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017B1 -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 Google Patents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017B1
KR102111017B1 KR1020180070758A KR20180070758A KR102111017B1 KR 102111017 B1 KR102111017 B1 KR 102111017B1 KR 1020180070758 A KR1020180070758 A KR 1020180070758A KR 20180070758 A KR20180070758 A KR 20180070758A KR 102111017 B1 KR102111017 B1 KR 102111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evice
billing
doctor
us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154A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8007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0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사식별코드 기반의 사용 승인을 허가한 의료기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의료기기 관리부, 상기 의사식별코드와 연관되고 상기 사용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 상기 과금정보의 납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의료기기의 다음 사용을 제어하는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사에게 개별적 의사식별코드를 부여해 상기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그 사용에 따라 의사식별코드 별로 차등적인 과금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의료기기의 유휴화를 방지하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APPARATUS OF DOCTOR CUSTOMIZED CHARGING ACCORDING TO USAGE AMOUNT IN MEDICAL EQUIPMENT}
본 발명은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사에게 개별적 의사식별코드를 부여해 상기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그 사용에 따라 의사식별코드 별로 차등적인 과금을 부여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학 및 공학의 발전으로 고성능의 의료기기의 개발과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새로운 의료기술이 연구 및 개발 되고있다. 새로운 의료기술을 이용한 시술 및 수술에는 첨단 의료기기의 사용이 필수적인 요건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첨단 의료기기들은 그 가격이 상당하여, 의료기관은 수년 단위의 수요조사와 계획을 통해 신규 의료기기를 구매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의료기관은 의료기기의 실제 수요에 대해 발 빠르고 적절한 능동대처가 불가능하게 되고, 환자들은 새로운 의료기술을 통한 신규 시술 및 수술을 제공받지 못하는 의료 불평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신규 의료기관의 생성 역시 의료기기 구매로 인한 과다한 초기비용으로 신규 의료기관의 생성이 감소하고 있어, 이는 환자들의 의료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또한 수요에 민감한 시술 및 수술 의료기기는 중고 판매와 구매가 까다로움으로 인해 유휴장비가 되어 의료기관의 수익성을 저하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0263 (2010.07.07)호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하고, 상기 공유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자신의 의무 기록에 대한 보관을 요청에 의해 각 병원 서버로부터 수집된 자신의 의무 기록 정보를 제공받는 회원 단말; 상기 회원에 대한 의무 기록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공유 서비스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의무 기록 정보를 상기 공유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병원 서버들; 및 상기 병원 서버로부터 각 회원에 대한 의무 기록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회원 단말의 의무 기록 정보 요청에 따라, 상기 기저장된 의무 기록 정보를 상기 해당 회원 단말로 제공하는 공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3570 (2014.08.19)호는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샘플을 수용하여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반응을 수행하고, 바코드 또는 RF IC를 구비하는 바이오 디스크 또는 바이오 칩; 상기 바이오 디스크 또는 바이오 칩에서 수행된 반응을 분석하고, 상기 바코드 또는 RF IC를 읽는 리더기를 구비하여 서버의 연결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바이오 디스크 또는 바이오 칩을 인증하거나 측정 데이터를 RF IC에 기록하는 바이오 분석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기상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상주하여 상기 바이오 분석 장치의 사용 방법을 안내하거나 지시하고 사용자와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의사; 의료 전문가 또는 가상 의사와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와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전문가 단말기; 및 상담 전문가로서 정기 검진 기간 동안에는 의료 전문가를 사용자에게 연결하고 그 외 기간 동안에는 가상 의사를 사용자에게 연결하고 사용자가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야 하는 정기 검진 기간을 경과한 경우 사용자와 가상 의사와의 상담 서비스 연결을 차단하는 원격 진단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0263 (2010.07.0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33570 (2014.08.19)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사에게 개별적 의사식별코드를 부여해 상기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그 사용에 따라 의사식별코드 별로 차등적인 과금을 부여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사식별코드의 개수에 따라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산출하여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당 병원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기기의 구매, 교체 및 재배치를 제안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는 의사식별코드 기반의 사용 승인을 허가한 의료기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의료기기 관리부, 상기 의사식별코드와 연관되고 상기 사용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 상기 과금정보의 납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의료기기의 다음 사용을 제어하는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금 처리부는 상기 사용정보에 있는 사용 시간대 및 사용량을 기초로 차등적으로 상기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과금 처리부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상기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수학식1]
Figure 112018060501623-pat00001
Tn는 사용시간대 별 사용량에 해당한다. ak는 하루 24시간을 특정 시간별 구간으로 나군 구간별 단가계수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24시간을 3시간 8구간으로 구분하여 a1은 0~3시, a2는 3~6시 및 a8은 21~24시 시간구간별 단가계수에 해당하며 1.56이면 15~18시 시간 구간의 1.5의 단가계수를 나타낸다. ck는 ak 구간에 따른 상기 의료기기의 사용시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상기 ak를 24시간을 3시간 8구간으로 구분한 경우 ck가 2.56이면 a6 구간에서 2시간 30분의 상기 의료기기 사용시간을 나타낸다. BDay는 상기 의료기기의 하루 동안의 과금에 해당한다. P는 상기 의료기기 구입 가격에 따른 단가 계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P는 상기 의료기기의 구입 가격 및 감가상각 따라 변하는 값이다.
상기 과금 처리부는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의사식별코드의 개수를 기초로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산출하여 상기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과금 처리부는 상기 의사식별코드의 개수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증가시킨다. 상기 의료기기 단위로 상기 의사식별코드와 상기 사용정보를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사식별코드가 다른 병원에 있는 다른 의료기기에서 검출되면 상기 의료기기의 구매를 추천하는 의료기기 추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는 해당 병원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하고, 상기 최근의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특정 의료기기의 교체를 제안한다. 상기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는 해당 병원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하고, 상기 최근의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사용량 변화가 감소한 병원에서 사용량 변화가 증가한 병원으로 상기 특정 의료기기의 재배치를 제안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사에게 개별적 의사식별코드를 부여해 상기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그 사용에 따라 의사식별코드 별로 차등적인 과금을 부여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사식별코드의 개수에 따라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산출하여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당 병원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료기기의 구매, 교체 및 재배치를 제안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에서 의료기기 과금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은 의료기기(110) 및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병원(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의료기기(110)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30)에서 제공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서비스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에 해당하고, 외부 단말 및 내부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으로 의료기기에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료기기와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의료기기(110)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의료기기(110)가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30)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가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서비스를 선택한 병원(10)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의료기기(11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병원(10)은 의료기관에 해당하고 의사(20)를 포함한다. 병원(10)은 의사(20)에게 의료기기(110)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병원(10)은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병원(10)이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수신한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상용정보를 통해 과금정보를 산출한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산출된 과금정보를 통해 과금을 병원에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의 전원 상태, 사용 상태 및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의료기기(110)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수신한 사용정보를 이용하여 과금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의 사용환경 및 사용내용에 따라 차등적으로 과금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 인식을 위해 의사(20)에게 개별적인 의사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가 인식되지 않은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제한한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와 함께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수신한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에 따라 과금정보를 구분하여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를 인식해야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허가할 수 있다. 의료기기(110)는 부여된 의사식별코드를 병원사원증, IC카드 및 인식 칩 등 보안카드로 인식하거나 지문, 손등 정맥 및 망막 인식 등 생체인식 방식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은 의료기기(110)를 노드로 만들어 의료기기(100)의 사용을 위한 의사식별코드 인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은 인식과정 수행을 위해 작업 증명(Proof of Work) 또는 지분 증명(Proof of stake)을 통해 생성되는 블록에 의사식별코드 및 의료기기(110)의 사용정보드를 저장할 수 있다. 블록은 블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헤더 부분 및 해쉬값을 포함하는 블록 해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은 의사식별코드 및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암호화한 해쉬 값으로 블록 해쉬 부분에 저장해, 블록체인 방식으로 의사식별코드 및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검증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작업 증명(Proof of Work) 또는 지분 증명(Proof of stake) 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 및 특정 의료기기(110)는 마스터 노드가 되어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의 블록체인을 유지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마스터 노드 의료기기(110)에서 수신되는 의료기기(110) 사용정보 산출에 따른 과금정보 생성에 있어 과금을 일정부분 할인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식별코드 및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는 SHA-256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해쉬 값이 될 수 있다. 해쉬 값으로 블록체인에 저장된 의사식별코드 및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는 블록에 저장되며 블록체인에서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하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는 과금정보, 과금 및 과금의 납부 역시 해쉬 값으로 암호화하여 블록에 저장한 후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경우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는 의료기기(110)로부터 수신 받은 의사식별코드 및 의료기기(110) 사용정보와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과금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 관리부(210),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220),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 기반의 사용 승인을 허가한 의료기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의료기기 관리부(210)를 포함한다.
의료기기 관리부(210)는 의료기기(110)의 전원 상태, 사용 상태 및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의사식별코드에 따른 의료기기(110)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의료기기 관리부(210)는 의사식별코드에 따른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가 인식되지 않은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제한 한다. 따라서, 의료기기(110)는 의사식별코드가 인식되어야 작동한다. 의료기기(110)는 부여된 의사식별코드를 병원사원증, IC카드 및 인식 칩 등 보안카드로 인식하거나 지문, 손등 정맥 및 망막 인식 등 생체인식 방식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의료기기 관리부(210)는 의사식별코드가 인식된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완료를 인식하고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는 사용 시간대, 사용량 및 인식된 의사식별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220)는 의료기기(110) 사용정보에 따라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220)는 의료기기(110)의 사용 시간대, 사용량 및 인식된 의사식별코드 정보에 따라 차등하여 과금 금액을 산출한다.
과금 처리부(220)는 의료기기(110) 사용정보가 포함하는 의료기기(110) 사용 시간대 및 사용량에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과금을 차등하여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수학식1]
Figure 112018060501623-pat00002
Tn는 사용시간대 별 사용량에 해당한다. ak는 하루 24시간을 특정 시간별 구간으로 나군 구간별 단가계수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24시간을 3시간 8구간으로 구분하여 a1은 0~3시, a2는 3~6시 및 a8은 21~24시 시간구간별 단가계수에 해당하며 1.56이면 15~18시 시간 구간의 1.5의 단가계수를 나타낸다. ck는 ak 구간에 따른 해당 의료기기(110)의 사용시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ak를 24시간을 3시간 8구간으로 구분한 경우 ck가 2.56이면 a6 구간에서 2시간 30분의 해당 의료기기(110)사용시간을 나타낸다. BDay는 해당 의료기기(110)의 하루 동안의 과금에 해당한다. P는 해당 의료기기(110)의 의료기기 구입 가격에 따른 단가 계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P는 의료기기(110)의 구입 가격 및 감가상각에 따라 변하는 값이다.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220)는 특정 기간 동안에 수집된 의사식별코드의 개수를 기초로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산출하여 상기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과금 처리부(220)는 요일별로 특정 시간대에 사용되는 의료기기(110) 사용정보 및 인식되는 의사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사용 단가를 차등하여 산출할 수 있다. 과금 처리부(220)는 평일 오후 시간대에 의료기기(110) 사용량 및 의사식별코드의 인식 개수가 많다면 오후 시간대의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증가시킬 수 있고, 평일 심야 시간대에 의료기기(110) 사용량 및 의사식별코드의 인식 개수가 적다면 심야 시간대의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감소시켜 할인을 한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과금 처리부(220)는 평일보다 토요일의 의료기기(110) 사용량 및 의사식별코드의 인식 개수가 많다면 사용 단가를 증가시킨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220)는 의료기기에 인식되고 의료기기(110)를 사용한 의사식별코드의 개수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증가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과금 처리부(220)는 하나 이상의 복수의 의사식별코드가 동시에 의료기기(110)에 인식된 경우, 복수의 의사가 필요한 수술이라 판단하고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의료기기(110)가 행한 수술의 종류와 동시에 인식된 의사식별코드의 개수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다. 과금 처리부(220)는 증가된 사용 단가에 따라 생성된 과금정보를 통해 과금을 산출하여 복수의 의사식별코드에게 나누어 과금을 부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의사식별코드가 인식되고, 4시간의 사용량이 검출된 의료기기(110)의 사용량에 있어, 과금 처리부(220)는 수술에 따른 계산식에 따라 증가된 사용 단가로 산출된 해당 의료기기(110)의 4시간 사용 과금을 3개의 의사식별코드에 나누어 과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과금 처리부(220)를 통해 사용정보에 따라 산출한 과금정보에 따른 과금을 병원(10)에 제공한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병원(10)이 과금을 납부되지 않으면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를 통해 의사식별코드에 따른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제한하고, 특정 기간이 경과하여도 과금을 납부되지 않으면 의료기기(110)의 전체적 사용을 제한한다. 과금 처리부(220)는 과금이 납부되지 않아 연체되는 경우, 사용정보에 따른 과금 산출 시, 기존의 과금보다 더 높은 단가의 과금을 부여하는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의사식별코드에 따른 과금 납부가 연체되면 지속적으로 납부 메시지 및 사용 제한 메시지를 의료기기(11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특정기간 이상 과금 납부가 연체되면 해당 의사식별코드의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해당 의사식별코드의 의료기기(110) 사용제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과금이 납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의사식별코드 외의 모든 의사식별코드의 의료기기(110)의 사용을 전체 제한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의 전체 사용이 제한된 경우 위급 상황발생에 따른 위급 상황 작동모드를 제공한다. 위급 상황 작동모드에서는 어떠한 의사식별코드의 인식 및 의사식별코드 인식 없이도 의료기기(110)의 작동이 가능하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위급 상황 작동모드에 의한 의료기기(110) 사용정보에 따른 과금 산출 시, 기존의 과금보다 더 높은 단가의 과금을 부여하는 과금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위급상황 작동모드를 작동시키는 코드 및 인증키를 통해 위급 상황 작동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무분별한 위급상황 작동모드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위급상황 작동모드 이후 지속적으로 위급상황 작동모드가 작동된다면 의료기기(110) 사용정보에 따른 과금 산출 시, 위급상황 작동모드의 사용 횟수에 따라 기본 과금보다 더 높은 단가로 특별 단가를 산정하여 일정 기간동안 부여하는 과금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와 사용정보를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의사식별코드가 다른 병원(10)에 있는 다른 의료기기(110)에서 검출되면 의료기기(110)의 구매를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가 기존의 의료기기(110)가 아닌 다른 병원(10)에 있는 의료기기(110)에서의 사용을 검출하면 이전에 사용했던 의료기기(110)의 구매를 제안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사식별코드가 기존의 의료기기(110)가 아닌 다른 병원(10)에 있는 의료기기(110)에서의 사용을 검출하면, 의사(20)가 다른 병원(10)으로 이직한 것이라 판단하고, 의사가(20) 사용해왔던 숙달된 의료기기(110) 및 해당 의료기기(110)의 최신 제품에 대한 구매를 제안할 수 있다.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해당 병원(10)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하고, 최근의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특정 의료기기(110)의 교체를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사용량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특정 기간동안 해당 병원(10)에서 특정 의료기기(110)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해당 병원(10)에서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감소한 의료기기(110)와의 교체를 제안할 수 있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병원(10)에서 이러한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이상인 의료기기(110)들의 교체를 제안하여, 효율적으로 의료기기(110)를 관리할 수 있다.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해당 병원(10)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하고, 최근의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사용량 변화가 감소한 병원(10)에서 사용량 변화가 증가한 병원(10)으로 특정 의료기기(110)의 재배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사용량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특정 기간동안 해당 병원(10)에서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으로 감소한 의료기기(110)의 재배치를 제안할 수 있다.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230)는 특정 기준 이상으로 감소한 의료기기(110)를 해당 병원(10)에서 해당 의료기기(110)의 사용량 변화가 증가한 다른 병원(10)으로 특정 의료기기(110)의 재배치를 제안한다.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병원에서 특정 기간동안 사용량이 감소한 의료기기(110)의 재배치를 제안하여, 사용량이 적은 병원(10)에서 사용량이 많은 병원(10)으로 의료기기(110) 재배치를 제안함으로, 효율적으로 의료기기(110)를 관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130)는 의료기기(110)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기(110)의 유휴화를 방지하고, 수요가 증가한 병원(10)으로 의료기기(110)의 이동 및 재배치를 제안해 효율적인 의료기기(110) 관리를 제공하여 환자들이 받는 의료품질을 증가시킨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에서 의료기기 과금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서비스 제공방법으로 의사식별코드 기반의 사용 승인을 허가한 의료기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S310 단계, 의사식별코드의 개수를 기초로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산출하고 사식별코드의 개수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사용량별 사용 단가를 증가시킨 단가를 생성하는 S320 단계, 상기 사용정보를 통해 사용 시간대 및 사용량을 기초로 차등적으로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S330 단계 및 특정 의료기기(110)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하고, 상기 최근의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특정 의료기기의 교체 및 사용량 변화가 감소한 병원에서 사용량 변화가 증가한 병원으로 상기 특정 의료기기의 재배치를 추천하는 S340 단계를 포함한다.
10: 병원 20: 의사
100: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제공 시스템
110: 의료기기
130: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140: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
210: 의료기기 관리부 220: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
230: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 250: 제어부

Claims (8)

  1. 의사식별코드 기반의 사용 승인을 허가한 의료기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의료기기 사용정보를 수신하는 의료기기 관리부;
    상기 의사식별코드와 연관되고 상기 사용정보를 통해 산출되는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의료기기 과금 처리부;
    상기 과금정보의 납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의료기기의 다음 사용을 제어하는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금 처리부는
    상기 사용정보에 있는 사용 시간대 및 사용량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차등적으로 상기 과금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수학식1]

    Figure 112020501259435-pat00003

    Tn는 사용시간대 별 사용량에 해당한다. ak는 하루 24시간을 특정 시간별 구간으로 나군 구간별 단가계수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24시간을 3시간 8구간으로 구분하여 a1은 0~3시, a2는 3~6시 및 a8은 21~24시 시간구간별 단가계수에 해당하며 1.56이면 15~18시 시간 구간의 1.5의 단가계수를 나타낸다. ck는 ak 구간에 따른 상기 의료기기의 사용시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상기 ak를 24시간을 3시간 8구간으로 구분한 경우 ck가 2.56이면 a6 구간에서 2시간 30분의 상기 의료기기 사용시간을 나타낸다. BDay는 상기 의료기기의 하루 동안의 과금에 해당한다. P는 상기 의료기기 구입 가격에 따른 단가 계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P는 상기 의료기기의 구입 가격 및 감가상각에 따라 변하는 값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단위로 상기 의사식별코드와 상기 사용정보를 사용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사식별코드가 다른 병원에 있는 다른 의료기기에서 검출되면 상기 의료기기의 구매를 제안하는 의료기기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는
    해당 병원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하고, 상기 최근의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상기 특정 의료기기의 교체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사용 제어부는
    해당 병원에 있는 특정 의료기기의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최근의 사용량 변화를 산출하고, 상기 최근의 사용량 변화가 특정 기준 이상이면 사용량 변화가 감소한 병원에서 사용량 변화가 증가한 병원으로 상기 특정 의료기기의 재배치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KR1020180070758A 2018-06-20 2018-06-20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KR102111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58A KR102111017B1 (ko) 2018-06-20 2018-06-20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58A KR102111017B1 (ko) 2018-06-20 2018-06-20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54A KR20190143154A (ko) 2019-12-30
KR102111017B1 true KR102111017B1 (ko) 2020-06-08

Family

ID=6910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58A KR102111017B1 (ko) 2018-06-20 2018-06-20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9227A (zh) * 2020-11-30 2021-04-02 望海康信(北京)科技股份公司 医院资源消耗管控方法、系统及相应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336A (ja) * 2000-02-09 2001-08-17 Nec Corp 課金システム、課金制御回路、課金サーバ、課金制御方法及び課金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203184A (ja) * 2000-12-28 2002-07-19 Aloka Co Ltd 医療装置
JP2004272762A (ja) * 2003-03-11 2004-09-30 Topcon Corp 医療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課金処理方法、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JP2006318038A (ja) * 2005-05-10 2006-11-24 Hiroshi Takakusa 医療機器流通管理システム
JP2011040091A (ja) * 2000-08-25 2011-02-24 Sysmex Corp 臨床検査装置の管理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臨床検査装置の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63B1 (ko) 2006-08-04 2010-07-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용한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433570B1 (ko) 2007-04-23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336A (ja) * 2000-02-09 2001-08-17 Nec Corp 課金システム、課金制御回路、課金サーバ、課金制御方法及び課金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1040091A (ja) * 2000-08-25 2011-02-24 Sysmex Corp 臨床検査装置の管理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臨床検査装置の管理システム
JP2002203184A (ja) * 2000-12-28 2002-07-19 Aloka Co Ltd 医療装置
JP2004272762A (ja) * 2003-03-11 2004-09-30 Topcon Corp 医療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課金処理方法、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JP2006318038A (ja) * 2005-05-10 2006-11-24 Hiroshi Takakusa 医療機器流通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54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1491B2 (en) Patient-facing mobile technology to assist physician achieve quality measures for value-based payment
US11170423B2 (en) Provisioning medical resources triggered by a lifecycle event
US10929939B2 (en) Business intelligence portal
US20110153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healthcare services
US2018016617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access into a telehealth network
US20220189589A1 (en) Highly reliable data transaction system, and highly reliable data transaction method
US200600643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healthcare services
US8284024B2 (en) System and method of issuing patient identification devices
JP2004341611A (ja) 保険者情報システム
JP2008521130A (ja) 複数の入力源を有する医療キオスク
Benrimoj et al. Economic impact of increased clinical intervention rates in community pharmacy: a randomised trial of the effect of education and a professional allowance
CN111192674A (zh) 用于交换健康数据的方法和设备
WO2017106662A1 (en) Allergy service management portal
KR102111017B1 (ko) 의사 맞춤형 의료기기 과금부여 장치
US7739124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uraging the undertaking of a preventative treatment
KR20170075324A (ko)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336089A1 (en) Resource efficient computer-implemented surgical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Nash Notice and consent: a healthy balance between privacy and innovation for wearables
US2022001276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anaging purchase of medications
US20210249122A1 (en) Value-based scheduling system
US10262384B1 (en)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for optimizing medical patient visits based on known preferences and other selection criteria
US20160364541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Access into a Telehealth Network
KR20110067221A (ko) 건강 보험 선순환 흑자 구조 달성을 위한 건강 보험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20140188508A1 (en) Method of automated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
Wilkerson Accreditation and the use of outcomes-oriented inform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