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867B1 -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867B1
KR102110867B1 KR1020200004679A KR20200004679A KR102110867B1 KR 102110867 B1 KR102110867 B1 KR 102110867B1 KR 1020200004679 A KR1020200004679 A KR 1020200004679A KR 20200004679 A KR20200004679 A KR 20200004679A KR 102110867 B1 KR102110867 B1 KR 10211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waterproof
attaching
sheet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김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이엔씨
김진영
김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이엔씨, 김진영, 김창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0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시공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하여 반영구적으로 방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바닥면과,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홀 라인을 따라 제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바닥면과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을 따라 제2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을 따라 제3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바닥면에 플로어 라인에서 드레인 홀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및 벽면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Self-adhesive waterproofing method using sheet waterproof in toilet}
본 발명은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등과 같이 바닥면이나 벽면이 습기에 노출될 여지가 많은 공간은 습기의 유입이나 유출에 의한 균열 또는 내구성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방수작업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바닥면이나 벽면에 액상형의 우레탄계 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공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도막방수공법은 방수면적의 크기에 대한 대응성이 높고, 벽이나 바닥의 표면에 도포된 액상형의 우레탄계 방수제가 벽이나 바닥의 표면에 완전히 증착되기 때문에, 바닥면과 벽면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한 균열을 완벽히 커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막방수공법은 작업자가 롤러나 붓을 이용하여 직접 벽이나 바닥의 표면에 액상형의 방수제를 수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해야 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고, 도포 부위의 표면이 경사지거나, 요철 구조인 경우 액상형 방수제의 특성상 경화되기 전까지 아래로 흘러내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 도포 부위의 방수층이 더 얇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막방수공법은 액상형의 방수제 내에 남아있던 기포로 인하여 방수층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함몰되는 문제점이 있고, 경화된 방수제는 유연성을 갖지 못함에 따라 도포된 부위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균열이 발생될 경우 이에 대응하지 못하고 균열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도막방수공법은 액상형의 방수제 즉, 유기용제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 인하여 화장실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시공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고, 시공 공간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046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하여 반영구적으로 방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바닥면과,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홀 라인을 따라 제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과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을 따라 제2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을 따라 제3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바닥면에 상기 플로어 라인에서 상기 드레인 홀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벽면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르타르가 도포된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과,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홀 라인을 따라 제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 홀의 직경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띠 형태의 상기 제1 방수시트를 오버랩되도록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드레인 홀을 폐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방수시트의 중앙에 상기 드레인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평면상에서 상기 드레인 홀로 노출된 상기 제1 방수시트의 단부를 상기 홀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내벽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내벽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시트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과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을 따라 제2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바닥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제2-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플로어 라인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2-2 방수시트를 상기 제2-1 방수시트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플로어 라인을 따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2 방수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2-2 방수시트와 부착면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방수시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첩되어 상기 코너에 부착되는 제1 절첩부재; 및 상기 제1 절첩부재의 절개된 부분에 부착되는 제2 절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어 라인을 따라 부착된 상기 제2-2 방수시트는, 상기 플로어 라인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일 측은 상기 바닥면에 부착되고, 타 측은 상기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을 따라 제3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월 라인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상기 제3 방수시트를 상기 제2-1 방수시트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월 라인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따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방수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3 방수시트와 부착면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시트 및 상기 제3 방수시트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 상기 베이스층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에 부착되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 상기 플로어 라인에서 상기 드레인 홀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수시트 및 상기 제3 방수시트에 비하여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상기 제4 방수시트를 상기 제1 방수시트 및 상기 제2 방수시트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플로어 라인에서 상기 드레인 홀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방수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4 방수시트와 부착면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방수시트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오버랩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4 방수시트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는 상기 제2 방수시트와 상기 제1 방수시트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벽면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수시트 및 상기 제3 방수시트에 비하여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상기 제5 방수시트를 상기 제2 방수시트 및 상기 제3 방수시트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벽면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방수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제5 방수시트와 부착면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방수시트는 복수로 마련되어 오버랩된 상태로 상기 벽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5 방수시트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는 상기 제3 방수시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방수시트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방수시트 및 상기 제5 방수시트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 상기 베이스층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 상기 제2 접착층에 부착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에 부착되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직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시트, 상기 제2 방수시트, 상기 제3 방수시트, 상기 제4 방수시트 및 상기 제5 방수시트의 표면에 모르타르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르타르가 도포된 부위에 타일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 접착층이 마련된 방수시트를 대상면에 부착하는 과정만으로 방수층을 형성 가능함에 따라, 시공성이 우수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시공부주의로 인한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유기용제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두께로 제작된 복수의 방수시트를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에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 형태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수시트를 서로 오버랩되도록 부착하여 연결부위를 완벽히 기밀하고, 플로어 라인과 드레인 홀을 연결하는 오버랩 부위를 통해 수분을 드레인 홀로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는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에 완벽히 밀착되고,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유연성 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시공 대상 부위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도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형상의 변형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영구적으로 방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을 정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바닥면과,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홀 라인을 따라 제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홀 라인을 따라 제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1 방수시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바닥면과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을 따라 제2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플로어 라인을 따라 제2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2 방수시트가 코너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을 따라 제3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월 라인을 따라 제3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2 방수시트 및 제3 방수시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바닥면에 플로어 라인에서 드레인 홀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바닥면에 제4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벽면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벽면에 제5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제4 방수시트 및 제5 방수시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을 정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이하 '자착식 방수공법'이라 함)은 드레인 홀(DH: Drain Hole) 및 적어도 하나의 코너(C: Corner)가 마련되는 바닥면(FS: Floor Surface), 바닥면(FS)의 둘레에 마련되는 복수의 벽면(WS: Wall Surface), 바닥면(FS)과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FL: Floor Line) 및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WL: Wall Line)을 포함하는 화장실(Toilet) 내의 방수시공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반드시 화장실의 방수시공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수가 필요한 실내 공간은 물론, 건축물의 외벽 등 다양한 장소 및 공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 Surface)을 정리한다(S110).
구체적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방수층이 형성될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으로부터 이물질(FM: Foreign Matter)을 제거한다(S111). 즉,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빗자루 또는 청소기 등과 같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방수층이 형성될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 즉, 바닥면(FS)에 잔존하는 이물질(FM)을 제거한다. 이때,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추가적으로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형성된 돌기 등을 제거하여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을 평탄화하거나,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으로부터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으로부터 이물질(FM)을 제거한 뒤,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모르타르(M: Mortar)를 도포(포설)한다(S112). 이를 통해,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형성된 크랙을 보수하고, 평탄한 시공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도포된 모르타르(M)가 경화된 후, 추가적으로 모르타르(M)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모르타르(M)를 도포한 후, 모르타르(M)가 도포된 부위에 프라이머(P: Primer)를 도포한다(S113). 즉,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방수시트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방수시트가 부착되는 모르타르(M)의 표면에 프라이머(P: Primer)를 도포한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프라이머(P)는 스프레이 또는 롤러 또는 붓 등의 도포장비를 이용하여 도포되며, 시공 조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양만큼 모르타르(M)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도포된 프라이머(P)는 상온 상태에서 건조되거나, 열풍을 가하여 건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으로부터 이물질(FM)을 제거한 뒤,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모르타르(M)와 프라이머(P)가 순차적으로 도포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르타르(M) 및 프라이머(P)의 도포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을 정리하는 과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으로부터 이물질(FM)을 제거한 뒤,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모르타르(M) 또는 프라이머(P) 만을 도포할 수도 있고, 혹은 아무것도 도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바닥면과,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홀 라인을 따라 제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홀 라인을 따라 제1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제1 방수시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을 정리한 후, 바닥면(FS)과, 드레인 홀(DH)을 형성하는 내벽(IW: Inner Wall)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원형의 홀 라인(HL: Hole Line)을 따라 제1 방수시트(10)를 부착한다(S120).
구체적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을 정리한 후, 드레인 홀(DH)의 직경(d1)보다 더 긴 길이(l)를 가지는 복수의 제1 방수시트(10)들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방수시트(10)를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드레인 홀(DH)을 폐쇄시킨다(S121). 여기서, 방수시트들이 오버랩되는 면적은 반드시 고정된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시공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복수의 제1 방수시트(10)를 이용하여 드레인 홀(DH)을 폐쇄시킨 후, 드레인 홀(DH)을 폐쇄하고 있는 복수의 제1 방수시트(10)의 중앙에 드레인 홀(DH)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가지는 관통홀(TH)을 형성한다(S122).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복수의 제1 방수시트(10)의 중앙에 관통홀(TH)을 형성한 후, 평면상에서 드레인 홀(DH)로 노출된 제1 방수시트(10)의 단부를 홀 라인(HL)을 기준으로 드레인 홀(DH)을 형성하는 내벽(IW)측으로 절곡시켜 내벽(IW)에 부착한다(S123).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방수시트(10)는 사용자가 시공조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마련되고, 롤(roll)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수시트(10)는 자기 스스로 부착되는 성질 즉, 자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수시트(10)는 베이스층(L1)과, 베이스층(L1)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L2) 및 베이스층(L1)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L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층(L2) 및 제2 접착층(L3)의 표면에는 제1 접착층(L2) 및 제2 접착층(L3)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형지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제1 방수시트(1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L1),제1 접착층(L2) 및 제2 접착층(L3)은 가공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연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층(L1)과 복수의 접착층(L2, L3) 사이에는 유연성을 가지는 격자 구조의 글라스 화이버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방수시트(10)의 내구성 및 전단력을 강화하여 제1 방수시트(10)가 외력의 의해 파단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층(L1)에는 오버랩의 용이성을 위하여 오버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바닥면과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을 따라 제2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플로어 라인을 따라 제2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제2 방수시트가 코너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드레인 홀(DH) 주변에 제1 방수시트(10)를 부착한 후, 바닥면(FS)과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제2 방수시트(20)를 부착한다(S130).
구체적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드레인 홀(DH) 주변에 제1 방수시트(10)를 부착한 후, 바닥면(FS)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코너(C)에 제2-1 방수시트(21)를 부착한다(S131).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적어도 하나의 코너(C)에 제2-1 방수시트(21)를 부착한 후, 플로어 라인(FL)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2-2 방수시트(22)를 제2-1 방수시트(21)에 오버랩되도록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부착한다(S132). 이때,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부착된 제2-2 방수시트(22)는 플로어 라인(FL)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일 측은 바닥면(FS)에 부착되고, 타 측은 벽면(WS)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시트들이 오버랩되는 면적은 반드시 고정된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시공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2-2 방수시트(22)를 제2-1 방수시트(21)에 오버랩되도록 부착한 후, 제2-2 방수시트(22)를 가압하여 제2-2 방수시트(22)와 제2-2 방수시트(22)가 부착된 부착면(AS: Attachment Surface)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다(S133). 이를 통해, 제2-2 방수시트(22)와 부착면(AS) 간의 밀착력이 극대화 되어 제2-2 방수시트(22)가 더욱 견고하게 바닥면(FS)과 벽면(WS)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방수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2-2 방수시트(22)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 후, 제2-1 방수시트(21)와 제2-2 방수시트(22)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의 기밀력 및 결속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를 실링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처리는 오버랩 부위에 제2-2 방수시트(22)와 동일한 방수시트를 추가적으로 부착하거나,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에 실리콘 도포 혹은 열융착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방수시트(20)는 코너(C)에 부착되는 다면체 구조의 제2-1 방수시트(21)와, 제2-1 방수시트(21)에 오버랩되도록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부착되는 띠 형태의 제2-2 방수시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방수시트(21)는 제1 절첩부재(211) 및 제2 절첩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첩부재(211)는 적어도 하나의 코너(C)에 대응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절첩되어 코너(C)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절첩부재(212)는 다면체 형상으로 절첩된 제1 절첩부재(211)에서 제1 절첩부재(211)의 절개된 부분에 부착되어 제1 절첩부재(211)의 형태를 유지하고, 제1 절첩부재(211)의 절개된 부분으로 수분이나 이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을 따라 제3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1은 월 라인을 따라 제3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제2 방수시트 및 제3 방수시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제2 방수시트(20)를 부착한 후,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WL)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제3 방수시트(30)를 부착한다(S140).
구체적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제2 방수시트(20)를 부착한 후, 월 라인(WL)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3 방수시트(30)를 제2-1 방수시트(21)에 오버랩되도록 월 라인(WL)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따라 부착한다(S141). 여기서, 방수시트들이 오버랩되는 면적은 반드시 고정된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시공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3 방수시트(30)를 제2-1 방수시트(21)에 오버랩되도록 월 라인(WL)에 부착한 후, 제3 방수시트(30)를 가압하여 제3 방수시트(3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다(S142). 이를 통해, 제3 방수시트(30)와 부착면(AS) 간의 밀착력이 극대화 되어 제3 방수시트(30)가 더욱 견고하게 벽면(WS)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방수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3 방수시트(3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 후, 제3 방수시트(30)와 제2-1 방수시트(21)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를 실링 처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는 사용자가 시공조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마련되고, 롤(roll)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는 자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는 각각 베이스층(L1), 베이스층(L1)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L2), 베이스층(L1)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L3) 및 제2 접착층(L3)에 부착되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코팅층(L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층(L2)의 표면에는 제1 접착층(L2)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형지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L1),제1 접착층(L2) 및 제2 접착층(L3)은 가공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연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코팅층(L4)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소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층(L1)과 복수의 접착층(L2, L3) 사이에는 유연성을 가지는 격자 구조의 글라스 화이버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의 내구성 및 전단력을 강화하여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가 외력의 의해 파단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바닥면에 플로어 라인에서 드레인 홀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바닥면에 제4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월 라인(WL)을 따라 제3 방수시트(30)를 부착한 후, 바닥면(FS)에 플로어 라인(FL)에서 드레인 홀(DH)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40)를 부착한다(S150).
구체적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월 라인(WL)을 따라 제3 방수시트(30)를 부착한 후,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에 비하여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제4 방수시트(40)를 제1 방수시트(10) 및 제2 방수시트(20)에 오버랩되도록 플로어 라인(FL)에서 드레인 홀(DH) 방향으로 바닥면(FS)에 부착한다(S151). 여기서, 제4 방수시트(40)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오버랩된 상태로 바닥면(FS)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4 방수시트(40)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OA: Overlap Area)는 제2 방수시트(20)와 제1 방수시트(10)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분을 드레인 홀로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들이 오버랩되는 면적은 반드시 고정된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시공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4 방수시트(40)를 바닥면(FS)에 부착한 후, 제4 방수시트(40)를 가압하여 제4 방수시트(4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다(S152). 이를 통해, 제4 방수시트(40)와 부착면(AS) 간의 밀착력이 극대화 되어 제4 방수시트(40)가 더욱 견고하게 바닥면(FS)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방수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4 방수시트(4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 후, 제4 방수시트(40)들 간의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 제4 방수시트(40)와 제1 방수시트(10)의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 및 제4 방수시트(40)와 제2 방수시트(20)의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를 실링 처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의 벽면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16은 벽면에 제5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제4 방수시트 및 제5 방수시트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바닥면(FS)에 제4 방수시트(40)를 부착한 후, 벽면(WS)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50)를 부착한다(S160).
구체적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바닥면(FS)에 제4 방수시트(40)를 부착한 후,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에 비하여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제5 방수시트(50)를 제2 방수시트(20) 및 제3 방수시트(30)에 오버랩되도록 벽면(WS)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부착한다(S161). 여기서, 제5 방수시트(50)는 복수로 마련되어 오버랩된 상태로 벽면(WS)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5 방수시트(50)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OA)는 제3 방수시트(3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5 방수시트(50)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OA)는 복수의 제4 방수시트(40)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OA)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벽면(WS) 측의 수분을 드레인 홀로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시트들이 오버랩되는 면적은 반드시 고정된 값을 가지는 것은 아니며 시공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5 방수시트(50)를 벽면(WS)에 부착한 후, 제5 방수시트(50)를 가압하여 제5 방수시트(5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다(S162). 이를 통해, 제5 방수시트(50)와 부착면(AS) 간의 밀착력이 극대화 되어 제5 방수시트(50)가 더욱 견고하게 벽면(WS)에 부착되고, 이로 인해 방수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5 방수시트(5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한 후, 제5 방수시트(50)들 간의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 제5 방수시트(50)와 제2 방수시트(20)의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 및 제5 방수시트(50)와 제3 방수시트(30)의 오버랩된 부위의 경계를 실링 처리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는 사용자가 시공조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가지는 패드 형태로 마련되고, 롤(roll)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는 자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는 각각 베이스층(L1), 베이스층(L1)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L2), 베이스층(L1)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L3), 제2 접착층(L3)에 부착되는 코팅층(L4) 및 코팅층(L4)에 부착되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직물층(L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층(L2)의 표면에는 제1 접착층(L2)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형지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L1),제1 접착층(L2) 및 제2 접착층(L3)은 가공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연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코팅층(L4)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소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직물층(L5)은 부직포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직물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층(L1)과 복수의 접착층(L2, L3) 사이에는 유연성을 가지는 격자 구조의 글라스 화이버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의 내구성 및 전단력을 강화하여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가 외력의 의해 파단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벽면(WS)에 제5 방수시트(50)를 부착한 후, 제1 방수시트(10), 제2 방수시트(20), 제3 방수시트(30),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의 표면의 모르타르(M)를 도포한다(S170).
즉,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벽면(WS)에 제5 방수시트(50)를 부착한 후, 외부로 노출된 제1 방수시트(10), 제2 방수시트(20), 제3 방수시트(30),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방수시트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1 방수시트(10), 제2 방수시트(20), 제3 방수시트(30),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의 표면의 모르타르(M)를 도포한 후, 모르타르(M)가 도포된 부위에 타일을 부착한다(S18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수시트(10), 제2 방수시트(20), 제3 방수시트(30),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의 표면에 모르타르(M)를 도포한 후, 모르타르(M)가 도포된 부위에 타일을 부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방수시트(10), 제2 방수시트(20), 제3 방수시트(30),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의 표면에 모르타르(M)를 도포한 후, 모르타르(M)가 도포된 부위에 도막재를 도포하고, 탑코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제1 방수시트(10), 제2 방수시트(20), 제3 방수시트(30), 제4 방수시트(40) 및 제5 방수시트(50)의 표면에 도포된 모르타르(M)가 경화된 후 모르타르(M)의 표면에 액상의 우레탄, 유성페인트, 무기질 도막 방수재, 에폭시수지 또는 폴리우레아 중 선택된 하나를 도포한다. 그리고, 본 자착식 방수공법은 도막제가 건조된 후, 경화된 도막제의 표면에 액상의 우레탄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의 평탄성을 높이고, 변색 및 변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면에 접착층이 마련된 방수시트를 대상면에 부착하는 과정만으로 방수층을 형성 가능함에 따라, 시공성이 우수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시공부주의로 인한 하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유기용제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두께로 제작된 복수의 방수시트를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에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 형태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수시트를 서로 오버랩되도록 부착하여 연결부위를 완벽히 기밀하고, 플로어 라인(FL)과 드레인 홀(DH)을 연결하는 오버랩 부위(OA)를 통해 수분을 드레인 홀(DH)로 유도함으로써, 방수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는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에 완벽히 밀착되고,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유연성 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시공 대상 부위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도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형상의 변형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영구적으로 방수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방수시트 20. 제2 방수시트
21. 제2-1 방수시트 211. 제1 절첩부재
212. 제2 절첩부재 22. 제2-2 방수시트
30. 제3 방수시트 40. 제4 방수시트
50. 제5 방수시트 L1. 베이스층
L2. 제1 접착층 L3. 제2 접착층
L4. 코팅층 L5. 직물층
S.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 FM. 이물질
M. 모르타르 P. 프라이머
TH. 관통홀 AS. 부착면
AIR. 공기 OA. 오버랩 부위
FS. 바닥면 C. 코너
DH. 드레인 홀 IW. 내벽
WS. 벽면 FL. 플로어 라인
WL. 월 라인 HL. 홀 라인

Claims (15)

  1.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을 정리하는 단계(S110);
    바닥면(FS)과, 드레인 홀(DH)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홀 라인(HL)을 따라 제1 방수시트(10)를 부착하는 단계(S120);
    상기 바닥면(FS)과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제2 방수시트(20)를 부착하는 단계(S130);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WL)을 따라 제3 방수시트(30)를 부착하는 단계(S140);
    상기 바닥면(FS)에 상기 플로어 라인(FL)에서 상기 드레인 홀(DH)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벽면(WS)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50)를 부착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FS)과, 드레인 홀(DH)을 형성하는 내벽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홀 라인(HL)을 따라 제1 방수시트(10)를 부착하는 단계(S120)는,
    상기 드레인 홀(DH)의 직경(d1)보다 더 긴 길이(l)를 가지는 띠 형태의 상기 제1 방수시트(10)를 오버랩되도록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상기 드레인 홀(DH)을 폐쇄시키는 단계(S121);
    상기 제1 방수시트(10)의 중앙에 상기 드레인 홀(DH)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d2)을 가지는 관통홀(TH)을 형성하는 단계(S122); 및
    평면상에서 상기 드레인 홀(DH)로 노출된 상기 제1 방수시트(10)의 단부를 상기 홀 라인(HL)을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 홀(DH)을 형성하는 내벽(IW)측으로 절곡시켜 상기 내벽(IW)에 부착하는 단계(S123)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을 정리하는 단계(S110)는,
    이물질(FM)을 제거하는 단계(S111);
    상기 시공 대상 부위의 표면(S)에 모르타르(M)를 도포하는 단계(S112); 및
    상기 모르타르(M)가 도포된 부위에 프라이머(P)를 도포하는 단계(S113)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시트(10)는,
    베이스층(L1);
    상기 베이스층(L1)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L2); 및
    상기 베이스층(L1)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L3)을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FS)과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제2 방수시트(20)를 부착하는 단계(S130)는,
    상기 바닥면(FS)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코너(C)에 제2-1 방수시트(21)를 부착하는 단계(S131);
    상기 플로어 라인(FL)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2-2 방수시트(22)를 상기 제2-1 방수시트(21)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부착하는 단계(S132); 및
    상기 제2-2 방수시트(22)를 가압하여 상기 제2-2 방수시트(22)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하는 단계(S133)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방수시트(2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너(C)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첩되어 상기 코너(C)에 부착되는 제1 절첩부재(211); 및
    상기 제1 절첩부재(211)의 절개된 부분에 부착되는 제2 절첩부재(212)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라인(FL)을 따라 부착된 상기 제2-2 방수시트(22)는,
    상기 플로어 라인(FL)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일 측은 상기 바닥면(FS)에 부착되고, 타 측은 상기 벽면(WS)에 부착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벽면(WS) 사이의 경계에 마련되는 월 라인(WL)을 따라 제3 방수시트(30)를 부착하는 단계(S140)는,
    상기 월 라인(WL)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상기 제3 방수시트(30)를 상기 제2-1 방수시트(21)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월 라인(WL)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을 따라 부착하는 단계(S141); 및
    상기 제3 방수시트(30)를 가압하여 상기 제3 방수시트(3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하는 단계(S142)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시트(20) 및 상기 제3 방수시트(30)는,
    베이스층(L1);
    상기 베이스층(L1)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L2);
    상기 베이스층(L1)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L3); 및
    상기 제2 접착층(L3)에 부착되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코팅층(L4)을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FS)에 상기 플로어 라인(FL)에서 상기 드레인 홀(DH) 방향으로 제4 방수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S150)는,
    상기 제2 방수시트(20) 및 상기 제3 방수시트(30)에 비하여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상기 제4 방수시트(40)를 상기 제1 방수시트(10) 및 상기 제2 방수시트(20)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플로어 라인(FL)에서 상기 드레인 홀(DH) 방향으로 상기 바닥면(FS)에 부착하는 단계(S151); 및
    상기 제4 방수시트(40)를 가압하여 상기 제4 방수시트(4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하는 단계(S152)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방수시트(40)는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오버랩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FS)에 부착되고,
    상기 제4 방수시트(40)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OA)는 상기 제2 방수시트(20)와 상기 제1 방수시트(1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WS)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5 방수시트(50)를 부착하는 단계(S160)는,
    상기 제2 방수시트(20) 및 상기 제3 방수시트(30)에 비하여 더 넓은 폭을 가지는 상기 제5 방수시트(50)를 상기 제2 방수시트(20) 및 상기 제3 방수시트(30)에 오버랩되도록 상기 벽면(WS)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S161); 및
    상기 제5 방수시트(50)를 가압하여 상기 제5 방수시트(50)와 부착면(AS) 사이의 공기(AIR)를 제거하는 단계(S162)를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방수시트(50)는 복수로 마련되어 오버랩된 상태로 상기 벽면(WS)에 부착되고,
    상기 제5 방수시트(50)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OA)는 상기 제3 방수시트(3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방수시트(40)가 서로 오버랩된 부위(OA)와 연결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방수시트(40) 및 상기 제5 방수시트(50)는,
    베이스층(L1);
    상기 베이스층(L1)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1 접착층(L2);
    상기 베이스층(L1)의 타면에 마련되는 제2 접착층(L3);
    상기 제2 접착층(L3)에 부착되는 코팅층(L4); 및
    상기 코팅층(L4)에 부착되어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는 직물층(L5)을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시트(10), 상기 제2 방수시트(20), 상기 제3 방수시트(30), 상기 제4 방수시트(40) 및 상기 제5 방수시트(50)의 표면에 모르타르(M)를 도포하는 단계(S170); 및
    상기 모르타르(M)가 도포된 부위에 타일(T)을 부착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KR1020200004679A 2020-01-14 2020-01-14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KR10211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79A KR102110867B1 (ko) 2020-01-14 2020-01-14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679A KR102110867B1 (ko) 2020-01-14 2020-01-14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867B1 true KR102110867B1 (ko) 2020-05-14

Family

ID=7073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679A KR102110867B1 (ko) 2020-01-14 2020-01-14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8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478A (ja) * 1985-07-25 1987-02-06 Mitsuboshi Belting Ltd 粘着層付き防水シ−ト
KR100804677B1 (ko) 2007-03-12 2008-02-20 김기철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1219636B1 (ko) * 2012-04-24 2013-01-09 윤재원 방수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 제조 및 삼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478A (ja) * 1985-07-25 1987-02-06 Mitsuboshi Belting Ltd 粘着層付き防水シ−ト
KR100804677B1 (ko) 2007-03-12 2008-02-20 김기철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1219636B1 (ko) * 2012-04-24 2013-01-09 윤재원 방수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 제조 및 삼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3841A1 (en) Roof/wall structure
JP2014231734A (ja) 防水シートの端部処理方法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20200270866A1 (en) Roofing membrane with release liner having enhanced friction characteristics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US20160289953A1 (en) Moisture barrier membrane for concrete floors
KR20090010907U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2110867B1 (ko) 화장실 내의 시트방수를 이용한 자착식 방수공법
KR20150015984A (ko)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방수층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법
KR20090110034A (ko) 부틸라바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시공방법 및방수구조
US7818941B2 (en) Plastic sheet barrier enclosure, system, and method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2002008B1 (ko) 복합 단열 방수 공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710432B1 (ko)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RU2612184C1 (ru) Профилированное полотно и система с множеством профилированных полотен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1216662B1 (ko) 이중단열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및 그 방법
KR101173410B1 (ko)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KR101864090B1 (ko) 실내 복합시트 방수공법
KR20070085022A (ko)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KR101833792B1 (ko) 개량형 원터치 타입 시트방수 구조
KR100935417B1 (ko)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