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641B1 -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641B1
KR102110641B1 KR1020170180996A KR20170180996A KR102110641B1 KR 102110641 B1 KR102110641 B1 KR 102110641B1 KR 1020170180996 A KR1020170180996 A KR 1020170180996A KR 20170180996 A KR20170180996 A KR 20170180996A KR 102110641 B1 KR102110641 B1 KR 102110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board
healing
port
seawater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068A (ko
Inventor
오민석
임채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6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8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 G05D1/0875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specially adapted to wate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안티 힐링 시스템은, 복수 개의 카고탱크와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으로서, 만재흘수선 아래의 좌우현측 선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선체가 파손되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파손된 선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수가 채워지도록 개방되어, 상기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안티힐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Anti-Heeling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광물이나 액화가스, 컨테이너 등 다양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해상을 운항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이러한 선박은 일반 상선이라고 지칭되며, 일례로 벌크선, 광물운반선, 원유운반선, LPG운반선, LNG운반선, 컨테이너선, 자동차운반선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달리 해양에 부유하는 것은 선박과 동일하나 화물의 운송 외의 목적을 갖는 해양구조물들이 있으며, 일례로 해저를 시추하는 시추선(drill ship), 해상에 부유한 상태로 원유를 정제, 저장, 하역하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액화가스를 저장, 기화하는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LNG를 생산, 저장, 하역하는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 LNG-FPSO)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해양구조물들은 일반 상선과 구별하기 위해 해양 구조물로 지칭되며, 해양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해상에 부유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작업을 위한 설비인 탑사이드(Topside)가 탑재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중에는, 광물이나 액화가스 등 다양한 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카고탱크(Cargo Tank)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파도, 중량 변화 등에 의한 외력을 받을 수 있는데, 이들 외력으로부터 해상 부유체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빌지 킬(bilge keel), 핀 안정기(fin stabilizer), 안티 롤링 탱크(anti-rolling tank), 안티 힐링 시스템(anti-heeling system) 등과 같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힐링(heeling)은 해상 부유체의 안정성(stability) 혹은 상부설비(topside) 설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인자이다.
종래 안티 힐링 시스템은 선박의 좌현과 우현에 쌍을 이루는 복수 개의 밸러스트탱크를 구비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 및 펌프를 포함하고 있어, 선박의 하역 또는 선적 도중에 펌프와 배관라인에 의해 물이 어느 한쪽의 밸러스트탱크에서 반대쪽의 밸러스트탱크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선체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안티 힐링 시스템은 제한된 선박 설계 범위 내에서 기존의 펌프만으로 탱크간 물의 이동을 급격하게 수행할 수 없어서, 선체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빙산 등과 같이 바다를 떠다니는 예상치 못한 물체와 충돌하거나, 선박들간의 충돌에 의한 선체가 파손되어 해수가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될 경우에는 기존의 안티 힐링 시스템으로 선체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가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어 선박의 침몰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최근에는 선주가 요구하는 포트 리미테이션(Port limitation)을 만족시키면서 화물 용량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카고탱크를 구획하는 횡격벽을 하나 없앤, 예를 들어 4개의 카고탱크를 구비한 선박에서 횡격벽을 하나 없애 홀 길이가 긴 3개의 카고탱크를 구비하도록 설계변경 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으나, 3개의 카고탱크를 적용한 선박의 경우 4개 또는 그 이상의 카고탱크를 적용한 선박보다 손상 발생 시 힐링이 크게 발생할 수 있어,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damage stability rule; IGC Code에 따라 손상 범위를 가정하고, 손상이 발생할 경우에 힐링 각도가 30도 이상을 초과하면 안 되는 규정)을 만족시키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 및 선주가 요구하는 포트 리미테이션을 만족시키면서 화물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빙산 등과 같이 바다를 떠다니는 예상치 못한 물체와 충돌하거나, 선박들간의 충돌에 의한 선체가 파손되어 해수가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될 경우에도 선체의 기울어짐을 보상하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은, 복수 개의 카고탱크와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으로서, 만재흘수선 아래의 좌우현측 선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선체가 파손되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파손된 선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수가 채워지도록 개방되어, 상기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안티힐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티힐링장치는,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가 설정각도 값을 초과하면 정상 작동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설정각도 값은, 상기 선박의 일반 항해 시 힐링 각도가 10도 내외이고,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에서 힐링 각도가 30도 이상을 초과하면 안 되는 규정을 고려하여,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선체의 힐링 각도가 20도 내지 25도일 때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티힐링장치는, 상기 선체의 자세를 계측하고, 상기 설정각도 값을 송신하는 자세계측기; 상기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연통되도록, 상기 만재흘수선 아래의 상기 좌현측 선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개방되어 해당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우는 좌현안티힐링구조물; 및 상기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연통되도록, 상기 만재흘수선 아래의 상기 우현측 선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좌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개방되어 해당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우는 우현안티힐링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좌현측 선체의 외판에 마련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정상 작동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개방되는 좌현밸브; 및 상기 좌현밸브에 연결되어 해수가 상기 해당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에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좌현공급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우현측 선체의 외판에 마련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좌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정상 작동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개방되는 우현밸브; 및 상기 우현밸브에 연결되어 해수가 상기 해당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우현공급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우현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선체의 힐링 각도가 적어도 20도 내지 25도 또는 그 이상의 힐링 각도에서도 해수에 잠길 수 있는 상기 만재흘수선 아래의 상기 좌현측 선체에 설치되고, 상기 우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좌현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선체의 힐링 각도가 적어도 20도 내지 25도 또는 그 이상의 힐링 각도에서도 해수에 잠길 수 있는 상기 만재흘수선 아래의 상기 우현측 선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선박의 피칭에 의해 선미가 해수면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상기 선미 쪽에 배치되는 좌우현밸러스트탱크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 및 배출하여 흘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상 동작모드로 작동하는 밸러스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팅장치는, 상기 선체가 파손되어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파손된 선체로 해수가 유입되는 해당 밸러스트탱크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파손된 선체의 상기 반대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정상 동작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러스팅장치는,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가 설정각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정상 동작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설정각도 값은, 상기 선박의 일반 항해 시 힐링 각도가 10도 내외이고,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에서 힐링 각도가 30도 이상을 초과하면 안 되는 규정을 고려하여,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선체의 힐링 각도가 15도 내지 20도일 때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러스팅장치는, 좌현펌프 및 우현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밸러스트펌프; 메인파이프, 좌현파이프 및 우현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밸러스트펌프를 연결하는 밸러스트파이프; 상기 밸러스트펌프의 작동에 의해 해수를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로 유입하는 해수유입부; 및 상기 밸러스트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해수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 동작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좌우현펌프 중에서 하나는 상기 파손된 선체로 해수가 유입되는 해당 밸러스트탱크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좌우현펌프 중에서 다른 하나는 상기 파손된 선체의 상기 반대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에 기재된 안티 힐링 시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카고탱크가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제1카고탱크, 제2카고탱크, 제3카고탱크 순으로 배치되는 3-탱크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은,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빙산 등과 같이 바다를 떠다니는 예상치 못한 물체와 충돌하거나, 선박들간의 충돌에 의한 선체가 파손되어 해수가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될 경우, 파손된 선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울 수 있는 안티힐링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선체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어, 선박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고,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 및 선주가 요구하는 포트 리미테이션을 만족시키면서 화물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은, 파손된 선체측의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되는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파손된 선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울 수 있도록 밸러스팅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안티힐링장치와 함께 선체의 기울어짐을 더욱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선박의 선체 일부가 파손된 경우 안티 힐링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선박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선박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선박의 선체 일부가 파손된 경우 안티 힐링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선박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선박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티 힐링 시스템(10)은, 선체(2)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해 선박(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밸러스팅장치(100), 안티힐링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1)은,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기지에서 인수기지까지 운반하는 LPG운반선 또는 LNG운반선일 수 있다.
이러한 선박(1)은, 횡격벽(8)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카고탱크(7), 일례로서 3개의 카고탱크(7a, 7b, 7c)가 선체(2)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3개의 카고탱크(7a, 7b, 7c)는, 선수(3)로부터 선미(4) 방향으로 제1카고탱크(7a), 제2카고탱크(7b), 제3카고탱크(7c)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안티 힐링 시스템(10)이 3개의 카고탱크(7a, 7b, 7c)가 구비되는 선박(1)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이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카고탱크(7a, 7b, 7c)를 적용할 경우 손상 발생 시 힐링이 크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본 발명의 안티 힐링 시스템(10)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일 뿐,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4개 또는 그 이상의 카고탱크가 구비되는 어떠한 선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선박(1)은 상기한 바와 같이, LPG운반선 또는 LNG운반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해상을 운항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상선이나, 해양에 부유하여 화물의 운송 외의 목적을 갖는 해양구조물 등, 안티 힐링을 필요로 하는 모든 상선 또는 모든 해양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임을 알려둔다.
밸러스팅장치(100)는,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우고 비움으로써 선체(2)의 경사도를 바로 잡고 복원력을 증가시켜 흘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고유의 기능으로 작동(정상 동작모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고탱크(7a, 7b, 7c)에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빙산 등과 같이 바다를 떠다니는 예상치 못한 물체와 충돌하거나, 선박들간의 충돌에 의한 선체(2)가 파손되어 해수가 선박(1) 내부로 유입되면서 기울어짐이 발생되는 경우에 선체(2)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안티힐링 동작모드)될 수 있으며, 밸러스트탱크(110), 밸러스트펌프(120), 밸러스트파이프(130), 해수유입부(140), 해수배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팅장치(100)는, 힐링 각도(heeling angle)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예를 들어, 일반 항해 시 선박(1)의 힐링 각도 10도 내외이고,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에서 힐링 각도가 30도 이상을 초과하면 안 되는 규정을 고려하여, 좌현(5) 또는 우현(6)으로 기울어지는 선체(2)의 힐링 각도가 15도 내지 20도일 때를 설정각도 값으로 정하고, 설정각도 값인 15도 내지 20도를 초과할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정상 동작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밸러스팅장치(100)는, 안티힐링 동작모드에서 힐링 각도가 예를 들어 10도 정도가 되면 선체(2)의 기울어짐이 보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상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힐링 각도 또는 설정각도 값은 후술할 자세계측기(2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밸러스트탱크(110)는, 선체(2)의 좌현(5)과 우현(6)에 쌍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선수(3)로부터 선미(4) 방향으로 좌현(5)에 제1좌현밸러스트탱크(111a), 제2좌현밸러스트탱크(112a), 제3좌현밸러스트탱크(113a) 순으로 배치되고, 우현(6)에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제2우현밸러스트탱크(112b), 제3우현밸러스트탱크(113b)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와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는 파이프덕트(131)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또는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는 횡격벽(8)에 의해 전후로 구획될 수 있으며, 카고탱크(7a, 7b, 7c)에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는 만재흘수선(9)을 유지하도록 내부에 해수가 일정량만 채워져 있다.
밸러스트펌프(120)는, 후술할 해수유입부(140) 또는 후술할 해수배출부(150)를 통해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111b, 112b, 113b)에 선택적으로 해수를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선미(4) 부분에 마련되는 펌프룸(121)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좌현펌프(122), 우현펌프(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현펌프(122)는,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에 해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우현펌프(123)는,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에 해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좌현펌프(122)와 우현펌프(123)는, 선체(2)의 경사도를 바로 잡고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흘수를 조정하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때는 해수를 채우고 비울 수 있도록 정상적으로 작동하다가, 카고탱크(7a, 7b, 7c)에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선체(2)가 파손되어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선체(2)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하여 선박(1)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상 동작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가 파손되어 선체파손부(HD)를 통해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내부로 해수가 유입에 있는 경우, 선체(2)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해, 좌현펌프(122)는 후술할 밸러스트파이프(130)와 후술할 해수유입부(140)를 통해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내부로 해수가 공급되도록 작동되고, 우현펌프(123)는 후술할 밸러스트파이프(130)와 후술할 해수배출부(150)를 통해 선체파손부(HD)가 발생된 해당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내부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충돌이 심할 경우 선체(2)의 파손만 아니라 주변 횡격벽(8)도 파손되어 횡격벽파손부(BD)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체파손부(HD)를 통해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로 유입된 해수가 횡격벽파손부(BD)를 통해 이웃하는 제2우현밸러스트탱크(112b)에도 유입되어 힐링이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우현펌프(123)는 후술할 밸러스트파이프(130)와 후술할 해수배출부(150)를 통해 선체파손부(HD)가 발생된 해당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뿐만 아니라 횡격벽파손부(BD)가 발생된 해당 제2우현밸러스트탱크(112b) 내부의 해수도 외부로 배출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우현(6)의 선체(2)가 파손된 경우, 우현펌프(123)는 해수배출모드로 작동되고, 좌현펌프(122)는 해수공급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좌현(5)의 선체(2)가 파손된 경우, 좌현펌프(122)는 해수배출모드로 작동되고, 우현펌프(123)는 해수공급모드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밸러스트펌프(120)의 안티힐링 동작모드로도 선체(2)의 기울어짐이 보상되지 않고 계속 기울어질 경우 후술할 안티힐링장치(200)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어 선체(2)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밸러스트파이프(130)는, 해수의 공급 또는 배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탱크(110)와 밸러스트펌프(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메인파이프(132), 좌현파이프(133a, 133b, 133c),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파이프(132)는, 일단이 밸러스트펌프(120)의 좌우현펌프(122, 123)에 연결되며, 펌프룸(121)으로부터 선수(3) 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파이프덕트(13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좌현파이프(133a, 133b, 133c)는, 메인파이프(132)에서 분지되어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각각의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좌현밸러스트탱크(111a)에 연결되는 제1좌현파이프(133a), 제2좌현밸러스트탱크(112a)에 연결되는 제2좌현파이프(133b), 제3좌현밸러스트탱크(113a)에 연결되는 제3좌현파이프(133c)로 구분될 수 있다.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는, 메인파이프(132)에서 분지되어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 각각의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에 연결되는 제1우현파이프(134a), 제2우현밸러스트탱크(112b)에 연결되는 제2우현파이프(134b), 제3우현밸러스트탱크(113b)에 연결되는 제3우현파이프(134c)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한 메인파이프(132), 좌현파이프(133a, 133b, 133c),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 각각은, 복수 개의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어 유로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으며, 좌현펌프(122)와 우현펌프(123)와 함께 선체(2)의 경사도를 바로 잡고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흘수를 조정하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때는 해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도록 정상적으로 작동하다가, 카고탱크(7a, 7b, 7c)에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선체(2)가 파손될 경우에는 선체(2)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하여 선박(1)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상 동작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2)가 파손되어 선체파손부(HD)를 통해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내부로 해수가 유입에 있는 경우, 선체(2)의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해, 복수 개의 좌현파이프(133a, 133b, 133c)는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내부로 해수가 공급되도록 개방되고, 복수 개의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는 선체파손부(HD)가 발생된 해당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내부의 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우현파이프(134a)가 개방되고, 나머지 제2 내지 제3우현파이프(134b, 134c)가 폐쇄될 수 있다.
충돌이 심할 경우 선체(2)의 파손만 아니라 주변 횡격벽(8)도 파손되어 횡격벽파손부(BD)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체파손부(HD)를 통해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로 유입된 해수가 횡격벽파손부(BD)를 통해 이웃하는 제2우현밸러스트탱크(112b)에도 유입되어 힐링이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는 선체파손부(HD)가 발생된 해당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뿐만 아니라 횡격벽파손부(BD)가 발생된 해당 제2우현밸러스트탱크(112b) 내부의 해수도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우현파이프(134a)는 물론 제2우현파이프(134b)도 개방될 수 있다.
즉, 우현(6)의 선체(2)가 파손된 경우, 복수 개의 좌현파이프(133a, 133b, 133c)는 해수공급모드로 작동되고, 복수 개의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는 파손된 밸러스트탱크에 해당되는 우현파이프만 해수배출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좌현(5)의 선체(2)가 파손된 경우, 복수 개의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는 해수공급모드로 작동되고, 복수 개의 좌현파이프(133a, 133b, 133c)는 파손된 밸러스트탱크에 해당되는 좌현파이프만 해수배출모드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우현(6)의 선체(2)가 파손된 경우, 복수 개의 좌현파이프(133a, 133b, 133c)는 해수공급모드로 작동되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중에서 선미(4) 쪽에 배치된 제3좌현밸러스트탱크(113a) 내부로 해수가 우선적으로 공급되도록 제3좌현파이프(133c)가 우선 개방되고, 이어서 제2좌현밸러스트탱크(112a), 제1좌현밸러스트탱크(111a) 순서로 해수가 공급되도록 제2좌현파이프(133b), 제1좌현파이프(133a) 순서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좌현(5)의 선체(2)가 파손된 경우, 복수 개의 우현파이프(134a, 134b, 134c)는 해수공급모드로 작동되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 중에서 선미(4) 쪽에 배치된 제3우현밸러스트탱크(113b) 내부로 해수가 우선적으로 공급되도록 제3우현파이프(134c)가 우선 개방되고, 이어서 제2우현밸러스트탱크(112b), 제1우현밸러스트탱크(111b) 순서로 해수가 공급되도록 제2우현파이프(134b), 제1우현파이프(134a) 순서로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선박(1)의 피칭(pitching)에 의해 선미(4)가 해수면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해수유입부(140)는, 밸러스트펌프(120)의 작동으로 선박(1)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끌어들여 밸러스트탱크(1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좌현유입부(141), 우현유입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좌현유입부(141)는, 좌현펌프(122)의 작동으로 선박(1)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끌어들여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제1유입구(141a)와, 일단이 좌현펌프(1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유입구(141a)에 연결되는 제1유입관(14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현유입부(142)는, 우현펌프(123)의 작동으로 선박(1)의 외부로부터 해수를 끌어들여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제2유입구(142a)와, 일단이 우현펌프(12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유입구(142a)에 연결되는 제2유입관(14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유입구(141a)와 제2유입구(142a)는, 해수 유입 시 해수에 포함된 어패류나 다른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씨체스트일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관(141b)과 제2유입관(142b)은, 서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거나,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해수배출부(150)는, 밸러스트펌프(120)의 작동으로 밸러스트탱크(110)의 해수를 선박(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좌현배출부(151), 우현배출부(152)로 구성될 수 있다.
좌현배출부(151)는, 좌현펌프(122)의 작동으로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의 해수를 선박(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제1배출구(151a)와, 일단이 좌현펌프(1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배출구(151a)에 연결되는 제1배출관(15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현배출부(152)는, 우현펌프(123)의 작동으로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의 해수를 선박(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제2배출구(152a)와, 일단이 우현펌프(12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배출구(152a)에 연결되는 제2배출관(15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배출관(151b)과 제2배출관(152b)은, 서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거나,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안티힐링장치(200)는, 선박(1)의 카고탱크(7a, 7b, 7c)에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빙산 등과 같이 바다를 떠다니는 예상치 못한 물체와 충돌하거나, 선박들간의 충돌에 의해 선체(2)가 파손되어 좌현()5) 또는 우현(6)으로 설정각도 값을 초과하여 기울어지면, 선체(2)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하도록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안티힐링 동작모드)되어 파손된 선체(2)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울 수 있으며, 자세계측기(210),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티힐링장치()는, 선박(1)이 정상적으로 운항할 때에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정상 동작모드).
자세계측기(210)는, 선체(2)의 자세를 계측하여 설정각도 값을 송신할 수 있으며, 후술할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 또는 후술할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이 정상 작동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밸러스팅장치(100)가 정상 작동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세계측기(210)는, 선체(2)의 횡동요 각을 측정하는 센서와 선체(2)의 횡동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과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1)에 선교 등 힐링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선박(1)에 구비되는 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은,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연통되도록, 만재흘수선(9) 아래의 좌현측 선체(2)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자세계측기(210)로부터 우현(6)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개방되어 해당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울 수 있다.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은, 좌현측 선체(2)의 외판에 일체로 마련되며, 자세계측기(210)로부터 우현(6)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정상 작동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개방되는 좌현밸브(221)와, 좌현밸브(221)에 연결되어 해수가 해당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에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좌현공급관(2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좌현밸브(221)는, 해수와 접촉되는 입구부가 선체(2)의 외판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됨이 없이 외판과 수평 연장선상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은, 힐링 각도(heeling angle)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예를 들어, 선박(1)의 일반 항해 시 힐링 각도가 10도 내외이고,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에서 힐링 각도가 30도 이상을 초과하면 안 되는 규정을 고려하여, 우현(6)으로 기울어지는 선체(2)의 힐링 각도가 20도 내지 25도일 때를 설정각도 값으로 정하고, 설정각도 값인 20도 내지 25도를 초과할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좌현밸브(221)가 개방되어 좌현공급관(222)을 통해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해수로 채울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은, 우현(6)으로 기울어지는 선체(2)의 힐링 각도가 적어도 20도 내지 25도 또는 그 이상의 힐링 각도에서도 해수에 잠길 수 있는 만재흘수선(9) 아래의 좌현측 선체(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은,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수를 채울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지만, 선박(1)의 피칭(pitching)에 의해 선미(4)가 해수면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 중에서 적어도 선미(4) 쪽에 배치되는 제3좌현밸러스트탱크(113a)에는 반드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좌현안티힐링구조물(22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밀문이 구비되는 수밀탱크를 포함하고, 이 경우 좌현밸브(221)는 수밀탱크와 좌현측 밸러스트탱크(111a, 112a, 113a)를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밀문은 선체(2)의 외판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됨이 없이 외판과 수평 연장선상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안티힐링 동작모드 시 개방될 수 있다.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은,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연통되도록, 만재흘수선(9) 아래의 우현측 선체(2)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자세계측기(210)로부터 좌현(5)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개방되어 해당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울 수 있다.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은, 우현측 선체(2)의 외판에 일체로 마련되며, 자세계측기(210)로부터 좌현(5)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정상 작동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개방되는 우현밸브(231)와, 우현밸브(231)에 연결되어 해수가 해당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우현공급관(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우현밸브(231)는, 해수와 접촉되는 입구부가 선체(2)의 외판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됨이 없이 외판과 수평 연장선상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은, 힐링 각도(heeling angle)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예를 들어, 선박(1)의 일반 항해 시 힐링 각도가 10도 내외이고,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에서 힐링 각도가 30도 이상을 초과하면 안 되는 규정을 고려하여, 좌현(5)으로 기울어지는 선체(2)의 힐링 각도가 20도 내지 25도일 때를 설정각도 값으로 정하고, 설정각도 값인 20도 내지 25도를 초과할 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우현밸브(231)가 개방되어 우현공급관(232)을 통해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해수로 채울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은, 좌현(5)으로 기울어지는 선체(2)의 힐링 각도가 적어도 20도 내지 25도 또는 그 이상의 힐링 각도에서도 해수에 잠길 수 있는 만재흘수선(9) 아래의 우현측 선체(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은,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수를 채울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지만, 선박(1)의 피칭(pitching)에 의해 선미(4)가 해수면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 중에서 적어도 선미(4) 쪽에 배치되는 제3우현밸러스트탱크(113b)에는 반드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우현안티힐링구조물(23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밀문이 구비되는 수밀탱크를 포함하고, 이 경우 우현밸브(231)는 수밀탱크와 우현측 밸러스트탱크(111b 112b 113b)를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밀문은 선체(2)의 외판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됨이 없이 외판과 수평 연장선상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안티힐링 동작모드 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화물을 싣고 대양을 운항하는 중에 빙산 등과 같이 바다를 떠다니는 예상치 못한 물체와 충돌하거나, 선박들간의 충돌에 의한 선체(2)가 파손되어 해수가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될 경우, 파손된 선체(2)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울 수 있는 안티힐링장치(200)를 설치함으로써, 선체(2)의 기울어짐을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어, 선박(1)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고, IGC Code에 따른 손상복원규정 및 선주가 요구하는 포트 리미테이션을 만족시키면서 화물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파손된 선체측의 밸러스트탱크로 유입되는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파손된 선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울 수 있도록 밸러스팅장치(100)를 구성함으로써, 안티힐링장치(200)와 함께 선체의 기울어짐을 더욱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선박
2: 선체
3: 선수
4: 선미
5: 좌현
6: 우현
7: 카고탱크
7a: 제1카고탱크
7b: 제2카고탱크
7c: 제3카고탱크
8: 횡격벽
9: 만재흘수선
10: 안티 힐링 시스템
100: 밸러스팅장치 110: 밸러스트탱크
111a: 제1좌현밸러스트탱크 112a: 제2좌현밸러스트탱크
113a: 제3좌현밸러스트탱크 111b: 제1우현밸러스트탱크
112b: 제2우현밸러스트탱크 113b: 제3우현밸러스트탱크
120: 밸러스트펌프 121: 펌프룸
122: 좌현펌프 123: 우현펌프
130: 밸러스트파이프 131: 파이프덕트
132: 메인파이프 133a: 제1좌현파이프
133b: 제2좌현파이프 133c: 제3좌현파이프
134a: 제1우현파이프 134b: 제2우현파이프
134c: 제3우현파이프 140: 해수유입부
141: 좌현유입부 141a: 제1유입구
141b: 제1유입관 142: 우현유입부
142a: 제2유입구 142b: 제2유입관
150: 해수배출부 151: 좌현배출부
151a: 제1배출구 151b: 제1배출관
152: 우현배출부 152a: 제2배출구
152b: 제2배출관 200: 안티힐링장치
210: 자세계측기 220: 좌현안티힐링구조물
221: 좌현밸브 222: 좌현공급관
230: 우현안티힐링구조물 231: 우현밸브
232: 우현공급관
HD: 선체파손부
BD: 횡격벽파손부

Claims (10)

  1. 복수 개의 카고탱크와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으로서,
    선체가 파손되어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파손된 선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수가 채워지도록 개방되어, 상기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안티힐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티힐링장치는,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가 제1설정각도 값을 초과하면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가 채워지도록 정상 작동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을 초과한 상태에서도 해수에 잠길 수 있는 만재흘수선 아래의 좌현측 선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좌현안티힐링구조물; 및
    상기 좌현으로의 기울기가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을 초과하면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가 채워지도록 정상 작동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을 초과한 상태에서도 해수에 잠길 수 있는 만재흘수선 아래의 우현측 선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우현안티힐링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은,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선체의 힐링 각도가 20도 내지 25도일 때의 값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힐링장치는,
    상기 선체의 자세를 계측하고,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을 송신하는 자세계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복수 개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개방되어 해당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우고,
    상기 우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복수 개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좌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개방되어 해당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좌현측 선체의 외판에 마련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정상 작동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개방되는 좌현밸브; 및
    상기 좌현밸브에 연결되어 해수가 상기 해당 좌현측 밸러스트탱크에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좌현공급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우현측 선체의 외판에 마련되며, 상기 자세계측기로부터 상기 좌현으로의 기울기에 대한 상기 제1설정각도 값이 수신되면 상기 정상 작동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개방되는 우현밸브; 및
    상기 우현밸브에 연결되어 해수가 상기 해당 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우현공급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현안티힐링구조물은,
    상기 선박의 피칭에 의해 선미가 해수면 위로 올라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 중에서 상기 선미 쪽에 배치되는 좌우현밸러스트탱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 및 배출하여 흘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상 동작모드로 작동하는 밸러스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팅장치는,
    상기 선체가 파손되어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파손된 선체로 해수가 유입되는 해당 밸러스트탱크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파손된 선체의 상기 반대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정상 동작모드에서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선박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팅장치는,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의 기울기가 제2설정각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정상 동작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2설정각도 값은,
    상기 좌현 또는 상기 우현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선체의 힐링 각도가 15도 내지 20도일 때의 값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팅장치는,
    좌현펌프 및 우현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밸러스트펌프;
    메인파이프, 좌현파이프 및 우현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와 상기 밸러스트펌프를 연결하는 밸러스트파이프;
    상기 밸러스트펌프의 작동에 의해 해수를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로 유입하는 해수유입부; 및
    상기 밸러스트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좌우현측 밸러스트탱크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해수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 동작모드에서 상기 안티힐링 동작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좌우현펌프 중에서 하나는 상기 파손된 선체로 해수가 유입되는 해당 밸러스트탱크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좌우현펌프 중에서 다른 하나는 상기 파손된 선체의 상기 반대측 밸러스트탱크에 해수를 공급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힐링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안티 힐링 시스템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카고탱크가 선수로부터 선미 방향으로 제1카고탱크, 제2카고탱크, 제3카고탱크 순으로 배치되는 3-탱크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0180996A 2017-12-27 2017-12-27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110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96A KR102110641B1 (ko) 2017-12-27 2017-12-27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96A KR102110641B1 (ko) 2017-12-27 2017-12-27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68A KR20190079068A (ko) 2019-07-05
KR102110641B1 true KR102110641B1 (ko) 2020-05-13

Family

ID=6722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996A KR102110641B1 (ko) 2017-12-27 2017-12-27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932B1 (ko) * 2019-10-29 2021-06-18 정진호 선체 하중 밸런스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584A (ja) * 2006-07-28 2008-02-1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体損傷時の復原性改善方法及び船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908A (ko) * 2015-01-20 2016-07-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이드 스페이스에 데크 탱크를 구비한 엘피지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0584A (ja) * 2006-07-28 2008-02-1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体損傷時の復原性改善方法及び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68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841B2 (en) LNG ship
EP2539222B1 (en) Hydrocarbon processing vessel and method
US9347611B2 (en)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having storage tanks for liquefied gas
US20090218354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for floating marine structure
NO331660B1 (no) Anordning for flytende produksjon av LNG og fremgangsmate for a konvertere et LNG-skip til en slik anordning
AU2017423234B2 (en) Offshore vessel for production and storage of hydrocarbon products
KR102627020B1 (ko) 해수 밸러스트가 없는 운송 선박의 트림을 제어하는 방법
KR102110641B1 (ko) 안티 힐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US6877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fluids in containers
KR20110051855A (ko) 횡동요 저감장치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098625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갖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200473638Y1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101041781B1 (ko)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101686503B1 (ko) 횡동요 저감구조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20000966A (ko) 응축물 저장탱크를 갖는 해양 구조물
KR20120000969A (ko) 터릿용 코퍼댐을 갖는 해양 구조물
KR101180959B1 (ko) 선박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00039479A (ko) 중간적재 가능 탱크를 갖춘 부유식 구조물의 액체화물 하역방법
KR101767549B1 (ko) Flng 및 flng의 밸러스트 수 제어 방법
WO2020075633A1 (ja) 既存船舶の利用方法、浮体式貯留設備の製造方法、浮体式貯留設備
RU2021100007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ифференто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удна без балласта из морской воды
KR101606571B1 (ko) 밸러스트 탱크의 배치구조
KR20210012836A (ko) 해양 구조물
KR20120000965A (ko) Lpg 저장탱크를 갖는 해양 구조물
OA20024A (en) Offshore vessel for production and storage of hydrocarbon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