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832B1 -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832B1
KR102115832B1 KR1020190043318A KR20190043318A KR102115832B1 KR 102115832 B1 KR102115832 B1 KR 102115832B1 KR 1020190043318 A KR1020190043318 A KR 1020190043318A KR 20190043318 A KR20190043318 A KR 20190043318A KR 102115832 B1 KR102115832 B1 KR 10211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blood
food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행수
문상욱
김진경
박음미
김원주
신은철
김영우
김재황
양봉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다
Priority to KR102019004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832B1/ko
Priority to CN201911058096.6A priority patent/CN110651888A/zh
Priority to US16/677,875 priority patent/US20200323239A1/en
Priority to EP19208311.1A priority patent/EP372171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4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bl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7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3Blood, e.g.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y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장균(E.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bacterial Activities Using Fermented Porcine Blood}
본 발명은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민생활의 향상과 소득 증대로 인해 육류 소비의 증가와 함께 국내 소와 돼지의 도축 두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선지를 입찰에 붙여 판매할 정도로 혈액 부산물은 인기가 많았으나, 식문화가 바뀌면서 이 중 절반 가량의 혈액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 처리되고 있다.
혈액은 대부분 단백질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급속히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데, 일반적으로 동물 혈액 1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수 5톤이 요구되는 등 2015년 기준 t당 처리 비용이 41만원으로서, 국내에서 연간 약 250억이 처리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도축 혈액을 위생적으로 수거, 분류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면 폐수 처리 비용을 경감할 수 있고 환경 오염 또한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013년부터 런던 협약의 발효로 도축 혈액의 해양투기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재활용 기술이 더욱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명칭이 "동물 혈액을 이용한 액비의 제조방법"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2648760000호, 명칭이 "가축 혈액을 이용한 아미노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1003290000호 등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최근 도축 혈액을 사료나 비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발명은 양돈 도축 혈액 발효물의 항균제로서의 재활용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양돈 혈액을 단백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하고 그 가수분해물을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tobacillus fermentum)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의 혼합 균주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이, 대장균(E.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양돈 혈액을 단백가수분해물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에 의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양돈 혈액은 혈액의 보관시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고 상기 단백가수분해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혈액 응고 방지제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혈액 응고 방지제는, 구연산나트륨, ACD(acid citrate dextrose), CPD(citrate phosphate dextrose), CPDA-1(CPD adenine-1) 등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1~15%(v/v) 범위로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수분해는 혈액 중 단백질 성분을 분해하여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툼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에 의한 발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단백가수분해효소에 의해 그 최적의 활성 조건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단백가수분해효소로는 펩신, 트립신, 파파인, 브로멜라인(bromelain), 뉴트라제(Neutrase™), 프로타멕스(Protamex™), 알칼레이즈(Alcalase™), 프로비아(Provia™) 등을 들 수 있고, 해당 효소 활성의 최적의 온도 조건은 예컨대 펩신 37℃, 트립신 25℃, 프로멜라인 45℃, 뉴트라제와 프로타멕스 50℃, 알칼레이즈 60℃ 일 수 있으며, 가수분해시간은 24~72 시간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통상 양돈 혈액의 1~3%(w/v)의 범위로 첨가되어 사용될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수분해물의 발효는 발효 미생물의 생장이 충분히 이루어져 안정기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발효 온도가 25~45℃일 경우 그 발효 시간은 2일~7일 범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수분해물의 발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탄소원이 상기 가수분해물에 적정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예컨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당밀, 덱스트로스 등이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수분해물의 0.1%(w/v) 내지 10%(w/v)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물은 발효 원액 자체이거나, 그 발효 원액을 동결건조, 감압농축, 진공건조, 분무건조, 열풍건조 등에 의하여 농축된 액상 또는 분말상의 농축물이거나, 상기 발효 원액 또는 상기 농축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추출물은 상기 추출 대상인 발효 원액 또는 농축물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추출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추출물도 조추출액 자체, 또는 조추출액이 동결건조, 감압농축, 진공건조, 분무건조, 열풍건조 등에 의하여 농축된 액상 또는 분말상의 농축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그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유효성분인 상기 발효물을,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이 구체화되는 제품 형태에 따라 0.00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의약외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분산제와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분산제로서 물, 알코올(예: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에테르(예: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등),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케로센 등), 방향족 탄화수소(예: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메틸 나프탈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산 아미드(예: 디메틸 포름아디드 등), 에스테르(예: 메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부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지방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 니트롤(예: 아세토니트릴 등), 계면 활성제(고급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 설폰산, 알킬 알릴 설폰산, 4급 암모늄 염, 옥시 알킬 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옥시드 화합물, 안하이드로 소르비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담체의 경우로서는 점토(예: 카올린, 벤토나이트, 산 점토 등), 활석(예: 활석 분말, 납석 분말 등), 실리카(예: 규조토, 규산 무수물, 운모 분말 등), 알루미나, 황 분말, 활성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담체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리대, 마스크, 구중 청량제, 치약제, 패드, 물티슈, 멸균 면봉, 멸균 장갑 등에 흡숩 또는 되어 도포되어 제조되거나 동물용 의약외품으로 제조될 경우 소독·살균제, 세정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그 항균 유효성분이 방부 용도로 첨가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르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한국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한국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과자류, 두류, 다류,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될 수 있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섭취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의 제조·유통을 규율하는 각국 법률(한국에서는 「식품위생법」임)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또는 기능 면에서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서는 식품첨가물이 성분 면에서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및 혼합 제제류로 구분되어 규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식품첨가물은 기능 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된다.
감미제는 식품에 적당한 단맛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 모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각국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그 항균 유효성분이 방부 용도로 첨가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되거나, 그 항균 대상 미생물이 일으키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된 약제학적 조성물(즉 항생제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균 유효성분의 항균 대상 미생물이 일으키는 질병은 예컨대 황생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 피부의 화농, 중이염, 방광염 등과, 폐렴균에 의한 폐렴 등과, 녹농균에 의한 심내막염, 폐렴, 수막염 등과,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두 가지 이상 경로의 조합의 예는 투여 경로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제형의 약물이 조합된 경우로서 예컨대 1차로 어느 한 약물은 정맥 내 경로로 투여하고 2차로 다른 약물은 국소 경로로 투여하는 경우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투여 경로나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약전"을 포함한 각국의 약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좌제로 제제화할 경우 그 담체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이 방부 용도로 첨가되거나 그 유효성분의 항균 대상 미생물이 일으키는 피부 트러블 완화 용도로 사용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피부 트러블은 황색포도상구균이 일으키는 피부의 화농, 부스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도 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용도상, 법률상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트러블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진 기능성 화장품, 비기능성 일반 화장품 등일 수 있다. 제품 형태에 있어서도 임의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의 제품 형태를 띨 수 있다. 구체적인 제품 형태에 있어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비타민, 색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이 방부 용도로 첨가되거나 항생제 용도로 첨가된 가축 또는 양식 어류의 사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가축 또는 양식 어류의 성장에 필요한 사료의 통상적인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성분들로서는 가축 또는 양식 어류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 예컨대 전분 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무기질 함유 물질 등을 말한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옥수수, 콩, 밀, 수수, 보리, 귀리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로서는 옥수수 분쇄물/분말, 귀리 분쇄물/분말, 콩 분쇄물/분말, 밀 분쇄물/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은 귀리 분말/분쇄물, 옥수수 분말/분쇄물, 밀 분말/분쇄물, 콩 분말/분쇄물 등이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양계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분 함유 물질은 약 30 내지 약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7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단백질 함유 물질은 통상 어분, 콩 분말 등과 같은 단백질 함유 물질이 사용되고 있는데, 다른 것들로서는 콩 단백질 농축물, 혈분, 혈장 단백질, 탈지유 건체물, 유(乳) 단백질 농축물, 옥수수 글루텐(Gluten) 분말, 밀 글루텐 분말, 이스트, 해바라기씨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어분, 혈분, 혈장 단백질, 콩 분말 등이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가축 또는 양식 어류의 성장을 도움이 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약 10 내지 약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지방 함유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 함유 물질로서는 라드(Lard), 우지, 콩기름, 레시틴, 코코넛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지방 함유 물질은 콩기름, 코코넛유 및 라드 등이다.
지방 함유 물질도 가축 또는 양식 어류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다. 지방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또한 수용성·지용성 비타민과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리보플라빈,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나이아신, 비타민 B12, 엽산, 비오틴,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무기물로서는 구리, 아연, 요오드, 셀렌, 망간, 철,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에 그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 중량 %로 포함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의약외품, 식품, 약품, 화장품, 사료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양돈 혈액 발효물의 제조 및 그것의 항균 활성
1. 양돈 혈액 발효물의 제조
양돈 혈액 시료는 제주도 소재 도축장에서 구입하였고, 이 혈액 시료에 혈액 응고 방지제인 4% 구연산나트륨 용액 10%(w/w)를 첨가하여 실험 전까지 냉동 보관하였다.
냉동 보관한 혈액 시료를 상온에서 해동시키고, 여기에 단백가수분해효소 프로비아(Provia™, Novozyme, Co.) 1%(w/v) 첨가하여 효소의 최적 활성 조건인 55℃에 3시간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혈액 가수분해물에, 발효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KACC 15736(Latobacillus fermentum KACC 15736) 배양액(1.5×108 cell/ml)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 KCTC 7083(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083) 배양액(4.5×107 cell/ml)의 1:1 중량비의 혼합액 6%(v/v)와 설탕 6%(w/v) 첨가하고 혼합한 후 30℃에서 6일 동안 50-70rpm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배양액을 진공농축기로 40 Birx와 50 Brix로 농축하여 항균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유산균 배양액은 MRS Broth 배지에서 준비하였으며, 효모균 배양액은 YM Broth 배지에서 준비하였다.
2. 양돈 혈액 발효물의 발효 특성
상기 발효물의 발효 특성을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보면, 발효 개시 후 3일째에는(10월 27일) 균수, pH, 발효취, 색상 등으로부터 발효 종료 시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며, 4일째부터 6일째까지는 균수는 다소 증가하며, pH는 4.0으로서 일정하게 유지되어, 생장기보다 안정기 상태로 나타났다. 특히 pH 4.0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실온에서의 12개월 정도의 장기보관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ure 112019037977074-pat00001
3. 일반 성분 분석 결과
일반 성분 분석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를 참조하여 보면, 납, 수은 등의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항생제 등도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농림축산식품부고시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9037977074-pat00002
3. 항균 실험
항균 실험은 ASTM E149 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시료를 1ml씩 취하고 이를 phosphate buffer(pH 7.0)에 넣고 혼합한 다음 여기에 각 시험균 배양액을 넣고 2.5×105cfu/ml의 농도로 조절하였다. 각 시료 및 시험균을 투입한 phosphat buffer 액의 전체 부피를 50ml되게 조절하여 투입한 시료의 농도가 2%(v/v)되게 조절하고 각 희석액 1ml를 취하여 균 배양용 필름배지에 도포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배양한 필름배지의 시험균 균수를 측정하였다.
4. 항균 실험 결과
항균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항균 실험 결과
구분  Blank 40Bx 시료 50Bx 시료
E.coli
(대장균)
초기균수 2.1 x 105 2.1x 105 2.1 x 105
24시간 후 1.3 x 105 < 30 < 30
세균감소율 - 99.9 99.9
S.aureus
(황색포도상구균)
초기균수 2.1 x 105 2.1 x 105 2.1 x 105
24시간 후 1.3 x 105 2.8 x 102 3.5 x 104
세균감소율 - 99.8 73.1
K.pneumoniae
(폐렴균)
초기균수 2.1 x 105 2.1 x 105 2.1 x 105
24시간 후 1.7 x 105 < 30 < 30
세균감소율 - 99.9 99.9
P.aeruginosa
(녹농균)
초기균수 2.1 x 105 2.1 x 105 2.1 x 105
24시간 후 1.3 x 105 < 30 < 30
세균감소율 - 99.9 99.9
S.typhimurium
(살모넬라)
초기균수 2.1 x 105 2.1 x 105 2.1 x 105
24시간 후 1.7 x 105 < 30 < 30
세균감소율 - 99.9 99.9
* 시료 농도: 2%(v/v)
세균 감소율 단위: %
세균수 단위: cell/mL
완충용액: PHOSPHATE BUFFER 50 mL (pH 7.2)
대조시료: 비발효 혈액(40Brix로 진공농축한 시료)
상기 표 1의 결과는 발효 혈액 시료가 시험 대상 모든 세균에 대해 매우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참고로 비발효 혈액 시료(구연산나트륨 처리 후 단백분해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비발효 시료임)는 전혀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오히려 상기 모든 세균이 증식하는 효과를 보였고 또한 육안상으로도 심하게 부패한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터 미제시).

Claims (8)

  1. 양돈 혈액의 단백가수분해물을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KACC 15736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 KCTC 7083의 혼합 균주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로서,
    상기 항균 활성은 대장균(E.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돈 혈액은 혈액 응고 방지제가 첨가된 양돈 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가수분해물은 탄소원이 5 내지 7 중량%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90043318A 2019-04-12 2019-04-12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10211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18A KR102115832B1 (ko) 2019-04-12 2019-04-12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CN201911058096.6A CN110651888A (zh) 2019-04-12 2019-11-01 猪血发酵物的制造方法以及利用上述发酵物的抗菌组合物及养鸡饲料组合物
US16/677,875 US20200323239A1 (en) 2019-04-12 2019-11-08 Method of manufacturing fermented porcine blood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poultry feed composition using same
EP19208311.1A EP3721717A1 (en) 2019-04-12 2019-11-11 Method of manufacturing fermented porcine blood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poultry feed composition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18A KR102115832B1 (ko) 2019-04-12 2019-04-12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832B1 true KR102115832B1 (ko) 2020-05-29

Family

ID=7091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18A KR102115832B1 (ko) 2019-04-12 2019-04-12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8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7437A (zh) * 2020-11-05 2021-01-05 株式会社三多 利用猪血发酵物的养殖鱼类饲料组合物
EP3995002A1 (en) * 2020-11-04 2022-05-11 Samda Co., Ltd. Feed composition for farmed fish using fermented porcine blood
WO2023074991A1 (ko) * 2021-10-26 2023-05-04 주식회사 아미노랩 혈액을 이용한 바이오 활성 소재 생산 방법 및 그 응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015A (ko) * 2016-07-01 2018-01-1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도축 혈액 유래 면역단백질의 제조 방법 및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015A (ko) * 2016-07-01 2018-01-10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도축 혈액 유래 면역단백질의 제조 방법 및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 F. Bhat et al. J Food Sci Technol, Vol. 52(9), p. 5377-5392 (2015.01.21. 공개)*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5002A1 (en) * 2020-11-04 2022-05-11 Samda Co., Ltd. Feed composition for farmed fish using fermented porcine blood
CN112167437A (zh) * 2020-11-05 2021-01-05 株式会社三多 利用猪血发酵物的养殖鱼类饲料组合物
WO2023074991A1 (ko) * 2021-10-26 2023-05-04 주식회사 아미노랩 혈액을 이용한 바이오 활성 소재 생산 방법 및 그 응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2171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ermented porcine blood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poultry feed composition using same
CN105246339B (zh) 用于制备具有增加的萝卜硫素含量的青花菜的方法以及由其制备的青花菜的用途
KR102115832B1 (ko)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20190055552A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WiKim006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1219653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ntaining ginseng berry polysaccharides
EP1637151A1 (en) Preventive or remedy for arthritis
EP2540307A1 (en) Antibacterial auxiliary agent comprising kombu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food or beverage
KR20170074821A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13618B1 (ko) 백년초와 브로콜리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06720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황기 뿌리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1467698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24598B1 (ko)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okbl-l.p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92331B1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005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602552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00006866A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10177651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향나무 열매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210143353A (ko)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
KR20220043054A (ko) 여뀌바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용 조성물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KR20170128133A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959729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퍼밀러스 균주 및 이의 항균 용도
KR20220081475A (ko)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okbl-l.pl 1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