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678B1 - 용접테이블 - Google Patents

용접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678B1
KR102110678B1 KR1020180114844A KR20180114844A KR102110678B1 KR 102110678 B1 KR102110678 B1 KR 102110678B1 KR 1020180114844 A KR1020180114844 A KR 1020180114844A KR 20180114844 A KR20180114844 A KR 20180114844A KR 102110678 B1 KR102110678 B1 KR 10211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heating
temperature
welding objec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602A (ko
Inventor
임영민
주형건
최우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테이블부와, 테이블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테이블부와 용접대상물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와, 테이블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테이블부에 안착된 용접대상물을 예열하는 착탈예열부와, 테이블부에 배치되고, 용접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테이블{WELDING TABLE}
본 발명은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대상물의 용접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용접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용접테이블에 모재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실시하게 되고, 작업자가 자, 버니어 캘리퍼스 등과 같은 간단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모재를 목적한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있다. 또한, 급냉으로 인한 용접부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 토치나 고정식 버너 등을 이용하여 모재를 예열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62284호(2014.05.23 공개, 발명의 명칭: 용접 테이블)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용접대상물을 정위치, 정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용접대상물을 예열시킬 수 있어 작업성과 용접성을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테이블은,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와 상기 용접대상물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테이블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에 안착된 상기 용접대상물을 예열하는 착탈예열부; 및 상기 테이블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접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조사부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1레이저부; y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2레이저부; 상기 제1레이저부와 상기 제2레이저부를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과 직교되는 z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방향이동부; 상기 광방향이동부를 상기 x방향 또는 상기 y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레이저부와 상기 제2레이저부를 온오프제어하고,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광방향이동부와 상기 광위치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이저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예열부는, 상기 테이블부와 접하고, 열선이 배치되는 예열판부; 상기 예열판부를 상기 테이블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예열판부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예열판부를 상기 테이블부에 착탈시키는 예열판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예열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착탈예열부; 상기 테이블부의 타측부에 제1착탈예열부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2착탈예열부; 및 상기 제1착탈예열부와 상기 제2착탈예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열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열제어부는, 용접 진행 속도와 용접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착탈예열부와 상기 제2착탈예열부를 순차적으로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측정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를 상기 용접대상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링하며 상기 테이블부에 결합되는 보호덮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용접대상물의 예열온도를 표시하는 제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표시부는, 복수개의 상기 온도센서 중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는 것과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지 않는 것을 구분하는 센서구분부;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는 것으로 구분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온도산출부; 상기 온도산출부에서 산출된 온도값을 표시하는 온도표시부; 및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는 것으로 구분된 상기 온도센서 간의 온도차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테이블은, 테이블부와 용접대상물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를 이용해 별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용접대상물을 정위치, 정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지하던 기존의 경우와 비교해 용접대상물의 배치에 소요되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배치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된 소지를 보다 낮춤으로써 용접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테이블부에 안착된 용접대상물을 예열하는 착탈예열부와, 용접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이용해 용접대상물을 목적한 온도 범위로 신뢰성있게 예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토치 등을 이용해 직접 예열하고, 온도측정장치를 임의의 지점에 직접 접촉시켜 온도를 측정하던 기존의 경우와 비교해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예열 온도의 편차, 온도 측정의 편차 발생 소지를 보다 낮춤으로써 용접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레이저조사부의 제1레이저부를 작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레이저조사부의 제1레이저부와 제2레이저부를 작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착탈예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온도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온도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1)은 테이블부(10), 레이저조사부(20), 착탈예열부(30), 온도측정부(40)를 포함한다.
테이블부(10)는 용접대상물(2)이 안착될 수 있는 상면부 형상을 가진다. 레이저조사부(20)는 테이블부(10)의 상측에 배치되고, 테이블부(10)와 용접대상물(2)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착탈예열부(30)는 테이블부(10)에 안착된 용접대상물(2)을 예열하는 장치부로, 테이블부(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온도측정부(40)는 테이블부(10)에 안착된 용접대상물(2)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부로, 테이블부(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레이저조사부의 제1레이저부를 작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레이저조사부의 제1레이저부와 제2레이저부를 작동시킨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레이저조사부(20)는 제1레이저부(21), 제2레이저부(22), 광방향이동부(23), 광위치이동부(24), 레이저제어부(25)를 포함한다.
제1레이저부(21)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제2레이저부(22)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제1레이저부(21)만을 온(on)작동 시키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이 테이블부(10)의 상면부에 조사된다.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를 함께 온작동 시키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과, y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이 상호 교차된 형상이 테이블부(10)의 상면부에 조사된다. 도 2, 도 3 상에 온작동된 상태는 검은색 점, 오프(off)작동된 상태는 흰색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광방향이동부(23)는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를 x방향, y방향과 직교되는 z방향을 기준으로, 즉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광방향이동부(23)의 작동 시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는 z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테이블부(10)에 조사된 레이저광의 방향이 동일한 각도만큼 가변된다. 예를 들어, 광방향이동부(23)의 작동에 의해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가 시계방향으로 30°회전되면, 테이블부(10)에 조사된 선형 내지 교차형 레이저광도 시계방향으로 30°회전된다.
광위치이동부(24)는 광방향이동부(23)를 x방향 또는 y방향을 기준으로, 즉 회전중심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광위치이동부(24)의 작동 시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는 x방향 또는 y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테이블부(10)에 조사된 레이저광의 방향이 이에 대응되는 직선변위만큼 가변된다. 예를 들어, 광위치이동부(24)와 테이블부(10)간의 거리가 h일때, 광위치이동부(24)의 작동에 의해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가 x방향으로 30°회전되면, 테이블부(10)에 조사된 선형 내지 교차형 레이저광은 h·tanθ만큼 x방향으로 이동된다.
광방향이동부(23)와 광위치이동부(24)는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면, 모터, 기어, 회전축이 연결된 공지의 구조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구조와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레이저제어부(25)는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를 온오프제어하고, 조작 신호에 따라 광방향이동부(23)와 광위치이동부(24)의 작동을 제어한다. 작업자는 레이저제어부(25)를 이용해 필요에 따라 제1레이저부(21)와 제2레이저부(22)를 선택적으로 온작동 또는 오프작동시킬 수 있고, 광방향이동부(23)와 광위치이동부(24)를 이용해 테이블부(10)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레이저조사부(20)를 이용해 선형 또는 교차형 레이저광을 테이블부(10) 상에 목적한 위치, 각도로 조사할 수 있고, 작업자는 테이블부(10)의 가장자리 등을 기준으로 하여 별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할 필요없이, 선형 또는 교차형의 레이저광을 기준으로 하여 용접대상물(2)을 목적한 위치에, 예를 들어, 용접부(2a)가 레이저광과 일치하거나 나란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용접대상물(2)이 테이블부(1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용접대상물(2)에도 레이저광이 조사되므로, 용접 작업 중에도 용접대상물(2)의 정위치 이탈, 유동, 변형이 발생되지는 않는지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착탈예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예열부(30)는 예열판부(31), 힌지부(33), 예열판이동부(34), 예열제어부(39)를 포함한다.
예열판부(31)는 테이블부(10)에 안착된 상태의 용접대상물(2)을 예열하기 위한 열선(32)의 배치가 이루어지는 장치부로, 테이블부(10)의 하부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힌지부(33)는 예열판부(31)의 일측부를 테이블부(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부(33)는 예열판부(31) 중 테이블부(10)의 가장자리부와 근접한 일측부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힌지부(33)의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힌지부(33)의 점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열판부(31)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예열판부(31)와 테이블부(1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즉, 예열판부(31)와 테이블부(10) 간의 개방부가 테이블부(10) 외부의 작업 공간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예열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열판이동부(34)는 예열판부(31)에 회동력을 가하면서 예열판부(31)를 테이블부(10)에 착탈시키는 장치부이다. 예열판이동부(34)는 힌지부(33)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예열판이동부(34)의 상향 작동 시 예열판부(31)는 힌지부(33)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고, 예열판이동부(34)의 하향 작동 시 예열판부(31)는 힌지부(33)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예열판부(31)가 회동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예열판부(31)를 소정의 각도만큼만 회동시키더라도 예열판부(31) 전체가 테이블부(10)로부터 명확하게 이격되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열판부(31)가 테이블부(10)로부터 이격되게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예열판부(31)와 테이블부(10)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이물질이 예열판부(31)의 경사면을 타고 자연히 외부로 유동, 제거되어 오염 속도가 늦춰지므로 착탈예열부(30)의 유지,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열판이동부(34)의 상향 작동에 의해 예열판부(31)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예열판부(31)는 테이블부(10)의 하부에 밀착되고, 테이블부(10)를 거쳐 용접대상물(2)을 목적한 온도로 예열하게 된다. 용접대상물(2)이 목적한 온도로 예열한 상태에서 예열판이동부(34)를 하향 작동시키면, 예열판부(31)가 하향 회동되며 테이블부(10)로부터 신속하게 이격되고, 테이블부(10)는 예열판부(31)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열판이동부(34)는 예열판부(31)의 타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실린더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예열판이동부(34)는 예열판부(31)를 상향 회동, 하향 회동시킬 수 있다면 공지 기술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열판부(31)에 배치된 열선(32)으로의 전류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예열판부(31)는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예열판부(31)를 테이블부(10)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 고온의 온도를 가지는 예열판부(31)로 인해 용접대상물(2)이 목적한 예열온도를 초과하여 예열되고, 이러한 초과 예열 정도는 용접대상물(2)의 소재, 두께, 너비 등에 따라 균일하지 않게 적용된다.
목적한 온도로 용접대상물(2)의 예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예열판이동부(34)를 이용해 예열판부(31)를 테이블부(10)로부터 이격시키면, 용접대상물(2)이 예열판부(31)로부터 신속하고 명확하게 독립되고, 예열판부(31)의 냉각 정도, 온도와 무관해지면서 목적한 예열 온도를 초과하여 예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예열 온도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설정온도로 가열된 예열판부(31)를 테이블부(10)에 자유롭게 접속 또는 이격시키면서, 용접대상물(2)의 온도를 목적한 예열 온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예열부(30)는 테이블부(10)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착탈예열부(30A)와, 테이블부(10)의 타측부에 제1착탈예열부(30A)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2착탈예열부(30B)를 포함한다. 제1착탈예열부(30A)와 제2착탈예열부(30B)는 각각 상기에서 설명한 예열판부(31), 힌지부(33), 예열판이동부(34)를 포함한다.
예열제어부(39)는 제1착탈예열부(30A)와 제2착탈예열부(30B)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부이다. 예열제어부(39)는 테이블부(10) 상에서 이루어지는 용접 진행 속도와 용접 위치에 따라 제1착탈예열부(30A)와 제2착탈예열부(30B)를 순차적으로 테이블부(10)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러한 작동은 예열판이동부(34)의 상향 작동, 하향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용접 경로가 길수록, 용접대상물(2)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용접대상물(2)의 소재가 열입량을 많이 필요로 할수록, 용접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접 시간이 길어질수록 용접부의 양단부간 온도차, 즉 시작지점과 종료지점간의 온도차가 커지게 된다.즉, 용접 시간이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착탈예열부(30A)와 제2착탈예열부(30B)를 동시에 이격시키면, 용접이 완료되는 시점에는 목적한 예열 온도 범위 미만으로 용접대상물(2)이 냉각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용접대상물(2)의 용접이 제1착탈예열부(30A)측에서 제2착탈예열부(30B)측으로 진행되는 경우, 용접 개시 시점에 제1착탈예열부(30A)와 제2착탈예열부(30B)를 동시에 테이블부(10)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1착탈예열부(30A)를 먼저 테이블부(10)로부터 이격시키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제2착탈예열부(30B)를 테이블부(10)로부터 순차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용접부의 양단부간 온도차, 즉 시작지점과 종료지점간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즉, 용접이 종료되는 시점에 용접부의 종료지점의 온도가 목적한 예열 온도 범위 이내가 되게 예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온도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테이블의 온도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측정부(40)는 온도센서(41), 탄성부재(42), 보호덮개(43), 제어표시부(44)를 포함한다.
온도센서(41)는 테이블부(10)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테이블부(10)의 상면부에 안착된 용접대상물(2)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센서(41)는 테이블부(10) 중 예열판부(31)의 접촉, 수용, 수납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복수개가 설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온도센서(41)로는 열전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온도센서(41)의 상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핀 형상을 가지며, 하부는 탄성부재(42)와 안정되게 접할 수 있게 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탄성부재(42)는 온도센서(41)의 하부와 접하도록 설치되고, 온도센서(41)를 용접대상물(2)측으로, 즉 상측으로 탄성지지한다. 탄성부재(42)로는 코일스프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보호덮개(43)는 테이블부(10) 중 온도측정부(40)의 수용이 이루어지는 중공부의 하부를 폐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탄성부재(42)를 커버링하며 테이블부(10)에 결합된다. 보호덮개(43) 중 테이블부(10)와의 접촉부에는 스크류부가 형성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테이블부(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열판부(31)를 하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보호덮개(43)를 개방시킴으로써, 중공부의 내부를 개방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41)와 탄성부재(42)를 점검, 관리할 수 있다.
제어표시부(44)는 온도센서(41)에서 검출된 용접대상물(2)의 예열온도를 표시한다. 온도센서(41)에서 측정된 온도 데이터는 테이블부(10)에 배치되는 회로선(미도시) 등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표시부(44)에 전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표시부(44)는 센서구분부(45), 온도산출부(46), 온도표시부(47), 이상알림부(48)를 포함한다.
센서구분부(45)는 복수개의 온도센서(41) 중 용접대상물(2)과 접하는 것과 용접대상물(2)과 접하지 않는 것을 구분한다. 용접대상물(2)과 접하는 온도센서(41)와 용접대상물(2)과 접하지 않는 온도센서(41)를 구분함에 있어서는, 착탈예열부(30)를 이용해 예열을 개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온도 상승이 설정치 이상 발생된 온도센서(41)와 그렇지 않은 온도센서(41)를 구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41)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추가로 구비하여, 온도센서(41)에 압력이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용접대상물(2)과 접하는 온도센서(41)와 그렇지 않은 온도센서(41)를 구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직접 센서구분부(45)의 입력부를 통해 온도측정 대상이 되는 온도센서(41)를 지정, 설정할 수도 있다.
온도산출부(46)는 용접대상물(2)과 접하는 것으로 구분된 온도센서(41)들로부터 검출된 온도값의 평균을 산출한다. 12개의 온도센서(41)가 용접대상물(2)과 접하는 경우, 온도센서(41) 각각에서 입력된 온도 데이터를 수치로 전환하여 합하고, 12로 나누어 평균을 산출한다. 온도표시부(47)는 온도산출부(46)에서 산출된 온도값을 표시한다. 온도표시부(47)는 온도산출부(46)에서 산출된 수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형상의 용접대상물(2)을 용접대상으로 함에 있어서는 일률적으로 용접측정 위치를 설정할 수 없어, 기존에는 작업자가 별도의 온도측정장비를 용접대상물(2)의 여러 지점에 직접 접촉시켜 측정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표시부(44)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 크기를 가지는 용접대상물(2)의 온도가 자동으로 정확하게 산출, 표시되므로, 기존에 작업자가 용접대상물(2)의 예열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알림부(48)는 용접대상물(2)과 접하는 것으로 구분된 온도센서(41) 간의 온도차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이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알림부(48)는 점멸등 등과 같이 시각적으로 확인가능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각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알림스피커 등과 같이 청각적으로 확인가능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청각표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온도센서(41)의 손상, 수명 경과 등이 발생된 경우 해당 온도센서(41)의 온도 측정의 신뢰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온도측정부(40) 전체의 측정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특정 온도센서(41)와 다른 온도센서(41)의 온도차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해당 온도센서(41)의 수명이 다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작업자는 이상알림부(48)의 알림 신호를 토대로 이러한 해당 온도센서(41)의 수리, 교체 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테이블(1)에 의하면, 테이블부(10)와 용접대상물(2)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20)를 이용해 별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용접대상물(2)을 정위치, 정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지하던 기존의 경우와 비교해 용접대상물(2)의 배치에 소요되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배치과정에서 오차가 발생된 소지를 보다 낮춤으로써 용접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테이블부(10)에 안착된 용접대상물(2)을 예열하는 착탈예열부(30)와, 용접대상물(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40)를 이용해 용접대상물(2)을 목적한 온도 범위로 신뢰성있게 예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토치 등을 이용해 직접 예열하고, 온도측정장치를 임의의 지점에 직접 접촉시켜 온도를 측정하던 기존의 경우와 비교해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예열 온도의 편차, 온도 측정의 편차 발생 소지를 보다 낮춤으로써 용접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용접테이블 2 : 용접대상물
10 : 테이블부 20 : 레이저조사부
21 : 제1레이저부 22 : 제2레이저부
23 : 광방향이동부 24 : 광위치이동부
25 : 레이저제어부 30 : 착탈예열부
30A : 제1착탈예열부 30B : 제2착탈예열부
31 : 예열판부 32 : 열선
33 : 힌지부 34 : 예열판이동부
39 : 예열제어부 40 : 온도측정부
41 : 온도센서 42 : 탄성부재
43 : 보호덮개 44 : 제어표시부
45 : 센서구분부 46 : 온도산출부
47 : 온도표시부 48 : 이상알림부

Claims (7)

  1.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와 상기 용접대상물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테이블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에 안착된 상기 용접대상물을 예열하는 착탈예열부; 및
    상기 테이블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접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조사부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1레이저부;
    y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2레이저부;
    상기 제1레이저부와 상기 제2레이저부를 상기 x방향, 상기 y방향과 직교되는 z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방향이동부;
    상기 광방향이동부를 상기 x방향 또는 상기 y방향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광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레이저부와 상기 제2레이저부를 온오프제어하고,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광방향이동부와 상기 광위치이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이저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테이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예열부는,
    상기 테이블부와 접하고, 열선이 배치되는 예열판부;
    상기 예열판부를 상기 테이블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예열판부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예열판부를 상기 테이블부에 착탈시키는 예열판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테이블.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예열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착탈예열부;
    상기 테이블부의 타측부에 제1착탈예열부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2착탈예열부; 및
    상기 제1착탈예열부와 상기 제2착탈예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예열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테이블.
  5.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와 상기 용접대상물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테이블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에 안착된 상기 용접대상물을 예열하는 착탈예열부; 및
    상기 테이블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접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예열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착탈예열부;
    상기 테이블부의 타측부에 제1착탈예열부와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2착탈예열부; 및
    상기 제1착탈예열부와 상기 제2착탈예열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용접 진행 속도와 용접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착탈예열부와 상기 제2착탈예열부를 순차적으로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예열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테이블.
  6. 용접대상물이 안착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와 상기 용접대상물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테이블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에 안착된 상기 용접대상물을 예열하는 착탈예열부; 및
    상기 테이블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접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측정부는,
    상기 테이블부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를 상기 용접대상물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링하며 상기 테이블부에 결합되는 보호덮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상기 용접대상물의 예열온도를 표시하는 제어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표시부는,
    복수개의 상기 온도센서 중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는 것과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지 않는 것을 구분하는 센서구분부;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는 것으로 구분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값의 평균을 산출하는 온도산출부;
    상기 온도산출부에서 산출된 온도값을 표시하는 온도표시부; 및
    상기 용접대상물과 접하는 것으로 구분된 상기 온도센서 간의 온도차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이상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테이블.
KR1020180114844A 2018-09-27 2018-09-27 용접테이블 KR10211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44A KR102110678B1 (ko) 2018-09-27 2018-09-27 용접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844A KR102110678B1 (ko) 2018-09-27 2018-09-27 용접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602A KR20200035602A (ko) 2020-04-06
KR102110678B1 true KR102110678B1 (ko) 2020-05-13

Family

ID=7028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844A KR102110678B1 (ko) 2018-09-27 2018-09-27 용접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6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221A (ja) 1999-08-11 2001-02-20 Star Engineering Co Ltd 微小対象用半田付け装置
JP2010184248A (ja) * 2009-02-10 2010-08-26 Nippon Avionics Co Ltd レーザ溶接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935B1 (ko) * 2009-09-28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용접용 작업대
KR101392450B1 (ko) * 2012-08-24 2014-05-07 동국제강주식회사 용접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용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221A (ja) 1999-08-11 2001-02-20 Star Engineering Co Ltd 微小対象用半田付け装置
JP2010184248A (ja) * 2009-02-10 2010-08-26 Nippon Avionics Co Ltd レーザ溶接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602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5764B2 (ja) 溶接監視システム
US8847100B2 (en) Weld cap and tip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654021B2 (en) Autoclave and method for welding thermoplastic composite parts
KR101278543B1 (ko) 스폿용접건의 팁 정렬상태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팁 드레서
CN105408043A (zh) 剪切机
KR102110678B1 (ko) 용접테이블
US20210339343A1 (en) Method for detecting welding defects in arc welding and arc welding system
KR20150074288A (ko) 열차단부재 자동용접장치
KR101298228B1 (ko) 용접팁 드레싱 검사장치
JP2014144468A (ja) 溶接品質保証装置および溶接品質保証方法
KR102359947B1 (ko) 레이저 용접 품질 유지용 복합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JP4448041B2 (ja) 放射温度計の光軸位置決め方法
KR102386984B1 (ko) 로봇을 이용한 자동 용접 시스템
CN115768580A (zh) 为在工件上进行的焊接过程确定焊接参数的方法以及用确定的焊接参数在工件上执行焊接过程的焊接装置
JP2010017846A (ja) 工作機械を校正する装置
KR102008704B1 (ko) 용접 소재의 두께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ES226531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medicion para la comprobacion en linea de la calidad de un cordon de soldadura por rodillos o aplastamiento de chapas unidas entre si.
JP6967276B2 (ja) ブレーク装置
JP6361301B2 (ja) 溶融金属の流量制御用プレート耐火物の損傷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並びに流量制御用プレート耐火物の交換判定方法
JP3938055B2 (ja) シーム溶接の良否判定方法および装置
KR20160053360A (ko) 시임 용접기
JPH09504741A (ja) 溶接機械の監視方法、溶接機械を調節するための本方法の応用ならびに本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101257164B1 (ko)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ES2549174B2 (es) Procedimiento de reemplazo de electrodos y dispositivo de control de una pinza eléctrica para soldadura de chapa de vehículo automóvil
WO2010012783A1 (en) Weld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elding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