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506B1 -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506B1
KR102459506B1 KR1020210120623A KR20210120623A KR102459506B1 KR 102459506 B1 KR102459506 B1 KR 102459506B1 KR 1020210120623 A KR1020210120623 A KR 1020210120623A KR 20210120623 A KR20210120623 A KR 20210120623A KR 102459506 B1 KR102459506 B1 KR 102459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sub
trainee
information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희
김홍준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주)비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피에스 filed Critical (주)비피에스
Priority to KR1020210120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함으로써, 현장 경찰관 등에 대한 법집행력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alistic virtual train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육 훈련 시스템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가치관이나 태도 따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짜서 이룬 조직이나 제도이다.
이러한 교육 훈련 시스템은 실제 현장 상황과 법집행 간의 부조화로 인해 현장에 배치되는 경찰관 등이 교육 훈련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범죄·사고 현장에서의 경찰의 안전이 항상 위협받고 있어, 안전사고 및 범인 피습에 대응한 현장 경찰관의 현장지원 장비 개발 및 교육·훈련 등이 필요한 상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16390호 [제목: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는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근거로 기계 학습을 각각 수행하여,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고, 훈련자별로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 전체 평가 결과 및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는, 준비 단계, 대처 단계, 사후조치 단계, 평가 수행 단계 및 평가결과 제공 단계를 포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신고 접수에 따른 신고 접수 내용 출력 정보,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 및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로 구성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 물리력 대응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 난동현장 조치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 피해자 이송 정보, 피해자 인계 정보 및 주변 조사 정보로 구성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상황 종료를 보고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건 종결에 따른 발생보고 정보 및 상황 종료 후 어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보고서 작성 정보로 구성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미리 설정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근거로 기계 학습을 각각 수행하여,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훈련자별로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 전체 평가 결과 및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에서의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대처 단계에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사후조치 단계에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미리 설정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및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또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함으로써, 현장 경찰관 등에 대한 법집행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치안 현장 대응력 및 교육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훈련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경찰관 역량 모델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핵심역량, 행동지표 및 평가준거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음성 출력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메타버스(Metaverse)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통해 다양한 훈련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또는 훈련자/학습자)가 소지한 단말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미도시), 다른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단말, 상기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된(또는 수집된) 다양한 정보 등을 상기 단말, 상기 서버 등에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60)에 의하여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작동(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작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된(또는 수집된) 다양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예를 들어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포함),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조이스틱,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미도시)와 카메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영상 회의 모드, 영상 통화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사용자의 음성(음성 신호 또는 음성 정보) 포함)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영상 통화 모드, 촬영 모드, 영상 회의 모드 등에서 이미지 센서(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코덱(CODEC)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해당 화상 데이터들을 각 규격에 맞도록 인코딩/디코딩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는 객체(또는 피사체)(사용자 영상 또는 화상 회의자)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단말, 상기 서버 등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에 포함된 조이스틱은 사용자 제어(또는 사용자 조작/작동)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조이스틱은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메뉴(또는 항목/버튼) 중에서 해당 사용자 제어에 따라 선택되는 특정 메뉴(또는 항목/버튼)에 대응하는 정보(또는 제어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또는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HMD(Head Mounted Display), 구글 글래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5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감형 콘텐츠 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정보) 등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60)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서버 등과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또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또는 전화번호), 주소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SNS 계정 정보 또는 모바일 메신저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등에 사용자로 회원 가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NS 계정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네이버, 페이코(PAYCO)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메신저 계정은 카카오톡(KakaoTalk), 라인(line), 바이버(viber), 위챗(wechat), 와츠앱(whatsapp), 텔레그램(Telegram), 스냅챗(snapchat)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제어부(160)는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 등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특정 앱)을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현재 경찰의 직무분류 및 성과평가와 교육훈련 체계를 바탕으로 현장경찰관의 직무를 분석하여, 경찰의 역량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경찰헌장과 경찰청장 취임사 및 경찰교육기관의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경찰 조직의 요구를 파악(또는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경찰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해 수집된 신문기사, 논문 등을 통해 시민의 요구를 파악(또는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분석된 정보들에 따라 도출한 현장경찰의 역량에 대해 경찰인재개발원의 교수진 및 경찰청 교육정책담당관실의 실무자로 이루어진 전문가 협의 회의에서의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이, 현장경찰의 역량에 대해서 인권존중, 현장에서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법집행 공정성 등을 확인(또는 확정/설정)한다.


기준
국민기대 경찰조직의 요구 경찰 역량
선행연구
뉴스('01~'20)
경찰
윤리헌장
경찰청장
취임사
신임경찰관
교육목표
경찰
성과측정
요소
지역
경찰

경찰
지구대
경찰
인권존중 인권 인권 인권 국민우선 인권 - - -
법집행 공정성 절차적
공정성
공정성 법과 원칙에 따른 공정 법과 원칙을 준수 법집행
공정성
공정성 공정업무처리
법이해/적용력

절차
수행
직무의 성실성 - 성실성 적극성 - - 성실성
적극성
업무성실성
업무적극성
-
현장에서 소통 의견
경철
친절성 - 국민우선 시민에 대한 봉사
친절성
시민지향
의사소통
대민공감력/의사소통 민원경청
의사소통
동료와의 협업 - 화합과 단결 - - - 팀워크 팀워크 협업
기타 전문성 청렴성
국민의 안전
안전
중립성
일관성
현장중심
올바른
인성과 감성
청렴성
중립성
방범능력
범인검거능력
신속성
민첩성
체력
네트워크
문제해결능력
대상식별능력
청렴성
대인관계
문제해결력
정보수집관리
상황판단력
통합적사고능력
-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각 역량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의 행동지표를 도출(또는 생성/정의/설정)하여, 해당 복수의 행동지표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잠정역량모형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법집행 공정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타당성, 실효성, 일관성을 포함하고, 상기 인권존중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생명권, 안전권, 자유권을 포함하고, 상기 현장에서 소통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구두소통, 문서소통, 배려를 포함하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기초지식, 직무자세, 업무완수를 포함하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업무분장, 자원공유, 화합단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잠정역량모형을 지역경찰관서에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로 이루어진 협의회의 의견(또는 검토 결과)을 반영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동지표와 그 조작적 정의를 수정하여 현장경찰관 역량 모델(또는 현장경찰관 역량 모형)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적 정의는 사회 조사를 위해 사물 또는 현상을 객관적이고 경험적으로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수정된 행동지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법집행 공정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규범적 타당성, 사실적 실효성, 일관성을 포함하고, 상기 인권존중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권리보장, 안전보호, 긴급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에서 소통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전달, 수용, 배려를 포함하고, 상기 직무의 성실성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기초판단, 실행관리, 직무완수를 포함하고, 상기 동료와의 협업과 관련한 행동지표는 업무분장, 자원공유, 화합단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별 행동지표는 각기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심동적 영역에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현장경찰관의 역량이기 때문에 심동적 영역에 속한 행동지표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평가준거를 고려하여 행동지표를 조작적으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각 행동지표의 영역에 맞추어 상·중·하의 수준을 정하고,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문서 형태로 수준에 적합하게 평가준거를 도출(또는 생성/설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현장경찰관에 대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평가를 위해서 상기 역량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역량 모델은 현장경찰관을 위한 교육훈련체계를 만들고,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나아가 경력개발체계를 개발하는데 기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량 모델은 모듈화된 교안의 교육방법으로 실감형 가상훈련 기반의 콘텐츠를 사용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량 모델은 현장경찰관의 역량진단도구를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사전에 수집된 복수의 학습용 데이터세트를 지속적인 기계학습(또는 딥러닝)의 데이터로 활용한다. 여기서, 상기 기계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세트(또는 학습용 데이터세트)는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7:3)로 훈련 세트(train set)와 테스트 세트(test set)로 분할하여, 훈련 및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세트는 추후 수집되는 서브 훈련 상황별 입력값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계학습을 위한 출력 데이터세트는 예측하고 싶은 부분으로, 서브 훈련 상황에 따른 학습자의 평가 결과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학습용 데이터를 통해 역량 모델(또는 역량 모형)에 대해서 특정 로우 데이터와 관련해서 서브 훈련 상황에 따른 학습자의 평가 결과를 설정(또는 결정/생성)하기 위한 학습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로우 데이터(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입력값 등 포함)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또는 학습용 데이터 등 포함)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학습, 훈련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기계학습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및 심층 강화 학습(Deep Reinforcement Learning)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학습용 데이터 등을 통해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s) 형태의 상기 역량 모델에 대해서 학습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메타버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훈련 내용 중 어느 하나의 훈련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훈련 내용 선택 메뉴(또는 항목/버튼), 선택된 훈련 내용에 대응하는 훈련 시나리오와 관련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작 메뉴,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훈련 내용은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흉기난동 대응 메뉴, 집단폭력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단폭력 대응 메뉴, 집회시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회시위 대응 메뉴,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가정폭력 조치 메뉴, 주취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주취난동자 보호조치 메뉴, 살인사건 현장에 대한 초동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살인현장 초동조치 메뉴, 자살기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자살기도 대처요령 메뉴,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방법을 훈련하기 위한 성폭력 피해자 조사 메뉴 등을 포함하며, 디폴트로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 훈련을 위해서 흉기난동 대응 메뉴가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HMD, 구글 글래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훈련 내용(또는 훈련 과정)에 따라, 동일한 실감 콘텐츠를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또는 소지/보유)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훈련 과정 중 서로 다른 실감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사전에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훈련자(또는 학습자)의 고유 아이디(또는 고유 코드), 해당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또는 훈련자 정보 입력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상기 시작 메뉴(또는 항목/버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는 준비 단계, 대처 단계, 사후조치 단계, 평가 수행 단계, 평가결과 제공 단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복수의 훈련 내용 메뉴(또는 항목/버튼) 중에서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어느 하나의 훈련 내용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된 훈련 내용 메뉴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훈련 내용별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선택된 훈련 내용 메뉴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훈련 내용과 관련해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복수의 훈련 내용 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훈련 내용 메뉴와 관련해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60)는 집단폭력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집회시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주취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살인사건 현장에 대한 초동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내용, 자살기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방법을 훈련하기 위한 내용 등과 관련해서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경찰차 차량 내부 화면 영역, 흉기난동 현장 입구/주변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신고 접수에 따른 신고 접수 내용(또는 신고 녹취록) 출력 정보(또는 데이터/상황 정보),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 등의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에 따라 학습자가 정확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또는 판단)하기 위해서,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또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항목)(예를 들어 신고자에게 연락 등 포함), 신고자 연락에 따라 학습자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정보 수집을 위한 정보(또는 신고자에게 연락 항목)(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상태, 난동행위자 인원, 흉기소지 여부, 흉기 종류, 피해자 부상 정도, 현장의 정확한 위치, 현장의 밀집도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는 파악된 현장 상황 정보에 따른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예를 들어 흉기난동, 피해자 있음, 피해자 없음, 난동행위자 1명, 다수의 난동행위자 등 포함), 흉기난동 대응에 필요한 업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에 대응하는 현장 업무 계획 정보(예를 들어 신분고지, 행위자 제압, 피해자 구조, 행위자 체포 및 수색, 피해 조사, 증거확보, 증원인력 도착 확인, 가/피해자 분리, 블랙박스 작동확인 등 포함), 동료와 함께 처리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학습자 역할 분담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는 현장 도착 시 치안종합상황실에 현장 도착 상황 보고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정보, 현장 진입 전 증원 인력이 도착했는지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원 인력 도착 확인 정보, 안전을 위해 흉기난동 상황 대응 전 안전장비 착용 필요성을 알고 어떤 장비를 착용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 장구 착용 정보(또는 방검 장비 착용 정보)(예를 들어 방검복, 안전 장갑, 방패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부(130)에 포함된 조이스틱을 이용해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학습자의 음성 정보에 대해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대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준비 단계와 관련해서,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대해서 훈련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훈련자의 선택에 따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 물리력 대응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 난동현장 조치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 피해자 이송 정보, 피해자 인계 정보, 주변 조사 정보 등의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는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 장소에서의 위험 요소 차단 정보(예를 들어 깨진 술병, 가위, 프라이팬 등 포함), 도주로 차단 필요성을 알고 적합한 자리/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경찰관의 안전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 필요성을 알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거리를 고려한 난동행위자에게 접근하기 위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에 접근 정보)(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앞, 난동행위자 옆 등 포함), 필요한 고지 사항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신분 및 촬영 고지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 난동행위 중단 경고의 필요성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난동행위 중단 경고를 위한 정보, 흉기를 버릴 것을 경고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흉기 소지 시 흉기 버릴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는 난동행위자의 상태, 저항 수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상황 및 현장 상황 판단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상태, 난동 상황, 위험물 소지 여부, 음주, 흥분 상태, 가/피해자 분리, 가/피해자 미분리 등 포함), 부적절/불필요하거나 난동행위자를 도발하지 않고 난동행위자를 미리 설정된 '순응' 상태로 이끌어내기(또는 유도하기) 위한 상황과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 정보(예를 들어 행위 중단 설득, 행위 중단 경고, 무기 사용 고지, 총기 사용 고지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리력 대응 정보는 적합한 물리력 대응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범죄 종류, 대상자(또는 훈련자/경찰관) 수, 흉기 종류, 난동행위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 피해 상황, 저항 강도, 위해 급박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대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 저항 수준 파악 정보)(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순응, 소극적 저항, 적극적 저항, 폭력적 공격, 치명적 공격 등 포함), 학습자가 선택한 저하 정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따른 물리력 행사 수단 선택 정보(예를 들어 대화, 삼단봉/방패, 가스분사기, 테이저건, 권총 등 포함), 적합한 신체 부위에 물리력을 사용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리력 행사 정보(예를 들어 머리, 팔, 복부, 허벅지, 손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는 행위자 체포 정보,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권리 고지 정보, 난동행위자가 추가 위해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지를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수색 정보, 난동행위자 제압 후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 확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부상 확인 정보, 행위자 연행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현장 조치 정보는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정보, 증거 사진/영상이 필요함을 알고 이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 현장 촬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는 본인(또는 학습자)이 아닌 119 구조 대원이 피해자 부상 정도를 확인하게 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의 부상 정도(예를 들어 피해자가 부상을 입지 않음, 피해자가 경미한 부상을 입음, 피해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음 등 포함)에 따른 119 구조대원에게 피해자 부상 여부 확인 요청 정보(예를 들어 119 구조대원에 확인 요청 등 포함), 피해자에게 치료 필요 여부를 물어보았고,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확인 정보(예를 들어 부상 없음, 경미한 부상, 심각한 부상 등 포함),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정보(예를 들어 피해자 병원 치료 거절, 피해자 병원 치료 요청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이송 정보는 피해자에게 피해 진술 절차와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 등으로의 이송 여부를 안내하고, 피해자가 진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거절 시, 지구대(또는 파출소, 치안센터)로 피해자 이송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 피해 진술 절차 안내, 진술 가능 상태 확인, 지구대 동행 안내, 피해자-가해자 분리하여 이송 등 포함),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고 피해자에게 병원으로 이송됨을 안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요청 시, 119에 피해자 인계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119에 피해자 인계, 피해자에게 119로 인계됨을 안내, 상황실에 보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인계 정보는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시 피해 진술 절차 및 지구대 동행 안내 정보, 119에 피해자 인계시 피해자에게 병원 이송 안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변 조사 정보는 필요한 목격자 정보를 수집하고 추후 출석 및 증거자료 요구 가능성을 공지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목격자 정보 확보, 피해 상황 및 초기 발생 상황 관련 정보를 수집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조사, CCTV 확보 필요성을 인지하고 CCTV 자료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거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다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대처 단계와 관련해서,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대해서 훈련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훈련자의 선택에 따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상황 종료를 보고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건 종결에 따른 발생보고 정보, 상황 종료 후 어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보고서 작성 정보(예를 들어 물리력 사용 보고서 등 포함) 등의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생보고 정보는 촬영된 난동 현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수집된 증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고서 작성 정보는 난동 현장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형식의 하나 이상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해서,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실감형 콘텐츠에 대해서 훈련자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해당 훈련자의 선택에 따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감형 콘텐츠(예를 들어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등 포함)에 각각 포함되는 정보(또는 데이터/항목)는 미리 설정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해성 경찰장비의 사용 기준 등에 관한 규정,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규칙, 경찰관 직무집행법, 관련 판례, 피해자 보호관 임무 체크리스트, 피해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규칙 등이 적용된(또는 반영된/근거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평가 수행 단계와 관련해서,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을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또는 인공지능/딥 러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또는 인공지능 결과/딥 러닝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또는 계산/산출/설정/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또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예를 들어 훈련자별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 등 포함)를 종합하여 해당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평가결과 제공 단계와 관련해서,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단계별 평가 결과,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고유 코드, 이름 등 포함)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서 전용 앱 형태로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용 앱 이외에도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상기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상기 실감형 콘텐츠 출력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을 도 1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60)는 해당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하고, 전용 앱 실행에 따른 앱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메타버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훈련 내용 중 어느 하나의 훈련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훈련 내용 선택 메뉴(또는 항목/버튼), 선택된 훈련 내용에 대응하는 훈련 시나리오와 관련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작 메뉴, 전용 앱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훈련 내용은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흉기난동 대응 메뉴, 집단폭력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단폭력 대응 메뉴, 집회시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집회시위 대응 메뉴, 가정폭력에 대한 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가정폭력 조치 메뉴, 주취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주취난동자 보호조치 메뉴, 살인사건 현장에 대한 초동조치를 훈련하기 위한 살인현장 초동조치 메뉴, 자살기도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기 위한 자살기도 대처요령 메뉴,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조사 방법을 훈련하기 위한 성폭력 피해자 조사 메뉴 등을 포함하며, 디폴트로 흉기 난동자에 대한 대응 훈련을 위해서 흉기난동 대응 메뉴가 선택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HMD(Head Mounted Display), 구글 글래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훈련 내용(또는 훈련 과정)에 따라, 동일한 실감 콘텐츠를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또는 소지/보유)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훈련 과정 중 서로 다른 실감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훈련자가 각각 착용 중인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사전에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훈련자(또는 학습자)의 고유 아이디(또는 고유 코드), 해당 아이디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해서 상기 전용 앱 실행 시 로그인 절차(또는 훈련자 정보 입력 절차)를 수행하여, 해당 전용 앱의 하나 이상의 기능(예를 들어 실감형 가상훈련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입력/터치/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상기 앱 실행 결과 화면에서 상기 시작 메뉴(또는 항목/버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는 준비 단계, 대처 단계, 사후조치 단계, 평가 수행 단계, 평가결과 제공 단계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 1 제어부(160)는 해당 제 1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100)에 미리 설치된 현장경찰관 실감형 가상훈련 전용 앱을 실행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경찰관 실감형 가상훈련 전용 앱에 따른 증강현실 형태의 앱 실행 결과 화면(900)을 제 1 훈련자(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 000001, 홍길동) 및 제 2 훈련자(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 000007, 김철수)가 각각 착용 중인 HMD 형태의 제 1 표시부(140) 및 제 2 표시부(140)에 각각 표시하고, 해당 앱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제 1 훈련자 및 상기 제 2 훈련자가 각각 착용 중인 제 1 음성 출력부(150) 및 제 2 음성 출력부(150)에 각각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훈련자 및 제 2 훈련자는 협업에 의해 특정 현장 상황에 대한 대응을 훈련하고자 하는 훈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제 1 입력부(130)에 포함된 양손에 쥐고 있는 제 1 조이스틱을 통해 상기 증강현실 형태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앱 실행 결과 화면(900) 중에서 상기 시작 메뉴(910)를 선택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제 1 저장부(120)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제 3 훈련 시나리오(예를 들어 1명의 음주 상태의 난동행위자가 1명의 피해자에게 경미한 부상을 입힌 상태에서, 유리병을 든 채로 위협하고 있는 시나리오)를 선택한다(S81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경찰차 차량 내부 화면 영역, 흉기난동 현장 입구/주변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신고 접수에 따른 신고 접수 내용(또는 신고 녹취록) 출력 정보(또는 데이터/상황 정보),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 등의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에 따라 학습자가 정확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또는 판단)하기 위해서,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또는 신고 접수 내용 이해 정보/항목)(예를 들어 신고자에게 연락 등 포함), 신고자 연락에 따라 학습자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정보 수집을 위한 정보(또는 신고자에게 연락 항목)(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상태, 난동행위자 인원, 흉기소지 여부, 흉기 종류, 피해자 부상 정도, 현장의 정확한 위치, 현장의 밀집도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는 파악된 현장 상황 정보에 따른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예를 들어 흉기난동, 피해자 있음, 피해자 없음, 난동행위자 1명, 다수의 난동행위자 등 포함), 흉기난동 대응에 필요한 업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현장 상황 종합 정리 정보에 대응하는 현장 업무 계획 정보(예를 들어 신분고지, 행위자 제압, 피해자 구조, 행위자 체포 및 수색, 피해 조사, 증거확보, 증원인력 도착 확인, 가/피해자 분리, 블랙박스 작동확인 등 포함), 동료와 함께 처리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학습자 역할 분담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는 현장 도착 시 치안종합상황실에 현장 도착 상황 보고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정보, 현장 진입 전 증원 인력이 도착했는지 여부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원 인력 도착 확인 정보, 안전을 위해 흉기난동 상황 대응 전 안전장비 착용 필요성을 알고 어떤 장비를 착용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 장구 착용 정보(또는 방검 장비 착용 정보)(예를 들어 방검복, 안전 장갑, 방패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준비 단계와 관련해서,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3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제 1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확인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000) 및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100)를 상기 제 1 훈련자와 관련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훈련자와 관련한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주점 흉기난동과 관련해서 112 신고센터에서의 신고 접수 상태와 관련한 콘텐츠(예를 들어 무전기 선택 시 112 신고센터 코멘트 및 코멘트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포함하고(또는 나타내고), 상기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신고자의 신고 접수 내용(또는 신고 녹취록)과 관련한 콘텐츠(예를 들어 무전기 선택 시 신고 접수 내용에 대응하는 텍스트 및 음성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000) 및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100)의 좌측 일측에 표시되는 사람 모양의 아이콘은, 사람 수가 한 명인 경우 훈련자별로 수행해야 할 업무가 나눠졌을 때 훈련자 중 한 명이 선택할 수 있는 인터랙션을 나타내고, 사람 수가 두 명인 경우 2명의 훈련자가 각각 선택할 수 있는 인터랙션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 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의 출력이 종료된 후,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특정 객체(예를 들어 무전기 아이템)가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100)의 출력이 종료된 후,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신고 접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한 상태로 정확한 현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할지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신고자 연락 항목, 치안종합상황실 연락 항목(또는 112 상황실 연락 항목), 소속 지역관서에 연락 항목, 주변 순찰차에 무전 항목, 추가 연락 불필요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에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또는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등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에서 신고자 연락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신고자 연락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에서 상황실 연락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상황실 연락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 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200) 중에서 오답에 해당하는 상기 치안종합상황실 연락 항목, 소속 지역관서에 연락 항목, 주변 순찰차에 무전 항목, 추가 연락 불필요 항목 등이 선택될 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현재 단계에서의 학습자의 올바른 대응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신고자 연락 항목과 관련해서 해당 신고와의 통화에 따라 학습자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현장과 관련한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현장에서의 난동행위자 및 피해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 상태 항목, 난동행위자 인원 항목, 흉기소지 여부 항목, 흉기 종류 항목, 피해자 부상 정도 항목, 난동행위자의 성별 항목, 피해자의 성별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300)에서 제 1 난동행위자 상태(예를 들어 음주), 제 1 난동행위자 인원(예를 들어 1명), 제 1 흉기소지 여부(예를 들어 유리병 소지), 제 1 흉기 종류(예를 들어 유리병), 제 1 피해자 부상 정도(예를 들어 경미한 부상)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300)에서 제 1 난동행위자 상태(예를 들어 음주), 제 1 난동행위자 인원(예를 들어 1명), 제 1 흉기소지 여부(예를 들어 유리병 소지), 제 1 흉기 종류(예를 들어 유리병), 제 1 피해자 부상 정도(예를 들어 경미한 부상)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현장 상태를 제대로 파악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현장 상황 파악을 위해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흉기난동 항목, 자해 항목, 피해자 있음 항목, 피해자 없음 항목, 난동행위자 1명 항목, 다수의 난동행위자 항목, 추가 증원 요청 필요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400)에서 흉기 난동 항목, 피해자 있음 항목, 난동행위자 1명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400)에서 흉기 난동 항목, 피해자 있음 항목, 난동행위자 1명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파악한 현장 상태에 따라 해당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또는 현장 업무 계획 정보)을 포함하는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신분고지 항목, 행위자 제압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 피해 조사 항목, 증거확보 항목, 증원인력 도착 확인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블랙박스 작동확인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500)에서 신분고지 항목, 행위자 제압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 피해자 조사 항목, 증거확보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블랙박스 작동확인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500)에서 신분고지 항목, 행위자 제압 항목, 피해자 구조 항목, 피해자 조사 항목, 증거확보 항목, 블랙박스 작동확인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훈련에 참여 중인 제 1 학습자와 제 2 학습자에 대한 역할 분담을 위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별 역할을 선택하기 위한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6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별 역할 분담을 위해서,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600)에서 제 1 학습자 선택에 의한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600)에서 제 2 학습자 선택에 의한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항목 등을 포함하는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현장 진입 전 준비해야 할 일들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항목, 증원 인력 도착 확인 항목, 방검 장비 착용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에서의 치안종합상황실 보고 항목(1710)이 선택될 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상황을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하기 위한 제 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8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실시간 상황을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하기 위한 무전기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에서의 증원 인력 도착 확인 항목(1720)이 선택될 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증원 인력의 도착 상태를 치안종합상황실에 확인하기 위한 제 1-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9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현장 도착, 현장 진입 등에 따른 증원 인력의 도착 여부, 도착 예정 시각 등을 치안종합상황실에 확인하기 위한 무전기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1700)에서의 방검 장비 착용 항목(1730)이 선택될 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안전을 위해 흉기난동 상황 대응 전 안전장비 착용 필요성을 알고, 어떤 장비를 착용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복수의 안전 장구 항목을 포함하는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0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방패 항목, 방검복 항목, 안전장갑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000)에서 방패 항목, 방검복 항목, 안전장갑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1-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1-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000)에서 방패 항목, 방검복 항목, 안전장갑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1-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S82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 물리력 대응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 난동현장 조치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 피해자 이송 정보, 피해자 인계 정보, 주변 조사 정보 등의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는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 장소에서의 위험 요소 차단 정보(예를 들어 깨진 술병, 가위, 프라이팬 등 포함), 도주로 차단 필요성을 알고 적합한 자리/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경찰관의 안전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 필요성을 알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안전거리를 고려한 난동행위자에게 접근하기 위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에 접근 정보)(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앞, 난동행위자 옆 등 포함), 필요한 고지 사항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신분 및 촬영 고지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 난동행위 중단 경고의 필요성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난동행위 중단 경고를 위한 정보, 흉기를 버릴 것을 경고해야 함을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흉기 소지 시 흉기 버릴 것을 경고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는 난동행위자의 상태, 저항 수준,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상황 및 현장 상황 판단 정보(예를 들어 행위자 상태, 난동 상황, 위험물 소지 여부, 음주, 흥분 상태, 가/피해자 분리, 가/피해자 미분리 등 포함), 부적절/불필요하거나 난동행위자를 도발하지 않고 난동행위자를 미리 설정된 '순응' 상태로 이끌어내기(또는 유도하기) 위한 상황과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행동(또는 난동)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 정보(예를 들어 행위 중단 설득, 행위 중단 경고, 무기 사용 고지, 총기 사용 고지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리력 대응 정보는 적합한 물리력 대응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범죄 종류, 대상자(또는 훈련자/경찰관) 수, 흉기 종류, 난동행위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 피해 상황, 저항 강도, 위해 급박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대한 정보(또는 난동행위자 저항 수준 파악 정보)(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순응, 소극적 저항, 적극적 저항, 폭력적 공격, 치명적 공격 등 포함), 학습자가 선택한 저하 정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의 저항 정도에 따른 물리력 행사 수단 선택 정보(예를 들어 대화, 삼단봉/방패, 가스분사기, 테이저건, 권총 등 포함), 적합한 신체 부위에 물리력을 사용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물리력 행사 정보(예를 들어 머리, 팔, 복부, 허벅지, 손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는 행위자 체포 정보,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권리 고지 정보, 난동행위자가 추가 위해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지를 인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수색 정보, 난동행위자 제압 후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 확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행위자 부상 확인 정보, 행위자 연행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동현장 조치 정보는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정보, 증거 사진/영상이 필요함을 알고 이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 현장 촬영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는 본인(또는 학습자)이 아닌 119 구조 대원이 피해자 부상 정도를 확인하게 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의 부상 정도(예를 들어 피해자가 부상을 입지 않음, 피해자가 경미한 부상을 입음, 피해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음 등 포함)에 따른 119 구조대원에게 피해자 부상 여부 확인 요청 정보(예를 들어 119 구조대원에 확인 요청 등 포함), 피해자에게 치료 필요 여부를 물어보았고,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확인 정보(예를 들어 부상 없음, 경미한 부상, 심각한 부상 등 포함), 피해자 병원 치료 여부 정보(예를 들어 피해자 병원 치료 거절, 피해자 병원 치료 요청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이송 정보는 피해자에게 피해 진술 절차와 지구대, 파출소, 치안센터 등으로의 이송 여부를 안내하고, 피해자가 진술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거절 시,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 피해 진술 절차 안내, 진술 가능 상태 확인, 지구대 동행 안내, 피해자-가해자 분리하여 이송 등 포함), 피해자의 상태에 적합한 대처 방법을 결정하였고 피해자에게 병원으로 이송됨을 안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자가 병원 치료 요청 시, 119에 피해자 인계를 위한 정보(예를 들어 119에 피해자 인계, 피해자에게 119로 인계됨을 안내, 상황실에 보고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해자 인계 정보는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시 피해 진술 절차 및 지구대 동행 안내 정보, 119에 피해자 인계시 피해자에게 병원 이송 안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변 조사 정보는 필요한 목격자 정보를 수집하고 추후 출석 및 증거자료 요구 가능성을 공지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목격자 정보 확보, 피해 상황 및 초기 발생 상황 관련 정보를 수집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해조사, CCTV 확보 필요성을 인지하고 CCTV 자료를 확보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증거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다른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대처 단계와 관련해서,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3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제 2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확인하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1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피해 현장에서의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깨진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티슈케이스 항목, 휴지통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100)에서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100)에서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도주로 차단 필요성을 알고, 적합한 자리를 선택(또는 선점)할 수 있고 경찰관의 안전을 위한 안전거리 확보 필요성을 알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가 이동할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2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가 위치할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 현장 내에서의 복수의 위치 영역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200)에서 제 1 위치(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옆)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200)에서 제 2 위치(예를 들어 난동행위자 앞)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필요한 고지 사항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신분고지 항목, 난동행위 중단경고 항목, 동영상 촬영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300)에서 신분고지 항목, 난동행위 중단경고 항목, 동영상 촬영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300)에서 신분고지 항목, 난동행위 중단경고 항목, 동영상 촬영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난동행위자의 상황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음주 항목, 흥분 상태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가/피해자 미분리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400)에서 음주 항목, 흥분 상태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400)에서 음주 항목, 흥분 상태 항목, 가/피해자 분리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4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부적절/불필요하거나 난동행위자를 도발하지 않고 난동행위자를 '순응' 상태로 이끌어내기 위한 상황과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행위 중단 설득 항목, 행위 중단 경고 항목, 무기 사용 고지 항목, 총기 사용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500)에서 행위 중단 경고 항목, 무기 사용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500)에서 행위 중단 경고 항목, 무기 사용 고지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적합한 물리력 대응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범죄 종류, 경찰관 수, 흉기 종류, 난동행위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 피해 상황, 저항 강도, 위해 급박성 등을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6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폭력적 공격 항목, 치명적 공격 항목, 적극적 저항 항목(또는 적극적 공격 항목), 소극적 저항 항목(또는 소극적 공격 항목), 순응 항목(또는 순응 상태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600)에서 폭력적 공격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600)에서 폭력적 공격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파악한 저항 강도(또는 저항 정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7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대화 항목(또는 말로 설득 항목), 삼단봉/방패 항목, 가스분사기 항목, 테이저건 항목, 권총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700)에서 삼단봉/방패 항목, 가스분사기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700)에서 삼단봉/방패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7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가 선택한 물리력 행사 수단을 이용해서 제대로 물리력을 행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8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물리력 행사 수단의 적절 위치 항목, 부적절 위치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앞서 단계에서 해당 제 1 학습자 및 제 2 학습자 중에서 안전 장구 항목을 선택하지 않은 학습자에 대해서는 부상을 입어 전체 학습 과정을 종료하는 화면(또는 콘텐츠)을 상기 제 1 표시부 및/또는 제 2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800)에서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2-8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800)에서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물리력 행사 수단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2-8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앞서 제 1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행위자 체포 및 위험요소 차단 항목에 따라, 해당 제 1 학습자가 난동행위자 체포와 관련한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행위자 체포 항목, 행위자 권리 고지 항목, 행위자 수색 항목, 행위자 부상 확인 항목, 행위자 연행 항목,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항목, 난동 현장 촬영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의 행위자 체포 항목, 행위자 권리 고지 항목, 행위자 수색 항목, 행위자 부상 확인 항목, 행위자 연행 항목, 난동 현장 위험요소 차단 항목, 난동 현장 촬영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될 때,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추가 서브 훈련 상환 콘텐츠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의 행위자 체포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0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화면에 표시되는 수갑 아이템을 이용해서 난동행위자에 대한 체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000)에서의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수갑 아이템을 적용하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2-10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 체포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권리 고지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1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미란다 원칙 내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착용 중인 상기 제 1 입력부에 포함된 제 1 마이크를 통해 해당 제 1 훈련자의 미란다 원칙 고지 내용을 포함하는 제 2-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미란다 원칙 고지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수색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2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해당 난동행위자가 위해 물건을 소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200)에서의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선택한 위해 물건 소지 확인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2-1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의 위해 물건 소지 여부 확인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부상 확인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난동행위자와 관련한 360도 영상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300)에서의 난동행위자의 신체 일부 영역에 해당 학습자가 부상 여부 확인을 적용할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2-1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의 부상 여부 확인 후,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2900)에서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행위자 연행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행위자의 일측에 해당 제 1 훈련자가 위치하여 연행하는 항목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어부는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는 내용을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추가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난동행위자의 연행 후, 피해 현장에서의 위험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제거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깨진 술병 항목, 가위 항목, 프라이팬 항목, 티슈케이스 항목, 휴지통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5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500)에서의 깨진 술병 항목, 가위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2-15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위험 요소 제거 후, 피해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6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현장 내의 복수의 구역별로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6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600)에서의 난동 현장 촬영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구역 등을 포함하는 제 2-1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앞서 제 2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피해자 구조 및 피해조사 항목에 따라, 해당 제 2 학습자가 피해자 구조와 관련한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7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자의 부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주체를 선택하기 위해서 119 구급 대원 항목, 경찰 본인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700)에서의 119 구급 대원 항목 또는 경찰 본인 항목이 선택될 때,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추가 서브 훈련 상환 콘텐츠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7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700)에서의 119 구급 대원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8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자의 부상 정도(예를 들어 부상을 입지 않음, 경미한 부상, 심각한 부상 등 포함)를 파악하고, 파악된 피해자의 부상 정도에 따라 추가로 병원 치료 의사를 물어보기 위한 항목, 병원 치료 의사를 물어보지 않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8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800)에서의 병원 치료 의사를 물어보기 위한 항목이 선택될 때,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9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자의 병원 치료 여부에 따른 의사에 따라 후속 조치를 수행하기 위한 119에 피해자 연계 항목, 피해자에게 119 인계 안내 항목, 상황실 보고 항목, 지구대로 피해자 이송 항목, 피해자 귀가 조치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19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3900)에서의 피해자의 의사에 따른 119에 피해자 연계 항목, 피해자에게 119 인계 안내 항목, 상황실 보고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2-19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피해자 구조 후, 목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현장을 목격한 목격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목격자 정보 확인 항목, 피해조사 항목, 증거 확보 항목, 창업 비용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에서의 목격자 정보 확인 항목이 선택될 때, 목격자와의 인터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그에 따른 목격자와의 인터뷰 진행 결과 등을 포함하는 제 2-20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목격자 정보 확인 후, 피해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에서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피해조사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1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피해 상황 확인 항목, 흉기난동 초기 발생 상황 확인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2-2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100)에서의 피해 상황 확인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2-2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피해 상황 확인 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 2-20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000)에서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증거확보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상태에서 훈련자가 수행해야 할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2-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를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2-2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해당 난동 현장을 관리 중인 관리자에게 CCTV 촬영 여부를 확인하고, CCTV 자료를 입수하기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착용 중인 상기 제 2 입력부에 포함된 제 2 마이크를 통해 해당 제 2 훈련자의 CCTV 촬영 여부 확인 코멘트, CCTV 자료 입수를 위한 코멘트 등을 포함하는 제 2-2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S83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흉기 난동 발생 장소 화면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시스템 메시지 표시 영역, 서브 훈련 상황별 선택지 옵션 표시 영역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상황 종료를 보고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건 종결에 따른 발생보고 정보, 상황 종료 후 어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보고서 작성 정보(예를 들어 물리력 사용 보고서 등 포함) 등의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또는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발생보고 정보는 촬영된 난동 현장과 관련한 영상 정보, 수집된 증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고서 작성 정보는 난동 현장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형식의 하나 이상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터치/제어/반응)에 따른 해당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서브 훈련 상황별(또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로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훈련자별 평가를 위해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포함된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해서,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과 관련한 콘텐츠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에 의한 복수의 훈련자별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각각 수신(또는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3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제 3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확인하고,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고, 피해 현장과 관련해서 사건 종결을 위해 필요한 보고를 선택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발생보고 항목, 보고서 작성 항목, 훈련 종료 항목, 목격자 지구대 이송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에서 발생보고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3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현장에서의 사건 처리 종료를 위해 치안종합상황실에 보고하기 위한 현장 종결 보고 항목, 발생보고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300)에서 현장 종결 보고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3-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2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300)에서 현장 종결 보고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3-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 또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표시부 또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1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200)에서 보고서 작성 항목이 선택될 때,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4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는 훈련자의 다음 행동을 확인하고 상황 종료 후 작성해야 하는 보고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하는 난동 상황에 대해서 전반적인 보고서 작성을 위한 항목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1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400)에서 보고서 종류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1-3-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훈련자가 보유 중인 제 2 조이스틱을 통해서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 중인 제 3-3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400)에서 보고서 종류 항목 등을 포함하는 제 000007-3-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수신한다.
또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제어부는 전체 훈련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들을 포함하는 제 3-4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4500)를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와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S840).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따른 입력값(예를 들어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 등 포함)을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또는 인공지능/딥 러닝)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또는 인공지능 결과/딥 러닝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또는 계산/산출/설정/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해당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단계별 평가 결과, 상기 생성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또는 종합 평가 결과),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예를 들어 고유 아이디/고유 코드, 이름 등 포함) 등을 상기 표시부(14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000001-1-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1-7 서브 훈련 입력값 및 상기 제 000001-1-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상기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해당 제 1 훈련자와 관련한 제 1-1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000001-2-1 서브 훈련 입력값, 제 000001-2-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1-2-8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0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1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5 서브 훈련 입력값 및 상기 제 2-16 서브 훈련 입력값을 상기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해당 대처 단계에서의 해당 제 1 훈련자와 관련한 제 1-2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000001-3-2 서브 훈련 입력값 및 상기 제 000001-3-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상기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해당 사후조치 단계에서의 해당 제 1 훈련자와 관련한 제 1-3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해당 제 1 훈련자와 관련한 제 1-1 평가 결과, 해당 대처 단계에서의 제 1-2 평가 결과, 해당 사후조치 단계에서의 제 1-3 평가 결과를 통합하여 해당 제 3 훈련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 1 훈련자에 대한 제 1 전체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해당 제 1 훈련자와 관련한 제 1-1 평가 결과, 해당 대처 단계에서의 제 1-2 평가 결과, 해당 사후조치 단계에서의 제 1-3 평가 결과, 제 1 전체 평가 결과, 제 1 학습자의 정보 등을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1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000007-1-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1-7 서브 훈련 입력값 및 상기 제 000007-1-11 서브 훈련 입력값을 상기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해당 제 2 훈련자와 관련한 제 2-1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000007-2-1 서브 훈련 입력값, 제 000007-2-2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3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4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5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6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7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000007-2-8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19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20 서브 훈련 입력값, 상기 제 2-21 서브 훈련 입력값 및 상기 제 2-22 서브 훈련 입력값을 상기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해당 대처 단계에서의 해당 제 2 훈련자와 관련한 제 2-2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 000007-3-2 서브 훈련 입력값 및 상기 제 000007-3-3 서브 훈련 입력값을 상기 미리 학습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해당 사후조치 단계에서의 해당 제 2 훈련자와 관련한 제 2-3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해당 제 2 훈련자와 관련한 제 2-1 평가 결과, 해당 대처 단계에서의 제 2-2 평가 결과, 해당 사후조치 단계에서의 제 2-3 평가 결과를 통합하여 해당 제 3 훈련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 2 훈련자에 대한 제 2 전체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해당 준비 단계에서의 해당 제 2 훈련자와 관련한 제 2-1 평가 결과, 해당 대처 단계에서의 제 2-2 평가 결과, 해당 사후조치 단계에서의 제 2-3 평가 결과, 제 2 전체 평가 결과, 제 2 학습자의 정보 등을 상기 제 2 표시부 및 상기 제 2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S85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장 상황을 반영한 실감형 가상훈련을 제공하여, 현장 경찰관 등에 대한 법집행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법집행 공정성, 인권존중, 현장에서의 소통, 직무의 성실성, 동료와의 협업 등을 고려하여 생성된 역량 모델을 근거로 다양한 상황별로 학습자가 수행하는 내용에 대해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제공하여, 치안 현장 대응력 및 교육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훈련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입력부
140: 표시부 150: 음성 출력부
160: 제어부

Claims (10)

  1.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고,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근거로 기계 학습을 각각 수행하여,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고, 훈련자별로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 전체 평가 결과 및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장 경찰의 역량 파악을 위해서 인권존중 항목, 현장에서 소통 항목, 직무의 성실성 항목,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법집행 공정성 항목에 따라 항목별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항목별 행동지표를 근거로 역량 모델을 생성하고,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시나리오는,
    준비 단계, 대처 단계, 사후조치 단계, 평가 수행 단계 및 평가결과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신고 접수에 따른 신고 접수 내용 출력 정보, 출동 및 현장 상황 파악 정보, 현장 대처 계획 수립 정보 및 현장 진입 전 준비 정보로 구성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난동행위자에 접근, 고지 및 위험요소 차단 정보, 난동행위자 대처 정보, 물리력 대응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행위자 체포 정보, 난동현장 조치 정보, 학습자 역할 분리에 따른 피해자 구조 정보, 피해자 이송 정보, 피해자 인계 정보 및 주변 조사 정보로 구성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는,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상황 종료를 보고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건 종결에 따른 발생보고 정보 및 상황 종료 후 어떤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보고서 작성 정보로 구성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각각 포함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해성 경찰장비의 사용 기준 등에 관한 규정, 경찰 물리력 행사의 기준과 방법에 관한 규칙, 경찰관 직무집행법, 피해자 보호관 임무 체크리스트 및, 피해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7. 제어부에 의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흉기난동과 관련한 복수의 훈련 시나리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훈련 시나리오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 대처 단계 및 사후조치 단계에 각각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근거로 기계 학습을 각각 수행하여,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자별로 전체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훈련자별로 생성된 단계별 평가 결과, 전체 평가 결과 및 훈련에 참여한 훈련자 정보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훈련자별로 단계별 훈련 상황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는,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미리 설정된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 및
    훈련자별로 수신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상기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상기 역량 모델의 입력값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수행하고, 또 다른 기계 학습 결과를 근거로 훈련자별로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평가 결과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역량 모델은,
    현장 경찰의 역량 파악을 위해서 인권존중 항목, 현장에서 소통 항목, 직무의 성실성 항목, 동료와의 협업 항목 및 법집행 공정성 항목에 따라 항목별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항목별 행동지표를 근거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 및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해 순차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준비 단계에 대응하는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처 단계에 대응하는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훈련 시나리오에 따른 복수의 단계별 훈련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사후조치 단계에 대응하는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 상기 대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 및 상기 사후조치 단계와 관련한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준비 단계에서의 상기 준비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대처 단계에서 상기 대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사후조치 단계에서 상기 사후조치 단계 실감형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또 다른 서브 훈련 상황에 대응하는 서브 훈련 상황별 복수의 또 다른 입력값을 훈련자별로 각각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가상훈련 방법.
  10. 삭제
KR1020210120623A 2021-09-09 2021-09-09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23A KR102459506B1 (ko) 2021-09-09 2021-09-09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23A KR102459506B1 (ko) 2021-09-09 2021-09-09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506B1 true KR102459506B1 (ko) 2022-10-28

Family

ID=8383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623A KR102459506B1 (ko) 2021-09-09 2021-09-09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5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47B1 (ko) * 2012-06-19 2013-11-26 에이알비전 (주) 융합 현실을 이용한 실내 집단훈련 지원시스템
KR20180077588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한울네오텍 가상현실(vr)을 이용한 게임기반 재난안전 가상체험 훈련시스템
KR101895501B1 (ko) * 2017-02-22 2018-10-29 대한민국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
KR102116390B1 (ko) 2017-10-16 2020-06-01 ㈜유엔이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8337A (ko) * 2020-01-06 2021-07-14 서울대학교병원 수술실 화재 훈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47B1 (ko) * 2012-06-19 2013-11-26 에이알비전 (주) 융합 현실을 이용한 실내 집단훈련 지원시스템
KR20180077588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한울네오텍 가상현실(vr)을 이용한 게임기반 재난안전 가상체험 훈련시스템
KR101895501B1 (ko) * 2017-02-22 2018-10-29 대한민국 재난 시나리오 전자관리시스템
KR102116390B1 (ko) 2017-10-16 2020-06-01 ㈜유엔이 훈련 신 생성이 가능한 재난대응 훈련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8337A (ko) * 2020-01-06 2021-07-14 서울대학교병원 수술실 화재 훈련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gital contents society treatise" vol.22" no.4" 605-610 page" 2021 *
disaster preventing journal" vol20" no.1" 13-20 page" 2018 *
박선희 외 2명, "VR기술을 활용한 전기충격기 훈련 시스템 제작",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페이지 605-610, 2021년 4월*
정종문 외 3명, "증강현실기반 재난대응통합훈련 시뮬레이터", 방재저널, Vol20, No.1, 페이지 13-20, 2018년 1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leman et al. Police interactions with persons with a mental illness: Police learning in the environment of contemporary policing
Jenkins et al. A systemic approach to accident analysis: a case study of the Stockwell shooting
Louvar Reeves et al. School behavioral threat assessment and management
Liu et al. Evolving best practices in crisis communication: Examining US higher education’s responses to the COVID-19 pandemic
Hadi et al. Integrating social media monitoring into public health emergency response operations
Macpherson et al. Organizational learning from hidden improvisation
Rogers et al. The psychology of crisis communication
Sinha et al. A survey of the mobile phone-based interventions for violence prevention among women
Pence et al. Developing policies and protocols in Duluth, Minnesota
Piza et al. Situational factors and police use of force across micro‐time intervals: A video systematic social observation and panel regression analysis
Ahmad Mass casualty incident management
KR102459506B1 (ko)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Allen et al. Mitigating violence against first responder teams: Results and ideas from the Hackmanathon
KR20230161330A (ko)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60701A (ko) 실감형 가상훈련 장치 및 그 방법
Mitchell et al. Worker training for new threats: A proposed framework
World Health Organization Risk communication strategy for public health emergencies in the WHO South-East Asia Region: 2019–2023
Bentz et al. It’s all about the data: Responding to international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incidents
Ming et al. Examining interactions between community members and university safety organizations through community-sourced risk systems
Arble et al. Four fundamental principles to enhance police performance and community safety
Fennelly Security officers in the 21st century
Ogbonna Mitigating situational disabilities in information systems for situational awareness in flood situation with universal design
Barton et al. An evaluation of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trauma informed multi-agency early action together (ACE TIME) training: National roll out to police and partners
Copple Law enforcement recruitment in the 21st century
US20200265364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upervision & improvement of officer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