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888B1 - 뿌리작물 재배기 - Google Patents

뿌리작물 재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888B1
KR102119888B1 KR1020190166976A KR20190166976A KR102119888B1 KR 102119888 B1 KR102119888 B1 KR 102119888B1 KR 1020190166976 A KR1020190166976 A KR 1020190166976A KR 20190166976 A KR20190166976 A KR 20190166976A KR 102119888 B1 KR102119888 B1 KR 102119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tube
plate
root crop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888B9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트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트팜
Priority to KR102019016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888B1/ko
Publication of KR10211988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88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5Root crops, e.g. potatoes, yams, beet or wasabi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뿌리작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배수홀을 포함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에 결합되되, 하나 이상이 적층될 수 있는 재배통을 포함하되, 상기 재배통은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다른 재배통의 상부 결합부 또는 상기 하판과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뿌리작물 재배기{Root crops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은 뿌리작물 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작물 뿌리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활대를 설치하고 비닐 커버부를 씌우는 구조를 통해 병충해의 접근을 차단하며, 토압 조절부를 이용해 토양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을 조절해 줄 수 있어, 재배 효율을 향상시키는 뿌리작물 재배기에 관한 것이다.
뿌리작물 재배에 있어서, 수경에 의한 재배 방식이나 텃밭을 이용한 재배 방식은 뿌리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밀려나는 토양을 따로 고르지 않아도 되나, 일정 용기 내에서 재배되는 뿌리작물에 있어서는 뿌리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부피가 점차 커지게 됨으로써, 용기에 채워진 토양을 점점 밀어내어 용기가 깨지거나 용기의 모양이 팽창하는 일명 용기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용기가 팽창되면서 내부에 채워진 토양은 점차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더 이상 용기의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뿌리작물의 두부(머리부분)를 덮으면서 상부로 토양이 쌓여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직근의 상품성을 중요 시 하는 작물인 감초의 경우, 두부가 흙에 덮히는 포복경(번식줄기)이 발생하게 되고, 포복경이 발생하면 영양분산으로 인해 주근의 비대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포복경 억제 시 38% 수확에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이 농촌진흥청 자료에 나와 있다).
또한, 뿌리작물은 감초, 우엉 등 직근의 길다란 구조를 가져 뿌리길이가 긴 작물, 인삼, 도라지, 더덕 등 비교적 뿌리길이가 작은 작물 등, 다양한 뿌리길이를 가지는 작물들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뿌리길이를 가지는 뿌리작물들을 뿌리길이를 고려하지 않고 심을 수 있도록 높이가 큰 재배 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용기에 비해 뿌리길이가 짧은 경우 뿌리작물을 용기 높이에 맞춰 심기 위해 불필요한 토양 사용량이 많아 지거나, 뿌리길이에 맞춰 심게 되면 용기 높이에 의해 통기 및 광합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뿌리작물 성장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작물 뿌리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활대를 설치하고 비닐 커버부를 씌우는 구조를 통해 병충해의 접근을 차단하며, 토압 조절부를 이용해 토양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을 조절해 줄 수 있어, 재배 효율을 향상시키는 뿌리작물 재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는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배수홀을 포함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에 결합되되, 하나 이상이 적층될 수 있는 재배통을 포함하되, 상기 재배통은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다른 재배통의 상부 결합부 또는 상기 하판과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통은 상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가 결합됨에 따라 재배통 간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 및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하여 다른 재배통의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통은 상기 몸체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활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활대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대에 씌워 상기 재배통의 상부를 커버하되,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순환홀을 포함하는 비닐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 커버부는 상부를 접어 접착시켜 형성된 중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홀은 상기 중첩부 내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 커버부 내부로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통에 설치되어 토양에서 공간을 확보하고, 뿌리가 성장함에 따라 토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토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압 조절부는 상기 재배통 상측에 설치되는 관거치부 및 상기 관거치부에 거치되어 상기 재배통 내부로 설치되는 토압 조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압 조절관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절관; 상기 조절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관거치부에 거치되는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절관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기 조절관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경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판은 상기 직경조절판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판홀 및 상기 거치판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직경조절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경조절판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에 삽입될 수 있는 파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는, 작물 뿌리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재배기의 크기로 인해 토양이나 배지의 불필요한 사용을 방지하고 통기 및 광합성 불량을 방지함으로써 비용상승, 성장저하 및 관리불편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활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활대에 비닐 커버부를 씌우는 구조를 통해 병충해의 접근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토압 조절부를 이용해 토양에 공간을 확보하고 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을 조절해 줄 수 있는데, 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 조절관을 제거해주는 것으로 작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크기가 한정된 재배기에서 뿌리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뿌리작물의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뿌리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 전체적으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사용 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뿌리작물 재배기의 하판과 재배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재배통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재배통들이 잠금부에 의해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A-A'를 단면하여 도시한 A-A'단면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중첩부를 형성하기 전/후의 비닐 커버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활대설치부에 활대가 설치된 모습 및 설치된 활대에 비닐 커버부가 설치되어 씌워진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기체공급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토압 조절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뿌리작물 재배기를 단면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토압 조절관이 다른 예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토압 조절관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사용 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뿌리작물 재배기의 하판과 재배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재배통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재배통들이 잠금부에 의해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를 단면하여 도시한 A-A'단면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중첩부를 형성하기 전/후의 비닐 커버부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활대설치부에 활대가 설치된 모습 및 설치된 활대에 비닐 커버부가 설치되어 씌워진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기체공급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토압 조절부를 더 포함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뿌리작물 재배기를 단면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1)는 하판(10) 및 하나 이상의 재배통(20)을 포함하고, 하판(10)에 결합시키는 재배통(20)의 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뿌리길이에 맞는 높이를 가지는 재배기 형태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판(10)은 뿌리작물 재배기(1)의 하면을 이루는 것으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판 형상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사각 판 형상 등 다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판(10)은 배수홀(11) 및 하판 결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홀(11)은 하판(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나 이상이 하판(10)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수홀(11)은 토양이 빠지지 않으면서도 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름이 ø8 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고, ø10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판 결합부(12)는 하판(10) 상부에 형성되어 재배통(20)의 하부 결합부(23)와 결합되는 것으로, 하판(10)과 재배통(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판 결합부(12)는 하판(10) 상면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판이 형성되고 결합판 외면에 수 나사산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판(10)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수 나사산 형태 등 재배통(20)과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재배통(20)은 하판(10)에 결합되되, 하나 이상이 적측될 수 있도록 재배통(20)간에도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배통(20)은 몸체(21), 상부 결합부(22), 하부 결합부(23), 잠금부(24) 및 활대설치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는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판(10)에 결합됨으로써, 뿌리 작물을 심어 재배할 수 있도록 뿌리작물 재배기(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몸체(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21)는 300 내지 500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400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부 결합부(22)는 몸체(21)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재배통(20)의 하부 결합부(23)와 결합될 수 있는데, 몸체(21)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수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하부 결합부(23)는 몸체(21) 하부에 형성되어 다른 재배통(20)의 상부 결합부(22) 또는 하판(10)의 하판 결합부(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결합부(23)는 몸체(21) 하부에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부 결합부(22) 또는 하판 결합부(12)와 연결시키고 재배통(2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체결되어 결합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결합부(2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결합부(22) 및 하판 결합부(12)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잠금부(24)는 상부 결합부(22) 및 하부 결합부(23)가 결합됨에 따라 재배통(20) 간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부(24)는 잠금홈(240), 설치홈(241) 및 잠금이동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홈(240)은 몸체(21) 상부에 형성되어, 다른 재배통(20)의 잠금이동부재(24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홈(240)은 몸체(21) 상면에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잠금이동부재(242)의 파지판이 이동될 수 있도록 외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241)은 몸체(21) 하부에 형성되어, 잠금이동부재(24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잠금이동부재(242)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파지판이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241)은 몸체(21) 하면에 형서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외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설치홈(241)은 내부에 설치된 잠금이동부재(242)가 이동은 가능하되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가이드홈은 설치홈(241)에 연결되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잠금이동부재(242)의 이탈방지돌기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이탈방지돌기가 돌기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잠금이동부재(242)는 몸체(21) 하부에 형성된 설치홈(241)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하여 다른 재배통(20)의 잠금홈(240)에 삽입되는 것으로, 재배통(20)간의 결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이동부재(242)는 설치홈(24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는 잠금이동부재(242) 상단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돌기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잠금부(2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통(20)간의 결합을 고정시킴으로써, 통해 뿌리 작물 재배 시에 재배통(20)끼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분리시키길 원할 때만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활대설치부(25)는 몸체(21)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활대(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는 활대설치부(25)에 활대(30)를 설치하고 비닐 커버부(40)를 용이하게 씌울 수 있으며, 활대(30)가 비닐 커버부(40)가 뿌리 작물을 재배하는데 방해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한다.
활대설치부(25)는 설치몸체 및 활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몸체는 몸체(21)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 기둥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활대홀은 설치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활대(30)가 삽입되는 것으로 활대(3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활대홀은 있도록 지름이 ø4 내지 8로 형성될 수 있고, ø6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활대홀은 관통되지 않고 하부가 막힌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활대설치부(25)는 몸체연결링(미도시) 및 활대이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연결링(미도시)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설치몸체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설치몸체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활대이동부(미도시)에 의해 상하 이동시킬 시 하나 이상의 설치몸체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활대이동부(미도시)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몸체(21)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설치몸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설치몸체가 활대이동부(미도시)를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활대이동부(미도시)는 내부에 대칭되게 형성된 레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설치몸체는 레일에 접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몸체연결링(미도시)을 잡고 힘을 가하는 것에 따라 설치몸체의 레일돌기가 활대이동부(미도시)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하나 이상의 설치몸체가 동시에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뿌리작물 재배기(1)에서 활대(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뿌리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설치몸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활대(30)의 높이가 높아지게 하고 이에 비닐 커버부(40)도 상승하게 함으로써, 뿌리작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배통(20)은 거치돌기(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돌기(26)는 몸체(21) 상부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관거치부(61)가 거치될 수 있다. 이에 토압 조절부(60)를 뿌리작물 재배기(1)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돌기(26)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거치돌기(26)는 몸체(21) 상부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관거치부(61)를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1)는 활대(30) 및 비닐 커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활대(30)는 비닐 커버부(40)를 지지할 수 있는 막대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대설치부(25)의 활대홈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막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활대설치부(25)에 설치될 수도 있다.
비닐 커버부(40)는 비닐이 봉투 형상으로 형성되어 활대(30)에 씌워지는 것으로 재배통(2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병충해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닐 커버부(4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통(20)을 커버하되 뿌리 작물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에 형성된 순환홀(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을 위해 형성된 순환홀(41)에 의해 해충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순환홀(41)이 형성된 상부측을 접어 도 6의 (b)와 같이 중첩부(4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순환홀(41)이 중첩부(42) 내면측에 형성됨으로써, 해충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비닐 커버부(40)를 도 7의 (b)와 같이 설치하여 활대(3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1)는 기체공급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체공급부(50)는 비닐 커버부(40) 내부로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공급함으로써, 뿌리작물이 더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기체공급부(50)는 기체공급관(51) 및 펌프(5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공급관(51)은 일단이 비닐 커버부(40)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펌프(52)가 연결되어, 펌프(52)를 통해 기체를 공급받아 뿌리작물에 공급할 수 있다.
펌프(52)는 기체공급관(51)에 연결되어 공기, 이산화탄소(CO2) 등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체공급부(50)는 공급되는 기체의 온도를 높이는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비닐 커버부(40) 내에 공급되는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조절함으로써, 하우스 효과, 즉 뿌리작물이 성장하는데 바람직한 온도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1)는 토압 조절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압 조절부(60)는 재배통(20)에 설치되어 토양에서 공간을 확보하고, 뿌리가 성장함에 따라 토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토압 조절부(60)는 관거치부(61) 및 토압 조절관(62)을 포함할 수 있다.
관거치부(61)는 재배통(20) 상측에 거치돌기(26)에 거치되는 것으로 설치되어, 토압 조절관(62)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관거치부(61)는 링프레임(610), 바프레임(611) 및 거치프레임(612)을 포함할 수 있다.
링프레임(61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될 시 외측이 재배통(20) 내주면과 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돌기(26)에 거치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바프레임(611)은 링프레임 내측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격자 형태 등 재배통(20) 내부로 토양과 뿌리식물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 한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612)은 바프레임(611)에 형성되어 토압 조절관(62)이 거치될 수 있다. 이때, 거치프레임(612)은 토압 조절관(62)들끼리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바프레임(611)에 형성될 수 있다.
토압 조절관(62)은 관거치부(61)의 거치프레임(612)에 거치되어 재배통(20) 내부로 설치될 수 있다.
토압 조절관(62)은 조절관(620) 및 거치판(621)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관(620)은 길이를 가지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등 다각 형상의 관일 수도 있다.
거치판(621)은 조절관(620) 상측에 형성되어 관거치부(61)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판(621)은 도넛 형상의 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토압 조절부(60)를 재배통(20)에 설치하고 뿌리작물을 재배통(20)에 넣고 토양을 채울 수 있다. 이에 토압 조절부(60)의 토압 조절관(62)이 토양에서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일정기한이 흘러 뿌리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토압 조절관(62)을 제거해줌으로써, 뿌리작물 성장에 따라 밀려난 토양이 토압 조절관(62)이 빠진 자리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크기가 한정된 뿌리작물 재배기(1)에서 뿌리작물 성장에 따라 가해지는 토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즉 토압을 조절하여 뿌리작물의 굵기 성장 등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토압 조절관(62)은 변형되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형성된 토압 조절관(62)에 대해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토압 조절관이 다른 예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토압 조절관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의 토압 조절관(62)은 직경조절판(622)을 더 포함하고, 거치판(621)은 판홀(621a) 및 돌기홈(621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압 조절관(62)은 조절관(620), 거치판(621) 및 직경조절판(62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관(620)은 상기에서 설명한 조절관(6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거치판(621)은 조절관(620) 상측에 형성되어 관거치부(61)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판(621)은 도넛 형상의 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거치판(621)은 판홀(621a) 및 돌기홈(621b)을 포함할 수 있다.
판홀(621a)은 거치판(621)에 조절관(620) 외측으로 조절관(6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거치판(621)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조절판(622)이 삽입될 수 있다.
돌기홈(621b)은 거치판(621)에서 판홀(621a) 일측에 형성되어, 직경조절판(622)의 파지돌기(622a)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경조절판(622)이 거치판(621)에 설치되고 고정될 수 있다.
직경조절판(622)은 거치판(621)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조절관(62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조절관(620)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경조절판(622)은 조절관(620)과 동일하게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관(620)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되게 형성되어 판홀(621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직경조절판(622)은 파지돌기(622a)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돌기(622a)는 직경조절판(622) 상면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기홈(621b)에 내측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파지돌기(622a)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돌기홈(621b)에서 파지돌기(622a)가 이탈되고 뿌리작물 재배기(1)에서 직경조절판(622)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토압 조절관(62)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어 뿌리작물의 성장에 따라 토압을 좀더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직경조절판(622)만 제거할 경우 토양에 작은 공간이 생기게 되고, 토압 조절관(62) 전체를 제거할 경우 직경조절판(622)만 제거할 경우보다 토양에 더 큰 공간이 생기도록 하는 것으로 토양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크기를 좀더 세부적으로 조절하여 토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뿌리작물 재배기는, 작물 뿌리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재배기의 크기로 인해 토양이나 배지의 불필요한 사용을 방지하고 통기 및 광합성 불량을 방지함으로써 비용상승, 성장저하 및 관리불편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활대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된 활대에 비닐 커버부를 씌우는 구조를 통해 병충해의 접근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토압 조절부를 이용해 토양에 공간을 확보하고 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을 조절해 줄 수 있는데, 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 조절관을 제거해주는 것으로 작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크기가 한정된 재배기에서 뿌리작물 성장에 따라 토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뿌리작물의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뿌리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 전체적으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뿌리작물 재배기
10: 하판
11: 배수홀
12: 하판 결합부
20: 재배통
21: 몸체
22: 상부 결합부
23: 하부 결합부
24: 잠금부
240: 잠금홈
241: 설치홈
242: 잠금이동부재
25: 활대설치부
26: 거치돌기
30: 활대
40: 비닐 커버부
41: 순환홀
42: 중첩부
50: 기체공급부
51: 기체공급관
52: 펌프
60: 토압 조절부
61: 관거치부
610: 링프레임
611: 바프레임
612: 거치프레임
62: 토압 조절관
620: 조절관
621: 거치판
621a: 판홀
621b: 돌기홈
622: 직경조절판
622a: 파지돌기

Claims (10)

  1.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배수홀을 포함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에 결합되되, 하나 이상이 적층될 수 있는 재배통을 포함하되,
    상기 재배통은,
    내부가 관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상부 결합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다른 재배통의 상부 결합부 또는 상기 하판과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통에 설치되어 토양에서 공간을 확보하고, 뿌리가 성장함에 따라 토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토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압 조절부는,
    상기 재배통 상측에 설치되는 관거치부 및
    상기 관거치부에 거치되어 상기 재배통 내부로 설치되는 토압 조절관을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통은,
    상기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가 결합됨에 따라 재배통 간의 결합을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잠금홈 및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하여 다른 재배통의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통은,
    상기 몸체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활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활대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대에 씌워 상기 재배통의 상부를 커버하되, 공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순환홀을 포함하는 비닐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커버부는,
    상부를 접어 접착시켜 형성된 중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홀은,
    상기 중첩부 내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커버부 내부로 공기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압 조절관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절관;
    상기 조절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관거치부에 거치되는 거치판 및
    상기 거치판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절관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기 조절관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직경조절판을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판은,
    상기 직경조절판이 슬라이드 삽입되는 판홀 및
    상기 거치판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직경조절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홈을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조절판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홈에 삽입될 수 있는 파지돌기를 포함하는 뿌리작물 재배기.
KR1020190166976A 2019-12-13 2019-12-13 뿌리작물 재배기 KR102119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76A KR102119888B1 (ko) 2019-12-13 2019-12-13 뿌리작물 재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76A KR102119888B1 (ko) 2019-12-13 2019-12-13 뿌리작물 재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888B1 true KR102119888B1 (ko) 2020-06-05
KR102119888B9 KR102119888B9 (ko) 2024-02-16

Family

ID=7108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976A KR102119888B1 (ko) 2019-12-13 2019-12-13 뿌리작물 재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8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695A (en) * 1986-01-31 1990-05-01 Ceretech Limited Container system for growing plants
KR200400441Y1 (ko) * 2005-08-09 2005-11-08 원재선 화분
KR100817549B1 (ko) * 2007-03-05 2008-03-27 김현수 다용도 조립식 화분
KR20190067970A (ko) * 2017-12-08 2019-06-18 우수정 뿌리 식물 양육 용기
KR101999278B1 (ko) * 2018-10-23 2019-07-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뿌리 감초재배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감초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695A (en) * 1986-01-31 1990-05-01 Ceretech Limited Container system for growing plants
KR200400441Y1 (ko) * 2005-08-09 2005-11-08 원재선 화분
KR100817549B1 (ko) * 2007-03-05 2008-03-27 김현수 다용도 조립식 화분
KR20190067970A (ko) * 2017-12-08 2019-06-18 우수정 뿌리 식물 양육 용기
KR101999278B1 (ko) * 2018-10-23 2019-07-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뿌리 감초재배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감초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888B9 (ko)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43234A1 (en) Tubular greening unit
KR10221073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경재배용 포트장치
US20140223816A1 (en) Vertical gardening apparatus
KR101628040B1 (ko) 수경재배기
KR101974827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KR102119888B1 (ko) 뿌리작물 재배기
JP2012147774A (ja) 植栽用具
KR101749885B1 (ko) 딸기생장과 보온효과를 극대화시킨 선택적인 부분 개폐가 가능한 딸기고설재배장치
US6581329B1 (en) Device for promoting growth from seed to plant
KR20210111085A (ko) 모종컵 지지대를 구비한 식물재배 장치
KR20210053615A (ko) 수경재배용 포트
JP2007306849A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CN206963429U (zh) 一种花盆
KR19980064547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JP2019118282A (ja) 植物の栽培装置
US20170118928A1 (en) Subsurface Water, Air and/or Nutrient Delivery Tube
KR101815572B1 (ko) 딸기 자묘용 육묘포트 수납 포켓 매트
KR20140053593A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KR20220091077A (ko) 스마트팜 수경재배장치
US2725675A (en) Plant cover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JPH1189688A (ja) 植木鉢積み重ね用ポールと植木鉢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給水用器具
JP2007151402A (ja) 支柱保持具
KR200257909Y1 (ko) 풍난 재배용 점적 관수 장치
JP7453059B2 (ja) 野菜栽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