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032B1 -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032B1
KR102114032B1 KR1020190084653A KR20190084653A KR102114032B1 KR 102114032 B1 KR102114032 B1 KR 102114032B1 KR 1020190084653 A KR1020190084653 A KR 1020190084653A KR 20190084653 A KR20190084653 A KR 20190084653A KR 102114032 B1 KR102114032 B1 KR 10211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
router
user terminal
cats
dhc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크럭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크럭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크럭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8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0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d telephone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04L61/201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캣 제어 방법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라우터에 연결된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캣 중 적어도 하나가 휴지 상태인 경우, 휴지 상태인 제1 캣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캣에 대해 설정된 고유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OF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USING ROUTER}
이하의 설명은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기반의 캣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캣(신용 조회 단말기; 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CAT)은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카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카드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2018년 현재 POS(point-of-sale) 단말은 약 50만대가 보급된 것으로 확인되며, 캣의 경우 POS 단말보다 월등히 많은 약 200만대의 보급량을 가지고 있다. 캣은 POS 단말보다 저렴하여 비용 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POS 단말을 보유한 가맹점이라 할 지라도 보조 결제 수단으로 캣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늘날 핀테크(fin-tech)의 발전으로 다양한 간편결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간편결제 개발사들은 오프라인 결제 시장으로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오프라인 결제 시장의 경우, VAN(value-added network)사 또는 POS사들이 인프라를 장악하고 있어, 그 회사들과의 제휴 및 시스템 연동 개발이 필수적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 과정에서 가맹점들이 부담하게 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그 결과로 대한민국 내 간편결제 오프라인 시장이 크게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1096호에는 VAN사의 웹서버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접속된 신용카드 조회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처리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대상특허는 메모리에 저장된 매출전표의 거래내역에 기초하여 가맹점의 신용카드 매출내역을 집계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대상특허는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 및 단말에 연관되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구성, 사전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객에 연관되는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어떠한 내용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캣 제어 방법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라우터에 연결된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캣 중 적어도 하나가 휴지 상태인 경우, 휴지 상태인 제1 캣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캣에 대해 설정된 고유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복수의 응답 메시지가 상기 라우터에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응답 메시지의 신호 세기에 따라 선택된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캣에 대한 우선 접근 권한을 허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캣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상기 라우터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우터가 소정의 백 오프(back-off) 주기를 가지고 다음 주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다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캣에 연관되는 접근(access)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기기 고유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기기 고유값이 지정된 서버 내에서 상기 제1 캣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와 매칭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지정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캣의 맥 어드레스와 매칭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선택된 점원 ID에 대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점원 ID에 대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로부터 획득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캣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정 가맹점에 대한 사전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특정 고객에 연관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완료 명령을 상기 제1 캣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트랜잭션 완료 명령을 상기 제1 캣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제어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때에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판정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캣 중 적어도 하나가 휴지 상태인 경우, 휴지 상태인 제1 캣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송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캣에 대응하는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도 1은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된 라우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라우터가 사용자 단말과 캣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라우터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예시적인 화면이다.
실시 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션 연결 단계
도 1은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가맹점에 대한 데이터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라우터(110), 라우터(110)로부터 복수의 캣(121, 122, 123)에 대한 접근 권한을 허여(granting) 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31, 132),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트랜잭션 요청에 따라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복수의 캣(121, 122, 123)이 도시된다.
라우터(11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라우터(110)는 네트워크, 예컨대,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VAN사 또는 신용카드사 등과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복수의 캣(121, 122, 123)과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31, 132)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라우터(110)는 내부의 메모리에 복수의 가맹점에 연관되는 사전 등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속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연관되는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복수의 캣(121, 122, 123)과 복수의 사용자 단말(131, 132)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우터(110)는 내부 메모리에 특정 가맹점에 연관되는 상품 정보, 서비스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특정 가맹점의 식별값(ID: identifier)과 매칭하여 특정 가맹점에 연관되는 사전 등록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정보는 각각의 상품에 대해 부여된 시리얼 번호, 상품 금액 및 직원 할인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정보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부여된 시리얼 번호, 서비스 금액 및 직원 할인 한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31, 132)은 각각의 가맹점 내에서 근무하는 점원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31, 132) 각각은 서로 다른 가맹점에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낼 수 있다. 오늘날 공유형 오피스라는 개념이 등장함에 따라, 가맹점 공간을 여러 사업자가 공유하는 형태가 빈번하다. 이를테면, 하나의 가맹점 공간 내에서 스크린 골프, 카페, 주류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사업자 각각이 오피스를 공유하며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공유형 오피스에 설치된 라우터(110)가 서로 다른 사업체를 운영하는 가맹점 사업자 소유의 사용자 단말(131, 132)과 복수의 캣(121, 122, 123)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가맹점 사업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골프 사업을 수행하는 제1 가맹점의 제1 사용자 단말(131)과 카페 사업을 수행하는 제2 가맹점의 제2 사용자 단말(132)이 하나의 라우터(110)를 통해 동일한 캣(121)을 공유하면서 결제 트랜잭션을 진행하는 실시 예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라우터(110)가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자 단말에 대해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된 라우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라우터(110)는 WiFi 칩(210), 네트워크 칩셋(220), PHY 모듈(230), LED(244), 프로세서(250) 및 메모리(260)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칩(210)과 네트워크 칩셋(22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캣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iFi 칩(210)은 사용자 단말과의 무선 연결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칩셋(22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다.
PHY 모듈(230)은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물리 계층에 해당하며, 외부 기기와 연결을 제공하는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며, 입출력 단자로부터 획득된 전기 신호 또는 광 신호를 데이터링크 계층(layer 2, L2)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PHY 모듈(230)은 입출력 단자를 통해 복수의 캣(241, 242, 243)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라우터(110)는 각각의 캣(241, 242, 243)의 네트워크 상태 표시를 위한 LED(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PHY 모듈(230)의 입출력 단자를 통해 세 개의 캣(241, 242, 243)이 연결된 실시 예가 설명되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기재일 뿐,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PHY 모듈(230)의 입출력 단자에 네 개의 캣이 연결된 실시 예 또는 열 개의 캣이 연결된 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프로세서(250)는 PHY 모듈(230)에 연결된 복수의 캣(241, 242, 243)의 상태값을 수신하고, 복수의 캣(241, 242, 243) 각각의 상태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복수의 캣(241, 242, 243)의 상태값이 지정된 주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LED(244)에 표시되도록 LED(244)를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칩셋(220)은 프로세서(250)의 판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캣(241, 242, 243)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가 휴지 상태인 경우, 휴지 상태인 제1 캣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송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캣에 대해 설정된 고유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특정 가맹점에 연관되는 상품 정보, 서비스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특정 가맹점의 식별값(ID: identifier)과 매칭하여 상기 사전 등록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60)는 PHY 모듈(230)에 연결된 복수의 캣 각각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저장하고, 맥 어드레스에 대응하여 고유하게 설정된 인증 프로토콜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라우터가 캣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과정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메모리(260)는 각각의 캣(241, 242, 243)에 대응하여 설정된 고유 인증 프로토콜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테면, 고유 인증 프로토콜은 제1 캣(241)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부여된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확인하는 제1 인증 프로토콜 또는 제2 캣(242)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의 휴대전화 서비스 각각에 대해 부여된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를 확인하는 제2 인증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라우터(110)는 메모리(260)에 기반하여 각각의 캣 단말(241, 242, 243)이 서로 다른 인증 프로토콜을 가지는 실시 예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라우터가 사용자 단말과 캣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라우터가 소정 가맹점에 연관되는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 연관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이하에서, 소정 가맹점에 연관되는 접근이란, 가맹점의 지정 매장 또는 백화점이나 복합 콤플렉스 건물 내의 일부 공간에 마련된 가맹점의 상설 매장 등을 방문한 고객에 대한 결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접속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310)에서 라우터 내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라우터에 연결된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라우터의 PHY 모듈에 유선 연결된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라우터 내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값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캣이 휴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복수의 캣 중 적어도 하나가 휴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라우터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칩셋은 휴지 상태인 제1 캣의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단계(331)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맥 어드레스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기재일 뿐, 네트워크 칩셋은 하나의 캣에 대해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송출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복수의 캣 전부가 연결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라우터는 미리 지정된 시간 구간만큼의 소정의 제1 백 오프 주기를 가지는 단계(332)를 수행할 수 있다. 라우터는 제1 백 오프 주기가 지난 이후, 다음 연결 주기를 통해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다시 판정할 수 있다.
단계(331)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경우, 라우터의 프로세서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340)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답 메시지는 캣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네트워크 관리 정보는 라우터에 관한 DHCP 서버 정보, DHCP 할당에 관한 DHCP IP 요청 메시지 및 DHCP 타임아웃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복수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라우터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응답 메시지의 신호 세기에 따라 선택된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캣에 대한 우선 접근 권한을 허여하는 단계(351)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계(340)에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하나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라우터의 프로세서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허여하는 실시 예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단계(340)에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라우터는 미리 지정된 시간 구간만큼의 소정의 제2 백 오프 주기를 가지는 단계(352)를 수행할 수 있다. 라우터는 제2 백 오프 주기가 지난 이후, 다음 연결 주기를 통해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다시 판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실시 예의 라우터는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이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VAN사 또는 신용카드사 등과 데이터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복수의 캣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맹점 내의 각자의 위치에서 편리하게 결제 트랜잭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라우터가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예시적인 화면이다. 라우터의 네트워크 칩셋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캣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기기 고유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라우터는 획득된 기기 고유값이 지정된 서버 또는 메모리 내에서 제1 캣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와 매칭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지정된 서버는 라우터에 대한 접근 권한 관리, ID 설정 및 비밀번호 설정을 지원하는 관리자 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서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기기 고유값이 인증된 경우에 라우터가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화면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라우터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캣의 맥 어드레스와 매칭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 사용자 단말은 김지점, 김강남, 나판매 및 다팔래 각각에 대한 점원 ID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김지점 지점장"인 경우, 사용자는 단말에 출력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410)와 인터랙션하는 방식으로, 해당 점원 ID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선택된 점원 ID에 대한 최초의 로그인이 아닌 경우에, 라우터가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화면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421)에 표시된 바(bar)에 제3 그래픽 오브젝트(422)가 포함하는 숫자 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라우터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밀번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선택된 점원 ID에 대한 최초의 로그인인 경우, 라우터가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화면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제4 그래픽 오브젝트(431)에 표시된 바(bar)에 제5 그래픽 오브젝트(432)가 포함하는 숫자 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점원 ID에 대응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라우터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제1 캣에 대한 고유 인증 프로토콜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라우터는 사용자 중심의 캣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도용이나 해킹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사용자 단말이 갖는 고유의 기기값을 확인하여 소유 기반의 보안을 수행함과 동시에 점원 ID에 대응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지식 기반의 보안을 수행함으로써 잠재하는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라우터는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정 가맹점에 대한 사전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특정 고객에 연관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라우터는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완료 명령을 상기 제1 캣 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트랜잭션 완료 명령을 상기 제1 캣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5)

  1.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라우터에 연결된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캣 중 적어도 하나가 휴지 상태인 경우, 휴지 상태인 제1 캣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 및 DHCP 타임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캣에 대해 설정된 고유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상기 DHCP 타임아웃 정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응답 메시지가 상기 라우터에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응답 메시지의 신호 세기에 따라 선택된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캣에 대한 우선 접근 권한을 허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상기 라우터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우터가 소정의 백 오프(back-off) 주기를 가지고 다음 주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다시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우터는,
    내장된 PHY 모듈에 유선 연결된 상기 복수의 캣과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캣의 상태정보를 판정하고,
    상기 고유 인증 프로토콜은,
    복수의 인증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복수의 캣 각각에 대하여 고유하게 결정되는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단말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캣에 연관되는 접근(access)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기기 고유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기기 고유값이 지정된 서버 또는 메모리 내에서 상기 제1 캣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와 매칭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결정된 경우, 상기 지정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캣의 맥 어드레스와 매칭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점원 ID에 대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선택된 점원 ID에 대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출력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점원 ID에 대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그래픽 오브젝트로부터 획득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단말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소정 가맹점에 대한 사전 등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특정 고객에 연관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완료 명령을 상기 제1 캣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지정된 서버로 하여금 상기 트랜잭션 완료 명령을 상기 제1 캣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단말 제어 방법.
  5. 라우터(router)를 이용한 캣 제어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때에 상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캣의 상태값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판정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복수의 캣 중 적어도 하나가 휴지 상태인 경우, 휴지 상태인 제1 캣 맥 어드레스(MAC address)를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송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송출된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 및 DHCP 타임아웃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1 캣에 대응하는 인증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DHCP IP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상기 라우터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우터가 소정의 백 오프(back-off) 주기를 가지고 다음 주기를 통해 상기 복수의 캣 각각의 상태 정보를 다시 판정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캣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1 시점을 기준으로 제한 시간 내에 상기 DHCP 타임아웃 정보를 각각 갖는 복수의 응답 메시지가 상기 라우터에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응답 메시지의 신호 세기에 따라 선택된 제1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제1 캣에 대한 우선 접근 권한을 허여하도록 하며,
    상기 라우터는,
    내장된 PHY 모듈에 유선 연결된 상기 복수의 캣과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캣의 상태정보를 판정하고,
    상기 인증 프로토콜은,
    복수의 인증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로, 상가 복수의 캣 각각에 대해 고유하게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84653A 2019-07-12 2019-07-12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1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653A KR102114032B1 (ko) 2019-07-12 2019-07-12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653A KR102114032B1 (ko) 2019-07-12 2019-07-12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484A Division KR20210007820A (ko) 2020-04-02 2020-04-02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032B1 true KR102114032B1 (ko) 2020-05-22

Family

ID=7091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653A KR102114032B1 (ko) 2019-07-12 2019-07-12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78551A (zh) * 2022-06-14 2022-11-01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远控端、智能终端、通信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96B1 (ko) 2003-09-18 2004-05-12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신용카드 결제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신용카드 조회 단말기
KR20140094140A (ko) * 2013-01-21 2014-07-30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포스(pos)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50111445A (ko) * 2014-03-24 2015-10-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JP2017021658A (ja) * 2015-07-13 2017-01-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ブレット端末、posシステム、タブレット端末のパスワード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64983B1 (ko) * 2019-02-11 2019-04-02 성승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ap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101986569B1 (ko) * 2018-11-30 2019-06-10 주식회사 페이크럭스컴퍼니 클라우딩 서버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096B1 (ko) 2003-09-18 2004-05-12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신용카드 결제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신용카드 조회 단말기
KR20140094140A (ko) * 2013-01-21 2014-07-30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포스(pos)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50111445A (ko) * 2014-03-24 2015-10-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결제 단말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JP2017021658A (ja) * 2015-07-13 2017-01-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ブレット端末、posシステム、タブレット端末のパスワード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86569B1 (ko) * 2018-11-30 2019-06-10 주식회사 페이크럭스컴퍼니 클라우딩 서버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64983B1 (ko) * 2019-02-11 2019-04-02 성승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ap 접속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78551A (zh) * 2022-06-14 2022-11-01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远控端、智能终端、通信系统及存储介质
CN115278551B (zh) * 2022-06-14 2023-10-13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远控端、智能终端、通信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3561B2 (en) System for interfacing a client device with a point of sale system
US98987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device-based communication between third-party applications and an electronic wallet
US10686794B2 (en) System in which redirect URL is set for each access range of resource, method for the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the method
US11436573B2 (en) Data processing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CN114143784B (zh) 使用无线信标提供对安全网络的接入证书
CN102754116B (zh) 基于令牌的交易认证
US8640214B2 (en) Key distribution for unconnected one-time password tokens
US20210049579A1 (en) Multi-factor identity authentication
US20180150830A1 (en) System, process and device for e-commerce transactions
CA31219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ond factor authentication of customer support calls
JP2022541601A (ja) 第1の要素非接触カード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0526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rd payment service using a mobile phone number
US107624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ransactions on a social network platform
US9798895B2 (en) Platform identity architecture with a temporary pseudonymous identity
US20160203463A1 (en) Mobile card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KR20200021349A (ko)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만족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114032B1 (ko)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38944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WO2020253714A1 (zh) 数据共享方法、装置、设备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303120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ed access to internet based services and applications
KR20210007820A (ko) 라우터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801059B (zh) 一种移动支付系统和移动支付方法
TWI839875B (zh) 支付方法、使用者終端、裝置、設備、系統及介質
KR20140115040A (ko) 사용자를 인증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4846A (ko) 클라우딩 서버를 이용한 캣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