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003B1 -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003B1
KR102117003B1 KR1020150007504A KR20150007504A KR102117003B1 KR 102117003 B1 KR102117003 B1 KR 102117003B1 KR 1020150007504 A KR1020150007504 A KR 1020150007504A KR 20150007504 A KR20150007504 A KR 20150007504A KR 102117003 B1 KR102117003 B1 KR 10211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sealing
sealing member
collec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319A (ko
Inventor
조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42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659347B/zh
Priority to CN201911354874.6A priority patent/CN111067420B/zh
Priority to EP19202381.0A priority patent/EP3616587B1/en
Priority to US15/502,465 priority patent/US10512379B2/en
Priority to AU2015299924A priority patent/AU2015299924B2/en
Priority to EP15829745.7A priority patent/EP3177193B1/en
Priority to PCT/KR2015/007983 priority patent/WO2016021874A1/en
Publication of KR2016001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319A/ko
Priority to IL249997A priority patent/IL249997B/en
Priority to US16/154,029 priority patent/US1077969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개폐되는 집진 장치에서 먼지의 유출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는 집진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먼지 배출구를 포함하는 집진 케이스,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출 커버 및 상기 먼지 배출구가 닫힌 경우에, 상기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까지 집진 케이스에 접촉된 상태로 연장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개폐되는 집진 장치에서 먼지의 유출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타입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으로 구별된다.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 구동 유닛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유닛 및 흡입 유닛에 의해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집진 장치를 포함한다.
집진 장치 중 사이클론 집진 장치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장치이다. 사이클론 집진 장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먼지봉투 방식의 집진 장치에 비해 위생적임과 동시에 편리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이클론 집진 장치는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트 타입, 핸디형 타입 등 청소기의 형태 내지 종류와 무관하게 두루 사용될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사이클론 집진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사이클론은 내부에 선회 기류를 형성하여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토출구 또는 다른 사이클론으로 이동시켜 2차적으로 먼지를 분리한다.
사이클론 집진 장치는 분리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개폐되는 영역은 집진 장치 내부의 흡입력을 유지하고,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sealing)되어 제공된다. 사이클론 집진 장치에 적용되는 실링 부재는 실링 효과가 우수하면 집진 장치 내부의 흡입력이 유지되고 먼지의 유출이 감소하지만 집진 장치를 개폐하기 어렵다. 이와 달리, 실링 부재가 집진 장치의 개폐가 용이하게 제공되면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하여 먼지가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는 집진 장치에서 내부의 먼지가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외부의 충격에도 집진 장치 내부의 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외부 충격에도 우수한 실링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폐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는 집진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먼지 배출구를 포함하는 집진 케이스,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출 커버 및 상기 먼지 배출구가 닫힌 경우에, 상기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까지 집진 케이스에 접촉된 상태로 연장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내측면과 상기 결합면에 면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에 연결되고, 상기 실링부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먼지 배출구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제1 실링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결합면에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2 실링부와 제1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각도는 90°보다 작은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실링부의 하부에서 상기 배출 커버와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제3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출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배출 커버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실링부가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실링부가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실링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출 커버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청소기에 포함된 집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는 내부의 집진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먼지 배출구를 포함하는 집진 케이스,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출 커버 및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가 마주하는 면을 따라 설치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에서 상기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까지 상기 집진 케이스에 접촉된 상태로 연장되어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를 실링시킨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먼지 배출구의 내측면과 상기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에 면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실링부 및 상기 실링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를 실링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먼지 배출구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링부 및 상기 제1 실링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결합면에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제2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2 실링부와 제1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각도는 90°보다 작은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출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실링부의 하부에서 상기 배출 커버와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되는 제3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의 결합으로 인하여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내측면과 상기 결합면에 면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는 집진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먼지 배출구를 포함하는 집진 케이스,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출 커버 및 상기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에서 상기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까지 면접촉되어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먼지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배출구가 닫힘 상태가 되면 그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를 실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실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 장치의 개폐가 용이하고, 향상된 실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 부재와 집진 장치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향상된 실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에서 집진 장치가 분리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서 배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서 배출 커버 및 실링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링 부재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실링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실링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서 실링 부재가 배출 커버와 집진 케이스를 실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4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5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6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7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집진 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먼지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배출 커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5의 먼지 걸림 부재의 제1 변형예를 포함하는 배출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5의 먼지 걸림 부재의 제2 변형예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집진 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3의 그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의 사이클론 바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의 그릴 유닛과 사이클론 바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4의 A-A'에서 바라본 집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에서 사이클론 집진 장치가 분리된 도면이다. 이하, 집진 장치(100)는 사이클론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오물은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는 본체(10), 집진 장치(100), 흡입부(21) 및 휠 어셈블리(5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장치(100) 및 휠 어셈블리(50)는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집진 장치(100)는 분리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흡입부(21)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본체(1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21)는 피청소면의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21)는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다소 넓적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와 흡입부(21) 사이에는 연장관(20), 핸들관(30) 및 플렉서블 호스(23)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20)은 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흡입부(21)와 핸들관(30)을 연결할 수 있다.
핸들관(30)은 연장관(20)과 플렉서블 호스(23)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핸들관(30)에는 핸들부(31) 및 조작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31)를 잡고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32)에 마련되는 버튼 등을 조작하여 청소기(1)를 온/오프 시키거나 흡입 강도를 조절하는 등 청소기(1)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플렉서블 호스(23)는 핸들관(30)과 본체(10)를 연결한다. 플렉서블 호스(23)는 핸들관(30)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유연한 재질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1), 연장관(20), 핸들관(30) 및 플렉서블 호스(23)는 모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1)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연장관(20), 핸들관(30) 및 플렉서블 호스(23)를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10)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흡입된 공기를 집진 장치(100)로 안내하는 제 1본체포트(10a), 집진 장치(100)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 2본체포트(1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본체포트(10b)는 팬모터(미도시)가 마련된 흡입챔버(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집진 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장치(100)는 장착부(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집진 장치(100)는 흡입부(21)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 수거하여 정화된 공기가 제 2본체포트(10b)를 통해 팬모터(미도시)으로 향하도록 한다.
집진 장치(100)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 즉, 집진 장치(100)는 선회 기류를 발생시켜 원심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한다. 집진 장치(100)에 먼지가 어느 정도 쌓이면 사용자는 집진 장치(10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집진 장치(100) 내부의 먼지를 버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서 배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집진 장치에서 배출 커버 및 실링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는 집진 케이스(110), 배출 커버(220), 그리고 실링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케이스(110)는 본체(10)에 결합되어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오물을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집진 케이스(110)은 본체(10)에 결합되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걸러내고, 오물이 걸러진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110)는 흡입포트(220a) 및 배출포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21)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흡입포트(220a)를 통해 집진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집진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먼지와 분리된다.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배출포트(122)를 통해 본체(10)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배출포트(122)를 통해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제2 본체포트(10b)를 통해 흡입챔버(미도시)로 이동한다.
집진 케이스(1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집진 케이스(110)는 오물을 포함하는 공기, 즉,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 및 오물이 제거된 공기, 즉,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11)는 흡입포트(220a)에 마련될 수 있고, 배출구(112)는 배출포트(122)에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110)는 집진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집진 케이스(110)의 일부는 내부공간이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110)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집진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 중간 케이스(130) 및 집진 컨테이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케이스(13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간 케이스(130)의 상부에는 사이클론 챔버(142,144)를 통과한 공기 중의 잔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 부재(134)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부재(134)는 중간 케이스(1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개구(13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필터 부재(134)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 및 제2 사이클론 챔버(144)를 통과한 공기 중의 잔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중간 케이스(130)의 상부 개구(132)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는 중간 케이스(1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는 중간 케이스(130)에 마련되는 힌지부(136)에 힌지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에는 사이클론 챔버(142,144) 및 필터 부재(13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122)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 포트(122)는 팬 모터(미도시)가 마련된 본체(10) 내부의 흡입 챔버(미도시)와 연통될 수 있다.
집진 컨테이너(200)는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과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집진 컨테이너(20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물을 모을 수 있도록 중간 케이스(13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컨테이너(200)는 컨테이너 바디(201) 및 오물을 수용하도록 컨테이너 바디(201)의 내부에 마련되는 집진 챔버(205)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챔버(205)는 제1 집진 챔버(205a) 및 제2 집진 챔버(20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진 챔버(205a)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제2 집진 챔버(205b)는 제2 사이클론 챔버(144)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집진 챔버(205a)에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에서 배출되는 먼지가 쌓이고, 제2 집진 챔버(205b)에는 제2 사이클론 챔버(144)에서 배출되는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제2 사이클론 챔버(144)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2 집진 챔버(205b)는 제2 사이클론 챔버(144)에 대응하도록 제1 집진 챔버(205a)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집진 챔버(205b)는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 집진 챔버(205b)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집진 챔버(205a)의 상부에서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집진 챔버(205b)는 배출 챔버(205c)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챔버(205c)는 제2 집진 챔버(205b)에 누적되는 오물을 집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 챔버(205c)는 제2 집진 챔버(205b)에서 깊이가 깊은 구간에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챔버(205)는 집진된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된 먼지 배출구(205d)가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배출구(205d)는 배출 커버(220)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201)는 컨테이너 외벽(202) 및 컨테이너 내벽(203)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외벽(202)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컨테이너 내벽(203)은 컨테이너 외벽(202)의 내측 상부에 환형의 공간을 갖도록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집진 챔버(205a)는 컨테이너 외벽(202)의 내측, 컨테이너 내벽(203)의 내측 및 배출 커버(22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집진 챔버(205b)는 컨테이너 외벽(202)의 내측, 컨테이너 내벽(203)의 외측 및 배출 커버(22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 컨테이너(200)는 집진 챔버(205)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0)는 먼지 배출구(205d)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집진 케이스(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0)는 집진 케이스(110)의 일측에 힌지(227) 결합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0)는 힌지(227)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먼지 배출구(205d)를 개폐시킬 수 있다.
배출 커버(220)는 집진 케이스(110)와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2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9)는 배출 커버(220)의 일측에 마련된 제1 고정 부재(229a)와 집진 컨테이너(200)에서 제1 고정 부재(229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 고정 부재(22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229a)와 제2 고정 부재(229b)는 서로 결합되어 배출 커버(220)가 집진 컨테이너(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배출 커버(220)에는 흡입 포트(220a)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포트(220a)는 플렉서블 호스(2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 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포트(220a)는 유입관(173)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포트(220a)는 흡입부(2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집진 케이스(110)의 측면으로 우회하여 유입되지 않고, 집진 케이스(11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출 커버(220)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포트(220a)에는 유입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11)는 흡입 포트(220a)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링 부재(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링 부재(230)는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를 실링하여 집진 장치(100) 내부의 먼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진 장치(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실링 부재의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실링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실링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링 부재(230)는 실링부(231) 및 연결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먼지 배출구(205d)가 닫힌 경우에, 집진 케이스(110)의 내측면(201a)에 접촉된 상태로 집진 케이스(110)의 결합면(201b)까지 연장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집진 케이스(110)와 배출 커버(220)가 마주하는 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231)는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의 컨테이너 바디(201)에 각각 접촉되어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링부(231)에 접촉되는 집진 케이스(110)는 실링부(231)에 접촉되는 컨테이너 바디(201)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실링부(231)는 제1 실링부(232) 및 제2 실링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부(232)는 연결부(235)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32)는 먼지 배출구(205d)와 마주하는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에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32)는 먼지 배출구(205d)가 배출 커버(220)에 의해 개폐되면서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33)는 제1 실링부(232)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33)는 제1 실링부(232)와 제1 각도(α)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각도(α)는 90°보다 작은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부(231)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되므로, 제1 각도(α)가 90°이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에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 사이에서 집진 케이스(110)가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각도(α)는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에 집진 케이스(110)가 용이하게 접촉되기 위하여 제1 각도(α)가 90°보다 큰 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실링부(233)는 배출 커버(220)에 마주하는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201b)에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실링부(233)는 제1 실링부(232)와 함께 먼지 배출구(205d)가 배출 커버(220)에 의해 개폐되면서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실링부(231)는 제3 실링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링부(234)는 연결부(23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링부(234)는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3 실링부(234)는 일측면이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201b)과 마주하는 배출 커버(220)의 결합면(227)과 접촉되어 실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235)는 실링부(232)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235)는 그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235)는 실링부(23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연결부(235)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235)는 외력이 작용하면 그 위치가 이동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연결부(235)를 포함한 실링 부재(230) 전체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부(235)는 집진 장치의 내측으로 라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235)는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의 위치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결합부(236)는 연결부(23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236)는 배출 커버(22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236)는 배출 커버(220)에 마련된 고정 홈(225)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홈(225)은 배출 커버(220)의 내측 엣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홈(225)은 배출 커버(220)의 결합면(227)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홈(225)은 배출 커버(220)의 내측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225a, 225b) 사이의 공간(225c)에 결합부(236)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결합부(236)는 실링 부재(230)를 배출 커버(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부(236)는 배출 커버(22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230)는 배출 커버(220)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23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커버(220)가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 실링 부재(230)는 제1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실링 부재(2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제1 위치에서 적어도 일부가 배출 커버(2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제1 위치에서 제1 실링부(232) 또는 제2 실링부(233)의 일부가 배출 커버(2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32) 및 제2 실링부(233)는 제3 실링부(23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커버(220)가 집진 케이스(110)에 결합된 경우에 실링 부재(230)는 제2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위치는 실링 부재(230)가 집진 케이스(110)에 접촉되어 실링되는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실링 부재(230)는 제1 위치보다 배출 커버(22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있을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제2 위치에서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가 각각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과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201b)에 접촉되어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제2 위치에서 탄성을 가지므로 제1 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실링 부재(230)는 제2 위치에서 발생되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과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201b)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제2 위치에서 제2 실링부(233)가 제3 실링부(234)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실링부(234)는 고정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실링부(234)는 배출 커버(220)의 결합면(227)과 접촉하도록 위치하여 배출 커버(220)를 실링할 수 있다. 제3 실링부(234)는 실링 부재(230)가 제1 위치에 제공되면 제2 실링부(233)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실링 부재(230)가 제2 위치에 제공되면 제2 실링부(233)와 접촉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링 부재(230)는 집진 케이스(110)와 배출 커버(220)의 결합으로 인하여 형상이 변형되면서 내측면(201a)과 결합면(201b)에 면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먼지 배출구(205d)가 개방된 상태에서 먼지 배출구(205d)가 닫힘 상태가 되면 그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집진 케이스(110)와 배출 커버(220)를 실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부재가 배출 커버와 집진 케이스를 실링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서 실링 부재가 배출 커버와 집진 케이스를 실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는 실링 부재가 제1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실링 부재가 이동하여 집진 케이스와 접촉되면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c)는 배출 커버가 집진 케이스에 결합되어 실링 부재가 제2 위치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방된 먼지 배출구(205d)를 닫으려 배출 커버(220)를 움직이는 경우에 실링 부재(230)는 배출 커버(220)와 함께 집진 케이스(11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는 제3 실링부(234)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실링 부재(230)가 집진 케이스(110)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면, 제1 실링부(232) 또는 제2 실링부(233)의 적어도 일부와 집진 케이스(110)의 결합면(201b)이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230)는 배출 커버(220)와 함께 집진 케이스(110)의 일부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집진 케이스(110)의 결합면(201b)이 제1 실링부(232) 또는 제2 실링부(233)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가까워질수록 제1 실링부(232)는 제3 실링부(234)에 가까워지고, 제2 실링부(233)는 연결부(235)와 함께 배출 커버(22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230)는 배출 커버(220)가 먼지 배출구(205d)를 차단하여 집진 케이스(110)와 결합되면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를 각각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실링 부재(230)는 집진 케이스(110)에 접촉된 상태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실링 부재(230)는 제2 위치에서 제1 실링부(232), 제2 실링부(233) 그리고 제3 실링부(234)가 각각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201b), 그리고 배출 커버(220)의 결합면(227)에 접촉된 상태로 실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링 부재(230)는 제1 실링부(232)와 제2 실링부(233)가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부터 결합면(201b)까지 면 접촉된 상태로 실링되어 실링 부재(230)가 집진 케이스(110)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230)가 집진 케이스(110)와 실링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실링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실링 상태가 훼손되어 집진 장치(100) 내부의 먼지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230)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가지므로, 배출 커버(220)가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링 부재(23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링 부재(240)는 실링부(241), 연결부(246), 그리고 결합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240)는 도 7의 실링 부재(230)와 비교할 때 실링부(241)의 구성이 상이하고, 그외의 구성은 도 7의 실링 부재(23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의 실링 부재(23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실링 부재(240)를 설명하고,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링부(241)는 제1 실링부(242), 제2 실링부(243), 제3 실링부(244), 그리고 제4 실링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241)는 도 7의 실링 부재(230)의 실링부(231)과 비교할 때 제3 실링부(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링부(244)는 제2 실링부(24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실링부(244)는 제1 실링부(242)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링부(244)는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케이스의 외측면(201c)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240)는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과 결합면(201b) 이외에도 집진 케이스의 외측면(201c)과 접촉되어 실링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실링 부재(250)는 실링부(251), 연결부(255), 그리고 결합부(25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250)는 도 7의 실링 부재(230)와 비교할 때 실링부(251)의 구성이 상이하고, 그외의 구성은 도 7의 실링 부재(23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7의 실링 부재(23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실링 부재(250)를 설명하고,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링부(251)는 제1 실링부(252), 그리고 제2 실링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251)는 도 7의 실링 부재(230)와 비교할 때 배출 커버(220)의 결합면(227)과 접촉되는 제3 실링부(234)에 대응하는 구성이 생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251)는 제1 실링부(252)와 제2 실링부(253)가 각각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과 결합면(201b)에 접촉되어 실링될 수 있다. 제1 실링부(252)는 제2 위치에서 일측이 집진 케이스의 내측면(201a)과 접촉되고, 타측이 배출 커버(220)의 결합면(227)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250)는 도 7의 실링 부재(230)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집진 케이스(110)와 배출 커버(220)를 실링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실링 부재(510)는 상면에 결합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511)은 집진 케이스의 결합면(201b)과 마주하도록 배출 커버(220)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510)는 상면에 제1 경사면(512a)과 제2 경사면(512b)이 하부로 오목한 v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경사면(512a)과 제2 경사면(512b)은 결합홈(511)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 부재(510)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10)는 집진 케이스(110)의 하부 일부분에 면접촉될 수 있다. 실링 부재(510)는 제1 경사면(512a)과 제2 경사면(512b)이 집진 케이스(110)의 하부 일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집진 케이스(110)와 면접촉될 수 있다. 실링 부재(510)는 집진 케이스(110)의 저면과 저면과 연결되는 외측면 그리고 저면과 연결되는 내측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510)와 집진 케이스(110)가 접촉되는 영역이 증가되어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분리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510)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실링 부재(510)는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면 복원력으로 인하여 도 15에 도시된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로 인하여 용이하게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4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실링 부재(520)는 몸체부(521), 접촉부(522), 그리고 결합홈(523)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21)는 배출 커버(22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521)는 상면에 접촉부(522)와 결합홈(523)이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522)는 제1 접촉부(522a)와 제2 접촉부(5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522a)는 몸체부(52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촉부(522a)는 몸체부(521)의 상면과 둔각을 이루면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촉부(522b)는 몸체부(521)의 상면에서 제1 접촉부(522a)와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촉부(522a)와 제2 접촉부(522b) 그리고 몸체부(521)의 상면은 결합홈(523)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홈(523)은 제1 접촉부(522a)와 제2 접촉부(522b) 그리고 몸체부(521)의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520)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20)는 집진 케이스(110)의 하부 일부분에 면접촉될 수 있다. 실링 부재(520)는 집진 케이스(110)가 몸체부(52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부로 이동되면 제1 접촉부(522a)와 제2 접촉부(522b)가 집진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면접촉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20)는 집진 케이스(110)의 하단부 결합면과 내측면 그리고 외측면에 면접촉되어 실링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520)는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분리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520)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실링 부재(520)는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면 복원력으로 인하여 도 17에 도시된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로 인하여 용이하게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5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실링 부재(530)는 접촉부(531)와 지지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531)는 지지부(533)에 지지되어 집진 케이스(110)의 하단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531)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531)는 집진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된 결합홈(201d)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201d)은 집진 케이스(110)의 하단에 접촉부(5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530)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33)는 접촉부(531)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533)는 일측이 배출 커버(220)와 결합되고, 타측이 접촉부(531)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533)는 복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33)는 집진 케이스(110)가 접촉부(531)와 함께 하부로 이동되면 상하방향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변형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30)는 결합홈(201d)에 삽입되어 면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30)는 집진 케이스(110)의 결합홈(201d)에 면접촉되어 실링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530)는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분리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530)는 지지부(533)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실링 부재(530)는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면 복원력으로 인하여 도 19에 도시된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로 인하여 용이하게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6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실링 부재(540)는 접촉부(541)와 지지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541)는 지지부(543)에 지지되어 집진 케이스(110)의 하단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541)는 중공(541a)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541)는 집진 케이스(110)의 하단에 마련된 결합홈(201e)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540)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43)는 접촉부(541)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543)는 일측이 배출 커버(220)와 결합되고, 타측이 접촉부(541)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40)는 결합홈(201e)에 접촉된 상태로 실링될 수 있다. 실링 부재(540)는 접촉부(541)가 집진 케이스(110)에 접촉되어 눌리면서 결합홈(201e)에서 타원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촉부(541)는 집진 케이스(110)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분리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540)는 접촉부(541)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실링 부재(540)는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면 복원력으로 인하여 도 21에 도시된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로 인하여 용이하게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도 7의 실링 부재의 제7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실링 부재(550)는 배출 커버(220)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550)는 배출 커버(22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220b)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220b)은 집진 케이스(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집진 케이스(11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550)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50)는 집진 케이스(110)의 저면과 내측면 그리고 외측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홈(220b)에 집진 케이스(110)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결합되면 실링 부재(550)는 집진 케이스(110)에 면접촉되어 실링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 부재(550)는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20)와 집진 케이스(110)가 분리되는 경우에 실링 부재(550)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실링 부재(550)는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면 복원력으로 인하여 도 23에 도시된 형상으로 복원되고, 이로 인하여 용이하게 집진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집진 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먼지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배출 커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집진 장치(101)는 집진 케이스(110), 배출 커버(260), 그리고 먼지 걸림 부재(265)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장치(101)는 도 3의 집진 장치(100)와 비교하면 먼지 걸림 부재(265)가 상이하고 그 외의 구성은 도 3의 집진 장치(100)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의 집진 장치(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집진 장치(101)를 설명하고,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배출 커버(260)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배출 커버(260)의 내측 저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서로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배출 커버(26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먼지 걸림 부재(265)는 상부로 갈수록 돌기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빗살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걸림 부재(265)는 배출 커버(260)가 집진 케이스(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집진 챔버(205a)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그 상단이 그릴 유닛(17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제1 집진 챔버(205a)에서 선회 기류와 함께 이동하는 먼지가 복수개의 돌기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의 공간으로 인하여 회전하는 공기는 통과하고 먼지는 돌기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먼지 걸림 부재(265)는 제1 집진 챔버(205a) 내부의 선회 기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먼지 걸림 부재(265)는 제1 집진 챔버(205a) 내에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65)는 복수개의 돌기를 가지는 하나의 유닛이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각각의 유닛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돌기의 간격 및 높이를 각각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먼지 걸림 부재(265)는 다양한 크기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5의 먼지 걸림 부재의 제1 변형예를 포함하는 배출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지 걸림 부재(275)는 도 27의 먼지 걸림 부재(265)와 달리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75)는 배출 커버(270)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먼지 걸림 부재(275)는 제1 집진 챔버(205a) 내부에서 회전하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75)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75)들은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먼지 걸림 부재(275)들은 먼지 걸림 부재(275)들 사이에 회전되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75)들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은 회전되는 공기만이 통과되고,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먼지 걸림 부재(275)에 걸리면서 공기와 분리될 수 있다.
복수개의 먼지 걸림 부재(275)는 하나의 먼지 걸림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먼지 걸림 부재(275)로 구성된 먼지 걸림 유닛은 배출 커버(270)의 저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먼지 걸림 부재(275)로 구성된 먼지 걸림 유닛은 3개로 제공되고, 상호간의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유닛의 개수는 3개 이상이나 3개 이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먼지 걸림 부재(275)는 하나의 먼지 걸림 유닛에서 각각의 먼지 걸림 부재(275)는 상이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먼지 걸림 부재(275)는 배출 커버(270)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크기가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개의 먼지 걸림 부재(275)는 모두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9는 도 25의 먼지 걸림 부재의 제2 변형예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집진 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먼지 걸림 부재(290)는 도 27의 먼지 걸림 부재(265)와 비교하면, 먼지 걸림 부재(290)의 제공되는 위치가 차이점이 있고,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지 걸림 부재(290)에 대하여 도 27의 먼지 걸림 부재(265)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지 걸림 부재(290)는 제1 집진 챔버(205a)의 측면을 형성하는 컨테이너 바디(201)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90)는 컨테이너 바디(201)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집진 챔버(205a)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90)는 상단이 그릴 유닛(170)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먼지 걸림 부재(290)는 컨테이너 바디(201)의 내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먼지 걸림 부재(290)는 각각 상이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먼지 걸림 부재(290)는 제1 집진 챔버(205a)에서 회전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먼지 걸림 부재(290)는 복수개의 돌기들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선회 기류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집진 장치(100)의 먼지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집진 장치(100)는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는 집진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는 선회기류를 발생시켜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오물을 분리하도록 마련된다. 선회기류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팬모터(미도시)의 구동시에 발생한다.
집진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선회기류가 형성되는 사이클론 챔버(142,144)가 마련될 수 있다. 사이클론 챔버(142,144)에서는 공기 및 먼지의 원심분리가 진행된다. 사이클론 챔버(142,144)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 및 제2 사이클론 챔버(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클론 챔버(142)는 그릴 유닛(170), 사이클론 바디(150) 및 집진 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사이클론 챔버(144)는 사이클론 바디(15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집진 장치(100)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진 장치(100)의 배치관계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112)를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유동방향(X)으로 정의할 때, 상부 케이스(120)는 유동방향(X)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집진 컨테이너(200)는 유동방향(X)의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는 상부 케이스(120) 및 집진 컨테이너(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 부재(134)는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잔류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동방향(X)으로 사이클론 어셈블리(140)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부재(134)는 배기구(154)를 통과한 공기가 전달될 수 있도록 유동방향(X)으로 상부 사이클론 바디(15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은 도 3의 그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의 사이클론 바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3은 도 3의 그릴 유닛과 사이클론 바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4의 A-A'에서 바라본 집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적어도 하나의 먼지분리부 또는 콘(corn)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상부 사이클론 바디(152)는 커버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집진 컨테이너(200)는 먼지 수용부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는 그릴 유닛(170) 및 사이클론 바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바디(150)는 집진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 바디(150)는 그릴 유닛(17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이클론 바디(150)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그릴 유닛(170)을 지나 제2 사이클론 챔버(144)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클론 바디(150)는 상부 사이클론 바디(152) 및 하부 사이클론 바디(15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사이클론 바디(156)에는 그릴 유닛(170) 및 내부에 제2 사이클론 챔버(144)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이 안착될 수 있다. 상부 사이클론 바디(152)에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부터 그릴하우징(171)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2 사이클론 챔버(14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를 안내하는 안내관(15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사이클론 바디(152)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으로 가이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사이클론 바디(15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하부 사이클론 바디(156)에는 그릴 유닛(170)의 일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유닛 안착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유닛 안착부(160)에는 그릴 유닛(1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그릴 유닛(170)에는 결합돌기(미도시)에 대응하는 결합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릴 유닛(170)은 집진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그릴 유닛(170)은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릴 유닛(170)은 그릴 바디(180) 및 유입관(18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관(182)은 흡입포트(220a)의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182)의 일 단부는 흡입포트(220a)의 유입구(111)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유입관(182)의 다른 단부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관(182)은 유입관 바디(182a), 유입관 바디(182a)의 일 단부에 마련되어 유입구(111)와 연통되는 유입홀(170a) 및 유입관 바디(182a)의 다른 단부에 마련되어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84)는 유입관 바디(182a)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유입관 바디(182a)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84)는 유입관 바디(182a)의 내부에서 제 1유로(P1)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가 제 1유로(P1)의 진행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배출 가이드면(184a)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면(184a)은 가이드부(18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제1 기류 안내면(167)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주방향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흡입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구(111)를 지나 유입홀(170a)을 통해 유입관(182)으로 유입되며, 가이드부(184)를 통해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관(182)의 내부에는 제 1유로(P1)가 형성되고, 제 1유로(P1)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릴 바디(180)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에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를 제거하도록 마련된다.
그릴 바디(180)에는 배출포트(122)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17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부터 그릴 바디(180)로 유입되는 공기는 그릴 바디(180)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유출구(170b)를 통해 그릴 유닛(170)의 외부로 배출된다. 유출구(170b)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안내관(155)을 통해 제 2사이클론 챔버(144)로 유입된다.
그릴 바디(180)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와 유출구(170b) 또는 배출포트(122)를 구획하여, 제1 사이클론 챔버(142)에서 선회기류발생에 의해 분리된 먼지가 제1 사이클론 챔버(142)를 지나 유출구(170b) 또는 배출포트(122)를 통해 배출될 수 없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그릴 바디(180)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공기통과공(18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릴 바디(180)는 유입관(182)과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 바디(180)와 유입관(182)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릴 바디(180)는 유입관(182)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관(182)의 외면과 그릴 바디(180) 사이에는 제 2유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릴 바디(180)는 유입관(182)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그릴 바디(180)와 유입관(182)의 외면 사이에 제 2유로(P2)를 형성한다.
그릴 유닛(170)에는 유입관(182) 내부에 형성되어 유입홀(170a)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유로(P1) 및 유입관(182)과 그릴 바디(180)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부터 그릴 바디(180)로 유입되는 공기를 유출구(170b)로 안내하는 제 2유로(P2)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제 1유로(P1) 및 제 2유로(P2)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유입관 바디(182a)와 그릴 바디(180)는 길이방향에 대한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유로(P1) 및 제 2유로(P2)를 그릴 유닛(170)의 내부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사이클론 어셈블리(140)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제 1유로(P1) 및 제 2유로(P2)를 그릴 유닛(170)의 내부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흡입부(21)로부터 사이클론 챔버(142,144)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관을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고, 흡입부(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사이클론 챔버(142,144)로 바로 유입시킬 수 있어 유로저항을 줄일 수 있다.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는 기류형성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기류형성부(166)는 유입관(182)으로부터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안내되는 공기가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기류형성부(166)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유입되는 공기에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기류형성부(166)는 사이클론 바디(150)에 마련된다. 또한, 기류형성부(166)는 제 1유로(P1)를 지나는 공기가 가이드부(184)로 배출되어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유입되면서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류형성부(166)가 사이클론바디(150)에 형성되나, 기류형성부(166)의 배치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기류형성부(166)는 그릴 유닛(17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류형성부(166)는 그릴 유닛(170)의 주위를 따라 사이클론바디(150)에 배치될 수 있다.
기류형성부(166)는 제1 기류 안내면(167) 및 제2 기류 안내면(16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류 안내면(167)은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안내되는 공기가 그릴 유닛(17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하도록 유입관(18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접촉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면이다. 즉, 제1 기류 안내면(167)은 가이드부(184)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원주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마련된다. 또한, 제1 기류 안내면(167)은 가이드부(18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방향 전환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류 안내면(167)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2 기류 안내면(168)은 그릴 유닛(17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사이클론 챔버(142)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릴 유닛(170)이 사이클론바디(15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2 기류 안내면(168)은 그릴 유닛(17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사이클론바디(15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기류 안내면(167)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선회하는 공기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유입관(182)의 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84)와 그릴 바디(180)의 공기통과공(181)이 인접하게 마련됨에 따라, 가이드부(18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통과공(181)으로 바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그릴 유닛(170)은 기류형성리브(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형성리브(186)는 가이드부(184)와 인접하도록 제1 사이클론 챔버(142)측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기류형성리브(186)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부(18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그릴 바디(180)로부터 이격시켜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릴 유닛(170)은 플랜지그릴부(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그릴부(188)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 및 제 1집진챔버(205a)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그릴부(188)는 제 1집진챔버(205a)에 집진되는 먼지들이 역류하여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입관(182)의 외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그릴부(188)는 먼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그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랜지그릴부(188)는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먼지가 제 2유로(P2)로 이동하지 않도록 그릴 바디(180)의 하부에 접할 수 있다. 플랜지그릴부(188)에도 그릴 바디(180)와 같이 복수의 공기통과공(1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그릴부(188)는 공기가 제 1집진챔버(205a)로부터 제1 사이클론 챔버(142)를 향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집진챔버(205a)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랜지그릴부(188)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 및 제 1집진챔버(205a)의 사이에서, 제 1집진챔버(205a)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플랜지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 1집진챔버(205a)로부터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사이클론 어셈블리(140)는 제2 사이클론 챔버(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클론 챔버(144)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의 방사상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사이클론 챔버(144)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클론 챔버(144)는 제1 사이클론 챔버(142)에 의해 1차적으로 먼지가 걸러진 공기를 2차적으로 원심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이클론 챔버(142)로부터 그릴 유닛(170)으로 유입된 공기는 사이클론 바디(150)의 안내관(155)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으로 이동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 내부에 마련되는 제2 사이클론 챔버(144)에서 원심분리를 통해 2차적으로 먼지와 분리된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집진 케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도록 집진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하부 사이클론 바디(156)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내부에는 제2 사이클론 챔버(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사이클론 챔버(144)에서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공기 유입구(301) 및 먼지 배출홀(30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301)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배출홀(302)는 집진 컨테이너(200)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먼지 배출홀(302)는 집진 컨테이너(200)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301)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길이방향(L)으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먼지 배출홀(302)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길이방향(L)으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먼지배출구(302)는 공기 유입구(30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도록 공기 유입구(301)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바디(303), 공기 유입구(301) 및 먼지 배출홀(30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03)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 유입구(301) 및 먼지 배출홀(302)는 바디(303)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301)는 상대적으로 넓고, 먼지 배출홀(302)는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 즉, 공기 유입구(301)의 너비는 먼지 배출홀(302)의 너비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먼지분리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즉, 먼지 배출홀(302)의 너비를 공기 유입구(301)의 너비보다 좁게 함으로써 먼지를 함유한 공기, 즉, 오염된 공기의 원심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너비를 가지는 먼지 배출홀(302)에서 더 큰 원심력이 발생할 수 있다.
바디(303)는 평면 및 곡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및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일 단부에는 공기유입구(301)가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다른 단부에는 먼지배출구(302)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301)의 직경은 먼지배출구(30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이 원뿔대 형상을 가지는 경우, 바디(303)는 평면일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형상은 원뿔대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론(300)의 길이방향(L)에 평행한 대칭축(S)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는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트 타입 및 핸디 타입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청소기 10 : 본체
10a : 제1 본체포트 10b : 제2 본체포트
11 : 장착부 20 : 연장관
21 : 흡입부 23 : 플렉서블 호스
30 : 핸들관 31 : 핸들부
32 : 조작부 50 : 휠 어셈블리
100 : 집진 장치 110 : 집진 케이스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20 : 상부 케이스 130 : 중간 케이스
132 : 상부 개구 134 : 필터 부재
136 : 힌지부 140 : 사이클론 어셈블리
142 : 제1 사이클론 챔버 144 : 제2 사이클론 챔버
150 : 사이클론 바디 152 : 상부 사이클론 바디
153 : 돌기 153a : 가장자리부
153b : 브리지 154,154a,154b : 배기구
156 : 하부 사이클론 바디 160 : 유닛 안착부
166 : 기류 형성부 167 : 제1 기류 안내면
168 : 제2 기류 안내면 170 : 그릴 유닛
170a : 유입홀 170b : 유출구
171 : 그릴 하우징 171a : 제1 유입부
172 : 제1 필터 부재 173 : 유입관
173a : 유입관 바디 174 : 가이드부
176 : 기류 형성 리브 200 : 집진 컨테이너
201 : 컨테이너 바디 202 : 컨테이너 외벽
203 : 컨테이너 내벽 205 : 집진 챔버
205a : 제1 집진 챔버 205b : 제2 집진 챔버
205c : 배출 챔버 205d : 먼지 배출구
220 : 배출 커버 230 : 실링 부재
231 : 실링부 235 : 연결부
236 : 결합부 α : 제1 각도
300,300a : 사이클론 301 : 공기 유입구
302 : 먼지 배출홀 303,303a : 바디

Claims (19)

  1. 내부에 집진된 먼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먼지 배출구를 포함하는 집진 케이스;
    상기 먼지 배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진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출 커버; 및
    상기 집진 케이스와 상기 배출 커버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 부재로서, 제2 실링부, 제3 실링부, 및 상기 제2 실링부와 상기 제3 실링부 사이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실링부는 상기 배출 커버와 접촉하고,
    상기 먼지 배출구를 닫기 위해, 상기 집진 케이스는 상기 제2 실링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실링부를 상기 제3 실링부를 향해 이동시키며, 상기 먼지 배출구가 닫혔을 때, 상기 제2 실링부 및 상기 제3 실링부는 서로 접촉하며 상기 집진 케이스 및 상기 배출 커버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먼지 배출구가 닫혔을 때, 상기 집진케이스의 내면과 면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2 실링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집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는 상기 제2 실링부와 제1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각도는 90°보다 작은 각도로 제공되는 집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먼지 배출구가 닫혔을 때, 상기 집진 케이스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실링부로부터 연장되는 제4 실링부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배출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배출 커버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집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집진 장치.
  8. 제1항의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0007504A 2014-08-07 2015-01-15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KR10211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54874.6A CN111067420B (zh) 2014-08-07 2015-07-30 吸尘器和应用于吸尘器的灰尘分离装置
EP19202381.0A EP3616587B1 (en) 2014-08-07 2015-07-30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US15/502,465 US10512379B2 (en) 2014-08-07 2015-07-30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AU2015299924A AU2015299924B2 (en) 2014-08-07 2015-07-30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CN201580042498.0A CN106659347B (zh) 2014-08-07 2015-07-30 吸尘器和应用于吸尘器的灰尘分离装置
EP15829745.7A EP3177193B1 (en) 2014-08-07 2015-07-30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PCT/KR2015/007983 WO2016021874A1 (en) 2014-08-07 2015-07-30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IL249997A IL249997B (en) 2014-08-07 2017-01-09 for cleaning and dust separation for this application
US16/154,029 US10779696B2 (en) 2014-08-07 2018-10-08 Cleaner and dust separating device appl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1679 2014-08-07
KR1020140101679 2014-08-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92A Division KR102249493B1 (ko) 2014-08-07 2020-05-25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319A KR20160018319A (ko) 2016-02-17
KR102117003B1 true KR102117003B1 (ko) 2020-06-09

Family

ID=5545757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504A KR102117003B1 (ko) 2014-08-07 2015-01-15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KR1020200062392A KR102249493B1 (ko) 2014-08-07 2020-05-25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KR1020210056782A KR20210052429A (ko) 2014-08-07 2021-04-30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92A KR102249493B1 (ko) 2014-08-07 2020-05-25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KR1020210056782A KR20210052429A (ko) 2014-08-07 2021-04-30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12379B2 (ko)
EP (2) EP3177193B1 (ko)
KR (3) KR102117003B1 (ko)
CN (2) CN106659347B (ko)
AU (1) AU2015299924B2 (ko)
IL (1) IL2499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337A (ko) * 2014-08-07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7399B (zh) * 2017-07-07 2020-05-15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N109953684B (zh) * 2018-07-11 2021-11-30 尚科宁家(香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持式清洁装置
KR102015092B1 (ko) * 2018-08-30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청소기
KR20220029054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통과 이를 포함하는 청소장치
KR102586570B1 (ko) * 2023-01-11 2023-10-10 주식회사 페페 집진기 모듈을 결합 및 분리하는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KR102562214B1 (ko) * 2023-01-11 2023-08-01 주식회사 페페 반려동물용 집진기의 유로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9355A1 (en) 2004-04-16 2005-10-20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Dirt cup with dump door in bottom wall and dump door actuator on top wall
US20110056045A1 (en) * 2009-09-10 2011-03-10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Dirt Cup Latch Mechanism
US20120047858A1 (en) * 2009-05-11 2012-03-01 Tak Soo Kim Dust-collecting apparatus with a packing member
WO2012031084A1 (en) 2010-09-01 2012-03-0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dirt cup and seal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8439B2 (en) * 2001-02-24 2006-03-28 Dyson Limited Collecting chamber for a vacuum cleaner
JP3749173B2 (ja) * 2001-12-28 2006-02-22 三洋電機株式会社 掃除機用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GB0307928D0 (en) 2003-04-05 2003-05-14 Hoover Ltd Vacuum cleaner
AT8116U1 (de) * 2004-07-20 2006-02-15 Wiedemann Thomas Staubsauger
KR100633605B1 (ko) * 2004-12-27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KR20060086088A (ko) 2005-01-26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KR100546625B1 (ko) * 2005-02-17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집진장치
US7811349B2 (en) * 2005-07-12 2010-10-12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vortex stabilizer
US20070209150A1 (en) * 2006-03-08 2007-09-13 Gogel Nathan A Floor cleaning apparatus with filter cleaning system
GB2453761B (en) * 2007-10-18 2012-04-18 Dyson Technology Lt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for a cleaning appliance
JP4770821B2 (ja) * 2007-11-16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201277397Y (zh) * 2008-09-04 2009-07-22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接口密封件
CN201521633U (zh) * 2009-09-25 2010-07-07 合肥丰德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胶条
JP2013034751A (ja) * 2011-08-10 2013-02-21 Panasonic Corp 集塵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222822B1 (ko) * 2012-01-19 2013-01-15 삼성전기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모터 조립체
GB2503020B (en) * 2012-06-14 2014-07-30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sealing arrangement
AU2013228064B2 (en) * 2012-09-26 2017-11-23 Bissell Inc. Vacuum cleaner
CN203369860U (zh) * 2013-06-17 2014-01-01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集尘盒密封可靠的吸尘器
CN203693492U (zh) * 2013-10-29 2014-07-09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旋风吸尘器的尘杯密封结构
KR102117003B1 (ko) * 2014-08-07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9355A1 (en) 2004-04-16 2005-10-20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Dirt cup with dump door in bottom wall and dump door actuator on top wall
US20120047858A1 (en) * 2009-05-11 2012-03-01 Tak Soo Kim Dust-collecting apparatus with a packing member
US20110056045A1 (en) * 2009-09-10 2011-03-10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Dirt Cup Latch Mechanism
WO2012031084A1 (en) 2010-09-01 2012-03-0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Vacuum cleaner dirt cup and se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337A (ko) * 2014-08-07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KR102249493B1 (ko) * 2014-08-07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12379B2 (en) 2019-12-24
AU2015299924A1 (en) 2017-02-02
CN106659347B (zh) 2020-01-21
EP3177193A1 (en) 2017-06-14
US10779696B2 (en) 2020-09-22
US20180213989A1 (en) 2018-08-02
EP3177193A4 (en) 2018-05-16
KR20200060337A (ko) 2020-05-29
EP3616587B1 (en) 2023-05-24
IL249997B (en) 2021-08-31
CN111067420B (zh) 2022-11-29
IL249997A0 (en) 2017-03-30
CN106659347A (zh) 2017-05-10
CN111067420A (zh) 2020-04-28
KR102249493B1 (ko) 2021-05-11
KR20210052429A (ko) 2021-05-10
KR20160018319A (ko) 2016-02-17
US20190038097A1 (en) 2019-02-07
EP3177193B1 (en) 2020-01-08
AU2015299924B2 (en) 2018-07-12
EP3616587A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003B1 (ko) 청소기 및 이에 적용되는 집진 장치
KR102180680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CN105030148B (zh) 真空吸尘器
JP4024780B2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およびそ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のハンドル組立体
JP5817070B2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
RU2325836C2 (ru) Узел пылеулавливания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KR102246450B1 (ko) 청소기
KR102339544B1 (ko) 청소기
KR100546625B1 (ko) 청소기의 집진장치
CN111031870B (zh) 旋风除尘装置以及包括旋风除尘装置的真空吸尘器和手持-杆式真空吸尘器
JP5886715B2 (ja) 電気掃除機
KR2005011973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WO2012104754A1 (en)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ir, comprising a vortex chamber
JP5821980B2 (ja) 遠心分離装置
KR20070012988A (ko) 집진 유니트
JP3762360B2 (ja) 電気掃除機
KR100633618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3890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