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250B1 - 차량용 증발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250B1
KR102115250B1 KR1020140114045A KR20140114045A KR102115250B1 KR 102115250 B1 KR102115250 B1 KR 102115250B1 KR 1020140114045 A KR1020140114045 A KR 1020140114045A KR 20140114045 A KR20140114045 A KR 20140114045A KR 102115250 B1 KR102115250 B1 KR 10211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louver
area
vehicle
head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119A (ko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2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영역에 구비된 핀의 형상 변경을 통해 열교환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수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증발기{Evaporator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영역에 구비된 핀의 형상 변경을 통해 열교환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수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열에너지를 재사용하거나 용도에 맞게 온도를 낮추거나 높여 사용할 목적 등으로 각종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에도 각종 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있다. 증발기는 열교환기의 한 종류이며,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한 구성요소로 외부의 공기와 열 교환하여 자동차 실내로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방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증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증발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증발기의 핀에 형성된 루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종래의 증발기(E)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 헤더탱크(1) 및 하부 헤더탱크(2); 상기 상부 헤더탱크(1) 및 하부 헤더탱크(2)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 상기 증발기(E)에 열교환 매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4); 열교환된 열교환 매체를 상기 증발기(E)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관(5) 및 상기 튜브(3) 사이에 개재되는 핀(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순환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각 튜브(3)들 사이에는 튜브(3)의 전열 면적을 확대하여 두 유체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파형 구조의 열교환기용 핀(6)이 개재된다. 핀(6)은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는 튜브(3)와 접촉하여 튜브(3)와 열 교환함과 아울러 그 표면에 접촉하는 공기와 열교환 함으로써 튜브(3)내 열교환매체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핀(6)은 열전도율이 높고 비표면적(比表面積)이 클수록 열교환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핀(6)은 통상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고 성형하기 쉬운 재질의 금속재로 제조되는 바, 특히 유체의 유동에 저항을 주지 않으면서 비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파형의 박판구조로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증발기(E)는 내부에 온도가 낮은 열교환매체가 순환되고 상기 열교환매체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외부의 공기와 열 교환되어 자동차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방장치이므로, 상기 증발기의 내부 및 표면의 온도가 주위보다 낮아져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그대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응축수는 공기의 유동의 방해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증발기와 공기와의 열교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을 이루는 상기 핀(6)의 빗면(斜面)에는 일부가 절개된 후 그 절개된 부분이 공기유동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꺾임으로써 핀(6)에 유입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그 절개된 틈을 통해 빗면을 교차하여 흐르게 하는 비늘 형상의 루버(7)들이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루버(7)군의 절개된 틈을 통해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러나 핀(6)의 루버(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응축수의 양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루버(7)를 통해 배출된 응축수가 증발기(E)의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축적되어 결국 증발기(E) 하단영역의 응축수 배수 능력 저하에 따라 응축수의 배출이 늦어지는 경우 응축수 방울로 인해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게 되어 유량 감소로 냉각성능을 저하 시킨다. 또한, 증발기의 작동이 끝난 경우에 증발기에 그대로 맺히게 되고 곰팡이 등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냄새유발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99774호(2010.09.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 영역에 구비된 핀에 배수 향상 구조를 적용하여, 증발기 하단부에 정체될 수 있는 응축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열교환 면적은 기존과 유사하게 유지하여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 감소를 방지한, 차량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일정 영역에 구비된 핀에 루버 대신 응축수 배수홀을 형성한, 차량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상기 일정 영역에 구비된 핀에 통상의 루버보다 길이와 폭이 증가한 배수형 루버를 형성한, 차량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 발명은 상기 일정 영역에 구비된 핀에 응축수 배수홀과 루버를 동시에 적용한, 차량용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증발기는,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헤더탱크(110)및 하부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및 하부헤더탱크(110, 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 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군(130); 및 상기 복수의 튜브군(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상부헤더탱크(110)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형성되는 제1 영역(A1)과, 상기 제1 영역(A1)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헤더탱크(120)까지 형성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A1)에 위치한 핀(160, 260, 360)에는 루버(170, 27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A2)에 위치한 핀(160)에는 응축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배수부(180, 185, 280, 380, 3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영역(A2)의 높이는, 상기 증발기 높이의 40% 이하 또는 4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 예로, 상기 배수부(180)는, 상기 핀(160)을 관통하는 제1 배수홀(181, 18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 예로, 상기 배수부(185)는, 상기 핀(160)을 관통하되, 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수홀(183, 18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실시 예로, 상기 배수부(280)는, 상기 루버(270) 보다 길이 및 폭이 증가된 제1 배수형 루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실시 예로, 상기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핀(360)에는 루버(390)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영역(A2)에 위치한 핀(360)에는, 상기 핀(360) 및 루버(39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 배수홀(3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증발기는, 기존의 증발기에 비해 응축수 배수효율이 향상되어 증발기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 감소를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수에 따른 곰팡이 서식 환경을 억제하여 곰팡이에 따른 악취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증발기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증발기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증발기 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증발기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저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 핀 평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 예 1 (배수홀 형)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증발기(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100)의 핀(160)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100)의 핀(160)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100)의 핀(160)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100)의 핀(160)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헤더탱크(110) 및 하부헤더탱크(120); 상부헤더탱크 및 하부헤더탱크(110, 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 매체 유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열을 갖는 튜브군(130); 상부헤더탱크(110)에 열교환 매체를 공급하는 유입관(140); 증발기(100)에서 열교환된 열교환 매체를 배출하는 유출관(150); 및 튜브군(130)사이에 개재되는 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증발기(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되며, 제1 및 제2 영역(A1)에 따라 핀(160)의 형상이 달라진다. 즉 제1 영역(A1) 상에는 열교환 효율과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통상의 루버(170)가 형성된다.
핀(160)은 평판으로 된 박판을 이용하여 비늘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루버(170)를 일정각도 경사각을 이루도록 프레스 절곡하여 형성한 후에, 파형을 이루도록 절곡하게 된다. 파형은 일명 코루게이트형이라고도 하는데, 코루게이트형 핀(160)은 지그재그 식으로 형성하여 핀(160)의 비표면적을 최대한 넓히게 되는 것이고, 코루게이트형 핀(160)을 통해 튜브(130, 도 4 참조)의 열이 자연스럽게 방열되도록 하며 넓어진 비표면적을 이용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코루게이트형을 이룬 핀(160)은 경사면에 복수개의 루버(170)가 일정각도 경사각을 이룬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제2 영역(A2) 상에는 열교환 효율은 다소 낮지만, 응축수의 배수 효율을 월등히 증가시킨 배수부(180)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응축수는 증발기(100)의 하단부로 갈수록 배주되지 않고 정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2 영역(A2)은 증발기(100)의 하부헤더탱크(120)에서 상방으로 일정높이 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역역(A2)의 높이는 40mm 이하이거나, 전체 증발기(100) 높이의 40%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배수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상술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경우에는 핀(160)의 열교환 면적 감소에 따라 증발기(100)의 열교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180)는 핀(160)을 관통하는 제1 배수홀(181, 182)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배수홀(181, 182)은 핀(160)의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된 제1-1 배수홀(181) 및 원형으로 형성된 제2-2배수홀(18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 실시 예 2 (버링 배수홀 형)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의 핀(160)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부(185)는 핀(160)을 관통하는 제2 배수홀(183, 184)이 형성되되, 제2 배수홀(183, 184)은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 배수홀(183, 184)을 갖는 핀(160)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2 배수홀(183, 184)의 둘레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응축수를 안내하는 장점이 있다. 제2 배수홀(183, 184)은 핀(160)의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된 제2-1 배수홀(183) 및 원형으로 형성된 제2-2배수홀(18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 실시 예 3 (배수형 루버)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의 핀(260)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의 핀(26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되며, 제1 및 제2 영역(A1)에 따라 핀(260)의 형상이 달라진다. 즉 제1 영역(A1) 상에는 열교환 효율과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통상의 루버(270)가 형성된다.
제2 영역(A2) 상에는 열교환 효율은 다소 낮지만, 응축수의 배수 효율을 월등히 증가시킨 배수부(280)가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280)는 루버(270) 보다 길이 및 폭이 증가된 제1 배수형 루버(2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1)의 루버(270) 보다 열교환 효율은 떨어지지만, 루버(270)보다 크기가 큰 제1 배수형 루버(280)를 통해 제2 영역(A2)에 위치한 핀(260)의 배수 효율을 증가시켜 응축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한다.
- 실시 예 4 (혼합형)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의 차량용 증발기의 핀(360)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부(380, 390)는 핀(360)을 관통하는 제3 배수홀(381, 382)과, 제2 배수형 루버(390)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 배수홀(381, 382)은 핀(360)의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타원형으로 형성된 제3-1 배수홀(381) 및 원형으로 형성된 제3-2배수홀(18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수형 루버(390)는 제3 배수홀(381, 382)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1 배수형 루버(391)와, 제3 배수홀(381, 382)과 일체로 형성된 제2-2 배수형 루버(39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4 실시 예의 핀(360)은 통상의 루버가 형성된 핀(360)의 제2 영역에 배수홀을 형성하는 작업만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종래의 작업 금형에 용이하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증발기 110 : 상부 헤더탱크
120 : 하부 헤더탱크 130 : 튜브군
140 : 유입관 150 : 유출관
160, 260, 360 : 핀 170, 270, 370 : 루버
180, 280, 380, 390 : 배수부
181, 182 : 제1 배수홀
183, 184 : 제2 배수홀
280 : 제1 배수형 루버
381, 382 : 제3 배수홀
391, 392 : 제2 배수형 루버

Claims (6)

  1.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헤더탱크(110)및 하부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및 하부헤더탱크(110, 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 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군(130); 및 상기 복수의 튜브군(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상부헤더탱크(110)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형성되는 제1 영역(A1)과, 상기 제1 영역(A1)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헤더탱크(120)까지 형성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A1)에 위치한 핀(260)에는 루버(27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A2)에 위치한 핀(260)에는 응축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상기 제1 영역(A1)의 루버(270) 보다 길이 및 폭이 증가된 제1 배수형 루버(2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증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A2)의 높이는,
    상기 증발기 높이의 40% 이하 또는 4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증발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헤더탱크(110) 및 하부헤더탱크(120); 상기 상부 및 하부헤더탱크(110, 120)에 양 단이 고정되어 열교환 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군(130); 및 상기 복수의 튜브군(130) 사이에 개재되는 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상부헤더탱크(110)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형성되는 제1 영역(A1)과, 상기 제1 영역(A1)의 하단에서 상기 하부헤더탱크(120)까지 형성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핀(360)에는 루버(390)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영역(A2)에 위치한 핀(360)에는, 상기 핀(360) 및 루버(390)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3 배수홀(3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증발기.
KR1020140114045A 2014-08-29 2014-08-29 차량용 증발기 KR10211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45A KR102115250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45A KR102115250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19A KR20160026119A (ko) 2016-03-09
KR102115250B1 true KR102115250B1 (ko) 2020-05-27

Family

ID=5553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045A KR102115250B1 (ko) 2014-08-29 2014-08-29 차량용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2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671A (ja) * 2002-09-19 2004-04-08 Denso Corp 蒸発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833A (ko) * 1998-11-10 2000-06-05 윤종용 실내측 열교환기
KR101601085B1 (ko) 2009-03-04 2016-03-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증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671A (ja) * 2002-09-19 2004-04-08 Denso Corp 蒸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19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1716A1 (en) Heat exchanger and fin of the same
EP2840341B1 (en) Heat exchanger
JP4952196B2 (ja) 熱交換器
EP3018439B1 (en) Fin tube heat exchanger
US8973647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20120103583A1 (en) Heat exchanger and fin for the same
EP1906129B1 (en) Fin tube heat exchanger
JP2010002138A (ja) 熱交換器
JP2010019534A (ja) 熱交換器
US20090173477A1 (en) Heat exchanger fin
JP2013245884A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
JP2016102592A (ja) 熱交換器
CN105352345A (zh) 微通道换热器及其空调器
EP2447660A2 (en) Heat Exchanger and Micro-Channel Tube Thereof
JP6375897B2 (ja) 熱交換器
CN102349152B (zh) 沸腾冷却装置
JP2008215670A (ja) 伝熱フィン、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572674B1 (ko) 배수성이 향상된 방열핀을 이용한 열교환기
KR102115250B1 (ko) 차량용 증발기
JP2009270731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これを備えた冷凍装置および給湯装置
KR101601085B1 (ko) 증발기
CN107860248A (zh) 一种微通道换热器及空调
EP2224198A1 (en) Fin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JP6194471B2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
JP6509593B2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