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37B1 - 수륙 양용 대관람차 - Google Patents

수륙 양용 대관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37B1
KR102110937B1 KR1020180147122A KR20180147122A KR102110937B1 KR 102110937 B1 KR102110937 B1 KR 102110937B1 KR 1020180147122 A KR1020180147122 A KR 1020180147122A KR 20180147122 A KR20180147122 A KR 20180147122A KR 102110937 B1 KR102110937 B1 KR 102110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ndola
amphibious
compressed air
ferris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원
민천홍
김형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47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7/00Russian swings; Great wheels, e.g. Ferris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8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looping, hopping, or throwing motions of the sub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15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trac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 양용 대관람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는 일단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중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륜; 상기 회전륜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륜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곤돌라; 및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륜은, 하방 일정 부분이 해수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륙 양용 대관람차 {AMPHIBIOUS FERRIS WHEEL}
본 발명은 수륙 양용 대관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상 및 수상 자연 환경 및 해양과 같은 수중의 미지의 해양 환경을 순차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고도성장을 보이는 현대사회에서는 삶의 질적인 성장을 보이면서 즐겁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따라서, 국민소득이 늘고 산업사회가 발달하면 레저인구가 늘게 되고, 이에따라 레저용품의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레저산업은 대단한 속도로 성장하게된다.
이러한 경향에 의해 레저도 대형화하여 보거나 듣는 레저에서 참여하는 레저, 행동하는 레저, 즐길 수 있는 레저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레저산업의 범주에는 외식산업, 숙박업, 관광, 여행등 여러가지가 포함되며, 새로운 레저 종목의 개발에 따라 성장 산업으로 손꼽히고 있다.
특히,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레저 산업의 경우 레저 산업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개념 해양 레저, 관광기구 또는 해양 어트랙션과 같은 놀이가 추가된 새로운 형태의 관광 테마가 필요하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해양 관광 놀이 기구는 신개념 관광 시장 창출 및 해양 플랜트 기자재 업체의 업종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광 산업 활성화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해양 레저 분야 연구 개발 활성화를 조장하게 된다.
현재 세계의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는 규모가 거대하고 외관이 수려한 대관람차를 설치함으로서 상당한 관광효과를 보고 있다.
이러한 대관람차는 대관람차를 타는 관람객들이 주변의 경치를 감상하면서 느끼게 되는 즐거움뿐 아니라 대관람차를 타지 않는 외부인들에게도 대관람차의 화려하고 웅장한 외관을 바라보면서 느끼게 되는 즐거움을 줌으로써 대관람차는 그 도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잡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대관람차(大觀覽車)는 놀이 기구의 한 종류로서, 거대한 바퀴 둘레에 작은 방 여러 개가 매달려 있는 형태이며, 바퀴의 회전에 따라 먼 곳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관람차는 놀이 공원에 가면 종종 있는 놀이기구로 커다란 원형식 골조 주변에 사람이 탈만한 공간을 여러 개 설치해 저속으로 회전시킴으로 높은 곳에서의 전망을 즐기도록 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대관람차는 느린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낭만과 경치를 즐기기 위해 타는 경우가 많으며, 남녀 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로서 회전목마, 롤러코스터와 함께 놀이공원을 상징하는 놀이기구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대관람차는 보통 한바퀴가 돌면 내리게끔 되어있고, 대관람차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 역시 길어지며. 작은 대관람차는 도는 속도가 빠른 대신 여러 바퀴를 돌게끔 되어있는 것들도 있다.
이러한 대관람차는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좀더 스릴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놀이기구로서의 만족도가 낮은 편이며 이러한 점은 대관람차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대관람차가 해양에서는 설치되지 않고 육지에만 한정되어 설치되고 있어 설치장소가 부족한 지상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현대 사회는 색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대관람차의 수요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해양 도시에서 육상 풍경을 관람함과 동시에 수중 환경을 동시에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해양도시의 랜드마크로 부상할 수 있는 복합 해양 대관람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10-2016-0142406 (공개일자 2016년 12월 12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저면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 동력에 의해 자전하는 회전륜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륜에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관람이 가능하도록 내압성 및 방수성을 갖춘 구형의 투명한 곤돌라를 복수개 구성하여, 상기 곤돌라가 회전륜의 자전에 의해 수상 및 수중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곤돌라에 탑승한 탑승자들이 수상의 자연환경 뿐 아니라 수중의 해양환경을 순차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는 일단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중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륜; 상기 회전륜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륜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곤돌라; 및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륜은, 하방 일정 부분이 해수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륜은,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원주면을 회전하는 러닝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곤돌라는 상기 러닝트랙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곤돌라는, 내각; 상기 내각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각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외각; 상기 내각 및 외각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곤돌라의 수중 유출입시 해수가 주배수(注排水)되는 밸러스터탱크(Ballast tank); 및상기 내각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 및 내각에 각각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각은,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에 해수를 주배수하는 주배수밸브; 및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곤돌라의 수중 유입시 상기 밸러스터탱크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기방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탱크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터탱크에 주입하는 제1압축공기주입밸브; 및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내각 내부에 주입하는 제2압축공기주입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곤돌라는 수상에 위치하는 상기 곤돌라의 해수면에 대한 높이를 감지하는 고도감지센서; 수중에 위치하는 상기 곤돌라의 해수면에 대한 깊이를 감지하는 심도감지센서; 및 상기 고도감시센서 및 심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주배수밸브, 공기방출밸브, 제1압축공기주입밸브 및 제2압축공기주입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밸브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제어부는 상기 고도감지센서에서 수신된 높이가 일정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주배수밸브 및 공기방출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심도감지센서에서 수신된 깊이가 일정 깊이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방출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압축공기주입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곤돌라는 탑승자에게 상기 곤돌라의 높이 및 주변 수륙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해주는 모니터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원형 실린더 부재로 구성된 골조 구조인 자켓식(Jacket Type)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륜은 상기 러닝트랙에 결합되어 상기 곤돌라를 지지하는 곤돌라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륜은 몸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조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은 외압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진동을 방지하는 방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는 육지에 한정되어 설치되었던 종전과는 달리 수상 뿐 아니라 수중 환경을 관람할 수 있도록 상기 대관람차를 수중에 설치함으로써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여 스릴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만족도가 낮았던 대관람차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양 도시에서 수상 환경을 관람함과 동시에 수중 환경을 동시에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대관람차의 외관이 화려하고 웅장하여 상기 대관람차가 해양도시의 랜드마크로 부상함으로서 상기 해양 도시의 관광 산업이 발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수함을 운행하거나 고비용의 아쿠아리움을 건설하지 않고도 아이들에게 해양 생물을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 및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러닝트랙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가 해수면 유입시 곤돌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가 해수면 밖으로 유출시 곤돌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조명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 및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 회전륜(200), 곤돌라(300), 동력발생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일단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철골체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수중에 설치되는 수중 건축물로서 파력이나 풍력등 외력에 의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형 실린더 부재로 구성된 자켓식(Jacket Type)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해저에 설치되는 해양 구조물은 고정식 해양구조물, 유연식 해양 구조물, 부유식 해양구조물로 나누는데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고정식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해양 구조물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파일 또는 자체 무게등에 의해 구조물이 해저면에 고착되어 파도나 바람등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고정식 해양구조물은 자켓식(Jacket Type), 중력식, 갑판승강식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은 자켓식 구조물로 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저면에 타설되어 있는 파일(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해저면에 타설되어 있는 파일(미도시)에 다리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파일(미도시)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파일(미도시)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되고 있다 하여 이를 자켓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상기 자켓(미도시)은 원형 실린더부재로 구성된 골조구조이며, 육상에서 건조되어 해역까지 이동시킨 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일단이 해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된 외팔보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륜(2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곤돌라(300)가 운행 중 받게 되는 파력 및 풍력에 의한 충격 방향으로 상기 지지플레임(100)의 회전 자유도를 풀어줌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100)이 받게 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압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진부재(110)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가해질 수 있는 해저진동, 파력 및 바람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압식 실린더가 진동을 흡수하여 방진효과를 내는 방식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 상기 방진부재(1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효과를 내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방진부재 및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된 방진패드를 이용한 방진부재등의 사용을 배재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륜(200)은 중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에 의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륜(200)은 상기 회전륜(200)의 하방 일정 부분이 해수면보다 낮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륜(200)은 수중에서 수상을 걸쳐 배치되는 것으로, 몸체(210), 러닝트랙(220), 곤돌라지지대(230) 및 조명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회전륜(200)의 외장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러닝트랙(220)을 지지하기 위한 윤곽을 원주면에 구비하는 고정식 구조물일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러닝트랙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런닝트랙(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10)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륜(200)의 원주면을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트랙이다.
일반적으로, 대관람차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곤돌라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대경의 회전륜를 포함하는 놀이기구이다.
이러한 통상의 대관람차는 회전륜 전체가 회전하면서 곤돌라를 순회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대관람차(1)는 상기 회전륜(200) 원주면을 회전하는 러닝트랙(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러닝트랙(220)의 회전으로 곤돌라(300)가 순회하는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륙 양용 대관람차(1)는 수중에 배치되는 관람차로서 일반적인 대관람차가 받는 공기의 압력 뿐 아니라 수역을 통과하는 하부에서 받는 수압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1)는 수역에 일부가 잠겨 있는 회전륜(20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땅위에 설치되는 통상의 대관람차보다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몸체(210)는 고정되고, 상기 몸체(210) 원주면을 회전하는 러닝트랙(220)에 상기 곤돌라(300)를 지지하여 상기 곤돌라(300) 회전시 해수의 저항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기 러닝트랙(220)은 상기 몸체(210)가 전체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보다 적은 전력으로 대관람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해수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여 상기 대관람차(1)를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러닝트랙(220)은 동일한 효과를 내는 공지의 트랙 구성을 적용하며 이에 상기 러닝트랙(220) 동력을 위한 구성은 본 발명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곤돌라지지대(230)는 상기 러닝트랙(220)에 결합되어 상기 곤돌라(30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곤돌라지지대(23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곤돌라(300)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의 바 형태로 상기 러닝트랙(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곤돌라지지대(230)는 일반적인 대관람차에 적용되는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곤돌라지지대(230)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조명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부재(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륜(200)의 몸체(210)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240)는 상기 회전륜(200) 몸체의 중심부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철골구조물에 복수개 구비되어 야간에 수상 및 수중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상에 조사되는 상기 조명부재는 야간에 대관람차의 외관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수중에 조사되는 조명부재는 흐린날 , 저녁, 야간에도 수중을 충분히 밝게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탑승한 관람객들이 흐린날, 저녁, 야간에도 수중관람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부재(240)는 유색의 광, 더 나아가서는 레이저광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가 해수면 유입시 곤돌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의 곤돌라가 해수면 밖으로 유출시 곤돌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곤돌라(300)는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륜(20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륜(20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곤돌라(300)는 상기 회전륜(200)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곤돌라(300)는 수중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하며 수압을 견딜 수 있는 내압성을 갖는 구형의 투명화 압력 용기용 기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곤돌라(300)는 측부에 개폐가 가능한 출입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출입구(미도시)를 통하여 관람객이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곤돌라(3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단 일측에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장치(미도시)가 수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폐장치(미도시)는 관람객이 승강하는 승강장에 도착하면 상기 출입구(미도시)를 개방시키고 승강장 이외의 부분에서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곤돌라(300)가 수중으로 유입시 상기 곤돌라(300)의 부력에 의해 해수면 위에서 기울어지거나 해수의 파력에 의해 출렁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람객에게 안전한 관람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곤돌라(300)는 상기 곤돌라(300)의 부력을 감소시키고 중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중 구조로 구성되어 파력이나 부력에 의한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수중으로 입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곤돌라(300)는 내각(310), 외각(320), 밸러스터탱크(330), 압축공기탱크(340), 고도감지센서(250), 심도감지센서(360), 밸브제어부(370) 및 모니터링패드(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각(310)은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내압성 및 방수성을 구비하고, 상기 곤돌라(300) 내 관람객이 외부 환경을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각(300)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형 또는 타원체 형상을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내각(300)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각형상으로 변형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각(310)을 구성하는 투명부재는 수중 및 수상이 선명하게 보여질 수 있는 것으로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 강도가 있는 투명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각(310)은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내각의 바닥을 제외한 측면 전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내각(310)의 상방 일정 부분에 투명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각(320)은 상기 내각(310)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각(310)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각(320)은 상기 내각(310)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내각(310)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내압성 및 방수성을 구비하고, 상기 곤돌라(300) 내 관람객이 외부 환경을 관람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각(320)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형 또는 타원체 형상을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외각(320)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다각형상으로 변형 실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각(320)을 구성하는 투명부재는 수중 및 수상이 선명하게 보여질 수 있는 것으로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등 강도가 있는 투명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각(320)은 상기 투명부재가 상기 외각(320)의 바닥을 제외한 측면 전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외각(320)의 상방 일정 부분에 투명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외각(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각(310)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각(310)의 하방 일정 범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외각(320)은 상기 외각(320) 일측에 주배수밸브(321) 및 공기방출밸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배수밸브(321)는 상기 외각(320)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330)에 해수를 주배수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배수밸브(321)는 상기 곤돌라(300)가 해수면 유입시 상기 밸브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330)로 해수를 유입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곤돌라(300)는 상기 밸러스터탱크(330)에 유입된 해수에 의해 중력은 증대되고 부력은 감소하게 되어 해수면에서 흔들림이나 기울어짐 없이 안전하게 입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는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곤돌라(300)의 수중 유입시 상기 밸러스터탱크(330)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는 상기 곤돌라(300)가 수상으로 유출시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내 해수가 상기 주배수밸브(321)로 유출될 수 있도록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는 상기 곤돌라(300)가 수중으로 유입시에는 개방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내 공기를 방출함으로서, 상기 주배수밸브(321)로 해수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는 상기 곤돌라(300)가 수상으로 유출시에는 폐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내 해수가 상기 주배수밸브(321)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밸러스터탱크(330)에 원활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는 상기 밸부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밸러스터탱크(330)는 상기 내각(310) 및 외각(3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곤돌라(300)의 수중 유출입시 해수가 주배수 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러스터탱크(330)는 상기 내각(310) 및 외각(320)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곤돌라(300)의 수중 유입시 해수가 유입되어 상기 곤돌라(300)의 중력을 증대시키고 부력을 감소시켜 상기 곤돌라(300)의 안전한 입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밸러스터탱크(330)는 상기 곤돌라(300)의 수상 유출시 해수는 유출되고 공기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곤돌라의 중력은 감소시키고 부력을 증대시켜 상기 곤돌라가 안전하게 수상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공기탱크(340)는 상기 내각(3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및 내각(310)에 각각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공기탱크(340)는 상기 내각(310) 외주면과 밀착되고 상기 밸러스터탱크(330)로 공기 유입이 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탱크이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탱크(340)는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및 내각(31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압축공기탱크(340)는 제1압축공기주입밸브(341) 및 제2압축공기주입밸브(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압축공기주입밸브(341)는 상기 압축공기탱크(340)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터탱크(340)에 주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압축공기주입밸브(341)는 상기 곤돌라(300)가 수상으로 유출시 상기 곤돌라(300)의 중력을 감소시키고 부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러스터탱크(330)를 채운 해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상단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압축공기주입밸브(341)는 상기 밸브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제2압축공기주입밸브(342)는 상기 압축공기탱크(340)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내각(310) 내부에 주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곤돌라(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압성 및 방수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곤돌라(300)는 비교적 저속으로 완만하게 회전하므로 탑승 후 1회 회전하고 승강위치로 돌아오려면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어 적어도 수중을 이동하고 있는 동안 만이라도 상기 곤돌라 내에 산소가 주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압축공기주입밸브(342)는 상기 내각(310) 내부로 주기적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서 안락한 관람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도감지센서(350)는 수상에 위치하는 상기 곤돌라(300)의 해수면에 대한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도감지센서(350)는 수상을 돌고 있는 상기 곤돌라(300)의 해수면까지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상기 곤돌라(300)가 해수면에 유입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제어부(370)에게 상기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제어부(370)는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 값을 바탕으로 상기 주배수밸브(321) 및 공기방출밸브(322)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고도감지센서(350)는 압력센서의 일종으로 해수면 고도의 차이에 따른 기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곤돌라(300)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하는 고도 보상 센서(Altitude Correction Sensor)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른 유형의 고도감지센서의 사용을 배재하지 않는다.
상기 심도감지센서(360)는 수중에 위치하는 상기 곤돌라(300)의 해수면에 대한 깊이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도감지센서(360)는 수중을 돌고 있는 상기 곤돌라(300)의 해수면까지의 깊이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상기 곤돌라(300)가 수중에서 유출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제어부(370)에 상기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제어부(370)는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 값을 바탕으로 상기 공기방출밸브(322) 및 제1압축공기주입밸브(341)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심도감지센서(360)는 공지의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제어부(370)는 상기 고도감지센서(350) 및 심도감지센서(36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주배수밸브(321), 공기방출밸브(322), 제1압축공기주입밸브(341) 및 제2압축공기주입밸브(342)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제어부(370)는 상기 고도감지센서(350)에서 수신된 높이가 일정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주배수밸브(321) 및 공기방출밸브(32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심도감지센서(360)에서 수신된 깊이가 일정 깊이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를 폐쇄하고 상기 제1압축공기주입밸브(341)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곤돌라(300)는 수상 이동 중 상기 고도감지센서(350)에서 수신된 높이가 일정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밸브제어부(370)에 전송하고, 상기 밸브제어부(370)는 상기 곤돌라(300)의 수중 유입을 인지하여 상기 주수밸브(321) 및 공기방출밸브(322)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밸러스터탱크(330)에 해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해수의 부피만큼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내 공기가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를 통해 빠져나가게 한다.
또한, 상기 곤돌라(300)가 수중 이동 중 상기 심도감지센서(360)에서 수신된 깊이가 일정 깊이 이하인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밸브제어부(370)에 전송하고, 상기 밸브제어부(370)는 상기 곤돌라(300)의 수상 유출을 인지하여 상기 공기방출밸브(322)는 폐쇄하고 상기 제1압축공기밸브(341)가 개방됨으로서, 상기 압축공기가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상단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압축공기의 부피만큼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내부 해수가 상기 주배수밸브(321)를 통해 빠져 나가게 한다.
한편, 상기 밸브제어부(370)는 상기 곤돌라(300)가 수중에서 수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러스터탱크(330) 내에 있는 해수가 모두 유출되면 상기 곤돌라(300)가 다시 해수에 유입되는 시점까지 상기 주배수밸브(321), 공기방출밸브(322), 제1압축공기밸브(341)를 모두 폐쇄시킨다.
상기 모니터링패드(380)는 상기 내각(310) 내부에 구비되어 탑승자에게 상기 곤돌라(300)의 높이 및 주변 수륙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해주기 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패드(380)는 터치패널식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식 상기 모니터링패드(380)는 탑승자가 제공받기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패드(380)는 영상 뿐 아니라 음향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정보는 탑승자가 원하는 음악을 들으면서 수중 및 수상 관람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패드(380)는 상기 곤돌라(300)가 수상에 위치할 때와 수중에 위치할 때 각각 다른 음악, 음향 효과 및 관람 가이던스등을 제공하여 탑승자의 흥미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륜(20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대관람차(1)는 다수의 곤돌라가 매달려 회동하는 종래 공지의 대관람차의 동력장치를 적용 실시하도록 하여 상기 동력발생부(4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1)는 해양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동일한 효과를 내는 하천, 호수, 리조트, 아쿠아리움등에 상기 대관람차가 구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대관람차는 육지에 한정되어 설치되었던 종전과는 달리 수상 뿐 아니라 수중 환경을 관람할 수 있도록 상기 대관람차를 수중에 설치함으로써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여 스릴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만족도가 낮았던 대관람차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양 도시에서 수상 환경을 관람함과 동시에 수중 환경을 동시에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대관람차의 외관이 화려하고 웅장하여 상기 대관람차가 해양도시의 랜드마크로 부상함으로서 상기 해양 도시의 관광 산업이 발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수함을 운행하거나 고비용의 아쿠아리움을 건설하지 않고도 아이들에게 해양 생물을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수륙 양용 대관람차 100 : 지지프레임
110 : 방진부재 200 : 회전륜
210 : 몸체 220 : 러닝트랙
230 : 곤돌라지지대 240 : 조명부재
300 : 곤돌라 310 : 내각
320 : 외각 321 : 주배수밸브
322 : 공기방출밸브 330 : 밸러스터탱크
340 : 압축공기탱크 341 : 제1압축공기주입밸브
342 : 제2압축공기주입밸브 350 : 고도감지센서
360 : 심도감지센서 370 : 밸브제어부
380 : 모니터링패드
400 : 동력발생부

Claims (12)

  1. 일단이 해저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
    중심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고,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륜;
    상기 회전륜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륜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복수개의 곤돌라; 및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륜은,
    하방 일정 부분이 해수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곤돌라는,
    내각;
    상기 내각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내각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외각;
    상기 내각 및 외각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곤돌라의 수중 유출입시 해수가 주배수(注排水)되는 밸러스터탱크(Ballast tank); 및
    상기 내각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 및 내각에 각각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은,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원주면을 회전하는 러닝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곤돌라는 상기 러닝트랙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은,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밸러스터탱크에 해수를 주배수하는 주배수밸브; 및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곤돌라의 수중 유입시 상기 밸러스터탱크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기방출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탱크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밸러스터탱크에 주입하는 제1압축공기주입밸브; 및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내각 내부에 주입하는 제2압축공기주입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는,
    수상에 위치하는 상기 곤돌라의 해수면에 대한 높이를 감지하는 고도감지센서;
    수중에 위치하는 상기 곤돌라의 해수면에 대한 깊이를 감지하는 심도감지센서; 및
    상기 고도감지센서 및 심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주배수밸브, 공기방출밸브, 제1압축공기주입밸브 및 제2압축공기주입밸브를 각각 제어하는 밸브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제어부는,
    상기 고도감지센서에서 수신된 높이가 일정 높이 이하인 경우 상기 주배수밸브 및 공기방출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심도감지센서에서 수신된 깊이가 일정 깊이 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방출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압축공기주입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곤돌라는,
    탑승자에게 상기 곤돌라의 높이 및 주변 수륙 환경 정보를 모니터링해주는 모니터링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원형 실린더 부재로 구성된 골조 구조인 자켓식(Jacket Type)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은,
    상기 러닝트랙에 결합되어 상기 곤돌라를 지지하는 곤돌라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륜은,
    몸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조명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외압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진동을 방지하는 방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대관람차.
KR1020180147122A 2018-11-26 2018-11-26 수륙 양용 대관람차 KR10211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22A KR102110937B1 (ko) 2018-11-26 2018-11-26 수륙 양용 대관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22A KR102110937B1 (ko) 2018-11-26 2018-11-26 수륙 양용 대관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37B1 true KR102110937B1 (ko) 2020-05-14

Family

ID=7073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22A KR102110937B1 (ko) 2018-11-26 2018-11-26 수륙 양용 대관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201B1 (ko) 2023-09-13 2024-02-19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072A (ja) * 2006-09-19 2008-05-01 Goki Agency:Kk 水中、空中観覧装置
KR101350017B1 (ko) * 2012-12-20 2014-01-13 효 진 이 수중 관람 및 체험용 유인 잠수정
KR20160142406A (ko) 2011-05-26 2016-12-12 윌리엄 제이. 키친 타워형 놀이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072A (ja) * 2006-09-19 2008-05-01 Goki Agency:Kk 水中、空中観覧装置
KR20160142406A (ko) 2011-05-26 2016-12-12 윌리엄 제이. 키친 타워형 놀이기구
KR101350017B1 (ko) * 2012-12-20 2014-01-13 효 진 이 수중 관람 및 체험용 유인 잠수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201B1 (ko) 2023-09-13 2024-02-19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KR102638202B1 (ko) 2023-09-13 2024-02-19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탑승카가 고정된 원형타워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관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449B2 (en) Man-made island resort complex with surface and underwater entertainment, educational and lodging facilities
CN209080117U (zh) 配置有紧急时期防止沉没及倾覆装置的船舶
KR100964461B1 (ko) 회전식 수상분수대
RU2604932C2 (ru) Плавучее сооружение
CN102561741A (zh) 半潜式游乐平台
US9289664B2 (en) Apparatus for underwater activities
KR102110937B1 (ko) 수륙 양용 대관람차
RU2605471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подвод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KR101102045B1 (ko) 부유식 수상가옥
CN113047672B (zh) 适用于天然水域的浮潜式智能控制安全戏水池的建造方法
AU2011254366A1 (en) Liquid displacement devices
CN205615678U (zh) 一种新型水上建筑
CN101020118A (zh) 复合娱乐设施
JPH1143045A (ja) 水上リフト
KR20060028714A (ko) 1인용 수영풀
RU2280488C2 (ru) Учеб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аттракцион
RU2323760C1 (ru) Водный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аттракцион (варианты)
KR20020041264A (ko) 수중선
US675269A (en) Life-saving apparatus.
KR200422527Y1 (ko) 1인용 수영 풀
KR100378512B1 (ko) 수중풍차카페
JPH06316258A (ja) 半潜水式移動装置
JP2002166066A (ja) プール用遊戯具
JPH05130818A (ja) プール内に放流した海獣・魚類との潜水遊泳・観覧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海獣・魚類型潜水船の形・機能の使用目的及び形式と運用の方法
JPH03205086A (ja) 遊戯用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