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766B1 - 영어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어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766B1
KR102115766B1 KR1020180149618A KR20180149618A KR102115766B1 KR 102115766 B1 KR102115766 B1 KR 102115766B1 KR 1020180149618 A KR1020180149618 A KR 1020180149618A KR 20180149618 A KR20180149618 A KR 20180149618A KR 102115766 B1 KR102115766 B1 KR 10211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learning
english
wo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국
Original Assignee
박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국 filed Critical 박승국
Priority to KR102018014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학습하고자 하는 영문장인 학습 대상 문장의 절(Clause)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에는 각 절이 포함하는 영단어에 대응되는 영단어들이 입력되는 문장 형성 유닛을 제공하는 영문틀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술한 영문틀 제공부의 영어 문장 분획 기능을 통해, 학습자로서는 영어 문장을 절을 단위로 하여 점진적으로 작문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학습자로서는 절을 단위로 하는 영작문의 규칙성 및 체계성을 깨우칠 수 있게 되어, 영어 문장 학습에 대한 용이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영어 학습 시스템{System for learning English}
본 발명은 영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어 문장을 이루는 절(Clause)을 시각화된 단위로 분류함으로써 영어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는 영어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하나의 완결적인 의미를 갖는 문장은 단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외국어 문장을 작문하거나 이러한 문장을 즉흥적으로 프리 토킹(Free talking)하기 위해서는 단어 암기를 통한 어휘력 확보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어휘력 함양과 동시에,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등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 대응되는 각종 문법 체계 및 각 단어의 품사들을 습득하여야 상황에 맞는 올바른 외국어 문장을 작문 내지 토킹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선행하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 10-1778488 호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영어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는 경우, 원격지의 학습자는 자신의 단말기 타이핑을 통해 영어 단어를 암기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실제 영어 강사와 대면하지 않더라도 영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영어 학습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 원격지의 학습자에게 영어 단어 학습 수단을 제공하는 운영 서버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을 뿐, 학습자에게 영어 문장의 구조 및 품사와 같은 영어 문장 체계를 이해시키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학습자로서는 영단어 암기 수준을 높일 수 있을지언정, 이러한 단어들을 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문장 작문에 대한 이해를 함양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 10-1778488 호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영어 문장을 절(Clause) 단위로 분리한 후, 학습자로 하여금 각 절(Clause)을 단위로 하여 영어 문장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영어 문장 구조를 체계화하여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 기기에 설치된 영어 학습툴을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으로서, 상기 영어 학습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단어인 학습 단어로 이루어지고 학습의 대상인 학습 대상 문장을 생성하는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과, 상기 학습 대상 문장, 상기 학습 단어 또는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번역 문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학습 대상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학습 준비부 및 상기 학습 대상 문장과 대조되는 영문장인 학습 수행문장을 이루는 사용 단어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 단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칸으로 이루어진 문장 형성 유닛을 제공하는 유닛 형성 모듈과, 각 상기 학습 단어를 영어의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 구획으로 분류하고 상기 문장 형성 유닛 상에 상기 성분 구획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지정되도록 하는 성분 분류 모듈과, 각 상기 성분 구획을 상기 학습 단어의 영어 품사에 대응되는 품사 구획으로 분류하는 품사 분류 모듈을 포함하는 영문틀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문틀 제공부는, 상기 문장 형성 유닛이 복수 개 제공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문장 형성 유닛이 입체화되어 조립된 형태인 입체 문장 유닛을 제공하는 입체 유닛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체 유닛 제공 모듈은,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이 중문 구조인 경우, 각 중문 구조를 이루는 각 상기 문장 형성 유닛을 입체적으로 이격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하고자 하는 영문장인 학습 대상 문장의 절(Clause)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에는 각 절이 포함하는 영단어에 대응되는 영단어들이 입력되는 문장 형성 유닛을 제공하는 영문틀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술한 영문틀 제공부의 영어 문장 분획 기능을 통해, 학습자로서는 영어 문장을 절을 단위로 하여 점진적으로 작문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학습자로서는 절을 단위로 하는 영작문의 규칙성 및 체계성을 깨우칠 수 있게 되어, 영어 문장 학습에 대한 용이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학습 준비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옵션 1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영문틀 제공부가 제공하는 문장 형성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b는 도 4에 도시된 문장 형성 유닛에 학습 수행문장이 입력된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타 실시 형태에 의한 문장 형성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복수 개의 절로 구성된 학습 대상 문장이 주어진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문장 형성 유닛들이 조합되어 형성된 입체 문장 유닛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영어 학습 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용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먼저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1000)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1000)은 학습 기기(10)와 영어 학습툴(20)을 포함한다.
상기 학습 기기(10)는 스마트폰, 랩탑, 데스크탑 등과 같이, 영어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입출력 가능하고, 시각적 유도 수단 또는 청각적 유도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으로 영어 학습을 보조할 수 있는 모든 수단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어 학습툴(20)은 상기 학습 기기(10)에 설치되는 영어 학습용 툴로서, 애플리케이션, 실행(exe) 파일, 인터넷 웹 페이지 상에 현출되는 각종 형태 등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어 학습툴(20)은 학습 준비부(100), 영문틀 제공부(200), 매칭부(300)를 포함하며, 이하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상기 영어 학습툴(20)의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학습 준비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옵션 1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학습 준비부(100)는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110)과, 학습 대상 표시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단어인 학습 단어로 이루어지고, 학습의 대상인 학습 대상 문장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은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110)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된 것이거나, 상기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110)이 임의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110)은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작문 난이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학습 대상 표시 모듈(120)은 상기 학습 대상 문장에 대응되고 영어 외의 다른 언어로 이루어지는 번역 문장을 제공한다.
예컨대, “What is he looking for?” 라는 학습 대상 문장이 생성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표시 모듈(120)은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번역문인 “그는 무엇을 찾고 있습니까?”와 같은 번역 문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표시 모듈(120)은 “is”, “looking”, “what”, “he”, “for”처럼,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학습 단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 학습 단어는 그 순서가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것과 동일하지 아니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표시 모듈(1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학습 단어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도 2b의 상태에서 옵션 1이 선택된 경우, 도 3을 예시로 한 것과 같은 학습 단어가 제공되고, 옵션 2가 선택된 경우 이러한 학습 단어는 제공되지 않는다.
덧붙여,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학습 대상 표시 모듈(120)은 학습 대상 문장만을 제공하거나, 학습 대상 문장과 번역 문장을 동시에 제공하는 등 상술한 학습 대상 문장 또는 번역 문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학습 대상 표시 모듈(120)은 학습 대상 문장, 번역 문장, 학습 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영문틀 제공부(200)가 제공하는 문장 형성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b는 도 4에 도시된 문장 형성 유닛에 학습 수행문장이 입력된 예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더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영문틀 제공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문틀 제공부(200)는 유닛 형성 모듈(210)과, 성분 분류 모듈(220)과, 품사 분류 모듈(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 형성 모듈(210)은 학습 대상 문장과 대조되는 영문장인 학습 수행문장이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학습 수행문장을 이루는 영단어인 사용 단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칸(201)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칸(20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써 영문장의 전체 또는 영문장의 특정 단위를 구성하게되는 문장 형성 유닛(204)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학습 단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 단어를 정확히 숙지하고 있더라도, 이러한 사용 단어가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영어의 문장 성분과 품사에 대응되는 순으로 조합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사용 단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수행문장은 학습 대상 문장과 불일치하게 된다.
즉, 올바른 영어 작문을 위해서는 이에 사용될 단어 자체를 숙지하는 것 뿐만아니라, 전체 문장을 이루는 문장 성분의 배치 및 각 문장 성분에 배치될 수 있는 영어 품사의 종류 등과 같이, 영문장을 이루는 기본 구성요소와 그 결합 원리 또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장 성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은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영어 문장 성분의 구조에 대응되도록, 문장 형성 유닛(204)을 각각이 영어 문장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 구획(202)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어 품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품사 분류 모듈(230)은 상기 학습 단어 각각에 대한 품사에 대응되도록, 문장 형성 유닛(204)을 각각이 영어 품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품사 구획(203)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일 예로서, 학습 대상 문장이 “This pretty girl always sings sad songs.”라고 가정한 후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 및 상기 품사 분류 모듈(2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학습 단어들을 영어의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분류하면 “This, pretty, girl” 의 순서와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단어들이 주어에 해당한다.
그리고, “always, sings” 의 순서와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단어들이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서술어에 해당한다.
그리고, “sad, songs” 의 순서와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단어들이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목적어에 해당하며,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은 상술한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순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술한 예시와 같이,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은 학습 단어를 영어의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 구획(202)으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문장 형성 유닛(204) 상에 입력된 사용 단어들을 행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렬할 시, 3행에는 “This, pretty, girl” 과 같은 주어가, 4행에는 “always, sings” 와 같은 서술어가, 5행에는 “sad, songs” 와 같은 목적어가 각기 입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문장 형성 유닛(204) 상에는 행의 방향을 따라 주어, 서술어, 목적어가 입력된 것이며, 이를 기준으로 하였을 시 상기 사용 단어들의 입력 배치는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문장 성분의 배치 순서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시와 같이,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은 상기 성분 구획(202)이 문장 형성 유닛(204) 상에서 행의 방향을 따라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성분 구획(202)을 이루는 사용 단어들을 열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정렬할 시, 3행에는 주어에 해당하는 단어들의 조합이 “This, pretty, girl” 의 순으로 나열되어 있고, 4행에는 서술어에 해당하는 단어들의 조합이 “always, sings” 의 순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5행에는 “sad, songs” 의 순으로 나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각 상기 성분 구획(202) 상에는 열의 방향을 따라 각 문장 성분을 이루는 사용 단어들이 입력된 것이다.
또한, 이를 기준으로 하였을 시, 상기 사용 단어들의 입력 배치는 학습 단어들의 배치 순서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예시와 같이,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은 각 학습 단어가 각 성분 구획(202) 상에서 열의 방향을 따라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시를 참조한 바와 같이,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은 학습 단어를 영어의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하는 성분 구획(202)으로 분류한 후, 문장 형성 유닛(204) 상에 상기 성분 구획(202)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지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행렬 구조의 성분 구획(202) 배치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이러한 성분 구획(202) 배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행과 열에 나열되는 어순의 기준이 상술한 것과 반대로 지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장 형성 유닛(204)의 각 단어칸(201)은 영어 품사의 종류인 조동사(X), 동사(V), 부사(Adv), 한정사(D), 명사(N), 대명사(Pn), 전치사(P), 접속사(C), 형용사(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문장 형성 유닛(204)을 이루는 열은 그 각각이 상술한 영어 품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되는 품사 구획(203)으로 분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주어는 “This, pretty, girl” 와 같은 학습 단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각 학습 단어들의 품사는 한정사, 형용사, 명사이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문장 형성 유닛(204)에는 한정사로 분류된 단어칸(201)이 2열에만 지정되어 있다.
만약, 이 경우 사용자가 "This" 라는 단어가 한정사에 속한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다면 2열에 나열된 단어칸(201)들 중 어느 하나에 “This”를 입력해야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This” 다음에 입력되어야할 “pretty”는 형용사로 분류된 단어칸(201)에 입력되어야 하는 바, 상기 문장 형성 유닛(204)에는 4열에만 이러한 단어칸(201)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pretty" 라는 단어가 형용사에 속한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다면, 4열에 나열된 단어칸(201)들 중 어느 하나에 "pretty" 를 입력해야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의 방향을 따라 한정사와 형용사로 분류된 단어칸(201)이 구비된 행은 1행, 3행, 5행 내지 7행이며, 이때 사용자는 이러한 행들 중 어느 하나의 행에 “This”와“pretty”가 입력되어야 함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pretty” 다음에 입력되어야 할 “girl”은 명사로 분류된 단어칸(201)에 입력되어야 하는 바, 이 경우 상기 문장 형성 유닛(204)에는 5열상에만 명사로 분류된 단어칸(201)이 존재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girl" 라는 단어가 명사에 속한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다면, 5열에 나열된 단어칸(201)들 중 어느 하나에 "pretty" 를 입력해야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girl”은 상기 학습 대상 문장에서 주어에 해당하므로 이를 수식하는“This” 및 “pretty”와 같은 행에 입력되어야 하고, 열의 방향을 따라 “This, pretty, girl”의 순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이 경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This, pretty, girl”의 순에 대응하여 열의 방향을 따라 한정사, 형용사, 명사의 순으로 지정된 단어칸(201)이 존재하는 행은 3행 및 5행 내지 7행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주어 다음에 입력되어야 할 서술어인 “always 및 sings”는 각기 부사와 동사로서, 이 또한 마찬가지로 같은 행에 열의 방향을 따라 상기한 순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이 경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always 및 sings”의 순에 대응하여 열의 방향을 따라 부사와 동사 순으로 지정된 단어칸(201)이 존재하는 4행 뿐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always 및 sings"의 품사를 숙지하고 있다면, 4행에서 부사로 지정된 단어칸(201)에 “always”를, 4행에서 이보다 후순위 열에 배치되고 동사로 지정된 단어칸(201)에 “sings”를 입력해야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주어에 해당하는 사용 단어들이 입력될 수 있는 행은 3행 및 5행 내지 7행 중 어느 하나의 행이며, 이는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문장 구조상 서술어보다 상위의 행에 입력되어야 하는바, 이 경우 서술어에 해당하는 4행보다 상위의 행에 위치하는 행은 3행뿐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해당 학습 대상 문장의 문장 성분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면, 상기 “This, pretty, girl"은 3행에서 각각의 품사에 대응되는 단어칸(201)에 입력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always 및 sings” 다음에 입력되어야 할 목적어인 “sad 및 songs”는 각기 형용사와 명사로서, 열의 방향을 따라 형용사와 명사로 분류된 단어칸(201)이 존재하는 행은 3행 및 5행 내지 7행이다.
이때, 상기 성분 분류 모듈(22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문장 구조상 서술어가 입력된 4행보다 후순위에 배치된 행은 5행 내지 7행 뿐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해당 학습 대상 문장의 문장 성분을 숙지하고 있다면, 사용자로서는 5행 내지 7행 중 어느 하나의 행에서 각 단어칸(201)에 분류된 품사에 대응되도록 상기 “sad 및 songs”를 입력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단어칸(201)에 입력된 P, Pn, X 등과 같은 품사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문장 형성 유닛(204) 상에 현출되거나 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예시를 통해, 전술한 성분 구획(202)을 학습 단어의 품사에 대응되는 품사 구획(203)으로 분류하는 품사 분류 모듈(230)에 대한 설명을 마쳤다.
상술한 사항들을 종합하면, 먼저 사용자로서는 학습 대상 문장에 대조되는 학습 수행문장을 구상한 후, 이러한 학습 수행문장을 문장 성분단위로 분류하고, 각 문장성분을 이루는 각 단어들에 대응되는 품사들을 숙지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때, 문장 형성 유닛(204)은 앞서 예시로한 행순과 같이, 사용자가 문장성분들을 분류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문장 형성 유닛(204)은 앞서 예시로한 열순과 같이, 각 문장성분들에 포함되는 단어들이 각 문장성분을 정의하는 성분 구획(202) 상에서 영문법에 대응되는 품사의 순서에 따라 나열되도록 시각적으로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로서는 전체 문장 내에서의 각 문장 성분의 위치와, 각 문장 성분 내에서의 품사의 위치에 대응되는 각 단어의 위치와 같은 영문법적 상관관계를 성분 구획(202)과 품사 구획(203)으로 분류되는 상술한 문장 형성 유닛(204)을 통해 시각적이면서도 직관적으로 깨우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타 실시 형태에 의한 문장 형성 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이는 학습 대상 문장이 “What is he looking for?”인 것을 예시로 한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문장 형성 유닛(204)에 대해 보충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경우, 의문문으로서 그 특성상 그 문장 성분과 관계 없이 단어들의 어순이 일반 평서문과 상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문장 성분을 분류하자면 주어는 대명사인 he 이고, 서술어는 동사인 looking이며, 이때 주어보다 선행하는 What과 is는 각기 대명사와 조동사로 사용된 것이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문장 형성 유닛(204)을 살펴보면, 1행과 2행 그리고 3행과 4행에만 대명사와 조동사를 포함하는 행의 구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고, 이때 동사가 분류된 단어칸(201)은 4행에만 존재한다.
그리하여, 4행보다 선행하되 대명사와 조동사가 분류된 행은 1행과 2행뿐이므로, 사용자가 학습 단어와 일치하는 사용 단어 및 각 사용 단어의 품사를 숙지하고 있다면, 어렵지 않게 도 5b와 같은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도 4a 내지 도 5b를 통해 예시한 사항들은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상기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110)은 다양한 형태의 학습 대상 문장들을 생성할 수 있고, 성분 분류 모듈(220)과 품사 분류 모듈(230)은 전술한 문장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구조에 대응되는 문장 형성 유닛(204)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내용들은 성분 구획(202)과 품사 구획(203) 각각이 행과 열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상술한 행과 열의 기준은 상호 역전될 수 있고, 또는 행과 열이 아닌 다른 기준으로 성분 구획(202)과 품사 구획(203)이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his" 와 "pretty"가 입력되어야 할 단어칸(201)들 사이에는 단어칸(201)이 하나만 존재하고 이는 부사로 분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예컨대, "this" 와 "pretty"가 입력되어야 할 단어칸(201)들 사이에는 1개 뿐만아니라 이를 초과하는 개수의 단어칸(201)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단어칸(201)에 분류되는 품사 구획(203) 또한 다양한 품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어칸(201)의 개수와 각 단어칸(201)에 분류되는 품사 구획(203)의 품사 종류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영문틀 제공부(200)는 입체 유닛 제공 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복수 개의 절로 구성된 학습 대상 문장이 주어진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6b, 도 7b, 도 8b,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문장 형성 유닛들이 조합되어 형성된 입체 문장 유닛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이 경우 “the man bought a car which he loved and his wife sold her car which doesn't work”와 같은 학습 대상 문장이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여 본다.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은 “the man bought a car”와, “which he loved”와, “his wife sold her car” 및 “which doesn't work”와 같은 4개의 절(Clause)로 구성된 문장이며, 이때 “which he loved”와 “his wife sold her car”사이에 “and”와 같은 등위 접속사가 구비됨으로써 중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유닛 형성 모듈(210)은 이러한 절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문장 형성 유닛(204)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문장 형성 유닛(204) 각각에는 전술한 성분 분류 모듈(220)과 품사 분류 모듈(23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6a, 도 7a, 도 8a 및 도 10a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절에 대응되는 개수와 각 절의 문법 구조에 대응되는 학습 대상 문장들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10b에는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각 절에 대응되는 학습 수행문장의 각 절이 입력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학습 대상 문장과 같이, 학습 대상 문장이 등위 접속사가 포함된 중문 구조일 경우 상기 유닛 형성 모듈(210)은 상기 등위 접속사에 대해서도 문장 형성 유닛(204)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9a 및 도 9b에 이에 대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잡한 구조로 인해 대부분의 영어 학습자로 하여금 난감함을 느끼게하는 복수 개의 절로 이루어진 영문장 학습에 있어서, 상술한 복수 문장 형성 유닛(204) 제공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절을 단위로 하여 단계적으로 영문장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되므로, 영문장 구조 이해에 대한 접근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11에는 상술한 5개의 문장 형성 유닛(204)들이 입체적으로 조립된 형태인 입체 문장 유닛(205)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입체 유닛 제공 모듈(2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전체 문장을 이루는 각각의 절(Clause)은 그에 대응되는 문장 형성 유닛(204)이 점유하는 특정 공간을 파라메터로 하여 표현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입체 문장 유닛(205) 제공 기능은 다소 복잡한 구조를 지닌 영문장을 학습하는 경우에 있어서, 학습자로 하여금 영문장을 절(Clause)을 단위로 하여 시각적으로 분리 인식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이에 따라, 입체 공간이라는 시각적, 구체적 개념이 추상적 관념인 언어에 연상 작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연상 작용을 통해 학습자는 언어를 단순한 암기가 아닌 일종의 규칙성 내지 조합성이 구비된 구체적인 개념으로써 학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서 예시로한 “the man bought a car”와 “which he loved”의 관계와 같이, 학습 대상 문장이 적어도 하나의 주절과 상기 주절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속절로 구성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체 유닛 제공 모듈(240)은 상기 주절과 상기 종속절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문장 형성 유닛(204)들이 상호 입체적으로 조립된 형태로 형성된 입체 문장 유닛(205)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주절과, 이러한 주절을 수식하는 종속절의 관계를 시각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직관화하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도 11에 도시된 입체 문장 유닛(205)은 사용자의 학습 기기(10) 조작에 따라 회전가능하고 특정 부분이 확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매칭부(300)의 경우, 학습 수행문장이 학습 대상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수단으로써, 이러한 매칭부(300)의 문장 매칭 기능을 통하여 학습자는 자신이 작문한 문장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어 철자의 정오, 사용 단어가 설정된 성분 구획(202) 및 품사 구획(203)에 대응되게 입력되었는지 여부 등과 같은 사항들이 상기 매칭부(300)에 의해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영어 학습 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용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이를 더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들을 종합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에 따르는 경우, 1단계로 학습 준비부(100)에 의해 학습 대상 문장이 생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번역 문장 또는 학습 대상 문장 그 자체 또는 학습 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제공된다.
2단계로, 영문틀 제공부(200)는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을 이루는 문장 성분 구조와 품사에 대응되는 문장 형성 유닛(204)을 제공한다.
3단계로, 사용자에 의하여 문장 형성 유닛(204)에 영단어가 입력된다.
4단계로, 매칭부(300)가 문장 형성 유닛(204)에 입력된 사항들과 학습 대상 문장을 상호 매칭하여, 문장 형성 유닛(204)에 입력된 단어들의 철자가 올바른지, 누락된 단어가 없는지, 학습 대상 문장의 문장 성분과 품사에 대응되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제공한다.
덧붙여, 도 2a 내지 도 11에는 상기 학습 기기(10)가 일종의 스마트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이다.
즉, 상기 학습 기기(10)는 다양한 정보 처리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영어 학습툴(20) 또한, 각 정보 처리 수단에 호환 가능한 다양한 포맷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영어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영어 학습 시스템
10 : 학습 기기
20 : 영어 학습툴
100 : 학습 준비부
110 :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
120 : 학습 대상 표시 모듈
200 : 영문틀 제공부
201 : 단어칸
202 : 성분 구획
203 : 품사 구획
204 : 문장 형성 유닛
205 : 입체 문장 유닛
210 : 유닛 형성 모듈
220 : 성분 분류 모듈
230 : 품사 분류 모듈
240 : 입체 유닛 제공 모듈
300 : 매칭부

Claims (3)

  1. 학습 기기에 설치된 영어 학습툴을 이용한 영어 학습 시스템으로서,
    상기 영어 학습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단어인 학습 단어로 이루어지고 학습의 대상인 학습 대상 문장을 생성하는 학습 대상 문장 생성 모듈과, 상기 학습 대상 문장, 상기 학습 단어 또는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의 번역 문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학습 대상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학습 준비부; 및
    상기 학습 대상 문장과 대조되는 영문장인 학습 수행문장을 이루는 사용 단어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 단어가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칸으로 이루어진 문장 형성 유닛을 제공하는 유닛 형성 모듈과, 각 상기 학습 단어를 영어의 문장 성분을 기준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 구획으로 분류하고 상기 문장 형성 유닛 상에 상기 성분 구획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지정되도록 하는 성분 분류 모듈과, 각 상기 성분 구획을 상기 학습 단어의 영어 품사에 대응되는 품사 구획으로 분류하는 품사 분류 모듈을 포함하는 영문틀 제공부; 를 포함하되,
    상기 영문틀 제공부는,
    상기 문장 형성 유닛이 복수 개 제공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문장 형성 유닛이 입체화되어 조립된 형태인 입체 문장 유닛을 제공하는 입체 유닛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유닛 제공 모듈은,
    상기 학습 대상 문장이 중문 구조인 경우, 각 중문 구조를 이루는 각 상기 문장 형성 유닛을 입체적으로 이격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시스템.



KR1020180149618A 2018-11-28 2018-11-28 영어 학습 시스템 KR102115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18A KR102115766B1 (ko) 2018-11-28 2018-11-28 영어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18A KR102115766B1 (ko) 2018-11-28 2018-11-28 영어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766B1 true KR102115766B1 (ko) 2020-05-27

Family

ID=7091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18A KR102115766B1 (ko) 2018-11-28 2018-11-28 영어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7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592A (ko) * 2002-12-04 2004-06-10 이강석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26900A (ko) * 2008-09-01 2010-03-10 임채환 입체공간을 이용 영어문장을 변환 표기하는 방법 및 독해와영작(회화) 방법 또는 도구(광고방법과 학습방법 및도구에 중점)
KR101116894B1 (ko) * 2009-02-17 2012-04-13 손길연 다양한 칼라와 다이어그램을 접목한 영어학습 퍼즐 대전을 통한 인지언어학적 학습방법
KR20130069059A (ko) * 2011-12-16 2013-06-26 차승영 영어문장 학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778488B1 (ko) 2017-01-26 2017-09-14 주식회사 이글에듀 온라인을 통한 영어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592A (ko) * 2002-12-04 2004-06-10 이강석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26900A (ko) * 2008-09-01 2010-03-10 임채환 입체공간을 이용 영어문장을 변환 표기하는 방법 및 독해와영작(회화) 방법 또는 도구(광고방법과 학습방법 및도구에 중점)
KR101116894B1 (ko) * 2009-02-17 2012-04-13 손길연 다양한 칼라와 다이어그램을 접목한 영어학습 퍼즐 대전을 통한 인지언어학적 학습방법
KR20130069059A (ko) * 2011-12-16 2013-06-26 차승영 영어문장 학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778488B1 (ko) 2017-01-26 2017-09-14 주식회사 이글에듀 온라인을 통한 영어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8592호(2004.6.10.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9059호(2013.6.26. 공개)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êcheux Michel Pêcheux: Automatic Discourse Analysis: With contributions of Simone Bonnafous, Françoise Gadet, Paul Henry, Alain Lecomte, Jacqueline Léon, Denise Maldidier, Jean-Marie Marandin and Michel Plon
Kohl The global English style guide: Writing clear, translatable documentation for a global market
Ananiadou et al. The English language in the digital age
Ehsan et al. Grammatical and context‐sensitive error correction using a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framework
Chinkina et al.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for language learning
Blanchete et al. Formalizing Arabic inflectional and derivational verbs based on root and pattern approach using NooJ platform
Wahlster Understanding computational dialogue understanding
Kuhn et al. Coral: Corpus access in controlled language
KR102115766B1 (ko) 영어 학습 시스템
Roberts et al. Visualising Collocation for Close Writing.
Zhekova et al. Methodology for creating natural language interfaces to information systems in a specific domain area
XUAN et al. Taking stock of accumulated knowledge in projection studie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 research synthesis
Conrad Using corpus linguistics to improve the teaching of grammar
Shauki et al. Developing a corpus of entrepreneurship emails (COREnE) for business courses in Malaysian university using integrated moves approach
Wilson et al. Innovative Methods for LSP-Teaching: How We Use Corpora to Teach Business Russian
Zanoon The problem of universal grammar with multiple languages: Arabic, English, Russian as case study
Łukasik New Pathways to Terminological Minimum
KR102112954B1 (ko) 영어 학습 제공 방법
Basyuk et al. Peculiarities of an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for Studying Ukrainian Language and Carrying out an Emotional and Content Analysis
EP4239515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 piece of text comprising chinese characters
Yamada Guide to the practical usage of English monolingual learners’ dictionaries
Rahmah et al. Noun Phrase and Verb Phrase Analysis in Indonesian Students Worksheets
Jia The generation of textual entailment with NLML in an intelligent dialogue system for language learning CSIEC
Rachmi et al. An Analysis of Lexical Collocation in King Charles’ Speech
Umarov et al. Technology of the Formation of Frequency Dictionari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ajik Lit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