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564B1 - 자동차용 실내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564B1
KR102117564B1 KR1020190160352A KR20190160352A KR102117564B1 KR 102117564 B1 KR102117564 B1 KR 102117564B1 KR 1020190160352 A KR1020190160352 A KR 1020190160352A KR 20190160352 A KR20190160352 A KR 20190160352A KR 102117564 B1 KR102117564 B1 KR 10211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housing
l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재
Original Assignee
장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재 filed Critical 장승재
Priority to KR102019016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의도에 맞게 조작함으로써 실내등의 밝기조절 뿐만 아니라 램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빛의 조사범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환경에 맞게 간편하게 램프부를 인출입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등 {AUTOMOTIVE INTERIOR LIGHT}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의도에 맞게 조작함으로써 실내등의 밝기조절 뿐만 아니라 램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빛의 조사범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환경에 맞게 간편하게 램프부를 인출입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등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조명등은 차량 실내 천장에 구비되어 심야 운전시 어두운 차내를 밝히거나 차량 내 물건 등을 찾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자동차용 조명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4237호에 기재된 "자동차용실내등구조"와 같이 차실 내 탑실링에 장착된 하우징(2)에 렌즈 및 백열등(4)이 결합되고, 좌/우측부에 발광다이오드(3)가 장착된 실내등(1)을 통해 탑승자가 야간에 차실내에서 독서를 할 경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도 10과 같이 하우징(2) 내 결합된 백열등이 발광하더라도 탑실링 내부에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차실의 바닥쪽으로는 충분히 빛이 조사되지 못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차실 내 존재하는 쿠션, 인테리어, 물건 등이 차량 천장에 빌트인되는 종래의 실내등의 빛을 막게 되기 때문에 하측으로 충분히 빛이 조사되기 어렵고, 조사범위 또한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하여 종래의 차량 실내등은 단순히 조도 정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빛의 강약만 조절될 뿐 조사범위 등을 조절할 수 없고, 차량 내 실내 악세사리 등이 늘어나는 추세에서 천장에 빌트인 형식으로 구비된 실내등은 실내 소품 등에 의해 빛이 가려져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환경을 얻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4237호 (1999.08.02.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749호 (2006.03.16.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실내등을 사용자가 의도에 맞게 직접 조작함으로써 실내등의 밝기조절 뿐만 아니라 램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빛의 조사범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환경에 맞게 간편하게 램프부를 인출입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등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램프부를 프레임부로부터 분리하여 손전등과 같이 사용가능하게 착탈이 용이한 자동차용 실내등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램프부를 프레임부로부터 분리시 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된 측면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추가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등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차량 실내 천장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은 차량 실내 천장에 빌트인되는 프레임부와, 발광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내삽되어 빛을 발광하는 램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상리 램프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며, 상기 램프부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램프의 조도 및 점멸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천장에 부착되는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과 연결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램프부가 내삽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면으로 내삽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측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하우징 내측에는 상기 조작부와 연동되는 승강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어는 상기 램프부의 측면과 기어결합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램프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기어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단일 혹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부의 측면에는 상기 승강기어와 기어결합될 수 있는 기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어와 상기 기어레일은 위치 및 개수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램프부는 상기 승강기어와 상기 기어레일의 기어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승강기어는 상기 하우징 내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부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 내삽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램프부 측면 상단부터 필요하강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램프부는 하강시 상기 기어레일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 내측에는 개방된 하면과 인접한 곳을 따라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측면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램프는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램프부가 완전히 내삽되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한다.
이때, 측면램프는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램프부가 완전히 내삽되면 자동으로 점등되고, 상기 램프부가 하강하여 상기 측면램프의 위치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소등된다.
또한, 하우징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측면램프가 내장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내장된 상기 측면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전달될 수 있는 측면램프 인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측면램프 인입홈의 내측면에 반사되어 외부로 조사되며, 상기 측면램프는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램프부가 완전히 내삽되어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램프부는 상기 발광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직접 내삽되는 램프프레임이 포함된다.
이때, 램프프레임의 하면은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하면은 상기 램프부의 내삽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램프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착탈될 수 있어 휴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는 상기 램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상기 램프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스위치 및 상기 램프부의 발광패턴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변경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모듈은 단일 혹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등은 사용자가 의도에 맞게 직접 조작함으로써 실내등의 밝기조절 뿐만 아니라 램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빛의 조사범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환경에 맞게 간편하게 램프부를 인출입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램프부를 프레임부로부터 분리하여 손전등과 같이 사용가능하게 착탈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사용자가 램프부를 프레임부로부터 분리시 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된 측면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추가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부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실시예의 측면도와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등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의 작동예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및 측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종래의 선행문헌에 기재된 차량 실내등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인 자동차용 실내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부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실시예의 측면도와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등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레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의 A의 작동예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및 측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자동차 내부 천장에 대하여 모두 '천장'으로 기재함을 미리 밝힌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직접 조작을 통해 램프부의 인출입이 용이한 자동차용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함으로써 실내등의 밝기조절 뿐만 아니라 램프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빛의 조사범위를 조절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환경에 맞게 간편하게 램프부를 인출입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실내등(1)은 프레임부(10), 램프부(20) 및 조작부(30)로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부(10)는 천장에 직접 내삽되어 설치되며, 램프부(20) 및 조작부(30)가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0)는 조작부(30)가 구비되어 자동차 실내 천장에 부착되는 외측프레임(11)과, 램프부(20)가 내측의 수용공간(12a)으로 내삽결합되는 하우징(12)으로 구성된다.
외측프레임(11)은 천장에 직접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차량 내부측을 향하는 하면에는 조작부(3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측프레임(11)에 구비된 조작부(30)를 직접 조작하여 실내등(1)의 구동을 조작하도록 한다. 이때, 외측프레임(11)의 상측 일부는 천장에 내삽되어 설치된다.
하우징(12)은 외측프레임(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2)은 내측에 램프부(20)가 내삽결합되는 수용공간(12a)이 형성되며, 하우징(12)의 하면은 개방되어 램프부(20)가 개방된 하면으로 이동하여 차량 실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하우징(12)은 외측프레임(11)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외측프레임(11)의 상측, 즉 차량 천장측으로 돌출형성되고, 개방된 하면은 램프부(2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하우징(12)의 돌출정도 및 수용공간(12a)의 상하방향 높이는 램프부(20)의 상하방향보다 커 램프부(20)가 수용공간(12a)에 완전히 내삽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의 내측 공간인 수용공간(12a)의 일측면에는 승강기어(12b)가 구비된다.
승강기어(12b)는 후술된 램프프레임(21)에 형성된 기어레일(23)과 맞물려 수용공간(12a)에 내삽되는 램프프레임(21)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한다.
승강기어(12b)는 후술된 조작부(30) 중 승강스위치(32)와 연결되어 램프부(20)가 하우징(12)의 수용공간(12a)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승강스위치(32)를 조작하여 승강기어(12b)를 회전시켜 서로의 톱니가 맞물린 기어레일(23)을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램프부(20)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도 7 참조).
상술된 승강기어(12b) 및 기어레일(2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과 램프프레임(21)이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형성되는데, 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측면 방향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단, 승강기어(12b)와 기어레일(23)은 하우징(12)과 램프프레임(21)이 서로 맞닿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용이하게 기어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기어(12b) 및 기어레일(23)은 도 5와 같이 램프프레임(21)의 측면 중 한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단일 혹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설치되는 램프프레임(21)의 크기, 형상, 무게, 이동속도에 의해 램프부(20)를 균형있게 승하강시키기 위한 동력 등이 변화될 수 있어 제작자는 이를 고려하여 승강기어(12b) 및 기어레일(23)을 알맞은 위치에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승강기어(12b)는 후술된 조작부(30) 중 분리스위치(34)를 통해 하우징(12) 내벽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기어(12b)와 맞물린 기어레일(23)이 서로 이격되면서 램프부(20)를 프레임부(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0)로부터 분리된 램프부(20)는 사용자가 간이 손전등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프레임부(10)와 결합된 램프부(20)에서는 빛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사용자가 분리된 램프부(20)를 통해 차량 실내 하단이나 사각지대 등을 비추어 램프부(20)의 빛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분리되는 램프부(20)에는 별도의 배터리를 내장하여 평상시에는 프레임부(10)와 연결되어 램프부(20) 내 배터리가 충전이 되고, 상기 램프부(20)를 프레임부(10)로부터 분리하여도 계속해서 발광되도록 하여 간이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하우징(12)은 램프부(20)가 내삽되어 하우징(12)의 개방면에 반대되는 면까지 완전히 내삽될 경우 측면에서는 램프부(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도 4의 (a) 참조), 하우징(12)의 내측 일부가 외부에서 보여진다(도 4의 (b) 참조).
이러한 경우 하우징(12) 내측 중 개방면과 인접한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측면램프(13)가 발광하게 된다.
측면램프(13)는 하우징(12)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하우징(12) 측면에 내삽되어 구비됨으로써 하우징(12) 내측을 따라 움직이는 램프부(20)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한다.
즉, 이러한 램프부(20) 및 측면램프(13)는 도 4의 (B)와 같이 램프부(20)가 수용공간(12a)으로 내삽된 상태일 경우 램프부(20)는 자동으로 빛이 꺼지게 되고, 램프부(20)가 수용공간(12a)으로 내삽됨과 동시에 하우징(12) 내측면에 구비된 측면램프(13)는 자동으로 점등되어 빛이 외부로 발산하게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강한 조명을 원하지 않을 때나, 무드등과 같은 은은한 조명을 연출하고 싶을 때 도 4와 같이 램프부(20)가 완전 내삽되어 발광이 중지되고, 측면램프(13)는 자동으로 점등되어 상대적으로 램프부(20)보다 낮은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램프부(20)를 프레임부(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에도 측면램프(13)는 자동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분리된 램프부(20)외에도 추가적인 조명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조작부(30)를 통해 사용자가 램프부(20) 및 측면램프(13)의 점등여부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와 같이 측면램프(13)는 하우징(12) 내측면에 구비되어 램프부(20)가 수용공간(12a)으로 완전 내삽시 외부로 노출되면서 직접적으로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나, 도 8과 같이 측면램프(13)가 하우징(12) 내측에 구비되어 램프부(20)가 하우징(12)으로 완전 내삽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반사된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이는 도 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2)의 내측 하단에는 측면램프(13)가 내삽될 수 있는 측면램프 인입홈(12c)이 형성된다.
이때, 측면램프 인입홈(12c)은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측면램프 인입홈(12c)에 내장된 측면램프(13)가 발광시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되, 측면램프(13)의 높이보다 높은 가림턱(12d)이 형성되어 측면램프(1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간접조명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측면램프 인입홈(12c) 내측면에 반사된 빛만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면램프 인입홈(12c)의 내측 상단에는 외부와 연통된 곳으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경사(12e)가 형성되어 측면램프(13)에서 조사된 빛이 용이하게 외측으로 반사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와 도 8에서는 측면램프(13)에서 조사되는 빛을 2점쇄선으로 표현하였으며, 도 8은 측면램프 인입홈(12c)의 공간을 나타내기 위해 측면램프(13)와 가림턱(12d)간의 공간이 이격되게 도시하였으나 이는 측면램프 인입홈(12c)의 공간을 표시하기 위함이고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측면램프(13)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측면램프 인입홈(12c)에 내장될 수 있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인입홈(12c), 가림턱(12d) 및 경사(12e) 역시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램프부(20)는 내부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모듈(22)이 구비되어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빛을 발광하고, 수용공간(12a)에 내삽되어 하우징(12) 내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하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빛의 세기, 조사범위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램프부(20)는 수용공간(12a)에 직접 내삽되어 프레임부(10)와 결합되는 램프프레임(21)과, 상기 램프프레임(21)에 내장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모듈(22) 및 상기 램프프레임(2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승강기어(12b)와 기어결합되는 기어레일(23)로 구성된다.
램프프레임(21)은 수용공간(12a)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이때 램프프레임(21)의 높이는 수용공간(12a)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램프프레임(21)이 수용공간(12a)에 완전히 내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램프프레임(21)의 일측면 중 수용공간(12a)에 내삽시 승강기어(12b)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기어레일(23)이 램프프레임(21)의 외부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기어레일(23)은 승강기어(12b)와 맞닿는 면에 상기 승강기어(12b)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12a)에 램프프레임(21)이 내삽시 승강기어(12b)의 톱니와 기어레일(23)의 톱니가 서로 맞물려 기어결합되고, 승강기어(12b)의 회전에 따라 맞물린 기어레일(23)을 통해 램프프레임(21)이 수용공간(12a)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어레일(23)은 램프프레임(21)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램프부(20)는 수용공간(12a) 내부를 따라 다양하게 승강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승강기어(12b) 및 기어레일(23)에 의해 하강하는 램프프레임(21)은 외부로 노출되어 측면에 구비된 기어레일(23)로 인해 심미감을 해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기어레일(23)에 의해 상기 기어레일(23)이 위치하는 부분은 빛이 투과되지 못하거나 빛이 산란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우려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 6 및 7와 같이 기어레일(23)은 램프부(20)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외측프레임(11)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단부터 필요높이(h), 즉 승하강될 높이만큼만 형성(도 7의 (a) 참조)됨으로써 외부로 램프부(20)가 하강하더라도 외부로 기어레일(23)이 노출되지 않아(도 7의 (b) 참조)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승강기어(12b)의 위치는 하우징(12) 내측에 위치하되 도 4와 같이 램프부(20)가 완전내삽상태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측면램프(13)와 상측으로 이격된 공간에 위치한다.
한편, 램프프레임(21)은 도면과 같이 폐쇄된 육면체 형상을 가져 제작시 조립이 완성된 발광모듈(22)을 내장하여 상기 발광모듈(22)을 발광시킬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24)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24)이 개방 가능한 램프프레임(21) 형상을 가질 경우 사용자가 원할시 하면(24)을 분리하여 내장된 발광모듈(22)을 램프프레임(21)으로부터 분리하여 발광모듈(22)의 교체나 유지보수작업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기간 사용되어 빛효율이 떨어진 발광모듈(22)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램프프레임(21)의 하면(24)은 전기나 다른 신호를 통해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변경 가능한 필름이나 소재를 내장함으로써, 자동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가 되어 램프부(20)의 빛을 조사 또는 차단하거나, 조작부(3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램프프레임(21)의 하면을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램프부(20)가 하측으로 일부 돌출되거나 수용공간(12a) 내측으로 내삽될 경우 자동으로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며, 램프부(20)가 완전 돌출시에는 자동으로 투명상태가 됨으로써 램프부(20)의 조도 및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램프프레임(21)의 하면(24)의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의 전환은 램프프레임(21)의 내삽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환될 수 있으나 조작부(3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변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램프프레임(21)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하면(24)이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제작될 경우 발광모듈(22)이 수명을 다해 광효율이 낮아질 경우 발광모듈(22)을 내장한 램프프레임(21)을 교체할 수 있고, 분리형으로 제작될 경우 하면(24)을 분리하여 내장된 발광모듈(22)을 교체함으로써 광효율 유지 및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면(24)은 도 4와 같이 램프부(20)가 완전히 내삽되면 자동으로 내장된 발광모듈(22)의 빛을 차단하도록 불투명하게 변할 수 있도록 자동제어될 수 있다.
발광모듈(22)은 램프프레임(21)에 내장되어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램프나 LED전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 혹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0)를 통해 발광모듈(22)의 점멸과 조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램프부(20)는 도 1과 같이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고객의 요청사항 등에 의해 도 10과 같이 원통 형상으로도 제작되거나,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조작부(30)는 프레임부(10) 중 외측프레임(11)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부(30)를 통해 램프부(20)의 전원 및 구동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30)는 도 9와 같이 전원스위치(31), 승강스위치(32), 모드변경스위치(33) 및 분리스위치(34)으로 구성된다.
전원스위치(31)는 실내등(1)을 점멸하는 스위치며, 승강스위치(32)는 램프부(20)가 수용공간(12a)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승강스위치(32)는 원터치 타입으로 눌러서 연동된 램프부(20)가 내삽상태(도 2 참조), 돌출상태(도 3 참조), 완전내삽상태(도 4 참조)로 반복적으로 변경되어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램프부(20) 위치에 맞게 승강스위치(32)를 반복적으로 눌러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승강스위치(32)가 양단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여 승강스위치(32)의 일측단을 누를 경우 승강기어(12b)가 상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램프부(20)가 하우징(12) 내측으로 점차 내삽되도록 하여 내삽정도를 조절하고, 승강스위치(32)의 타측단을 누를 경우 승강기어(12b)가 하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램프부(20)가 하우징(12) 외측으로 점차 돌출되도록 하여 램프부(20)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2 내지 4와 같이 내삽상태, 돌출상태, 완전내삽상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램프부(20)의 돌출/내삽정도를 조작부(30)를 통해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램프부(20)를 돌출/내삽시킬 수 있다.
상술된 전원스위치(31) 및 승강스위치(32)는 상술된 작동방법 외에도 전동을 사용하는 전동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승강스위치(32)를 이용하여 램프부(20)를 승강시킬 수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램프부(20)를 눌러 내삽 깊이 및 형태 등에 따라서 램프부(20)의 돌출 및 내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된 승강스위치(32)의 작동방법은 예시일 뿐이고, 상술된 내용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모드변경스위치(33)는 램프부(20)에 내장된 발광모듈(22)의 발광패턴, 조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모드변경스위치(33)를 조작하면 발광예 및 조도가 변화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에 해당되면 모드변경스위치(33)의 조작을 멈춰 선택된 발광예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모드변경스위치(33)는 별도로 구성된 메모리(40)와 연동되어 메모리(40) 내 기저장된 발광패턴에 따라 발광모듈(22)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분리스위치(34)는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기어레일(23)과 맞물린 승강기어(12b)를 하우징(12)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램프프레임(21)이 수용공간(12a)을 이탈할 수 있도록 하여 램프부(20)를 프레임부(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된 전원스위치(31), 승강스위치(32), 모드변경스위치(33) 및 분리스위치(34) 외에도 램프프레임(21)의 하면을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변경스위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램프부(20)의 돌출 또는 내삽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기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값은 메모리(40)에 저장된다.
상술된 자동차용 실내등(1)을 통해 사용자가 의도에 맞게 조작부(30)를 직접 조작하여 램프부(20)의 조도를 조절하고, 램프부(20)를 수직방향으로 인출입시켜 조사범위 등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환경에 알맞게 차량 실내에 충분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사용자가 램프부(20)를 프레임부(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간이 손전등이 필요한 상황에서 램프부(20)를 분리하여 이를 이용함으로써 직접 빛을 조사하여 다양한 상황에 사용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사용자가 램프부(20)를 프레임부(10)로부터 분리시 하우징(12) 내측에 구비된 측면램프(13)가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추가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된 발광모듈(22)의 형상은 임의로 도시한 것이며, 시중에 판매되는 램프나 LED모듈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도 1 내지 9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9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실내등
10: 프레임부 11: 외측프레임
12: 하우징 12a: 수용공간
12b: 승강기어 13: 측면램프
20: 램프부 21: 램프프레임
22: 발광모듈 23: 기어레일
24: 하면 30: 조작부
31: 전원스위치 32: 승강스위치
33: 모드변경스위치 34: 분리스위치
40: 메모리

Claims (12)

  1. 차량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은 차량 실내 천장에 빌트인되는 프레임부;
    발광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내삽되어 빛을 발광하는 램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상리 램프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며,
    상기 램프부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램프의 조도 및 점멸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천장에 부착되는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과 연결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램프부가 내삽되는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는 상기 조작부와 연동되는 승강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기어는 상기 램프부의 측면과 기어결합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램프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램프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면으로 내삽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측을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어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단일 혹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램프부의 측면에는 상기 승강기어와 기어결합되는 기어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어와 상기 기어레일은 위치 및 개수가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램프부는 상기 승강기어와 상기 기어레일의 기어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어는 상기 하우징 내측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부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 내삽될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램프부 측면 상단부터 필요하강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램프부는 하강시 상기 기어레일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는 개방된 하면과 인접한 곳을 따라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측면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램프는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램프부가 완전히 내삽되면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램프는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램프부가 완전히 내삽되면 자동으로 점등되고, 상기 램프부가 하강하여 상기 측면램프의 위치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측면램프가 내장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내장된 상기 측면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전달되는 측면램프 인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은 상기 측면램프 인입홈의 내측면에 반사되어 외부로 조사되며,
    상기 측면램프는 상기 하우징으로 상기 램프부가 완전히 내삽되어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발광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직접 내삽되는 램프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프레임의 하면은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하면은 상기 램프부의 내삽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착탈될 수 있어 휴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램프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된 상기 램프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스위치; 및 상기 램프부의 발광패턴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변경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단일 혹은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KR1020190160352A 2019-12-05 2019-12-05 자동차용 실내등 KR10211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52A KR102117564B1 (ko) 2019-12-05 2019-12-05 자동차용 실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52A KR102117564B1 (ko) 2019-12-05 2019-12-05 자동차용 실내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573A Division KR102082800B1 (ko) 2019-09-11 2019-09-11 자동차용 실내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564B1 true KR102117564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52A KR102117564B1 (ko) 2019-12-05 2019-12-05 자동차용 실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7921A1 (ko) * 2020-11-20 2022-05-27 장승재 자동차용 실내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834A (ja) * 1995-02-01 1996-08-20 Kioritz Corp 立体電飾装置
KR19980016347U (ko) * 1996-09-17 1998-06-25 양재신 차량의 실내등 착탈 구조
KR200154237Y1 (ko) 1995-05-20 1999-08-02 류정열 자동차용실내등구조
KR200411749Y1 (ko) 2005-08-18 2006-03-16 김상록 자동차용 실내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834A (ja) * 1995-02-01 1996-08-20 Kioritz Corp 立体電飾装置
KR200154237Y1 (ko) 1995-05-20 1999-08-02 류정열 자동차용실내등구조
KR19980016347U (ko) * 1996-09-17 1998-06-25 양재신 차량의 실내등 착탈 구조
KR200411749Y1 (ko) 2005-08-18 2006-03-16 김상록 자동차용 실내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7921A1 (ko) * 2020-11-20 2022-05-27 장승재 자동차용 실내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5812B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照明系统
JP5572837B2 (ja) 車両内部のための移行型照明システム
JP6905400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6084183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システム
JP4029077B2 (ja) 自動車の室内照明装置
JP4831109B2 (ja) 車両室内用照明装置
JP2016024854A5 (ko)
CN109641550B (zh) 车辆用照明装置
KR102117564B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102082800B1 (ko) 자동차용 실내등
US9751460B1 (en) Illuminated cup holder assembly
JP2005289202A (ja) 自動車の室内照明装置
JP2003212038A (ja) 照明装置
CN105492822B (zh) 具有可选发射图案的照明器
KR101714718B1 (ko) 콘솔 암레스트의 조명 장치
KR101370116B1 (ko) 천장 조명 시스템
KR100976374B1 (ko) 조사방향제어와 조명의 강약조절 및 조명배열과 비상전원기능을 갖는 조명등기구
JP5372614B2 (ja) 室内照明装置
JP2008222209A (ja) 照明装置
JP2005158320A (ja) 携帯用ケース
KR20130045969A (ko) 승하강 기능을 갖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에 일체로 형성된 led 조명등
JP4075399B2 (ja) 照明装置
JP2007203958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JP2005238859A (ja) 自動車の開口縁部照明装置
KR200466237Y1 (ko) 무드등이 구비된 실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