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530B1 - 헬리콥터 운반선 - Google Patents

헬리콥터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530B1
KR102116530B1 KR1020180010059A KR20180010059A KR102116530B1 KR 102116530 B1 KR102116530 B1 KR 102116530B1 KR 1020180010059 A KR1020180010059 A KR 1020180010059A KR 20180010059 A KR20180010059 A KR 20180010059A KR 102116530 B1 KR102116530 B1 KR 10211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pter
deck
hull
side barri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074A (ko
Inventor
현영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8001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5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63B2017/045Bulwar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콥터 운반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헬리콥터 운반선은 헬리콥터가 적치될 수 있는 상갑판을 갖는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부에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를 구비된 격납 타워를 포함하되; 상기 격납타워는 상기 헬리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헬리콥터의 정비,점검을 할 수 있도록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층 이상의 격납고; 및 상기 헬리데크와 상기 적어도 한 층 이상의 격납고 간의 헬리콥터 운반을 위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콥터 운반선{helicopter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헬리콥터를 운반하고 수리할 수 있는 헬리콥터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PSO 또는 RIG 선 등 해양에 장기적으로 체류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이나 선박에는, 특히 해양 구조물의 거주구 상부나 주변 또는 선박의 선미부에는 헬리콥터 착륙장 또는 헬리콥터 데크, 소위 헬리데크가 설치된다.
헬리데크의 구조는 크게 데크 구조물과 데크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로 분류할 수 있다.
데크 구조물은 여러 형상의 복수의 데크 부재가 서로 연결되며, 연결구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물의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데크 구조물은 헬리콥터의 이/착륙 시의 진동에 따른 구조적인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헬리콥터 데크의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33398호(공고일 205.12.05, 발명의 명칭: 방진기술을 적용한 엘엔지 캐리어 선미부에 배치된 헬리콥터 데크)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6899호(공고일 2000.02.13, 고안의 명칭: 헬리콥터 착륙장의 플랭크 구조)가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헬리콥터를 전문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선박이 없고, 또한 헬리콥터 운용중에 헬리콥터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방이 오픈된 헬리콥터 데크에서 헬리콥터를 수리해야 함으로 수리하는 동안 파도와 바람 등에 의해 수리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헬리콥터를 운반 및 수리할 수 있는 헬리콥터 운반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적치 장소에서 이륙이 가능한 헬리콥터 운반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헬리콥터가 적치되는 상갑판의 적치 공간을 바람 및 파도의 영향으로부터 최소화시킬 수 있는 헬리콥터 운반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콥터가 적치될 수 있는 상갑판을 갖는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부에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를 구비된 격납 타워를 포함하되; 상기 격납타워는 상기 헬리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헬리콥터의 정비,점검을 할 수 있도록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층 이상의 격납고; 및 상기 헬리데크와 상기 적어도 한 층 이상의 격납고 간의 헬리콥터 운반을 위한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헬리콥터 운반선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납타워는 상기 상갑판으로 통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갑판에 적치된 헬리콥터를 바람과 파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선체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사이드 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방벽은 헬리콥터의 이륙시 상기 상갑판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방벽은 내부 공간을 갖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밸라스트수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방벽은 복수개의 개별 블록들로 구획되고 각각의 개별 블록들은 개별적으로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는 사이드 외측면에 상기 사이드 방벽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상에서 언제든지 헬리콥터 이착륙이 가능하고 정검 및 수리가 가능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선체의 상갑판에서 헬리콥터 이륙이 가능한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콥터가 적치되는 상갑판의 적치 공간을 바람 및 파도의 영향으로부터 최소화하여 해상에서 안전하게 헬리콥터 운용에 관련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운반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리콥터 운반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헬리콥터 운반선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격납 타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는 사이드 방벽이 상승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사이드 방벽이 하강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헬리콥터 운반선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운반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리콥터 운반선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헬리콥터 운반선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 운반선(10)은 선체(100), 격납 타워(200) 그리고 사이드 방벽(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0)는 선수부(갑판실 및 선교 그리고 격납타워)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헬리콥터(20)가 적치될 수 있는 상갑판(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갑판(110)의 양사이드에는 헬리콥터(20)가 안착할 수 있는 헬기 적치 영역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갑판(110)의 아래에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도면 편의상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체(100)의 상갑판(110)은 선체 데크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격납 타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4a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면, 격납 타워(200)는 선체(100)의 선수부에 위치한 선교 및 갑판실(1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격납 타워(200)는 격납고(220)와 헬리데크(210) 그리고 엘리베이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헬리데크(210)는 헬리콥터(20)의 이착륙이 용이하도록 격납 타워(200)의 옥상에 위치된다.
격납고(220)는 헬리데크(210) 아래에 위치되고, 헬리콥터(20)의 정비 및 점검을 할 수 있도록 외부와 격리된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격납 타워(200)에서 격납고(220)는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격납고(220)는 1층 격납고(220a)와 2층 격납고(220b)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엘리베이터(240)는 헬리데크(210)와 제1,2격납고(220a,220b) 간의 헬리콥터 운반을 위해 제공된다. 엘리베이터(240)는 승강 플레이트(242)와, 승강 플레이트(242)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강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242)는 1대의 헬리콥터(20)가 위치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헬리데크(210)에는 승강 플레이트(242)가 위치될 수 있도록 제1오프닝(212)이 제공되며, 제2 격납고(220b)에는 동일한 위치에 제2오프닝(222)이 제공된다.
헬리데크(210)에 착륙한 헬리콥터(20)는 엘리베이터(240)를 통해 제1 격납고(220a) 또는 제2격납고(220b)로 이동될 수 있으며, 격납고(220)에서 정비 및 점검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 격납고(220)에서 정비 및 점검이 끝난 헬리콥터(20)는 격납 타워(200)의 제1 격납고(220a)에 형성된 출입문(202)을 통해 선체(100)의 상갑판(110)으로 옮겨질 수 있다.
사이드 방벽(300)은 상갑판(110)에 적치된 헬리콥터(20)를 바람과 파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선체(100)의 사이드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이드 방벽(300)의 높이는 헬리콥터보다 높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사이드 방벽이 상승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b는 사이드 방벽이 하강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헬리콥터 운반선(10)은 헬리콥터(20)가 상갑판(110)에서 바로 이륙할 수 있도록 사이드 방벽(300)이 상갑판(110) 높이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체(100)는 사이드 외측면에 사이드 방벽(300)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 장치(18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이드 방벽(300)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 장치(18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Linear Motor) 등의 다양한 승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방벽(300)은 내부 공간(310)을 갖는다. 내부 공간(310)에는 필요에 따라 밸라스트수가 채워질 수 있다. 밸라스트수는 사이드 방벽이 도 5b와 같이 하강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310)에 채워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헬리콥터 운반선은 헬리콥터 급유를 위한 급유장치를 갖는다.
도 6은 헬리콥터 운반선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헬리콥터 운반선은 헬리콥터 운반선(10a)은 선체(100), 격납 타워(200) 그리고 사이드 방벽(30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1에 도시된 헬리콥터 운반선(10)과 대체로 유사한 구성과 기능으로 제공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변형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변형예에서, 사이드 방벽(300a)은 복수개의 개별 블록들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별 블록들은 개별적으로 승하강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륙하고자 하는 헬리콥터와 가장 인접한 사이드 방벽(300a)만 하강이동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선체 200 : 격납 타워
300 : 사이드 방벽

Claims (7)

  1. 헬리콥터가 적치될 수 있는 상갑판을 갖는 선체;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고 상부에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헬리데크를 구비된 격납 타워를 포함하되;
    상기 격납타워는
    상기 헬리데크 아래에 위치되고, 헬리콥터의 정비,점검을 할 수 있도록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한 층 이상의 격납고; 및
    상기 헬리데크와 상기 적어도 한 층 이상의 격납고 간의 헬리콥터 운반을 위한 엘리베이터;
    상기 상갑판에 적치된 헬리콥터를 바람과 파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선체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사이드 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방벽은 헬리콥터의 이륙시 상기 상갑판 아래로 하강되고,
    내부 공간을 갖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밸라스트수가 채워지되;
    밸라스트수는 상기 사이드 방벽(300)이 상기 상갑판 아래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헬리콥터 운반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타워는
    상기 상갑판으로 통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는 헬리콥터 운반선.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방벽은
    복수개의 개별 블록들로 구획되고 각각의 개별 블록들은 개별적으로 승하강 가능한 헬리콥터 운반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사이드 외측면에 상기 사이드 방벽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 레일이 제공되는 헬리콥터 운반선.
KR1020180010059A 2018-01-26 2018-01-26 헬리콥터 운반선 KR10211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59A KR102116530B1 (ko) 2018-01-26 2018-01-26 헬리콥터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59A KR102116530B1 (ko) 2018-01-26 2018-01-26 헬리콥터 운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74A KR20190091074A (ko) 2019-08-05
KR102116530B1 true KR102116530B1 (ko) 2020-05-29

Family

ID=6761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059A KR102116530B1 (ko) 2018-01-26 2018-01-26 헬리콥터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5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59224A (en) * 1979-12-14 1984-01-31 Israel Aircraft Ind Ltd Shipboard landing pad and hangar for helicopters
JPS61148793U (ko) * 1985-03-08 1986-09-13
KR101139781B1 (ko) * 2009-07-31 2012-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데크 하우스
KR101613219B1 (ko) * 2014-07-30 2016-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74A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3683B (zh) 海上管及立管处理钻探船
JP5639557B2 (ja) 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用船舶並びに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方法
KR20170113592A (ko) 연안 자재취급 시스템 및 자재취급 방법
US8858149B2 (en) Remote docking port
KR10173187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경사시험 방법
CN103619701A (zh) 包括月池和提升装置的船以及将物品下降入海的方法
JP2020522429A (ja) 進水方法
KR102116530B1 (ko) 헬리콥터 운반선
CN106043607A (zh) 固定码头自适应登船舷梯
KR102439924B1 (ko) 갑판 호이스트 트랙터, 구조 슈트 및 토트 탱크
GB2105392A (en) Docking facilities associated with off-shore installations
KR200489086Y1 (ko) 헬리 데크
EP3885192A1 (en) Method of loading wind turbine components to a maritime vessel
US20140072371A1 (en) Platform deck installation and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CN118043522A (zh) 用于风力涡轮机或其部件的海上布置的装置和方法
KR200481469Y1 (ko)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732616B1 (ko) 승선 시스템
KR101964835B1 (ko) 해양구조물 진수 설비 및 해양구조물 진수 방법
US20160040383A1 (en) Floating system integration methodology
KR101534236B1 (ko) 자기 승강식 시추선의 지지기둥 탑재 방법
KR101613215B1 (ko) 시추 작업용 해양 구조물
KR10226024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101628868B1 (ko) 세미 리그의 리트렉터블 스러스터 시스템
CN110775204A (zh) 一种船用货物提升装置及安装方法
KR20130021925A (ko) 분출방지장치 테스트 장비를 보관하는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