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337B1 -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337B1
KR102112337B1 KR1020190096046A KR20190096046A KR102112337B1 KR 102112337 B1 KR102112337 B1 KR 102112337B1 KR 1020190096046 A KR1020190096046 A KR 1020190096046A KR 20190096046 A KR20190096046 A KR 20190096046A KR 102112337 B1 KR102112337 B1 KR 10211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tificial
artificial reef
hous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서
Priority to KR102019009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8Arrangements for sinking or moor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공어초는 유선돌출부(20)를 방사선상으로 돌출시키고 내부에 공간(10)을 형성하되 상면을 저면 가장자리까지 만곡하여 유선형으로 형성시키고, 상면 중앙에는 수직으로 메인통로(30)를 천공함과 동시에 유선돌출부(20)의 외향측 상면에 보조통로(31)를 천공하여 내부 공간(10)과 외부를 각각 연통시키되; 상기 메인통로(30)나 보조통로(31)에 체결하되 지지대(111)의 양단에 지지브래킷(114)을 결합하고 지지대(111)의 중앙을 절단하여 조절구(112)로 나사결합하되 지지대(111)에 인공수초(116)를 구비한 지지구(115)를 결합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측으로 체결하되 굴곡플레이트(123)를 교차적층하여 형성하고 적층상태의 굴곡플레이트(123)의 중앙을 수직바(121)로 관통시켜 지지프레임(110)에 체결하고, 교차 적층시킨 굴곡플레이트(123)의 가장자리와 최상면에는 다수개의 인공수초(126)를 체결한 내부유도하우징(120)과; 상기 유선돌출부(20)의 내부 모서리 공간(10)에 위치시키되 다수개의 격실(131)을 형성한 통발하우징(130); 및 상기 내부유도하우징(120)의 외측에 원호상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보조유도하우징(140)로 구성하므로; 하부 표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태풍 등 큰파도와 조류에도 유실을 억제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통로를 형성하여 효율적인 산란처 및 안식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어초{artificial fishing banks}
본 발명은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어패류의 산란처 및 안식처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실을 방지하고 어망 등의 훼손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인공어초는 어패류나 해조류와 같은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바다 속에 설치하는 인공 구조물로서, 주로 수심 10 내지 50m의 해역에 설치되어 바닷물의 흐름을 완만하게 해주어 어류들이 모여들게 하여 산란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조류흐름의 장애물로서 역할도 수행함에 따라 인공어초가 설치된 곳에서 해양생물의 밀도는 자연어장보다 3 내지 4배나 높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공어초는 어획능력이 큰 저인망이나 권현망으로부터 어장을 보호하고 각종 어류나 조개류의 산란장 및 은신처를 조성하여 어자원을 육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해양오염 및 수온상승 등이 원인이 되어 갯녹음현상(백화현상)의 발생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여기서 백화현상이란, 바닷물 속에 고체 상태로 석출되어 떠다니는 탄산칼슘이 입사광의 산란으로 인해 우유를 뿌려놓은 것 처럼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 현상으로, 바닷물을 떠다니던 탄산칼슘이 서서히 침전해 해양생물의 표면이나 해저바위 등에 달라붙어 해조류 및 어패류가 폐사하여 연안 저층을 황폐화 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갯녹음 현상이 일어난 해저에서도 해조류를 섭식하는 전복, 소라, 성게 등의 조식동물과 어패류들에게 산란장 및 서식장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닷속에 인공어초를 투입하여 해중림을 조성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공어초는 큰 조류발생시 유실될 우려 높고 그물이나 어망 등의 어구를 훼손으로 어민에 피해을 입힐 뿐만 아니라 이로 이한 생태계의 파괴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00-0066257호(2000년 11월 15일)에는 어족보호용 인공어초가 개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어폐류 종류에 따른 복합적 안식처를 제공하기 어려울 뿐아니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하부 표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태풍 등 큰파도와 조류에도 유실을 억제하도록 할 뿐 아니라 다양한 산란처 및 안식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어패류를 유도하여 어족 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보호 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표면을 하단부까지 낮고 부드럽게 만곡시켜 그물이나 어망의 걸림현상을 억제하므로 어구의 파손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훼손으로 인한 망실되는 어구로 생태계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공어초는 유선돌출부를 방사선상으로 돌출시키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면을 저면 가장자리까지 만곡하여 유선형으로 형성시키고,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메인통로를 천공함과 동시에 유선돌출부의 외향측 상면에 보조통로를 천공하여 내부 공간과 외부를 각각 연통시키되; 상기 메인통로나 보조통로에 체결하되 지지대의 양단에 지지브래킷을 결합하고 지지대의 중앙을 절단하여 조절구로 나사결합하되 지지대와 조절구의 좌우나사 방향을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상호 다르게 형성하고, 지지대에 인공수초를 결합한 지지구를 결합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으로 체결하여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되 굴곡플레이트를 굴곡부분이 상호 교차하도록 다수개 적층하여 형성하고 적층상태의 굴곡플레이트의 중앙을 수직바로 관통시켜 지지프레임에 체결하고, 교차 적층시킨 굴곡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최상면에는 다수개의 인공수초를 체결한 내부유도하우징과; 상기 유선돌출부의 내부 모서리 공간에 위치시키되 다수개의 격실을 형성하고 각각의 격실의 전면에 통공을 천공한 통발하우징; 및 상기 내부유도하우징의 외측에 원호상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보조유도하우징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공어초는 해저에 안치시켜 일정범위의 군집을 이루도록 하되 인공어초의 하부 표면적을 크게 형성하고 상면을 라운딩하여 바닥면의 가장자리와 일치시켜 유선형을 형성하므로 심한 조류 변화에도 유실을 억제하여 직속적인 군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물이나 통발 등의 걸림을 최소화하여 어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어종의 서식지 및 산란처를 제공하여 어족자원을 효율적으로 증대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지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유동관체유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내부유도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내부유도하유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통발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보조유도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연접시켜 연결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확대로서,
a)도는 평면도이고,
b)도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어초의 연접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어초(1)는 유선돌출부(20)를 방사선상으로 돌출시키고 내부에 공간(10)을 형성하되 상면을 저면 가장자리까지 만곡시키고, 상면 중앙에는 수직으로 메인통로(30)를 천공함과 동시에 유선돌출부(20)의 외향측 상면에 보조통로(31)를 천공하여 내부 공간(10)과 외부를 각각 연통시키되; 상기 메인통로(30)나 보조통로(31)에 체결하여 인공수초(116)를 다수개 부착시킨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측으로 체결하여 공간(10)에 위치하도록 하되 굴곡플레이트(123)를 교차하게 적층하여 형성하는 내부유도하우징(120)과; 상기 유선돌출부(20)의 내부 모서리 공간(10)에 위치시키는 통발하우징(130); 및 상기 내부유도하우징(120)의 외측에 원호상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보조유도하우징(140)로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공어초(1)는 유선돌출부(20)를 방사선상으로 돌출시켜 별이나 불가사리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부에 공간(10)을 형성하고 메인통로(30)와 보조통로(31)를 천공하여 공간(10)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하므로 어패류의 산란처 및 안식처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인공어초(1)의 상면을 부드럽게 라운딩하여 바닥면의 가장자리와 일치시켜 유선형을 유지하므로 조류에 대항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여 태풍 등의 심한 조류 변화에도 어초의 유실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물이나 통발 등 어구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공어초(1)를 결속수단(40)으로 상호 연결하여 다수개의 인공어초(1)를 일정 크기로 상호연결하여 투입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정크기로 상호 연결되므로 강한 조류에 대한 대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결속수단(40)은 보조통로(31)에 지지부재(41)를 관통시켜 하부를 결속하여 밴딩하되 상호 마주하는 지지부재(41)를 연결부재(42)로 결속하여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결속수단(40)의 지지부재(41)와 연결부재(42)부재는 바다물에서도 훼손을 최소화하는 어망용 끈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전산볼트로 형성한 지지대(111)를 구비하고 지지대(111)의 양단에 디귿자 형상의 지지브래킷(114)을 결합하며 지지대(111)의 중앙을 절단하여 분리하되 지지대(111)의 좌우나사 방향을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상호 다르게 형성시킨다.
여기서 좌우로 분리시킨 지지대(111)를 나사체결하여 연결하는 플랜지(113)를 양측에 형성한 조절구(112)를 구비하되 조절구(112)의 좌우나사 방향을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나사결합하므로 지지대(111)가 고정상태에서 조절구(112)의 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좌우로 분리상태의 지지대(1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지지대(111)에는 다수개의 지지구(115)를 끼워 결합하되 지지구(115)에 복수개의 인공수초(116)를 결합하여 형성하되 지지구(115)와 지지구(155) 사이에 간격유지구(117)를 끼워 적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인공수초(116)는 지지브래킷(114) 등에도 복수개 결합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유도하우징(120)은 굴곡플레이트(123)를 굴곡부분이 상호 교차하도록 다수개 적층하여 형성하되 적층상태의 굴곡플레이트(123)의 중앙을 수직바(121)로 관통시켜 지지프레임(110)의 지지대(111)나 조절구(112) 및 간격유지구(117)에 체결부재(122)로 결합함과 동시에 굴곡플레이트(123)의 모서리 부분을 복수개의 지지바(125)로 관통시켜 고정하므로 굴곡플레이트(123)가 교차적층상태를 지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굴곡플레이트(123)에는 다수개의 통공(124)을 천공하여 형성하고, 교차 적층시킨 굴곡플레이트(123)의 가장자리와 최상면에는 다수개의 인공수초(126)를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발하우징(130)은 보조통로(31)를 통하여 유선돌출부(20)의 내부공간(10) 모서리부분에 끼워 설치하되 다수개의 격실(131)을 형성하고 각각의 격실(131)의 전면에 통공(132)을 천공한다.
아울러, 통발하우징(130)에는 지지대(133)를 결합하고 지지대(133)을 체결부재((134)로 지지프레임(110)에 연결하여 통발하우징(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유도하우징(140)은 다수개의 관체(141)를 상호 교차하도록 적층하여 부착하되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142)을 엇갈리게 천공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유도하우징(140)은 동일 높이의 관체(141) 사이를 적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나아가 보조유도하우징(140)의 관체(141)에 형성시킨 통공(142)은 장공 등 다양한 크기의 형상으로 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조유도하우징(140)에는 지지대(143)를 결합하고 지지대(143)을 체결부재(144)로 메인통로(30)나 보조통로(31)에 체결하여 보조유도하우징(1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관체유도구(150)를 구비하여 인공어초의 내부에 투입하되 동일 길이의 관체(151)를 X,Y,Z축으로 고정시켜 결합하므로 쓸어지거나 뒤집어져도 항상 세워진 상태로 동일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동관체유도구(150)의 관체(151)는 양단에 플랜지(153)을 형성하여 쉽게 모래속으로 묻힌는 현상을 억제함과 동시에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관체(151)의 외주연을 관통하는 통공(152)을 다수개 엇갈리게 천공하여 관통시키되, 통공(152)을 장공 등 다양한 크기의 형상으로 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인공어초(1)는 하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최소한의 구조로 효율적으로 다양한 어종 유도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공어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불가사리 형상의 인공어초(1)를 성형하여 충분하게 경화시킨 다음 메인통로(30)와 보조통로(31)을 통해 굴곡플레이트(123)를 적층하여 형성시킨 내부유도하우징(120)과 통발하우징(130) 및 보조유도하우징(140)을 공간(10)에 안치시킨 다.
나아가, 내부유도하우징(120)과 통발하우징(130) 및 보조유도하우징(140)의 안치가 완료되면 지지프레임(110)을 메인통로(30)와 보조통로(31)에 각각 체결하여 고정하고 지지프레임(110)에 내부유도하우징(120)과 통발하우징(130)를 연결하거나 메인통로(30)와 보조통로(31)에 직접 결합하여 안치한 위치를 한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10)은 메인통로(30)나 보조통로(31)의 테두리에 좌우측의 지지브래킷(114)을 대응하도록 위치시키고 조절구(112)를 회전시키면 지지대(111)가 신장하여 지지브래킷(114)이 테두리에 끼워져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수직바(121)와 지지대(133,143)로 지지프레임(110)에 내부유도하우징(120)과 통발하우징(130) 및 보조유도하우징(140)을 연결한다.
한편, 지지프레임(110)과 내부유도하우징(120) 및 통발하우징(130)에는 인공수초(116, 126)를 다수개 부착하여 형성함이 당연하다.
또한, 인공어초(1)의 내부 공간(10)에 유동관체유도구(150)를 다수개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해상에서 크레인 등으로 해저에 안치시켜 일정범위의 군집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인공어초(1)는 하부 표면적을 크게 형성하고 상면을 라운딩하여 바닥면의 가장자리와 일치시켜 유선형을 형성하므로 심한 조류 변화에도 유실을 억제하여 직속적인 군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물이나 통발 등의 걸림을 최소화하여 어구들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어종의 서식지 및 산란처를 제공하여 어족자원을 효율적으로 증대함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인공어초(1)를 결속수단(40)으로 상호 연결하여 다수개의 인공어초(1)를 일정 크기로 상호연결하여 투입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정크기로 상호 연결되므로 강한 조류에 대한 대향력을 향상시켜 지속적으로 인공어초(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인공어초 10 : 공간
20 : 유선돌출부 30 : 메인통로
31 : 보조통로 40 : 결속수단
41 : 지지부재 42 : 연결부재
110 : 지지프레임 111 : 지지대
112 : 조절구 113 : 플랜지
114 : 지지브래킷 115 : 지지구
116 : 인공수초 117 : 간격유지구
120 : 내부유도하우징 121 : 수직바
122 : 체결부재 123 : 굴곡플레이트
124 : 통공 125 : 지지바
126 : 인공수초 130 : 통발하우징
131 : 격실 132 : 통공
133 : 지지대 134 : 체결부재
140 : 보조유도하우징 141 : 관체
142 : 통공 143 : 지지대
144 : 체결부재 150 : 유동관체유도구
151 : 관체 152 : 통공
153 : 플랜지

Claims (7)

  1. 유선돌출부(20)를 방사선상으로 돌출시키고 내부에 공간(10)을 형성하되 상면을 저면 가장자리까지 만곡하여 유선형으로 형성시키고, 상면 중앙에는 수직으로 메인통로(30)를 천공함과 동시에 유선돌출부(20)의 외향측 상면에 보조통로(31)를 천공하여 내부 공간(10)과 외부를 각각 연통시키되;
    상기 메인통로(30)나 보조통로(31)에 체결하여 인공수초(116)를 다수개 부착시킨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측으로 체결하여 공간(10)에 위치하도록 하되 굴곡플레이트(123)를 교차하게 적층하여 형성하는 내부유도하우징(120)과;
    상기 유선돌출부(20)의 내부 모서리 공간(10)에 위치시키는 통발하우징(130); 및
    상기 내부유도하우징(120)의 외측에 원호상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보조유도하우징(14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지지대(111)의 양단에 지지브래킷(114)을 결합하고 지지대(111)의 중앙을 절단하여 분리하며 지지대(111)의 분리부분에 나사결합하는 조절구(112)를 구비하고 지지대(111)와 조절구(112)의 좌우나사 방향을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상호 다르게 형성하되, 지지대(111)에 인공수초(116)를 결합한 지지구(115)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도하우징(120)은 통공(124)을 천공한 굴곡플레이트(123)를 굴곡부분이 상호 교차하도록 다수개 적층하여 형성하되 적층상태의 굴곡플레이트(123)의 중앙을 수직바(121)로 관통시켜 지지프레임(110)에 체결함과 동시에 굴곡플레이트(123)의 모서리 부분을 복수개의 지지바(125)로 관통시켜 고정하고, 교차 적층시킨 굴곡플레이트(123)의 가장자리와 최상면에 다수개의 인공수초(126)를 체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하우징(130)은 보조통로(31)를 통하여 유선돌출부(20)의 내부공간(10) 모서리부분에 끼워 설치하되 다수개의 격실(131)을 형성하고 각각의 격실(131)의 전면에 통공(132)을 천공하며 지지대(133)로 지지프레임(110)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도하우징(140)은 다수개의 관체(141)를 상호 교차하도록 적층하여 부착하되 외주연에 다수개의 통공(142)을 엇갈리게 천공하고 동일 높이의 관체(141) 사이를 적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통로(30)나 보조통로(31)에 통해 유동관체유도구(150)를 투입하되, 유동관체유도구(150)는 동일 길이의 관체(151)를 X,Y,Z축으로 고정시켜 결합하고 관체(151)의 양단에 플랜지(153)을 형성하며 관체(151)의 외주연을 관통하는 통공(152)을 다수개 엇갈리게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로(31)에 지지부재(41)를 결합하고 인접하는 보조통로(31)에 경합시킨 지지부재(41)를 상호 연결부재(42)로 연접 결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KR1020190096046A 2019-08-07 2019-08-07 인공어초 KR10211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46A KR102112337B1 (ko) 2019-08-07 2019-08-07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46A KR102112337B1 (ko) 2019-08-07 2019-08-07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337B1 true KR102112337B1 (ko) 2020-05-18

Family

ID=7091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046A KR102112337B1 (ko) 2019-08-07 2019-08-07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3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21U (ko) * 1997-04-16 1998-11-16 김갑용 인공 어초
KR200389601Y1 (ko) * 2005-04-19 2005-07-18 김명길 인공어초
KR20080096923A (ko) * 2007-04-30 2008-11-04 임태승 인공어초
KR20110032528A (ko) * 2009-09-23 2011-03-30 신강하이텍(주)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21U (ko) * 1997-04-16 1998-11-16 김갑용 인공 어초
KR200389601Y1 (ko) * 2005-04-19 2005-07-18 김명길 인공어초
KR20080096923A (ko) * 2007-04-30 2008-11-04 임태승 인공어초
KR20110032528A (ko) * 2009-09-23 2011-03-30 신강하이텍(주)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230B1 (ko) 이중 어초프레임을 가지는 돔형 인공어초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JP6399529B2 (ja) 害敵水生々物殺滅用の多孔ノズル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JP2018011595A (ja) 海中林の持続的成長のための藻食動物の侵入防止装置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20170138130A (ko) 벤치형 어초
JP2019050764A (ja) マシジミの養殖方法及び養殖装置
KR102112337B1 (ko) 인공어초
KR101722386B1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KR102042054B1 (ko) 인공어초
KR200430045Y1 (ko) 이중 어초프레임을 가지는 돔형 인공어초
KR20130021305A (ko)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KR101029295B1 (ko) 조식동물 기어오름 방지장치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0777046B1 (ko) 인공어초
KR100464669B1 (ko) 피라미드식 강제어초
JP4791282B2 (ja) 浮島式網場
JP2006246867A (ja) 植生及び稚魚、幼虫等保護籠
KR101841956B1 (ko) 터널형 강제어초
KR200455074Y1 (ko) 다단 인공 어초
KR100570938B1 (ko) 인공어초
KR101211536B1 (ko) 이단 삼각 인공 어초 및 그 배치 구조
KR102133408B1 (ko) 내부에 여덟 개의 날개판을 가지는 다기능 사각 인공어초
KR200353471Y1 (ko)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