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647B1 -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647B1
KR102120647B1 KR1020190175183A KR20190175183A KR102120647B1 KR 102120647 B1 KR102120647 B1 KR 102120647B1 KR 1020190175183 A KR1020190175183 A KR 1020190175183A KR 20190175183 A KR20190175183 A KR 20190175183A KR 102120647 B1 KR102120647 B1 KR 10212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ed stone
concrete
anchor
block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용
이가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Priority to KR102019017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anchoring or fastening elements for the shap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공석재와 콘크리트블록의 합성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부분에서의 전단파괴나 미세균열이 방지되도록 하며, 합성블록의 제작효율 및 경제성과 시공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사면 축조시 전면에 위치하여 자연미가 나타내어지도록 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형태의 전단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석재;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타측단은 가공석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앵커를 통해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체로 합성되는 콘크리트블록;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도포되어 콘크리트블록의 합성시 콘크리트블록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응력에 대해 지지해주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Composite blocks of stone and concre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부에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인장력에 대해서는 앵커를 통해 지지하고, 최대 전단력에 대해서는 가공석재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전단키를 통해 지지하도록 하며, 가공석재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콘크리트의 경화시 건조수축으로 인한 결합부의 미세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절토부나 성토부에는 콘크리트옹벽, 보강토옹벽 및 석축쌓기 등으로 토압을 받는 구조물인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옹벽과 보강토 옹벽은 전면에 노출되는 콘크리트로 인해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옹벽 전면에 문양거푸집을 이용하여 외관을 형성하거나 보강토옹벽블록 제작시 전면에 자연석형태의 문양으로 제작하고 있지만, 재료 자체가 콘크리트이므로 질감에 한계가 있어서 실질적인 미관 향상 효과는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석판을 보강토옹벽블록의 전면에 설치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2580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자연석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블록의 전면에 단순히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자연석판을 단순히 부착하였을 경우, 시간이 경과되면서 접착제의 열화(劣化)에 의해 자연석판과 보강토 옹벽블록의 전면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자연석판이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자연석판의 탈락이 갑작스럽게 예고도 없이 발생하게 되고, 탈락된 자연석판이 낙하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역사, 문화재 지역 및 풍경지역의 토목공사나 주택의 대지조성공사 등에는 석재를 이용하여 석축을 시공할 수 도 있다.
상기 석축의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표면석의 구배와 표면석의 뒷길이 이며, 특히 표면석의 뒷길이는 구조계산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작은 것이 시공될 경우에 붕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번호 제10-1975502호에서는 전면의 석재와 배면의 콘크리트블록의 결합을 위하여 석재의 접합부를 가공하여 콘크리트블록 내부로 삽입하고 앵커를 설치하여 구성하였으나 석재의 가공이 매우 까다로워 석재 가공비용이 증가되고, 콘크리트블록의 건조수축으로 인해 콘크리트블록과 석재의 접합부분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97550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석재와 콘크리트블록의 합성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고,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부분에서의 전단파괴나 미세균열이 방지되도록 하며, 합성블록의 제작효율 및 경제성과 시공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사면 축조시 전면에 위치하여 자연미가 나타내어지도록 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형태의 전단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석재;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타측단은 가공석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앵커를 통해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체로 합성되는 콘크리트블록;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도포되어 콘크리트블록의 합성시 콘크리트블록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응력에 대해 지지해주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콘크리트블록과의 정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인발저항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앵커보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보강부는, 상기 가공석재의 외부로 노출된 앵커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앵커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이 앵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공석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고정판;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앵커를 통해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되, 가공석재의 전단키홈에 채워져 경화됨으로서 전면에 전단키가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의 좌, 우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평전단홈;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블록몸체의 배면 끝단에서 블록몸체의 좌, 우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다수의 수직전단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가공석재의 배면에 오목한 형태의 전단키홈을 형성하는 전단키홈 형성단계;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다수개의 앵커를 설치하는 앵커 설치단계; 전방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틀부재의 전방으로 상기 가공석재를 설치하여 틀부재의 개방된 전방을 막아주는 가공석재 설치단계; 상기 가공석재의 전면을 지지하여 가공석재가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가공석재 지지단계;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틀부재의 내부에 금속망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공석재와 일체화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블록 형성단계; 상기 가공석재와 콘크리트블록의 일체화를 통해 형성된 합성블록을 틀부재에서 탈형하는 합성블록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틀부재는 후방에 클램프 설치를 위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홈에 설치홈용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틀부재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석재 설치단계에서, 가공석재는 틀부재에 형성되는 석재고정대에 바이스를 설치하고 바이스를 통해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공석재는 자연미를 확보할 수 있도록 두께부분에 일정 깊이의 전단파괴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파괴홈에 쐐기를 설치한 다음 쐐기를 타격하여 전단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블록은 가공석재와 콘크리트블록의 접합부에 발생되는 최대 인장력에 대해서는 앵커를 통해 지지하고, 가공석재에 전단키홈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블록이 합성되도록 함으로서 최대 전단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제를 통해서 콘크리트의 경화시 건조수축으로 인한 미세균열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에 앵커보강부를 더 설치하여 콘크리트블록이 전단파괴 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서 가공석재와 콘크리트블록의 합성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틀부재의 개방된 부분에 가공석재를 설치하여 가공석재를 거푸집으로 활용함으로써 거푸집의 제작 및 조립에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이 완료된 합성블록을 틀부재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틀부재의 배면판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홈용 거푸집을 제거하여 클램프의 파지 공간을 형성해줌으로써 틀부재에서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을 나타낸 평면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을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석재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틀부재를 이용한 합성블록의 제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틀부재를 이용한 합성블록의 제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의 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들 사이에 잡석을 채워넣은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에 있어 가공석재를 변단면 형태로 가공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을 나타낸 평면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블록을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석재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블록(10)은, 절토나 성토를 통해 형성되는 사면에 축조시 사면의 전면으로 위치하여 자연미가 나타내어지도록 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형태의 전단키홈(110)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석재(100)와, 상기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일측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타측단은 가공석재(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앵커(300)와, 상기 앵커(300)를 통해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200)과, 상기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도포되어 콘크리트블록(200)의 합성시 콘크리트블록(200)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응력에 대해 지지해주는 접착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석재(100)는 원석을 대형 기계톱으로 가공하여 일정한 폭과 높이 및 두께를 갖도록 6면체 형태로 구성하고 두께부분에 일정 깊이의 전단파괴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파괴홈(120)에 쐐기(130)를 설치한 다음 망치로 타격하여 가공석재(100)에 전단파괴를 유도함으로써 전단파괴된 부분에 자연미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가공오차를 최소화하게 된다.
즉 가공석재(100)를 사면에 축조할 경우 전단파괴된 부분이 전면으로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됨으로써 자연미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공석재(100)의 배면에는 전단키홈(110)을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200)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가 전단키홈(110)으로 유입되어 합성됨으로써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의 전단강도가 향상되어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의 결합부분에 발생되는 전단응력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가공석재(100)는 도 10 과 같이 전단키홈(110)을 중심으로 상부의 두께가 하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변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합성블록(10)을 다단으로 축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블록(200)의 노출을 없애 자연미가 있는 합성블록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앵커(300)는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설계된 간격에 맞도록 다수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블록(200)의 합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앵커(300)는 세트앵커로 구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블록(200)과의 접합부분에서의 인장응력에 대해 지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앵커(300)는 가공석재(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타측단에 설치되어 콘크리트블록(200)과의 정착효율이 향상되도록 앵커보강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앵커보강부(310)는 가공석재(100)의 외부로 노출된 앵커(3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11)과, 상기 앵커(3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11)이 앵커(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공석재(100) 방향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고정판(312)과, 상기 앵커(300)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312)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너트(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앵커(300)에 상기 앵커보강부(310)를 더 설치하게 됨으로써 앵커(300)의 설치부분에서 콘크리트블록(200)이 전단파괴 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는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앵커(300)의 인발저항력은 앵커(300)의 지름과 매입길이에 등에 의해 변화되고 앵커(300)주변으로 콘크리트블록(200)에 펀칭전단응력이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전단파괴에 이를 수 있는데 앵커보강부(310)를 통해 전단파괴를 방지해주는 것이다.
특히 코일스프링(311)이 콘크리트블록(200)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합성효율이 보다 향상되어 앵커(300)의 설치부분에서 콘크리트블록(200)이 전단파괴 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블록(200)은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앵커(300)와 접착제(140)를 통해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합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블록(200)은, 상기 앵커(300)를 통해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되, 가공석재(100)의 전단키홈(110)에 채워져 경화됨으로서 전면에 전단키(211)가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210)와, 상기 블록몸체(210)의 좌,우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평전단홈(220)과, 상기 블록몸체(210)의 하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블록몸체(210)의 배면 끝단에서 블록몸체(210)의 좌, 우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다수의 수직전단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200)은 블록몸체(2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금속망(240)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블록(200)의 강성을 보강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200)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좌, 우 폭이 좁아지도록 되고, 블록몸체(210)의 좌, 우측면에 수평전단홈(220)을 형성함으로써 합성블록(10)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도 9와 같이 좌, 우로 이웃하는 합성블록(10)들의 사이공간 및 블록몸체(210)에 형성된 수평전단홈(220)으로 잡석(510)이 채워져 수평전단키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200)은 상기 블록몸체(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단키(211)에 의해 가공석재(100)와의 접합력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접합부분의 전단응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전단키(230)는 상, 하로 조적되는 합성블록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블록(20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수직전단키(230)에 의해 합성블록(10)이 자연스럽게 가이드 되면서 퇴물림쌓기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형성되는 단차를 이용하여 배면토압에 대한 전단키 역할을 수행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전단키(230)는 전면이 배면을 향해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합성블록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한 합성블록(10)을 하부에 위치한 합성블록(10)의 상부에 거치할 경우 수직전단키(230)의 경사면이 하부에 위치한 합성블록의 끝단부에 용이하게 걸려지면서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이드 되어 정 위치 됨으로써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상기 접착제(140)는 콘크리트블록(200)의 건조수축으로 인해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의 결합부에 미세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합성블록(10)은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의 접합부에 발생되는 최대 인장력에 대해서는 앵커(300)를 통해 지지하고, 가공석재(100)에 전단키홈(110)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블록(200)이 합성되도록 함으로서 최대 전단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접착제(140)를 통해서 콘크리트의 경화시 건조수축으로 인한 미세균열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앵커(300)에 앵커보강부(310)를 더 설치하여 콘크리트블록(200)이 전단파괴 되는 것을 방지해줌으로서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의 합성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틀부재를 이용한 합성블록의 제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틀부재를 이용한 합성블록의 제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단면도로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합성블록을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오목한 형태의 전단키홈(110)을 형성하는 전단키홈 형성단계와, 상기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다수개의 앵커(300)를 설치하는 앵커 설치단계와, 전방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틀부재(400)의 전방으로 상기 가공석재(100)를 설치하여 틀부재(400)의 개방된 전방을 막아주는 가공석재(100) 설치단계와, 상기 가공석재(100)의 전면을 지지하여 가공석재(100)가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가공석재 지지단계와, 상기 가공석재(100)의 배면에 접착제(140)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와, 상기 틀부재(400)의 내부에 금속망(240)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공석재(100)와 일체화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블록 형성단계와, 상기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의 일체화를 통해 형성된 합성블록(10)을 틀부재(400)에서 탈형하는 합성블록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석재(100)는 자연미를 확보할 수 있도록 두께부분에 일정 깊이의 전단파괴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파괴홈(120)에 쐐기(130)를 설치한 다음 쐐기(130)를 타격하여 전단파괴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 틀부재(400)는 하부판(410)과, 상기 하부판(410)에서 서로 마주보며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공석재(100)가 밀착되어 개방된 공간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측면판(420)과, 상기 한 쌍의 측면판(420) 일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판(440)과, 상기 측면판(420)의 타측단을 연결해주는 배면판(430)과, 상기 측면판(420)의 일측단에서 측면판(420)과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석재고정대(450)와, 상기 석재고정대(450)에 설치되어 가공석재(100)를 측면판(4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콘크리트블록(200)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다수의 바이스(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면판(430)에는 클램프를 통한 합성블록(10)의 권양이 가능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설치홈(4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홈(431)에는 설치홈용 거푸집(470)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설치홈(43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콘크리트의 경화를 통해 가공석재(100)와 콘크리트블록(200)의 합성이 완료되면, 상기 설치홈용 거푸집(470)을 설치홈(431)에서 제거한 후 클램프를 설치홈(431)으로 삽입하여 콘크리트블록(2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완료된 합성블록(10)을 틀부재(400)에서 수직방향으로 권양하여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날개판(440)은 가공석재(100)를 이용하여 거푸집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가공석재(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밀착면을 제공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가공석재(100)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이스(460)는 도면에서와 같이 4개를 설치하여 가공석재(100)를 날개판 방향으로 가압시켜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바이스(460)는 테일바이스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가공석재(100)의 전단파괴면에 용이하게 밀착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틀부재(400)는 측면판(410)과 배면판(4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개방된 부분으로 가공석재(100)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가공석재(100)가 거푸집 역할을 하면서 콘크리트와의 합성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합성블록의 제작방법은, 틀부재(400)의 개방된 부분에 가공석재(100)를 설치하여 가공석재(100)를 거푸집으로 활용함으로써 거푸집의 제작 및 조립에 효율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제작이 완료된 합성블록을 틀부재(400)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틀부재(400)의 배면판(430)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홈용 거푸집(470)을 제거하여 클램프의 파지 공간을 형성해줌으로써 틀부재(400)에서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합성블록은 도 8, 9에서와 같이 다단으로 조적하여 합성블록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합성블록 구조체는 절토나 성토에 의해 형성되는 사면의 전방 바닥에 기초(500)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에 합성블록(10)을 다단으로 축조하되 상, 하에 위치한 합성블록은 서로 엇갈리도록 축조하고 좌, 우로 이웃하는 합성블록(10)의 사이에는 잡석(510)이 채워지도록 시공하며, 최상단에 위치한 합성블록(10)에는 덮개(520)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합성블록 (100) : 가공석재
(110) : 전단키홈 (120) : 전단파괴홈
(130) : 쐐기 (140) : 접착제
(200) : 콘크리트블록 (210) : 블록몸체
(211) : 전단키 (220) : 수평전단홈
(230) : 수직전단키 (240) : 금속망
(300) : 앵커 (310) : 앵커보강부
(311) : 코일스프링 (312) : 고정판
(313) : 고정너트 (400) : 틀부재
(410) : 하부판 (420) : 측면판
(430) : 배면판 (431) : 설치홈
(440) : 날개판 (450) : 석재고정대
(460) : 바이스 (470) : 설치홈용 거푸집
(500) : 기초 (510) : 잡석
(520) : 덮개

Claims (8)

  1. 사면 축조시 전면에 위치하여 자연미가 나타내어지도록 하고 배면에는 오목한 형태의 전단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공석재;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측단이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타측단은 가공석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앵커;
    상기 앵커를 통해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체로 합성되는 콘크리트블록;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도포되어 콘크리트블록의 합성시 콘크리트블록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응력에 대해 지지해주는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콘크리트블록과의 정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인발저항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앵커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앵커보강부는 상기 가공석재의 외부로 노출된 앵커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앵커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이 앵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공석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고정판과,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앵커를 통해 가공석재의 배면에 일체화되도록 성형되되, 가공석재의 전단키홈에 채워져 경화됨으로서 전면에 전단키가 형성되어 있는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의 좌, 우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평전단홈;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블록몸체의 배면 끝단에서 블록몸체의 좌, 우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다수의 수직전단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5. 가공석재의 배면에 오목한 형태의 전단키홈을 형성하는 전단키홈 형성단계;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다수개의 앵커를 설치하는 앵커 설치단계;
    전방과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틀부재의 전방으로 상기 가공석재를 설치하여 틀부재의 개방된 전방을 막아주는 가공석재 설치단계;
    상기 가공석재의 전면을 지지하여 가공석재가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가공석재 지지단계;
    상기 가공석재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틀부재의 내부에 금속망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공석재와 일체화되도록 하는 콘크리트블록 형성단계;
    상기 가공석재와 콘크리트블록의 일체화를 통해 형성된 합성블록을 틀부재에서 탈형하는 합성블록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앵커 설치단계의 앵커는, 앵커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콘크리트블록과의 정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인발저항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앵커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보강부는 상기 가공석재의 외부로 노출된 앵커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앵커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이 앵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공석재 방향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고정판과, 상기 앵커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제작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틀부재는 후방에 클램프 설치를 위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홈에 설치홈용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틀부재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제작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석재 설치단계에서
    상기 가공석재는 틀부재에 형성되는 석재고정대에 바이스를 설치하고 바이스를 통해 가압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제작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석재는 자연미를 확보할 수 있도록 두께부분에 일정 깊이의 전단파괴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파괴홈에 쐐기를 설치한 다음 쐐기를 타격하여 전단되도록 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제작방법.
















KR1020190175183A 2019-12-26 2019-12-26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10212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83A KR102120647B1 (ko) 2019-12-26 2019-12-26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83A KR102120647B1 (ko) 2019-12-26 2019-12-26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647B1 true KR102120647B1 (ko) 2020-06-09

Family

ID=7108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83A KR102120647B1 (ko) 2019-12-26 2019-12-26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6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1695A (zh) * 2020-07-09 2020-10-13 贺新 一种机制混凝土板的预埋件安装装置
CN112281637A (zh) * 2020-11-04 2021-01-29 武汉大学 一种抗震墙面加筋土桥台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731A (ja) * 1996-10-28 1998-05-19 Sekimuro Zouseki: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39995Y1 (ko) * 2001-04-16 2001-10-11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옹벽 구축용 블럭의 장식장치
KR200286397Y1 (ko) * 2002-05-15 2002-08-21 주식회사엠에스이그룹 삼각형상의 앵커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KR101975502B1 (ko) 2018-11-07 2019-05-08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731A (ja) * 1996-10-28 1998-05-19 Sekimuro Zouseki: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39995Y1 (ko) * 2001-04-16 2001-10-11 미파코리아 주식회사 옹벽 구축용 블럭의 장식장치
KR200286397Y1 (ko) * 2002-05-15 2002-08-21 주식회사엠에스이그룹 삼각형상의 앵커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KR101975502B1 (ko) 2018-11-07 2019-05-08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1695A (zh) * 2020-07-09 2020-10-13 贺新 一种机制混凝土板的预埋件安装装置
CN112281637A (zh) * 2020-11-04 2021-01-29 武汉大学 一种抗震墙面加筋土桥台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965B1 (ko) 강재가 콘크리트의 자중을 부담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102120647B1 (ko)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101021854B1 (ko) 하프 프리캐스트 합성 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JP3899366B1 (ja) 箱抜き用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箱抜き工法
KR101401467B1 (ko) 바이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유형 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CN110593311A (zh) 一种后浇带混凝土临时支撑柱
CN103249899A (zh) 自加固式砌筑块、由自加固式砌筑块制成的墙和用于制造自加固式砌筑块的方法
KR101098693B1 (ko) 단부판을 가지는 보강 철근을 이용한 보-기둥 접합 부분에서의 내진 성능 향상 구조를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 구조물
CN106760487B (zh) 一种现浇混凝土外墙防开裂挂板施工方法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JP4304039B2 (ja) 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杭上部せん断補強構造
JP6322490B2 (ja) 分断材および現場造成杭の杭頭処理方法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CN111139973A (zh) 一种装配式免拆卸模板预制混凝土柱及其制备工艺
JP2009114662A (ja) コンクリート一体型構真柱
JP6297828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200329142Y1 (ko)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의 무파쇄 두부 보강구조
JP6424044B2 (ja) 補強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耐震構造物
KR200407184Y1 (ko) 피씨플레이트
SE541721C2 (en) Pool of polypropylene, containing a bottom, walls and a collar
KR100631031B1 (ko) 피씨플레이트 및 그 피씨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의 슬래브시공방법
CN217106439U (zh) 一种清水红砖葫芦瓶栏杆的结构
JP2018199941A (ja) 軽量盛土構造、および軽量盛土の構築方法
CN212001877U (zh) 一种预制件生产用免拆模模块及包含该模块的预制件
CN107288028A (zh) 大体积混凝土结构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