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781B1 -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781B1
KR101041781B1 KR1020080050840A KR20080050840A KR101041781B1 KR 101041781 B1 KR101041781 B1 KR 101041781B1 KR 1020080050840 A KR1020080050840 A KR 1020080050840A KR 20080050840 A KR20080050840 A KR 20080050840A KR 101041781 B1 KR101041781 B1 KR 10104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horizontal
offshore structure
submersible offshore
horizonta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554A (ko
Inventor
류민철
정준형
김덕수
김철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781B1/ko
Priority to US12/416,337 priority patent/US20090293506A1/en
Publication of KR2009012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781B1/ko
Priority to US13/932,858 priority patent/US93476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2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influenced by the tide or by the movements of the ship, e.g. devices on pont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해상에서 오프로딩(offloading)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슬로싱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컬럼(column) 내에 저장탱크를 설치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수용한 상태로 해상에 계류되어 사용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로서,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과; 상기 복수의 수평 컬럼 상에서 각각의 상기 수평 컬럼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갑판과; 상기 수평 컬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LNG FPSO, LNG FSRU, 수평 컬럼

Description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SEMI-SUBMERSIBLE OCEAN STRUCTURE}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해상에서 오프로딩(offloading)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슬로싱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컬럼(column) 내에 저장탱크를 설치한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최근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천연가스를 액화시키거나 LNG를 재기화시키는 장치들이 탑재된다.
LNG FPSO는, 생산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보관하는 LNG FPSO, LNG FSRU 등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터릿이나 요크 무어링과 같은 일점 계류계에 의해 계류된 채 사용되는 바지선(barge)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바지선의 형태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아 해상의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요동하기 때문에, 부유식 해상 구조물 내에 설치된 저장탱크에서의 슬로싱 현상이 심해지는 한편, 오프로딩(offloading) 시에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인접하여 나란히 위치되는 LNG 운반선과의 상대운동이 커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요동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면,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각종 설비들의 가동을 어렵게 만들거나, 저장탱크 내에 심각한 슬로싱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슬로싱이란, 선박과 같은 부유체가 다양한 해상 상태에서 운동할 때 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 즉 LNG가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슬로싱에 의해 저장탱크의 벽면은 심한 충격을 받게 된다.
특히 이러한 슬로싱 현상은 부분적재시에 더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LNG 운 반선과 같은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저장탱크 내의 적재량을 조절하고 있지만,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경우에는 저장탱크 내의 LNG 적재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부분적재시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력을 그대로 견뎌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저장탱크의 중간에 격벽을 설치하여 저장탱크를 2열로 배치하거나,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독립형 저장탱크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저장탱크의 2열 배치 방법은 저장용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고, 독립형 저장탱크를 사용하는 방법은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LNG를 LNG 운반선에 옮겨 싣거나(LNG FPSO의 경우) LNG 운반선으로부터 LNG를 공급받기(LNG FSRU의 경우) 위해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과 LNG 운반선이 인접하여 나란히 위치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상의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요동하는 바지선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부유식 해상 구조물과 LNG 운반선 사이의 상대운동이 커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column) 내에 저장탱크를 설치함으로써 저장용량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해상 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요동하지 않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수용한 상태로 해상에 계류되어 사용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로서,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과; 상기 복수의 수평 컬럼 상에서 각각의 상기 수평 컬럼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갑판과; 상기 수평 컬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수평 컬럼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저장탱크는 격벽에 의해 하나 이상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수평 컬럼은 원통 형상 및 사각기둥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컬럼의 위쪽에는 상기 상부 갑판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평 컬럼의 아래쪽에는 상기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의 요동을 감소시키고 밸러스트를 맞추기 위한 폰툰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컬럼이 원통 형상을 가질 때, 상기 폰툰은 상부가 상기 수평 컬럼의 외주면에 맞게 원통형으로 절취된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져 상기 폰툰의 바닥 모서리 부분이 상기 수평 컬럼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컬럼은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때, 상기 폰툰은 상기 수평 컬럼의 좌측 및 우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져 상기 폰툰이 상기 수평 컬럼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상기 수평 컬럼에 설치되는 상기 폰툰들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은 LNG FPSO 및 LNG FSRU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수용한 상태로 해상에 계류되어 사용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로서, 내부에 액화가스 저장탱크가 설치된 복수의 컬럼들이 병렬로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컬럼들은 상부 갑판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요동을 감소시키고 밸러스트를 맞추기 위해, 상기 컬럼에는 상기 컬럼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폰툰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 내에 저장탱크를 설치함으로써 저장용량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해상 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요동하지 않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에 의하면,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해상에서 오프로딩(offloading)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슬로싱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오프로딩(offloading) 작업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평 컬럼(column)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평 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10)은,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11)과, 이들 복수의 수평 컬럼(11) 상에서 각각의 수평 컬럼(11)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갑판(13)을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의 수평 컬럼(11)은 원통형이며, 각각의 수평 컬럼(11) 내부에는 LNG를 저장하기 위한 원통형의 저장탱크(15)가 설치된다. 하나의 수평 컬럼(11) 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15)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수평 컬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3개의 저장탱크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저장탱크를 구획하는 격벽으로서는, 종래 LNG 운반선 등에서 선체 내부를 구획하여 선체 내부에 복수의 저장탱크를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공지의 코퍼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수평 컬럼(11)이 병렬로 설치되므로, 종래의 바지선의 형태의 해상 구조물 내에 설치된 저장탱크에 비해 저장탱크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그 때문에 각 저장탱크의 슬로싱 고유주기는 짧아지고 해상 구조물의 운동과의 공진을 회피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수평 컬럼(11) 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15)가 하나인 경우에는 저장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피치나 서지 운동에 의한 슬로싱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때에도 저장탱크(15)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저장탱크의 슬로싱 주기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운동의 공진 주기가 서로 일치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 컬럼(11)의 내부에 저장탱크(15)가 하나만 설치되는 경우에도 해상 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요동하지 않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수평 컬럼(11) 내의 저장탱크(15)는 멤브레인형이나 독립형 등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어떠한 방식의 저장탱크일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로싱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멤브레인형 저장탱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3개의 수평 컬럼(11)이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평 컬럼(11)의 병렬배치 개수는 3개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수평 컬럼(11)은 원통형이므로, 상부 갑판(13)과의 연결을 위해 수평 컬럼(11)의 위쪽에는 연결부재(1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컬럼(11)의 아래쪽에는 해상 구조물의 연직방향 운동(heave)이나 피치(pitch) 현상을 감소시키고 밸러스트(ballast)를 맞추기 위한 폰툰(17)이 설치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폰툰(17)은 상부가 원통형 수평 컬럼(11)의 외주면에 맞게 절취된 삼각형 단면형상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평 컬럼(11)에는 각각 폰툰(17)이 설치되고, 각각의 폰툰(17)은 수평 컬럼(11)의 지름보 다 큰 바닥변 길이를 가져 폰툰(17)의 바닥 모서리 부분이 수평 컬럼(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갑판(13)에는 해상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 설비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설비의 배치나 종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부 갑판(1)에는 해상 구조물의 계류를 위한 터릿(turret)이나 스프레드(spread) 타입의 계류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계류수단의 종류나 설치 위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복수의 수평 컬럼(11)들이 그 상부에서만 상부 갑판(13)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복수의 수평 컬럼(11)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각각의 폰툰(17)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20)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과 마찬가지로,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21)과, 이들 복수의 수평 컬럼(21) 상에서 각각의 수평 컬럼(21)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갑판(23)을 포함한다.
제2 실시형태의 수평 컬럼(21)은 사각 기둥형상을 가진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수평 컬럼(11)과 서로 차이점을 가지며, 이하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이 이루어진다.
각각의 수평 컬럼(21) 내부에는 LNG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25)가 설치되 며, 이 저장탱크(25)의 형상 역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하나의 수평 컬럼(21) 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25)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수평 컬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3개의 저장탱크(25)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컬럼(21) 내의 저장탱크(25)는 멤브레인형이나 독립형 등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어떠한 방식의 저장탱크일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로싱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멤브레인형 저장탱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멤브레인형 저장탱크가 사용될 경우, 사각 기둥 형태의 수평 컬럼(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장탱크(25)에는 상부 및 하부에 슬로싱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부 챔퍼(25a) 및 하부 챔퍼(25b)가 형성되는 것이 슬로싱 하중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부 챔퍼(25a) 및 하부 챔퍼(25b)의 크기 또는 설치 유무는 슬로싱 하중의 평가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평 컬럼(21)의 아래쪽에는 해상 구조물의 연직방향 운동(heave)이나 피치(pitch) 현상을 감소시키고 밸러스트(ballast)를 맞추기 위한 폰툰(27)이 설치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 폰툰(27)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컬럼(21)의 좌측 및 우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의 폰툰(2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수평 컬럼(21)에는 각각 좌우 한쌍의 폰툰(27)이 설치되고, 좌우측 폰툰(27)은 수평 컬럼(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 성된다.
한편, 제2 실시형태의 상부 갑판(23)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상부 갑판(13)과 마찬가지이므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복수의 수평 컬럼(21)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각각의 폰툰(27)이 모두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더욱 큰 폰툰(27)의 내부 용적이 요구될 경우,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컬럼(21)의 하부를 감싸도록 폰툰(28)이 설치되어도 좋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컬럼이 각각 원통형 또는 사각기둥형인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은 그 밖의 다른 형상의 수평 컬럼을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설치되는 저장탱크가 원통형이나 직육면체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제작의 편리함과 비용 등을 감안할 때 구형, 원통형이나 직육면체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내에 포함된 복수의 수평 컬럼들이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되어도 좋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폰툰(17, 27, 28)은, 수평 컬럼(11, 21)의 아래쪽 외부에서 수평 컬럼(11, 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컬럼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달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10, 20)은,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11, 21) 내에 저장탱크(15, 25)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사용되던 바지선 형태의 해상 구조물과는 달리, 길이방향에 비해 폭방향의 치수가 증가하게 된다.
도 2, 도 6 및 도 8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수평 컬럼(11, 21)은 하단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상단이 해수면 위에 위치하여 부분적으로 해수면 아래에 잠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 컬럼의 일부만이 해수면 아래에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해상 구조물(10, 20)은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11, 21) 내에 저장탱크(15, 25)를 설치함으로써, 해상 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요동하지 않아 안정적이며, 슬로싱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 갑판(13, 23)의 면적이 넓어질 수 있어, 각종 설비 등의 배치 및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상 구조물(10, 20)은 슬로싱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LNG 저장탱크(15, 25)의 저장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저장탱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상 구조물(10, 20)은 해상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 요동이 적으므로, 해상 구조물(10, 20)로부터 LNG 운반선(30)에 LNG를 하역하거나 LNG 운반선(30)으로부터 해상 구조물(10, 20)에 LNG를 선적하는 오프로딩 작업시 LNG 운반선과의 사이에서 상대 운동이 감소되어 작업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오프로딩(offloading) 작업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평 컬럼(column)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평 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11, 21 : 수평 컬럼
11a : 연결부재 13, 23 : 상부 갑판
15, 25 : 저장탱크 17, 27, 28 : 폰툰
25a : 상부 챔퍼 25b : 하부 챔퍼
30 : LNG 운반선

Claims (11)

  1. 액화가스를 수용한 상태로 해상에 계류되어 사용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10, 20)로서,
    해수면에 수평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 컬럼(11, 21)과;
    상기 복수의 수평 컬럼(11, 21) 상에서 각각의 상기 수평 컬럼(11, 21)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갑판(13, 23)과;
    상기 수평 컬럼(11, 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15, 25)와;
    상기 수평 컬럼(11, 21)의 아래쪽 외부에서 상기 수평 컬럼(11, 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달아 설치되어 상기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의 요동을 감소시키고 밸러스트를 맞추기 위한 폰툰(17, 27, 28); 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컬럼(11, 21)은 하단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상단이 해수면 위에 위치하여 부분적으로 해수면 아래에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컬럼(11, 21)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저장탱크(15, 25)는 격벽에 의해 하나 이상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평 컬럼(11, 21)은 원통 형상 및 사각기둥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컬럼(11)의 위쪽에는 상기 상부 갑판과의 연결을 위해 연결부재(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컬럼(11)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폰툰(17)은 상부가 상기 수평 컬럼(11)의 외주면에 맞게 원통형으로 절취된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져 상기 폰툰(17)의 바닥 모서리 부분이 상기 수평 컬럼(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컬럼(21)은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폰툰(27)은 상기 수평 컬럼(21)의 좌측 및 우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삼각형 단면형상을 가져 상기 폰툰(27)이 상기 수평 컬럼(2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평 컬럼(11, 21)에 설치되는 상기 폰툰(17, 27, 28)들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9. 청구항 1 내지 4 및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은 LNG FPSO 및 LNG FSRU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50840A 2008-05-30 2008-05-30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10104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840A KR101041781B1 (ko) 2008-05-30 2008-05-30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US12/416,337 US20090293506A1 (en) 2008-05-30 2009-04-01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Having Storage Tanks for Liquified Gas
US13/932,858 US9347611B2 (en) 2008-05-30 2013-07-01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having storage tanks for liquefied 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840A KR101041781B1 (ko) 2008-05-30 2008-05-30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554A KR20090124554A (ko) 2009-12-03
KR101041781B1 true KR101041781B1 (ko) 2011-06-17

Family

ID=4168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840A KR101041781B1 (ko) 2008-05-30 2008-05-30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622B1 (ko) 2012-03-22 2012-10-25 강석중 롤링-피칭 감쇠수단을 가진 수상 부유체의 부력관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89B1 (ko) * 2011-03-21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KR102111519B1 (ko) * 2013-08-21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514A (en) 1974-12-24 1977-05-17 Dyckerhoff & Widmann Aktiengesellschaft Liquid storage float formed of steel concrete or prestressed concrete
US5784980A (en) 1995-10-19 1998-07-28 Benefiel; John R. Aquatic platform with anti-roosting system
US6447208B1 (en) * 1999-07-08 2002-09-10 Abb Lummus Global, Inc. Extended base tension leg substructures and method for supporting offshore platforms
US20040202648A1 (en) * 2003-04-04 2004-10-14 Cabezon Teresa Elisa Virgina Silva Vacci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3514A (en) 1974-12-24 1977-05-17 Dyckerhoff & Widmann Aktiengesellschaft Liquid storage float formed of steel concrete or prestressed concrete
US5784980A (en) 1995-10-19 1998-07-28 Benefiel; John R. Aquatic platform with anti-roosting system
US6447208B1 (en) * 1999-07-08 2002-09-10 Abb Lummus Global, Inc. Extended base tension leg substructures and method for supporting offshore platforms
US20040202648A1 (en) * 2003-04-04 2004-10-14 Cabezon Teresa Elisa Virgina Silva Vacc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622B1 (ko) 2012-03-22 2012-10-25 강석중 롤링-피칭 감쇠수단을 가진 수상 부유체의 부력관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554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611B2 (en)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having storage tanks for liquefied gas
KR20120002218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 지지구조
KR101041782B1 (ko) 독립형 lng 저장탱크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098625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갖는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101041781B1 (ko)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101221547B1 (ko) 횡동요 저감장치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US20170320548A1 (en) Lng ship
KR101246904B1 (ko) 액상화물 저장 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12510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164084B1 (ko) 저장탱크의 2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112510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90010775U (ko) 슬로싱 저감수단을 가지는 멤브레인 타입 lng 저장탱크및 상기 lng 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00127470A (ko)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0473638Y1 (ko) 독립형 저장탱크 구조물
KR10112510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686503B1 (ko) 횡동요 저감구조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20000967A (ko) 구획용 코퍼댐을 갖는 해양 구조물
KR10112510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00012663U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복수열 배치 구조
KR10096186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를 가지는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0961864B1 (ko) 슬로싱 저감수단을 가지는 lng 저장탱크 및 상기 lng저장탱크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210915B1 (ko) 2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멤브레인형 lng 저장탱크
KR20120000966A (ko) 응축물 저장탱크를 갖는 해양 구조물
KR20120000969A (ko) 터릿용 코퍼댐을 갖는 해양 구조물
KR101125107B1 (ko)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