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49B1 -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 Google Patents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49B1
KR102116349B1 KR1020180060930A KR20180060930A KR102116349B1 KR 102116349 B1 KR102116349 B1 KR 102116349B1 KR 1020180060930 A KR1020180060930 A KR 1020180060930A KR 20180060930 A KR20180060930 A KR 20180060930A KR 102116349 B1 KR102116349 B1 KR 102116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pedal
power
ro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660A (ko
Inventor
이문구
Original Assignee
이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구 filed Critical 이문구
Priority to KR102018006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좌우 한 쌍의 크랭크암(12)에 연결된 페달(11)과 좌우 한 쌍의 크랭크암에 결합하는 페달중심축(13), 상기 페달중심축과 치합하는 페달측회전자(16) 및 원통허브(41)와 결합하는 페달측고정자(15)로 구성된 동력입력부; 상기 페달중심축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유성기어(21), 링기어(22), 유성기어 캐리어(23), 상기 유성기어의 축핀을 끼우는 핀공(24) 및 상기 유성기어를 결합시키는 유성기어조합 동심원판(25)으로 구성된 동력변속부; 상기 페달중심축(13)상에 위치하여 유성기어와 치합결속되어 가속출력을 얻는 태양기어(31)와 상기 태양기어와 체인링 접속부(32)와 연결 결합되어 뒷바퀴축에 체인을 매개로 동력을 연결시키는 체인링(33)으로 구성된 동력출력부 및 상기 원통허브 안쪽에 상기 링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고정자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51) 및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는 원통허브(41)로 이뤄진 동력고정부로 구성된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와,
상기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로부터 체인을 매개로 회전하는 동력을 후륜중심축(55)상의 후륜허브(54)에 전달하는 다단체인기어(57); 상기 다단체인기어와 후륜허브간에 회전 동력을 한방향으로 단속하는 한방향동력전달장치(60); 상기 후륜허브를 중심으로 일측에 다단체인기어가 설치되고 타측에 설치된 후륜측회전자(53); 상기 후륜측회전자에 원주면에 볼트(62)로 고정되는 영구자석(51) 및 후륜측고정자커버(61)의 내경에 상기 후륜측회전자에 대향하여 설치된 2개의 후륜측고정자(52)를 포함한 제2 가속동력구동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페달측회전자의 사각홀은 페달중심측 사각면과 치합되어 결합되며, 페달측회전자 원주면 120° 각도상에 3개의 원형자석을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planetary gears and magnet using bicycle}
본 발명은 페달과 연관된 부분에는 자석의 자력 및 유성기어장치를 이용한 제1가속동력구동장치를 후륜바퀴측 부분에는 자석의 자력만을 이용한 제2가속동력구동장치를 설치하여 구동바퀴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주행속도를 향상시키고 자전거 이용자의 폐달 밟는 힘을 절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과 제1, 제2가속구동장치만을 별도로 기존 자전거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교통수단으로 주로 이용되지만 최근에는 레저활동 및 운동을 통한 신체단련 목적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페달을 돌려 중심축이 회전함으로써 동력원이 발생되고 중심축에 연결된 체인링을 통해 뒷바퀴구동축에 체인을 매개로 동력이 전달되어 추진력을 얻는다. 즉, 자전거 이용자의 폐달링에 의한 힘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평지에서는 주행에 큰 어려움이 없으나 경사지등을 주행시에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최근에는 자전거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일반자전거는 페달측 구동체인링 및 구동뒷바퀴측에 각각 직경이 다른 다단의 체인기어를 두어 변속기로, 체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고. 전기자전거는 밧데리의 동력을 사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시킴으로서,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페달을 빨리 밟아 신속하게 회전시켜 줘야하고, 페달에 접한 체인링은 크고 뒷바퀴 체인기어는 작아야 한다. 또한, 언덕이나 경사진 길을 주행하기 위해서는 페달 쪽 체인링은 작고 뒷바퀴 체인기어는 커야 힘이 덜 소모된다.
이럴 경우, 똑같은 거리를 주행 시 기존 자전거는 잦은 변속작용을 해야 하는 불편과, 변속트러블이 발생하기 쉬우며, 전기자전거 동력전달장치는 전기코일, 감속기 등으로 허브가 커지고, 밧데리등으로 무게가 증가된다는 점, 충전이 필요하다는 점, 충전시 전기를 필요로 한다는 면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에 어긋난다는 점이다.
실용신안문헌에는 상기 가속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서 페달을 통한 입력동력이 링기어, 유성기어, 태양기어를 이용한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을 실행하여 출력장치인 태양기어를 통해 회전체를 작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실용신안문헌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유성기어 변속장치를 체인으로 구동치 않는 유아 및 어린이용 세발자전거, 외발자전거와 같이 페달과 구동바퀴가 하나의 축에 설치된 자전거에 접목되어 사용되기에 자전거에 국한된 설계에만 실시가 가능하며 실질 주동력이 페달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속도향상이 그다지 크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문헌 :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418803 (등록일자 2006년 6월 8일) 제목 : 유성기어 장치를 사용한 자전거의 구동장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주목적은 페달의 구동으로 움직이는 폐달중심축(13)상에 유성기어, 링기어, 태양기어의 결합으로 체인링(33)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기존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높이기 위한 잦은 변속을 줄이고, 폐달측,후륜바퀴측에 영구자석의 자력힘을 이용, 회전력을 키움으로서, 밧데리구입, 충전등 전기자전거의 단점을 해소코자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는, 좌우 한 쌍의 크랭크암(12)에 연결된 페달(11)과 좌우 한 쌍의 크랭크암에 결합하는 페달중심축(13), 상기 페달중심축과 치합하는 페달측회전자(16) 및 원통허브(41)와 결합하는 페달측고정자(15)로 구성된 동력입력부;
상기 페달중심축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유성기어(21), 링기어(22), 유성기어 캐리어(23), 상기 유성기어의 축핀을 끼우는 핀공(24) 및 상기 유성기어를 결합시키는 유성기어조합 동심원판(25)으로 구성된 동력변속부;
상기 페달중심축(13)상에 위치하여 유성기어와 치합결속되어 가속출력을 얻는 태양기어(31)와 상기 태양기어와 체인링 접속부(32)와 연결 결합되어 후륜축에 체인을 매개로 동력을 연결시키는 체인링(33)으로 구성된 동력출력부 및
상기 원통허브 안쪽에 상기 링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고정자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51) 및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는 원통허브(41)로 이뤄진 동력고정부로 구성된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와,
상기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로부터 체인을 매개로 회전하는 동력을 후륜중심축(55)상의 후륜허브(54)에 전달하는 다단체인기어(57);
상기 다단체인기어와 후륜허브간에 회전 동력을 한방향으로 단속하는 한방향동력전달장치(60);
상기 후륜허브를 중심으로 일측에 다단체인기어가 설치되고 타측에 설치된 후륜측회전자(53);
상기 후륜측회전자에 원주면에 볼트(62)로 고정되는 영구자석(51) 및
후륜측고정자커버(61)의 내주면에 상기 후륜측회전자에 대향하여 설치된 2개의 후륜측고정자(52)를 포함한 제2 가속동력구동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페달측회전자의 사각홀은 페달중심측 사각면과 치합되어 결합되며, 페달측회전자 원주면 120°각도상에 3개의 원형자석을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의 동력변속장치는 페달중심축(13)과 유성기어캐리어(23) 중공 안쪽면은 사각으로 결합되어 페달의 회전력이 캐리어에 전달되도록 하고 캐리어 중공 바깥면은 태양기어(31) 축상의 원주와 접하도록 하여 페달중심축(13)의 회전력이 캐리어를 거쳐 다수의 유성기어와 회전력이 변속되어 태양기어(22)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달측 및 후륜측의 고정자 및 회전자에는 영구자석(5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페달측 회전자(16)는 페달중심축에 치합되며(13), 후륜측 다단체인기어(57) 반대편에 고정되는 후륜측회전자(53)는 후륜허브와 결합되며, 후륜측고정자커버(61)에는 후륜측고정자(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달측 및 후륜측의 고정자 및 회전자에 동일한 간격으로 영구자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회전자가 동일극일 경우 120° 각도로 3개의 위치에 설치되고, 고정자는 180° 각도로 N극과 S극, 2개의 극으로, 2개의 위치에 결합되며 반대로 회전자가 2개의 극으로 결합되면, 고정자는 동일극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달측 및 후륜측의 회전자는 비자성체로 만들어지며, 후륜측고정자커버(61)의 고정방법으로는 후륜측고정자커버의 가운데 동공에 암나사산이 새겨져, 후륜중심축의 수나사산과 결합된 후, 콘너트와 너트를 이용 자전거 뒤축을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후륜측고정자커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성기어를 이용한 제1가속동력구동장치, 영구자석의 자력힘을 이용한 제1, 제2가속동력구동장치를 자전거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지역도로특성, 이용자의 이용목적에 맞는 속력이 증가되고 힘이 큰 토크로 똑같은 거리를 주행할 시 시간이 절약되고 힘이 덜 들게 되며, 제1, 제2가속동력구동장치를 기존 자전거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 경제적 비용 절감 효과와 레저 취미 생활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제1가속동력구동장치에 의한 구동회전력이 후륜측 다단체인기어(57)에 전달되면 다단체인기어와 치합되어 있는 구동휠이 회전하는데, 자전거 이용자의 체중, 자전거무게, 도로조건(경사지등)에 따라 회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감소하는 회전력을 영구자석(51)의 자력을 이용한 페달측고정자(15), 페달측회전자(16)의 결합으로 이뤄진 제1가속동력구동장치가 작동함으로서 속도가 일정 지속되도록 함으로서 폐달링을 밟는 힘을 적게 들일 수 있다. 또한, 제2가속동력구동장치에서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후륜측회전자(53), 후륜측고정자커버(61) 내경에 자석을 이용한 후륜측고정자(52)를 설치하면 자력의 상호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을 증가시키고 페달링에 드는 힘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제 1도 본 발명의 자전거용 페달측 가속동력구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2도 본 발명의 자전거용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3도 본 발명의 자전거용 가속동력구동장치의 페달중심축과 유성기어 작동상태도.
제 4도 본 발명의 자전거용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의 페달중심축, 페달측회전자,페달측고정자 결합 사시도.
제 5도 본 발명의 자전거용 제1, 2 가속동력구동장치의 허브, 회전자, 고정자 작동상태도.
제 6도 본 발명의 자전거용 제2 가속동력구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7도 본 발명의 자전거용 제2 가속동력구동장치의 후륜측회전자 후륜측고정자 후륜축고정자커버 결합 사시도.
상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은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페달측 가속동력구동장치 결합 사시도로서, 체인이 물리는 구동 스프라켓 방향은 유성기어장치를 이용한 것이고, 반대쪽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것으로,
페달측회전자가 중심회전축의 사각면에 치합되어 결합되며, 페달측회전자는 회전자의 외곽에 120도 각도로 만들어진 3개의 원형구 돌출부에 동공이 난 네오디윰 영구자석을 원형구 돌출부에 끼워 접합시킴으로써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의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는, 페달중심축(13), 페달측회전자(16), 유성기어 장치가 원통허브(41)와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는 사람의 발힘으로 1차 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로 구성된 페달(11)과 크랭크암(12), 폐달중심축(13)과 결합되는 페달측회전자(16), 원통허브(41)안에 설치된 페달측고정자(15)로 구성된 동력입력부;
다양한 가속동력구동장치를 실현시키는 다수의 유성기어(21), 유성기어와 유성기어캐리어(23)를 연결시키는 축핀, 핀공(24), 유성기어와 유성기어캐리어를 연결시키는 캐리어동심원판(25)으로 구성된 동력변속부;
중심축상에 위치하여 유성기어와 치합결속되어 가속출력을 얻는 태양기어(31)와 태양기어의 한쪽 끝단(32)에 결합되어 뒷바퀴 축에 체인을 매개로 동력을 연결시키는 체인링 (33)으로 구성된 동력출력부 및
허브 몸통 안쪽에 기어산이 만들어져 가속동력구동장치의 링기어(22)역할, 몸통 내경안에 링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지지역할을 하는 원형허브(41), 원형허브 몸통커버(42), 허브와 페달중심축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돕는 베아링이 삽입된 베어링망(43)으로 이뤄진 동력고정부로 구성한다.
동력입력부는 페달달중심축(13) 양 끝단을 사각으로 형성하여 크랭크암(12)을 고정시키는 수놈 역할을 하도록 하고 크랭크암의 한쪽은 사각으로 형성된 중심축(13) 끝단에 삽입,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은 암나사로 이뤄진 동축에 페달의 수나사가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페달의 구름작용시 중심축이 좌.우로 이격하지 않도록 가이드캠(14)를 중심축(13) 좌우에 설치하며, 페달중심축의 한쪽은 유성기어캐리어(23)의 중공상의 사각면과 치합되며, 유성기어캐리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페달측회전자(16)가 중공상의 사각면과 치합된다.
동력변속부는 중심축상에 위치하며 다수의 유성기어(21)가 유성기어캐리어(23)에 조합되며, 캐리어 한 쪽의 돌출된 동심원판은 폐달중심축(13)과 사각으로 물려서 치합되며, 사각면의 바깔원형은 태양기어(31)와 치합된다. 캐리어동심원판의 중심에서 동일거리 상에 유성기어수와 같은 동일간격의 핀공(24)을 내고 돌출되지 않은 다른 쪽 동심원판(25)에도 중심에서 동일거리 상에 동일간격의 핀공(24)을 내어 축핀을 끼우고 축핀상에 유성기어(21)가 결합되도록 한다.
동력출력부는 폐달중심축(13)의 중공상에 위치하며 태양기어의 한쪽부분은 동력변속부의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최종 동력원을 출력하며 유성기어와 맞닿지 않는 태양기어의 한쪽 끝단(32)에 체인링(33)을 결합시키되 체인링에는 체인을 끼워 후륜측 다단체인기어(57)와 연결되도록한다.
동력고정부는 다수의 유성기어와 연접되어 유성기어가 구동할 수 있도록 허브몸통(41)안쪽으로 기어산이 새겨져 링기어 역할을 하며 허브몸통 한쪽 방면은 중심축과 연동되도록 중심축 보다 아주 조금 큰 중공을 내고 또 다른 한쪽은 허브(41)안에 기어산을 만들 수 있고 다른 동력구동장치들이 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허브와 같은 직경으로 만들되 태양기어의 동력출력접속부(32)에 체인링(33)이 결합되도록 태양기어 중심회전축 직경보다 크게 원형구멍을 낸 동심원판 허브몸통커버(42)로 이뤄지며 커버 끝 원형부분은 수나사를 새겨 허브(41) 끝단 암나사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허브는 내경안에 링기어(22)와 이격되어 자석 N극과 S극이 설치됨으로서 페달측고정자(15) 역할도 하는데 페달측회전자(16)와 상호작용하여 자전거 이용자의 발힘으로 돌리는 페달중심축(13)이 가속회전토록 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용 가속동력구동장치의 폐달중심축과 유성기어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페달중심축과 유성기어캐리어가 사각으로 치합되며 자전거이용자의 발힘에 의한 회전력이 캐리어를 돌리면 기어비에 의해 캐리어의 1회전보다 태양기어의 회전이 같은 방향으로 더 빨리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페달중심축과 페달측회전자, 네오디윰 영구자석의 결합을 나탄낸 사시도로 페달중심축 한쪽끝 사각면과 페달측회전자의 가운데 사각면이 치합되어 결합됨으로서 페달중심축을 회전시키면 동일 방향으로 페달측회전자도 같이 회전하게 되며, 페달측회전자(16) 외곽 둘레에 120° 각도로 돌출된 3개의 원형구 돌출부에 동공이 난 영구자석을 끼워 결합시킴으로서 페달측고정자(15)의 영구자석과 밀고 당기는 자력의 상호작용시 자석이 이탈됨을 방지한다. 페달측고정자는 허브몸통 내경 안쪽에 설치되며 180° 각도로 마주보게 2곳이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전거용 제1, 제2가속동력구동장치의 허브,회전자,고정자 작동상태도로 페달중심축(13)이 회전하면 중심축과 사각으로 치합되어 있는 페달측회전자(16)가 허브에 설치된 페달측고정자(15)와 자석의 자력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가속회전력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가속동력구동장치에서의 페달측회전자(16)는 페달중심축(13)과 치합되어 설치되나, 제2가속동력구동장치에서의 후륜측회전자(53)는 후륜허브(54)상에 설치되며, 회전자가 한쪽극으로만 구성되면 고정자는 N극, S극 2개극으로 구성되며, 회전자가 2개극으로 구성될 경우 고정자는 1개극으로만 구성된다.
도 5는 제1, 제2가속동력구동장치에 있어서 자석의 상호 밀고 당기는 자력작용으로 120° 가속회전이 발생하는 작용을 설명한 것으로 도5-1과 같이 12시, 6시 방향에 N극과 S극을 가진 페달측고정자(후륜측고정자)를 설치하고 페달측회전자(후륜측회전자)상에 120° 각도로 3개의 한쪽극만을 가진 회전자를 설치하여 중심축이 회전하면 도5-1, 도5-2, 도5-3, 도5-4와 같이 회전자가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자에 N극이 설치된 경우, 3개의 회전자 극중 1개가 12시 방향이나, 6시방향,고정자의 S극과 마주치는 순간 자석상호간 떨어지지 않으려는 성질을 띠면서 회전을 반대하는 응력이 순간적으로 축척되나 다른 2개의 회전자극과 1개의 고정자 극끼리의 당기고 미는 작용과 자전거이용자의 페달밟는 힘에 의한 관성의 법칙에 따라 저항수위를 넘어서면 3개의 회전자 극과 2개의 고정자 극들이 상호 밀고 당기는 자력작용으로 120° 가속회전하게 되며 이 현상이 지속적 반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전거용 제2가속동력구동장치들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뒤축프레임(56), 후륜허브(54), 다단체인기어(57), 후륜중심축(55),후륜측회전자(53), 후륜측고정자(52),후륜측고정자커버(61),볼트(62)로 구성되며, 후륜측회전자(53)는 후륜허브의 다단체인기어가 결합된 반대편 허브상에 설치된다. 후륜측회전자는 후륜허브가 후륜측회전자상에 설치되는 가우스가 매우 센 네윰디옴 자석에 의해 자화되지 않도록 비자성체인 물질로 만들어지며, 후륜측회전자 몸통 가운데 동축상에 허브의 끝단에 새겨진 수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도록 동축 안쪽에 암나사산이 새겨져 나사산의 결합으로 일체화되며 후륜측회전자 외곽쪽은 120°각도로 3개의 둥근 구형볼트(62)가 채워질 수 있도록 3개구멍에 암나사가 새겨지며 나사산이 새겨지지 않은 볼트(62) 위쪽부분에 동공이 난 원형자석(51)을 끼움으로서 회전시 자석이 위치 변경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제2가속동력구동장치의 후륜측고정자(52)와 후륜측고정자커버, 후륜측회전자, 후륜중심축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로 후륜측고정자는 후륜고정자커버(61) 내경 안쪽에 결합되며 후륜측고정자도 페달측 고정자와 같이 N극 S극 2개의 극으로 구성되며 후륜측고정자커버 내측면에 180° 각도로 마주보게 2곳에 설치된다. 화살촉 모양의 뽑쪽한 양면에 N극과 S극 2개의 극이 결합되도록 하고 후륜측고정자커버의 동공이 난 부분으로 삽입한후 커버 바깥에서 후륜측고정자의 수나사산이 새겨진 부분을 너트로 고정시킨다. 후륜측고정자커버는 후륜중심축과 치합되는데 후륜측고정자커버 동공에 암나사산을 새기고 후륜중심축에 새겨진 수나사산과 결합시킨 후 자전거 뒤축을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과 같이 콘너트(59)와 너트(58)를 이용 고정시킨다.
제2 가속동력구동장치도 도 5의 작동원리와 같이 자전거이용자의 페달 발구룸 작용으로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가 가속회전하여 페달측 스프라켓(33)을 회전시키면 체인을 매개로 제2가속동력구동장치의 다단체인기어(57)가 회전하고 후륜허브상에 결합된 후륜측회전자(53)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5의 작동상태도와 같이 가속회전하게 됨에, 힘이 덜들고 빠르게 회전하는 가속구동자전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10: 동력입력부 11: 페달 12: 크랭크암 13: 페달중심축 14: 가이드 캠
15: 페달측고정자 16: 페달측회전자
20: 동력변속부 21: 유성기어 22: 링기어 23: 유성기어캐리어 24: 핀공
25: 유성기어조합 동심원판
30: 동력출력부 31: 태양기어 32: 태양기어와 체인링 접속부 33: 체인링
40: 동력고정부 41: 원통허브 42: 허브몸통커버 43: 베어링망
51: 영구자석 52: 후륜측고정자 53: 후륜측회전자
54: 후륜허브 55: 후륜중심축 56: 프레임 57: 다단체인기어
58: 고정너트 59: 콘너트
60: 한방향동력전달장치(원웨이클러치) 61: 후륜측고정자커버 62: 볼트

Claims (6)

  1. 좌우 한 쌍의 크랭크암(12)에 연결된 페달(11)과 좌우 한 쌍의 크랭크암에 결합하는 페달중심축(13), 상기 페달중심축과 치합하는 페달측회전자(16) 및 원통허브(41)와 결합하는 페달측고정자(15)로 구성된 동력입력부;
    상기 페달중심축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유성기어(21), 링기어(22), 유성기어 캐리어(23), 상기 유성기어의 축핀을 끼우는 핀공(24) 및 상기 유성기어를 결합시키는 유성기어조합 동심원판(25)으로 구성된 동력변속부;
    상기 페달중심축(13)상에 위치하여 유성기어와 치합결속되어 가속출력을 얻는 태양기어(31)와 상기 태양기어와 체인링 접속부(32)와 연결 결합되어 후륜축에 체인을 매개로 동력을 연결시키는 체인링(33)으로 구성된 동력출력부 및
    상기 원통허브 안쪽에 상기 링기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고정자 역할을 하는 영구자석(51) 및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는 원통허브(41)로 이뤄진 동력고정부로 구성된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와,
    상기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로부터 체인을 매개로 회전하는 동력을 후륜중심축(55)상의 후륜허브(54)에 전달하는 다단체인기어(57);
    상기 다단체인기어와 후륜허브간에 회전 동력을 한방향으로 단속하는 한방향동력전달장치(60);
    상기 후륜허브를 중심으로 일측에 다단체인기어가 설치되고 타측에 설치된 후륜측회전자(53);
    상기 후륜측회전자에 원주면에 볼트(62)로 고정되는 영구자석(51) 및
    후륜측고정자커버(61)의 내주면에 상기 후륜측회전자에 대향하여 설치된 2개의 후륜측고정자(52)를 포함한 제2 가속동력구동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페달측회전자의 사각홀은 페달중심측 사각면과 치합되어 결합되며, 페달측회전자 원주면 120°각도상에 3개의 원형자석을 볼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가속동력구동장치의 동력변속장치는 페달중심축(13)과 유성기어캐리어(23) 중공 안쪽면은 사각으로 결합되어 페달의 회전력이 캐리어에 전달되도록 하고 캐리어 중공 바깥면은 태양기어(31) 축상의 원주와 접하도록 하여 페달중심축(13)의 회전력이 캐리어를 거쳐 다수의 유성기어와 회전력이 변속되어 태양기어(22)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페달측 및 후륜측의 고정자 및 회전자에는 영구자석(5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페달측 회전자(16)는 페달중심축에 치합되며(13), 후륜측 다단체인기어(57) 반대편에 고정되는 후륜측회전자(53)는 후륜허브와 결합되며, 후륜측고정자커버(61)에는 후륜측고정자(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5. 제1 항에 있어서, 페달측 및 후륜측의 고정자 및 회전자에 동일한 간격으로 영구자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회전자가 동일극일 경우 120° 각도로 3개의 위치에 설치되고, 고정자는 180° 각도로 N극과 S극, 2개의 극으로, 2개의 위치에 결합되며 반대로 회전자가 2개의 극으로 결합되면, 고정자는 동일극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6. 제1 항에 있어서, 페달측 및 후륜측의 회전자는 비자성체로 만들어지며, 후륜측고정자커버(61)의 고정방법으로는 후륜측고정자커버의 가운데 동공에 암나사산이 새겨져, 후륜중심축의 수나사산과 결합된 후, 콘너트와 너트를 이용 자전거 뒤축을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후륜측고정자커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KR1020180060930A 2018-05-29 2018-05-29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KR102116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30A KR102116349B1 (ko) 2018-05-29 2018-05-29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30A KR102116349B1 (ko) 2018-05-29 2018-05-29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60A KR20190135660A (ko) 2019-12-09
KR102116349B1 true KR102116349B1 (ko) 2020-05-28

Family

ID=6883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930A KR102116349B1 (ko) 2018-05-29 2018-05-29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45A (ko) * 2021-01-25 2022-08-02 이문구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885A1 (ko) 2019-10-29 2021-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전 검출 장치, 누전 검출 방법 및 전기 차량
CN111959672A (zh) * 2020-08-18 2020-11-20 姜立人 一种适用于自行车的二速自动变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688A (ja) 2000-06-05 2001-12-11 Yamaha Motor Co Ltd 電動自転車用モータ駆動ユニット
KR100983985B1 (ko) * 2010-04-02 2010-09-27 송윤이 자전거용 변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803Y1 (ko) 2006-02-20 2006-06-14 김시철 유성기어 장치를 사용한 자전거의 구동 장치
KR101685202B1 (ko) * 2010-03-08 2016-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랙션 모터 모듈 및 전동 자전거
KR20110108493A (ko) * 2010-03-29 2011-10-06 이대일 자가발전형 허브모터를 이용한 전기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688A (ja) 2000-06-05 2001-12-11 Yamaha Motor Co Ltd 電動自転車用モータ駆動ユニット
KR100983985B1 (ko) * 2010-04-02 2010-09-27 송윤이 자전거용 변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45A (ko) * 2021-01-25 2022-08-02 이문구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KR102495338B1 (ko) 2021-01-25 2023-02-06 이문구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60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349B1 (ko)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CN203698585U (zh) 轮毂和自行车
US9608495B2 (en) Integrated ebike motor and battery assembly
KR100901436B1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CN106394799B (zh) 用于电动自行车再生的带有可选固定齿轮的内部齿轮轮毂
US9555853B2 (en) Propulsion system for human powered vehicles
WO2009062418A1 (fr) Moyeu de vélo magnétoélectrique à lévitation magnétique
KR20110064759A (ko) 발전 겸용 전동수단을 갖는 자전거용 바퀴
TWI546207B (zh) Existing wheel side removable disc device
KR200418803Y1 (ko) 유성기어 장치를 사용한 자전거의 구동 장치
KR20110079393A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CN109110044B (zh) 一种内变速磁力蓄能车轮
KR101195422B1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KR20160058308A (ko) 가속기를 구비한 자가발전 무체인 자전거
US20180346060A1 (en) Human Powered Flywheel Drive System
KR20110000739U (ko) 주행속도 향상을 위한 자전거용 가속장치
KR102495338B1 (ko)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KR20200084298A (ko)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가속동력구동장치
TWI646016B (zh) 電助力自行車驅動裝置
TW201741190A (zh) 自行車電助力驅動裝置
CN220743287U (zh) 助力自行车发电模块传动系统
CN212861769U (zh) 小轮径休闲车之传动机构
KR102049661B1 (ko) 체인없는 자전거
CN200988562Y (zh) 自行车链条动力传递构造
WO2012126176A1 (zh) 电动自行车及其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