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324B1 - 랙 포스트 보호대 - Google Patents

랙 포스트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324B1
KR102117324B1 KR1020180017452A KR20180017452A KR102117324B1 KR 102117324 B1 KR102117324 B1 KR 102117324B1 KR 1020180017452 A KR1020180017452 A KR 1020180017452A KR 20180017452 A KR20180017452 A KR 20180017452A KR 102117324 B1 KR102117324 B1 KR 10211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ack post
opening
rack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700A (ko
Inventor
심기섭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8001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3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포스트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랙 포스트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된 랙 포스트 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된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와 연결된 상기 수용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와 연결된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질부의 재질은 상기 본체의 재질보다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질부는 상기 본체 일측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랙 포스트의 조립이 수월한 랙 포스트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랙 포스트 보호대{RACK POST GUARD}
본 발명은 랙 포스트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랙에 내용물을 적입시킬 때 화물과의 마찰이나 지게차와의 충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방지시키기 위한 랙 포스트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로 사용되는 물류창고는, 일정규격의 파레트가 출납될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갖는 파레트 적재용 랙은 여러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다단으로 설치하며, 랙을 지지하는 포스트가 랙에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화물이 적입된 상태의 파레트를 포크 리프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상기 랙의 구역에 보관하게 된다.
적재된 상태의 화물을 출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포크 리프트 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해 화물이 적재된 상태의 파레트를 지면 또는 운반용 차량으로 이동시킨다.
포크 리프트 또는 지게차 등을 통하여 화물이 적재된 파레트를 랙에 적입 또는 랙에서 취출시킬 때, 랙 포스트의 전면 또는 측면이 화물 또는 지게차와 마찰 또는 충돌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됨에 따라 랙 포스트의 파손을 방지하는 랙 포스트 보호대를 통로와 마주보는 일측에 구비하게 되었다.
상기 랙 포스트 보호대의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967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의 '랙 포스트 충격 흡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특허문헌 1'은 랙 포스트(202)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흡수하도록 고무재질 또는 스폰지로 구성된 완충부재(220), 상기 완충부재(220)를 랙 포스트(202)에 고정시키도록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고정본체(210)로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소프트한 재질의 내피인 완충부재(220)와 하드한 재질의 고정본체(210)로 구성되어 제조비가 비싸고, 랙 포스트에 흡수장치(200)를 설치시킬 때 별도의 기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967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되는 랙 포스트에 말려드는 정도나 본체가 수용공 측으로 휘어지는 정도가 종래보다 작아 랙 포스트와의 조립이 수월한 랙 포스트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완충작용을 하는 별도의 내장재가 필요 없는 랙 포스트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랙 포스트의 조립이 수월하고, 조립된 랙 포스트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랙 포스트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랙 포스트의 찌그러짐을 최소화시키는 랙 포스트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랙 포스트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된 랙 포스트 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된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와 연결된 상기 수용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와 연결된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질부는 상기 본체 일측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경질부는 상기 본체 일측의 외면에 설치되는 상기 경질부의 재질은 상기 본체의 재질보다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경질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경질부와, 상기 좌측 경질부와 함께 상기 제2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경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개구부의 좌우폭은 상기 제1개구부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상기 랙 포스트는 상기 경질부와 접촉된 채 상기 수용공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경질부의 마찰력은 상기 본체의 마찰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랙 포스트는 전면, 상기 전면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된 좌측면과 우측면,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되는 걸림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경질부가 설치된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전측에 연결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는 상기 걸림면과 접촉되는 걸림편과, 일단이 상기 걸림편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완충부에 연결된 벌림보조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질 때 상기 벌림보조편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벌림보조편은 상기 걸림편에서 상기 완충부 측으로 연장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과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는 신장편을 포함하되, 상기 신장편의 두께는 상기 연결편의 두께 또는 상기 완충부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연결편은 상기 걸림편에서 상기 수용공 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에서 휘어져 상기 완충부측으로 연장된 제2연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편은 상기 랙 포스트의 양측면과 나란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랙 포스트는 전면, 상기 전면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된 좌측면과 우측면,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되는 걸림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경질부가 설치된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전측에 연결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조립부의 전단과 연결된 외측편과, 상기 외측편의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벌림보조편과 연결되며 상기 랙 포스트 전면과 접촉될 수 있는 좌우연결편과,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외측편과 상기 좌우연결편에 연결되는 하중전달편을 포함하되, 상기 하중전달편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진 외측 하중전달편과,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진 내측 하중전달편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하중전달편과 상기 내측 하중전달편의 간격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좌우연결편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고, 상기 하중전달편의 후측은 상기 좌우연결편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랙 포스트 전면 중 좌측 또는 우측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좌우연결편은 상기 랙 포스트의 전면과 이격된 채 상기 하중전달편과 연결되는 볼록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상기 좌우연결편 중 상기 볼록편의 외측 단부와 연결된 부분은 상기 랙 포스트 전면의 좌측 모서리 부근 또는 우측 모서리 부근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경질부 및 경질부가 설치된 걸림편이 랙 포스트에 종래보다 조금 말려들거나, 수용공 측으로 휘어지는 정도가 종래보다 작기 때문에 랙 포스트와 랙 포스트 보호대의 조립이 수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벌림보조편이 힌지 역할을 하여 걸림편이 좌우측으로 수월하게 벌어지므로 랙 포스트와의 조립이 수월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별도의 기구 없이 랙 포스트와 조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지게차 등이 외측편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이 외측편이 받은 충격 하중이 하중전달편으로 전달된 후 볼록편을 거쳐 랙 포스트 중 가장 튼튼한 모서리 부근으로 전달되므로 랙 포스트가 충격을 받더라도 찌그러짐이 최소로만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본체가 연질이므로 종래에 사용되던 연질 내장재와 같은 부자재가 별도로 설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는 경질부와 본체의 마찰력 차이로 랙 포스트 보호대와 랙 포스트가 조립되는 것은 수월하되, 조립된 랙 포스트가 수용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랙 포스트 보호대에 랙 포스트를 조립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랙 포스트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랙 포스트 보호대의 조립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별도로 언급이 없을 경우 본 발명은 랙 포스트(300)와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랙 포스트(300)가 수용되는 수용공(113)이 형성된 랙 포스트 보호대(100)에 있어서,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된 제1개구부(111)와, 상기 제1개구부(111)와 연결된 상기 수용공(113)을 포함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111)와 연결된 제2개구부(211)를 형성하는 경질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질부(210)의 재질은 상기 본체(110)의 재질보다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질부(210)는 상기 본체(110) 일측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개구부(111)는 수용공(113)과 제2개구부(211) 사이에 위치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에서 제1개구부(111)와 제2개구부(211)의 범위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본체(110)는 경질부(210)에 비해 연질로 제작되어 자체 완충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110)가 연질이므로 종래에 사용되던 연질 내장재와 같은 부자재가 별도로 설치될 필요가 없다.
상기 경질부(210)는 상기 제1개구부(111)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경질부(213)와, 상기 좌측 경질부(213)와 함께 상기 제2개구부(211)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111)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경질부(215)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개구부(211)의 좌우폭은 상기 제1개구부(111)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상기 랙 포스트(300)는 상기 경질부(210)와 접촉된 채 상기 수용공(113)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좌측 경질부(213)는 제2개구부(211)의 좌측에 위치되고 우측 경질부(215)는 제2개구부(211)의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랙 포스트(300)는 전면(310), 상기 전면(310)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된 좌측면(320)과 우측면(330), 상기 좌측면(320) 및 우측면(330)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되는 걸림면(340)을 포함한다. 또한 랙 포스트(300)는 전면(310)의 중앙에 움푹 들어간 홈과, 상기 좌우측 걸림면(340)의 후측 단부에서 후측으로 연장된 연장면(350)과, 연장면(350)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경질부(210)가 설치된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전측에 연결된 완충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는 상기 걸림면(340)과 접촉되는 걸림편(130)과, 일단이 상기 걸림편(13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완충부(150)와 연결된 벌림보조편(140)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13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질 때 상기 벌림보조편(14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벌림보조편(140)은 상기 걸림편(130)에서 상기 완충부(150) 측으로 연장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과 상기 완충부(150)에 연결되는 신장편을 포함하되, 상기 신장편의 두께는 상기 연결편의 두께 또는 상기 완충부(150)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장편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진 제1변형편(147)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편(13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질 때 상기 제1변형편(147)은 신장되면서 기울기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편은 상기 걸림편(130)에서 상기 수용공(113) 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편(143)과, 상기 제1연결편(143)에서 휘어져 상기 완충부(150)측으로 연장된 제2연결편(145)을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편(145)은 상기 랙 포스트(300)의 양측면(320,330)과 나란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150)는 상기 조립부의 전단과 연결된 외측편(160)과, 상기 외측편(160)의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벌림보조편(140)과 연결되며 상기 랙 포스트(300) 전면(310)과 접촉될 수 있는 좌우연결편(170)과,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외측편(160)과 상기 좌우연결편(170)에 연결되는 하중전달편(180)을 포함하되, 상기 하중전달편(180)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진 외측 하중전달편(181)과,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진 내측 하중전달편(183)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하중전달편(181)과 상기 내측 하중전달편(183)의 간격은 상기 완충부(150)에서 상기 좌우연결편(170)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고, 상기 하중전달편(180)의 후측은 상기 좌우연결편(170)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랙 포스트(300) 전면(310) 중 좌측 또는 우측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연결편(170)은 상기 랙 포스트(300)의 전면(310)과 이격된 채 상기 하중전달편(180)과 연결되는 볼록편(1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좌우연결편(170) 중 상기 볼록편(173)의 외측 단부와 연결된 부분은 상기 랙 포스트(300) 전면(310)의 좌측 모서리 부근 또는 우측 모서리 부근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측편(160)은 대략 반원 형상의 띠이다. 외측편(160)은 곡률이 일정하지 않다.
좌우연결편(170)은 볼록편(173)을 제외한 부분이 좌우로 일직선이다. 보다 자세하게 좌우연결편(170)은 볼록편(173)을 제외한 부분이 수용공(113)에 수용된 랙 포스트(300)의 전면(310)과 나란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완충부(150)의 외형은 대략 반달 형상이다.
볼록편(173)은 대략 반원 형상의 띠이다.
좌우연결편(170)은 볼록편(17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어 벌림보조편(140)과 외측편(160)에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의 변형지지편(171)과, 좌측 변형지지편(171) 또는 우측 변형지지편(171)에 각각 연결된 좌측 및 우측의 볼록편(173)과, 좌우측 볼록편(173)의 사이에 위치되는 중앙편(1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변형지지편(171) 중 볼록편(173)의 외측 단부와 연결된 부분은 랙 포스트(300) 전면(310)의 좌측 모서리 부근 또는 우측 모서리 부근과 접촉된다.
본 실시 예의 하중전달편(180)은 1 개의 랙 포스트 보호대(100) 당 2 쌍이 설치되며, 1 쌍 즉 외측 하중전달편(181) 1 개와 내측 하중전달편(183) 1 개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평면으로 볼 때, 하중전달편(180)은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외측 하중전달편(181)의 전후길이가 내측 하중전달편(183)의 전후길이보다 짧다. 본 실시 예에서 외측 하중전달편(181)과 내측 하중전달편(183)의 사잇각은 대략 25
Figure 112018015515628-pat00001
이다.
도 1,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150) 내에는 외측 하중전달편(181)과 내측 하중전달편(183) 및 외측편(160), 즉 3 개의 면에 둘러싸여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인 공간(A)이 좌우측에 각각 1 개씩 형성된다. 또한, 완충부(150)에는 외측 하중전달편(181)과 변형지지편(171)과 볼록편(173) 및 외측편(160), 즉 4 개의 면에 둘러싸여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인 공간이 좌우측에 각각 1 개씩 형성된다. 또한, 완충부(150)에는 좌우측의 내측 하중전달편(183)과 중앙편(175) 및 볼록편(173), 즉 6 개의 면에 둘러싸여 단면이 대략 육각 형상인 공간(B)이 형성된다. 하중전달편(180)과 외측편(160)에 둘러싸인 삼각 공간(A)의 단면적은 내측 하중전달편(183)과 좌우연결편(170) 및 외측편(160)에 둘러싸인 육각 공간(B)의 단면적보다 작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외측편(160)의 중앙 부근으로 가해지는 충격 대부분은 랙 포스트(300)의 중앙으로 전달되지 않고 좌우측에 형성된 하중전달편(180)을 통해 랙 포스트(300)의 좌우측으로 전달된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은 지게차 등이 외측편(160)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하중이 하중전달편(180), 볼록편(173), 변형지지편(171) 중 볼록편(173)의 외측 단부와 연결된 부분을 순서대로 거친 뒤 랙 포스트(300) 중 가장 튼튼한 모서리 부근으로 전달된다. 즉 외측편(160)이 받은 충격 하중이 하중전달편(180)으로 전달된다. 또한 하중전달편(180)에 전달된 하중이 곧바로 랙 포스트(300)의 접촉부로 전달되지 않고 볼록편(173)을 거치므로, 랙 포스트(300)가 받는 하중은 외측편(160)이 받은 하중보다 약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랙 포스트(300)가 충격을 받더라도 찌그러짐이 최소로만 발생된다.
걸림편(130)은 외측편(160)과 유사하게 휘어진 형상이다.
걸림편(130)의 전후길이는 완충부(150)의 전후길이보다 짧다.
걸림편(130)은 완충부(150)와 연결된 제1걸림편(131)과, 제1걸림편(131)의 후측에 연결되어 신장편이 연결되고 경질부(210)가 설치되는 제2걸림편(133)을 포함한다.
제1걸림편(131)과 제2걸림편(133) 각각의 전후길이는 대략 걸림편(130)의 절반이다. 제1걸림편(131)의 전후길이는 제2걸림편(133)의 전후길이보다 길다.
제2걸림편(133)은 외면에는 경질부(210)가 설치되는 설치홈(135)이 형성된다. 경질부(210)가 걸림편(130)의 외면보다 튀어나오지 않도록 제1걸림편(131)의 두께는, 제2걸림편(133)의 두께보다 두껍고 경질부(210)가 설치된 제2걸림편(133)의 두께와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홈(135)은 제1걸림편(131)의 후면과, 제2걸림편(133)의 외면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한편 걸림편(130)은 랙 포스트(300)의 삽입 또는 이탈에 의해 힘이 가해질 경우 종래보다 덜 변형되도록 제2걸림편(133)의 후측 단부 및 부근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2걸림편(133)의 후측 단부 및 부근은 곡면 형상이 되도록 수용공(113)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랙 포스트(300)가 수용되는 수용공(113)은 좌우연결편(170)과 벌림보조편(140)과 제2걸림편(133)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설치홈(135)에 설치되는 경질부(210)는 휘어진 얇은 판이다. 경질부(210)가 제2걸림편(133)과 밀착되도록 경질부(210)의 휘어진 정도는 설치홈(135)을 형성하는 제2걸림편(133)의 휘어진 정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경질부(210)의 후측 단부는 걸림편(130)의 후측 단부보다 중앙측, 즉 제2개구부(211) 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제2개구부(211)의 좌우폭이 제1개구부(111)의 좌우폭보다 좁다. 보다 자세하게 제1개구부(111) 및 제2개구부(211)의 좌우폭은 랙 포스트(300)의 양측면(320,330)간에 좌우폭보다 작다. 반면 제1개구부(111) 및 제2개구부(211)의 좌우폭은 양측의 연장면(350)간에 좌우폭보다 크다. 따라서 랙 포스트 보호대(100)와 랙 포스트(300)의 조립 및 이탈 시 힘을 강하게 가해야 하고, 랙 포스트 보호대(100)에 조립된 랙 포스트(300)는 랙 포스트 보호대(10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벌림보조편(140) 중 제1연결편(143)은 좌우연결편(170) 중 볼록편(173)을 제외한 부분과 나란하다.
제2연결편(145)은 제1연결편(143)과 수직을 이룬다.
신장편은 제2연결편(145)과 연결된 제1변형편(147)과, 전단과 후단이 각각 변형지지편(171)과 제1변형편(147)에 연결된 제2변형편(149)을 포함한다.
제2변형편(149)은 변형지지편(171)과 수직으로 연결된다.
제2연결편(145)과 제2변형편(149)은 서로 나란하다.
제2연결편(145)은 전후측이 연결된 신장편과 제1연결편(143)보다 내측으로 튀어나와 있다. 따라서 랙 포스트(300)의 양측면(320,330)에 접촉된 제2연결편(145)은 힘이 가해져도 좌우로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랙 포스트(300)은 좌우연결편(170)과 경질부(210)와 제2걸림편(133)에 지지되어 전후측으로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 따라서 랙 포스트 보호대(100)와 랙 포스트(300)의 조립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과 랙 포스트(300)의 조립이 잘 유지되도록 좌우측 제2연결편(145)간에 거리는 랙 포스트(300) 양측면(320,330)의 좌우폭간에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질부(210)의 마찰력은 상기 본체(110)의 마찰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랙 포스트 보호대(100)와 랙 포스트(300)가 조립되는 것은 수월하되, 조립된 랙 포스트(300)가 수용공(1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이하에서는 랙 포스트 보호대(100)와 랙 포스트(3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랙 포스트 보호대(100)의 경질부(210)가 랙 포스트(300)의 좌측면(320) 또는 우측면(330) 중 1 개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랙 포스트(300)가 수용공(113)으로 삽입되도록 랙 포스트 보호대(100)에 힘이 가해지면 제1,2개구부(111,211)가 벌어진다. 본 예의 조립 과정에서는 먼저 좌측 경질부(213)가 랙 포스트(300) 좌측면(320)에 접촉된 상태에서 랙 포스트 보호대(100)에 우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1,2개구부(111,211)가 벌어진다.
이후, 상기 과정을 통해 경질부(210)와 좌우측 걸림편(130) 및 좌우측 벌림보조편(14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2개구부(111,211)가 좌우로 벌어지면, 우측 경질부(215)를 랙 포스트(300)의 우측면(330)과 접촉시킨다. 이때 연결편은 벌어지는 방향,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고, 제1변형편(147)은 연결편과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기울기가 감소되면서 길이가 신장되며, 제2변형편(149)은 제1변형편(147)과 함께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길이가 신장된다. 또한 제1변형편(147)과 제2변형편(149)은 서로 나란해진다.
랙 포스트(300)의 양측면(320,330)이 제1,2개구부(111,211) 사이에 위치된 상태일 때, 제1변형편(147)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즉 제1변형편(147)은 제1,2개구부(111,211)가 벌어지기 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후, 랙 포스트 보호대(100)를 후측으로 밀리게 해 랙 포스트(300)의 전면(310)과 양측면(320,330)이 순서대로 수용공(113)에 삽입되게 한다.
이후, 랙 포스트 보호대(100)를 후측으로 더 밀리게 해 랙 포스트(300)의 양측면(320,330) 전부가 제1,2개구부(111,211)를 통과되게 한다.
이후에 랙 포스트 보호대(100)가 후측으로 더 밀리게 해 걸림면(340)의 일부는 수용공(113) 내에 수용되고, 걸림면(340)의 다른 일부는 제1,2개구부(111,211) 사이에 위치된 채 제2걸림편(133)의 후측 단부에 접촉되고, 걸림면(340)의 나머지는 제2개구부(211)보다 후측에 위치되면, 랙 포스트(300)와 랙 포스트 보호대(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랙 포스트 보호대(100)가 후측으로 밀릴수록 걸림편(130)과 경질부(210)의 벌어진 정도가 점차 감소된다. 보다 자세하게 걸림편(130)과 경질부(210)의 벌어진 정도가 점차 감소되면 제1,2개구부(111,211)의 좌우폭도 점차 감소되면서 벌림보조편(140)의 회전 및 벌어짐의 정도도 점차 감소된다. 또한, 걸림편(130)과 경질부(210)의 벌어진 정도가 점차 감소되면 걸림면(340)의 접촉부위가 경질부(210)에서 걸림편(130)으로 바뀐다. 따라서 경질부(210)보다 마찰력이 높은 걸림편(130)과 접촉된 랙 포스트(300)는 랙 포스트 보호대(100)로부터 잘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랙 포스트(300) 조립 시 랙 포스트(300)가 먼저 경질부(210)에만 접촉되고 경질부(210)에 접촉된 상태로 수용공(113) 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경질부(210)는 본체(110)보다 단단하므로 랙 포스트(300)의 삽입력에 의해 경질부(210) 및 경질부(210)가 설치된 걸림편(130)이 랙 포스트(300)에 종래보다 조금 말려들거나, 경질부(210) 및 걸림편(130)이 수용공(113) 측으로 휘어지는 정도가 종래보다 작기 때문에 랙 포스트(300)와 랙 포스트 보호대(100)의 조립이 수월하다. 즉 걸림편(130)이 설치되지 않았던 종래의 보호대보다 본 발명의 보호대(100)는 랙 포스트(300)와의 조립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변형이 조금만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장편의 두께가 다른 부분들의 두께보다 얇으므로 벌림보조편(140)이 힌지 역할을 하여 걸림편(130)이 좌우측으로 수월하게 벌어지므로 랙 포스트(300)와의 조립이 수월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별도의 기구 없이 랙 포스트(300)와 조립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랙 포스트 보호대 110 : 본체
111 : 제1개구부 113 : 수용공
130 : 걸림편 131 : 제1걸림편
133 : 제2걸림편 135 : 설치홈
140 : 벌림보조편 143 : 제1연결편
145 : 제2연결편 147 : 제1변형편
149 : 제2변형편 150 : 완충부
160 : 외측편 170 : 좌우연결편
171 : 변형지지편 173 : 볼록편
175 : 중앙편 180 : 하중전달편
181 : 외측 하중전달편 183 : 내측 하중전달편
210 : 경질부 211 : 제2개구부
300 : 랙 포스트 310 : 전면
320,330 : 양측면 340 : 걸림면

Claims (9)

  1. 랙 포스트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된 랙 포스트 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된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와 연결된 상기 수용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개구부와 연결된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경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질부는 상기 본체 일측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경질부는 상기 제1개구부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경질부와, 상기 좌측 경질부와 함께 상기 제2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개구부의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경질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질부의 재질은 상기 본체의 재질보다 단단하고,
    상기 제2개구부의 좌우폭은 상기 제1개구부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랙 포스트 보호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 포스트는 상기 경질부와 접촉된 채 상기 수용공측으로 삽입되는 랙 포스트 보호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의 마찰력은 상기 본체의 마찰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포스트 보호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랙 포스트는 전면, 상기 전면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된 좌측면과 우측면,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되는 걸림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경질부가 설치된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전측에 연결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는 상기 걸림면과 접촉되는 걸림편과, 일단이 상기 걸림편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완충부와 연결된 벌림보조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질 때 상기 벌림보조편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포스트 보호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벌림보조편은 상기 걸림편에서 상기 완충부 측으로 연장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과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는 신장편을 포함하되,
    상기 신장편의 두께는 상기 연결편의 두께 또는 상기 완충부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포스트 보호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은 상기 걸림편에서 상기 수용공 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편과, 상기 제1연결편에서 휘어져 상기 완충부측으로 연장된 제2연결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연결편은 상기 랙 포스트의 양측면과 나란하게 접촉되는 랙 포스트 보호대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랙 포스트는 전면, 상기 전면의 양단에서 각각 절곡된 좌측면과 우측면,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후측으로 갈수록 좌우폭이 감소되는 걸림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경질부가 설치된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전측에 연결된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는 상기 조립부의 전단과 연결된 외측편과, 상기 외측편의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벌림보조편과 연결되며 상기 랙 포스트 전면과 접촉될 수 있는 좌우연결편과,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외측편과 상기 좌우연결편에 연결되는 하중전달편을 포함하되,
    상기 하중전달편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진 외측 하중전달편과,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진 내측 하중전달편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하중전달편과 상기 내측 하중전달편의 간격은 상기 완충부에서 상기 좌우연결편측으로 갈수록 감소되고,
    상기 하중전달편의 후측은 상기 좌우연결편 중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랙 포스트 전면 중 좌측 또는 우측과 마주보는 랙 포스트 보호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좌우연결편은 상기 랙 포스트의 전면과 이격된 채 상기 하중전달편과 연결되는 볼록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랙 포스트 보호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좌우연결편 중 상기 볼록편의 외측 단부와 연결된 부분은 상기 랙 포스트 전면의 좌측 모서리 부근 또는 우측 모서리 부근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포스트 보호대
KR1020180017452A 2018-02-13 2018-02-13 랙 포스트 보호대 KR10211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52A KR102117324B1 (ko) 2018-02-13 2018-02-13 랙 포스트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52A KR102117324B1 (ko) 2018-02-13 2018-02-13 랙 포스트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00A KR20190097700A (ko) 2019-08-21
KR102117324B1 true KR102117324B1 (ko) 2020-06-01

Family

ID=6780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52A KR102117324B1 (ko) 2018-02-13 2018-02-13 랙 포스트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4677B2 (en) * 2013-01-16 2016-08-16 Southwest Agri-Plastics, Inc. Impact barrier for a storage rack
KR102498249B1 (ko) * 2022-01-03 2023-02-08 김민균 차량용 도어가드 조립체
KR102426077B1 (ko) * 2022-02-24 2022-07-27 에스알아이 주식회사 랙 포스트 보호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676A1 (en) * 2003-11-18 2008-02-07 Paul Stewart Huxtable Resilient Protector to Protect a Structure from an Impact
US20140197295A1 (en) * 2013-01-16 2014-07-17 Southwest Agri-Plastics, Inc. Impact Barrier for a Storage Rack
WO2015036803A1 (en) 2013-09-16 2015-03-19 A-Fax Limited Structure protector
WO2015040563A1 (en) 2013-09-18 2015-03-26 Boplan Bvba Rack protector
WO2017011869A1 (en) 2015-07-22 2017-01-26 Innovation Central Pty Ltd An impact protection device cli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678B1 (ko) 2013-03-21 2014-10-13 넥스로지텍(주) 랙 포스트 충격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676A1 (en) * 2003-11-18 2008-02-07 Paul Stewart Huxtable Resilient Protector to Protect a Structure from an Impact
US20140197295A1 (en) * 2013-01-16 2014-07-17 Southwest Agri-Plastics, Inc. Impact Barrier for a Storage Rack
WO2015036803A1 (en) 2013-09-16 2015-03-19 A-Fax Limited Structure protector
US20160227928A1 (en) * 2013-09-16 2016-08-11 A-Fax Limited Structure protector
WO2015040563A1 (en) 2013-09-18 2015-03-26 Boplan Bvba Rack protector
US20160235202A1 (en) 2013-09-18 2016-08-18 Boplan Bvba Rack protector
WO2017011869A1 (en) 2015-07-22 2017-01-26 Innovation Central Pty Ltd An impact protection device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00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324B1 (ko) 랙 포스트 보호대
US9961980B2 (en) Compact assembly for protecting a product contained therein
US7578390B2 (en) Cushion structure
US20150001866A1 (en) Vehicular shock absorbing device and vehicular shock absorbing structure
US8770638B2 (en) Bumper beam assembly for vehicle
US5878548A (en) Corner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top corners of stacks of lumber
US10737645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20180111645A1 (en) Vehicle Attachment Component
USRE39729E1 (en) Tailgate assembly
JP2008536770A (ja) パレットコンテナ用の識別プレート
US8226154B2 (en) Vehicle door structure
US9738241B2 (en) Bumper absorber attachment structure
KR101836709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US20060080691A1 (en) Optical disk drive with protected pick-up unit
US9751480B1 (en) Crush box for vehicle impact
JP4721810B2 (ja) 輸送防振機器
US20110254211A1 (en) Fender Assembl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318997B2 (en) Hood structure
US20080042332A1 (en) Flat displays
KR101745301B1 (ko) 창틀 보호재 고정구
KR200229096Y1 (ko) 박판형제품의완충재구조
US20120032430A1 (en) Driver knee bolster of automobile
JP2020017037A (ja) タグホルダ
US9296425B2 (en) Discontinuous multi-overlapped vehicle body member
JP5560130B2 (ja) 車両用外装ビームのエンドキャップ及び外装ビ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