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285B1 -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285B1
KR102120285B1 KR1020190072118A KR20190072118A KR102120285B1 KR 102120285 B1 KR102120285 B1 KR 102120285B1 KR 1020190072118 A KR1020190072118 A KR 1020190072118A KR 20190072118 A KR20190072118 A KR 20190072118A KR 102120285 B1 KR102120285 B1 KR 102120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partition
seating
main body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열
Original Assignee
신일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공영(주) filed Critical 신일공영(주)
Priority to KR102019007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8Partitions for clean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중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는, 칸막이의 단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안착홈에 밀착되도록 일단에 안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바닥부 없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설치홈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안착부재에 지지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안착부재에서 승강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린룸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을 설치할 때, 칸막이의 하부와 설치면과의 공간을 몸체부재의 하부에서 출몰하는 안착부재를 높이 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마감하여 바닥면이 고르지 않거나 도어나 창의 줄눈 크기가 달라도 제품의 시공이 우수하면서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FINISHING METHOD AND APPARATUS OF PARTITION LOWER}
본 발명은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린룸 등에 칸막이를 설치할 때 칸막이의 하부를 마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룸, 항온항습실, 수술실, 실험실 등의 구조물 천장 및 벽체 부재로 사용되는 칸막이는 샌드위치 판넬(Sandwich panel)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샌드위치 판넬은 통상적으로 일정한 모양으로 철판을 성형 가공시키고 그 안에 단열재를 넣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칸막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과정에서 구조물의 바닥면에 걸레받이를 고정한 다음 걸레받이에 칸막이를 차례로 끼워 마감하는데, 걸레받이가 고정되는 바닥면은 정확히 수평을 이루고 있지 않아 그대로 걸레받이를 고정한 다음 칸막이를 시공하면 걸레받이에 끼워지는 칸막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천장에 칸막이의 상단을 일치시키는데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기울기가 심한 경우에는 칸막이를 시공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이렇게, 건물의 바닥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더라도 걸레받이를 수평상태로 조절한 다음 걸레받이에 칸막이를 시공하는 기술이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0-000894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칸막이판넬과 하부 고정부재와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높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 높낮이를 조절하는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0-0008942호(1990.09.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클린룸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을 설치할 때, 칸막이의 하부와 설치면과의 공간을 높이 조절을 통해 마감하여 시공이 우수하면서 미관이 미려한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는, 칸막이의 단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안착홈에 밀착되도록 일단에 안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바닥부 없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설치홈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안착부재에 지지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안착부재에서 승강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와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선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단부와 이와 대향된 상기 안착부재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
Figure 112019062149961-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설치홈이 형성된 격벽의 하부에 이격 형성된 텐션돌기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도록 이격된 상단에 상측 절곡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가압 돌출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단부 가압시 상기 가압 돌출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안착부재의 대향된 내벽면을 가압하도록 하측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림부가 설치면까지 이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은, a) 설치면에 안착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 b) 상기 안착부재의 내부에 가압부재를 위치시켜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높이 조절부재가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를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안착부재에 본체부재를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높이 조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안착부재로부터 상기 본체부재를 설정 높이까지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재의 수평을 맞추는 단계; 및 d) 상기 본체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칸막이의 단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안착홈을 결합시켜 상기 본체부재 상에 칸막이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 수행시 상기 본체부재의 외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림부를 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는 칸막이의 단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안착홈에 밀착되도록 일단에 안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바닥부 없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재(210); 상기 본체부재(210)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220); 상기 설치홈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안착부재에 지지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안착부재(220)에서 승강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재(240); 및 상기 높이 조절부재(240)의 단부와 이와 대향된 상기 안착부재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230)는 대향된 내벽면과 본체부재(210)의 하단 대향된 내벽면을 서로 지지하여 상승되는 본체부재(21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고, 대향된 상단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측 절곡부(232); 상기 상측 절곡부(232)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대향된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 돌출부(234); 및 상기 가압 돌출부(234)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는 높이 조절부재(240)가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높이 조절부재(240)의 관통시 하측방으로 가압력을 발휘하여 상기 가압 돌출부(234)가 측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 단면 형상의 하측 절곡부(236);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재(210)의 하면에는 상측 절곡부(232)가 본체부재(210)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텐션을 발휘하는 텐션돌기(216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린룸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을 설치할 때, 칸막이의 하부와 설치면과의 공간을 몸체부재의 하부에서 출몰하는 안착부재를 높이 조절부재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마감하여 바닥면이 고르지 않거나 도어나 창의 줄눈 크기가 달라도 제품의 시공이 우수하면서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칸막이 하부 마감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칸막이 하부 마감 장치에서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칸막이 하부 마감 장치에서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칸막이 하부 마감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칸막이 하부 마감 장치에서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칸막이 하부 마감 장치에서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100)는 본체부재(110), 안착부재(120), 가압부재(130), 높이 조절부재(140) 및 가림부(150)를 포함하며, 클린룸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체를 설치할 때 칸막이(10)와 설치면과의 사이 공간을 마감하는 장치이다.
이때, 칸막이(10)의 저면에는 하부에 안착홈(14)이 대향되게 경사 형성된 프레임(12)으로 마감되어 있다.
본체부재(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전후가 관통 형성되면서 상부에는 안착돌기(112)가 형성되고, 안착돌기(112)의 하측에 고정턱(114)이 형성되고, 고정턱(114)의 하측에 격벽(116)이 형성되며, 하단은 바닥부 없이 개구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재(110)는 안착돌기(112), 고정턱(114) 및 격벽(116)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면이 "H"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압출 성형된다.
안착돌기(112)는 프레임(12)에 형성된 안착홈(14)의 내벽면 양쪽에 밀착되도록 본체부재(110)의 상부에 한 쌍이 대칭 상태로 경사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돌기(112)의 상단 간격이 안착홈(14)과 동일하게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 형성되어 칸막이(10)를 본체부재(110) 상에 안착시킬 때 프레임(12)에 형성된 안착홈(14)의 하단으로의 진입이 용이하고, 삽입되면 될수록 서로의 중심이 자연스럽게 맞춰진다.
고정턱(114)은 본체부재(110)의 대향된 내벽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14a)가 삽입되게 한다.
이때, 지지부(114a)는 금속재 등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재(110)의 상부가 칸막이(10)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격벽(116)은 본체부재(110)의 대향된 내벽면에 횡방향으로 일체 형성되며,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설치홈(116a)이 일체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홈(116a)은 높이 조절부재(140)가 나선 체결되도록 구비된 체결부(118)가 삽입되는 홈으로, 대향된 상단이 중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체결부(118)가 높이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체결부(118)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나선홀이 형성되어 나선홀에 나선 체결된 높이 조절부재(140)를 회전시키면 높이 조절부재(140)와의 체결 정도가 조절된다.
안착부재(120)는 단면이 "
Figure 112019062149961-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압출 성형되고, 본체부재(110)의 하부 안쪽에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지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즉, 안착부재(120)는 바닥부 없이 개구 형성된 본체부재(110)의 하부에 삽입되어 대향된 외측벽을 따라 본체부재(110)의 하측 내측벽이 접촉한 상태로 승강하게 된다.
가압부재(130)는 단면이 "
Figure 112019062149961-pat00003
"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압출 성형되며, 양쪽 하부가 안착부재(120)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가압부재(130)는 상면에 높이 조절부재(140)의 하단이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으므로 높이 조절부재(140)를 회전시켜 체결부(118)와의 체결 정도에 따라 본체부재(11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높이 조절부재(140)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설치홈(116a) 내에 설치된 체결부(118)에 나선 체결되어 설치홈(116a)을 관통한 하단이 가압부재(130)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부재(110)가 안착부재(120)에서 승강되도록 한다.
한편, 높이 조절부재(140)는 저면은 가압부재(13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이고, 상측은 체결부(118)에 의해 나선 체결된 상태이므로 칸막이(10)의 자중에 의해 풀림이 방지된다.
가림부(150)는 비닐시트 등이 이에 적용되며, 본체부재(11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면서 바닥 공사를 위해 설치면까지 이어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가림부(150)는 본체부재(110)의 외측벽을 가려 기존의 에폭시 페인트 등으로 바닥을 마감하였을 때 보다 마감 정도가 깔끔하게 하면서 노출을 방지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칸막이 하부 마감 장치(200)는 본체부재(210), 안착부재(220), 가압부재(230), 높이 조절부재(240) 및 가림부(250)를 포함하며, 안착부재(220), 높이 조절부재(240) 및 가림부(250)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더욱이, 본체부재(210)는 상부에 설치홈(216a)이 형성된 격벽(216)의 하부에 텐션돌기(216b)가 설치되는 것만 제외하고 나머지 구조는 동일한다.
텐션돌기(216b)는 중간지점이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어 본체부재(210)의 하부 내벽면과의 사이에 가압부재(230)의 대향된 상단에 형성된 상측 절곡부(232)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즉, 텐션돌기(216b)는 절곡된 모서리가 가압부재(230)의 대향된 상단 내벽면을 본체부재(210)의 하부 내벽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본체부재(210)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가압부재(230)는 단면이 "
Figure 112019062149961-pat00004
"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대향된 내벽면과, 본체부재(210)의 하단 대향된 내벽면을 서로 지지하여 상승되는 본체부재(21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며, 대향된 상단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측 절곡부(232)와, 대향된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 돌출부(234), 및 하부에 하측 절곡부(236)가 형성된다.
상측 절곡부(232)는 본체부재(210)의 하부 내벽면과 이와 대향된 텐션돌기(216b)의 절곡된 모서리 사이에 위치되어, 텐션돌기(216b)의 텐션에 의해 본체부재(210)의 하부 내벽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가압 돌출부(234)는 높이 조절부재(240)에 의해 하측 절곡부(236)의 중심부가 눌려지면 변형되면서 안착부재(220)의 내벽면에 각각 가압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가압 돌출부(234)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벽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안착부재(220)의 대향된 내벽면에도 맞물릴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가압부재(230)의 위치가 고정 가능하다.
하측 절곡부(236)는 가압 돌출부(234)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이 조절부재(2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하측 절곡부(236)는 가압 돌출부(234)가 가압부재(230)의 양측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결국, 본체부재(210)를 안착부재(220)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해 높이 조절부재(240)를 회전시키면 높이 조절부재(240)의 저면이 안착부재(120)를 밀면서 본체부재(2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 고정 단계(S10), 본체부재 안착 단계(S20), 본체부재 수평 조절 단계(S30) 및 칸막이 적층 단계(S40)를 포함한다.
안착부재 고정 단계(S10)는 설치면에 단면이 "
Figure 112019062149961-pat00005
" 형상으로 형성된 길이 방향의 안착부재(120)를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본체부재 안착 단계(S20)는 안착부재(120) 상에 본체부재(110)를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본체부재(110)는 안착돌기(112) 및 지지부(114a)와 체결부(118)가 설치되도록 설치홈(116a)이 형성된 격벽(116)이 형성된다.
더욱이, 본체부재(110)는 바닥부 없이 개구 형성된 하단 내부에 단면이 "
Figure 112019062149961-pat00006
"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부재(120)를 위치시킨 후 안착부재(120)의 내부에 단면이 "
Figure 112019062149961-pat00007
"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부재(130)를 위치시켜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높이 조절부재(140)가 격벽(116)의 설치홈(116a)에 설치된 체결부(118)에 나선 체결되면서 높이 조절부재(140)의 하단이 가압부재(13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더욱이, 본체부재(110)의 대향된 내벽면에 형성된 고정턱(114)에 판상의 지지부(114a)가 결합되어 본체부재(110)의 상부가 칸막이(10)의 무게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본체부재(110)의 외측벽에 본체부재(110)를 가려 기존의 에폭시 페인트 등으로 바닥을 마감하였을 때 보다 마감 정도가 깔끔하게 하면서 노출을 방지하도록 가림부(150)가 구비된다.
본체부재 수평 조절 단계(S30)는 높이 조절부재(140)를 회전시켜 본체부재(110)를 안착부재(120)로부터 설정 높이까지 승강시켜 본체부재(110)의 수평을 맞추는 단계이다.
즉, 본체부재 수평 조절 단계(S30)는 본체부재(11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높이 조절부재(14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 조절부재(140)가 설치홈(116a) 내에 설치된 체결부(118)에 나선 체결되면서 설치홈(116a)을 관통한 하단이 가압부재(130)의 상면에 지지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부재(110)가 안착부재(120)에서 승강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한편, 본체부재 수평 조절 단계(S30) 수행시 본체부재(110)의 외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림부(150)가 연동되면서 본체부재(110)와 안착부재(120)를 가리게 된다.
칸막이 적층 단계(S40)는 수평이 맞춰진 본체부재(110) 상에 칸막이(10)를 적층시키는 단계로, 세부적으로는 본체부재(110)의 상단에 대향 형성된 안착돌기(112)에 칸막이(10)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2)의 안착홈(14)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칸막이 12: 프레임
14: 안착돌기 100, 200: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
110, 210: 본체부재 112, 212: 안착돌기
114, 214: 고정턱 116, 216: 격벽
116a, 216a: 설치홈 118, 218: 체결부
120, 220: 안착부재 130, 230: 가압부재
140, 240: 높이 조절부재 1 50, 250: 가림부

Claims (7)

  1. 칸막이의 단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안착홈에 밀착되도록 일단에 안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바닥부 없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설치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재(210);
    상기 본체부재(210)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가 지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220);
    상기 설치홈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안착부재에 지지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안착부재(220)에서 승강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재(240); 및
    상기 높이 조절부재(240)의 단부와 이와 대향된 상기 안착부재의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압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230)는
    대향된 내벽면과 본체부재(210)의 하단 대향된 내벽면을 서로 지지하여 상승되는 본체부재(21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고,
    대향된 상단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측 절곡부(232);
    상기 상측 절곡부(232)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대향된 하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 돌출부(234); 및
    상기 가압 돌출부(234)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며, 중앙에는 높이 조절부재(240)가 관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높이 조절부재(240)의 관통시 하측방으로 가압력을 발휘하여 상기 가압 돌출부(234)가 측방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 단면 형상의 하측 절곡부(236);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재(210)의 하면에는 상측 절곡부(232)가 본체부재(210)의 하부 내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텐션을 발휘하는 텐션돌기(216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와 나선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선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구비되는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림부가 설치면까지 이어지도록 구비되는 칸막이 하부 마감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90072118A 2019-06-18 2019-06-18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KR102120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18A KR102120285B1 (ko) 2019-06-18 2019-06-18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18A KR102120285B1 (ko) 2019-06-18 2019-06-18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285B1 true KR102120285B1 (ko) 2020-06-09

Family

ID=7108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18A KR102120285B1 (ko) 2019-06-18 2019-06-18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2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942A (ko) 1988-12-29 1990-07-02 롱-쁠랑 아그로시미 아졸릴메틸시클로펜탄 벤질리덴 살균제
KR950009075U (ko) * 1993-09-09 1995-04-19 칸막이용 경량판넬의 수평조절장치
JP2000008520A (ja) * 1998-06-25 2000-01-11 Showa Alum Corp 高さ調整自在な幅木
KR20110000380U (ko) * 2009-07-07 2011-01-13 신일공영(주) 벽 판넬의 높은 베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942A (ko) 1988-12-29 1990-07-02 롱-쁠랑 아그로시미 아졸릴메틸시클로펜탄 벤질리덴 살균제
KR950009075U (ko) * 1993-09-09 1995-04-19 칸막이용 경량판넬의 수평조절장치
JP2000008520A (ja) * 1998-06-25 2000-01-11 Showa Alum Corp 高さ調整自在な幅木
KR20110000380U (ko) * 2009-07-07 2011-01-13 신일공영(주) 벽 판넬의 높은 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5390A (en) Wall panel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thereof
KR102120285B1 (ko) 칸막이 하부 마감방법 및 장치
JP2778514B2 (ja) 間仕切壁
EP1377713B1 (en) Facade cladding frame
KR101834186B1 (ko) 벽 판넬 고정 베이스
KR20220140949A (ko) 파티션 받침대
JP2624448B2 (ja) 改窓方法
JP4031417B2 (ja) グレーチング装置、およびサッシ窓
KR20050120191A (ko) 미닫이문
KR200484794Y1 (ko) 틈새 방지구조를 갖는 칸막이 시공용 베이스
JP3118431U (ja) 保持部材及び転倒防止用家具
KR102638913B1 (ko) 천정의 마감패널 고정을 위한 박형 프레임 구조
JPS6313347Y2 (ko)
JP2008019677A (ja) 床下収納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963827B2 (ja) 変形防止具
KR20200125208A (ko) 분합창의 창틀 하부 지지장치
JP3225825U (ja) 移動式間仕切り構造
KR101575928B1 (ko) 패널 구멍 커버
KR20060003675A (ko) 연결지지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JP2009121155A (ja) 建具構造
KR20170001415U (ko) 창호 시공용 고정 브래킷
JPH08120894A (ja) 接合金具
JPS6326501Y2 (ko)
JP2849726B2 (ja) 建築物における内壁パネル
JPS623688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