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100B1 -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100B1
KR102120100B1 KR1020130015377A KR20130015377A KR102120100B1 KR 102120100 B1 KR102120100 B1 KR 102120100B1 KR 1020130015377 A KR1020130015377 A KR 1020130015377A KR 20130015377 A KR20130015377 A KR 20130015377A KR 102120100 B1 KR102120100 B1 KR 10212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team
water
cours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016A (ko
Inventor
김흥기
김재문
이길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100B1/ko
Priority to EP13173519.3A priority patent/EP2767630B1/en
Priority to EP19198436.8A priority patent/EP3623522B1/en
Priority to EP13173516.9A priority patent/EP2767629B1/en
Priority to ES13173516.9T priority patent/ES2564024T3/es
Priority to PL13173516T priority patent/PL2767629T3/pl
Priority to AU2013219179A priority patent/AU2013219179B2/en
Priority to AU2013219178A priority patent/AU2013219178B2/en
Priority to RU2013140188/12A priority patent/RU2555647C2/ru
Priority to RU2013140189/12A priority patent/RU2557727C2/ru
Priority to BR102013022218A priority patent/BR102013022218B8/pt
Priority to US14/019,213 priority patent/US9896796B2/en
Priority to BR102013022742-0A priority patent/BR102013022742B1/pt
Priority to US14/029,524 priority patent/US10227722B2/en
Priority to JP2013204289A priority patent/JP6347931B2/ja
Priority to JP2013204756A priority patent/JP6441560B2/ja
Priority to CN201310743553.1A priority patent/CN103981675B/zh
Priority to CN201310744433.3A priority patent/CN103981676B/zh
Publication of KR2014010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016A/ko
Priority to US16/281,883 priority patent/US1118693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팀을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포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가열하는 세탁 히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박스를 거쳐 상기 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세탁수 유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드럼 내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터브 내부로 직접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세탁수 유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코스 선택부; 그리고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제1세탁수 유로와 제2세탁수 유로를 택일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laundry machine and a control meht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팀을 발생시켜 사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포에서 오염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세탁수에 용해된 세제를 통한 화학적 작용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으며, 세탁수의 기계적 작용 또는 내조(드럼)의 구동에 의한 기계적 작용에 의해서 오염물을 분리할 수 있다.
건조기는 세탁포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즉, 세탁포에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포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세탁장치는,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세탁 겸 건조기를 포함한다. 세탁 겸 건조기도 마찬가지로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겸 건조기도 세탁기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포가 수용되는 드럼이 수평축을 기준으로 구동되어 세탁이 수행되는 수평축 세탁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평축 세탁장치는 드럼 구동을 통해 세탁포에 기계적인 에너지를 가하여 오염물을 분리한다.
수평축 세탁기의 세탁 환경은, 세탁포가 완전히 세탁수에 잠기지 않은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작용의 대부분은 세탁포들 사이의 마찰, 세탁포와 드럼의 마찰, 세탁포에 가해지는 충격력 등을 통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을 통해 세탁이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세탁장치는 세탁포가 수용되는 내조가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내조 내의 펄세이터가 회전하여 세탁이 수행되는 수직축 세탁장치를 포함한다. 수직축 세탁장치도 마찬가지로, 내조 또는 펄세이터의 구동을 통하여, 세탁포에 기계적인 에너지를 가하여 오염물을 분리하다.
수직축 세탁기의 세탁 환경은, 세탁포가 완전히 세탁수에 잠길 수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작용은 대부분 물살과 세탁포 사이의 마찰이나 충격력 등을 통하여 발생되고, 이러한 기계적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도 세제에 의한 화학적 작용을 통해 세탁이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축 세탁기와 수평축 세탁기는 사용하는 세탁수의 양과 세탁 메커니즘에 큰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평축 세탁기와 수직축 세탁기 어느 경우나,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세탁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수의 가열은, 세제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세탁 효과를 높이고, 고온을 통해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히터를 구동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설정 온도까지 높이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즉, 세탁수의 수온을 상승시켜 세탁 효과를 높이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도 고온의 세탁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세탁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즉, 스팀을 발생시킨 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세탁 환경을 고온 다습하게 만들어,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세탁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상기 세탁장치는, 물 세탁과 함께 스팀을 이용하는 스팀 세탁 코스를 통해, 세탁 효과를 높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장치는 별도의 스팀발생기를 구비하기 때문에 원가의 상승과 제어의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왜냐하면, 스팀발생기는 일반적인 세탁 히터와는 별도로,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 히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별도의 스팀발생기를 배제하고 세탁 히터를 이용하는 세탁장치가 시도되고 있다.
스팀은 비등점 이상으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팀발생기를 갖는 세탁장치는, 물을 비등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은 비등점 미만으로 물을 가열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팀발생기가 배제되고 세탁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는, 물을 비등점 미만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켜 이를 이용하는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세탁 히터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세탁장치에서는, 터브 내부에서 스팀이 발생된다. 즉, 상대적으로 큰 공간에서 스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히터를 통해 비등점 미만으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세탁 히터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세탁장치에서는, 구조적인 한계에 의해서 주로 물 세탁 수행 시에 스팀을 사용하게 된다.
스팀은, 물 세탁에서 세탁 효과의 증진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세탁포의 리프레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건조기와 같은 세탁장치에서 리프레시 코스가 제공될 수 있다.
건조기에서의 스팀은, 세탁 효과의 증진보다는 주름 제거, 냄새 제거 등과 같이 세탁포를 리프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탁장치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에는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는 세탁 히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세탁수는 터브(20)의 바닥면에서부터 점차 수위가 상승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 히터(60)는 터브의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20)의 내에는 드럼(30)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드럼(30) 내부에 세탁포가 수용되며, 구동장치(71, 72)를 통해, 드럼(30)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30)의 구동을 통해, 세탁이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71)의 구동이 직접 상기 드럼(30)의 구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일반적으로 직결식 모터 구조라 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71)의 회전이 풀리(72)를 통해 드럼(30)의 구동으로 전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드럼(30)의 구동 등으로 인해, 상기 터브(20)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20)는 캐비닛(21)에 대하여 댐퍼(21) 등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전방에는, 도어(40)가 구비되며, 도어(40)의 후방에는 가스켓(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50)은 캐비닛(10)과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20)의 전방은 가스켓(50)을 통해 캐비닛(10)에 탄성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탁수가 급수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장치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80)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수단(80)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급수밸브(81), 세탁수 유로(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 유로(82)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8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제박스(83)는 공급유로(84)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밸브(81)가 개방되면, 외부의 물이 세탁수 유로(82), 세제박스(83) 그리고 공급유로(84)를 거쳐 드럼(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유로(84)는 상기 가스켓(50)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유로(84)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제는 대부분 드럼(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에는 복수 개의 통공(31)이 구비된다. 상기 통공(31)을 통해 상기 드럼(30) 내부는 상기 터브(20) 내부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20)의 하부에는 히터 장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홈(22)의 상기 터브(20)의 최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홈(22)에 세탁 히터(60)가 장착되기 때문에, 최소의 수위로도 상기 세탁 히터(60)가 항상 세탁수에 잠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착홈(22)은 배수 유로(23)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터브(20) 내부의 세탁수는 상기 히터 장착홈(22)과 배수 유로(23)를 거쳐, 세탁장치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히터(60)를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은 물 세탁을 전제로 함이 일반적이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세탁장치의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을 위한 세탁수와 세제는 드럼(30) 내부로 공급된다. 즉, 급수가 수행되면, 세탁수와 세제는 드럼(30)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포를 적시게 된다. 그리고, 일부의 세탁수와 세제는 드럼(3)의 통공(31)을 통해 터브(20)의 하부부터 고이게 된다.
급수가 계속됨에 따라, 세탁수의 수위는 점차 높아지게 되고, 이러한 급수는 설정 수위까지 진행된다.
특히, 수평축 세탁기의 경우 수직축 세탁기와는 달리 설정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다. 다시 말하면, 세탁포가 완전히 세탁수에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포를 빨리 적시기 위해, 세탁수와 세제가 세탁포에 직접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탁 히터를 사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드럼 내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필연적으로 세탁수 공급은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포의 적어도 일부를 적셔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스팀 이용은 물 세탁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스팀을 다양하게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프레시만을 위하여 스팀을 이용하는 데 많은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로 리프레시되는 세탁포의 함습량이 매우 높아, 리프레시 후에도 별도의 건조 과정이 수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에서의 리프레시는 단순히 세탁포에 스팀을 이용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즉, 세탁포에 전체적이고 균일하게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서, 드럼을 텀블링시키는 수준에 머물렀다. 따라서, 스팀의 발생과 공급 구조, 스팀의 온도 그리고 드럼의 구동 사이에서의 최적의 관계를 도출하여, 보다 효과적인 리프레시가 수행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리프레시 종료 후 후속되어야 하는 건조 과정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리프레시가 가능한 세탁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즉, 건조기를 통한 건조나 자연 건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리프레시 종료 후 불편함이나 불쾌감이 없는 상태에서 바로 리프레시된 의류를 착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세탁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에 따라 세탁수의 공급 위치를 달리 제어하여, 선택되는 코스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스팀을 이용한 세탁 효과의 증진뿐만 아니라 스팀을 이용한 리프레시가 가능한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세탁 히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스팀의 발생 및 공급이 가능한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세탁 히터를 이용하여 스팀 단계와는 별도의 세탁수 히팅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세탁수의 급수를 통한 강제 냉각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구김제거 효과와 냄새 제거 효과가 현저히 증진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성이 증진된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리프레시 종료 후 별도의 건조 과정을 생략하고, 리프레시된 의류를 바로 착용할 수 있을 정도로 리프레시 성능이 구현되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포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가열하는 세탁 히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박스를 거쳐 상기 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세탁수 유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드럼 내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터브 내부로 직접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세탁수 유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코스 선택부; 그리고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제1세탁수 유로와 제2세탁수 유로를 택일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세탁수 유로를 개폐하는 제1급수밸브와 상기 제2세탁수 유로를 개폐하는 제2급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밸브와 상기 제2급수밸브는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세탁수 유로와 제2세탁수 유로는 서로 다른 위치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세탁수 유로는,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유로임이 바람직하다. 즉, 터브와 드럼 사이의 공간을 통해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세탁수 유로를 통해, 세탁수가 상기 드럼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기 터브 하부로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세탁수 유로와 연결되는 후방 급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세탁수 유로는, 상기 후방 급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내부에서 낙하하는 시간 동안 냉각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급수구는,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드럼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 후면을 타고 상기 터브 하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열전달 면적을 더욱 넓혀 보다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는, 스팀 단계가 수행되는 세탁 코스(스팀 코스)와 스팀 단계의 수행이 배제되는 세탁 코스(스팀 배제 코스)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배제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1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배제 코스는 기본적으로 세탁수를 세탁포에 공급하여 물 세탁하는 본 세탁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코스는, 스팀 단계와 세탁수를 통한 물세탁이 수행되는 본 세탁 단계를 포함하는 스팀 세탁 코스; 그리고 스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 세탁 단계가 배제되어, 스팀을 통하여 세탁물을 리프레시시키는 리프레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세탁 코스의 스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프레시 코스의 스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팀 단계가 포함되는 스팀 코스라 할지라도,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탁수 공급 유로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단계는, 상기 드럼의 저면보다 낮은 기설정된 스팀 수위에서 상기 세탁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임이 바람직하다. 즉, 드럼 내부의 세탁포가 세탁수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리고 드럼 내부의 세탁포가 세탁수에 접촉되지 않도록 세탁 히터를 구동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수위는, 상기 세탁 히터가 완전히 잠기는 수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단계에서, 상기 히터의 구동 시점부터 상기 히터의 구동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정지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가변되며, 상기 세탁 히터의 용량과 상기 스팀 수위에서의 세탁수의 양을 고려하여, 상기 시간 구간의 최대 허용값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 구간은, 기설정된 온도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세탁 히터가 구동되는 온도 제어 구간; 그리고 상기 온도 제어 구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세탁 히터가 구동되는 시간 제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제어 구간에서의 기설정된 온도는, 섭씨 93도 이상 섭씨 97도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온도는 대략 섭씨 95도일 수 있다.
상기 리프레시 코스는, 급수 종료 후, 세탁수를 가열하여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단계; 그리고 상기 스팀 단계 후 상기 드럼을 구동하여 상기 세탁포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스팀 단계와 리프레시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단계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필트레이션 구동) 구간이 교대로 수행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 구간으로 이루어진 드럼 구동 사이클은 복수 회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시 단계에서, 상기 텀블링 구동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스핀 구동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10배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단계의 종료 후,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기설정된 재급수 수위까지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급수 수위는, 스팀 단계를 위한 스팀 수위보다는 높고 상기 드럼의 저면보다는 낮은 수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단계에서, 상기 드럼이 텀블링 구동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포에 스팀을 공급하여 세탁포의 구김 제거 또는 완화를 위한 리프레시 코스를 수행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코스 선택 단계; 상기 코스 선택 단계에서, 상기 리프레시 코스가 선택되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드럼 내부를 거치지 않고, 스팀 발생을 위한 스팀 수위까지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스팀 급수 단계; 터브 하부에 구비되는 세탁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고, 상기 스팀 수위에서의 세탁수로부터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단계; 상기 스팀 단계 후, 상기 드럼의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 구간이 교대로 수행되어, 세탁포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시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는 본 세탁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여 물 세탁하는 세탁이 수행되는 물세탁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세탁 코스는 본 세탁 수위까지 급수한 후 히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 히팅 가능 코스와 상기 히팅 단계가 배제되는 히팅 배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세탁 수위는, 세탁포의 양(포량)과 선택되는 물세탁 코스와 무관하게, 상기 스팀 수위보다는 항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세탁 수위까지의 급수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박스를 거쳐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급수는, 상기 터브의 후측 상부에 구비되는 후방 급수구를 통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단계에서, 상기 히터의 구동 시점부터 상기 히터의 구동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정지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가변되며, 상기 세탁 히터의 용량과 상기 스팀 수위에서의 세탁수의 양을 고려하여, 상기 시간 구간의 최대 허용값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 구간은, 기설정된 온도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세탁 히터가 구동되는 온도 제어 구간; 그리고 상기 온도 제어 구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세탁 히터가 구동되는 시간 제어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제어 구간에서의 기설정된 시간은 최대로 허용될 수 있는 최대 허용값일 수 있다. 즉, 최대로 수행될 수 있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제어 구간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스팀 단계에서의 최대 허용값이 기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시간 제어 구간의 소요 시간은 짧아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온도 제어 구간에서의 기설정된 온도는, 섭씨 93도 이상 섭씨 97도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설정된 온도는 섭씨 95도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레시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 구간으로 이루어진 드럼 구동 사이클은 복수 회 반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한, 다른 실시예들에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에 따라 세탁수의 공급 위치를 달리 제어하여, 선택되는 코스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스팀을 이용한 세탁 효과의 증진뿐만 아니라 스팀을 이용한 리프레시가 가능한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세탁 히터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스팀의 발생 및 공급이 가능한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세탁 히터를 이용하여 스팀 단계와는 별도의 세탁수 히팅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세탁수의 급수를 통한 강제 냉각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구김제거 효과와 냄새 제거 효과가 현저히 증진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안전하고 신뢰성이 증진된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리프레시 종료 후 별도의 건조 과정을 생략하고, 리프레시된 의류를 바로 착용할 수 있을 정도로 리프레시 성능이 구현되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장치의 간략한 측단면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세탁장치의 간략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간략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탁장치의 간략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간략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 플로우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와 온도 변화 그래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팀 단계에서의 온도 변화 그래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리프레시 단계 종료 후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냉각 단계에서의 온도 변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세탁장치의 일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세탁장치는 수평축 세탁장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반드시 수평축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기본적인 구성들은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장치와 유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캐비닛(100), 터브(200), 드럼(300), 도어(400), 가스켓(500), 세탁 히터(600), 구동장치(710, 720)와 같은 구성들은 종래의 일반적인 세탁장치와 유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댐퍼(210) 등과 같은 서스펜션 구조들도 종래의 세탁장치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제1세탁수 유로(150)와 제2세탁수 유로(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세탁수 유로(150)와 제2세탁수 유로(160)는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세탁수 유로(150)와 제2세탁수 유로(160)는 모두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탁장치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외부 호스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세탁장치 내부에서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해 목표하는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세탁수 유로(150)와 제2세탁수 유로(160)는 터브(20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어느 유로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더라도, 세탁수는 터브(200)의 하부에서부터 저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급 경로의 차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제1세탁수 유로(15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박스(153)를 거쳐 드럼(300)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세탁수 유로(150)는 제1급수밸브(1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급수밸브(151)와 상기 세제박스(153)를 연통시키는 제1급수호스(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밸브(151)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급수밸브(151)가 개방되면, 상기 제1세탁수 유로(150)가 개방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급수밸브(151)가 개방되면, 상기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세탁수 유로(150)는 세제박스(153)와 드럼(300)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공급호스(1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공급호스(154)는 가스켓(500)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급수호스(154)를 통해 세탁수가 직접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급수호스(154)는 도어(400)의 상부에 위치되므로, 세탁수는 드럼 하면에 수용되는 세탁포의 상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1공급호스(154)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탁포의 적어도 일부분을 적시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는, 도 4에 도시된 드럼의 통공(310)들을 통해서 터브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결국, 제1세탁수 유로(15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박스(153)을 거쳐 상기 드럼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드럼의 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유로라 할 수 있다. 물론, 제1세탁수 유로(150)는 드럼 내부에서부터 드럼의 통공(310)을 통하여, 터브(200) 하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급수 초기부터 세탁포가 적셔진다. 따라서, 빠른 포적심을 통해 세탁 시간의 단축 및 세탁 효과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1세탁수 유로(150)와는 별개로 제2세탁수 유로(1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다른 경로를 갖고 세탁수를 공급하는 병렬적인 세탁수 유로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세탁수 유로(16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드럼(300)의 내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터브(200) 내부로 직접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세탁수 유로(1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세탁수 유로(160)는 제2급수밸브(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급수밸브(161)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급수밸브(161)가 개방되며, 상기 제2세탁수 유로(160)가 개방되어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밸브(161)는 상기 제1급수밸브(151)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자의 제어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양자의 동시 개방 그리고 어느 하나만을 선택해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하게 된다. 즉, 제1세탁수 유로(150)와 제2세탁수 유로(160)의 택일적 개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세탁수 유로(160)는 제2공급호스(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공급호스(162)는 상기 제2급수밸브(161)와 연결되어, 상기 제2급수밸브(161)가 개방되면, 세탁수를 터브(200)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공급호스(162)가 터브(200)와 연통되는 위치는 상기 제1공급호스(164)가 터브(300) 또는 드럼(200)과 연통되는 위치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세탁수를 공급하는 위치가 달라지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공급호스(162)는 드럼(200)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터브(200)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공급되는 세탁수가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포와 닿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공급호스(162)는 후방 급수구(163)과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세탁수 유로(160)는 상기 후방 급수구(163)를 통해 터브(20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급수구(163)는 터브(2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브(20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급수구(163)는 드럼의 최후방보다 더욱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후방 급수구(163)를 통해 급수되는 세탁수는 드럼(300)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2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유입되는 세탁수는 터브(200)의 하측에 저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급수구(163)의 위치로 인해,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탁포를 적시지 않고 터브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 급수구(163)의 위치와 형상은 터브(200)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방 급수구(163)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상기 터브(200)의 후면을 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후방 급수구(163)는 상기 터브(200)의 후면의 바로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급수구(163)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후방 급수구(163)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터브(200)의 후면을 타고 상기 터브(200)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후방 급수구(163), 도시된 바와 달리 더욱 터브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더욱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후방 급수구(163)의 위치와 세탁수의 공급 방향은, 전술한 바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목적과 효과를 갖도록 의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다른 세탁장치의 블럭도이다.
세탁장치의 작동은 제어부(805)를 통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805)는 일반적으로 컨트롤 패널(800, 도 6 참조)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은 일반적으로, 세탁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과 상태 표시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컨트롤 패널(800)에 구비되는 코스 선택부(810) 등과 같은 각종 UI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반하여 세탁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코스 선택부(810)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와 미도시된 옵션 선택부를 통해 선택되는 옵션에 따라, 세탁장치가 작동을 하게 된다.
선택된 코스와 옵션에 대한 정보, 시간 정보 그리고 현재 상태 정보들은 상기 제어부(805)의 제어를 통해, 미도시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제1급수밸브(151)과 제2급수밸브(16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들(151, 161)의 제어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5)는 이러한 급수밸브들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는 위치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세탁 히터(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히터(6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세탁수가 원하는 온도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세탁 히터(6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모터(7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710)의 제어를 통해, 모터의 구동 시점과 모터의 구동 패턴(예를 들어, 드럼의 텀블링 구동, 드럼의 스핀 구동, 드럼의 탈수 구동 등)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텀블링 구동은, 드럼의 회전으로 드럼 내부의 세탁포가 낙하하는 드럼 구동을 의미한다. 상기 스핀 구동은, 드럼의 고속 회전으로 드럼 내부의 세탁포가 드럼 내면에 밀착하여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구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핀 구동에서의 드럼의 회전 속도는 텀블링 구동에서의 드럼의 회전 속도보다는 커야 한다.
상기 탈수 구동은 상기 스핀 구동과 유사하나, 상기 스핀 구동에서의 드럼 회전 속도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탈수 구동은 원심력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동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805)는 배수 펌프(6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가 필요한 시점에 배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수위센서(630)와 온도센서(610)에 항상 신호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들(630, 610)을 통해서 특정 시점에서 원하는 수위 정보와 온도 정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5)는 상기 수위센서(630)에서 공급되는 수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급수밸브들(151, 16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하는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05)는 상기 온도센서(610)에서 공급되는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세탁 히터(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된 세탁수의 온도를 목표하는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컨트롤 패널(800)에 대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세탁장치는 다양한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가 선택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세탁뿐만 아니라,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가 선택되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원하는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세탁 히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탁 히터(600)를 통해서, 스팀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팀이 드럼(3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브(200)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드럼(300)의 통공(310)들을 통해 드럼(3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탁 히터(600)를 통한 스팀 발생은 부가적인 에너지의 소모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팀 사용 여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과 관련하여 다양한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코스 선택부(810)는 복수 개의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코스는 히팅 가능 코스(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탁 히터(600)가 구동될 수 있는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히팅 가능 코스(600) 중 어느 하나의 코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805)는 프로그래밍된 바에 따라, 세탁장치가 코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팅 가능 코스(800)는 일반(normal)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일반 코스만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그래밍된 바에 따라,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를 갖는 일반 코스가 수행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히팅 가능 코스(820)의 선택과 함께, 세탁 히터(620)의 사용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코스의 옵션으로 세탁 히터(620)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히팅 가능 코스(820)는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세탁 히터(600)의 구동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거나,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세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세탁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히팅 가능 코스(820)는 세탁수 온도 옵션과 병행될 수 있다. 일반 코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반 코스는 세탁수의 온도가 섭씨 40도로 자동적으로 설정된 코스일 수 있다. 이 경우, 냉수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면, 자동적으로 세탁수를 섭씨 40도까지 히팅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옵션 선택으로 세탁수의 온도를 섭씨 60도로 선택하면, 세탁수를 섭씨 60도까지 히팅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옵션 선택으로 세탁수의 온도를 냉수(cold water 또는 tap water)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세탁수 히팅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히팅 가능 코스(820)는 세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세탁수의 온도를 가변할 수 있는 코스라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세탁 히터(600)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는 코스라 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코스는 히팅 배제 코스(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탁 히터(600)의 구동이 배제되거나 제한되는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배제 코스(840)는 세탁 히터(600)의 구동이 코스라 할 수 있다. 즉, 코스 자체에서 히팅 단계가 포함되지 않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러한 히팅 배제 코스(840)는 열손상 우려가 있는 기능성 의류나 울 의류 등을 위한 세탁 코스나 신속한 세탁을 위한 쾌속 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세탁 히터(600)가 섭씨 30도 내지 40도까지는 세탁수를 가열하도록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세탁수의 온도가 적어도 섭씨 30도 내지 40도까지는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세탁 히터(600)의 구동이 완전히 배제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코스는 스팀 코스(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팀이 자동적으로 사용되는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스 자체에서 스팀 단계가 포함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6에는 알러지 코스(831)와 리프레시 코스(832)가 스팀 코스(830)의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구체적으로, 로터리 놉(815)을 회전하면서, 원하는 특정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코스가 선택되면 세탁장치가 코스를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종료된다. 상기 로터리 놉(815)에는 점등부(816)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점등부(816)는 각각의 코스들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로터리 놉(815)의 회전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점등부(816)를 통해, 어떠한 코스를 선택하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코스는 인쇄된 색에 의해서 직관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코스(830)는 빨간색으로 인쇄되어 고온의 스팀을 사용하는 코스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이 세탁 히터(600)의 구동 여부에 따라 달리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세탁 히터(600) 구동이 완전히 배제되는 히팅 배제 코스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 히터(600) 구동이 선택될 수 있거나 자동적으로 포함되는 코스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 히터(600)의 구동은 단순히 세탁 히터(600)를 구동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히팅 가능 코스와 스팀 코스로 나뉠 수 있다. 상기 히팅 가능 코스와 스팀 코스의 차이를 설명한다.
히팅 가능 코스에서의 히팅 단계는 스팀 코스에서의 스팀 단계와 유사할 수 있다. 즉, 히팅 단계와 스팀 단계에서 모두 동일한 세탁 히터(600)가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히팅 단계와 스팀 단계는 세탁 히터(600)가 구동될 때의 수위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0), 드럼(300) 그리고 세탁 히터(600) 사이의 관계에서 다양한 수위가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세탁 히터(600)가 완전히 잠기는 A 수위, 드럼의 저면까지의 B 수위 그리고 드럼 내부까지 세탁수가 저수되는 C 수위가 있을 수 있다.
수평축 세탁기는 드럼의 구동을 통해 세탁이 수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탁포가 세탁수에 적신 상태에서 드럼이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탁 즉 물을 이용한 세탁에서는 드럼 내부에까지 세탁수가 저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탁을 위한 수위는 적어도 C 수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포의 양(포량)이 많을수록 많은 양의 세탁수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이는, 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세탁수의 수위는 C 수위보다 점차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세탁장치에서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포량 결정 단계가 수행된다. 즉, 코스가 선택되어 코스의 수행이 시작되면, 포량을 결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결정된 포량에 따라 물 세탁(본 세탁)을 위한 세탁수의 수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결정된 세탁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며, 급수 완료 후 필요에 따라 세탁 히터(600)를 구동하여 세탁수위 수온을 상승시킨다. 급수 완료 후 또는 히팅 완료 후 드럼이 구동되면서 본 세탁이 수행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히팅 단계는 드럼 내부까지 세탁수위가 형성된 후에 세탁 히터가 구동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탁포의 적어도 일부는 가열되는 세탁수에 잠기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스팀 단계는 상기 히팅 단계와 명확히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스팀 단계에서의 세탁수 수위는 상기 히팅 단계에서의 수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단계에서의 세탁수 수위는 적어도 B 수위보다는 낮고 A 수위보다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가열되는 세탁수와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포가 서로 닿지 않도록, 세탁수 수위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세탁 히터(600)가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세탁수 수위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팀 단계에서의 세탁수 수위는 물 세탁을 하는 본 세탁 수위보다는 항상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코스와 포량에 무관하게, 스팀 단계에서의 세탁수 수위는 상기 A 수위와 B 수위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고, 본 세탁 수위는 항상 상기 B 수위보다는 높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히팅 단계와 스팀 단계의 차이로 인해, 전술한 복수 개의 코스는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스팀 단계가 수행되는 코스 또는 세탁 코스를 스팀 코스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팀 단계의 수행이 배제되는 코스 또는 세탁 코스를 스팀 배제 코스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 배제 코스는 히팅 단계를 포함할 수는 있으나, 스팀 단계가 수행되지 않는 코스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팀 코스는 스팀 세탁 코스와 리프레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세탁 코스의 일례가 도 6에 도시된 알러지 케어 코스(831)이며 또 다른 일례가 리프레시 코스(832)일 수 있다.
스팀 세탁 코스는, 스팀 단계와 세탁수를 통한 물세탁이 수행되는 본 세탁 단계를 포함하는 코스일 수 있다. 즉, 코스 수행 중에 스팀 단계와 본 세탁 단계가 수행되는 코스일 수 있다.
여기서, 스팀 단계에서는 스팀 수위에서 세탁 히터(600)가 구동되고, 본 세탁 단계를 위해서는 본 세탁 수위에서 세탁 히터(600)가 구동될 수 있다. 즉, 본 세탁 단계를 위해서는 히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스팀 단계와 히팅 단계의 차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수 수위와 관련될 수 있다.
스팀 코스는, 스팀 단계를 포함하고, 본 세탁 단계가 배제되는 코스일 수 있다. 즉, 코스 수행 중에 본 세탁 수위에서의 본 세탁이 수행되지 않는 코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팀을 통하여 세탁포나 세탁물을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시 코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리프레시 코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리프레시 코스를 통해 스팀 단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스 선택부(810)를 통해 복수 개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코스 선택부(810)를 통해서, 리프레시 코스(832)를 선택받으면 리프레시 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리프레시 코스 수행을 위해서, 일정시간(t0) 동안 터브(200) 내부의 세탁수가 배수될 수 있다(S1). 그리고, 스팀 단계의 수행을 위해서 세탁수가 일정시간(t1) 동안 급수될 수 있다. 이를 스팀 급수 단계(S2)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 급수 단계(S2)에서의 급수는 스팀 수위까지 수행된다. 따라서, 수위센서(630)가 스팀 수위를 센싱할 때까지, 상기 스팀 급수 단계(S2)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급수 단계(S2)에서의 일정시간(t1)은 허용되는 기간일 수 있다. 즉, 최대로 허용되는 급수 기간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수압의 변동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대략 일정시간(t1)은 2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최대 2분까지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 상기 2분 경과 전에 수위센서(630)가 스팀 수위를 센싱하기 때문에 급수는 2분 경과 전에 종료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팀 급수 단계(S2)에서의 급수는 일반적인 세탁 코스에서의 급수와 달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레시 코스에서의 스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급수는, 스팀 배제 코스에서의 급수와는 달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5)는 리프레시 코스(832)가 선택되면, 제2급수밸브(161)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 세탁수가 터브 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급수되는 세탁수가 드럼 내부의 세탁포에 닿지 않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리프레시 코스는, 물 세탁을 수행하지 않고 마른 세탁포를 리프레시하기 위한 코스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 착용했던 셔츠 등과 같은 세탁포를 물 세탁하지 않고 리프레시하기 위한 코스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포에서 물 세탁없이 주름이나 냄새를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빠른 시간에 리프레시하는 코스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프레시 코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세탁포가 세탁수에 젖지 않도록 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일단 세탁포가 세탁수에 젖으면 별도의 시간 동안 건조가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건조기를 통한 건조나 자연 건조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세탁포의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레시 코스는, 코스의 종료 후 리프레시된 셔츠 등을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한 급수가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2세탁수 유로(160)는 세제박스(153)와는 무관한 유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서 항상 수돗물과 같은 깨끗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반면에, 제1세탁수 유로(160)는 세제박스(1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세탁수 유로(160) 상에는 세제 찌꺼기 등이 여전히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세제 찌꺼기가 물 세탁에서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세탁수를 통한 물 세탁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2세탁수 유로(160)는 이러한 세제 찌꺼기 등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세제 찌꺼기 등이 터브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론적으로는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 유입되는 모든 세탁수와 세탁포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기 힘들다. 왜냐하면, 공급되는 세탁수가 터브(200)과 부딪쳐서 작은 물방울들이 드럼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물 세탁이 없는 리프레시 코스에서 세제 찌꺼기가 세탁포로 유입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코스 종료 후에 세탁포에 세제 찌꺼기가 잔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레시 코스에서의 세탁수 급수는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순수하게 물만 터브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혹시 모른 세제 찌꺼기 등과 같은 오염물이 세탁포로 전달되는 것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팀 급수(S2)가 완료되면, 스팀 단계(S3)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 단계(S3)는 스팀 수위에서 세탁 히터(600)를 구동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스팀 발생과 스팀을 드럼(300) 내부의 세탁포로 전달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단계(S3)에서, 상기 세탁 히터(600)의 구동은 단속적일 수 있다. 그러나, 수온 상승뿐만 아니라 기화를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단계(S3)에서 상기 세탁 히터(600)는 연속적으로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스팀 단계(S3)에서는 지속적으로 스팀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팀 단계(S3)에 소요되는 시간은 가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팀 발생을 위한 세탁수의 양(수위와 관련), 세탁 히터(600)의 용량 그리고 설정 온도에 따라 스팀 단계(S3)에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스팀 단계(S3)에서 세탁 히터(600)의 과열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는, 세탁 히터(600)가 공기 중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 단계(S3)에서의 세탁 히터(600)의 구동 시간은 가변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세탁 히터(600)의 구동 시점부터 구동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정지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가변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시간 구간의 최대 허용값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시간 구간은 가변될 수 있지만 최대로 허용될 수 있는 값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최대 허용값은, 세탁 히터(600)의 용량과 상기 스팀 수위에서의 세탁수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팀 단계(S3)는 세탁 히터(600)의 제어 관점에서 보면, 온도 제어 구간과 시간 제어 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제어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t2)과 시간 제어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t3)의 합이 스팀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t4)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 제어 구간은 설정된 시간 동안 히터가 구동을 유지하는 시간(t3)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t3)은 기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간 제어 구간의 소요 시간(t3)는 최대로 허용하는 시간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즉, 온도 제어 구간에 소용되는 시간(t2)에 따라 가변될 수 있되, 최대로 허용되는 시간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단계에 소요되는 가변 시간(t4)은 실질적으로 t2와 t3에 의해 가변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제어 구간은 기설정 온도(T1)까지, 상기 세탁 히터(600)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 온도는 고정값이라 할 수 있으나, 목표에 도달될 때까지의 시간은 가변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세탁수 양의 편차, 히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편차, 초기 세탁수의 온도 편차 그리고 세탁포의 편차 등의 요인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기설정 온도(T1)는 물의 비등점이 섭씨 100도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도 제어 구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세탁 히터(600)가 구동되는 시간 제어 구간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즉, 세탁수의 필요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스팀 발생 시간을 충분히 보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단계(S3)에서 세탁 히터(600)가 구동을 시작하면, 세탁수의 온도는 점차 상승한다. 세탁수의 온도가 비등점이 섭씨 100도에 근접할 때, 상기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가변하는 지점이 존재한다.
세탁장치의 가열 환경에서의 실험 결과, 섭씨 95도 정도에서 세탁수의 온도 상승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가열 열량 중 많은 부분이 기화열로 사용되기 때문에 온도의 상승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것이라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 제어 구간의 기설정 온도(T1)를 대략 섭씨 95도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제어 구간은 온도센서(610)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T1)를 센싱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소요되는 시간을 t2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t2는 가변되는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 온도(T1)는 세탁 히터(600) 인근에 구비되는 온도센서(610)를 통해 센싱됨이 바람직하다. 즉, 발열 지점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서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온도센서(6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세탁 히터(6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61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610)는 상기 세탁 히터(600)의 온도를 직접 센싱하는 것이 아니라, 세탁 히터(600)를 통해 가열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매우 신속하게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제어 구간이 종료되면 시간 제어 구간이 수행된다. 물론, 세탁 히터(600)는 지속적으로 구동된다. 다시 말하면, 온도 제어 구간이 종료되면 기설정된 시간(t3) 동안 히터의 구동이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t3는 고정된 값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t3)는 세탁수 또는 세탁 히터(600)의 과열, 세탁수의 양 그리고 스팀 발생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상기 시간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2분 30초로 기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시간 제어를 수행하면, 세탁수 온도의 최대 상승이 섭씨 103도 미만으로 제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이는 전술한 온도 제어 구간에서의 기설정 온도(T1)와의 관계에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T1이 작아질수록 t2는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결국, 스팀 단계(S4)를 온도 제어 구간 그리고 이후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시간 제어 구간으로 수행함에 따라, 과열 방지 및 충분한 스팀 발생 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전술한 스팀 단계에서의 온도 제어 구간과 시간 제어 구간을 일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도 제어 구간은 7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여기서, 7분은 가변되는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이 후, 고정된 시간인 2분 30초 동안 시간 제어 구간이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단계는 9분 30초 동안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제어 구간은 8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후, 시간 제어 구간이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고정된 시간인 2분 30초가 아닌 2분 동안 시간 제어 구간이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간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은 온도 제어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가변 제어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허용하는 최대값은 고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2분 30초가 허용하는 최대값일 수 있다.
즉, 시간 제어 구간의 소요 시간의 최대 허용값이 정해짐에 따라, 스팀 단계에서의 최대 허용값이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스팀 단계에서의 최대 허용값은 10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제어 구간이 7분 동안만 수행되면, 결국 스팀 단계는 9분30초가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제어와 시간 제어를 순차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세탁 히터나 세탁수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팀 발생시간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아울러, 시간 제어 구간에 대해서 최대 허용값이 기설정되므로, 전체적으로 스팀 단계에 소요되는 최대 허용값도 기설정된다. 따라서, 스팀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시간 제어가 수행되지 않는다면, 특정 환경에서는 스팀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과다한 세탁수의 양, 매우 낮은 세탁수의 초기 온도, 낮은 외부 전압, 매우 추운 외부 환경 그리고 과다한 포량이라는 극단적인 환경을 가정해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팀 단계에서 소용되는 시간이 10분 이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레시 코스는 짧은 시간 동안 세탁포를 리프레시하는 코스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레시 코스 전체에 소요되는 시간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극단적인 환경이라 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보다 많은 시간 동안 리프레시 코스가 수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스팀 단계에서 소용되는 시간의 최대 허용값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최대 허용값 내에서 온도 제어 구간에 소용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시간 제어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을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시간 제어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의 최대 허용값도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 제어 구간이 생략될 수 있으며, 최대 허용값보다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시간 제어 구간이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최대 허용값 동안 시간 제어 구간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스팀 단계(S3)에서는 드럼(300)이 텀블링 구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교반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텀블링 구동은, 발생되는 스팀이 효과적으로 세탁포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텀블링 구동은 드럼(300) 내부뿐만 아니라 터브(200) 내부의 환경을 전체적으로 스팀 환경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텀블링 구동을 통해, 터브 내부나 드럼 내부의 일부 구역에만 스팀이 많이 모이지 않고, 골고루 퍼질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텀블리 구동을 통해, 세탁포의 특정 부위가 아닌 전체적으로 스팀이 공급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 단계(S3)를 통해 세탁포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 노출된다. 고온과 다습 환경을 통해 냄새 분자들이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고온과 다습 환경을 통해, 세탁포의 주름이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스팀 단계에서는, 액체 상태의 물이 아닌 스팀 상태의 물이 세탁포에 공급되므로 동일 양 대비해서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까지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팀 단계(S3)가 종료되면 리프레시 단계(S4)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스팀 단계(S3)와 리프레시 단계(S4)가 순차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820)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팀 단계(S3)와 리프레시 단계(S4)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시 단계(S4)에서는 스팀을 통한 함습량을 더욱 높이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스팀 환경에서 세탁포에 골고루 스팀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
또한, 리프레시 단계(S4)는 드럼(300)이나 터브(200) 내부의 온도를 점차 하강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레시 단계(S4)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럼이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텀블링 구동은 드럼 저면에서부터 세탁포가 드럼을 타고 상승한 후 떨어지도록 하는 드럼 구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정 부분 세탁포는 접혀져 있게 된다. 물론, 텀블링 구동을 통해 세탁포가 유동되어, 외부와 노출되는 면이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 단계(S3)에서의 스팀은 고압으로 세탁포에 직접 분사되는 형태가 아니다. 다시 말하면, 스팀 환경에서 세탁포가 스팀을 흡수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포의 표면적이 골고루 그리고 최대한 외부의 스팀 환경과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주름 제거를 위해서는, 세탁포에 일정한 장력을 가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름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여 양쪽을 잡아 당기면, 더욱 효과적으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포에 골고루 스팀을 공급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포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리프레시 단계(S4)에서의 드럼 구동은 스핀 구동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핀 구동은 상기 텀블링 구동에 비하여 드럼(300)의 회전수가 상대적으로 높다. 즉, 세탁포가 중력을 이길 수 있도록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키는 구동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80RMP 정도의 회전수를 통해 이러한 스핀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스핀 구동에서는, 세탁포가 드럼 내벽에 밀착하여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을 통해 세탁포에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아울러, 드럼의 통공(310)을 통해 터브에 있는 스팀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드럼 내부의 스팀을 유동시켜 스팀이 보다 원활히 세탁포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핀 구동을 통해서 세탁포가 펴질 수 있기 때문에 스팀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세탁포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주름 제거 효과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리프레시 단계(S4)에서 스핀 구동은 텀블링 구동과 함께 수행됨이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텀블링 구동이 세탁포의 교반을 통해, 세탁포를 뒤집거나 외부 표면을 변경시키는 구동이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즉, 특정 부분만이 아닌 세탁포의 전체적인 외면이 스팀 환경에 노출되도록 하는 구동이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로, 리프레시 단계(S4)에서 텀블링 구동만 수행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스핀 구동으로 인해, 함수율 증가 및 주름 제거의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텀블링 구동만 수행하는 것보다는 스핀 구동이 추가됨으로써 함수율 증가, 즉 세탁포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름 제거 효과도 증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리프레시 단계(S4)에서, 드럼의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 구간이 교대로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 구간 동안 텀블링 구동이 수행되고 다시 일정 구간 동안 스핀 구동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 구간은 각각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드럼 구동 사이클은 복수 회 반복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드럼 구동의 다양한 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직결식 구동장치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직결식 구동장치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텀블링 구동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이 스핀 구동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리프레시 단계(S4)에서, 텀블링 구동 구간들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은, 스핀 구동 구간들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보다 대략 10배 이상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핀 구동 시간이 점차 길어짐에 따라, 오히려 주름 발생 우려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레시 단계(S4)는 텀블링 구동으로 시작하여 텀블링 구동으로 종료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핀 구동은,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텀블링 구동과 텀블링 구동 사이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핀 구동은 복수 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핀 구동은 그 시점에 따라서 성격이 상이할 수 있다. 먼저, 리프레시 단계(S4)의 초기에 수행되는 스핀 구동은 함습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주름 제거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초기에 스핀 구동이 수행될 때에는, 고온 다습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프레시 단계(S4)의 후반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고 습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터브(200) 내부가 완전히 외부와 밀폐된 구조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레시 단계(S4)의 후반으로 갈수록, 드럼이나 터브 내부의 수분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세탁포의 함수율도 감소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리프레시 단계(S4) 후반에서의 스핀 구동은 세탁포의 함수율을 오히려 감소시키도록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드럼이나 터브 내부의 공기 유동을 통해, 세탁포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스핀 구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프레시 코스 종료 후에는 후속되는 건조 과정이 실질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셔츠 같은 세탁포는 리프레시 코스 종료 후 바로 착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리프레시 코스를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리프레시 코스(832)는 일반적인 물 세탁 코스와는 성격이 매우 상이하다. 즉, 마른 세탁포를 액상의 물에 적시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게 세탁포를 리프레시하는 코스이다.
따라서, 세탁장치의 신뢰성이나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 상기 리프레시 단계(S4)에서의 스핀 구동은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세탁에서의 텀블링 구동과 함께 스핀 구동이 반복됨에 따라, 사용자는 리프레시 단계(S4)가 수행됨을 시각적으로 그리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도어에 구비되는 투명창을 통해서, 드럼 내부에서 유동되는 세탁포를 외부에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리프레시 단계(S4)는 기설정된 시간(t5)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리프레시 코스의 소요 시간은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리프레시 코스의 종료 후 바로 세탁포를 착용하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레시 단계(S4)에 소요되는 시간도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설정 시간(t5)에 근거하여, 전술한 텀블링 구동 구간의 횟수, 스핀 구동 구간의 횟수, 각 구동 구간의 소요 시간, 텀블링 구동 구간과 스핀 구동 구간 사이의 소요 시간의 차이 등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프레시 단계(S4)를 통해서, 드럼 내부의 온도 또는 세탁수의 온도는 점차 하강할 것이다. 따라서, 리프레시 단계(S4)가 종료되면, 배수(S5)를 거쳐 리프레시 코스가 종료(S6)될 수 있다. 상기 배수(S5)에 소요되는 시간(t6)도 기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프레시 코스는 리프레시 단계(S4) 종료 후 추가적인 급수 없이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레시 단계(S4)는 대략 15분에서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레시 코스 종료 후, 드럼(300) 내부의 온도나 세탁포의 온도가 높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프레시 코스 종료 후 도어(400)를 개방하게 되면, 사용자가 열기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터브(200)나 드럼(300)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온도를 낮추는 냉각 단계는 항상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포량에 따라서 또는 세탁수의 최고 온도 온도에 따라서, 냉각 단계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레시 단계(S4) 종료 후, 필요에 따라 냉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리프레시 단계(S4)와 배수 단계(S5) 사이에 냉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과정은 냉수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세탁수의 온도와 세탁기의 내부 분위기 온도를 낮추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레시 단계(S4)가 종료되면, 온도센서(610)를 통해 세탁수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10)는 세탁 히터(600)의 인근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터브 내의 최고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610)를 통해 센싱되는 온도와 기설정 온도(T2)와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 온도는 예를 들어, 대략 섭씨 60도일 수 있다.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설정 온도(T2)보다 낮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냉각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배수 단계(S5)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센싱된 온도가 상기 기설정 온도(T2)보다 높은 경우에는, 냉각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센싱되는 구간은 매우 짧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의 수위는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온도가 센싱되는 구간에서의 수위는 스팀 수위보다는 낮을 것이다. 즉, A 수위보다는 낮을 것이다.
만약, 센싱된 온도가 기설정 온도(T2)보다 높은 경우에는, 외부 급수원을 통해 냉수가 급수됨이 바람직하다. 즉, 재급수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스팀 급수와 마찬가지로, 제2세탁수 유로를 통해 냉수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급수도 스팀 수위까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급수 수위도 스팀 수위의 일례인 A 수위일 수 있다. 그러나, 냉각을 더욱 신속하게 하기 위해, 추가 급수 수위는 스팀 수위 A보다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드럼의 최하부 또는 저면에 근접하는 B 수위까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즉, 추가 급수 수위는 스팀 수위보다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추가 급수 수위는 본 세탁 수위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추가 급수 수위까지 급수가 수행되더라도, 세탁포가 세탁수에 적셔지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세탁수가 다시 가열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서, 스팀 수위에서는 세탁수가 가열되기 때문에, 가열에 의한 기포 발생을 고려하여, 스팀 수위가 B 수위보다는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팀 수위와 추가 급수 수위의 차이로 인해,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세탁포를 적시지 않도록 급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신속히 드럼 내부의 온도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 급수구(163)의 위치와 급수 방향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추가 급수는 단순히 터브 하부에 저수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낮추는 데 있지 않고, 터브 내부와 드럼 내부의 온도를 신속히 낮추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급수되는 세탁수가 외부와 열교환 면적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급수구(163)는 급수되는 세탁수가 터브(200)의 후벽을 타고 내려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급수되는 세탁수가 터브(200)의 많은 면적과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신속한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 급수가 완료되면, 설정 시간 동안, 예를 들어 2분 내지 3분 동안 텀블링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텀블링 구동을 통해, 터브와 드럼 내부의 공기 유동이 발생되어, 신속한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텀블링 구동 종료 후, 배수가 수행되어 리프레시 코스의 수행이 종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팀 코스의 일례로 리프레시 코스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스팀 세탁 코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스팀 세탁 코스의 일례로 알러지 케어 코스(831)가 도시되어 있다. 알러지 케어 코스(831)는 물 세탁과 함께 스팀 단계가 수행되는 코스라 할 수 있다. 물 세탁이 수행되는 본 세탁을 위한 급수, 즉 본 세탁 수위까지의 급수는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코스 초기부터 세탁수와 세제를 세탁포에 적심으로써,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알러지 케어 코스(831)에서의 스팀 단계는 본 세탁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수위까지의 급수와 스팀 단계 종료 후에 추가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의 추가 급수는 본 세탁 수위까지의 급수를 의미할 수 있다.
알러지 케어 코스(831)에서의 스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급수는, 리프레시 코스와 마찬가지로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알러지 케어 코스(831)는 물 세탁을 포함하므로,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세탁수를 급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스팀 수위까지 세탁수와 세제를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초기부터 세탁수와 세제를 세탁포에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스팀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스팀이 세탁포에 공급될 수 있다.
알러지 케어 코스(831)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세탁포가 세탁수와 세제에 적셔진 후 스팀 단계가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단계를 통해서, 오염물과 세탁포의 불림과 세제의 불림이 더욱 활발히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세탁이 수행되는 스팀 세탁 코스에서는 항상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서 세탁수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물 세탁이 배제되는 스팀 코스에서는 항상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서 세탁수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스팀 단계가 수행되는 코스라 할지라도, 물 세탁 여부에 따라 세탁수가 급수되는 유로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스팀 단계의 수행을 위한 세탁수의 급수라 하더라도,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탁수가 급수되는 유로가 달라짐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물을 이용하는 본 세탁을 위한 급수는 선택된 코스와 무관하게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팀 단계의 수행을 위한 급수는, 항상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코스에 따라 제1세탁수 유로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물 세탁 단계와 스팀 단계가 포함되는 코스에서는, 스팀 단계 수행을 위한 급수는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물 세탁이 배제되며 스팀 단계만 포함되는 코스에서는, 스팀 단계 수행을 위한 급수는 제2세탁수 유로(160)를 통해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부(805)는, 코스 선택부(810)를 통해 선택된 코스에 따라, 제1세탁수 유로(150)와 제2세탁수 유로(160)를 택일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한다고 할 수 있다. 특정 유로의 선택은 각각의 급수밸브(151, 161)를 택일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세탁 수위까지 세탁수를 공급하여 물 세탁을 하는 물 세탁 코스(스팀 세탁 코스, 히팅 가능 코스 그리고 히팅 배제 코스 포함)는 항상 제1세탁수 유로(150)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초기부터 세탁포에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여 신속한 포적심 및 이를 통한 세탁 효과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세탁 수위는 선택되는 코스 그리고 세탁포의 양과는 무관하게 항상 전술한 스팀 수위보다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50 : 제1세탁수 유로 151 : 제1급수밸브
152: 제1급수호스 153 : 세제박스
154 : 제1공급호스 160 : 제2세탁수 유로
161 :제2급수밸브 162 : 제2공급호스
163 : 후방 급수구 200 : 터브
300 : 드럼 310 : 통공
600 : 세탁 히터 610 : 온도센서
630 : 수위센서 800: 컨트롤 패널
805 : 제어부 810 : 코스 선택부
820 : 히팅 가능 코스(물 세탁 코스)
830 : 스팀 코스 831 : 스팀 세탁 코스(알러지 케어 코스)
832 : 리프레시 코스 840 : 히팅 배제 코스(물 세탁 코스)

Claims (22)

  1.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포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가열하는 세탁 히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세제 박스를 거쳐 상기 드럼으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세탁수 유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드럼 내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터브 내부로 직접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세탁수 유로;
    상기 제1세탁수 유로를 개폐하는 제1급수밸브;
    상기 제2세탁수 유로를 개폐하며 상기 제1급수밸브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제2급수밸브;
    상기 터브의 상부에 상기 드럼의 최후방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2세탁수 유로와 연결되는 후방 급수구;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코스 선택부; 그리고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코스에 따라, 상기 제1세탁수 유로와 제2세탁수 유로를 택일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급수구는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드럼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 후면을 타고 상기 터브 하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세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2세탁수 유로는, 상기 터브와 상기 드럼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상기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유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탁수 유로를 통해, 세탁수가 상기 드럼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의 내측면을 타고 상기 터브 하부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는, 스팀 단계가 수행되는 세탁 코스(스팀 코스)와 스팀 단계의 수행이 배제되는 세탁 코스(스팀 배제 코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배제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1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코스는,
    스팀 단계와 세탁수를 통한 물세탁이 수행되는 본 세탁 단계를 포함하는 스팀 세탁 코스; 그리고
    스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 세탁 단계가 배제되어, 스팀을 통하여 세탁물을 리프레시시키는 리프레시 코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세탁 코스의 스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프레시 코스의 스팀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단계는, 상기 드럼의 저면보다 낮은 기설정된 스팀 수위에서 상기 세탁 히터를 구동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수위는, 상기 세탁 히터가 완전히 잠기는 수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단계에서, 상기 히터의 구동 시점부터 상기 히터의 구동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정지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가변되며, 상기 세탁 히터의 용량과 상기 스팀 수위에서의 세탁수의 양을 고려하여, 상기 시간 구간의 최대 허용값은 기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구간은,
    기설정된 온도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세탁 히터가 구동되는 온도 제어 구간; 그리고
    상기 온도 제어 구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세탁 히터가 구동되는 시간 제어 구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코스는,
    급수 종료 후, 세탁수를 가열하여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단계; 그리고
    상기 스팀 단계 후 상기 드럼을 구동하여 상기 세탁포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스팀 단계와 리프레시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으로 드럼 내부의 세탁포가 낙하하는 텀블링 구동 구간과 상기 드럼의 고속 회전으로 드럼 내부의 세탁포가 드럼 내면에 밀착하여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스핀 구동 구간이 교대로 수행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단계에서, 상기 텀블링 구동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스핀 구동 구간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10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단계의 종료 후, 상기 제2급수밸브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로 기설정된 재급수 수위까지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수 수위는, 스팀 단계를 위한 스팀 수위보다는 높고 상기 드럼의 저면보다는 낮은 수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단계에서, 상기 드럼이 텀블링 구동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30015377A 2013-02-13 2013-02-13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77A KR102120100B1 (ko) 2013-02-13 2013-02-13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13173519.3A EP2767630B1 (en) 2013-02-13 2013-06-2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9198436.8A EP3623522B1 (en) 2013-02-13 2013-06-2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3173516.9A EP2767629B1 (en) 2013-02-13 2013-06-2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S13173516.9T ES2564024T3 (es) 2013-02-13 2013-06-25 Máquina para lavar la colada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 la misma
PL13173516T PL2767629T3 (pl) 2013-02-13 2013-06-25 Maszyna pralnicza i sposób jej sterowania
AU2013219178A AU2013219178B2 (en) 2013-02-13 2013-08-21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U2013219179A AU2013219179B2 (en) 2013-02-13 2013-08-21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RU2013140188/12A RU2555647C2 (ru) 2013-02-13 2013-08-29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RU2013140189/12A RU2557727C2 (ru) 2013-02-13 2013-08-29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BR102013022218A BR102013022218B8 (pt) 2013-02-13 2013-08-30 Método para controlar uma máquina de lavar para executar um ciclo tira vincos para remoção ou redução de vincos formados no vestuário para lavar através de fornecimento de vapor ao vestuário para lavar
US14/019,213 US9896796B2 (en) 2013-02-13 2013-09-05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BR102013022742-0A BR102013022742B1 (pt) 2013-02-13 2013-09-05 Máquina de vestuário para lavar
US14/029,524 US10227722B2 (en) 2013-02-13 2013-09-17 Laundry machine having a refreshing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13204289A JP6347931B2 (ja) 2013-02-13 2013-09-30 洗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204756A JP6441560B2 (ja) 2013-02-13 2013-09-30 洗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310743553.1A CN103981675B (zh) 2013-02-13 2013-12-30 洗涤装置
CN201310744433.3A CN103981676B (zh) 2013-02-13 2013-12-30 洗涤装置的控制方法
US16/281,883 US11186939B2 (en) 2013-02-13 2019-02-21 Laundry machine control method for removal or reduction of cr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77A KR102120100B1 (ko) 2013-02-13 2013-02-13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016A KR20140102016A (ko) 2014-08-21
KR102120100B1 true KR102120100B1 (ko) 2020-06-09

Family

ID=5174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377A KR102120100B1 (ko) 2013-02-13 2013-02-13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709B1 (ko) * 2015-09-30 2022-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493407B1 (ko) * 2016-01-04 202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894882B1 (ko) * 2017-03-03 2018-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79818B1 (ko) * 2017-10-13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5942A (ja) * 2006-01-26 200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蒸気発生装置を備えた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534048A (ja) * 2005-03-25 2008-08-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洗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8117B2 (ja) * 1990-12-28 1997-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2471997A1 (de) * 2012-03-14 2012-07-04 V-Zug AG Wäschetrockner oder Waschautomat mit Bedampfung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048A (ja) * 2005-03-25 2008-08-2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洗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95942A (ja) * 2006-01-26 200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蒸気発生装置を備えた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016A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7931B2 (ja) 洗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RU2355835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ежимом стирки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EP1746197B1 (en) Steam injection type washing machine
US9290878B2 (en) Washing method
EP1619284B1 (en) Method of washing laundry in drum washing machine
EP1917392B1 (en) Operat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EP2055827B1 (en) Control method of dryer
CA2661322C (en) Operat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KR102120100B1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50042127A (ko) 듀얼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80081471A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KR102150448B1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7693B1 (ko)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50042128A (ko) 듀얼분사식 세탁기
JP2014239807A (ja) 洗濯機
KR20080022787A (ko)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040110747A (ko) 세탁기의 세미 드라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