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164B1 -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164B1
KR101257164B1 KR1020110028452A KR20110028452A KR101257164B1 KR 101257164 B1 KR101257164 B1 KR 101257164B1 KR 1020110028452 A KR1020110028452 A KR 1020110028452A KR 20110028452 A KR20110028452 A KR 20110028452A KR 101257164 B1 KR101257164 B1 KR 10125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spot
spot welder
specimen
jig devic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551A (ko
Inventor
이창용
신효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1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는 일단이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암(Arm);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연결되는 받침부,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극 홀, 및 상기 받침부 위에 배치되어 저항 점용접을 위한 시편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 및 상기 제2 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JIG APPARATUS FOR RESISTANCE SPOT WELD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항 점용접기에 사용되는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용접(스폿 용접: spot welding)은 전기저항 용접에 속하는 용접 방법으로서, 금속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압력을 주면서 용접하는 방법을 말한다.
점용접은 접합하고자 하는 두 금속을 맞대어 놓고 적당한 기계적 압력을 주면서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저항 열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압력 부위가 접합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용접은 자동차의 차체 조립에 매우 많이 쓰이는 용접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저항 점용접 시 하부 전극의 높이 변화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여 스패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받침부와 고정부재(시편 접촉 부분)를 절연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 중에 흐르는 전류나 용접 후에 잔존하는 전류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눈금을 표시해 놓음으로써, 시편 거치용 받침대 위에 놓이는 시편의 정확한 위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접점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는 일단이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암(Arm);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연결되는 받침부,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극 홀, 및 상기 받침부 위에 배치되어 저항 점용접을 위한 시편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 및 상기 제2 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시편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 홀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그 표면에 가로 및 세로 축의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홀은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의 외경을 고려하여 그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극 홀을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부분이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편을 고정하도록 동작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암의 타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일단이 연결된 제1 및 제2 암을 회전하여,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연결된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전극 홀에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 전극이 상기 전극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편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암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가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홀에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암을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암의 타단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회전하여 상기 하부 전극이 상기 전극 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편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암을 회전하기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저항 점용접 시 하부 전극의 높이 변화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여 스패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받침부와 고정부재(시편 접촉 부분)를 절연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 중에 흐르는 전류나 용접 후에 잔존하는 전류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눈금을 표시해 놓음으로써, 시편 거치용 받침대 위에 놓이는 시편의 정확한 위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접점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눈금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편 거치용 받침대 위에 놓이는 시편을 고정하는 클램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가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연결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기존의 연구용 전기저항 점용접 장비에서는 작업자가 용접 시편을 직접 손으로 잡거나 별도의 지그(Jig)를 제작하여 하부 전극 팁 위에 올려놓고 용접을 실시한다. 이때, 재료의 상태나 용접 시편의 고정 상태에 따라 용접부에서 스패터(용융 비산물)가 발생할 수 있고, 또는 책정 전류값이 과다하게 높은 경우 용접부에서 스패터(용융 비산물)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비산물이 과다할 경우 재료의 손실이 발생하고 용접부 두께 감소가 발생하여 용접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비산물에 의한 작업자의 화상, 주변 물품의 2차 오염, 그로 인한 후 공정 품질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자동차 차체 조립 현장에서는 저항 점용접 공정이 산업용 로봇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현장에 가까이 있지 않은 환경을 제공하나, 연구용 점용접기의 경우 작업자가 가까이 있는 상태에서 공정이 진행되므로 스패터로부터의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연구용 저항 점용접장치는 하부 전극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전극의 이동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진다. 이때, 반복된 용접에 의해 하부전극의 높이가 낮아질 경우 전극과 시편 간에 간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상황에서 용접이 이뤄질 경우 스패터 발생이 용이해져서 용접 조건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잡지 않고, 시편의 높이 제어가 가능한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100)는 제1 및 제2 암(Arm)(110, 120),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 및 지지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암(110)은 그 일단이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도 7의 "710"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암(11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체결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110)은 상기 제1 체결핀(111)을 통해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는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가 연결된다.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 역시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연결핀(11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110)은 상기 제1 연결핀(112)을 통해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120)은 그 일단이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암(120)의 일단에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체결핀(121)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암(120)은 상기 제2 체결핀(121)을 통해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120)의 타단에는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는 시편을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는 받침부(131), 전극 홀(132) 및 고정부재(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31)는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의 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그 위에는 저항 점용접 대상인 시편이 놓이게 된다.
이러한 받침부(131)는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즉, 상기 받침부(131)는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구비된 제1 연결핀(112)을 통해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31)는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구비된 제1 연결핀(112)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높낮이 조절 기능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131)는 상기 제1 연결핀(112)의 높낮이 조절 기능을 통해, 상기 제1 암(110)의 타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항 점용접 시 하부 전극의 높이 변화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여 스패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부(131)는 용접 중에 흐르는 전류나 용접 후에 잔존하는 전류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전류가 흐르지 않는 비전도성 물질인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31)의 표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홀(132)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가로 축 및 세로 축의 눈금(510)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로 축 및 세로 축 각각의 눈금(510)이 밀리미터(mm) 단위로 250mm, 60mm까지 상기 받침부(131)의 표면에 표시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기 가로 축 및 세로 축의 눈금(510)을 통해 상기 받침부(131) 위에 놓이는 시편의 정확한 위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접점의 정확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눈금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전극 홀(132)은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받침부(1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홀(132)은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의 외경을 고려하여 그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 홀(132)의 직경을 20mm로 구현한다.
상기 고정부재(133)는 상기 받침부(131) 위에 배치되어 저항 점용접을 위한 시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10)의 조작에 의해 고정봉(620)이 시편을 눌러서 고정하도록 동작하는 클램프(60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3)의 일례인 클램프(600)는 상기 전극 홀(132)을 중심으로 4개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클램프(600)가 사용되지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600)는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부분, 즉 상기 고정봉(620)이 전류가 흐르지 않는 비전도성 물질인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시편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할 때, 용접 중에 흐르는 전류나 용접 후에 잔존하는 전류의 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600)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그 구성 및 구동 메커니즘이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편 거치용 받침대 위에 놓이는 시편을 고정하는 클램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제2 암(120)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제2 암(120)의 타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14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140)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14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가 상기 지지대(140) 위에 안정감 있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가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연결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100)는 저항 점용접기(700)의 동체(71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100)의 제1 및 제2 암이 상기 저항 점용접기(700)의 동체(710) 측면에 연결됨으로써, 기존과 같이 작업자가 직접 지그 장치를 손으로 잡을 필요가 없어 용접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의 고정부재(133)를 이용하여 시편(910)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의 받침부(131) 위에 상기 시편(910)을 올려놓은 후, 상기 고정부재(133)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910)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820)에서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일단이 연결된 제1 및 제2 암(110, 120)을 회전하여, 도 10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암(110, 120)이 대략적으로 평행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830)에서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를 회전하여, 도 11과 같이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101)이 상기 전극 홀(132)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840)에서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 전극(101)이 상기 전극 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편(910)에 접촉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단계(850)에서 상기 제2 암(120)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대(1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130)가 상기 지지대(140)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저항 점용접 시 하부 전극의 높이 변화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여 스패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받침부와 고정부재(시편 접촉 부분)를 절연체로 형성함으로써, 용접 중에 흐르는 전류나 용접 후에 잔존하는 전류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눈금을 표시해 놓음으로써, 시편 거치용 받침대 위에 놓이는 시편의 정확한 위치를 가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접점의 정확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하부 전극
110: 제1 암
111: 제1 체결핀
112: 제1 연결핀
120: 제2 암
121: 제2 연결핀
130: 시편 거치용 받침대
131: 받침부
132: 전극 홀
133: 고정부재
140: 지지대

Claims (14)

  1. 일단이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암(Arm);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연결되는 받침부,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삽입되도록 상기 받침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극 홀, 및 상기 받침부 위에 배치되어 저항 점용접을 위한 시편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시편 거치용 받침대; 및
    상기 제2 암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받침부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시편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 홀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그 표면에 가로 및 세로 축의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은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의 외경을 고려하여 그 직경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극 홀을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부분이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편을 고정하도록 동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암의 타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
  11. 저항 점용접기의 동체에 일단이 연결된 제1 및 제2 암을 회전하여, 상기 제1 암의 타단에 연결된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전극 홀에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하부 전극이 상기 전극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편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암의 타단에 형성된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가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홀에 상기 저항 점용접기의 하부 전극이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암을 회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암의 타단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를 회전하여 상기 하부 전극이 상기 전극 홀에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을 상기 시편 거치용 받침대에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암을 회전하기 전이나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점용접기용 지그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10028452A 2011-03-29 2011-03-29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KR10125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52A KR101257164B1 (ko) 2011-03-29 2011-03-29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452A KR101257164B1 (ko) 2011-03-29 2011-03-29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551A KR20120110551A (ko) 2012-10-10
KR101257164B1 true KR101257164B1 (ko) 2013-04-22

Family

ID=4728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452A KR101257164B1 (ko) 2011-03-29 2011-03-29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1985A (zh) * 2018-09-30 2018-12-07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电子点焊实训用防烫损的实训台及其实训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9A (ja) * 1993-06-16 1995-01-06 Nissan Motor Co Ltd 溶接用回転治具
JP2002144050A (ja) * 2000-11-07 2002-05-21 Nissan Motor Co Ltd 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KR100758481B1 (ko) * 2006-08-18 2007-09-12 주식회사 포스코 점 용접부 평가용 시편 제작을 위한 지그장치
KR100852057B1 (ko) * 2007-06-19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험평가용 점용접기의 시편 지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9A (ja) * 1993-06-16 1995-01-06 Nissan Motor Co Ltd 溶接用回転治具
JP2002144050A (ja) * 2000-11-07 2002-05-21 Nissan Motor Co Ltd 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KR100758481B1 (ko) * 2006-08-18 2007-09-12 주식회사 포스코 점 용접부 평가용 시편 제작을 위한 지그장치
KR100852057B1 (ko) * 2007-06-19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험평가용 점용접기의 시편 지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551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0268B1 (en) A method for positioning a welding robot tool
JP5862924B2 (ja) 半導体組立体のボンドを試験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10383A (ko) 용접용 지그
JP2011242393A (ja) 半導体組立体のボンドを試験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GB2460565A (en) Welder and welding method
KR101257164B1 (ko) 저항 점용접기의 지그 장치
EP2994730B1 (en) Rotatable temperature sensing device
US20200398361A1 (en) Welding tool and method of using a welding tool
KR101257198B1 (ko) 십자 인장 시험용 저항 점용접기의 시편 고정 지그 장치
KR101984752B1 (ko) 터빈 블레이드 보수용접을 위한 용접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1756144B1 (ko) 수동 용접기의 모니터링 장치
KR20110046642A (ko) 원주용접 모사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사방법
CN105643076A (zh) 一种高精度定位自动化点焊机
JP2010082674A (ja) ロボットアーク溶接装置およびロボットアーク溶接装置の溶接運転方法
CN207402366U (zh) 一种电梯下梁焊接装置
JP5942192B2 (ja) 抵抗溶接機用電極
NL2022864B1 (en) Method for resistance welding and resistance welding apparatus
JP6985541B1 (ja) 温度計測装置、溶接システム及び溶接システムの取付け方法
JP7339147B2 (ja) アーク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
KR101734058B1 (ko) 진동 스폿 용접용 전극 유닛
JP6354401B2 (ja)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JP5942191B2 (ja) 抵抗溶接機用電極
KR20110108802A (ko) 용접 시편 지그를 구비한 전기저항 점 용접기의 스패터 방지 장치
KR102163328B1 (ko) 고장력강 미그 용접 치구 장치
JP4197263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用電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