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226B1 -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 Google Patents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226B1
KR102119226B1 KR1020190055598A KR20190055598A KR102119226B1 KR 102119226 B1 KR102119226 B1 KR 102119226B1 KR 1020190055598 A KR1020190055598 A KR 1020190055598A KR 20190055598 A KR20190055598 A KR 20190055598A KR 102119226 B1 KR102119226 B1 KR 102119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ar bag
lens
support ring
capsular
artificial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배
Original Assignee
최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배 filed Critical 최경배
Priority to KR102019005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정체낭 내부에 배치되어, 수정체낭이 기 설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정체낭 내 인공 수정체를 지지하여 상기 인공 수정체가 수정체낭의 후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A Lens Capsule Support Ring that Fixes an Intraocular Lens Inserted into the Eye for the Treatment of Cataracts}
본 발명은 수정체낭을 지지하는 동시에,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로 삽입되는 인공 수정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백내장은 수정체 내부가 혼탁하게 되면서, 물체가 뿌옇게 안개 낀 것처럼 보이게 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백내장은 수술을 통하여 치료하고 있다.
백내장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투명각막의 일부를 절개하고, 그 내측에 위치한 수정체낭을 절개하여 혼탁해진 수정체 내 내용물을 유화흡인술 등으로 제거한 후, 내용물이 제거된 수정체낭 내부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인공수정체가 삽입된 안구 내부의 구조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인공수정체가 삽입된 안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이 안구(100) 내로 입사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수정체(110)의 전방에 홍채(130)가 위치하여,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수정체(110) 내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모양체(140)는 수정체(110) 방향으로 돌출된 모양체 소대(또는 수정체 소대, 145)를 포함하며, 모양체 소대(145)와 수정체(110)가 접촉함으로써 정위치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다.
전술한 대로, 수정체(110) 내 내용물은 제거되며, 수정체(110) 내부에 인공수정체(120)가 삽입된다. 수정체(110) 내 내용물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인공 수정체(120)는 일 방향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돌출된 탄성 고리(125)를 구비하여, 수정체(110) 내에 고정된다. 탄성 고리(125)는 인공 수정체(120)로부터 돌출되어 수정체낭(115)과 접촉을 함으로써, 수정체(110) 내에서 인공 수정체(120)를 고정시킨다.
다만, 인공 수정체(120)는 수정체(110) 내에서 고정되기 위해서는 모양체 소대(145)나 수정체낭(115)의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을 것이 전제된다. 모양체 소대(145)의 손상정도가 심할 경우, 수정체(110) 자체가 고정되지 않아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수정체낭(115) 내 피질이 후퇴하는 등 수정체낭(115)이 온전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는, 수정체낭(115), 특히, 수정체 후낭의 손상정도가 심할 경우, 인공 수정체(120)의 탄성 고리(125)가 수정체낭(115) 내에서 충분히 인공 수정체(120)를 고정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인공 수정체(120)가 정위치에서 벗어나 광축을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공 수정체(120)가 삽입됨에도 온전한 시력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하고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방법으로 인공 수정체가 고정된 안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인공 수정체(120)가 탄성 고리(125)를 이용해 수정체(11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정체(110) 전낭의 틈 사이에 배치되어 별도의 구성없이 수정체낭(115)에 직접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인공 수정체(120)는 수정체낭(115), 특히 수정체 후낭의 손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인공 수정체(120)가 배치될 경우, 홍채(130)가 이완하며 인공 수정체(120)와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홍채(130)에 염증이 발생하는 등 인공 수정체(120)의 배치에 의해 추가적인 합병증이 유발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는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31794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정체낭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수정체낭 등 안구의 부분적 손상에 영향없이 인공 수정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면서도, 합병증을 유발시키지 않는 수정체낭 지지고리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수정체낭 내부에 배치되어, 수정체낭이 기 설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정체낭 내 인공 수정체를 지지하여 상기 인공 수정체가 수정체낭의 후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기 수정체낭의 후낭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에 기 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정체낭 지지고리는 기 설정된 비율 이상 상기 수정체낭의 후낭부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몸체가 상기 수정체낭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과 연결되는 고정수단 고정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단 고정공과 공막을 연결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수정체낭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정체 내에 배치되어 수정체낭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수정체낭 등 안구의 부분적 손상에 영향없이 인공 수정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면서도, 합병증을 유발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인공수정체가 삽입된 안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방법으로 인공 수정체가 고정된 안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에 인공 수정체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에 의해 인공 수정체가 고정된 안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300)는 몸체(310), 고정수단 고정공(315) 및 돌출부(320)를 포함한다.
수정체낭 지지고리(300)는 수정체 내 삽입되어, 수정체낭이 기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인공 수정체를 지지하여 인공 수정체의 이동을 방지한다.
몸체(310)는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구현된다. 몸체(310)의 일 끝단부만이 수정체 내로 유입되고, 고리 형상의 몸체(310)는 회전하며 수정체 내로 모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310)가 수정체 내로 유입되기 위해 각막의 많은 부분을 절개할 필요없이 일 부분만의 절개로도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유입된 몸체(310)는 수정체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인공 수정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수정체 후낭부에 배치된다.
몸체(310)는 텐션을 갖는 재질로 구현되며, 수정체낭과 접촉하여 수정체 낭의 형상변화를 최대한 억제한다. 몸체(310)는 전술한 방법 등으로 내용물이 제거된 수정체 내에 삽입된다. 몸체(310)는 텐션(Tension)을 갖는 재질로 구현되며, 수정체낭 내벽과 접촉하여 수정체낭의 형상변화를 억제한다. 몸체(310)는 텐션을 갖기 때문에, 모양체 소대의 손상 또는 수정체낭 자체의 손상에 의해 수정체낭에서 형상변화, 특히, 수정체낭의 수축이 발생하려고 하더라도 이를 억제한다. 이에 따라, 수정체낭은 기 설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형상이란 안구가 내부에 어떠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일 때의 수정체 및 수정체낭의 형상을 의미한다.
고정수단 고정공(315)는 몸체(310)의 개방된 양 끝단에 구현되어, 고정수단이 수정체낭 지지고리(3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수정체낭 지지고리(300)의 몸체(310)는 수정체 내에 유입되어 수정체낭과 접촉하며 수정체낭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모양체 소대의 손상 또는 수정체낭 자체의 손상 정도가 심해 수정체낭의 형상 변화율이 증가하여 몸체(310)가 온전히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몸체(310)가 수정체낭 내부에서 고정되어 수정체낭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의료용 실 등 별도의 고정수단은 고정수단 고정공(315)을 통과한 후 공막에 고정된다. 고정수단 고정공(315)을 통과한 후 공막에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몸체(310)는 수정체낭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정체낭의 형상 변화율이 증가하더라도 수정체낭의 형상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고정수단 고정공(315)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310)가 수정체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 각막의 일부가 절개되어야 하는데, 고정수단 고정공(315)의 폭이 커지면 커질수록 절개되어야 하는 폭도 증가하게 된다. 각막의 절개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 고정공(315)은 신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이 축소된 고정수단 고정공(315)이 수정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각막의 절개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돌출부(320)는 몸체(310)로부터 몸체(310)의 내부로 돌출된 부분으로, 인공 수정체가 수정체 후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모양체 소대의 손상 또는 수정체낭 자체의 손상에 의해 수정체낭의 형상변화가 발생하는 것은 몸체(310)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모양체 소대의 손상 또는 수정체낭 자체의 손상에 의해, 수정체낭 자체가 약해져 인공 수정체가 수정체낭에 온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수정체 내에서의 손상은 주로 수정체 후낭에서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인공 수정체의 탄성고리가 온전히 인공 수정체를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고, 인공 수정체는 수정체 후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인공 수정체의 이동은 수정체 내로 입사되는 광의 광축에서 벗어날 우려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환자가 온전히 시력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320)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몸체(310)로부터 몸체(310)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특히, 돌출부(320)는 몸체(310)로부터 수정체 후낭 방향으로 제1 기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된 후, 몸체(310)의 내부로 제2 기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된다. 전술한 대로, 몸체(310)는 수정체의 후낭부에 배치되고, 돌출부(320)가 후낭 방향으로 제1 기 설정된 길이만큼, 몸체(310)의 내부로 제2 기 설정된 길이만큼 몸체(310)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돌출부(320)는 인공 수정체의 후면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돌출부(320)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몸체(310)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인공 수정체의 후면부와 모든 방향(360˚)에서 접촉을 한다. 돌출부(320)는 인공 수정체의 후면부에서 인공 수정체와 접촉을 함으로써, 인공 수정체가 수정체 후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에는 전술한 상황에서 인공 수정체의 이동을 방지하고자, 인공 수정체에 탄성 고리 이외에 다양한 구성이 부가되거나 다양한 구조가 추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이나 구조의 추가는 세밀한 조작이 필요한 인공 수정체의 제작을 보다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인공 수정체의 삽입에도 큰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300)는 몸체(3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20)를 구비하는 것 만으로도, 인공 수정체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돌출부(320)는 외부로부터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힘에 의해 신축되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310)가 수정체 내로 유입됨에 있어, 몸체(3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각막의 절개 폭이 증가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돌출부(320)는 수정체 후낭 방향뿐만 아니라, 몸체(310)의 내부로도 돌출되어 있어, 그대로 몸체(310)가 유입될 경우 상당한 폭으로 각막이 절개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돌출부(320)는 신축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310)가 삽입됨에 있어, 돌출부(320)는 몸체(310) 방향으로 충분히 축소됨으로써, 각막의 절개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20)의 신축은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힘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320)의 신축이 미약한 세기의 힘에서도 발생하게 된다면, 인공 수정체가 이동하며 돌출부(320)에 일정한 세기의 압력을 가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돌출부(320)에서 신축이 발생하게 된다. 인공 수정체와의 접촉에 의해 돌출부(320)에서 신축이 발생하게 되면, 인공 수정체의 이동을 온전히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돌출부(320)는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힘에 의해 신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에 인공 수정체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정체낭 지지고리에 의해 인공 수정체가 고정된 안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공 수정체(120)가 돌출부(320)와 접촉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미도시)는 수정체 후낭부에 배치되고, 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20)가 인공 수정체(120)의 후면부와 접촉함으로써, 인공 수정체가 수정체 후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구
110: 수정체
115: 수정체낭
120: 인공 수정체
125: 탄성 고리
130: 홍채
140: 모양체
145: 모양체 소대
300: 수정체낭 지지고리
310: 몸체
315: 고정수단 고정공
320: 돌출부

Claims (5)

  1. 수정체낭 내부에 배치되어 수정체낭이 기 설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부가 개방된 고리형상을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기 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수정체 후낭 방향으로 제1 기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된 후 상기 몸체 내부로 제2 기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수정체낭 내 인공 수정체를 지지하여 상기 인공 수정체가 수정체낭의 후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각막의 절개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기 설정된 세기 이상의 힘에 의해 신축되는 재질로 구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정체낭의 후낭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비율 이상 상기 수정체낭의 후낭부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몸체가 상기 수정체낭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과 연결되는 고정수단 고정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단 고정공과 공막을 연결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수정체낭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KR1020190055598A 2019-05-13 2019-05-13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KR102119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98A KR102119226B1 (ko) 2019-05-13 2019-05-13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98A KR102119226B1 (ko) 2019-05-13 2019-05-13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226B1 true KR102119226B1 (ko) 2020-06-26

Family

ID=7113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98A KR102119226B1 (ko) 2019-05-13 2019-05-13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2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943A (ja) 1995-03-15 1996-12-03 David W Langerman 眼外科処置に使用するための“スペアパーツ”
JP2006513003A (ja) * 2003-01-08 2006-04-20 アイオーエル テクノロジー プロダクション 水晶体嚢テンションリング、水晶体嚢テンションリングの製造方法、及び水晶体嚢リング及び眼内レンズアセンブリ
KR101061002B1 (ko) * 2008-10-20 2011-09-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정체낭 확장고리
KR101555298B1 (ko) * 2014-07-04 2015-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수정체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943A (ja) 1995-03-15 1996-12-03 David W Langerman 眼外科処置に使用するための“スペアパーツ”
JP2006513003A (ja) * 2003-01-08 2006-04-20 アイオーエル テクノロジー プロダクション 水晶体嚢テンションリング、水晶体嚢テンションリングの製造方法、及び水晶体嚢リング及び眼内レンズアセンブリ
KR101061002B1 (ko) * 2008-10-20 2011-09-0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정체낭 확장고리
KR101555298B1 (ko) * 2014-07-04 2015-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수정체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1715A (en) Overlapping two piece intraocular lens
US4946469A (en) Intraocular lens
JP4511533B2 (ja) 眼内レンズ機構
US6283976B1 (en) Intraocular lens implanting instrument
US6197058B1 (en) Corrective intraocular lens system and intraocular lenses and lens handling device therefor
JP2538187B2 (ja) 改善された支持部材を有する眼内レンズ
US4174543A (en) Intraocular lenses
US8377125B2 (en) Intraocular lens with accommodation
US5769889A (en) High myopia anterior chamber lens with anti-glare mask
JP7128843B2 (ja) 不透明なフレームを用いる調節眼内レンズ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70062529A (ko) 안내 및 각막 내의 굴절 렌즈
JPH0514580B2 (ko)
US5336262A (en) Intraocular lens with haptics for scleral fixation and method for using it
US5480426A (en) Method of implanting an intraocular lens having haptics for scleral fixation
CN115486965A (zh) 用于晶状体囊的修复和张紧的设备
KR0162655B1 (ko) 인공수정체
KR102119226B1 (ko) 백내장 치료를 위해 안구 내 삽입되는 인공수정체를 고정하는 수정체낭 지지고리
WO2016159910A1 (en) Intraocular lens comprising anchor-winged haptic
KR102251842B1 (ko) 인공 수정체의 지지 구조물
JP2004130062A (ja) 有水晶体眼内レンズ及び有水晶体眼内レンズの移植方法
GB2053689A (en) Intraocular lens
US20220079745A1 (en) Implantabl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related methods
WO2014108101A1 (zh) 眼内透镜
JP2013022273A (ja) 眼内レンズ
US20230200794A1 (en) Pupil expan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