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907B1 -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907B1
KR102114907B1 KR1020190029486A KR20190029486A KR102114907B1 KR 102114907 B1 KR102114907 B1 KR 102114907B1 KR 1020190029486 A KR1020190029486 A KR 1020190029486A KR 20190029486 A KR20190029486 A KR 20190029486A KR 102114907 B1 KR102114907 B1 KR 102114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emotions
emotion
cor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표
Original Assignee
(주) 비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전웍스 filed Critical (주) 비전웍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서 수행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METHOD FOR MODIFYING COGNITIVE BIAS CORRECTION USING COGNITIVE STIMULATIO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느린 학습자(Borderline Intellectual Disorder)’는 IQ가 71~84에 해당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느린 학습자의 지능은 IQ 70 이하의 지적 장애 범주에 해당하는 기준보다 높고, IQ 85 이상의 평균적인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계선에 속하기 때문에, 느린 학습자는 경계선 지적 기능 장애를 지닌 사람이라고도 한다. 학습 부진아는 자신이 가진 IQ가 낮지 않음에도 평균적인 학습보다 학습 수행을 어려워하는 사람이다. 반면, 느린 학습자는 부족한 IQ로 인해, 학습 속도가 느리고, 감정 인지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의미한다. 따라서, 느린 학습자의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위해서, 느린 학습자의 학습 장애를 개선하고 정상적인 감정 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9383호, 2019.01.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서 수행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미만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재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정도를 재평가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로서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동일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소정의 비교 기준 미만의 차이가 있는 하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동일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하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가 나머지와 다른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선택되지 않은 수정 대상 감정 중 임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한 이미지 중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상기 상황 정보와 상이한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 이미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상기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상기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각각을 복수의 동일한 가림막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동일한 복수의 가림막 이미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의 위치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은, 기본 감정 및 응용 감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감정은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기본적인 감정을 상기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한 감정이고, 상기 응용 감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본 감정에 기초하여 느끼는 응용적인 감정을 상기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한 감정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가 소정의 학습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응용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장치는,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제1 평가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제2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미만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재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정도를 재평가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로서 수신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인지 자극을 하고,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특정 감정에 대한 인지적 편향을 수정할 수 있고, 인지적 편향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감정에 대한 이미지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 학습을 하여,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 능력을 높일 수 있고,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극에 따른 반응을 학습하도록 고안된 자극 개체 반응 이론(Stimulus-Organism-Response Theory)과 감정의 인지와 기억 및 주의 집중력의 상호 작용을 촉진시키는 학습을 제공하여 느린 학습자의 학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 감정의 인지를 담당하는 편도체(AMY)와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을 담당하는 중측두엽(MTL)을 자극하여, 기존의 기억을 인출하는 전두엽(PFC)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가 추가된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은,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S2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S3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400) 및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은,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하, 시스템)에 의해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단계 S100에서, 이미지 선택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가 수집된다.
수정 대상 감정은 사용자가 이미지, 비디오 등을 보고 느끼는 감정으로서, 후술하는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의 대상이 되는 감정이다. 이미지 선택지는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을 표현하는 이미지와 사용자에게 특정 이미지를 판단하고 선택하라는 지시 사항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미지 선택지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다.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 선택지의 지시 사항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가 수집된다.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는 특정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가 인지한 정보를 의미한다.
단계 S100의 구체적인 방법은 3 가지로서, 각각의 방법에 의해서 수집된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이 평가된다. 단계 S100의 구체적인 방법은 도 2 내지 도 7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단계 S200에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이 평가된다.
감정 인지 능력은 특정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가 인지한 능력을 의미한다. 감정 인지 능력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 선택지 상의 이미지 및 지시 사항과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즉, 감정 인지 능력은 이미지 선택지 상의 이미지 및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모범 답안 정보와 이미지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단계 S100 및 단계 S200은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소정의 수집 기준 이상이 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단계 S100 및 단계 S200가 순차적으로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있어서, 이미지 선택지 상의 이미지 및 지시 사항은 달라질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된다.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는,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후술하는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이 수행되는 빈도이다.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는,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결정된다. 즉, 특정한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이 높을수록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는 낮아지고, 특정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이 낮을수록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는 높아진다.
단계 S400에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황 정보가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한다. 사용자에게 인지 자극을 한 이후에, 사용자에게 이미지 선택지가 제공되고,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가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 및 지시 사항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에 인지 자극이 된다. 그 후에,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지시사항을 포함하는 이미지 선택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는 이미지 선택지를 보고 이미지 선택지에서 지시하는 사항을 수행한다. 그 후에,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가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가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로서 수신된다.
단계 S400은 도 8 내지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 S500에서,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가 평가된다.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는 특정 감정에 대해서 비논리적인 추론에 따른 잘못된 판단이 논리적인 추론에 따른 올바른 판단으로 수정된 정도를 의미한다. 인지 편향 수정 정도는 단계 S200에서 평가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단계 S400에서 학습된 결과 인지 편향이 수정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인지 편향 수정 정도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된 이미지 선택지 상의 상황 정보, 이미지 및 지시 사항과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즉, 인지 편향 수정 정도는 이미지 선택지 상의 상황 정보, 이미지 및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모범 답안 정보와 이미지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미만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는 단계 S400 및 단계 S500이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수행된다. 즉,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미만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상황 정보가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된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다시 인지 자극을 하고, 이미지 선택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가 재수신된다. 그 후에,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정도가 재평가된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S111),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하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S112)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3)를 포함한다.
단계 S111에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이 임의로 선택된다.
단계 S112에서,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동일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소정의 비교 기준 미만의 차이가 있는 하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선택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소정의 비교 기준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의 차이에 대한 기준이다. 예를 들어, 특정 감정에 대한 사람의 표정이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고,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상의 표정과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상의 표정에 미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는 소정의 비교 기준 미만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시스템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함께, 지시 사항을 포함하는 이미지 선택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지시 사항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다른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텍스트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선택지 상의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이미지 선택지 상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중에서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한 이미지를 선택한다.
단계 S113에서, 복수의 동일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하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가 나머지와 다른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가 수신된다.
도 3은 도 2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의 예시로서, 복수의 이미지 중 미세한 차이가 있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예시가 도시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시스템이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임의로 기쁨의 감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기쁨의 감정을 임의로 선택한다. 시스템은 기쁨에 상응하는 복수의 동일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11)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약간의 차이가 있는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12)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11)와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12)는 웃는 입모양만 차이가 있는 이미지이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다른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이미지 정보로서 수신한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S121),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S122)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23)를 포함한다.
단계 S121에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이 임의로 선택된다.
단계 S122에서,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선택되지 않은 수정 대상 감정 중 임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는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을 나타내는 이미지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된다.
시스템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함께, 지시 사항을 포함하는 이미지 선택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지시 사항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감정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텍스트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선택지 상의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이미지 선택지 상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중에서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감정에 해당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한 이미지를 선택한다.
단계 S123에서,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가 수신된다.
도 5는 도 4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의 예시로서, 복수의 이미지 중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예시가 도시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시스템이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임의로 경멸의 감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경멸의 감정을 임의로 선택한다. 시스템은 경멸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21)와 경멸과 다른 수정 대상 감정(예를 들어, 기쁨, 슬픔, 공포 등) 중 임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22)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경멸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이미지 정보로서 수신한다.
도 6은 도 1의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S131),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S132),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S133)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34)를 포함한다.
단계 S131에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이 임의로 선택된다.
단계 S132에서,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선택된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서로 상이한 이미지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된다.
시스템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함께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지시 사항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를 기억하라는 텍스트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기억한다.
단계 S133에서,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한 이미지 중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단계 S132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단계 S132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가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된다.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는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동일한 감정을 표현하는 이미지일 수도 있고, 상이한 감정을 표현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시스템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함께, 지시 사항을 포함하는 이미지 선택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지시 사항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이미지(단계 S132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텍스트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선택지 상의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이미지 선택지 상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중에서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이미지라고 판단한 이미지를 선택한다.
단계 S134에서,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가 수신된다.
도 7은 도 6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의 예시로서, 복수의 이미지 중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된 복수의 서로 상이한 이미지를 선택하는 예시가 도시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시스템이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임의로 기쁨의 감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기쁨의 감정을 임의로 선택한다. 시스템은 기쁨에 상응하는 두 개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31)와 두 개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기억하라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후, 시스템은 이미 제공되었던 두 개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31)와 두 개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31)와 상이한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32)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된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이미 제공된 두 개의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지시 시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이미지 정보로서 수신한다.
도 8은 도 1의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400)는,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하는 단계(S410), 상황 정보를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제공하는 단계(S420),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S430) 및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40)를 포함한다.
단계 S410에서,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이 선택된다. 즉, 시스템은 인지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고, 인지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할 가능성이 낮다.
단계 S420에서,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상황 정보가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제공된다.
상황 정보는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을 표현하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는 슬픈 표정을 하는 인물의 이미지일 수 있다. 시스템은 상황 정보와 함께, 상황 정보 상의 감정 상태를 물어보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시스템은 상황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소정의 시간 동안 제공하여,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인지 자극을 한다.
단계 S430에서,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상황 정보와 상이한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시스템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함께, 상황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지시 사항을 포함하는 이미지 선택지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미지 선택지 상의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이미지 선택지 상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중에서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한 이미지를 선택한다.
단계 S440에서,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가 수신된다.
도 9는 도 8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400)의 예시로서,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예시가 도시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시스템이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슬픔의 감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시스템은 수정 대상 감정 중 학습 빈도가 높은 슬픔을 선택한다. 시스템은 슬픔에 상응하는 상황 정보(41)로서, 슬픈 표정을 하는 인물의 이미지 및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상황 정보(41)를 소정의 시간 동안 노출하면서, 슬픔의 감정에 대해서 인지 자극이 된다. 이후,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슬픔의 감정에 상응하는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42)와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슬픔의 감정과 상이한 감정에 상응하는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43)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시스템은 이미 제공된 상황 정보(41)의 감정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라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들 중에서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감정의 이미지를 선택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이미지 정보로서 수신한다.
도 10은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가 추가된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가 추가된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은,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500) 이후에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600)가 추가된다.
단계 S600에서,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가 평가된다. 즉, 시스템은 단계 S500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정도의 평가 결과가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한다. 단계 S600은 도 11 내지 도 12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600)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하는 단계(S610),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제공하는 단계(S620),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복수의 동일한 가림막 이미지로 변경하여 제공하는 단계(S630), 사용자가 선택한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640) 및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650)를 포함한다.
단계 S610에서,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이 선택된다. 즉, 시스템은 인지적 편향 수정의 정도의 평가 결과가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한다.
단계 S620에서,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시스템은 소정의 복수의 위치 중 임의로 배치 위치를 선택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배치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시스템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의 위치를 기억하라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의 위치를 기억한다.
단계 S630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각각이 복수의 동일한 가림막 이미지로 변경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즉, 시스템은 복수의 이미지가 배치된 소정의 위치에 가림막 이미지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가림막 이미지는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로서, 단 색의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스템은 복수의 동일한 가림막 이미지와 함께,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 중에서 상이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치를 선택하라는 지시 사항을 포함하는 이미지 선택지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시 사항을 확인하고, 복수의 동일한 가림막 이미지 중에서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가림막 이미지를 선택한다.
단계 S640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동일한 복수의 가림막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의 위치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다.
단계 S650에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가 평가된다. 즉,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는 이미지 선택지 상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모범 답안 정보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평가된다.
수정 대상 감정은 기본 감정 및 응용 감정을 포함한다. 기본 감정은 사용자가 느끼는 기본적인 감정을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한 감정이다. 예를 들어, 기본 감정은, 기쁨, 슬픔, 경멸, 분노 및 공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응용 감정은 사용자가 기본 감정에 기초하여 느끼는 응용적인 감정을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한 감정이다. 예를 들어, 응용 감정은, 사랑하다, 놀라다, 부끄럽다, 심각하다, 궁금하다, 아프다, 지루하다 및 외롭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스템은 기본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S2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S3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4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500) 및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600)를 수행한다. 시스템은 기본 감정 각각에 대한 수행 결과,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가 소정의 학습 기준 이상인 경우, 응용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S2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S3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400),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500) 및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600)를 수행한다.
시스템은 단계 S600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에 대한 인지와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상호 작용을 위한 학습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S600)의 예시로서, 복수의 이미지의 위치 중에서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 중 상이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위치를 선택하는 예시가 도시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시스템이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기쁨의 감정을 선택하는 경우가 설명된다.
시스템은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기쁨의 감정을 선택한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기쁨의 감정에 상응하는 두 개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51)와 두 개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52)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위치를 기억하라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 후, 사용자는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51) 및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52)가 배치된 위치에 가림막 이미지(53)를 배치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미지 중에서 다른 이미지와 상이한 두 개의 이미지의 위치를 선택하라는 지시 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지시 사항에 상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가림막 이미지(53)를 선택하고,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림막 이미지(53)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장치(700)는, 저장부(710), 제1 평가부(720), 제어부(730), 통신부(740), 제2 평가부(750) 및 제3 평가부(760)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장치(700)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상응한다. 이하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710)는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710)는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한다.
제1 평가부(720)는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한다.
제어부(730)는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730)는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를 결정한다.
통신부(74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740)는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한다.
제2 평가부(750)는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한다.
제3 평가부(760)는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710 : 저장부
720 : 제1 평가부
730 : 제어부
740 : 통신부
750 : 제2 평가부
760 : 제3 평가부

Claims (10)

  1. 컴퓨터에 의해서 수행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미만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재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정도를 재평가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로서 수신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동일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소정의 비교 기준 미만의 차이가 있는 하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동일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하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사용자가 나머지와 다른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선택되지 않은 수정 대상 감정 중 임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임의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한 이미지 중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서로 상이한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상황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상기 상황 정보와 상이한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 이미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상기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중 상기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이상인 하나의 수정 대상 감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정 대상 감정에 상응하는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와 상이한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 및 상기 복수의 비교 대상 감정의 이미지 각각을 복수의 동일한 가림막 이미지로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동일한 복수의 가림막 이미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의 이미지의 위치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림막 이미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대상 감정은, 기본 감정 및 응용 감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감정은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기본적인 감정을 상기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한 감정이고,
    상기 응용 감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본 감정에 기초하여 느끼는 응용적인 감정을 상기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한 감정인,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가 소정의 학습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응용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기억력 및 주의 집중력의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9.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소정의 구분 기준으로 구분된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제1 평가부;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능력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빈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학습 빈도를 반영하여,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 각각에 대해서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를 평가하는 제2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 정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수정 정도 기준 미만인 수정 대상 감정에 대해서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인지 자극을 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를 재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정도를 재평가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수정 대상 감정에 관한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한 이미지 선택지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라고 판단하여 선택한 이미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인지적 편향 수정의 학습 결과로서 수신하는,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장치.
  10.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29486A 2018-12-28 2019-03-14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 KR102114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95 2018-12-28
KR20180171695 2018-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907B1 true KR102114907B1 (ko) 2020-05-25

Family

ID=7091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486A KR102114907B1 (ko) 2018-12-28 2019-03-14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031B1 (ko) * 2020-10-26 2021-09-07 김강무 인지 편향 및 의사결정 합리성 진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064473A1 (en) * 2021-10-13 2023-04-20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therapy using a mobil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873A (ko) * 2007-02-06 2008-09-22 프림포주식회사 치매예방 게임시스템
KR20110105214A (ko) * 2010-03-18 2011-09-26 박인숙 테스트 연계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1450163B1 (ko) * 2014-02-28 2014-10-13 주식회사 심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유아의 감정 인지 학습 방법
KR101834003B1 (ko)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인지 학습 및 평가 시스템
KR20190009383A (ko) 2016-05-27 2019-01-28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실제 세계 사용자의 인지 및 기분 상태들을 가상 세계 활동의 함수로서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873A (ko) * 2007-02-06 2008-09-22 프림포주식회사 치매예방 게임시스템
KR20110105214A (ko) * 2010-03-18 2011-09-26 박인숙 테스트 연계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1450163B1 (ko) * 2014-02-28 2014-10-13 주식회사 심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유아의 감정 인지 학습 방법
KR20190009383A (ko) 2016-05-27 2019-01-28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실제 세계 사용자의 인지 및 기분 상태들을 가상 세계 활동의 함수로서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34003B1 (ko)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인지 학습 및 평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031B1 (ko) * 2020-10-26 2021-09-07 김강무 인지 편향 및 의사결정 합리성 진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3064473A1 (en) * 2021-10-13 2023-04-20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therapy using a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51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ep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a brain-artificial intelligence interface
Rosenholtz et al. Rethinking the role of top-down attention in vision: Effects attributable to a lossy representation in peripheral vision
Fellows The Discrimination Process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Series of Monographs in Experimental Psychology
KR101295187B1 (ko)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isoni et al. Learning, memory, and cognitive processes in deaf children following cochlear implantation
EP2441386A1 (en) Cognitive and linguistic assessment using eye tracking
KR102114907B1 (ko) 인지 자극을 이용한 인지적 편향 수정 방법 및 장치
Picon et al. Visual illusions help reveal the primitives of number perception.
US202102048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gnitive Diagnostics in Connection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Response to Antidepressants
CN116824933A (zh) 一种基于大语言模型的医学培训系统
Erfanian Saeedi et al. Learning pitch with STDP: A computational model of place and temporal pitch perception using spiking neural networks
Lerner Knowledge or performance—Why youth with autism experience social problems
Blaha A dynamic Hebbian-style model of configural learning
Maimon et al. The Topo-Speech sensory substitution system as a method of conveying spatial information to the blind and vision impaired
KR20230011013A (ko) Ai 기반 그림을 이용한 부모와 아동이 자체 제작하는 내그림 동화책 제작 시스템 및 이의 방법
Hoekstra et al. Testing the skill-based approach: Consolidation strategy impacts attentional blink performance
Brecht et al.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ly controlled vocalizations in a corvid songbird
JP7024136B1 (ja) 分析システム
KR101647193B1 (ko) 신경 언어 장애군을 위한 문장 기반 치료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240066973A (ko) 행위 중독을 개선하기 위한 상담을 제공하는 방법
KR20240066974A (ko) 인물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상담을 수행하는 방법
Schilhab et al. Grounded cognition
Huang et al. Choice History Biases in Dyadic Decision-Making
US20220036751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viding a performance indication to a hearing and speech impaired person learning speaking skills
Ziereis Learning and Retrieval of Crossmodally Associated Valence in Face Per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