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537B1 -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 Google Patents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537B1
KR102119537B1 KR1020190088893A KR20190088893A KR102119537B1 KR 102119537 B1 KR102119537 B1 KR 102119537B1 KR 1020190088893 A KR1020190088893 A KR 1020190088893A KR 20190088893 A KR20190088893 A KR 20190088893A KR 102119537 B1 KR102119537 B1 KR 10211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generation
main body
air conditioner
gener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성준
Original Assignee
(주)세원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센추리 filed Critical (주)세원센추리
Priority to KR102019008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3/166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24F2003/16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50Hydropower in dwel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와,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습유닛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유닛과, 상기 드레인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력발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가습기 또는 자외선 램프에 공급하므로 전력소비가 감소되어 유지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Air conditioner with power generation means}
본 발명은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 습도를 일반적으로 공조기는 공기조화기라고도 하며, 실내를 거주자가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공조기는 냉동기나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동사이클과 동일 원리로 작동하게 되는데, 실내와 실외에 각각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압축기를 거쳐 압축된 냉매가 응축, 감압팽창 및 증발하는 과정을 통해 실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공조기에는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 또는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방향을 절환할 수 있는 사방밸브가 마련되어 있어서, 여름철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사용되고 실외에 설치되는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냉매의 이동방향을 설정하고, 겨울철에는 그 반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에는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고, 겨울철에는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조기는 가정에서 뿐 아니라 온도와 습도의 유지 관리가 철저히 요구되는 산업 현장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밀기계를 통해 정밀 가공, 측정이 행해지는 실험실, 조립fab 등에서나, 컴퓨터 장비 시스템 등이 수용되는 전산센터실이나, 각종 고문서, 문화재가 비치되는 박물관 등에서는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기기, 정밀기계, 각종 장비 등이온도와 습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항온 및 항습이 철저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기의 경우, 가습기 및 냉각수단을 작동하기 위한 많은 전력이 요구되어 유지비가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8351호: 공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 내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와,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습유닛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마련된 냉각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유닛과, 상기 드레인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력발전부를 구비하나.
상기 드레인 유닛은 상기 증발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수집호퍼와,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에 연결되며, 내부에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유로를 통과한 응축수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드레인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력발전부는 상기 드레인 호스의 타단부에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드레인 호스의 유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발전풍차와, 상기 발전풍차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풍차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1발전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1발전모듈은 생성된 전기를 상기 가습유닛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게 상기 증발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광촉매 코팅층과,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발전모듈은 생성된 전기를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된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세척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간섭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드럼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세척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재를 간섭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의 표면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간섭 브러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간섭 브러쉬를 상기 필터부재에 대해 일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브러쉬 이동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타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상기 흡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2발전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내부에 상기 응축기 및 압축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와,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3발전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판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방열판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으로 고압의 타격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노즐과, 상기 타격노즐에서 상기 타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상기 타격노즐에 상기 타격수를 공급하는 타격수 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방열판들이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상기 방열판들에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와,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상기 연결로드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이동시 상기 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가습기 또는 자외선 램프에 공급하므로 전력소비가 감소되어 유지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수력발전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증발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필터 세척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세척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의 타격유닛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격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외기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외기가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송풍유닛과,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1)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가습유닛(130)과, 상기 수용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41)가 마련된 냉각유닛(140)과, 상기 증발기(141)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에서 상기 가습유닛(130)으로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제공받거나 상기 가습유닛(13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제공받아 상기 증발기(141)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세척유닛(150)과,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41)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상기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유닛(143)과, 상기 드레인 유닛(143)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유닛(143)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력발전부(160)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사각 구조물로 형성되며, 전면 상측에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전면 하측에 다수의 흡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는 내부에 유입되는 외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부재(1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114)는 흡입구(112)들을 덮을 수 있도록 본체(110) 내벽면에 설치된다.
송풍부재(120)는 배출구(113)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본체(11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시킨다. 상기 송풍부재(12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유닛(130)은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가습유닛(130)은 공급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급수공급부에 연결되며,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수용된 물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와, 상기 증기발생기에 연결되며, 본체(110)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증기가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증기 배출공이 형성된 증기 배출관(132)을 구비한다. 상기 가습유닛(130)은 공조기(100)에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습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급수공급부는 본 발명의 공조기(100)가 설치된 건축물에 마련된 수도시설이 적용될 수 있다.
냉각유닛(140)은 수용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111)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141)와, 상기 증발기(141)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본체(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이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14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내부에 상기 응축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기(141),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는 냉매가 순차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증발기(141)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 파이프와, 상기 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방열판을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 파이프는 본체(110)의 수용공간(111) 내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 파이프는 냉매와,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의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열판은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동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 파이프를 통과하는 냉매는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잠열을 흡수한다. 증발기(141)에서 기화된 냉매는 압축기로 유동하고,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된다.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에서 응축열을 방출하여 액체상태로 응축된다.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즈에서 저압상태로 팽창되고, 증발기(141)에서 기체상태로 증발된다. 한편, 증발기(141),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응축기 및 압축기는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어 본체(110) 외부 즉,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기 함체는 내부에 응축기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응축기에 대향되는 전면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응축기를 통과한 외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실외기 함체는 외기를 내부로 강제송풍시킬 수 있도록 유입구 측에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유닛(150)은 상기 증발기(141)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1)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노즐(151)과,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노즐(151)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급수공급부 또는 가습유닛(13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세척노즐(151)에 공급하는 세척수 제공부를 구비한다.
세척노즐(151)은 증발기(141)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며, 물이 분사되는 분사공이 증발기(141)를 향하도록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세척노즐(151)은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노즐(151)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증발기(141)의 크기에 따라 1개가 본체(11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세척수 공급부(152)는 물이 수용되는 서브탱크(미도시)와, 상기 서브탱크의 물이 상기 세척노즐(151)에 공급되도록 서브탱크와 세척노즐(151)에 연결된 전달관(153)과, 상기 전달관(153)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탱크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세척노즐(151)에 공급하는 공급펌프(미도시)를 구비한다.
서브탱크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급수공급부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관에 분기된 제1분기관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분기관을 통해 급수공급부에서 증기발생기로 전달되는 물 중 일부가 서브탱크로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서브탱크는 제1보조관을 통해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와 연결되어 있다. 증기발생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제1보조관을 통해 서브탱크로 공급된다. 즉, 서브탱크는 급수공급부 및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용된다. 따라서, 세척수 공급부(152)는 급수공급부에서 가습기로 공급되는 물 또는 증기발생기의 드레인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노즐(151)에 공급하므로 별도의 급수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세척유닛(15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세척수 공급부(152)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입력버튼을 통해 작업자가 공급펌프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세척노즐(151)로부터 물이 분사되도록 공급펌프를 작동시키고, 입력버튼을 통해 작업자가 공급펌프의 정지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공급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업자가 세척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을 더 구비하고,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세척시간에, 기설정된 작업시간동안 증발기(141)에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세척수 공급부(152)의 공급펌프를 작동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100)는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증발기(141)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증발기(141)를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드레인 유닛(143)은 증발기(141)의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수집호퍼(144)와, 상기 수집호퍼(144)에 수집된 응축수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호스(145)를 구비한다.
수집호퍼(144)는 증발기(141)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본체(11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집공간이 마련되고, 증발기(141)의 표면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드레인 호스(145)는 일단이 수집호퍼(144)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드레인 호스(145)는 내부에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타단부는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력발전부(160)는 상기 드레인 호스(145)의 타단부에 설치된 프레임(161)과, 상기 드레인 호스(145)의 유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1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호스(145)로부터 배출된 응축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166)가 마련된 발전풍차(162)와, 상기 발전풍차(162)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풍차(16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1발전모듈(163)을 구비한다.
프레임(161)은 베이스부재(164)와, 상기 베이스부재(164)의 상면에 고정된 복수의 지지판넬(247)(165)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6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판넬(247)(165)은 베이스부재(164)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드레인 호스(145)의 타단부는 지지판넬(247)(165) 상측에 설치되되, 지지판넬(247)(165)들 사이에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풍차(162)는 드레인 호스(145)의 타단부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지판넬(247)(165)들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지지판넬(247)(165)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발전풍차(162)는 외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166)가 마련되는데, 상기 블레이드(166)는 발전풍차(1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발전풍차(162)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발전모듈(163)은 발전풍차(162)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발전풍차(162)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발전모듈(163)은 입력된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전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제1발전모듈(163)은 생성된 전기를 가습기 또는 냉각유닛(140)에 전달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100)는 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가습기 또는 자외선 램프(212)에 공급하므로 전력소비가 감소되어 유지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210)는 상기 수용공간(111)을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게 상기 증발기(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광촉매 코팅층(211)과,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41)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212)를 구비한다.
광촉매 코팅층(211)은 증발기(141)의 열교환 파이프(146) 외주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광촉매 코팅층(211)은 이산화 티타늄(TiO2) 또는 이산화 티타늄에 타요소를 첨가한 혼합물을 적용할 수 있다. 이산화 티타늄에 첨가되는 물질의 일 예로서는 백금, 파라듐, 금, 은, 텅스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광촉매 코팅층(211)은 증발기(141)의 방열판(147) 표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자외선 램프(212)는 증발기(141)에 대향되는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증발기(141)에 형성된 광촉매 코팅층(211)으로 소정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한다. 여기서, 자외선 램프(212)는 430나노미터 이하의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램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발전모듈(163)은 생성된 전기를 자외선 램프(212)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210)는 자외선 램프(212)로부터 입사된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광촉매 코팅층(211)에 의해 수용공간(111) 내의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250)는 상기 필터부재(114)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114)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세척부(251)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필터 세척부(251)는 상기 본체(11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114)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114)를 간섭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쉬(253)가 마련된 다수의 세척드럼(252)을 구비한다.
세척드럼(252)은 수집호퍼(144)의 하측에, 다수개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세척드럼(252)은 필터부재(114)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세척드럼(25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브러쉬(253)가 설치되는데, 브러쉬(253)는 단부가 필터부재(114)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세척드럼(252)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세척드럼(252)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필터부재(114)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5개 이상이 본체(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송풍부재(120)에 의해 본체(110)의 흡입구(112)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세척드럼(252)은 회전하고, 회전하는 세척드럼(252)의 브러쉬(253)에 의해 필터부재(114)에 고착된 이물질이 간섭되어 제거된다.
한편, 세척드럼(25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세척드럼(252)은 필터부재(114)의 상하방향을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 세척부(251)는 상기 세척드럼(252)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드럼(252)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드럼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과, 세척드럼(252)들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피동 스프로켓과, 구동 스프로켓 및 피동 스프로켓들에 연결된 연결체인을 구비한다. 한편, 드럼 구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척드럼(252)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여기서, 드럼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세척유닛(150)의 세척수 공급부(152)를 작동시킬 경우, 드럼 구동부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세척부(3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세척부(310)는 상기 필터부재(114)를 간섭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114)의 표면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간섭 브러쉬(311)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간섭 브러쉬(311)를 상기 필터부재(114)에 대해 일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브러쉬 이동부재(312)를 구비한다.
간섭 브러쉬(311)는 브러쉬 이동부재(312)에 의해 지지되며, 소정의 탄성을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브러쉬 이동부재(312)는 필터부재(114)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간섭 브러쉬(311)가 설치된 승강블럭(313)과, 상기 승강블럭(313)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럭구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승강블럭(313)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이동레일(314)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314)은 필터부재(114)의 후방에 설치된다. 승강블럭(313)은 상기 이동레일(314)이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럭구동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레일(314)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렉기어와, 상기 렉기어에 치합될 수 있게 상기 승강블럭(3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블럭(313)이 상하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모터 제어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블럭구동부재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승강블럭(313)을 상하방향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필터 세척부(310)는 간섭 브러쉬(311)가 브러쉬 이동부재(31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며, 필터부재(114)를 간섭하여 필터부재(114)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필터 세척부(310)는 필터부재(114)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114)를 타격하는 타격로드와, 상기 타격로드를 작동시는 로드 작동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타격로드는 전단부가 필터부재(114)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필터부재(114) 후방의 본체(11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로드 작동부는 타격로드에 설치되어 타격로드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신축되는 실린더와 같은 액츄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3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320)는 상기 흡입구(112)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2)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2발전모듈(3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발전모듈(32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흡입구(112)에 인접된 본체(110)에 설치되며, 흡입구(112)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제1회전팬과, 상기 제1회전팬에 연결되어 제1회전팬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제1발전기를 구비한다. 제1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는 습기 또는 냉각유닛(140)에 전달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320)는 본체(11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가습기 또는 자외선 램프(212)에 공급하므로 전력소비가 감소되어 유지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3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330)는 상기 유입구(342)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실외기 함체(341)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342)로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3발전모듈(331)을 더 구비한다.
상기 제3발전모듈(33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입구(342)에 인접된 실외기 함체(341)에 설치되며, 유입구(342)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제2회전팬과, 상기 제2회전팬에 연결되어 제2회전팬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제2발전기를 구비한다. 제2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는 습기 또는 냉각유닛(140)에 전달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230)는 상기 방열판(147)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판(147)을 타격하는 타격유닛(231)을 더 구비한다.
상기 타격유닛(231)은 상기 방열판(147)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147)으로 고압의 타격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타격노즐(232)과, 타격노즐(232)에서 상기 타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상기 타격노즐(232)에 상기 타격수를 공급하는 타격수 공급부(233)를 구비한다.
타격노즐(232)은 방열판(147)들 사이에 설치되며, 타격수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방열판(147)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세팅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타격노즐(232)은 본체(110) 내부에 마련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격수 공급부(233)는 타격수가 수용된 타격용 탱크(미도시)와, 상기 타격용 탱크의 타격수가 상기 타격노즐(232)에 공급되도록 타격용 탱크와 타격노즐(232)들에 연결된 주입관(234)과, 상기 주입관(234)에 설치되어 타격용 탱크의 물을 펌핑하여 타격노즐(232)들에 공급하는 주입펌프(23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주입펌프(235)는 세척유닛(150)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세척유닛(150)의 세척수 공급부(152)를 작동시킬 경우, 타격수 공급부(233)의 주입펌프(235)를 함께 작동시킨다. 이때, 타격노즐(232)에서 분사된 타격수가 방열판(147)을 간헐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타격수 공급부(233)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타격유닛(231)은 세척유닛(150)에 의해 증발기(141)를 세척시 방열판(147)들을 간헐적으로 타격하므로 방열판(147)에 고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격유닛(24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타격유닛(240)은 상기 방열판(147)들이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로드(241)와, 상기 방열판(147)들에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연결로드(241)를 상기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242)와, 연결로드(241)에 설치되어 방열판(147)을 타격하는 보조타격부(243)를 구비한다.
여기서, 방열판(147)은 열교환 파이프(146)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연결로드(24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결합판넬(1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판넬(15)은 연결로드(241)가 관통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로드(241)는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연결로드(241)는 결합판넬(15)의 결합구에 관통되어 고정된다. 이때, 연결로드(24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결합판넬(15)이 걸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은 연결로드(241)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걸림홈들은 연결로드(2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이격되는데, 방열판(147)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로드(241)는 결합판넬(15)들에 설치된 상태에서 결합판넬(15)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강제 이동부(242)는 연결로드(241)들의 일단이 외주면에 접하도록 본체(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캠(251)과, 상기 구동 캠(251)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캠(251)에 설치된 구동모터(252)를 구비한다.
구동 캠(25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연결로드(241)의 일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 캠(251)은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프레임에 설치된다.
이때, 구동 캠(251)은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회전축으로부터 반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구동 캠(251)의 일부분이 연결로드(241)의 일단부에 접촉시 연결로드(241)는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연결로드(241)에 의해 방열판(147)에 비틀림이 발생된다. 방열판(147)이 비틀리며 방열판(147)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이 방열판(147)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구동 캠(251)의 일부분을 연결로드(241)의 일단부가 통과하면 방열판(147)의 탄성에 의해 연결로드(241)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구동 캠(251)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연결로드(241)의 일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로드(24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구동 캠(251)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폐궤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252)는 구동 캠(251)에 설치되어 구동 캠(251)을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모터(252)는 세척유닛(150)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는 세척유닛(150)의 세척수 공급부(152)를 작동시킬 경우, 구동모터(252)를 함께 작동시킨다. 세척노즐(151)로부터 증발기(141)에 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동시에 연결로드(241)에 의해 방열판(147)들이 비틀려지므로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보다 향상된다.
보조타격부(243)는 상기 방열판(147)들 사이의 상기 연결로드(241)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재(245)와, 상기 연장부재(245)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242)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241)가 이동시 상기 방열판(147)을 타격하는 타격체(246)를 구비한다.
연장부재(245)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결되며, 상단부가 연결로드(241)에 고정된다. 상기 연장부재(245)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격체(246)는 연장부재(245)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방열판(147)들 사이에 인입되게 설치된다. 타격체(246)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방열판(147)들의 표면에 인접될 수 있도록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타격체(246)는 강제 이동부(242)에 의해 연결로드(241)가 이동시 단부가 방열판(147)을 타격할 수 있도록 방열판(147)들 사이의 이격거리 이하의 길이로 연장되되, 단부와 방열판(147)과의 이격거리는 강제 이동부(242)에 의한 연결로드(241)의 이동 거리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타격부(243)는 연결로드(241)가 이동시 연결로드(241)에 대해 이격된 위치의 방열판(147)을 타격하므로 이물질 제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타격유닛(240)은 결합판넬(15)에 대해 연결로드(241)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보조지지부재(244)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지지부재(244)는 열교환 파이프(14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판넬(247)(165)과, 지지판넬(247)(165)에 설치되며, 연결로드(241)에 결합되는 다수의 파지부재(248)를 구비한다.
지지판넬(247)(165)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재(248)는 지지판넬(247)(165)에 고정되며, 연결로드(241)에 고정되는 복수의 파지암(249)을 구비한다.
상기 파지암(249)은 단부에 연결로드(2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되, 삽입구로 연결로드(241)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있다. 상기 파지암(249)은 복수개가 결합판넬(15)의 두께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지지판넬(247)(165)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로드(241)는 파지암(249)들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지암(249)들에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술된 파지부재(248)는 다수개가 지지판넬(247)(165)에 마련되는데, 방열판(147)들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지지판넬(247)(165)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지지부재(244)에 의해 연결로드(241)는 결합판넬(15)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로드(241)의 이동력이 방열판(147)에 보다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10: 본체
111: 수용공간
112: 흡입구
113: 배출구
114: 필터부재
120: 송풍부재
130: 가습유닛
132: 증기 배출관
140: 냉각유닛
141: 증발기
143: 드레인 유닛
144: 수집호퍼
145: 드레인 호스
150: 세척유닛
160: 수력발전부
161: 프레임
162: 발전풍차
163: 제1발전모듈

Claims (14)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강제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부재;
    급수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가습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된 외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마련된 냉각유닛;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유닛; 및
    상기 드레인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수력발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 열교환 파이프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방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판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방열판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판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압의 타격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노즐;
    상기 타격노즐에서 상기 타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상기 타격노즐에 상기 타격수를 공급하는 타격수 공급부;
    상기 방열판들이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
    상기 방열판들에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상기 연결로드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에 의해 상기 연결로드가 이동시 상기 방열판을 타격하는 타격체;를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유닛은
    상기 증발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수집호퍼; 및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에 연결되며, 내부에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유로를 통과한 응축수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드레인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수력발전부는
    상기 드레인 호스의 타단부에 설치된 프레임;
    상기 드레인 호스의 유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호스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마련된 발전풍차; 및
    상기 발전풍차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풍차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1발전모듈;을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전모듈은 생성된 전기를 상기 가습유닛에 제공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활성화될 수 있게 상기 증발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광촉매 코팅층; 및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발전모듈은 생성된 전기를 상기 자외선 램프에 제공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된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재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세척부;를 더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부재를 간섭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드럼;을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세척드럼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재를 간섭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필터부재의 표면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간섭 브러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간섭 브러쉬를 상기 필터부재에 대해 일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브러쉬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세척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타격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2발전모듈;을 더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내부에 상기 응축기 및 압축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마련된 실외기 함체; 및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어 외기를 상기 유입구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실외기 함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 강제 송풍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제3발전모듈;을 더 구비하는,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88893A 2019-07-23 2019-07-23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KR10211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93A KR102119537B1 (ko) 2019-07-23 2019-07-23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93A KR102119537B1 (ko) 2019-07-23 2019-07-23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537B1 true KR102119537B1 (ko) 2020-06-08

Family

ID=7108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893A KR102119537B1 (ko) 2019-07-23 2019-07-23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53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102Y1 (ko) * 1995-11-30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18460B1 (ko) * 1996-12-30 1999-09-01 구자홍 에어콘디셔너용 악취제거장치
JP2001041485A (ja) * 1999-07-16 2001-02-13 Carrier Corp 空調装置
KR100802021B1 (ko) * 2006-10-23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958351B1 (ko) 2007-12-03 2010-05-17 박상무 항온항습기
KR20100053973A (ko) * 2008-11-13 2010-05-24 임텍산업주식회사 냉난방기의 필터 자동 청소장치
JP2013145084A (ja) * 2012-01-16 2013-07-25 Daikin Industries Ltd 掃除機能付きフィルタユニット
KR20170089049A (ko) * 2016-01-04 2017-08-03 주식회사 양지인더스트리 에어컨장치
KR20180079061A (ko) *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컨 실외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JP2018189074A (ja) * 2017-05-12 2018-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102Y1 (ko) * 1995-11-30 1999-07-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18460B1 (ko) * 1996-12-30 1999-09-01 구자홍 에어콘디셔너용 악취제거장치
JP2001041485A (ja) * 1999-07-16 2001-02-13 Carrier Corp 空調装置
KR100802021B1 (ko) * 2006-10-23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958351B1 (ko) 2007-12-03 2010-05-17 박상무 항온항습기
KR20100053973A (ko) * 2008-11-13 2010-05-24 임텍산업주식회사 냉난방기의 필터 자동 청소장치
JP2013145084A (ja) * 2012-01-16 2013-07-25 Daikin Industries Ltd 掃除機能付きフィルタユニット
KR20170089049A (ko) * 2016-01-04 2017-08-03 주식회사 양지인더스트리 에어컨장치
KR20180079061A (ko) * 2016-12-30 2018-07-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컨 실외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JP2018189074A (ja) * 2017-05-12 2018-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発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531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기
KR100710055B1 (ko) 에어컨의 증발기 세척 장치
KR101839360B1 (ko)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20100013525A (ko) 공기조화기
CN110670322A (zh) 一种干衣机及其干衣方法
CN202581563U (zh) 一种柜式空调
KR20100062403A (ko) 공기조화기
CN208566899U (zh) 窗机空调
JP201903551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140053048A (ko) 백연과 동력을 저감하는 고효율 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CN108613306B (zh) 一种利用风机进行室内湿度调节的方法
KR100530387B1 (ko) 응축열을 재활용하는 공기조화기
WO2007091813A1 (en) Air-conditioner using heat of condensation
KR102119537B1 (ko) 발전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KR102560088B1 (ko) 응축기용 냉각수단이 마련된 공조기
KR101865332B1 (ko) 난방코일 일체형 가습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101758041A (zh) 空调机的清洗装置以及其控制方法
CN1928452B (zh) 空调器冷凝水雾化装置
CN102444012A (zh) 烘干装置
KR101510183B1 (ko) 공기조화기의 세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5029B1 (ko)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KR20100033594A (ko) 물을 이용한 공기 조화 장치
KR20030079093A (ko) 열교환기의 자동세척 장치
KR2005008341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17310A (ko) 에어컨용 응축수 증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