도[(A) n-prn-sn)]에 대하여 SOX9 위치에서의 ①은 rs9915190, ②는 rs1859979, ③은 rs9910003, ④는 rs2193054를 나타낸다. 이들은 염색체 17 (Mb)의 염기쌍 위치에 대해 -log10 (P)으로 표시되며 모든 P 값은 발견 단계에서 나온 것이다. 여섯 번째 패널은 유전자와 조절 영역을 보여준다. 회색 상자는 변환 중단 점 클러스터의 대략적인 경계를 나타내며 검은 색 상자는 미세 제거를 나타낸다. (a)는 Sp4, (b)는 F1, (c)는 Pierre Robin 시퀀스 (PRS) breakpoint cluster, (d)는 distal breakpoint cluster, (e)는 proximal breakpoint cluster, (f)는 Sp2를 나타낸다. 마지막 패널은 HapMap 데이터베이스 (HapMap Phase II JPT + CHB, hg18) 기반의 LD 블럭들을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face points used for facial features. Participants took pictures from the front and contour, and 23 front and 7 side face points were extracted. Facial phenotypes such as distance, angle and area were measured based on the facial data collection software itself. A represents a point in the right eye region, B represents a point in the left eye region, C represents a point in the front region, and D represents a point in the side.
2A-2G are plots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five new positions. The association of individual SNPs in the found GWAS is represented by log10 (P) for the chromosome base pair position. The y-axis on the right represents the estimated recombination rate from the HapMap CHB and JPT populations. The P value is derived from the discovery phase. Purple circles and diamonds represent the results of discovery and meta-analysis (step 1 + step 2), respectively. In the meta-analysis (step 1 + step 2), seven signal plots for five new SNPs showing significant P values across the genome are described. 2A is a plot showing the association of rs7567283 to the right face angle of of en-ex-go[(A) enR-exR-goR], and FIG. 2B is rs970797 to the tangent angle of er3 [(A) Tan_er3]. This is a plot showing the association, FIG. 2C is a plot showing the association of rs970797 to the tangent angle of el3 [(A) Tan_el3], and FIG. 2D is a plot showing the association of rs3736712 to the tail length (psR-exR), and FIG. 2e is a plot showing the association of rs2193054 to the lateral nasal angle [(A) n-prn-sn], and FIG. 2f is a plot showing the association of rs2193054 to the nasal tip protrusion [(H) prn-sn]. 2g is a plot showing the association of rs2206437 to the nose sub-width (sbalR-sbalL).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ssociated facial features for five new SNPs. Facial features and five new SNPs associated with them were presented in the front, side and eye images of the face. ① is rs7567283 (OSR1-WDR35) and right face angle, ② is rs970797 (HOXD1-MTX2) and left and right curvature of the upper eyelid, ③ is rs3736712 (WDR27) and right eye tail length, ④ is rs2193054 (SOX9) and nose The shape (angle and height), ⑤ represents rs2206437 (DHX35) and nose sub-width.
4 is a plot showing SOX9 location and associated signals in the genetic environment in the vicinity of SOX9. The five panels show multiple signals. Five nose features; Nostril depth [(H) n-prn], protruding nose tip [(H) prn-sn], lateral nose area [(AR) n-prn-sn], lateral nose lip angle [(A) prn-sn], For the side nose angle ((A) n-prn-sn)], ① at the SOX9 position is rs9915190, ② is rs1859979, ③ is rs9910003, ④ is rs2193054. These are denoted by -log10 (P) for the base pair position of chromosome 17 (Mb) and all P values are from the discovery phase. The sixth panel shows genes and regulatory regions. The gray box represents the approximate boundary of the transformation breakpoint cluster, and the black box represents fine removal. (a) shows Sp4, (b) shows F1, (c) shows Pierre Robin sequence (PRS) breakpoint cluster, (d) shows distal breakpoint cluster, (e) shows proximal breakpoint cluster, and (f) shows Sp2. The last panel shows LD blocks based on the HapMap database (HapMap Phase II JPT + CHB, hg18).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연구 참가자Example 1. Study participants

한국 게놈학과 역학 연구 (KoGES)를 위해 2009 년부터 2012 년까지 한국 (안산과 안성)의 두 지역에서 GWAS (1 단계) 발견 참가자를 모집했다. 이 연구에 참여자를 포함시키는 기준은 얼굴 이미지와 게놈 전체의 유전자형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제외 기준은 암의 병력, 성별 불일치, 숨겨진 가계 관련성, 낮은 유전자형 비율 (<95 %) 및 표본 오염 등 이었다. 총 5643 명의 개인 (2648 명의 남성과 2995 명의 여성)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여 탐색(Discovery) GWAS 분석(1 단계)을 위하여 이들을 선정하였다.For the Korean Genomics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GWAS (Phase 1) discover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wo regions in Korea (Ansan and Anseong) from 2009 to 2012. The criteria to include participants in this study used face images and genome-wide genotyping data. Exclusion criteria were cancer history, gender mismatch, hidden family relevance, low genotyping rate (<95%), and sample contamination. A total of 5643 individuals (2648 men and 2995 women) met the requirements and selected them for the Discovery GWAS analysis (Phase 1).

후속 검증(replication) 분석(2 단계)은 Korea Constitution Multicenter Study(KCMS) 사업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19개의 한방병원 대상으로 수집된 사람들 중 20세 이상인 1,926명(남성 687명과 여성 1,23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As a part of the Korea Constitution Multicenter Study (KCMS) project, the follow-up replication analysis (step 2) was 1,926 (687 males and 1,239 females) who were 20 years of age or older and collected from 19 oriental hospitals from 2007 to 2012. ).

SOX9 현장에서 여러 연관 신호를 검증하기 위해, 2011 년부터 2012 년까지 헌법 다자간 연구 (KCMS)를 위해 모집 한 또 다른 독자 복제 세트를 사용했다. 위에서 언급한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한 후, 1940 명의 개인 (587 명의 남성과 1353 명의 여성)이 SOX9 유전자좌 내에서 코형과 여러 변이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는데 사용하였다.To validate multiple correlated signals at the SOX9 site, another set of reader clones recruited for the Constitutional Multilateral Study (KCMS) from 2011 to 2012 was used. After apply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mentioned above, 1940 individuals (587 males and 1353 females) were used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nose and multiple variations within the SOX9 locus.

실시예 2. 얼굴 특징Example 2. Facial features

참가자들이 화장을 하지 않은 채, 정면과 측면 모두에서 사진을 찍었다. 디지털 카메라(DSLR Nikon D90: Nikon AF 50-mm F1.8D 렌즈, 3216 Х 2136 픽셀)를 사용하여 촬영하며, 다음과 같은 표준 조건을 준수하였다. 즉, 머리카락은 머리띠를 착용하여 뒤로 넘긴 채로, 볼의 중심점과 얼굴 윤곽과 상부 귀 주위를 연결하는 두 점 (예를 들어, 도 1의 점 obsR 및 obsL)이 동일한 수평에 위치하도록 하며, 눈금자는 턱 밑 대략 10 mm에 두어 화소를 밀리미터로 변환하도록 하였다.Participants took pictures from both the front and the side without makeup. It was photographed using a digital camera (DSLR Nikon D90: Nikon AF 50-mm F1.8D lens, 3216 Х 2136 pixels) and complied with the following standard conditions. That is, while the hair is worn on the headband and turned back, the center point of the ball and the two points connecting the contour of the face and the upper ear (for example, the points obsR and obsL in FIG. 1) are positioned at the same level, and the ruler is It was placed about 10 mm below the chin to convert the pixels to millimeters.

OpenCV (Open Source Computer Vision Library)를 사용하여 Visual Studio C ++에서 자체 개발 한 프로그램을 통해 얼굴, 눈, 코, 입 및 윤곽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정면 및 측면 이미지의 얼굴 특징점을 자동 추출했다. 입력 이미지가 주어지면 Adaboost 기반 탐지기로 얼굴, 눈, 코, 입을 순차적으로 탐지하여 관심 영역 (ROI)을 단계적으로 줄였다. 각 ROI에서 얼굴 특징점은 히스토그램 기반 이미지 세분화를 통해 얻은 안면 윤곽에서 발견하였다. 추출된 포인트의 위치는 연산자에 의해 확인되었고 얼굴 특징 포인트에 대한 동일한 추출 절차를 탐색 및 검증 세트에 모두 적용시켰다. 자동 랜드 마킹의 정확도는 평균 98.8 % 였고 정확하지 않은 랜드 마크가 있는 경우 데이터를 제외했다.Using the OpenCV (Open Source Computer Vision Library), a self-developed program in Visual Studio C++ detects and analyzes faces, eyes, noses, mouths, and contours to automatically extract facial feature points from front and side images. Given an input image, Adaboost-based detectors sequentially detect faces, eyes, noses, and mouths to reduce the region of interest (ROI) step by step. The facial feature points in each ROI were found in the facial contour obtained through histogram-based image segmentation. The location of the extracted points was confirmed by the operator and the same extraction procedure for facial feature points was applied to both the search and verification sets. The accuracy of automatic land marking was 98.8% on average, and data was excluded if there were inaccurate landmarks.

표 1 및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구에서 분석한 얼굴 특성은 23개 전면과 7개 측면 얼굴 지점의 거리, 거리비, 각도, 면적 및 눈 곡률에 의해 기술되었다.As can be seen in Table 1 and Figure 1, the facial characteristics analyzed in the study were described by the distance, distance ratio, angle, area and eye curvature of the 23 front and 7 side face points.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1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1

선형 회귀 분석을 위해, 심각하게 정규분포를 벗어나는 15개의 변수(상부 이마 경사 깊이[(H) tr-m], 눈 위 돌출[(H) o-n], 이마 돌출 깊이(m-mtro), 왼쪽 눈꺼풀 평균 곡률[(AC) el1-el7], 왼쪽 눈꺼풀 최대 곡률[(MC) el1-el7], 오른쪽 눈꺼풀 평균 곡률[(AC) er1-er7], 오른쪽 눈꺼풀의 최대 곡률[(MC) er1-er7), 측면 코 길이(n-sn), 코 끝 높이 [(V) prn-sn, 코 끝 돌출[(H) prn-sn, 측면 코 영역[(AR) n-prn-sn], 측면 코 입술 각도[(A) prn-sn], 측면 코 각도[(A) n-prn-sn-], 오른쪽 상단 입술 두께[(V) cphR-sto], 왼쪽 상단 입술 두께 [(V) cphL-sto]]는 로그변환하였다. 각 얼굴 특징에서 이상치를 제거하였다.For linear regression analysis, 15 variables severely out of the normal distribution (upper forehead slope depth ((H) tr-m), over-eye protrusion [(H) on], forehead protrusion depth (m-mtro), left eyelid Average curvature[(AC) el1-el7], maximum curvature of left eyelid[(MC) el1-el7], average curvature of right eyelid[(AC) er1-er7], maximum curvature of right eyelid[(MC) er1-er7) , Side nose length (n-sn), nose tip height [(V) prn-sn, nose tip protrusion [(H) prn-sn, side nose region [(AR) n-prn-sn], side nose lip angle [(A) prn-sn], lateral nose angle [(A) n-prn-sn-], upper right lip thickness [(V) cphR-sto], upper left lip thickness [(V) cphL-sto]] Was log-transformed. Outliers were removed from each facial feature.

실시예 3. 유전자형 결정 분석Example 3. Genotyping determination analysis

GWAS (1 단계) 연구집단에서 DNA의 유전자형은 Affymetrix Genome-Wide Human SNP 어레이 5.0 (Affymetrix, Santa Clara, CA,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Affymetrix SNP array의 500,568 개의 SNP 중, 유전자형 분석 누락률이 높은 SNP(>5%), 낮은 MAF SNP(<0.05) 및 하디-와인버그 평형에서 벗어난 SNP(P<0.0001)을 제외한 후, 311,944개 SNP을 대상으로 GWAS 분석을 실시하였다.In the GWAS (Stage 1) study group, DNA genotype was performed using Affymetrix Genome-Wide Human SNP Array 5.0 (Affymetrix, Santa Clara, CA, USA). Of the 500,568 SNPs in the Affymetrix SNP array, 311,944 SNPs were excluded after excluding high-genotyping SNPs (>5%), low MAF SNPs (<0.05), and SNPs out of Hardy-Wineberg equilibrium (P<0.0001) GWAS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ubjects.

얼굴 특징과의 연관성에 대한 암시적 임계값 (P < 5Х10-6)을 충족시키는 SNP의 추적 조사를 위해 LD 프루닝(LD pruning)을 수행하고 128개의 센티널 SNP (sentinel SNP)를 선택하였다. 검증용 1926개의 샘플(단계 2)의 유전자형 결정은 Applied Biosystems QuantStudio 12 K Flex Real-Time PCR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유전자형 품질 제어를 위해 낮은 결정율(<95%), 낮은 MAF (<0.01) 및 불량 유전자형 클러스터링이 되는 SNP을 제외함. 유전자형 손실률(>5%)이 높은 대상자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LD pruning was performed and 128 sentinel SNPs were selected for the follow-up investigation of SNPs meeting the implicit threshold (P <5Х10 -6 ) for association with facial features. Genotyping of 1926 samples for verification (step 2) was performed using Applied Biosystems QuantStudio 12K Flex Real-Time PCR System. For the control of genotype quality, SNPs with low crystallinity (<95%), low MAF (<0.01) and poor genotype clustering are excluded. Subjects with high genotype loss rates (>5%) were also excluded from the analysis.

SOX9 유전자좌 내의 3 가지 변이형 (rs9915190, rs1859979 및 rs2193054)의 유전형은 1940 명 (SOX9 복제 세트)의 다형성 뉴클레오티드상의 비 표지 된 올리고 뉴클레오티드 프로브 (UOP)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SNP 부위를 포함하는 중합 효소 연쇄 반응 증폭 물의 분취 액을 1mM UOP, 5mM SYTO-9 (Invitrogen, Carlsbad, CA, USA), 12.5mM EDTA 및 10mM Tris (pH 8.0)를 함유하는 용액에서 희석시켰다. UOP 시료의 DNA는 변성 (95℃ 5초), 어닐링 (60℃ 1분) 및 1℃/s의 속도로 74℃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순차적으로 처리하였다. Light Cycler 480 장치 (Roche, Indianapolis, IN, USA)를 사용하여 형광 방출을 판독하였다. 유전자형은 UOP (주요 동형 접합체, 이형 접합체 및 사소한 동형 접합체)의 3 가지 용융 패턴으로부터 결정하였다.The genotypes of the three variants (rs9915190, rs1859979 and rs2193054) within the SOX9 locus were determined using unlabeled oligonucleotide probes (UOPs) on 1940 polymorphic nucleotides (SOX9 replication set). An aliquot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water containing the SNP site was diluted in a solution containing 1 mM UOP, 5 mM SYTO-9 (Invitrogen, Carlsbad, CA, USA), 12.5 mM EDTA and 10 mM Tris (pH 8.0). The DNA of the UOP sample was sequentially treated with denaturation (95° C. 5 seconds), annealing (60° C. 1 minute) and gradually increasing to 74° C. at a rate of 1° C./s. Fluorescence emission was read using a Light Cycler 480 device (Roche, Indianapolis, IN, USA). The genotype was determined from three melting patterns of UOP (main homozygous, heterozygous and minor homozygous).

실시예 4. 통계분석Example 4. Statistical analysis

GWAS는 눈, 코, 등고선의 정면 및 측면 영상과 같은 얼굴 특징과 관련된 변형을 발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부가 모델에서 선형 회귀 분석을 통해 PLINK 버전 1.09를 사용하여 연령, 성별, BMI. 발견 GWAS (단계 1)에 대한 P 값은 5.0Х10-6이었다. 얼굴 특성에 대한 양적-분위수 플롯는 예상된 P값의 이론적 분포에 대해 관찰된 P 값의 분포로 구성되었다. LocusZoom을 사용하여 피크 SNP를 중심으로 1Mb의 게놈 영역에 대한 지역적 연관성 도표를 만들었다. GWAS was performed to detect deformations related to facial features such as front and side images of the eyes, nose and contours. Age, gender, and BMI using PLINK version 1.09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al models. P values found for the GWAS (Step 1) was 5.0Х10 -6. Quantitative-quartile plots for facial features consisted of the distribution of observed P values versus the theoretical distribution of expected P values. LocusZoom was used to create a regional association plot for the 1 Mb genomic region around the peak SNP.

추적 분석 (2 단계)에서는 PLINK v1.09를 사용하여 1926 명의 참가자의 117 가지 SNP와 연령, 성별 및 BMI를 조정하여 해당 얼굴 특성과의 연관성을 결정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In the follow-up analysis (Phase 2),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z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with 117 SNPs, age, gender, and BMI of 1926 participants using PLINK v1.09 to determine their association with corresponding facial characteristics.

모든 메타 분석 계산은 PLCH와 METAL에서 구현되었으며, Cochran의 Q 테스트를 사용하여 연구 간 이질성을 결정하는 고정 효과를 가정했습니다. 결합 분석의 SNP는 P 값이 5.0Х10-8 (전통적 게놈 전체 유의 수준) 이하일 때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All meta-analysis calculations were implemented in PLCH and METAL, and assumed a fixed effect of determining heterogeneity between studies using Cochran's Q test. The SNP of the binding assay was considered significant when the P value was below 5.0Х10 -8 (traditional genome-wide significance level).

조건적 분석은 1 단계 대상자에서 코 형질과 독립적으로 연관된 SOX9 유전자좌의 SNP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각 SOX9 SNP의 다중 회귀 분석을 연령, 성별, BMI 및 다른 SOX9 SNP (또는 3 개의 다른 SOX9 SNP를 함께 조정)로 조정하여 각 코형에 대해 수행했다. 또한 R 버전 3.0.2를 사용하여 여러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1940 명의 참가자 (SOX9 복제 세트)를 포함한 다른 독립 복제 세트에서 코 특성에 대한 다중 연관 신호를 검증했습니다.Con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SNPs of the SOX9 locu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nasal traits in stage 1 subj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zes of each SOX9 SNP were performed for each nose by adjusting age, gender, BMI and other SOX9 SNPs (or coordinating three different SOX9 SNPs together). In addition, several linear regression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3.0.2 to verify multiple association signals for nasal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independent replicate sets, including 1940 participants (SOX9 replicate set).

모든 메타 분석 계산은 PLCH와 METAL에서 구현되었으며, Cochran의 Q 테스트를 사용하여 연구 간 이질성을 결정하는 고정 효과를 가정했습니다. 결합 분석의 SNP는 P 값이 5.0Х10-8 (전통적 게놈 전체 유의 수준) 이하일 때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All meta-analysis calculations were implemented in PLCH and METAL, and assumed a fixed effect of determining heterogeneity between studies using Cochran's Q test. The SNP of the binding assay was considered significant when the P value was below 5.0Х10 -8 (traditional genome-wide significance level).

eQTL 분석을 위해 논문의 추가 데이터와 함께 GTExPortal 및 BRAINEAC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었다. HaploReg를 이용하여 염색질 구조, 메틸화, 단백질 모티프 및 전사 인자 결합과 같은 기능적 주석을 요약하고 기능적 변이형 점수는 RegulomeDB 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Schadt EE et al. Mapping the genetic architecture of gene expression in human liver. PLoS Biol. 2008;6(5):e107., Westra HJ et al.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trans eQTLs as putative drivers of known disease associations. Nat Genet. 2013;45(10):1238-43., Fairfax BP et al. Innate immune activity conditions the effect of regulatory variants upon monocyte gene expression. Science. 2014; 343(6175):1246949).For eQTL analysis, databases from GTExPortal and BRAINEAC were used along with additional data from the paper. HaploReg was used to summarize functional annotations such as chromatin structure, methylation, protein motif and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and functional variant scores were calculated using RegulomeDB (Schadt EE et al. Mapping the genetic architecture of gene expression in human liver. PLoS Biol. 2008;6(5):e107., Westra HJ et al.Systematic identification of trans eQTLs as putative drivers of known disease associations.Nat Genet. 2013;45(10):1238-43., Fairfax BP et al Innate immune activity conditions the effect of regulatory variants upon monocyte gene expression.Science. 2014; 343(6175):1246949).

실시예 5. 얼굴의 특성과 유전성(Heritability) 분석Example 5. Facial properties and heritability analysis

얼굴 형태학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위해,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17 개의 얼굴모양, 10 개의 이마, 15 개의 눈, 30 개의 상부눈꺼풀, 11 개의 코 및 2 개의 입을 포함한 개별 피험자의 정면 및 측면 사진 모두에서 총 85 개의 얼굴 변수를 선택하였다(도 1).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facial morphology, 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individual subject's front face, including 17 faces, 10 foreheads, 15 eyes, 30 upper eyelids, 11 noses, and 2 mouths, and A total of 85 facial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both side photographs (FIG. 1).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23 개의 정면 및 7 개의 측면 얼굴 점으로부터의 거리, 거리비, 각도, 면적 및 곡률(눈꺼풀)로 얼굴 특징을 구별하고 자체적으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얼굴 특징들을 각 그림에서 자동 추출하였다. As can be seen in FIG. 1, the facial features are distinguished by distance, distance ratio, angle, area, and curvature (eyelid) from 23 front and 7 side face points, and facial features are developed using software developed in-hous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each picture.

먼저 체질량 지수 (BMI)와 얼굴 특징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상관 관계는 안면 기초 폭, 아래쪽 안면 폭, 위쪽 안면 폭 및 중간 얼굴 폭(r = 0.355-0.487) 을 포함한 안면 폭을 포함하여 얼굴 폭 특성에서 가장 컸다. 또한 성별, 나이, 얼굴 특징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 성비의 상관 관계는 비강 영역 (r=-0.542)과 상 안면 영역 (r=-0.516)에서 가장 높았으며, 나이의 상관 관계는 er7 또는 el7 (r=-0.306에서 -0.326)의 접선 각도와 눈꺼풀 틈새 (r=-0.301에서 -0.312)와 같은 눈의 특성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대로, 1Х10-5 유의성에 대한 Bonferroni로 조정된 P-값 역치의 기준하에 유사한 형질간에 대하여 유의한 상관 관계를 관찰하였다. 안면 기초 폭, 아래쪽 안면 폭, 위쪽 안면 폭 및 중간 얼굴 폭을 포함한 안면 폭 특성 간의 상관 계수(r)는 0.643에서 0.928의 범위였다. 코 형질 중 코 윤곽선은 콧등 깊이 (r=0.573)와 코 끝 돌출부 (r=0.771)와 상관 관계가 있었다.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facial features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was greatest in the face width characteristics including face width including face base width, bottom face width, top face width and middle face width (r=0.355-0.487).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gender, age, and facial features was analyzed. The correlation of sex ratio was highest in the nasal region (r=-0.542) and the upper facial region (r=-0.516), and the age correlation was er7 or el7 (r=-0.306 to -0.326) tangential angle and eyelids. I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eye characteristics, such as niche (r=-0.301 to -0.312). As expec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similar traits under the criteria of a P-value threshold adjusted to Bonferroni for 1Х10 -5 significa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facial width characteristics including facial base width, lower facial width, upper facial width and middle face width ranged from 0.643 to 0.928. Of the nasal traits, the nasal contour was correlated with the nose depth (r=0.573) and the tip of the nose (r=0.771).

또한 GCT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얼굴 특징에 대하여 narrow-sense 유전성을 추정했으며, 가장 높은 유전성을 보이는 부위는 코 끝 돌출부 (0.417), 측면 코 입술 각도 (0.365) 및 상단 입술 두꼐(오른쪽: 0.299, 왼쪽: 0.344)로 나타났다.In addition, the GCTA program was used to estimate the narrow-sense hereditary for facial features, and the areas with the highest heritability were the tip of the nose (0.417), the lateral nose lip angle (0.365), and the upper lip thickness (right: 0.299, left: 0.344).

실시예 6. GWAS 발견Example 6. GWAS discovery

85 가지 얼굴 특성에 대한 GWAS (1 단계, n=5643) 및 복제 분석 (2 단계, n=1926)을 수행했습니다. 총 311,944 개의 단일 염기 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은 연령, 성별, BMI를 공변량으로 통제된 얼굴 특징의 독립 변수로서 선형 회귀 모델에서 조사하였다. 각 얼굴 특성에 대한 GWAS 결과는 맨해튼 플롯의 염색체 위치에 대한 -log10 (P) 값으로도 표시된다. 5가지 얼굴 특성에 대해 GWAS(1 단계)를 수행한 결과, 7개 형질에 대해서 유전체 전체의 유의 수준(P < 5Х10-8)을 보이는 유전적 연관성을 찾았으며, 85 개의 얼굴 특징 중에서 7개 형질은 2 가지의 눈 관련 특징 [눈 꼬리 길이 (psR-exR) 및 el3의 접선 각도 ((A) Tan_el3)]과 5가지의 코 관련 특징 콧등 깊이((H) n-prn], 코 끝 돌출 [(H) prn-sn], 측면 코 영역 [(AR) n-prn-sn], 측면 코 입술 각도 [(A) prn-sn], 측면 코 각도[(A) n-prn-sn)]에 관한 것으로, 발견 GWAS에서 게놈 전체 유의 수준 (P <5Х10-8)에서 유전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SOX9, TBX3-MED13L 및 VPS13B 유전 부위는 코 관련 특성에 대한 유전체 전체의 유의 수준을 충족했고, WDR27 및 HOXD-MTX2 유전 부위는 눈 모양에 대한 유전체 전체의 유의 수준을 충족시켰다(도 1).GWAS (step 1, n=5643) and cloning analysis (step 2, n=1926) were performed on 85 different faci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311,944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examined in a linear regression model as independent variables of facial features controlled by age, sex and BMI as covariates. GWAS results for each facial feature are also indicated by the -log10 (P) value for the chromosome location in the Manhattan plot. As a result of performing GWAS (step 1) on 5 facial characteristics, a genetic association was found showing a significant level (P <5Х10 -8 ) of the whole genome for 7 traits, 7 of 85 facial characteristics Has 2 eye-related features [eye tail length (psR-exR) and tangential angle of el3 ((A) Tan_el3)] and 5 nose-related features Nose depth ((H) n-prn], nose tip protrusion [ (H) prn-sn], side nose region [(AR) n-prn-sn], side nose lip angle [(A) prn-sn], side nose angle [(A) n-prn-sn)] Related to this, the discovery GWAS showed a genetic association at the genome-wide significance level (P <5Х10 -8 ). The SOX9, TBX3-MED13L and VPS13B genetic regions met the overall genomic significance level for nasal related properties, and the WDR27 and HOXD-MTX2 genetic regions met the genomic overall significance level for eye shape (Figure 1).

실시예 7. 후속연구 및 메타 분석Example 7. Follow-up research and meta-analysis

추가적인 1926개 샘플을 대상으로 검증 분석(2 단계)을 수행하기 위해서, GWAS 분석에서의 암시적 유의수준(P < 5Х10-6) 기준으로 선별된 128개 SNP 중, 성공적으로 유전자형이 결정된 117개 SNP에 대해서 검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1개 SNP에 의한 21개 GWAS 연관성(얼굴 모양 2개, 이마 1개, 눈 1개, 눈꺼풀 4개, 코 13개)이 검증하였다(P < 0.05).To perform a verification analysis (step 2) on an additional 1926 samples, among the 128 SNPs selected based on the implicit significance level (P <5Х10 -6 ) in GWAS analysis, 117 SNPs that were successfully genotyped For the verific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21 GWAS associations by 2 SNPs (2 faces, 1 forehead, 1 eye, 4 eyelids, and 13 noses) were verified (P <0.05).

메타 분석(1+2 단계) 결과,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5 개 유전 부위는 rs7567283 (OSR1-WDR35 유전자좌), rs970797 (HOXD-MTX2 유전자좌), rs3736712 (WDR27 유전자좌), rs2193054 (SOX9 유전자좌) 및 rs2206437 (DHX35 유전 부위)에 대한 5 개의 유전 부위가 유전체 전체의 유의 수준에 도달함을 확인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g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5개의 유전적 영역과 이들의 연관성 결과는 도 2a 내지 도 2g의 지역적 연관 플롯으로 묘사하였다.As a result of meta-analysis (step 1+2), as shown in Table 2, the five genetic regions are rs7567283 (OSR1-WDR35 locus), rs970797 (HOXD-MTX2 locus), rs3736712 (WDR27 locus), rs2193054 (SOX9 locus) ) And rs2206437 (DHX35 genetic reg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5 genetic regions reached a significant level throughout the genome.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S. 2A-2G, the results of these five genetic regions and their associations are depicted in the regional association plots of FIGS. 2A-2G.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2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2

상기 메타분석을 토대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OSR1-WDR35 유전 부위 (rs7567283)는 정면 얼굴 윤곽과 관련하여 en-ex-go [(A) enR-exR-goR]로 표현된 오른쪽 얼굴 각도와 연관됨을 확인하였다(P = 2.75Х10-8). HOXD-MTX2 유전 부위 (rs970797)는 상단 눈꺼풀의 곡률과 관련이 있었다. 즉, 왼쪽 눈 el3의 접선 각도(P = 7.40Х10-9) 및 오른쪽 눈 er3 의 접선 각도[(A) Tan_er3](P = 3.97Х10-9)와 관련이 있었다. WDR27 유전 부위 (rs3736712)는 눈 꼬리 길이 (psR-exR) 와 관련이 있었다(P=8.44Х10-10). SOX9의 rs2193054는 본 연구에서 가장 강한 신호를 보였으며, 코 모양으로서 측면 코 각도[(A) n-prn-sn)](P = 6.17 Х 10-17) 및 코 끝 돌출[(H) prn-sn](P = 5.34 Х 10-9)과 관련이 있다. DHX35의 rs2206437는 코 하위 폭(sbalR-sbalL)과 연관이 있었다(P = 1.61Х10-9).As can be seen in FIG. 3 based on the meta-analysis, the OSR1-WDR35 genetic region (rs7567283) is a right face angle expressed as en-ex-go [(A) enR-exR-goR] in relation to the frontal facial contour. It was confirmed to be associated with (P = 2.75Х10 -8 ). The HOXD-MTX2 genetic region (rs970797) was associated with the curvature of the upper eyelid. That is, it was related to the tangent angle of the left eye el3 (P = 7.40Х10 -9 ) and the tangent angle of the right eye er3 [(A) Tan_er3] (P = 3.97Х10 -9 ). The WDR27 genetic region (rs3736712) wa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the eye tail (psR-exR) (P=8.44Х10 -10 ). The rs2193054 of SOX9 showed the strongest signal in this study, the lateral nasal angle [(A) n-prn-sn)] (P = 6.17 Х 10 -17 ) and nose tip protrusion [(H) prn- sn](P = 5.34 Х 10 -9 ). DHX35's rs2206437 was associated with nasal sub-width (sbalR-sbalL) (P = 1.61Х10 -9 ).

또한 선형 회귀 모델 (SNP의 R2-공변량의 R2)에서 관련 SNP의 R2 분율에 의해 얻어진SNP (s)(%)에 의해 설명되는 표현형의 차이를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연관된 SNP에 의해 설명된 표현형의 차이는 모든 SNP에서 1 %보다 낮았다.In addition,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R2 of R2-covariate of SNP), the difference in phenotype explained by SNP (s)(%) obtained by R2 fraction of related SNP was analyzed. Consequently, the difference in phenotype described by the associated SNP was lower than 1% in all SNPs.

이 연구에서 확인된 유전자좌는 분석된 얼굴 형질 간의 다중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 값에 따라 게놈 전체 유의 수준을 충족시킨 형질만을 보여준다. 기준이 덜 엄격하게 적용되면 (즉, P <1 Х 10-4), 발견 GWAS에서 암시 관련 형질의 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암시적 연관성의 대부분은 이 연구에서 밝혀진 다섯 가지 새로운 변종과 유사한 얼굴 특징을 보였다.The locus identified in this study showed multiple associations between the analyzed facial traits. As can be seen in Table 2, only the traits satisfying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entire genome according to the P value are shown. If the criteria were applied less stringently (i.e., P <1 Х 10 -4 ),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uggestive traits in the found GWAS increased, and most of the implicit associations face similar to the five new variants identified in this study. It showed characteristics.

실시예 8. SOX9 유전자좌에서의 다중 신호Example 8. Multiple signals at SOX9 locus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발견 GWAS의 위치학적 연관성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SOX9 유전자좌는 다중 신호를 보였다. 이 4 개의 신호는 다섯개의 코 표현형에 대하여 유사하게 관련된 패턴으로 나타났으며, 다섯개의 특징은 코 끝 돌출[(H) prn-sn], 콧등 깊이[(H) n-prn], 측면 코 영역 [(AR) n-prn-sn], 측면 코 입술 각도[(A) prn-sn], 측면 코 각도 [(A) n-prn-sn]이있다. 신호를 나타내는 SNP는 SOX9 전사 개시 부위의 약 91, 238, 688 및 974kb 상류에 각각 위치하는 rs2193054, rs9910003, rs1859979 및 rs9915190이었다. rs2193054(91 kb)와 rs1859979 (688 kb) 모두 게놈 전체의 중요성을 충족 시켰다. 반면에, rs9910003 (238kb)와 rs9915190 (974kb)의 두 SNP는 다소 약한 연관성을 보였다.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SOX9 locus showed multiple signals,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of the positional association of the discovered GWAS. These four signals appeared in similarly related patterns for the five nasal phenotypes, and the five features were the nasal tip protrusion [(H) prn-sn], the nostril depth [(H) n-prn], and the lateral nasal region. There are [(AR) n-prn-sn], lateral nose lip angle [(A) prn-sn], and lateral nose angle [(A) n-prn-sn]. Signaling SNPs were rs2193054, rs9910003, rs1859979, and rs9915190 located approximately 91, 238, 688, and 974kb upstream of the SOX9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respectively. Both rs2193054 (91 kb) and rs1859979 (688 kb) met the importance of the whole genome. On the other hand, the two SNPs of rs9910003 (238kb) and rs9915190 (974kb) showed a rather weak association.

이들 4 가지 변이체는 쌍-결합 연쇄 불균형 (LD) 및 조건부 연관 분석을 조사함으로써 결합 신호의 독립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4 개의 SOX9 SNP는 rs2193054와 rs9910003 (1 단계 모집단에서는 0.19, 1000 Genomes 데이터베이스에서는 0.08-0.25)사이에서 검출된 약한 LD 를 제외하고, 단계 1과 1000 Genomes 모집단 모두에서 LD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rs9910003의 연관성은 다른 변형의 연관성이 지속되었지만 rs2193054로 조정 한 후에도 지속되지 않았다. 따라서, 표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SNPs (rs2193054, rs1859979 및 rs9915190)는 1940 년 단계 2 샘플을 사용하여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추가로 유전자 분석하였다. 이 세 가지 SNP는 메타 분석 후 게놈 전체의 중요성을 넘어 섰고, HaploReg 에 의한 이들 변이체의 추가 연구는 프로모터 및 인핸서 히스톤 마크로, DNase 과민성 영역 및 그들의 서열에서 변화된 모티프를 알아냈다.These four variants were tested for independence of binding signals by examining pair-linked chain imbalance (LD) and conditional linkage analysis. The four SOX9 SNPs did not detect LD in both the Phase 1 and 1000 Genomes populati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weak LD detected between rs2193054 and rs9910003 (0.19 in the Phase 1 population, 0.08-0.25 in the 1000 Genomes database). The association of rs9910003 persisted with other variations, but did not persist after adjustment to rs2193054. Thus, as can be seen in Table 3 and Figure 4, these SNPs (rs2193054, rs1859979 and rs9915190) were further genetically analyzed to verify their association using a 1940 Stage 2 sample. These three SNPs went beyond the importance of the entire genome after meta-analysis, and further studies of these variants by HaploReg revealed promoters and enhancer histone macros, DNase hypersensitivity regions and motifs that changed in their sequence.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3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3

실시예 9. 얼굴 특징 GWAS 유전 부위의 검증 분석Example 9. Verification analysis of facial feature GWAS genetic region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전의 논문들에서 보고된 얼굴 연관 GWAS 유전 부위에 대한 검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에는 총 41 개의 lead SNP을 선택하였다. Affymetrix Genome-Wide Human SNP 어레이 5.0 유전자형 플랫폼에는 rs6555969 (C5orf50)을 제외하고 이러한 41개의 SNP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LDlink (https : // analysis tools.nci.nih.gov/)를 사용하여 41개 lead SNP의 대리 SNP를 추출했다. LDlink) r2> 0.6의 기준 하에서 X-염색체 SNPs와 GWAS QC-failed SNPs를 필터링한 후, 13 개의 lead SNP로부터의 63 개의 대리 SNP를 선택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한 관련 얼굴 특징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리 SNP 중 가장 높은 LD (r2) 값을 나타내는 하나의 리드 SNP 당 lead SNP를 확인하였다.As can be seen in Table 4, a verific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GWAS genetic region related to faces reported in previous papers. A total of 41 lead SNPs were selected for this analysis. The Affymetrix Genome-Wide Human SNP Array 5.0 genotyping platform did not include these 41 SNPs except rs6555969 (C5orf50), so 41 lead SNPs using LDlink (https://analysis tools.nci.nih.gov/) Surrogate SNP was extracted. LDlink) After filtering X-chromosome SNPs and GWAS QC-failed SNPs under the criteria of r 2 > 0.6, 63 surrogate SNPs from 13 lead SNP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ir association with relevant facial featur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 As shown in Table 4, lead SNPs per one lead SNP indicating the highest LD (r 2 ) value among surrogate SNPs were identified.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4
Figure 112019033916208-pat00004

rs4648379는 기존 보고에서 코 폭과 코 높이와 관련이 있었으며, 대리 SNP rs4648478(r2 = 0.61)은 검증 분석에서 측면 코 각도[(A) n-prn-sn]와의 연관성(P = 5.70 Х 10-6)을 보였다. 본 발명에서는 코와 관련된 11가지 특성이 있었기 때문에 Bonferroni 보정을 통해 검증 분석 유의성 기준을 P = 4.5 Х 10-3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SNP rs4648379는 본 발명에서 재현된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rs2045323은 3개의 코 표현형(코기둥 경사, 코 돌출 및 코 끝 각도)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는데, 코 하위 폭(sbalR-sbalL) (대리 SNP rs4315762, r2 = 0.68, P = 4.84 Х 10-6)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rs4648379 is was related to the nose width and nose above the existing looking surrogate SNP rs4648478 (r 2 = 0.61) are associated with the side nose angle [(A) n-prn- sn] In the verification analysis (P = 5.70 Х 10 - 6 ).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were 11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nose, the significance level of verification analysis was set to P = 4.5 Х 10 -3 through Bonferroni correction. Thus, SNP rs4648379 appears to be re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Likewise, rs2045323 was reported to be related to three nasal phenotypes (nostral slope, nasal protrusion and nasal tip angle), nasal sub-width (sbalR-sbalL) (surrogate SNP rs4315762, r 2 = 0.68, P = 4.84 Х 10 -6 ).

또 다른 SNP rs1852985는 이전에 콧등 폭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콧등 각도[(A) prn-n](rs1284964, r2 = 0.85, P = 2.28Х10-5)와 연관성이 검증되었으며, 코 폭과 연관된 것으로 보고되었던 rs2424399는 코 하위 폭(sbalR-sbalL)과의 연관성을 검증하였다 (rs6082475, r2 = 1.0, P = 7.28Х10-4).Another SNP rs1852985 was previously shown to be related to the nostril width,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nostril angle [(A) prn-n] (rs1284964, r 2 = 0.85, P = 2.28Х10 -5 ) was verified, and it was associated with the nose width. It was reported that rs2424399 verified the association with the nose sub-width (sbalR-sbalL) (rs6082475, r 2 = 1.0, P = 7.28Х10 -4 ).

또한 대규모 코호트(n > 70,000) 대상 연구(코 크기에 대한 자체 보고 정보를 사용)로부터 코 크기와의 연관성이 식별된 23개 lead SNP 중에, 8개의 lead SNP을 우리 샘플 대상의 검증 분석을 위해 추가로 선정하였다. 8개 lead SNP에 대한 40개 대리 SNP을 대상으로 코의 특징과 관련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SNP(rs767764-콧등 각도 및 rs6101567-정면 코 세로길이)을 본 발명에서 검증하였다.In addition, of the 23 lead SNPs that have been identified for association with nose size from a large-scale cohort (n> 70,000) target study (using self-reporting information for nose size), 8 lead SNPs were added for verification analysis of our sample targets. Was selected a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se are related to 40 surrogate SNPs for 8 lead SNPs, as shown in Table 4, two SNPs (rs767764-nostril angle and rs6101567-front nose length) It was ver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OSR1-WDR35 유전 부위 (rs7567283)는 정면 얼굴 윤곽과 관련되며, HOXD-MTX2 유전 부위 (rs970797)는 상단 눈꺼풀의 곡률과 관련되고, WDR27 유전 부위 (rs3736712)는 눈 꼬리 길이와 관련이 있으며, SOX9의 rs2193054는 코 모양으로서 측면 코 각도 및 코 끝 돌출과 관련이 있으며, rs9910003, rs1859979 및 rs9915190는 측면 코 각도, 코 길이, 코 끝 돌출 및 코 윤곽선과 관련되고, DHX35의 rs2206437는 코 하위 폭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sequently, the inventors found that the OSR1-WDR35 genetic region (rs7567283) is associated with the frontal facial contour, the HOXD-MTX2 genetic region (rs970797) is associated with the curvature of the upper eyelid, and the WDR27 genetic region (rs3736712) is associated with the eye tail length. Related, the rs2193054 of SOX9 is nose-shaped and is related to the lateral nose angle and nose tip protrusion, rs9910003, rs1859979 and rs9915190 are related to the side nose angle, nose length, nose tip protrusion and nose contour, and the DHX35's rs2206437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related to the width of the lower nose.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n this regar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110>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20>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130> KPA190399-KR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5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7567283 <220> <221> variation <222> (175) <223> y= c or t <400> 1 cctaactgtt ctctatttaa cagcaattac tgagtccttg ctatgtctca agaactattc 60 taagtgctgt acatgcattt gctcatttaa ttttaatgac aaccctttaa ggtaagtaca 120 attacatccc cattttacag aatgaactaa ggcacagaag aattaaataa attgyccaag 180 gtctgtgctc tatttatctg ttactgcata ataaacacct caaatttagt gacataaaac 240 agcaactgtt ttattatgct catgaattct gaaggtcaag cagagtaggg gtatcttctt 300 tctgctccat gatagttgca tctcagctag gaggactgga ctgactaggc ggtga 355 <210> 2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970797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m= c or a <400> 2 ttacattttg aaaaaatacc atgatgtgca aatgtgcata ccctattcag ccaacatatc 60 atagatactg tatagtaaca tctgggaata ttaaactttg cctttactgg caacccaatt 120 ggcatcttga atttacagtg magatgtttt atactgatgt gttttggaaa tctttgaagt 180 attctcaaga cagtattctg aggtttctgc agtggtccac ttgagccttt tgaagttccc 240 tatacaatag gatacataca tatattttcc aaaacatgtt ttagtgggaa aagaagaaaa 300 gttcaagttg gcggtataat a 321 <210> 3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3736712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y= t or c <400> 3 gccatcatag aaacactata aagttaagag ggctttatag acacttaggc tgctataaaa 60 aattatccca tttttatatt caagtcaata tgttttttca agtctaaaac agtgtacagt 120 atagaaaagg gcaatgaaga yagtctctta ttttagtgat aatcttctgt cctgataact 180 tattaagtgg aggggaatgc aagtttttaa aaaatacttt gatgttttta tttttattga 240 aaaaaatgtt agagacagca tctccctctt gcccaagctc aactcttggg ctcctgcaat 300 cttcccaccc cagcctcctg a 321 <210> 4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2206437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w= a or t <400> 4 gctccctact acttaatctc acttgagcaa gaaaatattc ctgtgaagtg ggtagggctg 60 aacttattcc cattttacag atgattaaac tgaataagct ttggaaccat ctcctttgga 120 agcaaagtaa ctcactatgg wctaaacact ttgagaaaag agagaagaaa attgagatga 180 attcatgctt tgcctcaatt ccctgtatct ttcatgttaa attaccttgc ttcatgttat 240 tgctgcaaat ttggctttgt tagtgcagac ctgacctgga tctgtctata tttctgcata 300 gagagatgac cttaatgtat t 321 <210> 5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9910003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y= c or t <400> 5 tgaaaatata aaccccatgc agtgaccaag tggtaagaag ttaagtgaga gtaaagaaat 60 tggggcagct cagggcaccg gagatctagg gaggagaaaa aaaacacatc aagaaaacta 120 aaagaagaac taaacaattg yccaagacct attttaacca tttcacaagt ttgcagacta 180 ctctgccata gggaaaagtc catggtcaac acttctggaa gagcaaaagc cctagattac 240 ccacatccca agctactttc agcaaacaac tgagtagagt caatgaaaag tcaccacagt 300 ccctctagga atggtaacat g 321 <210> 6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1859979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y= t or c <400> 6 gttaccagct ttgacacaca gccagaacac ctgggaaggc acacccagat catctttcat 60 tagtttcctt ttatttgagg catatcttaa gggtacatgt ccatgcatac atacacttgt 120 gtgtctgtgt gtgtaggtaa yagtgctatg aaaatctggt taatatctgg ggttacagtt 180 attcttccat ggagttttga tacaagtgag atagtctaga ctctcatact aagatatttc 240 ttaaatatga cttcactctt acctaacaag ccaaaagaat atttctgagt gttaggcata 300 tggggatttc cagttaccca c 321 <210> 7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9915190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m= c or a <400> 7 agtaagaaca gatgggctac taaggcaaaa ggtctccatg caaatcatat caagaaagac 60 caaaaccaag gaaaggatag ccatcgtaga tccatgattg tttcagtctg ccaaaataaa 120 aggcttttca atggtttatc mcagatgaca gctgatttct aaagaagtag ccggattttt 180 ttttctatat ctctgcacac aaagtgaaca cagttcatag gtaaagaaca aagcacactt 240 gcttgtagca atgatacaaa cttaaggggt ccatttagag aattcttatt ttgaatgtga 300 ttaattgcat ggaaccagaa t 321 <210> 8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2193054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s= g or c <400> 8 aatctccaga gagagcaata gaagcccagc ttgagggaaa tgactggacc ttgattactt 60 aggataaaaa gagatcaatt tatggtagga ctatctattt atgtctgcac attcatcagg 120 tttgcctagg aaaggagtct sagaaaatgt gttggaattg ggcacttctg atgtctatcc 180 tattccttgt cttggttgat aacactttct ccagtcccca gatctcattt taggaaatga 240 gacttgttat caggcatcct agagcctcca tatttttctg agtctttctg tgtctgccgg 300 caccattgac gttgttacta t 321 <110>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20>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130> KPA190399-KR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5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7567283 <220> <221> variation <222> (175) <223> y= c or t <400> 1 cctaactgtt ctctatttaa cagcaattac tgagtccttg ctatgtctca agaactattc 60 taagtgctgt acatgcattt gctcatttaa ttttaatgac aaccctttaa ggtaagtaca 120 attacatccc cattttacag aatgaactaa ggcacagaag aattaaataa attgyccaag 180 gtctgtgctc tatttatctg ttactgcata ataaacacct caaatttagt gacataaaac 240 agcaactgtt ttattatgct catgaattct gaaggtcaag cagagtaggg gtatcttctt 300 tctgctccat gatagttgca tctcagctag gaggactgga ctgactaggc ggtga 355 <210> 2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970797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m= c or a <400> 2 ttacattttg aaaaaatacc atgatgtgca aatgtgcata ccctattcag ccaacatatc 60 atagatactg tatagtaaca tctgggaata ttaaactttg cctttactgg caacccaatt 120 ggcatcttga atttacagtg magatgtttt atactgatgt gttttggaaa tctttgaagt 180 attctcaaga cagtattctg aggtttctgc agtggtccac ttgagccttt tgaagttccc 240 tatacaatag gatacataca tatattttcc aaaacatgtt ttagtgggaa aagaagaaaa 300 gttcaagttg gcggtataat a 321 <210> 3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3736712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y= t or c <400> 3 gccatcatag aaacactata aagttaagag ggctttatag acacttaggc tgctataaaa 60 aattatccca tttttatatt caagtcaata tgttttttca agtctaaaac agtgtacagt 120 atagaaaagg gcaatgaaga yagtctctta ttttagtgat aatcttctgt cctgataact 180 tattaagtgg aggggaatgc aagtttttaa aaaatacttt gatgttttta tttttattga 240 aaaaaatgtt agagacagca tctccctctt gcccaagctc aactcttggg ctcctgcaat 300 cttcccaccc cagcctcctg a 321 <210> 4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2206437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w= a or t <400> 4 gctccctact acttaatctc acttgagcaa gaaaatattc ctgtgaagtg ggtagggctg 60 aacttattcc cattttacag atgattaaac tgaataagct ttggaaccat ctcctttgga 120 agcaaagtaa ctcactatgg wctaaacact ttgagaaaag agagaagaaa attgagatga 180 attcatgctt tgcctcaatt ccctgtatct ttcatgttaa attaccttgc ttcatgttat 240 tgctgcaaat ttggctttgt tagtgcagac ctgacctgga tctgtctata tttctgcata 300 gagagatgac cttaatgtat t 321 <210> 5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9910003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y= c or t <400> 5 tgaaaatata aaccccatgc agtgaccaag tggtaagaag ttaagtgaga gtaaagaaat 60 tggggcagct cagggcaccg gagatctagg gaggagaaaa aaaacacatc aagaaaacta 120 aaagaagaac taaacaattg yccaagacct attttaacca tttcacaagt ttgcagacta 180 ctctgccata gggaaaagtc catggtcaac acttctggaa gagcaaaagc cctagattac 240 ccacatccca agctactttc agcaaacaac tgagtagagt caatgaaaag tcaccacagt 300 ccctctagga atggtaacat g 321 <210> 6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1859979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y= t or c <400> 6 gttaccagct ttgacacaca gccagaacac ctgggaaggc acacccagat catctttcat 60 tagtttcctt ttatttgagg catatcttaa gggtacatgt ccatgcatac atacacttgt 120 gtgtctgtgt gtgtaggtaa yagtgctatg aaaatctggt taatatctgg ggttacagtt 180 attcttccat ggagttttga tacaagtgag atagtctaga ctctcatact aagatatttc 240 ttaaatatga cttcactctt acctaacaag ccaaaagaat atttctgagt gttaggcata 300 tggggatttc cagttaccca c 321 <210> 7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9915190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m= c or a <400> 7 agtaagaaca gatgggctac taaggcaaaa ggtctccatg caaatcatat caagaaagac 60 caaaaccaag gaaaggatag ccatcgtaga tccatgattg tttcagtctg ccaaaataaa 120 aggcttttca atggtttatc mcagatgaca gctgatttct aaagaagtag ccggattttt 180 ttttctatat ctctgcacac aaagtgaaca cagttcatag gtaaagaaca aagcacactt 240 gcttgtagca atgatacaaa cttaaggggt ccatttagag aattcttatt ttgaatgtga 300 ttaattgcat ggaaccagaa t 321 <210> 8 <211> 3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2193054 <220> <221> variation <222> (141) <223> s= g or c <400> 8 aatctccaga gagagcaata gaagcccagc ttgagggaaa tgactggacc ttgattactt 60 aggataaaaa gagatcaatt tatggtagga ctatctattt atgtctgcac attcatcagg 120 tttgcctagg aaaggagtct sagaaaatgt gttggaattg ggcacttctg atgtctatcc 180 tattccttgt cttggttgat aacactttct ccagtcccca gatctcattt taggaaatga 240 gacttgttat caggcatcct agagcctcca tatttttctg agtctttctg tgtctgccgg 300 caccattgac gttgttacta t 321

Claims (13)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조합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Combination of polynucleotides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SEQ ID NO: 2, SEQ ID NO: 3, SEQ ID NO: 4, SEQ ID NO: 5, SEQ ID NO: 6 and SEQ ID NO: 7 or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a complementary polynucleotid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이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is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which further comprises a polynucleotid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or a polynucleotide complementary theret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정면 얼굴 윤곽과 관련되는 것인,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is related to the front face contour,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단 눈꺼풀의 곡률과 관련되는 것인,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is related to the curvature of the upper eyelid, a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눈 꼬리 길이와 관련 관련되는 것인,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3 is related to the length of the eye tail, the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코 하위폭과 관련되는 것인,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4 is related to the sub-width of the nose, the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5 내지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각각 측면 코 끝 돌출, 콧등 깊이, 측면 코 영역, 측면 코 입술 각도, 측면 코 각도와 관련되는 것인,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nucleotide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s: 5 to 7 is associated with lateral nose tip protrusion, nose depth, lateral nose region, lateral nose lip angle, lateral nose angle, respectively Marker composition.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의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comprising an agent capable of detecting or amplifying the marker composition for fac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8항의 얼굴 판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키트.
A face discrimination kit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face discrimination of claim 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RT-PCT 키트 또는 DNA 칩 키트인 것인, 키트.
The kit of claim 9, wherein the kit is an RT-PCT kit or a DNA chip kit.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의 얼굴 판별용 마커 조성물을 포함하는 얼굴 판별용 마이크로어레이.
A microarray for face discrimination comprising the marker composition for fac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의 DNA로부터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조합에 포함된 SNP를 포함하는 다형성 부위(Polymorphic site)를 증폭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증폭된 다형성 부위의 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 판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 contained in a combination of polynucleotides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SEQ ID NO: 2, SEQ ID NO: 3, SEQ ID NO: 4, SEQ ID NO: 5, SEQ ID NO: 6 and SEQ ID NO: 7 from DNA of a sampl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Amplifying a polymorphic site comprising SNP; And
(b) determining the base of the amplified polymorphic site,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face identificati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형성 부위는 서열번호 8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포함된 SNP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얼굴 판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olymorphic site further comprises an SNP contained in a polynucleotide composed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8.
KR1020190038628A 2019-04-02 2019-04-02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KR102120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628A KR102120914B1 (en) 2019-04-02 2019-04-02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628A KR102120914B1 (en) 2019-04-02 2019-04-02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914B1 true KR102120914B1 (en) 2020-06-11

Family

ID=7107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628A KR102120914B1 (en) 2019-04-02 2019-04-02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9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55A (en) * 2020-12-30 2022-07-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SNP marker for identifying the jaw area shape and face length and uses thereof
KR20230019348A (en) * 2021-07-30 2023-02-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Cheekbones and eyebrow width-associated SNP markers and use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60A (en) * 2015-07-08 2017-01-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mposition for determining nose pheno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560A (en) * 2015-07-08 2017-01-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mposition for determining nose phenotyp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bSNP (rs7567283, rs970797, rs3736712, rs2206437, rs9910003, rs1859979, rs9915190, rs2193054)* *
Liu et al, PLoS Genet. 8(9), e1002932, 2012.* *
Richmond et al, Front Genet. 9(462), 2018.*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7655A (en) * 2020-12-30 2022-07-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SNP marker for identifying the jaw area shape and face length and uses thereof
KR102476338B1 (en) * 2020-12-30 2022-12-14 한국한의학연구원 SNP marker for identifying the jaw area shape and face length and uses thereof
KR20230019348A (en) * 2021-07-30 2023-02-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Cheekbones and eyebrow width-associated SNP markers and uses thereof
KR102592867B1 (en) * 2021-07-30 2023-10-25 한국한의학연구원 Cheekbones and eyebrow width-associated SNP markers and use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667B2 (en) MiRNA expression signature in the classification of thyroid tumors
KR20170033846A (en) Genetic polymorphic markers for determining type of white skin and use thereof
KR102120914B1 (en) Marker for determining front face
KR102151713B1 (en) Composition, microarray, and kits for predicting risk of alopecia,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761801B1 (en) Composition for determining nose phenotype
KR20170051747A (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determining of probability of skin wrinkle and use thereof
JP6245796B2 (en) Markers, probes, primers and kits for predicting the risk of developing primary biliary cirrhosis and methods for predicting the risk of developing primary biliary cirrhosis
KR102305034B1 (en) Snp makers of identification of dorsal fat thickness in woori black porcin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orsal fat thickness using the same
US10770183B2 (en) Methods of assessing a risk of developing necrotizing meningoencephalitis
KR102030641B1 (en) Novel SNP marker for pattern identification of asthma patients and uses thereof
KR101772448B1 (en) A composition for determining personality traits
KR101687261B1 (en) Composition for determining voice phenotype
CN113122620A (en) Lip cleft palate related SNP marker and application thereof
Vissers Molecular Karyotyping by Array CGH. Linking gene dosage alterations to disease pheno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