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273B1 - 유리창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창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273B1
KR102116273B1 KR1020170098629A KR20170098629A KR102116273B1 KR 102116273 B1 KR102116273 B1 KR 102116273B1 KR 1020170098629 A KR1020170098629 A KR 1020170098629A KR 20170098629 A KR20170098629 A KR 20170098629A KR 102116273 B1 KR102116273 B1 KR 102116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ndow
pair
glas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757A (ko
Inventor
황혜숙
Original Assignee
황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숙 filed Critical 황혜숙
Priority to KR102017009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2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과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유리창의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와이퍼가 마련되고, 제 1 내지 제 3 와이퍼 각각이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에 동반하여 한 쌍의 유리창 전후면을 청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창 청소 장치{CLEANING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되어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유리창의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창은 유리를 낀 창을 뜻하는 말로써, 자동차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후좌우면에 설치되거나 빌딩 내지 아파트 등 건물의 조망권을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특정한 위치에 설치되기도 한다.
유리창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된 유리는 규사,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슘이 포함된 물질이 고온에서 용해되어 높은 투명도를 갖는 물체이다. 이렇듯 투명도가 높은 유리는 표면에 이물질이 묻을 경우, 특유의 성질로 인하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이 더욱 도드라져 보일뿐더러, 건물의 조망권을 훼손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자동차의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차량용 와이퍼가 사용되었다. 차량용 와이퍼는 유리의 표면을 문지르며 왕복 운동함으로써,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반면, 건물에 설치된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유리창 스퀴지, 유리창 워셔 및 밀대형 걸레 등의 유리창닦이 청소 용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는 차량의 전원공급에 의해 자동으로 유리의 표면을 청소하는 데 반해, 건물의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한 유리창닦이 청소 용품은 사용자가 직접 구비하여 청소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유리창닦이 청소 용품은 사용자의 팔이 닿지 않는 곳에서는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창틀의 내측, 즉 건물의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은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과 마주보는 표면 안쪽이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짜증스러움을 유발하였다. 한편,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건물의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 또한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과 마주보는 표면 안쪽이 사용자의 손에 닿지 않았으므로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안겨주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263호(공고일자 2012년05월16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161호(공고일자 2011년06월30일)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3316호(공고일자 2011년06월22일)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449호(공고일자 2010년12월13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리창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유리창의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창틀에 위치한 한 쌍의 유리창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1 와이퍼;
세척액이 담긴 세척액 저장부와 상기 세척액 저장부를 펌핑하여 상기 세척액을 전달하는 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창이 위치한 벽면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액을 전달하는 세척액 분사 모듈; 및
상기 세척액 분사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세척액 분사 모듈로부터 펌핑된 상기 세척액을 전달받아 하부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으로 분사하는 세척액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퍼는,
측면이 한 쌍의 상기 유리창 각각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 1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 1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1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1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1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전면의 양 단부가 중심 측으로 절곡되어 한쌍의 제 1 인입구를 형성하고, 한쌍의 상기 제 1 인입구의 중심 측 단부는 상기 사각 파이프 형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 1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사각 파이프 내측에 상기 제1 인입구와 평행하게 삽입되어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기 인입구와 마주보는 후면의 길이와 폭에 상응하는 길이와 폭의 판 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탄성 흡수편,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전방의 양 단부가 중심 측으로 절곡되어 한쌍의 제 2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편의 중심 측 단부는 상기 직사각 파이프 형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 1 지지편이 형성되는 제1 수용구, 및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용구의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선으로 구성되고 ,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기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인입구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제1지지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지지대에 대응하는 변의 길이가 상기 제 1 지지대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제1 연결선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방충망에 설치되는 제 2 와이퍼를 포함한다. 제 2 와이퍼는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다. 상기 제 2 와이퍼는 삽입부, 제 2 고정부, 제 2 연결부 및 제 2 세척부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상기 방충망의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된 틈에 삽입 고정된다. 제 2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한다. 제 2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 2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제 2 세척부는 일측이 상기 제 2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거나 상기 방충망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이 위치한 창틀에 설치되는 제 3 와이퍼를 포함한다. 제 3 와이퍼는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다. 상기 제 3 와이퍼는 브라켓부, 제 3 고정부, 제 3 연결부 및 제 3 세척부를 포함한다. 브라켓부는 상기 창틀에 위치하여 한 쌍의 상기 유리창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세척액 분사 노즐에 고정된다. 제 3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한다. 제 3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제 3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제 3 세척부는 일측이 상기 제 3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내측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다.
삭제
상기 제 1 연결부는 제 1 탄성흡수편, 제 1 연결선 및 제 1 수용구를 포함한다. 제 1 탄성흡수편은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입구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제 1 연결선은 상기 제 1 탄성흡수편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대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제 1 수용구는 상기 제 1 연결선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연결부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편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세척부는 제 1 고정편, 제 1 연장선 및 제 1 스퀴지를 포함한다. 제 1 고정편은 상기 제 1 세척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구에 삽입 고정된다. 제 1 연장선은 상기 제 1 고정편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편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제 1 스퀴지는 상기 제 1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개폐동작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유리창 표면을 닦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과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유리창의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한 쌍의 유리창 중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이 개폐되면,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과 후면,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한 쌍의 유리창 중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이 개폐되면, 외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과 후면, 내측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닥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제 1 와이퍼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유리창에 설치되는 제 1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방충망에 설치되는 제 2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창틀에 설치되는 제 3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가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유리창이 개폐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제 1 와이퍼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유리창에 설치되는 제 1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방충망에 설치되는 제 2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창틀에 설치되는 제 3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유리창과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유리창 내지 방충망의 개폐동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한 구석진 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 각각에 설치되는 제 1 와이퍼(100)와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를 포함한다.
제 1 와이퍼(100)는 창틀에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 한 쌍의 유리창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한 쌍의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즉, 제 1 와이퍼(100)는 예컨대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이 상호 교차되면, 마주보는 유리창 각각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유리창이 위치하는 지점을 전방과 후방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사용자가 건물의 내부에서 유리창 청소 장치를 바라보는 지점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와이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110), 제 1 연결부(120) 및 제 1 세척부(130)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110)는 측면이 한 쌍의 유리창 각각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제 1 고정부(110)는 제 1 와이퍼(100)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후술할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110)는 유리창의 유리창 프레임 길이 및 잠금장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부(110)는 제 1 인입구(111)와 제 1 탄성부재(112)를 포함하고, 제 1 완충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입구(111)는 제 1 고정부(11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인입구(111)는 제 1 고정부(11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대(111a)가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1 연결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12)는 제 1 고정부(1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 1 고정부(110)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어 제 1 인입구(11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12)는 예를 들어, 용수철 등의 탄성력을 갖는 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부(120)에 보다 큰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완충부재(113)는 제 1 지지대(111a)의 내측에 감싸여 제 1 인입구(1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완충부재(113)의 후면에는 제 1 고정부(110)에 삽입된 제 1 연결부(120)의 일측 전면이 위치하여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원력을 갖는 제 1 완충부재(113)는 제 1 탄성부재(112)에 의해 제 1 고정부(110)의 전면, 즉 제 1 고정부(110)에 삽입된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응하여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이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20)는 일측이 제 1 고정부(11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1 인입구(111)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연결부(120)는 제 1 고정부(11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 1 세척부(13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결부(120)는 제 1 탄성흡수편(121)과 제 1 연결선(122) 및 제 1 수용구(123)를 포함한다.
제 1 탄성흡수편(121)은 제 1 연결부(120)의 일측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인입구(111)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1 탄성흡수편(121)은 제 1 탄성부재(1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탄성흡수편(121)은 전면이 제 1 완충부재(113)의 후면과 맞닿음으로써, 제 1 완충부재(113)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탄성부재(1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거나 제 1 탄성부재(112)로 탄성력을 되돌려 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 1 연결부(120)가 제 1 와이퍼(100)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연결선(122)은 제 1 탄성흡수편(121)에 연장 형성되고, 제 1 지지대(111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1 연결선(122)은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으로 향하는 길이가 제 1 지지대(1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1 탄성흡수편(121)이 제 1 와이퍼(1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수용구(123)는 제 1 연결선(122)에 연장 형성되고, 제 1 연결부(12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1 세척부(13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수용구(123)는 제 1 연결부(12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1 지지편(123a)이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1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20)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제1 고정부(110)의 상기 사각 파이프 내측에 제 1 인입구(111)와 평행하게 삽입되어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기 인입구와 마주보는 후면의 길이와 폭에 상응하는 길이와 폭의 판 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탄성 흡수편(121),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12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전방의 양 단부가 중심 측으로 절곡되어 한쌍의 제 2 지지편(123b)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편(123b)의 중심 측 단부는 상기 직사각 파이프 형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 1 지지편(123a)이 형성되는 제1 수용구(123), 및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121)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용구(123)의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선(122)으로 구성된다.
제 1 세척부(130)는 일측이 제 1 연결부(12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1 수용구(123)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1 세척부(130)는 제 1 연결부(1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 1 와이퍼(100)의 전후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할 수 있고, 유연한 재질로 인해 제 1 와이퍼(100)의 좌우 방향으로도 와이핑 작용할 수 있다. 즉, 제 1 세척부(130)는 제 1 와이퍼(1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함으로써, 한 쌍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세척부(130)는 제 1 고정편(131)과 제 1 연장선(132) 및 제 1 스퀴지(133)를 포함한다.
제 1 고정편(131)은 제 1 세척부(130)의 일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수용구(123)에 삽입 고정된다. 즉, 제 1 고정편(131)은 후면이 제 1 수용구(123)의 내부 후면과 맞닿고, 전면이 제 1 지지편(123a)에 걸림으로써, 제 1 수용구(1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 1 연장선(132)은 제 1 고정편(131)에 연장 형성되고, 제 1 지지편(123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1 연장선(132)은 예컨대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1 세척부(130)가 제 1 와이퍼(100)의 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스퀴지(133)는 상기 제 1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양측면이 내측으로 만곡된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유리창이 개폐됨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한 쌍의 유리창 표면, 즉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제 1 스퀴지(133)는 제 1 와이퍼(1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정 길이의 고무 재질로 된 유리창닦이 날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와이퍼(200)는 한 쌍의 유리창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에 설치되고, 한 쌍의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즉, 제 2 와이퍼(200)는 예컨대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과 방충망이 상호 교차되면, 방충망과 마주보는 유리창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와이퍼(200)는 제 2 고정부(210), 제 2 연결부(220), 제 2 세척부(230) 및 삽입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와이퍼(200)의 삽입부(2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 1 와이퍼(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형태를 지니므로 제 2 와이퍼(200)의 분해도는 도 4로 대체하며, 제 2 와이퍼(200)의 참조번호 또한 제 1 와이퍼(100)의 참조번호에 대응되는 것으로 대체한다.
제 2 고정부(210)는 방충망의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제 2 고정부(210)는 제 2 와이퍼(200)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후술할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210)는 유리창의 유리창 프레임 길이 및 잠금장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고정부(210)는 제 2 인입구(211)와 제 2 탄성부재(212) 및 제 2 완충부재(213)를 포함하고, 제 2 완충부재(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입구(211)는 제 2 고정부(21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인입구(211)는 제 2 고정부(21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2 지지대(211a)가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2 연결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212)는 제 2 고정부(2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 2 고정부(210)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어 제 2 인입구(21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212)는 예를 들어, 용수철 등의 탄성력을 갖는 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연결부(220)에 보다 큰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완충부재(213)는 제 2 지지대(211a)의 내측에 감싸여 제 2 인입구(2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완충부재(213)의 후면에는 제 2 고정부(210)에 삽입된 제 2 연결부(220)의 일측 전면이 위치하여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원력을 갖는 제 2 완충부재(213)는 제 2 탄성부재(212)에 의해 제 2 고정부(210)의 전면, 즉 제 2 고정부(210)에 삽입된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응하여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이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220)는 일측이 제 2 고정부(21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2 인입구(211)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연결부(220)는 제 2 고정부(21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 2 세척부(23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연결부(220)는 제 2 탄성흡수편(221)과 제 2 연결선(222) 및 제 2 수용구(223)를 포함한다.
제 2 탄성흡수편(221)은 제 2 연결부(220)의 일측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인입구(211)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2 탄성흡수편(221)은 제 2 탄성부재(2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탄성흡수편(221)은 전면이 제 2 완충부재(213)의 후면과 맞닿음으로써, 제 2 완충부재(213)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탄성부재(2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거나 제 2 탄성부재(212)로 탄성력을 되돌려 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 2 연결부(220)가 제 2 와이퍼(200)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연결선(222)은 제 2 탄성흡수편(221)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지지대(211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2 연결선(222)은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으로 향하는 길이가 제 2 지지대(2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2 탄성흡수편(221)이 제 2 와이퍼(2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수용구(223)는 제 2 연결선(222)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연결부(22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2 세척부(23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2 수용구(223)는 제 2 연결부(22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2 지지편(223a)이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2 세척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세척부(230)는 일측이 제 2 연결부(22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2 수용구(223)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2 세척부(230)는 제 2 연결부(2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 2 와이퍼(200)의 전후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할 수 있고, 유연한 재질로 인해 제 2 와이퍼(200)의 좌우 방향으로도 와이핑 작용할 수 있다. 즉, 제 2 세척부(230)는 제 2 와이퍼(2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함으로써, 한 쌍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제 2 세척부(230)는 제 2 고정편(231)과 제 2 연장선(232) 및 제 2 스퀴지(233)를 포함한다.
제 2 고정편(231)은 제 2 세척부(230)의 일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수용구(223)에 삽입 고정된다. 즉, 제 2 고정편(231)은 후면이 제 2 수용구(223)의 내부 후면과 맞닿고, 전면이 제 2 지지편(223a)에 걸림으로써, 제 2 수용구(2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 2 연장선(232)은 제 2 고정편(231)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지지편(223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2 연장선(232)은 예컨대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2 세척부(230)가 제 2 와이퍼(200)의 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스퀴지(233)는 상기 제 2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양측면이 내측으로 만곡된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 또는 방충망이 개폐됨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제 2 스퀴지(233)는 제 2 와이퍼(2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정 길이의 고무 재질로 된 유리창닦이 날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240)는 방충망의 테두리에 형성된 방충망 프레임의 틈에 삽입 고정되도록 일정 크기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240)는 제 2 고정부(210)의 측면에 위치하여 삽입부(240)가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와이퍼(300)는 한 쌍의 유리창의 테두리에 위치한 창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을 닦을 수 있다. 즉, 제 3 와이퍼(300)는 예컨대 한 쌍의 미닫이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이 개폐되면,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와이퍼(300)는 제 3 고정부(310), 제 3 연결부(320), 제 3 세척부(330) 및 브라켓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와이퍼(300)의 브라켓부(3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 1 와이퍼(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형태를 지니므로 제 3 와이퍼(300)의 분해도는 도 4로 대체하며, 제 3 와이퍼(300)의 참조번호 또한 제 1 와이퍼(100)의 참조번호에 대응되는 것으로 대체한다.
제 3 고정부(310)는 창틀에 설치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제 3 고정부(310)는 제 3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후술할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3 고정부(310)는 유리창의 유리창 프레임 길이 및 잠금장의 위치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고정부(310)는 제 3 인입구(311)와 제 3 탄성부재(312) 및 제 3 완충부재(313)를 포함하고, 제 3 완충부재(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인입구(311)는 제 3 고정부(31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3 인입구(311)는 제 3 고정부(31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3 지지대(311a)가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3 연결부(3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3 탄성부재(312)는 제 3 고정부(3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제 3 고정부(310)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어 제 3 인입구(31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켜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탄성부재(312)는 예를 들어, 용수철 등의 탄성력을 갖는 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3 연결부(320)에 보다 큰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완충부재(313)는 제 2 지지대(211a)의 내측에 감싸여 제 3 인입구(311)의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완충부재(313)의 후면에는 제 3 고정부(310)에 삽입된 제 3 연결부(320)의 일측 전면이 위치하여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원력을 갖는 제 3 완충부재(313)는 제 3 탄성부재(312)에 의해 제 3 고정부(310)의 전면, 즉 제 3 고정부(310)에 삽입된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에 대응하여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이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연결부(320)는 일측이 제 3 고정부(31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3 인입구(311)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3 연결부(320)는 제 3 고정부(31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제 3 세척부(33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움직이며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연결부(320)는 제 3 탄성흡수편(321)과 제 3 연결선(322) 및 제 3 수용구(323)를 포함한다.
제 3 탄성흡수편(321)은 제 3 연결부(320)의 일측에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3 인입구(311)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3 탄성흡수편(321)은 제 3 탄성부재(3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아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3 탄성흡수편(321)은 전면이 제 3 완충부재(313)의 후면과 맞닿음으로써, 제 3 완충부재(313)의 복원력에 의해 제 3 탄성부재(312)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거나 제 3 탄성부재(312)로 탄성력을 되돌려 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 3 연결부(320)가 제 3 와이퍼(300)의 하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연결선(322)은 제 3 탄성흡수편(321)에 연장 형성되고, 제 2 지지대(211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3 연결선(322)은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으로 향하는 길이가 제 2 지지대(2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 3 탄성흡수편(321)이 제 3 와이퍼(300)의 전후면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수용구(323)는 제 3 연결선(322)에 연장 형성되고, 제 3 연결부(320)의 일부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여 제 3 세척부(330)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 3 수용구(323)는 제 3 연결부(320)의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제 3 지지편(323a)이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제 3 세척부(3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3 세척부(330)는 일측이 제 3 연결부(320)의 개방된 전면, 즉 제 3 수용구(323)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제 3 세척부(330)는 제 3 연결부(3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 3 와이퍼(300)의 전후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할 수 있고, 유연한 재질로 인해 제 3 와이퍼(300)의 좌우 방향으로도 와이핑 작용할 수 있다. 즉, 제 3 세척부(330)는 제 3 와이퍼(3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함으로써, 한 쌍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이러한 제 3 세척부(330)는 제 3 고정편(331)과 제 3 연장선(332) 및 제 3 스퀴지(333)를 포함한다.
제 3 고정편(331)은 제 3 세척부(330)의 일측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 3 수용구(323)에 삽입 고정된다. 즉, 제 3 고정편(331)은 후면이 제 3 수용구(323)의 내부 후면과 맞닿고, 전면이 제 3 지지편(323a)에 걸림으로써, 제 3 수용구(3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 3 연장선(332)은 제 3 고정편(331)에 연장 형성되고, 제 3 지지편(323a)에 양측면이 지지된다. 또한 제 3 연장선(332)은 예컨대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3 세척부(330)가 제 3 와이퍼(300)의 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 3 스퀴지(333)는 상기 제 3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양측면이 내측으로 만곡된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 또는 방충망이 개폐됨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제 3 스퀴지(333)는 제 3 와이퍼(3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와이핑 작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정 길이의 고무 재질로 된 유리창닦이 날로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부(340)는 창틀에 고정되도록 수회 절곡된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부(340)는 일측에 맞닿은 제 3 고정부(310)가 창틀에 설치되도록 창틀과 제 3 고정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부(340)는 제 1 부속편(341), 제 2 부속편(342) 및 제 3 부속편(343)을 포함한다.
제 1 부속편(341)은 브라켓부(34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 3 고정부(310)의 측면에 부착 또는 나사 결합된다. 제 1 부속편(341)은 브라켓부(340)와 제 3 고정부(31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부속편(341)은 제 3 와이퍼(300)가 설치되는 창틀과 제 3 와이퍼(300)가 와이핑 작용하는 유리창의 간격을 고려하여 제 3 고정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부속편(342)은 제 1 부속편(341)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제 2 부속편(342)은 제 3 부속편(343)이 창틀에 맞닿도록 하기 위해 제 1 부속편(341)과 수직 방향에 위치한다.
제 3 부속편(343)은 브라켓부(340)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 2 부속편(342)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제 3 부속편(343)은 창틀에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체결되어 제 3 와이퍼(300)가 창틀에 설치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7과 더불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가 유리창, 방충망 및 창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유리창이 개폐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제 1 와이퍼(100)와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가 유리창(1), 방충망(2) 및 창틀(3) 각각에 설치되어 창틀(3)의 전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 또는 유리창(1)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2)의 개폐동작에 따라 한 쌍의 유리창(1) 전후면을 모두 청소할 수 있다.
제 1 와이퍼(100)와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해 설명하면, 제 1 와이퍼(100)는 한 쌍의 유리창(1) 각각의 측면 프레임에 제 1 고정부(110)의 측면이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고정되어 유리창(1)의 상하 방향으로 유리창(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와이퍼(100)는 한 쌍의 유리창(1)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한 유리창(1)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와이퍼(200)는 방충망(2)의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된 틈에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거나 나사 고정됨으로써 방충망(2)의 상하 방향으로 방충망(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와이퍼(200)는 방충망(2)의 방충망 프레임 좌우측 어디에든 틈이 있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와이퍼(300)는 창틀(3)에 고정된 브라켓부(340)에 의해 창틀(3)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340)는 한 쌍의 유리창(1)이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제 1 와이퍼(100)가 설치된 위치에 근접한 창틀(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이나 얼룩을 효율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세척액 분사 모듈(400)과 세척액 분사 노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액 분사 모듈(400)은 예컨대 세제나 물 등의 세척액이 담긴 세척액 저장부와 세척액 저장부를 펌핑하여 세척액을 전달하기 위한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액 분사 모듈(400)은 유리창이 위치한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액을 전달하기 위한 펌핑 작동을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세척액 분사 노즐(500)은 세척액 분사 모듈(400)에 연결되어 창틀(3)의 상부에 위치한다. 세척액 분사 노즐(500)은 세척액 분사 모듈(400)로부터 펌핑된 세척액을 전달받아 하부에 위치한 유리창(1)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세척액 분사 모듈(400)에는 버튼부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척액을 유리창(1)에 분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1)과 방충망(2) 및 창틀(3) 각각에 제 1 와이퍼(100),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가 설치됨으로써,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이 개폐되면,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과 후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과 후면, 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 총 3 면을 동시에 닥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방충망(2)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유리창(1)의 전면을 닦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제 1 와이퍼(100), 제 2 와이퍼(200) 및 제 3 와이퍼(300)의 와이핑 작용을 위해 미닫이 유리창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100 : 제 1 와이퍼
110 : 제 1 고정부
111 : 제 1 인입구
111a : 제 1 지지대
112 : 제 1 탄성부재
113 : 제 1 완충부재
120 : 제 1 연결부
121 : 제 1 탄성흡수편
122 : 제 1 연결선
123 : 제 1 수용구
123a : 제 1 지지편
123b : 제 2 지지편
130 : 제 1 세척부
131 : 제 1 고정편
132 : 제 1 연장선
133 : 제 1 스퀴지
200 : 제 2 와이퍼
210 : 제 2 고정부
211 : 제 2 인입구
211a : 제 2 지지대
212 : 제 2 탄성부재
213 : 제 2 완충부재
220 : 제 2 연결부
221 : 제 2 탄성흡수편
222 : 제 2 연결선
223 : 제 2 수용구
223a : 제 2 지지편
230 : 제 2 세척부
231 : 제 2 고정편
232 : 제 2 연장선
233 : 제 2 스퀴지
240 : 삽입부
300 : 제 3 와이퍼
310 : 제 3 고정부
311 : 제 3 인입구
311a : 제 3 지지대
312 : 제 3 탄성부재
313 : 제 3 완충부재
320 : 제 3 연결부
321 : 제 3 탄성흡수편
322 : 제 3 연결선
323 : 제 3 수용구
323a : 제 3 지지편
330 : 제 3 세척부
331 : 제 3 고정편
332 : 제 3 연장선
333 : 제 3 스퀴지
340 : 브라켓부
341 : 제 1 부속편
342 : 제 2 부속편
343 : 제 3 부속편
400 : 세척액 분사 모듈
500 : 세척액 분사 노즐
1 : 유리창
2 : 방충망
3 : 창틀

Claims (6)

  1. 창틀에 위치한 한 쌍의 유리창 각각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1 와이퍼;
    세척액이 담긴 세척액 저장부와 상기 세척액 저장부를 펌핑하여 상기 세척액을 전달하는 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유리창이 위치한 벽면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액을 전달하는 세척액 분사 모듈; 및
    상기 세척액 분사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세척액 분사 모듈로부터 펌핑된 상기 세척액을 전달받아 하부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으로 분사하는 세척액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와이퍼는,
    측면이 한 쌍의 상기 유리창 각각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 1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 1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1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1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과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1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전면의 양 단부가 중심 측으로 절곡되어 한쌍의 제 1 인입구를 형성하고, 한쌍의 상기 제 1 인입구의 중심 측 단부는 상기 사각 파이프 형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 1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사각 파이프 내측에 상기 제1 인입구와 평행하게 삽입되어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기 인입구와 마주보는 후면의 길이와 폭에 상응하는 길이와 폭의 판 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탄성 흡수편,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전방의 양 단부가 중심 측으로 절곡되어 한쌍의 제 2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제 2 지지편의 중심 측 단부는 상기 직사각 파이프 형상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 1 지지편이 형성되는 제1 수용구, 및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용구의 후면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선으로 구성되고 ,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기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인입구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1 탄성 흡수편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제 1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제1지지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지지대에 대응하는 변의 길이가 상기 제 1 지지대의 폭보다는 크고, 상기 제1 연결선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전방에 위치한 방충망에 설치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2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와이퍼는,
    상기 방충망의 방충망 프레임에 형성된 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밀착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 2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 2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2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2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거나 상기 방충망이 개폐되면, 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전면을 닦는 제 2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 제 3 와이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와이퍼는,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에 연결되어 상기 창틀에 설치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와이퍼의 전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 3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 3 고정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전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제 3 연결부; 및
    일측이 상기 제 3 연결부의 개방된 전면에 삽입 고정되고,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이 개폐되면, 후방에 위치한 상기 유리창의 후면을 닦는 제 3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척부는,
    상기 제 1 세척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구에 삽입 고정되는 제 1 고정편;
    상기 제 1 고정편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편에 양측면이 지지되는 제 1 연장선; 및
    상기 제 1 연장선에 연장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유리창의 개폐동작에 따라 동반 운동하여 한 쌍의 상기 유리창 표면을 닦는 제 1 스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KR1020170098629A 2017-08-03 2017-08-03 유리창 청소 장치 KR102116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9A KR102116273B1 (ko) 2017-08-03 2017-08-03 유리창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9A KR102116273B1 (ko) 2017-08-03 2017-08-03 유리창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57A KR20190014757A (ko) 2019-02-13
KR102116273B1 true KR102116273B1 (ko) 2020-05-28

Family

ID=6536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29A KR102116273B1 (ko) 2017-08-03 2017-08-03 유리창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762A (ko) 2019-10-22 2021-04-30 김경인 유리창 청소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553Y1 (ko) * 2007-10-12 2009-11-10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세척식 창문용 와이퍼지지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316B1 (ko) 2008-04-29 2011-06-22 문재성 대형 창호 외부 유리 청소기
KR200453593Y1 (ko) * 2008-07-30 2011-05-12 이재익 유리창 청소장치
KR101000449B1 (ko) 2008-07-30 2010-12-13 조규호 양면유리창 청소기구
KR101145263B1 (ko) 2008-12-05 2012-05-16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세척식 창문용 세척와이퍼
KR101045161B1 (ko) 2009-07-13 2011-06-30 박영수 미닫이 창문의 실외 유리창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553Y1 (ko) * 2007-10-12 2009-11-10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세척식 창문용 와이퍼지지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57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7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KR102116273B1 (ko) 유리창 청소 장치
JP6847256B2 (ja) 洗浄装置および検出装置
KR101517026B1 (ko) 곡면 유리창 청소용 유리창 청소기구
KR101588330B1 (ko) 청소기 헤드
KR20100137906A (ko) 휴대용 물청소기
KR101616888B1 (ko) 스프레이 청소기용 청소도구
CN211381229U (zh) 洗鞋机的洗涤组件
US5499424A (en) Cleaning device for hard and flat surfaces
KR101981046B1 (ko) 벌레 제거기능을 갖는 차량용 와이퍼
KR200429423Y1 (ko) 분무장치가 구비된 세척기
KR101356522B1 (ko) 창문 청소기
US6141811A (en) Automatic hand washer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CN112869652A (zh) 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清洁机器系统
KR20110007413U (ko) 유리창 세척을 위한 세척판넬
KR200312920Y1 (ko) 창문조립체
CN208403581U (zh) 一种窗玻璃清洁海绵刷
CN110772191A (zh) 一种拖把清洗装置
KR20060103306A (ko) 유리창 닦는 장치
CN217744232U (zh) 一种清洁机器人
KR20190072741A (ko) 거울용 와이퍼
CN104523199A (zh) 一种可出水擦窗器
KR200266088Y1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창문
CN215874436U (zh) 擦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