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205B1 - 파이프 부력구조물 - Google Patents

파이프 부력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205B1
KR102117205B1 KR1020200013134A KR20200013134A KR102117205B1 KR 102117205 B1 KR102117205 B1 KR 102117205B1 KR 1020200013134 A KR1020200013134 A KR 1020200013134A KR 20200013134 A KR20200013134 A KR 20200013134A KR 102117205 B1 KR102117205 B1 KR 102117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x housing
buoyancy structure
fastening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김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중 filed Critical 김소중
Priority to KR102020001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부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하우징(10)과; 박스하우징(10)에 끼어져 내장되는 다수의 파이프(20)와; 파이프(20)의 양단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캡(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부력구조물{Pipe buoyancy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이나 수상에 부유하는 부력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파이프 부력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수와 같은 수상이나 바다와 같은 해상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부력구조물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부력구조물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중공블럭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현되고, 상부측에 태양과 발전장치, 임시거주공간, 수영장, 가두리양식을 위한 통행공간등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부력구조물은 다수의 중공블럭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중공블럭은 내부에 단위공간이 형성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열율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모서리측에 형성되는 고리부로 이루어진다.
중공블럭은, 가로세로가 1m 내외인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각각 성형하고, 성형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를 열융착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부력구조물은 다수의 중공블럭 각각의 4 모서리에 형성된 고리들을 체결볼트로 체결함으로서 구현되었다.
그런데, 중공블럭은 가로 및 세로 폭이 1 m 에 불과하므로, 예를 들어 100평(333 평방미터)의 크기의 부력구조물을 구현하기 위하여, 333 개의 중공블럭이 필요하고, 또한 333 개의 중공블럭의 4 모서리에 형성된 고리를 상호 치합 및 체결볼트로 연결하여야 하는등 조립 과정에 매우 복잡하고 어려웠다.
또한 중공블럭이 상부본체와 하부본체로 이루어지고, 상부 및 하부 본체가 열융착되어 구현되므로, 중공블럭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중공블럭이 모서리측 고리가 체결볼트로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출렁거림이 상당하였고, 출렁임이 반복됨에 따라 체결볼트로 연결되는 고리에 많은 부하가 인가되어 결국 고리의 파손으로 이어졌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대형 크기에서 작은 크기등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파이프 부력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부력구조물은,
양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하우징(10); 및 상기 박스하우징(10)에 끼어져 내장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캡(30)에 의하여 밀봉되는 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파이프(20);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20)는 상기 박스하우징(10)에 3 행 및 3 열 이상을 이루게 적층되고; 상기 파이프(20)는, 접착제(40)에 의하여 상기 박스하우징(10)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한 몸체가 되는 다수의 고정파이프(21)와, 상기 고정파이프(21)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파이프(21)로부터 분리가능한 교체파이프(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상기 파이프(20)의 양단에 끼어지는 캡몸체(31)와, 상기 캡몸체(3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20)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오링(32)과, 상기 캡몸체(31)에서 돌출된 몸체날개(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하우징(10)은, 상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1체결단(11a)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와, 좌우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상기 제1체결단(11a)에 체결되는 제2체결단(12a)이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하우징(10)은, 좌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凸 형태를 가지는 제1체결레일(51)과, 우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凹 형태를 가지는 제2체결레일(52)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박스하우징(10)은, 제1체결레일(51)과 제2체결레일(52)에 대향되는 동일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2반홈(53)(54)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가 끼어지는 박스하우징 다수개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덮여져 다수개의 박스하우징(10)(10')(10")을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력구조물(100)은, 박스하우징(10)에 다수의 파이프(2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므로 박스하우징(10) 및 파이프(20)의 길이에 따라 대형 크기로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부력구조물 모재를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 작은 크기로도 구현될 수 있는등 다양한 크기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부력구조물(100)은 박스하우징(10)에 다수의 파이프(20)를 끼어 조립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특정 파이프(20)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보수 유지가 용이하고, 특정 파이프를 캡(30)으로 밀봉하지 않을 때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력구조물의 부력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하부측 파이프 내부에 추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등을 충진하였을 때 부력 구조물을 밸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20)가 PVC 를 압출성형하여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제작된 부력구조물(100)은 자외선, 내후성 및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이에 따라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부력구조물(100)(100')(100")을 상호 조립할 수 있어 필요로 하는 대형 크기의 부력스테이션의 구축이 가능하고, 부력이 필요한 부분이나 필요하지 않는 부분의 설계가 가능하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부력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이프 부력구조물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파이프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파이프가 접착제에 의하여 박스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박스하우징이 조립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박스하우징 양측면에 제1체결레일 및 제2체결레일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박스하우징에 동일 구조의 다른 박스하우징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의 박스하우징을 상호 결합시켜, 부력구조물 스테이션을 구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부력구조물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부력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이프 부력구조물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파이프 양단에 결합되는 캡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부력구조물(100)은, 양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하우징(10)과; 박스하우징(10)에 끼어져 내장되는 다수의 파이프(20)와; 파이프(20)의 양단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캡(30);을 포함한다.
박스하우징(10)은 전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를 가지며, 내부식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철판이 절곡 가공되어 구현된다. 또한 박스하우징(10)은 PVC 를 연속적으로 압출성형하고 필요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파이프(20)는 전후방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가지며 PVC 를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하고 필요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구현된다. 즉, 파이프(20)는 연속적으로 압출 성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부력구조물(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10m 이상이든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박스하우징(10)에는 다수의 파이프(20)가 끼어 조립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행 방향으로 10개, 열 방향으로 4 개로 이루어져 총 40 개의 파이프가 박스하우징(10)에 끼어져 조립된다.
한편, 파이프(20)에는 다른 파이프나 박스하우징(10)의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나일론(폴리아아미드 또는 아세탈등)으로 제조된 링(미도시)이 끼어질 수 있다.
캡(30)은 파이프(20)의 양단에 착탈되며, 결합되었을 때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파이프(20)가 독립적인 부력체가 되도록 한다. 캡(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의 양단에 끼어지는 캡몸체(31)와, 캡몸체(3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파이프(20)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오링(32)과, 캡몸체(31)에서 돌출된 몸체날개(33)와, 몸체날개(33)에 형성된 고리구멍(34)을 포함한다.
몸체날개(33)는 캡몸체(31)를 파이프(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에 의하여 잡아당겨진다. 고리구멍(34)은 캡몸체(31)가 파이프(20)에 단단하게 끼어져 고정될 경우, 분리용 고리(미도시)가 걸어진다.
이러한 캡(30)은 파이프(20)의 양단 내측으로 완전히 몰입되게 끼어져 결합되고, 결합되었을 때 탄성오링(32)이 파이프(20) 내주면과 캡몸체(31) 사이 틈새를 밀봉되게 막아서 외부의 물이 파이프(2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부력구조물(100)은, 박스하우징(10)에 압출성형되는 파이프(20)가 끼어져 조립되므로, 박스하우징(10) 및 파이프(20)의 길이에 따라 부력구조물(100)의 크기는 대형으로 커질 수 있다. 그리고 대형의 부력구조물(100)을 특정 길이로 절단하였을 때, 다양한 길이(크기)의 부력구조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부력구조물(100)은, 스테인레스 또는 PVC 로 된 박스하우징(10)에 파이프(20)가 끼어져 조립되어 구현되므로, 자외선, 내후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파이프(20)는 PVC 재질이기 때문에 부력구조물(100)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부력구조물(100)이 박스하우징(10)에 다수의 파이프(20)를 끼어 조립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특정 파이프(20)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보수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부력구조물(100)은 행 및 열로 구성된 파이프(20)를 포함하기 때문에, 적재하는 하중에 따라 특정 위치의 파이프에 우레탄폼, 에어, 콘크리트등을 분리 충진하여 외부의 충격, 부력, 부심의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박스하우징(10)에 끼어지는 캡(30) 밀봉 파이프중, 박스하우징(10)에 밀착되는 파이프에 우레탄폼을 충진시켜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파이프가 깨지지 않도록 하여 박스하우징(10) 전체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우페탄폼 충진 파이프 내측 하부측에 무거운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발라스트가 되도록 하고, 콘크리트 충진 파이프 상부측에 에어를 충진시켜 큰 부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력구조물(100)의 충격, 부력 및 부심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파이프가 접착제에 의하여 박스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부력구조물(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하우징(10) 내주면 및 그 내주면에 밀착되는 파이프(20) 사이에 수중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한 접착제(40)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40)에 의하여 파이프(20)는, 접착제(40)에 의하여 박스하우징(10)의 내주면과 한몸체가 된 고정파이프(21)와, 고정파이프(21) 내측에서 위치되는 교체파이프(22)로 분리된다.
고정파이프(21)는 접착제(40)에 의하여 박스하우징(10)과 한몸체가 됨으로써, 본 발명의 부력구조물의 구조적 내구성을 높이게 된다.
교체파이프(22)는 필요에 의하여 교체 및 분리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부력구조물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때, 교체파이프(22) 내측에 각종 센서나 전장품을 설치하였을 때, 실험 용도나 기후 측정용도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박스하우징이 조립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박스하우징(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1체결단(11a)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와, 좌우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1체결단(11a)에 체결되는 제2체결단(12a)이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는 동일 구조를 가지며, 양단에 제1체결단(11a)이 형성되도록 PVC 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는 동일 구조를 가지며. 양단에 제2체결단(12a)이 형성되도록 PVC 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상기 제1체결단(11a)과 제2체결단(12a)은 결합되면 분리되지 않는 요철 구조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단(11a)은 凹 형태이고, 제2체결단(12a)은 凸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2체결단(11a)(12a)이 상호 결합되도록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 사이에서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를 결합시키면, 양단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하우징(10)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 및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는 PVC 를 압출 성형하여 구현되므로 10m 이상의 길이로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 및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가 조립되어 구현되는 박스하우징(10)의 크기 역시 초대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박스하우징 양측면에 제1체결레일 및 제2체결레일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박스하우징에 동일 구조의 다른 박스하우징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박스하우징(10)의 좌측에는 凸 형태를 가지는 제1체결레일(5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우측에는 凹 형태를 가지는 제2체결레일(5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2체결레일(51)(52)은 상호 착탈 가능하고 결합되었을 때 자연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하우징(10)의 제2체결레일(52)에 다른 박스하우징(10')의 제1체결레일(51)에 끼울 때, 박스하우징(10)과 다른 박스하우징(10')은 상호 결합되게 조립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박스하우징(1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를 가질 경우, 제1체결레일(51)은 좌측 플레이트(12)의 표면에 형성되고, 제2체결레일(52)은 우측 플레이트(12')의 표면에 형성된다.
제1체결레일(51)과 제2체결레일(52)에는 대향되는 동일한 위치에 제1,2반홈(53)(5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2반홈(53)(5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하우징(10)과 다른 박스하우징(10')이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제1,2체결레일(51)(52)에 결합될 경우, 상호 밀착되어 구멍을 형성한다. 제1,2반홈(53)(54)으로 이루어지는 구멍은 상호 결합된 제1,2체결레일(51)(52)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PVC 접착제가 투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2반홈(53)(54)으로 이루어지는 구멍을 통하여 투입되는 접착제는 밀착된 제1,2체결레일(51)(52) 사이의 틈새로 스며들어 제1,2체결레일(51)(52)을 접착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2 개의 박스하우징(10)(10')은 한몸체가 된다.
도 9는 도 7의 박스하우징을 상호 결합시켜, 부력구조물 스테이션을 구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박스하우징(10)에 파이프(20)가 설치되어 구현된 다수의 부력구조물(100)(100')(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체결레일(51)(52)을 통하여 상호 결합됨으로써 큰 부력스테이션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이프(20)를 10m 이상의 길이로 압출 성형하거나 제작하고, 제1,2체결단(11a)(12a), 제1,2체결레일(51)(52)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 및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를 10m 길이로 압출 성형한 후 조립하여 10m 길이를 가지는 박스하우징(10)을 제작하고, 박스하우징(10)에 다수의 파이프(20)를 끼어넣어 10m 길이를 가지는 부력구조물 모재를 제작한다. 이후 부력구조물 모재를 필요 길이로 절단하여 다양한 크기의 부력구조물(100)(100')(100")을 모듈 단위로 제작하고, 이후 각각의 부력구조물(100)(100')(100")에 형성된 제1,2체결레일(51)(52)을 상호 끼어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대형 크기를 가지는 부력스테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부력구조물(100)(100')(100")의 박스하우징(10)(10')(10")의 상부측 및 하부측을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60)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플레이트(60)는 다수의 박스하우징(10)(10')(10")의 상부측 및 하부측을 가로지르게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박스하우징(10)(10')(10")을 입체적으로 위치 고정하고, 이에 따라 파도나 너울이 발생하더라도 이로 인한 롤링 및 피칭현상을 방지하고, 상부측에 위치되는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력구조물(100)은, 박스하우징(10)에 압출성형되는 다수의 파이프(2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므로 박스하우징(10) 및 파이프(20)의 길이에 따라 대형 크기로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부력구조물 모재를 절단하는 것에 의하여 작은 크기로도 구현될 수 있는등 다양한 크기로 제작 가능하다.
박스하우징(10)에 다수의 파이프(20)를 끼어 조립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특정 파이프(20)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보수 유지가 용이하고, 특정 파이프를 캡(30)으로 밀봉하지 않을 때 물이 유입됨으로써 부력구조물의 부력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하부측 파이프 내부에 추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등을 충진하였을 때 부력 구조물을 밸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20)가 PVC 를 압출 성형하여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제작된 부력구조물(100)은 자외선, 내후성 및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이에 따라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부력구조물(100)(100')(100")을 상호 조립할 수 있어 필요로 하는 대형 크기의 부력스테이션의 구축이 가능하고, 부력이 필요한 부분이나 필요하지 않는 부분의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10' ... 박스하우징 11, 11' ...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11a ... 제1체결단 12, 12' ...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
12a ... 제2체결단 20 ... 파이프
21 ... 고정파이프 22 ... 교체파이프
30 ... 캡 31 ... 캡몸체
32 ... 탄성오링 33 ... 캡날개
34 ... 고리구멍 40 ... 접착제
51, 52 ... 제1,2체결레일 60 ... 연결플레이트
100, 100', 100" ... 파이프 부력구조물

Claims (7)

  1. 양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의 박스하우징(10); 및
    상기 박스하우징(10)에 끼어져 내장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캡(30)에 의하여 밀봉되는 PVC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파이프(20);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20)는 상기 박스하우징(10)에 3 행 및 3 열 이상을 이루게 적층되고;
    상기 파이프(20)는, 접착제(40)에 의하여 상기 박스하우징(10)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한 몸체가 되는 다수의 고정파이프(21)와, 상기 고정파이프(21)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파이프(21)로부터 분리가능한 교체파이프(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력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상기 파이프(20)의 양단에 끼어지는 캡몸체(31)와,
    상기 캡몸체(3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20)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오링(32)과,
    상기 캡몸체(31)에서 돌출된 몸체날개(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력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하우징(10)은,
    상하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제1체결단(11a)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1)(11')와,
    좌우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상기 제1체결단(11a)에 체결되는 제2체결단(12a)이 형성된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력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하우징(10)은,
    좌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凸 형태를 가지는 제1체결레일(51)과,
    우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凹 형태를 가지는 제2체결레일(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력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하우징(10)은,
    제1체결레일(51)과 제2체결레일(52)에 대향되는 동일한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2반홈(53)(5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력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가 끼어지는 박스하우징 다수개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덮여져 다수개의 박스하우징(10)(10')(10")을 고정되는 연결플레이트(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부력구조물.
KR1020200013134A 2020-02-04 2020-02-04 파이프 부력구조물 KR102117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34A KR102117205B1 (ko) 2020-02-04 2020-02-04 파이프 부력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134A KR102117205B1 (ko) 2020-02-04 2020-02-04 파이프 부력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205B1 true KR102117205B1 (ko) 2020-05-29

Family

ID=7091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134A KR102117205B1 (ko) 2020-02-04 2020-02-04 파이프 부력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2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857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제 판넬
KR200434196Y1 (ko) * 2006-07-11 2006-12-18 이태윤 부력체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20120040945A (ko) * 2010-10-20 2012-04-30 유한회사 용산건설 조립형 부구
KR101311166B1 (ko) * 2012-08-27 2013-09-23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101387581B1 (ko) * 2012-10-16 2014-04-24 이신주 길이 조절식 부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857A (ko) * 2005-01-06 2006-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제 판넬
KR200434196Y1 (ko) * 2006-07-11 2006-12-18 이태윤 부력체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20120040945A (ko) * 2010-10-20 2012-04-30 유한회사 용산건설 조립형 부구
KR101311166B1 (ko) * 2012-08-27 2013-09-23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101387581B1 (ko) * 2012-10-16 2014-04-24 이신주 길이 조절식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1561T3 (es) Estructura flotante
EP2212479B1 (en) Underwater suspended tunnel
KR100977015B1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US20190283845A1 (en) Modular structure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KR100870390B1 (ko)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ES2286261T3 (es) Estructuras marinas modulares.
KR101411348B1 (ko) 콘크리트 부잔교
KR101622745B1 (ko) 수상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장치
US20230175469A1 (en) Modular Underwater Pumped-Storage Power Plant Reservoir
KR100892134B1 (ko) 해저터널용 블록
KR101387581B1 (ko) 길이 조절식 부자
KR102117205B1 (ko) 파이프 부력구조물
US20100014920A1 (en) Turbine structure and gate structure having flexible joint and inside stuffing for tidal power plant
KR101971095B1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와 에어캡이 없는 부력체를 혼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KR102410262B1 (ko)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204418069U (zh) 蜂窝式柔性防船撞套箱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CN204124330U (zh) 可以灵活拆装的大型水上漂浮平台
CN104260842A (zh) 可以灵活拆装的大型水上漂浮平台
CN215443338U (zh) 组装式水上漂浮游泳池
KR101815251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밀폐용 연결소켓과 이를 이용한 부력조립체
KR101971094B1 (ko) 에어캡(뽁뽁이)이 있는 부력체 및 그 부력체를 이용한 수상태양광시스템
KR20220136570A (ko) 탄소섬유 복합재 기반 수상태양광 구조물
CN216185902U (zh) 节段预制拼装式漂浮基础及水上漂浮系统
KR20110072756A (ko) 신속설치 및 이동가능한 방파제 구축용 부유체 및 이에 의하여 조립되어 형성되는 부유식 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