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176B1 -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176B1
KR102112176B1 KR1020180074891A KR20180074891A KR102112176B1 KR 102112176 B1 KR102112176 B1 KR 102112176B1 KR 1020180074891 A KR1020180074891 A KR 1020180074891A KR 20180074891 A KR20180074891 A KR 20180074891A KR 102112176 B1 KR102112176 B1 KR 10211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tarting torque
calculating
resta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852A (ko
Inventor
박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7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1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23Cooling water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N2200/022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4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starter motor
    • F02N2200/042Starter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재시동 시 불필요한 시동 토크를 감소시키고, 목표 시간에 원활한 엔진 재시동을 구현하기 위해,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제1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엔진에 인가하는 시동 토크 인가부와, 제1 시동 토크가 엔진에 인가되면, 엔진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목표 시간과 비교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시동 토크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토크 인가부는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엔진에 제2 시동 토크를 인가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Restarting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이란 엔진과 메인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배터리 기술이 충분히 발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엔진에 비해 편의성이 떨어져 주목 받지 못했다.
최근, 배터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석유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방지를 위해 하이브리드 차량이 주목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메인 모터를 부착하여 엔진의 동력에 메인 모터의 동력을 더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방식에는 마일드형, 병렬형, 직렬형, 동력분배형이 있다.
여기서, 마일드형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은 주 동력원으로서 항상 동작하며, 장착된 메인 모터는 보조 동력원으로서 필요에 따라 엔진을 보조하고, 보조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발전기 역할을 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메인 모터는 엔진을 보조하여 동력을 공급하거나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회수하는 역할 이외에, 엔진을 시동시키는 역할까지 함께 병행하고 있다.
한편, ISG(Idle Stop & GO) 시스템은 기존의 차량 시스템에서 엔진의 초기 시동을 위해 존재하는 시동 모터와 차량 내 전자 장비의 전원 공급을 위한 12~24V 배터리 충전용 발전기를 하나의 전동기로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개발된 기술이다.
이와 같은, ISG 시스템은 Idle Stop & Go 이외에 엔진 토크(Engine Torque)를 보조하고 회생 제동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ISG 시스템용 전동기의 경우 시동 모터와 발전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회생제동의 기능과, 모터 토크 보조 기능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기술의 효용성을 높여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ISG 시스템은 기존 차량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발전기의 위치에 대체 배치되어 연비 향상 및 배기 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저속 주행 또는 정차 후 출발 시 엔진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모터 발전기 및 배터리 전력만을 이용하여 순수 전기 자동차 모드로 주행을 하고 감속 및 정차 시에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생에너지를 배터리로 환원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ISG 시스템은 재시동 시 마다 정해진 특정 크기의 시동 토크를 일률적으로 엔진에 인가하여 재시동을 하기 때문에,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엔진 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최적의 시동 토크를 엔진에 인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엔진 재시동 시 불필요한 시동 토크를 엔진에 인가할 수 있고, 목표 시간에 원활한 엔진 재시동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엔진 재시동 시 불필요한 시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목표 시간에 원활한 엔진 재시동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주행 거리 마다 시동 토크를 산출함으로써, 시동 토크 산출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시동 토크 산출부 구동에 따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와, 제1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엔진에 인가하는 시동 토크 인가부와, 제1 시동 토크가 엔진에 인가되면, 엔진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목표 시간과 비교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시동 토크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토크 인가부는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엔진에 제2 시동 토크를 인가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동 토크 산출부는 일정 주행 거리 마다 반복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목표 속도 및 이에 대응하는 목표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시동 토크 산출부는 도달 시간 및 상기 목표 시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제1 시동 토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비를 산출하고, 조정비를 기초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시동 토크 산출부는 제1 시동 토크에 조정비를 곱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조정비를 저장하고, 시동 토크 산출부에 제1 시동 토크 및 조정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제1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엔진에 인가하는 단계와, 제1 시동 토크가 엔진에 인가되면, 엔진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목표 시간과 비교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와,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엔진에 산출된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는, 일정 주행 거리 마다 반복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에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목표 속도 및 이에 대응하는 목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는, 도달 시간 및 목표 시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제1 시동 토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비를 산출하고, 조정비를 기초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1 시동 토크에 조정비를 곱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에 조정비를 저장하고, 저장부가 시동 토크 산출부에 제1 시동 토크 및 조정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엔진 환경 변화에 부합하도록 최적의 시동 토크를 산출하여 이를 엔진에 인가함으로써, 엔진 재시동 시 불필요한 시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목표 시간에 원활한 엔진 재시동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재시동 시 마다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행 거리 마다 시동 토크를 산출함으로써, 시동 토크 산출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시동 토크 산출부 구동에 따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른 시동 토크의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재시동 시 시간에 따른 엔진 속도의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엔진 냉각수 온도에 따른 시동 토크의 변화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는 ISG(Idle Stop & GO) 정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SG 정차 기능이란 차량 정차 시 엔진을 오프(Off)시키고, 차량이 재출발 시 즉 재시동 시 모터를 이용하여 엔진을 다시 온(On)시키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ISG 정차 기능은 차량의 연비 향상 및 배출 가스 저감에 큰 효과가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는 온도 검출부(120), 시동 토크 산출부(130), 시동 토크 인가부(140), 회전 속도 검출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검출부(120)는 엔진(110)의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시동 토크 인가부(140)는 제1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온도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엔진(110)에 인가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냉각수 온도가 증가될수록 엔진(110) 시동 또는 재시동에 필요한 시동 토크는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엔진 오일의 점성도는 엔진 냉각수 온도가 감소될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엔진(110)을 시동 또는 재시동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엔진(110)에 더 큰 시동 토크를 인가해야 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저장부(160)는 엔진(110)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복수의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미리 룩업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온도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를 저장부(16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에 대응시켜,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동 토크 인가부(140)는 제1 재시동 명령에 따라 시동 토크 산출부(130)에 의해 산출된 제1 시동 토크를 엔진(11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들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 냉각수 온도에 부합하는 최적의 시동 토크를 엔진(110)에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시동 토크 인가부(140)는, 메인 모터로서 알터네이터와 같이 연속 발전하는 발전 기능과, 제동 상황에서 제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회수하는 회생 제동 기능과, 차량 출발 시나 구동 토크가 필요한 경우 크랭크축의 토크를 보조하는 토크 보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동 토크 인가부(140)는 벨트(10)에 의해 엔진(110)과 연동되어 엔진(100)을 시동 및 재시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동 토크 인가부(140)는 인버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인버터(미도시)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 받은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여 시동 토크 인가부(140)에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미도시)는 배터리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충방전이 제어된다.
저장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에 상응하도록 복수의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이에 각각 대응하는 시동 토크를 룩업 테이블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온도 검출부(120)에 의해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를 룩업 테이블에 대응시킴으로써, 엔진 냉각수 온도가 증가될수록 더 낮은 제1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고, 엔진 냉각수 온도가 감소될수록 더 높은 제1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110) 재시동 시 불필요한 시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엔진(110) 재시동에 필요한 최적의 시동 토크를 엔진(110)에 효율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시동 토크 인가부(140)는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엔진(110)에 전술한 제1 시동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엔진 마찰 저항과 같은 엔진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엔진 냉각수 온도에만 부합하는 시동 토크를 엔진(110)에 인가하는 경우 최적의 시동 토크가 엔진(110)에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 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제1 시동 토크가 엔진(110)에 인가되면, 엔진(110)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목표 시간과 비교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동 토크는 상기 도달 시간이 목표 시간과 동일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속도 검출부(150)는 엔진(11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시동 토크 산출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60)는 엔진(110) 재시동에 필요한 엔진(110)의 목표 속도와 상기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목표 시간을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목표 속도 및 목표 시간을 시동 토크 산출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표 속도 및 목표 시간은 엔진 특성 또는 엔진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저장부(160)로부터 상기 목표 속도 및 목표 시간을 제공 받아, 회전 속도 검출부(150)에 의해 검출된 엔진(110)의 회전 속도가 상기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산출된 도달 시간과 목표 시간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산출 과정은 후술하겠다.
저장부(160)에 기 저장된 제1 시동 토크는 시동 토크 산출부(130)에 의해 산출된 제2 시동 토크로 변경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시동 토크 인가부(140)는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저장부(160)에 저장된 제2 시동 토크를 엔진(110)에 인가할 수 있다.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일정 주행 거리 마다 반복하여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엔진(110) 환경은 수시로 변화는 것이 아니라 주로 일정 주행 거리 마다 바뀌기 때문에, 엔진(110) 재시동 시 마다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행 거리 마다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함으로써, 시동 토크 산출부(13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시동 토크 산출부(130) 구동에 따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도달 시간 및 목표 시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제1 시동 토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비를 산출한다. 그리고,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산출된 조정비를 기초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한다.
도 3은 재시동 시 시간에 따른 엔진 속도의 변화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의 수학식 1은 전술한 조정비를 정의한 식이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63797049-pat00001
여기서, 조정비는 R이고, 목표 시간은 Tt이고, 도달 시간Ta이다.
도 3 및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조정비(R)는, 도달 시간(Ta)이 목표 시간(Tt)과 동일하면 1이 되고, 도달 시간(Ta)이 목표 시간(Tt)을 초과하면 1 보다 크게 되고, 도달 시간(Ta)이 목표 시간(Tt) 미만이 되면 1 보다 작게 된다.
아래의 수학식 2는 전술한 제2 시동 토크를 정의한 식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63797049-pat00002
여기서, Tq1은 제1 시동 토크이고, Tq2는 제2 시동 토크이고, R은 조정비이다.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제2 시동 토크(Tq2)는 제1 시동 토크(Tq1)에 조정비(R)를 곱하여 산출된다.
이와 같이, 제2 시동 토크(Tq2)는, 조정비(R)가 1이면 제1 시동 토크(Tq1)와 동일하게 되고, 조정비(R)가 1보다 크면 제1 시동 토크(Tq1) 보다 크게 되고, 조정비(R)가 1보다 작으면 제1 시동 토크(Tq1) 보다 작게 된다.
즉, 제2 시동 토크(Tq2)는, 도달 시간(Ta)이 목표 시간(Tt)과 동일하면 제1 시동 토크(Tq1)와 동일하게 되고, 도달 시간(Ta)이 목표 시간(Tt)을 초과하면 제1 시동 토크(Tq1) 보다 크게 되고, 도달 시간(Ta)이 목표 시간(Tt) 미만이 되면 제1 시동 토크(Tq1) 보다 작게 된다.
한편, 조정비(R)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저장부(160)는 제1 시동 토크 및 조정비(R)를 각각 저장하고 이를 시동 토크 산출부(130)에 제공할 수 있고, 시동 토크 산출부(130)는 제공 받은 제1 시동 토크 및 조정비(R)를 곱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여 이를 시동 토크 인가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는,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엔진 환경 변화에 부합하도록 최적의 시동 토크를 산출하여 이를 엔진에 인가함으로써, 엔진(110) 재시동 시 불필요한 시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목표 시간에 원활한 엔진(110) 재시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은, 엔진(110)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저장부(160)에 저장하는 단계(S10)와,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20)와, 제1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검출된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저장부(160)에서 검색하여 엔진(110)에 인가하는 단계(S30)와, 제1 시동 토크가 엔진(110)에 인가되면, 엔진(110)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S40)와, 엔진(110)의 회전 속도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목표 시간과 비교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S50)와,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엔진(110)에 산출된 제2 시동 토크를 인가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S50)는, 일정 주행 거리 마다 반복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110) 재시동 시 마다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행 거리 마다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함으로써, 시동 토크 산출부(130)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시동 토크 산출부(130) 구동에 따른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은, 저장부(160)에 엔진(110)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목표 속도 및 이에 대응하는 목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S50)는, 도달 시간 및 목표 시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제1 시동 토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비를 산출하고, 조정비를 기초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S50)는, 제1 시동 토크에 조정비를 곱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은, 저장부(160)에 상기 조정비를 저장하고, 저장부(160)가 시동 토크 산출부(130)에 제1 시동 토크 및 상기 조정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은,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엔진 환경 변화에 부합하도록 최적의 시동 토크를 산출하여 이를 엔진에 인가함으로써, 엔진(110) 재시동 시 불필요한 시동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목표 시간에 원활한 엔진(110) 재시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벨트
110: 엔진
120: 온도 검출부
130: 시동 토크 산출부
140: 시동 토크 인가부
150: 회전 속도 검출부
160: 저장부

Claims (13)

  1.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제1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상기 엔진에 인가하여 상기 엔진을 재시동하는 시동 토크 인가부; 및
    상기 제1 시동 토크가 상기 엔진에 인가되면,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가 상기 엔진의 재시동에 필요한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목표 시간과 비교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시동 토크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토크 인가부는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상기 엔진에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인가하여 상기 엔진을 재시동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토크 산출부는
    일정 주행 거리 마다 반복하여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목표 속도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시간을 저장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토크 산출부는
    상기 도달 시간 및 상기 목표 시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제1 시동 토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비를 산출하고,
    상기 조정비를 기초로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토크 산출부는
    상기 제1 시동 토크에 상기 조정비를 곱하여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조정비를 저장하고, 상기 시동 토크 산출부에 상기 제1 시동 토크 및 상기 조정비를 제공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8.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엔진 냉각수 온도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엔진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제1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검출된 상기 엔진 냉각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시동 토크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엔진에 인가하여 상기 엔진을 재시동하는 단계;
    상기 제1 시동 토크가 상기 엔진에 인가되면, 상기 엔진의 회전 속도가 상기 엔진의 재시동에 필요한 목표 속도에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목표 시간과 비교하여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제2 엔진 재시동 명령에 따라 상기 엔진에 산출된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인가하여 상기 엔진을 재시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는,
    일정 주행 거리 마다 반복하여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인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상기 엔진 특성 또는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목표 속도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달 시간 및 상기 목표 시간의 차이값을 기초로 제1 시동 토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비를 산출하고,
    상기 조정비를 기초로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인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동 토크에 상기 조정비를 곱하여 상기 제2 시동 토크를 산출하는 단계인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상기 조정비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가 상기 시동 토크 산출부에 상기 제1 시동 토크 및 상기 조정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재시동 제어 방법.
KR1020180074891A 2018-06-28 2018-06-28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1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91A KR102112176B1 (ko) 2018-06-28 2018-06-28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91A KR102112176B1 (ko) 2018-06-28 2018-06-28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52A KR20200001852A (ko) 2020-01-07
KR102112176B1 true KR102112176B1 (ko) 2020-05-18

Family

ID=6915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91A KR102112176B1 (ko) 2018-06-28 2018-06-28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1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71A (ja) * 2005-01-18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始動装置
JP2013217225A (ja) * 2012-04-05 2013-10-24 Toyota Industries Corp 内燃機関始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371A (ja) * 2005-01-18 2006-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始動装置
JP2013217225A (ja) * 2012-04-05 2013-10-24 Toyota Industries Corp 内燃機関始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52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9367B2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US8831830B2 (en) Vehicle controlling system
CN103423056B (zh) 一种混合动力系统启动异常的控制方法
US10821965B2 (en) Method and systems for a generator in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US83558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ngine torque
KR20180050994A (ko) 친환경 자동차용 모터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76763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저전압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EP2423064A1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925483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20160214490A1 (en) Power generation mode optimization
JP7010044B2 (ja) 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US9145131B2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06280161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回生制御装置
US20200091847A1 (en) Control apparatus and onboard system
KR10202095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시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9193278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JP2016141356A (ja) 自動車用電源装置及び自動車用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201209177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バッテリー保護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80068463A (ko) 하이브리드 차량 및 이의 시동 제어 방법
KR102112176B1 (ko) 차량의 재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9162670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CN103647335A (zh) 车辆电池充电器及其操作方法
JP2013237426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159282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hsg 단독 시동시 제어 방법
US10525914B2 (en)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