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615A - 수경재배용 포트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용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615A
KR20210053615A KR1020190139443A KR20190139443A KR20210053615A KR 20210053615 A KR20210053615 A KR 20210053615A KR 1020190139443 A KR1020190139443 A KR 1020190139443A KR 20190139443 A KR20190139443 A KR 20190139443A KR 20210053615 A KR20210053615 A KR 20210053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hydroponic cultivation
present
cultiv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곤
Original Assignee
김홍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곤 filed Critical 김홍곤
Priority to KR102019013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615A/ko
Publication of KR2021005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경식물의 뿌리를 파지하는 스폰지 등이 필요 없고, 뿌리의 성장에 따라 포트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수경재배용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식물뿌리가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경재배용 포트{PORT FOR HYDROPONICS}
본 발명은 수경재배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경식물의 뿌리를 파지하는 스폰지 등이 필요 없고, 뿌리의 성장에 따라 포트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수경재배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는 흙을 사용하는 대신에 각종 양분을 용해한 물(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기르는 것으로서, 묘판에서 모종을 길러 적당한 크기로 성장하면 이를 수경재배기로 옮겨 심어서 배양액으로 기르게 된다.
상기 수경재배기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재배판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 상에 수경재배용 포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수경재배용 포트는 원형컵 모양의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밑면이나 옆면이 적당한 망사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며, 포트 내부에 스폰지, 황토볼 등으로 수경식물의 뿌리 등을 감싸도록 하여 육묘된 어린 수경식물이 담겨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수경재배용 포트는 수경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거치대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뿌리가 배양액조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종래에는 한 가지 종류의 육묘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식물의 성장에 대응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등록번호 10-1780235호의 "확장이 용이한 다단 육묘 포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의 종래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종래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식물을 재배할 때 사용하는 육묘 포트에 있어서,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1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씨앗이 수용되는 일정 깊이의 수용부(1b)가 형성되고, 바닥면과 둘레에는 각각 다수 개의 관통공(1c)이 형성된 제1포트(1)와;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구조를 이루면서 내부에 상기 제1포트(1)가 수용되며, 상단 외주면과 하단 내주면에 각각 상,하부플랜지(2a, 2b)가 형성된 제2포트(2) 및;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구조를 이루면서 내부에 상기 제2포트(2)가 수용되며, 상단 외주면과 하단 내주면에 각각 상,하부플랜지(3a, 3b)가 형성된 제3포트(3)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포트(1)의 플랜지(1a)가 상기 제2포트(2)의 하부플랜지(2b)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포트(2)의 상부플랜지(2a)는 상기 제3포트(3)의 하부플랜지(3b)의 상부에 각각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2포트(1, 2)가 각각 하부쪽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경재배용 포트는, 제3포트(3)에 스폰지 등이 설치되어야 하며, 수경식물의 성장에 따라 포트의 크기를 조절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등록번호 10-1780235호{등록일자 2017년09월14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경식물의 뿌리를 파지하는 스폰지 등이 필요 없고, 뿌리의 성장에 따라 포트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수경재배용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수경재배용 포트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식물뿌리가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의 상단부 둘레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추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원추부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관통공의 반경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열십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식물뿌리가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수경식물의 뿌리를 파지하는 스폰지 등이 필요 없고, 뿌리의 성장에 따라 포트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의 종래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단면도로서, 새싹삼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단면도로서, 도 3 보다 새싹삼이 성장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가 재배판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가 재배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단면도로서, 새싹삼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의 단면도로서, 도 3 보다 새싹삼이 성장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가 재배판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가 재배판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100)는 몸체(10), 결합부(20) 및 연장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이루어져 수경식물의 뿌리부위가 성장하더라도 하부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도록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고온에서 살균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단부 둘레는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1)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추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1)와 원추부(12) 사이에는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재배판(200)의 재배공(2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식물뿌리가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0)의 관통공(21)의 반경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22)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슬롯(22)은 상기 관통공(21)을 중심으로 열십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새싹삼 등의 뿌리부분이 반경방향으로 성장하였을 때 열십자형의 슬롯(22)이 탄성으로 인해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파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별도로 포트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결합부(2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고, 상기 관통공(21)도 연장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용 포트(100)는 재배판(200)의 재배공(210)에 몸체(10)의 원추부(12)를 누르게 되면, 원추부(12)의 테이퍼부분에 의해 재배공(210)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플랜지부(11)와 원추부(12) 사이의 삽입홈(13)이 재배공(210)에 안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를 재배판(200)의 재배공(2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몸체(10)가 자체적으로 탄성이 있으므로 플랜지부(11)를 잡고 상부측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삽입홈(13)이 재배공(2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배판(200)의 재배공(210)에 착탈가능한 본 발명의 수경재배용 포트에는 새싹삼을 결합부(20)의 관통공(21) 상으로 삽입하게 되면 새싹삼의 뿌리부위가 관통공(21)을 통과하면서 연장부(30)에 의해 파지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재배판(200)을 수경재배기에 설치한 후 물(양액)을 제공하게 되면 본 발명의 수경재배용 포트(100)에 결합되어진 새싹삼 등의 뿌리부위가 성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관통공(21)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열십자형의 슬롯(22)이 탄성으로 인해 벌어지면서 확장되어 파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별도로 포트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수경재배용 포트
10: 몸체 11: 플랜지부
12: 원추부 13: 삽입홈
20: 결합부 21: 관통공
22: 슬롯 30: 연장부
200: 재배판 210: 재배공

Claims (4)

  1. 상하부가 개방된 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식물뿌리가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부 둘레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추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와 원추부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관통공의 반경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포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열십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포트.
KR1020190139443A 2019-11-04 2019-11-04 수경재배용 포트 KR20210053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43A KR20210053615A (ko) 2019-11-04 2019-11-04 수경재배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43A KR20210053615A (ko) 2019-11-04 2019-11-04 수경재배용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15A true KR20210053615A (ko) 2021-05-12

Family

ID=7591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43A KR20210053615A (ko) 2019-11-04 2019-11-04 수경재배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36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7273A (zh) * 2022-03-31 2022-05-31 黄山市徽州区花之韵花卉科技有限公司 水培装置
KR20230139472A (ko) 2022-03-28 2023-10-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더드림 기능성 식물 재배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235B1 (ko) 2015-12-10 2017-09-20 농업회사법인 (주) 네오시드팜 확장이 용이한 다단 육묘 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235B1 (ko) 2015-12-10 2017-09-20 농업회사법인 (주) 네오시드팜 확장이 용이한 다단 육묘 포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472A (ko) 2022-03-28 2023-10-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더드림 기능성 식물 재배용기
CN114557273A (zh) * 2022-03-31 2022-05-31 黄山市徽州区花之韵花卉科技有限公司 水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710B1 (ko) 조립식 딸기육묘용 재배포트
KR10221073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경재배용 포트장치
CN108289426A (zh) 营养液栽培用部件以及营养液栽培方法
JP6650091B2 (ja) 水耕栽培器
KR101780235B1 (ko) 확장이 용이한 다단 육묘 포트
KR20210053615A (ko) 수경재배용 포트
KR20150130898A (ko) 화분식 묘목 생산용 기구
JP2010115129A (ja) 水耕栽培方法と水耕栽培装置
KR101245232B1 (ko) 파이프 타입 식물재배기
JP2018085966A (ja) 育苗方法
JP2006296205A (ja) 野菜の栽培方法
AU2020102809A4 (en) Cotton hydroponics device
KR200492939Y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20170005994A (ko) 곧은뿌리 식물 재배 시스템
KR200375590Y1 (ko) 육묘용 포트
JP2016049027A (ja) 育苗装置
CN218977453U (zh) 一种分体式育苗杯
KR20230001363U (ko) 수경 재배용 포트
KR102214907B1 (ko) 씨앗캡슐을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CN114467559B (zh) 一种林业森林幼苗培育装置以及其使用方法
CN210352337U (zh) 用于温室棉花幼苗移栽的培育中转盆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CN213523196U (zh) 一种便捷育苗装土生根发育盆
JP2002272289A (ja) 植物水耕栽培の装置及び方法
JPH0558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