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397B1 -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397B1
KR102118397B1 KR1020190152022A KR20190152022A KR102118397B1 KR 102118397 B1 KR102118397 B1 KR 102118397B1 KR 1020190152022 A KR1020190152022 A KR 1020190152022A KR 20190152022 A KR20190152022 A KR 20190152022A KR 102118397 B1 KR102118397 B1 KR 10211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traffic
exit
flow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수
임인건
윤중범
Original Assignee
(주)씨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프로 filed Critical (주)씨프로
Priority to KR102019015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92Multi-camera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에서 방문객 흐름을 나타내는 방향 맵(direction map)을 생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cascaded direction maps)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1)은, (1-1) 단일 카메라 영상 내의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에 각각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문객을 카운트하여 상기 입구 및 출구에서의 각각의 통행량을 획득하는 단계; (1-2) 상기 획득한 통행량에서, 출구의 통행량의 합과 입구의 통행량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1-3) 상기 입구에서 출구로 방문객의 동선(path)을 연결하여 상기 방향 맵을 생성하되,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상기 보정된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따르면,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 내에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통행량을 획득해 방향 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카운팅 라인만을 사용해 방문객의 동선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다수의 카메라 영상 사이에서 복잡하고 실패 위험이 높은 멀티 센서 트래킹이 필요하지 않아, 하나의 카메라로 커버가 불가능한 광역의 매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따르면,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방향 맵을 생성하고, 방향 맵들을 연결한 방향 맵 계층을 분석 대상 영역의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을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광역에 대한 전체적인 방문객 동선 흐름과 통행량을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A METHOD FOR GENERATING THE FLOW OF VISITOR’S PATHS IN WIDE AREA BASED ON COUNTING LINES USING MULTIPLE CAMERAS}
본 발명은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정보를 수집하고 마케팅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다.
매장에 방문하는 고객의 수와 이동 동선을 파악하는 것은, 매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상품 배치 등을 최적화하여 쇼핑 환경을 개선하는 데에 중요한 수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장 방문객의 동선 흐름을 파악함으로써, 면적 대비 방문객의 통행량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매장의 레이아웃을 최적으로 재배치하여 매출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과도하게 혼잡한 영역이나 통로를 넓혀 전체적인 통행이 원활하도록 개선하여 쾌적한 쇼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재배치 전후의 방문객 동선 비교를 통해 개선 성과를 평가할 수도 있다.
기존의 지능형 카메라는 주로 객체 추적(object tracking)을 통해 방문객을 추적하는데, 객체 추적을 이용한 방문객 흐름 파악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현재의 객체 추적 기술은 객체를 장시간 추적할 수 없어서 방문객의 동선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객체 추적이 가능한 범위가 한정적이므로, 하나의 카메라로 커버할 수 없는 광역의 매장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셋째, 복수의 카메라 이용 시 카메라 간에 객체 추적의 연동을 통한 멀티 센서 트래킹을 하여야 하는데, 멀티 센서 트래킹은 그 기술이 매우 복잡하여 계산량이 많고, 아직 상용화되어 있지 않아 실제 매장에서 방문객 흐름 파악을 위해 사용하기는 힘든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다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광역의 매장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방문객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92960호(발명의 명칭: 고객의 동선을 분석하는 장치 및 방법, 등록일자: 2013년 07월 29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 내에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통행량을 획득해 방향 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카운팅 라인만을 사용해 방문객의 동선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다수의 카메라 영상 사이에서 복잡하고 실패 위험이 높은 멀티 센서 트래킹이 필요하지 않아, 하나의 카메라로 커버가 불가능한 광역의 매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방향 맵을 생성하고, 방향 맵들을 연결한 방향 맵 계층을 분석 대상 영역의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을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광역에 대한 전체적인 방문객 동선 흐름과 통행량을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은,
(1)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에서 방문객 흐름을 나타내는 방향 맵(direction map)을 생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cascaded direction maps)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1)은,
(1-1) 단일 카메라 영상 내의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에 각각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문객을 카운트하여 상기 입구 및 출구에서의 각각의 통행량을 획득하는 단계;
(1-2) 상기 획득한 통행량에서, 출구의 통행량의 합과 입구의 통행량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1-3) 상기 입구에서 출구로 방문객의 동선(path)을 연결하여 상기 방향 맵을 생성하되,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상기 보정된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1)에서는,
측정 시간 동안 측정 방향으로 상기 카운팅 라인을 통과한 방문객을 계수하여 상기 통행량을 획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2)는,
(1-2-1)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의 통행량의 합에 대한 각 출구의 통행량으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1-2-2) 입구의 통행량과 상기 단계 (1-2-1)에서 산출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의 곱으로, 각 출구의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3)에서는,
상기 방문객의 이동 방향은 화살표, 상기 보정된 통행량은 동선의 두께로 시각화하고, 상기 입구에서 각 출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선을 결합하여 상기 방향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영상들 사이에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 및 형태의 카운팅 라인을 동일한 카운팅 라인으로 가정하여, 상기 복수의 방향 맵에서 서로 대응되는 입구와 출구를 상호 연결해 상기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동선이 나타내는 방문객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방향 맵을 트리 구조로 연결하여 상기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이후에는,
(3) 상기 구성된 방향 맵 계층을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flow map)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경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영상을 통합한 파노라마 뷰 또는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의 평면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따르면,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 내에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통행량을 획득해 방향 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카운팅 라인만을 사용해 방문객의 동선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다수의 카메라 영상 사이에서 복잡하고 실패 위험이 높은 멀티 센서 트래킹이 필요하지 않아, 하나의 카메라로 커버가 불가능한 광역의 매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따르면,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방향 맵을 생성하고, 방향 맵들을 연결한 방향 맵 계층을 분석 대상 영역의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을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광역에 대한 전체적인 방문객 동선 흐름과 통행량을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이 구현되는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카운팅 라인을 이용한 피플 카운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단계 S12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의 단계 S100에서 생성된 방향 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생성된 플로우 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산출된 보정된 통행량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이 구현되는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은, 방향 맵 생성부(100), 방향 맵 계층 구성부(200), 플로우 맵 생성부(300)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 하드웨어에서 기록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서버 컴퓨터, 클라우드 기반의 서버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장치에 저장 및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는, 넓은 매장이나 건물의 층 전체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로 커버가 불가능한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카메라 1 내지 카메라 n)에서 촬영된 복수의 카메라 영상(카메라 영상 1 내지 카메라 영상 n)을 수집할 수 있다. 방향 맵 생성부(100)는 복수의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방향 맵을 생성하고, 방향 맵 계층 구성부(200)는 생성된 복수의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광역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플로우 맵 생성부(300)는 구성된 방향 맵 계층을 분석 대상 영역의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플로우 맵은, 분석 대상 영역을 관리하는 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플로우 맵을 통해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 대한 방문객 동선 흐름과 통행량을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은,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에서 방문객 흐름을 나타내는 방향 맵을 생성하는 단계(S100) 및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방향 맵 계층을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을 생성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에서 방문객 흐름을 나타내는 방향 맵(direction map)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맵은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가지는 동선들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어느 매장의 특정 지점(입구)으로부터 다수의 다른 지점(출구)으로 갈라지는 방문객 동선들에 대한 방향과 통행량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100은 방향 맵 생성부(1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의 단계 S100은, 단일 카메라 영상 내의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에 각각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통행량을 획득하는 단계(S110), 출구의 통행량의 합과 입구의 통행량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S120) 및 입구에서 출구로 방문객의 동선을 연결하여 방향 맵을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단일 카메라 영상 내의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에 각각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문객을 카운트하여 입구 및 출구에서의 각각의 통행량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와 출구는 매장의 실제 입구와 출구가 아니라, 하나의 카메라 영상에 설정된 매장의 특정 지점으로서, 방향성을 갖는 통행량 측정 지점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카운팅 라인을 이용한 피플 카운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는, 단일 카메라 영상 내의 입구(P1)와 출구(D) 각각에 대해서 카운팅 라인이 설정되며, 각각의 카운팅 라인에는 통행량의 측정 방향(카운팅 방향)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측정 방향은 입구에서 출구로 이동하는 방향(P1에서 D 방향)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10에서는, 측정 시간(time period) 동안 해당 카운팅 라인에 대해 설정된 측정 방향으로 카운팅 라인을 통과한 방문객을 계수하여 통행량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카운팅 라인마다 통행량이 측정되므로, 입구와 출구의 개수만큼 통행량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측정 시간은 방향 맵 생성 목적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획득한 통행량에서, 출구의 통행량의 합과 입구의 통행량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단일 카메라 영상에서, 입구를 통과한 사람이 출구 중 하나로 반드시 통과한다고 가정하면, 입구의 통행량과 모든 출구의 통행량의 총합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측정 오차로 인해 일치하지 않으므로, 단계 S120에서는 입구와 출구의 통행량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이를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일 카메라 영상 내에서 실제 총 통행량은 입구의 통행량과 일치한다고 가정하고, 출구의 통행량의 합을 입구의 통행량에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단계 S12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의 단계 S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의 통행량의 합에 대한 각 출구의 통행량으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121) 및 입구의 통행량과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의 곱으로 각 출구의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S122)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21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의 통행량의 합에 대한 각 출구의 통행량으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각 출구의 통행량을 전체 출구의 통행량 합으로 나누어,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122에서는, 입구의 통행량과 단계 S121에서 산출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의 곱으로, 각 출구의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로 실제 통행량이라고 가정한 입구의 통행량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카메라 영상 내에 입구 P1과 3개의 출구 A, B, C가 설정되어 있을 때, 입구의 통행량은 120, 출구 A, B, C의 통행량은 각각 50, 30, 20으로 측정되었다면,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은 0.5(50%), 0.3(30%), 0.2(20%)로 각각 산출되고(S121), 각 출구의 보정된 통행량은 산출된 비율에 입구의 통행량 120을 곱하여 60(출구 A), 36(출구 B), 24(출구 C)로 각각 산출될 수 있다(S122).
단계 S130에서는, 입구에서 출구로 방문객의 동선(path)을 연결하여 방향 맵을 생성하되,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보정된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30에서는, 방문객의 이동 방향은 화살표, 보정된 통행량은 동선의 두께로 시각화하고, 입구에서 각 출구로 연결되는 복수의 동선을 결합하여 방향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의 단계 S100에서 생성된 방향 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의 단계 S130에서는, 특정 카메라 영상에 하나의 입구 P1과 4개의 출구 A, B, C, D가 설정된 경우, 입구에서 각 출구 방향으로 방문객의 동선을 화살표로 연결해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동선의 두께를 보정된 통행량에 따라 조절하여, 4개의 동선을 결합한 동선 그룹으로 방향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일 카메라 영상에서의 방향 맵을 카메라 영상 또는 분석 대상 영역의 평면도(매장의 평면도)와 같은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단계 S100에서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cascaded direction maps)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 맵이 여러 개일 때, 한 방향 맵의 출구를 다른 방향 맵의 입구에 연결(link)함으로써, 다수의 방향 맵이 연결된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00은 방향 맵 계층 구성부(2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S200에서는, 복수의 카메라 영상들 사이에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 및 형태의 카운팅 라인을 동일한 카운팅 라인으로 가정하여, 복수의 방향 맵에서 서로 대응되는 입구와 출구를 상호 연결해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200에서는, 동선이 나타내는 방문객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도록 복수의 방향 맵을 트리 구조로 연결하여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성된 방향 맵 계층은,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방향 맵들이 트리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매장 전체나 한 층 전체와 같은 넓은 영역에 대하여, 방문객 동선의 전체적인 흐름과 통행량을 통합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구성된 방향 맵 계층을 분석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flow map)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 이미지는 분석 대상 영역을 전체적으로 충분히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로서, 복수의 카메라 영상을 통합한 파노라마 뷰 또는 분석 대상 영역의 평면도일 수 있다. 단계 S300은 플로우 맵 생성부(3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생성된 플로우 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는, 평면도와 같이 분석 대상 영역을 전체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배경 이미지 위에 방향 맵 계층을 겹쳐서 플로우 맵을 생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가 가능한 형태로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서 산출된 보정된 통행량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즉, 각 입구 지점인 P1~P14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가 각각 설정되어 있을 때, 각 출구에 대한 보정된 통행량 및 통행량 비율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로우 맵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에 따르면,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 내에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통행량을 획득해 방향 맵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함으로써, 단순한 카운팅 라인만을 사용해 방문객의 동선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다수의 카메라 영상 사이에서 복잡하고 실패 위험이 높은 멀티 센서 트래킹이 필요하지 않아, 하나의 카메라로 커버가 불가능한 광역의 매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방향 맵을 생성하고, 방향 맵들을 연결한 방향 맵 계층을 분석 대상 영역의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을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광역에 대한 전체적인 방문객 동선 흐름과 통행량을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방향 맵 생성부
200: 방향 맵 계층 구성부
300: 플로우 맵 생성부
S100: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에서 방문객 흐름을 나타내는 방향 맵을 생성하는 단계
S110: 단일 카메라 영상 내의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에 각각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통행량을 획득하는 단계
S120: 출구의 통행량의 합과 입구의 통행량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
S12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의 통행량의 합에 대한 각 출구의 통행량으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S122: 입구의 통행량과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의 곱으로 각 출구의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
S130: 입구에서 출구로 방문객의 동선을 연결하여 방향 맵을 생성하는 단계
S200: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하는 단계
S300: 방향 맵 계층을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을 생성하는 단계

Claims (8)

  1. (1) 광역의 분석 대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각각의 카메라 영상에서 방문객 흐름을 나타내는 방향 맵(direction map)을 생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에서 생성된 방향 맵들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분석 대상 영역 전체에서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통행량을 나타내는 방향 맵 계층(cascaded direction maps)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1)은,
    (1-1) 단일 카메라 영상 내의 하나의 입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에 각각 설정된 카운팅 라인을 기준으로,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문객을 카운트하여 상기 입구 및 출구에서의 각각의 통행량을 획득하는 단계;
    (1-2) 상기 획득한 통행량에서, 출구의 통행량의 합과 입구의 통행량을 일치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1-3) 상기 입구에서 출구로 방문객의 동선(path)을 연결하여 상기 방향 맵을 생성하되, 각 동선이 방문객의 이동 방향 및 상기 보정된 통행량을 나타내도록 시각화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2)는,
    (1-2-1)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구의 통행량의 합에 대한 각 출구의 통행량으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1-2-2) 입구의 통행량과 상기 단계 (1-2-1)에서 산출한 각 출구의 통행량 비율의 곱으로, 각 출구의 보정된 통행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1-3)에서는,
    상기 방문객의 이동 방향은 화살표, 상기 보정된 통행량은 동선의 두께로 시각화하고, 상기 입구에서 각 출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선을 결합하여 상기 방향 맵을 생성하며,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영상들 사이에 물리적으로 동일한 위치 및 형태의 카운팅 라인을 동일한 카운팅 라인으로 가정하여, 상기 복수의 방향 맵에서 서로 대응되는 입구와 출구를 상호 연결해 상기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하고,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동선이 나타내는 방문객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방향 맵을 트리 구조로 연결하여 상기 방향 맵 계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1)에서는,
    측정 시간 동안 측정 방향으로 상기 카운팅 라인을 통과한 방문객을 계수하여 상기 통행량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후에는,
    (3) 상기 구성된 방향 맵 계층을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배경 이미지와 결합하여 플로우 맵(flow map)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이미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영상을 통합한 파노라마 뷰 또는 상기 분석 대상 영역의 평면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KR1020190152022A 2019-11-25 2019-11-25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KR10211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22A KR102118397B1 (ko) 2019-11-25 2019-11-25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22A KR102118397B1 (ko) 2019-11-25 2019-11-25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397B1 true KR102118397B1 (ko) 2020-06-04

Family

ID=7108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22A KR102118397B1 (ko) 2019-11-25 2019-11-25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3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082A (ja) * 2003-03-31 2004-10-28 Toyota Tsusho Corp 広域車両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09863B1 (en) * 2008-06-30 2011-08-30 Videomin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shopping behavior using multiple sensor tracking
JP2018128895A (ja) * 2017-02-09 2018-08-1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支援システム、支援装置、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082A (ja) * 2003-03-31 2004-10-28 Toyota Tsusho Corp 広域車両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09863B1 (en) * 2008-06-30 2011-08-30 Videomining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shopping behavior using multiple sensor tracking
JP2018128895A (ja) * 2017-02-09 2018-08-1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支援システム、支援装置、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4249B2 (ja) 人物移動分析装置、人物移動分析システムおよび人物移動分析方法
US8165350B2 (en) Assessment of a view through the overlay of maps
US110489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unting objects
US10171794B2 (en) Method for selecting cameras and image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ppropriately selecting cameras
WO2014203389A1 (ja) センサ配置決定装置およびセンサ配置決定方法
CN110245579A (zh) 人流密度预测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介质
US20170344834A1 (en) Facility use measuring device and facility use measuring system
JP7029902B2 (ja) 映像通話品質測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Zeng et al. Route‐aware edge bundling for visualizing origin‐destination trails in urban traffic
CN109074772A (zh) 基于视线的内容共享动态自组织网络
JP2017156956A (ja) 機器選択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9902681A (zh) 用户群体关系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ian et al. Behavior analysis of indoor escape route-finding based on head-mounted vr and eye tracking
KR102118397B1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카운팅 라인 기반의 광역의 방문객 동선 흐름 추출 방법
JP2007102341A (ja) 自動計数装置
CN114510641A (zh) 一种流量统计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Bazo et al. Baptizo: A sensor fusion based model for tracking the identity of human poses
KR20190128992A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WO2019187288A1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10116827A1 (ja) 大量データ可視化システム及び大量データ可視化方法
KR20210020520A (ko)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7410A (ko) 유동 인구를 카운팅하고 유동 인구 대비 매출을 산정하여 복수의 지점을 관리하는 방법
KR102227562B1 (ko) 영상 기반의 유동인구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2596A (ko)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무인 매장 고객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Rodrigues et al. Fusion data tracking system (f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