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90B1 -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90B1
KR102116390B1 KR1020170134026A KR20170134026A KR102116390B1 KR 102116390 B1 KR102116390 B1 KR 102116390B1 KR 1020170134026 A KR1020170134026 A KR 1020170134026A KR 20170134026 A KR20170134026 A KR 20170134026A KR 102116390 B1 KR102116390 B1 KR 102116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sop
mission
disaster
disaster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783A (ko
Inventor
박남희
여욱현
Original Assignee
㈜유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엔이 filed Critical ㈜유엔이
Priority to KR102017013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재난의 발생위치와 재난종류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생성한 상기 훈련 신을 시뮬레이션 하여 훈련자가 상기 훈련 신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수행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Disaster Countermeasures Training method capable to make training scen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전자화된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를 이용하여 재난대응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SOP라 함은 넓게는 일의 순서나 과정 등으로 어떤 프로세스 혹은 작업을 처리하는데 품질을 보증할 수 있도록 단계 및 각 단계별로 하여야 할 행동을 정리 혹은 규정해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좁게는 재난현장에서 재난관련 기관 간 일사불란한 대응활동을 위해 사전에 미리 정한 업무절차, 재난신고 단계부터 현장출동, 대응활동 및 긴급복구에 걸쳐 재난대응기관 간의 대응절차를 규정한 것을 SOP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SOP는 재난뿐만 아니라, 복수의 인력들이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직 또는 기관이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기 위해 규정한 일련의 대응절차를 의미한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재난일 수도 있고, 긴급상황, 위급상황 등 또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소정의 상황 등 다양한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SOP를 관리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로 종이문서로 일일이 각각의 대응단계 또는 단계별 행동절차 등을 규정하여 왔다. 하지만, 이처럼 종이문서로 SOP를 관리하는 경우, 방대한 양의 SOP 정보를 일일이 종이문서로 프린트 아웃(예컨대, 임무수첩 등)한 후 이를 소지하고 있도록, 각 요원들이 방대한 양의 SOP 또는 자신에 해당하는 SOP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OP를 전자문서화 또는 DB화하여 자동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시도가 존재하였고, 그러한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10-2011-0099905)가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한국공개특허는 SOP를 전자문서화하고, 이를 통해 재난의 발생시에 재난 유형에 따라 유관기관에 효율적으로 상황전파를 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매우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하지만, 재난 상황에서는 수 많은 돌발 요인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서로 다른 대응절차를 수행해야 하므로 재난 상황에 대한 대응절차는 매우 복잡하고 방대할 수 밖에 없어 종래와 같이 단순히 SOP를 전자문서화하여 관리하는 경우에도 일일이 각종 돌발 요인이나 상황에 따른 대응 절차를 신속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재난 상황에 대한 일련의 대응절차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513983호, "SOP 시나리오 구동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이하 '이전특허')에 대해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본 출원인의 이전특허는 실제 SOP 시나리오가 구동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임무가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SOP 시나리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훈련하고자 할 경우에 얼마나 효율적이고 타게팅된 훈련이 가능할지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남은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난과 같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수행하여야 할 대응 절차를 플로우차트 형태로 가시화하고, 이러한 가시화된 플로우 차트와 훈련을 연계하여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상의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미션들을 포함하는 훈련 신을 생성하고, 생성한 훈련 신을 이용하여 훈련을 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필요한 훈련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은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재난의 발생위치와 재난종류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생성한 상기 훈련 신을 시뮬레이션 하여 훈련자가 상기 훈련 신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수행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발생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영향영역내의 객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생성한 후보 훈련미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훈련미션으로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발생위치와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대응 SOP를 SOP DB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탐색된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은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관리대상 사이트(site)들 중 어느 하나의 사이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선택받은 상기 사이트에 상응하는 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영상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트 내의 특정 위치를 상기 발생위치로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탐색된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대응 SOP에 기재된 컨텍스트에 따라 훈련미션에 이용될 컴포넌트(component)와 상기 컴포넌트를 통해 취해야할 액션(action)을 특정하여 상기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은 SOP 컨텍스트에 기재된 SOP 훈련미션 및 복수의 SOP 훈련미션들 간에 이루어져야 할 연결 훈련미션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훈련미션은 상기 복수의 SOP 훈련미션들 각각의 훈련위치들 간의 경로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은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훈련자에 의해 수행된 훈련의 훈련 수행 데이터-상기 훈련수행 데이터는 훈련 미션별 소요시간, 훈련 미션별 실패율, 훈련 신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수집한 상기 훈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미션 또는 상기 훈련 신의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은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재난의 발생위치와 재난종류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발생위치와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대응 SOP를 SOP DB에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탐색된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은 기록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재난의 발생위치와 재난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훈련 생성모듈 및 생성한 상기 훈련 신을 시뮬레이션 하여 훈련자가 상기 훈련 신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수행토록 하는 훈련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상기 발생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재난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영향영역내의 객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고, 생성한 후보 훈련미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훈련미션으로 특정할 수 있다.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상기 발생위치와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대응 SOP를 SOP DB에서 탐색하고, 탐색된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상기 대응 SOP에 기재된 컨텍스트에 따라 훈련미션에 이용될 컴포넌트(component)와 상기 컴포넌트를 통해 취해야할 액션(action)을 특정하여 상기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훈련모듈은 훈련자에 의해 수행된 훈련의 훈련 수행 데이터-상기 훈련수행 데이터는 훈련 미션별 소요시간, 훈련 미션별 실패율, 훈련 신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집하고,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수집한 상기 훈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미션 또는 상기 훈련 신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시스템은 SOP DB 및 훈련 생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재난의 발생위치와 재난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생위치와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대응 SOP를 SOP DB에서 탐색하고, 탐색된 대응 SOP에 상응하는 상기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표준대응절차에 따라 SOP 시나리오가 구동되는 상황뿐만 아니라,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임무 수행자들 또는 장비들이 훈련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자화된 SOP 시나리오를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훈련의 효율과 직관적인 관제를 위해, SOP 플로우차트를 훈련의 선택에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SOP 시나리오 중에서 훈련을 위한 SOP를 항상 상기 SOP 시나리오의 최초로부터 시작하지 않아도 임의의 시점에서 훈련을 시작하더라도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SOP 시나리오 상에서 관리자가 원하는 임무 수행자 및/또는 장비를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훈련을 생성하고 이를 집중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생성되는 훈련은 가상현실을 이용해 보다 실감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훈련미션을 생성할 때 SOP와 연계된 훈련미션이 용이하게 생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각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플로우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이벤트에 대한 대응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플로우차트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의 형태가 변경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조직간의 대응 절차를 연결하는 링크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SOP 시나리오 간의 대응 절차를 연결하는 전환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SOP가 그룹으로 묶인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에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훈련모드를 지원하는 재난대응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OP 시나리오의 구체적인 일 예 및 각각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재난대응 훈련이 제어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상 시나리오가 생성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을 위한 센서 데이터가 시뮬레이션 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훈련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하나로 동작될 수 있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 신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미션이 SOP와 연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훈련 신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SOP를 규정하고 수행하는 소정의 기관(또는 조직)이 운영하는 시스템(예컨대, 상황실 또는 관제실 서버 등)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화재나 오염물질 유출과 같은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SOP 시나리오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에 수행되어야 할 SOP에 규정된 각각의 대응 단계 및 대응단계별 행동 및/또는 절차(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단위 SOP'라고 정의하기로 함)에 관한 정보 및 각 단위 SOP간의 선후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위 SOP는 선후관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후행 단위 SOP가 수행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OP 시나리오는 파일의 형태로 소정의 DB(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SOP 시나리오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의 파일일 수 있다. SOP 시나리오가 저장되는 파일의 형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어떠한 형식이든 상기 SOP 시나리오는 전자화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이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상기 SOP 시나리오 파일을 해석하고, 상기 SOP 시나리오에서 정의한 소정의 절차 혹은 기능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담당자의 구동 명령에 의해 소정의 SOP 시나리오를 구동할 수도 있지만, 화재 탐지 센서나 오염물 탐지 센서와 같은 소정의 탐지 장치(미도시)로부터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별도의 명령이 없이도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SOP 시나리오를 진행하는 중에, 이벤트 발생 구역(200)에서 단위 SOP를 수행하여야 할 임무요원들의 단말(예를 들면, 210)과 통신하여, 임무요원들이 수행하여야 할 임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임무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상기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구역(200) 혹은 상기 이벤트에 대응해야 할 기관 내에 설치된 소정의 내부방송설비(150)를 통해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상기 이벤트의 대응에 협조하여야 하는 외부 기관(300; 예를 들면, 재난의 종류에 따라, 소방방재청, 경찰청, 시청 등)의 미리 정해진 장치(예컨대, 신고를 수신하는 장치 등) 및/또는 담당자의 단말(310)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상기 SOP를 운영하는 기관의 소정의 서버에 설치되거나, 상기 서버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을 위한 물리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일반(관제)모드와 훈련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관제)모드는 실제로 소정의 기관 또는 모니터링 지역에 설치된 센서 및 기타 관제 설비(CCTV, 마이크 등)를 통해 실질적으로 관제 및/또는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실제로 재난의 발생을 대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훈련모드는 가상의 이벤트(재난상황)을 가정하여 해당 이벤트에 부합하는 SOP 시나리오를 모의로 수행해볼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이 제공하는 훈련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은 SOP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훈련이 수행된다고 함은, SOP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훈련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SOP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훈련의 시작시점(시작할 단위 SOP) 및/또는 종료시점(종료할 단위 SOP), 훈련의 대상자, 및/는 훈련에 참여할 장비를 특정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단순히 어느 하나의 SOP 시나리오를 처음부터 끝까지 훈련으로써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한 임무, 임무 수행자, 또는 장비 등을 용이하게 특정하고 훈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훈련자가 수행할 훈련 신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훈련 신을 생성할 수 있다. 훈련 신은 훈련자가 수행해야할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며, 이러한 일련의 훈련미션을 통해 훈련자가 수행해야할 일종의 훈련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훈련자는 수행할 훈련 신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훈련 신이 의도하는 훈련 즉,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훈련미션은 훈련자가 수행할 단위 임무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훈련미션은 사용자가 취해야할 액션 및/또는 상기 액션을 위해 이용해야할 컴포넌트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훈련미션은 전화기라는 컴포넌트를 이용해 특정인에게 상황을 전파하는 액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다른 훈련미션은 소화기라는 컴포넌트를 이용해 소화액을 분사하는 액션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훈련 신 또는 훈련미션은 SOP와는 무관하게 관리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고, SOP와 연계되어 훈련미션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훈련미션이 자동으로 생성된다고 함은, 훈련미션을 정의하는 컴포넌트 및/또는 액션 중 적어도 일부가 자동으로 결정됨을 의미하는 것이지, 훈련미션을 정의하기 위한 모든 정보 또는 파라미터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훈련 신을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훈련 신을 이용해 훈련자가 훈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생성된 훈련 신은 실감형 또는 사실적인 훈련효과를 높이기 위해 VR 기반으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가 생성한 훈련 신을 훈련하기 위해 훈련자는 VR 장비(예컨대, 헤드마운트 또는 기타 사용자가 활용하는 장치)를 착용할 수 있고,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VR 장비에서 생성된 상기 훈련 신이 시뮬레이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모듈(110), 제어모듈(120), SOP DB(140), 훈련모듈(150), 및 훈련 생성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권한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제어모듈(120), 권한모듈(130), 훈련모듈(150), 훈련 생성모듈(160), 및/또는 SOP DB(140)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 제어모듈(120), 권한모듈(130), 훈련모듈(150), 훈련 생성모듈(160), 및/또는 SOP DB(140) 등 각각의 모듈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모듈(110), 권한모듈(130), 훈련모듈(150), 훈련 생성모듈(160), 및/또는 SOP DB(14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SOP DB(14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표준적인 대응절차를 정의한 SOP 시나리오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SOP 시나리오는 복수의 단위 SOP에 관한 정보 및 각 단위 SOP 간의 선후관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단위 SOP는 타입(속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단위 SOP의 타입은 임무 타입, 판단 타입, 내부상황전파 타입, 외부상황전파 타입, 내외부상황전파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임무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임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임무라 함은, 상기 임무를 수행할 대응요원 또는 대응팀(임무 수행자라고도 함)이 실행해야 할 행동 혹은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임무에 관한 정보는 임무의 개요, 적어도 하나의 세부 임무 내용 및 각 세부 임무를 수행하기로 지정된 대응요원 혹은 대응팀에 관한 정보, 해당 임무를 총괄하는 담당자 혹은 팀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행동, 절차뿐만 아니라, 상기 행동, 절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부가정보(예를 들면, 최단 경로, 소지품 등)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판단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건에 관한 정보는 예/아니오의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 관한 정보, 판단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단 시 참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한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조건에 관한 정보는 소정의 수치(예컨대, 센서 데이터)에 따라 진행할 SOP가 다를 경우, 상기 수치별로 진행할 후행 SO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상황전파 타입, 외부상황전파 타입, 내외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 SOP는 전파할 메시지의 내용, 전파할 대상에 관한 정보, 전파 수단(예를 들면, 사내방송을 통한 전파, SMS 메시지로 전파, FAX를 통한 전파, 전용 프로그램으로 메시지 송신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OP 시나리오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성되어 상기 SOP DB(140)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전용 SOP 시나리오 작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작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텍스트 편집기와 같은 범용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성/수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각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및 각 단위 SOP간의 선후관계를 소정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면, 상기 SOP를 통합 지휘하는 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각 단위 SOP를 플로우차트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오브젝트의 형태는 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타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그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각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임무타입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외각이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판단 타입인 경우에는 외각이 (마름모) 형태, 내부상황전파 타입인 경우에는 외곽이 (제1방향이 제2방향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 외부상황전파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2방향이 상기 제1방향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 내외부상황전파 타입인 경우에는 형일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각 단위 SOP의 타입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은 도 2와 상이할 수 있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하는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플로우차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예시는 각 오브젝트가 도 2에서 정의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상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임무 1(2), 메시지 1 전파(3)에 상응하는 단위 SOP는 완료되었으며, 임무 2(4)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진행 중인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반드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SOP 시나리오의 시작 및 끝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 14)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링크 오브젝트, 전환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물론 각각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에 대한 정보(임무 수행자, 임무의 내용, 전파 대상 등)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에 의해 소정의 단말기(예컨대, 관리자의 단말기, 관제실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현재 실전 또는 훈련에서 수행되고 있는 단위 SOP가 타 단위 SOP에 비해 구분될 수 있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련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각 오브젝트마다 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개요, 제목, 혹은 대표되는 세부임무를 디스플레이하여, 지휘자가 해당 오브젝트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임무 타입의 경우에는 해당 임무를 수행할 요원 혹은 팀에 관한 정보를 더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임무 2(4)는 임무명 이외에도 임무를 수행할 팀(팀 2)를 더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각 오브젝트를 상기 SOP 시나리오에 정의된 선후관계에 따라 지시자(예를 들면, 화살표)로 연결하여, 단위 SOP간의 선후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단위 SOP 간의 선후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하는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후행하는 단위 SOP가 수행되는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선후관계는 반드시 1:1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1:다수 혹은 다수:1의 관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무 2(4)의 후행 단위 SOP는 임무3(5) 및 메시지2의 내부전파(6)이며, 임무 7(13)의 선행 단위 SOP는 조건 1(10) 및/또는 임무 6(12)이다.
1:다수의 관계를 가지는 단위 SOP들의 경우,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되면 다수의 후행 단위가 모두 수행될 수도 있으며, 구현 예 또는 소정의 실행 설정에 따라, 다수의 후행 단위 SOP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의 단위 SOP만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1의 관계를 가지는 단위 SOP들의 경우, 모든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후행 단위 SOP가 수행될 수도 있지만, 구현 예 또는 소정의 실행 설정에 따라, 다수의 선행 단위 SOP 중 일부만 완료되는 경우에 후행 단위 SOP가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복수의 단위SOP 중 수행될 차례가 된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은 상기 SOP 시나리오가 작성될 때 각 단위 SOP 별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이 수행하는 작업 또는 상기 제어모듈(120)이 수행하는 작업 및 임무 수행자가 수행하는 작업이 해당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가 될 수 있다.
임무 타입의 단위 SOP에는 소정의 임무수행주체의 단말로 임무 메시지를 전송하는 작업 또는 소정의 내부방송설비로 상기 임무 메시지를 전파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20)은 임무 타입의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임무 타입의 단위 SOP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완료신호를 입력받거나 혹은 상기 임무 수행자의 단말로부터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대기 중인 임무 타입의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후행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의 임무 5(5)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된 경우 임무 5(9)의 테두리에 있는 원을 선택하여 해당 단위 SOP의 완료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판단 타입의 단위 SOP에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판단 타입의 단위 SOP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SOP 시나리오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에 상기 조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조건을 판단할 담당자의 단말로 상기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담당자 단말로부터의 반환신호를 기다릴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예 혹은 아니오에 해당하는 입력을 수신하거나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예 혹은 아니오에 해당하는 반환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조건이 만족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의 조건 1(10)의 테두리에 있는 두 개의 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 혹은 아니오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내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SOP는 상기 내부방송설비로 내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내부방송설비로 해당 단위 SOP에 설정된 내부전파메시지를 송출한 직후, 또는 송출하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해당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외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한 직후, 또는 출력하고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해당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내외부상황전파 타입의 단위 SOP는 소정의 내부방송설비로 내부전파메시지를 송출하고, 소정의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는 작업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모듈(120)은 외부단말로 외부전파메시지를 출력하고 내부 전파메시지를 송출한 직후, 또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해당 단위 SOP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20)은 작업이 수행된 상기 단위SOP가 완료되는 경우 각 단위SOP 간의 선후관계에 기초하여 다음에 수행될 단위SOP를 결정하고, 이를 수행하는 과정을 SOP 시나리오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한편, 각 오브젝트는 그에 상응하는 각 단위 SOP의 수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행 상태는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기 이전 상태인 '수행 전' 상태,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었으나 아직 그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되기 전인 '진행 중' 상태 또는 '완료된' 상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더 많은 종류의 수행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되지 않고 다음 단위 SOP로 '건너 뛴' 상태 등이 있을 수 있다.
각 단위 SOP의 상태는 상기 SOP 시나리오가 진행됨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각 단위 SOP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을 변경하거나 오브젝트에 해당 상태에 상응하는 특수한 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SOP가 실행되기 전에는 도 3의 임무 4(7)나 메시지 3 외부전파(8)와 같이 오브젝트의 바탕을 투명/하얀색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단위 SOP가 실행 중인 경우에는 도 3의 임무 2(4)와 같이 테두리가 두꺼운 시각적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도 3의 메시지 1전파(3)와 같이 이미 완료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배경이 소정의 색깔(혹은 패턴)로 채워진 시각적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상기 SOP 시나리오가 진행됨에 따라 각 오브젝트를 연결하는 화살표의 형태도 변경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이벤트에 대한 대응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이 플로우차트에 포함된 각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의 메시지1 전파(3)부터 임무4(7)까지의 오브젝트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4(a)는 메시지1 전파(3)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된 후에 임무 2(4)에 설정된 작업이 수행되고, 임무2(4)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완료를 기다리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와 같은 상황에서, 임무 2(4)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20)은 후행 단위 SOP인 임무 3(5)에 상응하는 단위 SOP 및 메시지2 전파(6)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수행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을 제1변형모양으로 변경하거나 소정의 제1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데, 그 예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무3(5-1) 및 메시지2전파(6-1)의 테두리를 두꺼운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수행된 단위 SOP가 완료되면, 완료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의 모양을 제2 변형모양으로 변경하거나 소정의 제2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무2(4-1)의 배경을 소정의 색깔(혹은 패턴)로 채운 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이후, 도 4(b)의 임무3(5-1)에 상응하는 단위 SOP 및 메시지2전파(6-1)에 상응하는 단위 SOP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후행 단위 SOP인 임무 4(7)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 3(5-2) 및 메시지2전파(6-2)의 배경을 변경하고, 수행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4(7-1)의 테두리를 두꺼운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오브젝트의 테두리를 변경하거나, 배경을 변경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경 전의 오브젝트와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변형도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SOP 절차를 플로우차트의 형태로 가시화하며, 추후 수행되어야 할 임무나 현재 진행 중인 임무를 시각적으로 달리 표현하므로 임무를 총괄하는 담당자나 임무수행자들이 복잡한 SOP 절차를 용이하게 이해하고, 신속하게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급박한 돌발 상황이 발생하거나 혹은 다른 요인에 의해 순서상으로 아직 수행될 차례가 되지 않은 단위 SOP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서 정의된 순서에 따라 실행될 차례가 된 단위 SOP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한 단위 SOP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20)은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단위 SOP 각각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고, 선택된 상기 단위 SOP가 완료되는 경우 각 단위 SOP 간의 선후관계에 기초하여 다음에 수행될 단위 SOP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2차 대응(9)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20)은 2차대응(9)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행되는 모든 단위 SOP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어 시작(1)부터 소방서지원요청(8)까지의 모든 오브젝트의 배경이 변경되고, 2차 대응(9)의 테두리가 두껍게 시각적 효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반면, 구현 예에 따라 복수의 단위 SOP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 3의 상태에서 2차 대응(9)에 테두리가 두껍게 되는 시각적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하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지휘자가 적합한 단위 SOP를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나의 SOP 시나리오 상의 절차는 여러 개의 조직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OP 시나리오의 절차 중 일부는 제1조직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며, 나머지 일부는 제2조직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OP 시나리오에는 서로 다른 조직간의 대응절차를 연결하기 위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조직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조직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표현하는 위한 링크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예시에서와 같이 링크 오브젝트는 (원형)의 형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5는 제1조직에서 진행할 제1SOP절차(412-1), 제2조직에서 진행할 제2SOP절차(412-2)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SOP절차(412-1) 및 제2SOP절차에 포함된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생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절차(412-1)에 포함된 소정의 선행 단위 SOP와 제2SOP절차(412-2)에 포함된 소정의 후행 단위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링크 오브젝트(413, 414)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 절차에 포함된 선행 단위 SOP와 링크 오브젝트(413)을 연결하는 지시선, 링크 오브젝트(413), 링크 오브젝트(414)를 연결하는 지시선 및 링크 오브젝트(414)와 후행 단위 SOP를 연결하는 지시선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서로 다른 조직에서 수행될 선행 단위 SOP와 후행 단위 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20)은 제1SOP절차(412-1)에 포함된 상기 선행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제2SOP절차(412-2)에 포함된 상기 후행 단위SOP를 다음에 수행될 단위SOP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단위 SOP에 상응하는 SOP 절차 및 상기 현재 진행 중인SOP절차와 연결된 링크 오브젝트(413)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상기 제1SOP절차(412-1)가 진행 중인 경우, 제1SOP절차(412-1) 및 링크 오브젝트(413)만을 디스플레이하고, 링크 오브젝트(414), 제2SOP절차(412-2)는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절차가 계속 진행되어 링크 오브젝트(413)과 연결된 상기 제1SOP절차(412-1) 내의 단위 SOP가 완료되어, 링크 오브젝트(414)와 연결된 상기 제2SOP절차(412-2) 내의 단위SOP가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SOP절차인 제2SOP절차(412-2) 및 이와 연결된 링크 오브젝트(41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염 등으로 인해 2차 피해, 예를 들면, 오염물 유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SOP 시나리오는 다른 SOP 시나리오와 연동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특정 SOP 시나리오에는 타 SOP 시나리오와의 연결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SOP 시나리오 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SOP 시나리오 간의 대응절차의 연결을 표현하는 전환 오브젝트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예에서와 같이 전환 오브젝트는 형태의 외곽을 가지는 도형으로 표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6은 제1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SOP시나리오(410) 및 제2이벤트에 상응하는 제2SOP시나리오(420)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SOP시나리오(410) 및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는 생략되고, 간략히 박스형태(412, 422)로 표현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시나리오(410)에 포함된 소정의 선행 단위 SOP와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소정의 후행 단위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전환 오브젝트(417)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1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선행 단위 SOP와 전환 오브젝트(417)을 연결하는 지시선, 전환 오브젝트(417), 전환 오브젝트(421)를 연결하는 지시선 및 전환 오브젝트(421)와 후행 단위 SOP를 연결하는 지시선을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서로 다른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선행 단위 SOP와 후행 단위 SOP간의 연결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20)은 제1SOP시나리오(410)에 포함된 상기 선행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상기 후행 단위SOP를 다음에 수행될 단위SOP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6과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단위 SOP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및 상기 현재 진행 중인SOP시나리오와 연결된 전환 오브젝트(417)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상기 제1SOP시나리오(410)가 진행 중인 경우, 제1SOP시나리오(410)에 포함된 단위SOP 및 전환 오브젝트(417)만을 디스플레이하고, 전환 오브젝트(421) 및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단위 SOP는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절차가 계속 진행되어 전환 오브젝트(417)와 연결된 상기 제1SOP시나리오(420) 내의 선행 단위 SOP가 완료되어, 전환 오브젝트(421)와 연결된 상기 제2SOP시나리오(420) 내의 후행 단위SOP가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진행 중인 SOP시나리오인 제2SOP시나리오(420)에 포함된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및 이와 연결된 전환 오브젝트(42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SOP 시나리오가 매우 많은 수의 단위SOP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또는 여러 조직에서 해당 SOP 시나리오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SOP 시나리오가 매우 복잡하고 방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재에 대응되는 SOP 시나리오가 유류화재, 전기화재, 일반화재와 같은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재에 대한 절차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처럼 하나의 SOP 시나리오에 많은 수의 단위 SOP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SOP를 한꺼번에 디스플레이 하게 되면 해당 SOP 시나리오를 파악하고 추적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 SOP 중 일부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그룹SOP의 경우, 상기 그룹 SOP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전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이를 간략화하여 하나의 그룹 오브젝트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SOP가 그룹으로 묶인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에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단위SOP들이 3 개의 그룹(510 내지 530)으로 묶여 있다.
상기 SOP 시나리오가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모든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SOP 시나리오가 구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그룹(510)에 속하는 단위 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나머지 그룹(520, 530)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디스플레이하는 대신 상기 나머지 그룹에 상응하는 그룹 오브젝트(521, 52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룹 오브젝트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 같은 모양을 가질 수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서는 다른 모양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 그룹에 포함된 모든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호칭하고, 특정 그룹의 단위SOP에 상응하는 오브젝트 대신 그룹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호칭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접힘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단위 SOP의 그룹을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펼침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그룹 오브젝트를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SOP 시나리오가 다수의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현재 수행 중인 단위 SOP가 포함된 그룹만을 펼침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그룹은 접힘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명시적인 펼침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그룹을 펼침형태로 디스플레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SOP 시나리오를 동시에 두 단말이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재난 상황에 지휘를 총괄하는 담당자가 부재중인 경우, 후순위 담당자 혹은 임시 담당자가 상기 재난 상황을 임시로 지휘하기 위하여, 상기 SOP 시나리오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후 총괄 담당자가 복귀하여 동일한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단말에서 동일한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는 경우, 모든 단말에서 임무 지시가 내려지게 되면, 임무수행자는 혼란을 겪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권한모듈(130)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하거나 반환할 수 있다. 상기 권한모듈(130)은 상기 SOP 시나리오를 구동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제어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로 제어권한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단말에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제어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한모듈은 다른 단말이 제어권한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승인함으로써 가지고 있던 제어권한을 반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한모듈(130)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에, 상기 제어모듈(120)이 단위SOP에 설정된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권한모듈(130)이 제어권한을 획득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20)은 단위 SOP에 설정된 작업의 수행을 수행할 수 없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0)은 제어권한이 없는 경우라도 상술한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어권한이 없는 단말에서도 SOP 시나리오의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실제로 특정 시설이나 설비를 관제하고 재난에 대응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재난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재난에 따른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훈련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훈련모듈(150)은 임무 프로세스의 대응훈련이 수행되도록 상기 임무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현장 기기(예컨대, 현장에 구비된 기기, 임무 수행자의 단말기 등), 관제 기기(관제실에 구비된 서버, 컴퓨터, 센서, 기타 관제를 위해 필요한 설비 등), 또는 훈련용 장비(예컨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장치, 착용형 센서, 기타 훈련미션을 수행하기 적합한 장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즉, 상기 훈련모듈(150)은 훈련모드에서 소정의 단위 SOP 하나 또는 복수의 단위 SOP들 각각에 상응하는 임무가 수행되도록 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SOP단위의 훈련이 아니라 관리자가 생성한 훈련 신 단위로 훈련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장기기를 시뮬레이션한다고 함은, 실제 상황에서 현장 기기에 전송되는 정보 또는 수신될 정보를 훈련모드에서도 전송 또는 수신함을 의미할 수 있다. 관제기기를 시뮬레이션 한다고 함은 실제 상황에서 관제기기가 수행하여야 할 동작을 훈련모드에서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훈련모듈(150)은 임무 프로세스 즉, 적어도 하나의 단위 SOP들에 대응되는 일련의 임무를 훈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임무 프로세스는 특정 SOP 시나리오의 전체일 수도 있지만, 그 중 선택된 일부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임무 프로세스는 제어모듈(120)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또는 훈련모듈(150)은 훈련 신 단위로 훈련자가 임무를 훈련할 수 있도록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따.
제어모듈(120)은 임무 프로세스를 특정하기 위해 소정의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제3단위 SOP에 상응하는 제3오브젝트(O3)가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된 오브젝트를 선택 오브젝트로 정의하기로 한다.
선택 오브젝트는 관리장에 의해 선택받을 수도 있고, 소정의 규칙에 의해 디폴트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20)은 관리자의 단말기 SOP 플로우 차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러면 선택받은 오브젝트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선택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모듈(12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20)은 SOP 시나리오의 처음 단위 SOP를 자동으로 선택 오브젝트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임무 프로세스가 선택 오브젝트부터 최후 단위 SOP까지에 포함된 단위 SOP들을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120)이 특정 SOP 시나리오 전체를 훈련하고자 할 때는 처음 단위 SOP를 자동으로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황(예컨대, 기온, 습도 등의 환경상황, 또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는 소정의 정보 등의 컨텍스트)에 따라 소정의 기준을 통해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룰이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룰을 통해 컨텍스트에 적응적으로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할 수도 있다.
선택 오브젝트가 특정되면, 임무 프로세스는 상기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위 SOP에 상응하는 임무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 하나만이 상기 임무 프로세스로 정의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부터 해당 SOP 시나리오의 최종 단위 SOP까지가 임무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SOP들로 정의될 수 있다.
이처럼 임무 프로세스가 특정되면, 임무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SOP의 임무가 훈련모듈(150)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결국, 훈련모드에서는 실제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 발생되는 특정 이벤트(예컨대, 오염물질의 유출이 감지, 특정 물질의 농도가 기준값이상 센싱, 화재 발견 등)의 발생을 가정하고, 가정되는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에 수행될 SOP 시나리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 및 단위 SOP들 각각의 임무수행자가 실제로 수행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훈련모드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훈련모드를 지원하는 재난대응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시스템(1000)은 훈련모드 또는 일반(관제)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관제)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아니라 재난대응 시스템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훈련모드 뿐만 아니라 일반(관제)모드로도 동작하는 상기 시스템(1000)을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훈련모드로 동작하거나 일반(관제)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현재 자신이 훈련모드인지 일반(관제)모드인지를 소정의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훈련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하나로 동작될 수 있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소정의 UI를 통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의 모드(예컨대, 훈련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3에서는 우측에 SOP 시나리오가 플로우 차트 형태가 아니라 설명형태로 도시되고 있으며, 좌측에는 재난 또는 훈련과 관련된 시설물의 이미지 정보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붉은색으로 표시된 단위 SOP(예컨대, 1. 단위 SOP)가 현재 훈련이 진행되고 있는 단위 SOP일 수 있다. 하지만 훈련모드에 상응하는 SOP 시나리오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달리 SOP 플로우 차트 형태로 도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해당 SOP 플로우 차트 중에서 현재 진행중인 단위 SOP가 타 단위 SOP와는 차별되게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대응 훈련은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SOP 플로우 차트에 기반하여 재난대응 훈련이 수행된다고 함은, 수행될 훈련이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특정되거나 훈련할 임무 수행자 또는 장비가 상기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특정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수행될 임무, 임무수행자, 장비가 특정되도록 하는 경우 매우 효과적으로 관리자가 훈련할 내용이나, 훈련할 사람, 장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SOP 플로우 차트는 전체 SOP 시나리오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툴이며, 실제로 재난대응을 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취약하기 쉬울 것으로 예측되는 단위 SOP를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 예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OP 시나리오의 구체적인 일 예 및 각각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재난대응 훈련이 제어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SOP 시나리오(예컨대, 화재발생시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SOP 플로우 차트가 관리자의 단말기(또는 관제장비 등)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OP 플로우 차트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오브젝트들(예컨대, O1 내지 O10)이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1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오브젝트들(예컨대, O1 내지 O10) 각각에 상응하는 임무에 대한 정보(에컨대, SOP1 내지 SOP1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소정의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OP 플로우 차트의 세 번째 오브젝트인 제3단위 SOP에 해당하는 오브젝트(예컨대, O3)를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20)이 선택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선택받거나 또는 디폴트(예컨대, SOP 시나리오의 최초 단위 SOP)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컨텍스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컨텍스트는 어떤 단위 SOP를 훈련할지를 결정하는데 적합한 다양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온, 습도 등 외부의 자연환경 상황이 제1기준에 해당하면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 단위 SOP부터 훈련을 수행하고, 제2기준에 해당하면 상기 특정 SOP 시나리오 또는 타 SOP 시나리오의 3번째 단위 SOP부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자연환경이 제1기준에 해당하면 소정의 SOP 시나리오에서 소정의 제1임무 수행자들(예컨대, 특정 설비의 근무자들, 특정 직급 또는 직책을 맡고 있는 임무 수행자들)에게 임무가 부여된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고, 제2기준에 해당하면 제2임무 수행자들에게 임무가 부여된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다. 물론, 특정되는 선택 오브젝트가 복수일 경우, 그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최종적으로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상황이 제1기준에 해당하면, 소정의 제1설비 또는 훈련장비(현장기기, 센서, 또는 관제설비 등과 같이 훈련에 사용되는 장비)가 운영되는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고, 제2기준에 해당하면, 소정의 제2설비가 운영되는 단위 SOP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모듈(120)은 명시적으로 소정의 임무수행자(예컨대, 제1임무 수행자) 또는 설비(예컨대, 제1설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임무수행자 또는 설비가 특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SOP DB(140)에 저장된 SOP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된 임무 수행자 또는 설비에 상응하는 단위 SOP를 추출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SOP들이 추출된 경우에는,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또는 일정 기준에 의해 추출된 단위 SOP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 오브젝트로 결정될 수 있다.
선택 오브젝트가 특정되면, 임무 프로세스가 특정될 수 있다. 임무 프로세스는 선택 오브젝트에 따라 특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 만이 임무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단위 SOP일 수도 있다. 또는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가 임무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최선행 단위 SOP이고, 최후 단위 SOP는 해당 SOP 시나리오의 마지막 단위 SOP(또는 미리 정해진 단위 SOP)로 자동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임무 프로세스에 포함된 단위 SOP 각각에 대응되는 훈련이 상기 훈련모듈(150)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훈련에 있어서도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임무가 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무, 임무 수행자, 및 장비가 효율적으로 선택되어 집중적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도 10에서와 같이 제3오브젝트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되면,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의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가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20)은 상기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를 제외한 상기 선택 오브젝트(O3) 및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하위 SOP(예컨대, O4 내지 O10)에 대응되는 임무를 상기 임무 프로세스로 특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반드시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부터 훈련을 할 필요가 없이, 임의의 위치(SOP 단계)에서부터 훈련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훈련모듈(150)은 임무 프로세스(예컨대, O3 내지 O10)에 해당하는 임무를 시뮬레이션하는 것 뿐만 아니라, 훈련에서 제외된 상기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의 임무 수행자 또는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에게 선행 단위 SOP의 임무는 어떤 것이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임무들은 수행된 것으로 가정한다는 내용이 통보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선택 오브젝트(O3)에 상응하는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가 실제로는 훈련되지 않았더라도 훈련이 되었다고 취급되는 단위 SOP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훈련이 차질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임무는 대개 연속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전에 수행되었어야할 임무들에 대한 정보를 숙지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선행 단위 SOP들(예컨대, O1 내지 O2)의 임무 수행자들에게도 해당 임무에 대한 정보 및/또는 해당 임무가 수행된 것으로 가정한다는 내용이 통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의 임무 수행자가 후행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로 다시 등장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 훈련의 진행상황을 미리 인지시켜야 실제 훈련이 특정 SOP 시나리오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시작되더라도 차질 없는 훈련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선행 단위 SOP(예컨대, O1 내지 O2) 또는 선택 오브젝트(O3)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하여야 할 정보 중에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훈련이 가정하고 있는 가정 상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할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컨대, 선행 단위 SOP들 중 판단 타입의 단위 SOP가 있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상 시나리오가 생성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모듈(120)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SOP 플로우 차트에 포함된 오브젝트들 중 빗금친 오브젝트가 선택 오브젝트로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선행 단위 SOP들 중에는 예컨대, 판단 타입(마름모 형태)의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판단 타입의 오브젝트는 특정 조건에 따라 SOP 시나리오가 상기 선택 오브젝트 또는 타 오브젝트로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판단 타입의 오브젝트는 소정의 센서의 수치가 10이하이면 왼쪽 후행 단위 SOP로 시나리오를 진행시키고, 센서의 수치가 10 초과이면 오른쪽 후행 단위 SOP 즉, 상기 선택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로 시나리오를 진행시킨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는 현재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훈련이 상기 판단 타입의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단위 SOP에서 어떠한 상황을 가정하고 진행된 것인지를 명확하게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컨대, 센서의 수치가 10 초과라는 상황이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가 알아야 할 상황일 수 있고, 또는 구체적으로 10 초과 중에서 상황(예컨대, 12 내지 13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한 것이 가정된 상황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는 현재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임무가 어떤 가정 상황에 따른 것인지 알고 있어야 보다 명확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상기 훈련모듈(150)은 가정 상황을 소정의 방식으로 특정하여 상기 선택 오브젝트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SOP 시나리오의 처음부터 훈련을 하지 않더라도 차질없고 실전과 같은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SOP 플로우 차트를 통해 훈련을 특정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훈련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을 위한 센서 데이터가 시뮬레이션 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의 대상 즉,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에 의해 관제되고 있고 재난이 발생한 경우 SOP 시나리오에 따라 재난대응이 수행될 대상 설비에는 다양한 센서(예컨대, 화학물질 감지센서, 열 감지센서 등)가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에는 상기 설비의 공간정보 및 센서들이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 센서의 종류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이 훈련모드로 동작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SOP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훈련을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센서를 원하는 상황으로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훈련을 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훈련모듈(150)은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예컨대, 화재센서들) 중 하나 이상을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특정은 관리자가 직접 센서를 선택할 수도 있고,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장치를 특정하면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장치의 화재를 센신할 수 있는 센서들이 자동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훈련모듈(150)은 특정된 센서를 통해 소정의 SOP 시나리오(예컨대, 화재발생시 SOP 시나리오)를 개시하는 센싱 이벤트(화재발생을 센싱한 이벤트)의 발생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즉, 센서를 시뮬레이션하여 훈련을 원하는 재난을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훈련모듈(150)은 실제로 특정된 센서가 센싱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수행되어야 할 SOP 시나리오가 자동으로 SOP DB(140)를 통해 특정되고, 특정된 SOP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훈련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대응훈련의 과정을 관리자가 확인하기 위해 관리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SOP 시나리오에 상응하는 SOP 플로우 차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현재 진행중인 단위 SOP에 해당하는 오브젝트는 타 오브젝트와 차별화되어 표시됨으로써 관리자가 훈련 상황을 용이하게 관찰 및/또는 통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SOP 플로우 차트를 이용해 SOP 단위로 훈련이 수행되는 것 이외에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관리자가 정의한 훈련 신 단위로 훈련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SOP와는 무관하게 관리자가 임의로 훈련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훈련 신이 생성될 수도 있고, SOP에 정의된 컨텍스트(context)에 따라 훈련 신이 생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훈련 신은 어느 하나의 단위 SOP에 포함된 특정인이 수행할 임무들 중 일부만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SOP들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임무 즉, 훈련미션이 추출되어 추출된 복수의 훈련미션들이 포함된 훈련 신이 생성될 수도 있다. 생성된 훈련 신은 실제상황과 유사한 가상의 환경에서 훈련이 수행될 수 있도록 VR 즉, 가상현실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이러한 훈련 신의 생성은 훈련 생성모듈(1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재난의 발생위치 및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훈련 신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재난의 종류(예컨대, 화재, 가스, 누전 등)와 재난이 발생한 발생위치(예컨대, 창고, 특정 시설물, 특정 장비 등)에서 수행되어야 할 적합한 임무가 적어도 하나 훈련미션으로 포함된 훈련 신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훈련 신이 생성되면, 훈련자는 상기 훈련 신을 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훈련모듈(150)은 훈련 신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훈련모듈(150)은 가상현실에서 훈련이 수행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VR 장비를 이용해 훈련자가 훈련미션들 각각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고, 훈련자의 액션이 상기 가상환경에 반영되도록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정의함으로써 훈련 신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훈련 신은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과 상기 훈련 신의 속성정보(예컨대, 달성코자 하는 목표, 기타 훈련 신의 설명을 위한 정보 등)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훈련미션은 훈련자가 수행해야할 임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미션 각각은 컴포넌트(component) 및/또는 액션(ac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컴포넌트는 필요하지 않고, 액션만으로 훈련미션이 정의될 수도 있다. 컴포넌트는 훈련미션에 이용될 사물 또는 훈련미션의 대상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액션은 훈련자가 수행해야할 행동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미션을 관리자가 일일이 정의할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이 자동으로 소정의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고 생성한 후보 훈련미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후보 훈련미션이 소정의 훈련 신에 포함될 훈련미션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이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SOP를 참조할 수도 있고, SOP를 참조하지 않고 단순히 재난종류 및 발생위치만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재난종류(예컨대, 화재) 및 발생위치(예컨대, 특정 시설물)에 따라 자동으로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한 후보 훈련미션은 해당 발생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소화기 또는 기타 장비로 이동하는 미션 및/또는 소화기 또는 기타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액션을 수행하는 액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후보 훈련미션은 발생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이하, '영향영역'이라 함)내에 어떠한 객체(예컨대, 장비, 시설물 등)이 존재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화재 발생위치 인근에 가연성 물질이 있는 창고가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훈련 생성모듈(160)이 생성하는 후보 훈련미션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훈련 생성모듈(160)은 재난의 발생위치가 특정되면, 해당 발생위치로부터 소정의 영향영역(예컨대, 100미터, 500미터 등) 내에 위치하는 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객체에 따라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향영역은 재난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화재의 경우 영향영역은 발생위치를 기준으로 100미터 내로 설정될 수 있고, 가스 등 유해물질의 누출일 경우는 상기 영향영역은 발생위치를 기준으로 1키로미터 내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재난종류 및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SOP를 활용하여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미션이 SOP와 연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에 포함된 훈련 생성모듈(160)은 재난종류 및/또는 발생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S100). 예컨대, 재난종류 및/또는 발생위치는 관리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SOP가 재난종류만으로 특정될 수 있는 경우, 재난종류만이 특정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재난이 발생하고 발생한 재난에 상응하는 SOP가 특정되기 위한 정보가 특정될 수 있고(S100), 이에 따라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SOP DB(140)를 탐색하여 대응 SOP를 추출할 수 있다(S110, S120).
그리고 탐색된 대응 SOP를 분석하여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할 수 있다(S130, S140).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은 SOP 훈련미션만일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연결 훈련미션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러면 생성된 후보 훈련미션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소정의 훈련 신에 포함될 훈련미션으로 특정될 수 있다.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대응 SOP에 포함된 컨텍스트를 분석하고, 분석한 컨텍스트로부터 컴포넌트 및 액션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한 컴포넌트 및 액션이 후보 훈련미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재난종류 및 발생위치에 따라 대응 SOP가 탐색될 수 있다. 상기 대응 SOP의 컨텍스트는 예컨대, 도 9b에 도시된 [임무]일 수 있다.
예컨대, 화재발생 알람 및 인력지원요청이라는 SOP가 대응 SOP인 경우,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화재발생 알람'이라는 컨텍스트를 통해 알람장치를 컴포넌트로 특정할 수 있고, 상기 알람장치의 구동을 액션으로 특정하여 하나의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훈련 생성모듈(160)은 '인력지원요청'이라는 컨텍스트를 통해 인력지원요청에 필요한 장치(예컨대, 전화기, 무전기 등)를 컴포넌트로 특정하고, 특정한 컴포넌트를 통한 인력요청을 액션으로 정의하여 하나의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대응 SOP의 컨텍스트로 기재된 내용에 상응하는 훈련미션을 SOP 훈련미션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SOP에 기초하여 SOP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 예에 따라서는 연결 훈련미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연결 훈련미션은 SOP의 내용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훈련 생성모듈(160)에 의해 정의되는 훈련미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예에서 '화재발생 알람'에 상응하는 제1훈련미션은 SOP 훈련미션일 수 있고, '인력지원요청' 에 상응하는 제2훈련미션 역시 SOP 훈련미션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제1훈련미션 후에 제2훈련미션을 위한 훈련자의 이동을 별개의 훈련미션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훈련미션의 경우는 SOP에는 정의되지 않았지만, 훈련자에게 매우 구체적으로 훈련미션을 부여하기 위해 정의되는 훈련미션일 수 있으며 이러한 훈련미션을 연결 훈련미션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 훈련미션은 상기의 예와 같이 서로 다른 훈련미션들 즉, SOP 훈련미션들 사이에 훈련자가 수행해야할 미션(예컨대, SOP 훈련미션들 각각이 수행되어야 할 위치들 간의 경로에 따라 수행해야 할 미션)을 정의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훈련 생성모듈(160)이 훈련 신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 신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훈련 신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우선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관리자의 단말기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는 훈련 신(시뮬레이션 신)을 생성하기 위해 훈련 신의 이름, 저장위치, 및 재난종류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훈련 신의 설명이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14에는 소정의 사이트(예컨대, '광교지사'와 같은 재난관리 대상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영역)가 미리 선택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재난관리 대상영역 중 어느 하나의 단위 영역(예컨대, 지사, 분사, 사업장 등)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러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사이트에 해당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링 정보 즉 영상정보가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관리자는 해당 영상정보를 이용해 상기 사이트 중 특정 위치를 재난의 발생위치로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인터페이스에서 2번으로 표시된 UI는 재난을 설정하기 위한 UI일 수 있고, 해당 UI를 통해 재난의 발생위치 및 기타 재난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해당 UI를 이용하여(예컨대, 드래그 앤 드랍 또는 x,y,z 좌표 값 설정) 재난발생위치(예컨대, 발화점)을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타재난속성(예컨대, 화재의 규모, 연기의 정도, 화재의 시작점과 끝나는 지점 등)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3번으로 표시된 UI는 훈련자의 상황을 설정할 수 있는 UI일 수 있다. 3번 UI를 통해 훈련자가 훈련의 시작시에 존재하는 위치 및 훈련자가 소지하고 있는 컴포넌트가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해당 UI를 영상정보에 드래그 앤 드랍하거나 x,y,z 값을 설정함으로써 훈련자의 훈련시작시에 존재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특성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컴포넌트(예컨대, 휴대전화기)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전화기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훈련자는 다른 컴포넌트를 활용하지 않고도 특정인에게 상황전파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4번으로 표시된 UI는 훈련에 이용될 컴포넌트를 설정할 수 있는 UI일 수 있다. 4번 UI를 통해 훈련자가 훈련미션에 이용할 컴포넌트의 속성(예컨대, 위치, 개수 등)가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해당 UI를 영상정보에 드래그 앤 드랍하거나 x,y,z 값을 설정함으로써 컴포넌트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의 종류(예컨대, 소방기기, 발화물 등)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5번 UI는 관리자가 직접 훈련미션을 정의하기 위한 UI일 수 있으며, 이러한 UI를 통해 훈련미션을 정의하는 일 예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훈련 생성모듈(16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일이 훈련미션의 속성(구체적 액션(임무), 컴포넌트, 수행시간, 기타 설명 등)을 정의할 수 있다.
물론, 도 20은 관리자가 일일이 훈련미션을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훈련 생성모듈(160)이 자동으로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고 이중에 적어도 하나가 훈련 신에 포함될 훈련미션으로 특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렇게 훈련미션이 정의되어 훈련 신이 정의되면, 훈련모듈(150)은 훈련자의 훈련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모듈(150)은 소정의 훈련장비(예컨대, VR 장비)를 제어하여 훈련 생성모듈(160)에 정의된 훈련 신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도 21에 상단에는 훈련자가 훈련장비(예컨대, 헤드마운트디바이스 등)를 통해 체험하는 가상환경이 도시되고 있고, 도 21의 하단에는 훈련자의 실제 훈련환경을 예시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의 훈련미션은 소정의 물건집기/전화걸기, 소화기 작동, 물건이동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훈련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훈련미션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 예컨대, 사용자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장비(또는 센스 등), 사용자의 손동작을 시뮬레이션하거나 사용자의 자세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가 상기 훈련모듈(150)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의 액션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훈련모듈(150)은 이러한 훈련 신이 훈련자에 의해 수행되면 훈련 수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훈련수행 데이터는 훈련 미션별 소요시간, 훈련 미션별 실패율, 훈련 신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훈련 신 전체 또는 개별적인 훈련미션의 훈련결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훈련수행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은 이러한 훈련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훈련 신 또는 개별적인 훈련미션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훈련미션 또는 훈련 신의 속성(예컨대, 컴포넌트 종류, 위치, 개수, 필요한 소요시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훈련수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재 정의된 훈련 신이 보다 사실적으로 또는 재난에 대처하기 보다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훈련 생성모듈(160)이 훈련 신의 속성을 변경한다고 함은, 상기 훈련 생성모듈(160)이 자동으로 훈련 신의 속성을 변경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속성의 변경을 관리자에게 추천할 수 있고, 추천에 응답하여 관리자가 승인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표준적인 대응절차를 정의한 SOP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SOP DB를 포함하며, 상기 SOP 시나리오를 구동할 수 있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훈련용 재난의 발생위치와 훈련용 재난종류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훈련용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생성한 상기 훈련 신을 시뮬레이션 하여 훈련자가 상기 훈련 신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수행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특정한 상기 훈련용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SOP 시나리오와 무관하게 상기 발생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영향영역내의 객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거나,
    상기 발생위치와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대응 SOP를 SOP DB에서 탐색하고 탐색된 대응 SOP- 대응 SOP는 상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 SOP 중 일부만에 해당하는 SOP임-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후보 훈련미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훈련미션으로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OP 시나리오에 상기 대응 SOP의 선행 단위 SO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행 단위 SOP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행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 또는 상기 대응 SOP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은,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관리대상 사이트(site)들 중 어느 하나의 사이트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선택받은 상기 사이트에 상응하는 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영상정보를 통해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트 내의 특정 위치를 상기 발생위치로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위치와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대응 SOP를 SOP DB에서 탐색하고 탐색된 대응 SOP- 대응 SOP는 상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 SOP 중 일부만에 해당하는 SOP임-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상기 대응 SOP에 기재된 컨텍스트에 따라 훈련미션에 이용될 컴포넌트(component)와 상기 컴포넌트를 통해 취해야할 액션(action)을 특정하여 상기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SOP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은,
    SOP 컨텍스트에 기재된 SOP 훈련미션; 및
    복수의 SOP 훈련미션들 간에 이루어져야 할 연결 훈련미션이 존재하는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훈련미션은,
    상기 복수의 SOP 훈련미션들 각각의 훈련위치들 간의 경로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은,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훈련자에 의해 수행된 훈련의 훈련 수행 데이터-상기 훈련수행 데이터는 훈련 미션별 소요시간, 훈련 미션별 실패율, 훈련 신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수집한 상기 훈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미션 또는 상기 훈련 신의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9. 삭제
  10.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에 있어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표준적인 대응절차를 정의한 SOP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SOP DB;
    훈련용 재난의 발생위치와 재난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재난종류 및 상기 발생위치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포함하는 훈련 신(scene)을 생성하는 훈련 생성모듈; 및
    생성한 상기 훈련 신을 시뮬레이션 하여 훈련자가 상기 훈련 신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훈련미션을 수행토록 하는 훈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상기 SOP 시나리오와 무관하게 상기 발생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영향영역내의 객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거나,
    상기 발생위치와 재난종류에 상응하는 대응 SOP를 SOP DB에서 탐색하고 탐색된 대응 SOP- 대응 SOP는 상기 SOP 시나리오에 포함된 단위 SOP 중 일부만에 해당하는 SOP임-에 상응하는 후보 훈련미션을 적어도 하나 생성하며,
    생성한 후보 훈련미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훈련미션으로 특정하며,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은,
    상기 SOP 시나리오에 상기 대응 SOP의 선행 단위 SO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행 단위 SOP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선행 단위 SOP의 임무 수행자 또는 상기 대응 SOP의 임무 수행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상기 대응 SOP에 기재된 컨텍스트에 따라 훈련미션에 이용될 컴포넌트(component)와 상기 컴포넌트를 통해 취해야할 액션(action)을 특정하여 상기 후보 훈련미션을 생성하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모듈은,
    훈련자에 의해 수행된 훈련의 훈련 수행 데이터-상기 훈련수행 데이터는 훈련 미션별 소요시간, 훈련 미션별 실패율, 훈련 신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수집하고,
    상기 훈련 생성모듈은,
    수집한 상기 훈련 수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미션 또는 상기 훈련 신의 속성을 변경하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16. 삭제
  17.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재난대응 훈련시스템이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재난대응 훈련시스템.
KR1020170134026A 2017-10-16 2017-10-16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16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26A KR102116390B1 (ko) 2017-10-16 2017-10-16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26A KR102116390B1 (ko) 2017-10-16 2017-10-16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210A Division KR20190043119A (ko) 2019-04-10 2019-04-10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783A KR20190042783A (ko) 2019-04-25
KR102116390B1 true KR102116390B1 (ko) 2020-06-01

Family

ID=6628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26A KR102116390B1 (ko) 2017-10-16 2017-10-16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86B1 (ko) 2020-08-27 2021-03-24 (주)피닉스스튜디오 상황대처훈련 시뮬레이터 및 그 시뮬레이터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39454B1 (ko) * 2020-12-09 2021-12-15 인플랩 주식회사 재난대응 교육훈련을 위한 시리어스게임 시스템
KR102459506B1 (ko) 2021-09-09 2022-10-28 (주)비피에스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60701A (ko) 2022-05-17 2023-11-24 (주)비피에스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61330A (ko) 2022-05-17 2023-11-27 (주)비피에스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448B1 (ko) * 2021-03-30 2022-05-11 ㈜유엔이 훈련 중 상황에 따른 적응적 sop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06746B1 (ko) * 2022-12-26 2023-11-29 주식회사 인터랙트 XR(extended reality) 컨텐츠를 이용한 훈련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72B1 (ko) * 2012-11-23 2013-06-19 (주)유엔이 위치기반 지능형 sop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867A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세가온 시나리오 기반 재난 대응 구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672B1 (ko) * 2012-11-23 2013-06-19 (주)유엔이 위치기반 지능형 sop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86B1 (ko) 2020-08-27 2021-03-24 (주)피닉스스튜디오 상황대처훈련 시뮬레이터 및 그 시뮬레이터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39454B1 (ko) * 2020-12-09 2021-12-15 인플랩 주식회사 재난대응 교육훈련을 위한 시리어스게임 시스템
KR102459506B1 (ko) 2021-09-09 2022-10-28 (주)비피에스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60701A (ko) 2022-05-17 2023-11-24 (주)비피에스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61330A (ko) 2022-05-17 2023-11-27 (주)비피에스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783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90B1 (ko)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US8473852B2 (en) Virtual world building operations center
Catarci et al. WORKPAD: process management and geo-collaboration help disaster response
Kim et al. Visual analytics on mobile devices for emergency response
CN108701424A (zh) 基于模拟数据的课程计划事件和模拟服务器
CN108701421A (zh) 能通过与计算设备的交互来配置课程计划的事件的模拟服务器
CN109557918A (zh) 车辆的控制方法、装置、设备、车辆及存储介质
Khanal et al.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n the disaster management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of the past 11 years
KR102020063B1 (ko) 지능형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69980B1 (ko) 재난 상황 전파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8701422A (zh) 能向计算设备发送表示模拟事件差异的视觉警报的模拟服务器
JP2003271048A (ja) 訓練評価装置及び訓練評価方法
JP2014174476A (ja) プラント運転訓練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13496638B (zh) 网络安全训练系统及方法
KR101513983B1 (ko) Sop 시나리오 구동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110259B1 (ko) 연계 sop 생성방법 및 그 시스템
Bharosa et al. Extracting principle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daptability during crisis response: A dynamic capability view
JP2021047625A (ja) 避難誘導装置及び避難誘導モデル学習装置
KR102589517B1 (ko) 소방활동 현장지휘체계 시뮬레이션 훈련 및 평가 시스템
KR20190043119A (ko)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037817A (zh) 三维模拟演练系统及其构建方法
KR20220147816A (ko)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US1150825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virtual reality training
Lawani et al. Designing drone game for construction site inspection
JP4301844B2 (ja) 災害対策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2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10

Effective date: 2020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