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136B1 -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136B1
KR102113136B1 KR1020200009240A KR20200009240A KR102113136B1 KR 102113136 B1 KR102113136 B1 KR 102113136B1 KR 1020200009240 A KR1020200009240 A KR 1020200009240A KR 20200009240 A KR20200009240 A KR 20200009240A KR 102113136 B1 KR102113136 B1 KR 10211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source
delete delete
cool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군
이강민
Original Assignee
김덕군
이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군, 이강민 filed Critical 김덕군
Priority to KR102020000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7Auxiliary operations or devices
    • B29C66/874Safety measure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46Battery-cas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우치를 실링하기 전에 물성 변화를 일으켜 작은 가압력과 온도로도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원을 고정할 수 있으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고온의 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는, 피가열물에 열을 전달하는 열원이 고정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SELF COOLING HEAT SOURCE}
본 발명은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탭과 상,하부 파우치, 상부파우치와 하부파우치를 실링하기 전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을 고정할 수 있으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고온의 열을 자체 냉각시킬 수 있는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에서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배터리 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서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단위전지로서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팩이 사용된다.
중대형 전지팩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팩의 배터리 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량이 작고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제조비가 저렴한 파우치형 전지가 특히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열접착성을 가져 실링재 역할을 하는 열접착층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층(Polyolepin Layer),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기재 및 수분과 산소의 배리어층으로서 역할을 하는 금속층인 알미늄층(AL/Aluminum Layer), 기재 및 보호층으로 작용하는 나일론층(Nylon Layer:11)이 적층된 다층막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는 CPP(Casted Polypropylene)가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형태에 융통성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작은 부피 및 질량으로 같은 용량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파우치형 전지는 제조과정에서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지 조립체를 파우치형 포장재 안에 넣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가장자리를 실링한다. 그런 다음, 몇 회의 충방전 사이클을 통해 전지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종래의 실링방식은 금속 블록에 히터를 삽입 한 후 파우치의 PP층을 녹여 붙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링장치는 약 400kgf~1000kgf의 압력과 180℃ 이상의 고온으로 파우치의 실링부위를 1.5초간 가압하여 실링하였는 바, 실링블럭의 고온으로 인해 실링부위가 부분적으로 녹거나 물성 변형되어 파형형상으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의 실링장치는 파우치를 실링하기 전에 열원으로 고온의 열을 가해 실링블럭의 온도 및 가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가열장치를 접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가열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을 안정적으로 낮출 수 있는 수단은 구비하지 못해 화재사고가 발생되는 등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537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우치를 실링하기 전에 물성 변화를 일으켜 작은 가압력과 온도로도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원을 고정할 수 있으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고온의 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파우치를 가열할 때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온도로 낮추어 화재발생을 예방하는 등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는, 피가열물에 열을 전달하는 열원이 고정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저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장착수단이 형성된 본체부, 상면에 상기 장착수단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원을 고정하는 소켓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면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소켓부가 수용되는 측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냉각을 위한 에어유입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내부공간에는 에어유입관과 연결되는 에어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에어통로의 에어를 상기 장착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분기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분기구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공간 및 유입공간에 유입된 에어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및 상면덮개부의 내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에어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측벽에는 상기 에어저장공간의 에어를 수용부와 소켓부로 각각 배출하기 위한 부가에어배출구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에어유입관 및 에어저장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2에어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과 상면덮개부의 양측면에 공동으로 결합되는 에어커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열원의 열을 상기 피가열물을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열원의 열을 피가열물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는, 파우치를 실링하기 전에 물성 변화를 일으켜 작은 가압력과 온도로도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원을 고정할 수 있으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고온의 열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각시켜 화재발생을 예방하는 등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에 적용된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의 에어 흐름도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피가열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고정할 수 있으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고온의 열을 자체 냉각시켜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등 사용상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고 열원이 피가열물에 열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는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는 피가열물에 열을 전달하는 열원이 고정되는 수용공간 및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가 고정하는 열원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피가열물은 열공급이 요구되는 다양한 것들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피가열물이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로 이루어져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P)로 적용될 수 있고, 열원은 이러한 이차 전지용 파우치(P)의 실링부위(P1)에 열을 가하는 할로겐 램프로 적용될 수 있다.
열원은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탭과 파우치(P),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를 실링블럭과 같은 실링도구로 실링하기 전 1차적으로 비 접촉식으로 가열하여 추후 실링블럭(미도시)에 의해 완벽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은 일정 높이를 갖는 지지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우치(P)는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0)으로 이송되면서 열원(20)에 의해 실링부위(P1)가 가열될 수 있다.
지지대와 이송장치는 일정길이와 높이를 갖는 작업대의 상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송장치는 일 예로, 실링부위(P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파우치(P)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미도시), 실링부위(P1)가 열원(20)에 위치되도록 홀딩부를 이송시키는 로드레스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작업대의 상면에는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1)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실링부위(P1)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게 되는 한 쌍의 실링블럭(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실링블럭은 내부에 열선이 내장되어 자체 발열될 수 있으며, 실린더에 의해 실링부위(P1)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블럭은 열원을 통과한 실링부위(P1)를 상,하면을 가압 하면서 열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실링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 소켓부(13), 에어커튼부(12), 열집중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는 제1부재(111), 제2부재(112), 반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111)는 다각블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에 열원(20)을 고정하는 소켓부(13)가 각각 결합된다.
제2부재(112)는 제1부재(111)의 후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부재(111) 상에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제1부재(111)는 열원(20)의 고온에 의해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에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냉각수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부재(111)의 냉각수단은 서로 이격되는 에어유입구(111a)를 형성하고, 전면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에어공급구(111c)를 형성하며, 후면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에어배출구(111b)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에어유입구(111a), 에어배출구(111b) 및 에어공급구(111c)와 연결되는 에어통로(111d)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111)에는 본체부(11)를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공급부(30)가 결합된다.
에어공급부(30)는 제1부재(111)의 상면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홀(31b)이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에어유입구(111a)와 연결되는 연결홀(31a)이 형성된 케이스(31), 케이스(31)의 장착홀(31b)에 장착되는 팬(32)을 포함할 수 있다.
팬(32)은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된다. 그리고 팬(32)이 회전되면 팬(32)의 전방과 후방에 압력차가 발생되어 연결홀(31a)을 통해 에어유입구(111a)로 에어가 유입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통로(111d)는 유입된 에어를 에어배출구(111b)로 안내하기 위해 수직부(1111d)와 경사부(1112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공급부(30)가 작동됨으로 인해 에어통로(111d)로 유입된 에어는 에어배출구(111b)와 에어공급구(111c)를 통해 배출되며, 그 과정에서 본체부(11)를 냉각시켜 열원의 고온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에어공급구(111c)를 통해 배출된 에어는 후술되는 열집중부(14)를 냉각시킨다.
열집중부(14)는 열원(20)의 열이 실링부위(P1)에 집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에어커튼부(12)는 에어통로(111d) 내의 에어가 에어배출구(111b)를 통해 급격히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부(11)의 하부측으로 소정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후면 즉, 제1부재(111)와 제2부재(112)가 연장되는 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차홈(11a)이 형성되고, 제2부재(112)는 단차홈(11a)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에어커튼부(12)는 단차홈(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팅결합되어 에어배출구(111b) 전체를 가린다.
이때, 제2부재(112)가 단차홈(11a)의 내측에 위치됨으로 인해, 제2부재(112)의 하측면(1121)과 에어커튼부(12)의 사이에는 에어가 통과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즉, 에어커튼부(12)를 통해 에어배출구(111b)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소정시간 동안 제2부재(112)와 에어커튼부(12)의 사이 공간으로 점차 배출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11)를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반사부(113)는 제1부재(111) 및 제2부재(112)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오목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 상에 열원 (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킨다.
반사부(113)는 열 반사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예로 열 반사도가 우수한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113)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열원(20)의 열을 실링부위(P1)에 집중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반사부(113)의 표면은 열원(20)의 고온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며, 열원(20)의 고온으로부터 제1부재(111) 및 제2부재(112)를 보호할 수 있고, 열 반사율을 95%이상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석영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열집중부(14)는 열원(20)에서 발생되는 열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실링부위(P1)에 집중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열집중부(14)는 제1부재(111)의 전면에 형성된 홈(11b)에 삽입되어 볼팅결합되는 결합부재(141), 결합부재(141)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열원(20)을 사이에 두고 반사부(113)와 대향되는 대향부재(142), 대향부재(142)의 하측에서 수용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부재(112)와 소정간격 이격됨으로, 수용공간의 하측 일부분을 막게 되는 막음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대향부재(142)는 반사부(113)와 대향하는 내면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대향부재(142)는 반사부(11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대향부재(142)는 반사부(113)와 함께 열원(20)의 열을 실링부위(P1)로 반사할 수 있다.
나아가, 대향부재(142)의 내면은 반사부(113)와 동일하게 석영으로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막음부재(143)는 하단이 제2부재(112)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막음부재(143)는 반사부(113) 및 대향부재(14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그 내면은 석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열원(20)의 열이 반사부(113) 및 대향부재(142)에 반사된 후, 막음부재(143)와 제2부재(112)의 사이 공간을 통해 방출되어 실링부위(P1)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열집중부(14)도 열원(20)의 고온에 의해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1)에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냉각수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집중부(14)의 냉각수단은 결합부재(141)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부가 에어배출구(141a)를 형성하고, 대향부재(142)의 후면에는 부가 에어배출구(141a)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배출가이드홈(1142a)을 수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부가 에어배출구(141a)는 결합부재(141)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측의 입구(1411a)가 결합부재(141)의 전면에 노출되어 에어공급구(111c)와 마주하며, 하측의 출구(1411b)는 대향부재(142)의 후면에 노출된다.
그리고, 배출가이드홈(1142a)은 대향부재(142)의 후면에서 부가 에어배출구(141a)의 출구(1411b)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열집중부(14)는 부가 에어배출구(141a)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배출가이드홈(1142a)을 따라 이송된 후 열집중부(14)의 하측으로 소정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가 에어커튼부(144)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대향부재(142)의 후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차홈(142b)이 형성되고, 부가 에어배출구(141a)의 출구(1411b)는 단차홈(142b)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부가 에어커튼부(144)는 대향부재(142)의 후면에 결합되어 단차홈(142b) 및 배출가이드홈(1142a) 전체를 가린다.
이로 인해 부가 에어커튼부(144)는 부가 에어배출구(141a)의 입구(1411b) 및 배출가이드홈(1142a)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측에 마련된 경사부(1441)는 막음부재(143)의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따라서, 에어 공급부가 작동됨으로 인해 에어통로(111d)에 유입된 에어의 일부량이 에어공급구(111c)와 부가 에어배출구(141a) 및 배출가이드홈(1142a)을 따라 이동되면서 열집중부(14)를 충분히 냉각시키게 됨으로, 열원(20)의 고온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에 적용된 하우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에 적용된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하우징의 에어 흐름도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0)은 본체부(41), 실링부하우징, 소켓부(13), 상면덮개부(44), 측면덮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부(4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41)는 다각형 형상, 원 형상, 타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41)의 저면 양측에는 후술되는 실링부하우징이 장착되는 장착수단(411)이 형성된다.
장착수단(411)은 본체부(41)의 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된다.
장착수단(411)은 수용부(42)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수용부(42)는 상면에 장착수단(411)의 사이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장착부(421)가 형성되고 열원(20)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수용부(42)는 후술되는 냉각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하부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원(20)과 마주하는 내면에 열원(20)의 열을 실링부위(P1)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422)가 형성된다.
반사부(422)는 열 반사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예로 열 반사도가 우수한 알루미늄(Al), 은(Ag), 구리(Cu)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부(422)는 하부가 개방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열원(20)의 열을 실링부위(P1)에 집중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소켓부(43)는 본체부(41)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열원(20)의 양측을 고정한다.
상면덮개부(44)는 본체부(41)의 상면에 결합되되, 저면과 양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덮개부(44)의 양측 개방된 부분은 한 쌍의 폐쇄부(441)에 의해 폐쇄된다.
폐쇄부(441)는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의 수평부분이 상면덮개부(44)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측의 수직부분이 상면덮개부(44)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폐쇄부(441)에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관통홀(441a)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폐쇄부(441)에 형성된 관통홀(441a)에는 후술되는 제1,2에어공급부(50,60)가 관통설치되고, 다른 폐쇄부(441)에 형성된 관통홀(441a)에는 에어의 누출을 방지하는 마개(70)가 설치된다.
측면덮개부(45)는 본체부(41)와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면덮개부(45)는 본체부(41)의 양측면에 결합될 시 내부에 소켓부(43)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40)은 열원(20)의 고온에 의해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1)에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냉각수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냉각수단은 본체부(41)의 바닥면 중앙부분에는 에어유입관(412)을 돌출 형성하고, 바닥면의 내부공간에는 에어유입관(412)과 연결되며 바닥면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에어통로(41a)를 형성함과 아울러, 본체부(41)의 바닥면에는 에어통로(41a)의 하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에어통로(41a)의 에어를 장착부(421)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분기구(41b)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며, 장착부(421)의 중앙부분에는 분기구(41b)와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유입공간(421a)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장착부(421)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에어배출구(421b)가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41)의 상면에 상면덮개부(44)가 결합됨으로 인해, 본체부(41)의 내부 및 상면덮개부(44)의 내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에어저장공간(41c,44a)이 형성되고, 본체부(41)의 바닥면과 측벽에는 부가에어배출구(41d,41e)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본체부(4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부가에어배출구(41d)는 분기구(41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형태를 이루며, 수용부(42)의 양 끝부분과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부(41)에는 냉각을 위한 제1,2에어공급부(50,60)가 더 적용된다.
제1에어공급부(50)는 에어유입관(412)에 설치되며 상면덮개부(44)의 에어저장공간(44a)에 위치되는 제1공급관(52), 일부분은 상면덮개부(44)의 외부에서 에어주입기(53)에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폐쇄부(441)의 관통홀(441a)을 관통하여 테프론관을 통해 제1공급관(52)과 연결되는 제2공급관(5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에어공급부(60)는 일부분이 상면덮개부(44)의 외부에서 에어주입기(53)에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폐쇄부(441)의 관통홀(441a)을 관통하여 상면덮개부(44)의 에어저장공간(44a)에 위치된다.
제2에어공급부(60)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에어주입기(53)의 에어를 상면덮개부(44)의 에어저장공간(44a)에 공급할 수 있다.
에어주입기(53)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콤프레셔로써, 제1에어공급부(50) 및 제2에어공급부(60)에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에어공급부(50)에 공급된 에어는 에어유입관(412)과 에어통로(41a)와 분기구(41b)들을 순차적으로 거쳐 장착부(421)의 유입공간(421a)에 유입된 후 복수개의 에어배출구(421b)들을 통해 수용부(42)에 고루게 분사되면서 본체부(41)와 수용부(42)를 냉각시킨다.
아울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에어공급부(60)에 공급된 에어는 본체부(41)의 에어저장공간(41c)과 상면덮개부(44)의 에어저장공간(44a)에 유입된 후, 바닥면의 부가에어배출구(41d)와 측벽의 부가에어배출구(41e)를 통해 배출된다.
바닥면의 부가에어배출구(41d)로 배출된 에어는 수용부(42)의 양측 끝부분으로 분사되어 수용부(42)을 보다 냉각시키고, 측벽의 부가에어배출구(41e)로 배출된 에어는 측면덮개부(45)의 내부공간으로 분사되어 소켓부(43)를 냉각시킨다.
부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은 장착부(421)의 에어배출구(421b)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를 수용부(42)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에어커튼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커튼부(46)는 상면덮개부(44)와 본체부(41)에 공동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어느 하나는 그 상측과 하측이 상면덮개부(44)와 본체부(41)의 전면에 각각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그 상측과 하측이 상면덮개부(44)와 본체부(41)의 후면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에어커튼부(46)는 분기구(41b)와 에어배출구(421b)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본체부(41)와 수용부(42) 및 소켓부(43)의 냉각효율을 보다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10,40 : 하우징 11,41 : 본체부
11a,142b : 단차홈 11b : 홈
111 : 제1부재 111a : 에어유입구
111b : 에어배출구 111c : 에어공급구
111d,41a : 에어통로 1111d : 수직부
1112d,1441 : 경사부 112 : 제2부재
1121 : 하측면 113,422 : 반사부
12,46 : 에어커튼부 13,43 : 소켓부
14 : 열집중부 141 : 결합부재
141a,41d,41e : 부가 에어배출구 1411a : 입구
1411b : 출구 142 : 대향부재
142a : 배출가이드홈 143 : 막음부재
144 : 부가 에어커튼부 20 : 열원
30 : 에어공급부 31 : 케이스
31a : 연결홀 31b : 장착홀
32 : 팬 41b : 분기구
41c,44a : 에어저장공간 411 : 장착수단
412 : 에어유입관 42 : 수용부
421 : 장착부 421a : 유입공간
421b : 에어배출구 44 : 상면덮개부
441 : 폐쇄부 441a : 관통홀
45 : 측면덮개부 50 : 제1에어공급부
51 : 제1공급관 52 : 제2공급관
53 : 에어주입기 60 : 제2에어공급부
70 : 마개

Claims (14)

  1. 피가열물에 열을 전달하는 열원이 고정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열원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저면 양측에 서로 대향되는 장착수단이 형성된 본체부,
    상면에 상기 장착수단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원을 고정하는 소켓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면덮개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소켓부가 수용되는 측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냉각을 위한 에어유입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내부공간에는 에어유입관과 연결되는 에어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에어통로의 에어를 상기 장착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분기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분기구를 통해 배출된 에어가 수직방향으로 유입되는 유입공간 및 유입공간에 유입된 에어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 및 상면덮개부의 내부에는 서로 연결되는 에어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과 측벽에는 상기 에어저장공간의 에어를 수용부와 소켓부로 각각 배출하기 위한 부가에어배출구가 형성된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관 및 에어저장공간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1,2에어공급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과 상면덮개부의 양측면에 공동으로 결합되는 에어커튼부를 더 포함하는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열원의 열을 상기 피가열물을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형성된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열원의 열을 피가열물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KR1020200009240A 2020-01-23 2020-01-23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KR10211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40A KR102113136B1 (ko) 2020-01-23 2020-01-23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240A KR102113136B1 (ko) 2020-01-23 2020-01-23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136B1 true KR102113136B1 (ko) 2020-05-20

Family

ID=7091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240A KR102113136B1 (ko) 2020-01-23 2020-01-23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1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052B1 (ko) * 2004-02-12 2007-01-09 조극래 원적외선이용한 건조장치
KR100952617B1 (ko) * 2009-07-29 2010-04-15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 히팅 모듈
KR20120056316A (ko) * 2010-11-24 2012-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생산성의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1453784B1 (ko) 2011-12-21 2014-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방법
KR101589278B1 (ko) * 2014-05-23 2016-01-28 이재영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는 uv경화장치
KR20170137357A (ko) * 2016-06-03 201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근적외선 집광가열장치, 이를 포함하는 판재의 성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052B1 (ko) * 2004-02-12 2007-01-09 조극래 원적외선이용한 건조장치
KR100952617B1 (ko) * 2009-07-29 2010-04-15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 히팅 모듈
KR20120056316A (ko) * 2010-11-24 2012-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생산성의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1453784B1 (ko) 2011-12-21 2014-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방법
KR101589278B1 (ko) * 2014-05-23 2016-01-28 이재영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지는 uv경화장치
KR20170137357A (ko) * 2016-06-03 201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근적외선 집광가열장치, 이를 포함하는 판재의 성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470B2 (en) Battery module having all-solid-state battery and cartridge
TWI342631B (en) Battery pack comprising combined temperature-controlling system
JP4727668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用の冷却装置
US10361469B2 (en) Battery module having water-cooled type cooling structure
US9660304B2 (en) Battery pack of novel air cooling structure
EP2790263B1 (en) Novel air cooled structured battery pack
JP6560446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JP7442920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215836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11313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부 가열장치
JP2023540767A (ja) バッテリーラック、電力貯蔵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
KR102113136B1 (ko) 자체 냉각식 열원 고정장치
KR101348579B1 (ko) 온도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30126044A (ko) 이차전지모듈
TWI805811B (zh) 電池模組以及包括其的電池組
EP3780253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module housing
JP7374310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US20220376326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247032A1 (en) Battery module, battery rack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nd power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battery rack
KR102464824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0012942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219066968U (zh) 热管理组件、电池和用电装置
US20230246275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JP2024500505A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220131782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