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922B1 -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 Google Patents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922B1
KR102109922B1 KR1020190125404A KR20190125404A KR102109922B1 KR 102109922 B1 KR102109922 B1 KR 102109922B1 KR 1020190125404 A KR1020190125404 A KR 1020190125404A KR 20190125404 A KR20190125404 A KR 20190125404A KR 102109922 B1 KR102109922 B1 KR 102109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ter tank
slud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원
정남희
류경진
박광찬
양민우
나경주
Original Assignee
동문이엔티(주)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문이엔티(주),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동문이엔티(주)
Priority to KR102019012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시료의 유속을 안정화하고 버블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이 구비되며, 바닥부에는 오픈시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1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제1 수조 및 일측면이 상기 제1 수조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조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시료를 저류 및 배출하며, 바닥부에는 오픈시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조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에서 상기 개구부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 오픈시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로 수충격을 발생시키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SEWAGE TREATMENT TANK USING WATER SHOCK}
본 발명은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충격을 이용하여 수조 바닥에 쌓인 침전 슬러지 및 부유 물질 청소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수조의 유지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류 수조 장치는 오수, 하수 등의 관거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 또는 하수를 일시 저류하고 조절하여 배출함으로써 하류의 침수를 방지하고 하수처리장의 정화 처리 능력을 증진시킴과 아울러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저류 수조 장치가 오수 또는 하수를 저류하는 동안 저류 수조 장치의 바닥에는 오수 또는 하수와 함께 떠내려온 각종 오염물질이 침전되는데, 이러한 침전 슬러지가 일정 수준 이상 쌓이게 되면, 저류 수조 장치에 마련된 수질측정센서의 정확한 데이터 확보가 어려워지는 등 저류 수조 장치의 기능이 저하되어 이러한 침전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경우, 저류 수조 바닥에 쌓인 침전 슬러지를 전문인력이 직접 버킷을 갖는 장비를 다루어 그 버킷으로 침전 슬러지를 퍼 올리거나 펌프를 갖는 장비를 다루어 침전 슬러지를 흡입하여 퍼 올리거나 직접 호스를 잡고 물을 살수함으로써 침전물을 수세 처리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처리해야 했기 때문에 유지관리 측면에서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침전 슬러지를 청소할 시기가 되었을 때 이를 알려주는 별도의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전문인력이 직접 주기적으로 청소 시기를 챙겨야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이에 따라, 저류 수조 바닥에 쌓인 침전 슬러지를 별도의 전문인력이 없더라도 적절한 시기에 처리할 수 있는 저류 수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9496호 (2007.05.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충격을 이용하여 수조 바닥에 쌓인 침전 슬러지 및 부유 물질 청소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수조의 유지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에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시료의 유속을 안정화하고 버블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이 구비되며, 바닥부에는 오픈시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1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제1 수조 및 일측면이 상기 제1 수조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조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시료를 저류 및 배출하며, 바닥부에는 오픈시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조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에서 상기 개구부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 오픈시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로 수충격을 발생시키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20° 이상 5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시료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 내부의 복수의 격벽 중 상기 개구부에 근접하게 설치된 격벽은 상기 경사부와 틈새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1mm 이상 3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는 곡면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수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는 하향 경사진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수질측정센서의 데이터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유입된 시료 내에 존재하는 버블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유속을 안정화하기 위한 보조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에 쌓인 침전 슬러지의 청소 주기가 입력되면 상기 주기마다 관리자의 단말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자는 상기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를 원격 또는 수동으로 오픈해줌으로써 상기 제1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에 쌓인 침전 슬러지가 수충격에 의해 자동 세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조 바닥부의 경사구조로 인해 수조 내부 바닥에 대한 별도의 청소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밸브 조작만으로 수충격을 발생시켜 수조 세척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조 장치 유지관리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조 내부의 격벽 구조로 인해 제1 수조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을 안정화하고, 오수 내 버블이 제거하여 수질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의 정면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내의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천 슬러지 청소시 오수 처리용 수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의 사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의 정면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1000)는 제1 수조(100) 및 상기 제1 수조(100)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2 수조(200)를 포함한다.
제1 수조(100)는 일측면에 연결된 유입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저류하고, 바닥부에는 침천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1 슬러지 배출부(110)가 구비된다.
제1 슬러지 배출부(110)는 상기 제1 수조(100)의 바닥부에 형성된 제1 배출공(111) 및 상기 제1 배출공(111)과 연결되는 제1 배출 파이프(112)를 통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배출 파이프(112)에는 제1 밸브(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밸브(130)는 평소에 상기 제1 배출 파이프(112)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 수조(100)가 오수를 저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밸브(130)는 바람직하게는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일 수 있다.
이때, 제1 수조(100)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밸브(130) 오픈시 제1 수조(100)의 바닥부에 침전된 슬러지가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1 수조(100)의 내부에는 유입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을 안정화하고 오수 내 존재하는 버블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120)이 구비될 수 있다.
오수 내 버블이 다수 존재하게 되면, 오수의 수질 데이터가 부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이는 오수 처리 장치 자체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격벽(120)은 상기 제1 수조(100)의 내부에서 복수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조(100)로 유입되는 오수는 격벽(120)에 가로 막혀 상기 격벽(120)을 넘어 이동하거나 상기 격벽(12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속이 안정화되며, 그 과정에서 오수 내 버블이 제거된다.
이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수조(200)에 구비된 수질측정센서(300)가 상기 제1 수조(10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수질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수조(200)는 상기 제1 수조(100)의 일측면에 분리벽(30)을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분리벽(30)의 하측에는 상기 제1 수조(100)와 연통되는 개구부(40)가 형성된다.
즉, 제2 수조(200)는 상기 제1 수조(100)와 연통되는 상기 개구부(40)를 통해 상기 제1 수조(10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저류하고, 타측면에 형성된 배출부(20)를 통해 배출한다.
또한, 제2 수조(200)의 바닥부에는 침천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슬러지 배출부(210)가 구비된다.
제2 슬러지 배출부(210)는 상기 제2 수조(200)의 바닥부에 형성된 제2 배출공(211) 및 상기 제2 배출공(211)과 연결되는 제2 배출 파이프(212)를 통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배출 파이프(212)에는 제2 밸브(23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밸브(230)는 평소에 상기 제2 배출 파이프(212)를 닫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2 수조(200)가 오수를 저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밸브(230)는 바람직하게는 모터 밸브(Moterized Valve)일 수 있다.
이때, 제2 수조(200)의 바닥부는 곡면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수조(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러지 배출부(210)는 하향 경사진 상기 제2 수조(200)의 바닥부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밸브(230) 오픈시 제2 수조(200)의 바닥부에 침전된 슬러지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21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1000)는 상기 제2 수조(20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조(100)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오수 수질의 정확한 계측은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오수 처리의 효율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수질측정센서(300)는 상기 제2 수조(200)의 덮개부(240)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240)는 상기 제2 수조(200)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덮개부(240)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덮개부(240)를 관통하여 결합된 수질측정센서(300)도 함께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질측정센서(300)의 내 소모품 또는 소모시약 등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덮개부(240)를 회동시켜 열어 줌으로써 상기 소모품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수질측정센서(300)는 수중에 용존하는 유기탄소의 총량(TOC)을 측정하는 TOC 센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측정하는 COD 센서 등 오수 처리에 필요한 지표를 측정하는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수조(200)는 상기 수질측정센서(300)의 데이터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수조(100)로부터 유입된 오수 내에 존재하는 버블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유속을 안정화하기 위한 보조 격벽(2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보조 격벽(220)은 제2 수조(200) 내부에서 상기 수질측정센서(300)와 상기 제1 수조(100)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수조(100)에서 1차적으로 버블이 제거되고 유속이 안정된 오수를 제2 수조(200)에서 2차적으로 버블을 제거함으로써 수질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1000)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수조(100)와 상기 제2 수조(200)에 쌓인 침전 슬러지의 청소 주기가 입력되면 상기 주기마다 관리자의 단말기와 같은 원격 제어 장치에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관리자는 상기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210)를 오픈해줌으로써 상기 제1 수조(100)와 상기 제2 수조(200)의 바닥부에 쌓인 침전 슬러지가 청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상기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210)에 장착된 제1 밸브(130) 및 제2 밸브(230)를 수동 방식으로 오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오픈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수조(100)와 제2 수조(200)에는 침전 슬러지가 쌓인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슬러지가 쌓인 양에 따라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하고, 제어부(400)는 비주기적으로 알림 신호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1000)를 보다 편리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1000)는 내구성 및 지속성이 향상되어 가동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용 수조 내의 유체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천 슬러지 청소시 오수 처리용 수조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수조(100)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에서 상기 개구부(40)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1000) 바닥에 쌓인 침전 슬러지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 제1 슬러지 배출부(110)와 제2 슬러지 배출부(210)가 오픈되는데, 이 경우 제1 수조(100)의 오수는 개구부(40)와의 높이 차이에 따른 위치 에너지와 유입 흐름(Flow)에 따라 제2 수조(200)를 향해 급격히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수조(100)의 오수가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에서 상기 개구부(40)까지 상향 경사진 경사부(140)를 지나 제2 수조(200)의 바닥부로 향하면서
수충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수조(100)의 바닥부에 쌓인 침전 슬러지가 자동으로 세척될 수 있다.
한편, 경사부(140)의 경사각(θ)은 20° 이상 50° 이하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θ)이 20° 미만인 경우, 오수가 상기 경사부(140)를 지나 상기 제2 수조(200)로 넘어가면서 도달하는 높이가 낮아져 수충격이 약화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각(θ)이 50° 초과인 경우, 경사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제2 수조(200)로 넘어가는 유체 흐름이 느려지고, 이에 따라 수충격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40)는 상기 제2 수조(200)의 바닥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조(100)에서 제2 수조(100)로 유입되는 오수의 낙차가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수충격에 의한 세척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수조(100) 내부의 복수의 격벽(120) 중 상기 개구부(40)에 근접하게 설치된 격벽(121)은 상기 경사부(140)와 틈새(S)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새(S)는 1mm 이상 3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mm 정도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조(100)로 유입되는 오수는 복수의 격벽(120)에 가로 막혀 상기 격벽(120)을 넘어 이동하거나 상기 격벽(12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유속이 안정화되며, 그 과정에서 오수 내 버블이 제거된다. 이때, 상기 틈새(S)가 형성됨으로써 제1 수조(100)에서 상기 개구부(40)를 통해 제2 수조(200)로 유입되는 오수가 최적의 유속을 갖게 됨으로써 제2 수조에서의 수질 측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조 청소시, 제1 슬러지 배출부(110)와 제2 슬러지 배출부(210)가 오픈되는데, 이때 제1 수조(100)의 오수가 제2 수조(200)로 유입되면서 상기 틈새(S)를 지나게 되고 오수는 상기 틈새(S)를 지나면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여 상기 제2 수조(200)로의 수충격 발생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1000)의 세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400)의 세척 신호가 관리자에게 송신되면 관리자는 수동 또는 원격으로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210)에 장착된 제1 밸브(130) 및 제2 밸브(230)를 오픈한다.
이때, 침전 슬러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110)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210)를 통해 배출되며, 배출되지 않고 남은 침전 슬러지는 오수가 상기 제1 수조(100)를 거치면서 발생된 수충격에 의해 처리된다.
한편, 유입관(10)에 형성된 밸브(50)의 오픈 정도에 따라 제1 수조를 거치면서 형성되는 수충격의 발생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밸브(50)가 전부 오픈된 경우(①) 수충격은 제2 수조(100) 바닥의 가장 먼 곳까지 도달하게 되며, 밸브(50)의 오픈 정도를 감소시킴에 따라(①→②→③) 수충격의 도달 범위는 줄어들게 된다.
즉, 수조 내부 바닥에 대한 별도의 청소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밸브(50), 제1 밸브(130) 및 제2 밸브(230)의 조작만으로 수충격을 발생시켜 수조 세척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조 장치 유지관리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10 유입관
20 배출부
30 분리벽
40 개구부
50 밸브
100 제1 수조
110 제1 슬러지 배출부
120 격벽
130 제1 밸브
140 경사부
200 제2 수조
210 제2 슬러지 배출부
220 보조 격벽
230 제2 밸브
240 덮개부
300 수질측정센서
400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 시료의 유속을 안정화하고 버블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이 구비되며, 바닥부에는 오픈시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1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제1 수조; 및
    일측면이 상기 제1 수조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수조와 연통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시료를 저류 및 배출하며, 바닥부에는 오픈시 침전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제2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조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에서 상기 개구부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조 내부의 복수의 격벽 중 상기 개구부에 근접하게 설치된 격벽은 상기 경사부와 틈새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 오픈시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로 수충격을 발생시켜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경사각은 20° 이상 5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시료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1mm 이상 3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는 곡면의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수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는 하향 경사진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수질측정센서의 데이터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수조로부터 유입된 시료 내에 존재하는 버블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유속을 안정화하기 위한 보조 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바닥부는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에 쌓인 침전 슬러지의 청소 주기가 입력되면 상기 주기마다 관리자의 단말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자는 상기 알림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슬러지 배출부와 상기 제2 슬러지 배출부를 원격 또는 수동으로 오픈해줌으로써 상기 제1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의 바닥부에 쌓인 침전 슬러지가 수충격에 의해 자동 세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KR1020190125404A 2019-10-10 2019-10-10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KR102109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404A KR102109922B1 (ko) 2019-10-10 2019-10-10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404A KR102109922B1 (ko) 2019-10-10 2019-10-10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922B1 true KR102109922B1 (ko) 2020-05-12

Family

ID=7067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404A KR102109922B1 (ko) 2019-10-10 2019-10-10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9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96B1 (ko) 2006-07-11 2007-05-1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KR20120024520A (ko) * 2011-12-23 2012-03-14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KR101238726B1 (ko) * 2013-01-16 2013-03-07 (주)파이브텍 슬러지 농도 연속 측정장치를 이용한 상·하수 원방원격 자동감시제어시스템
KR101936181B1 (ko) * 2018-08-28 2019-01-08 (주)경복이엔씨 다단형 가압부상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96B1 (ko) 2006-07-11 2007-05-1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KR20120024520A (ko) * 2011-12-23 2012-03-14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KR101238726B1 (ko) * 2013-01-16 2013-03-07 (주)파이브텍 슬러지 농도 연속 측정장치를 이용한 상·하수 원방원격 자동감시제어시스템
KR101936181B1 (ko) * 2018-08-28 2019-01-08 (주)경복이엔씨 다단형 가압부상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4760B2 (ja) オンライン・アナライザ用の限外濾過システム
US106339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ea separation of produced water
KR100959373B1 (ko)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CN108622997A (zh) 承压式净化装置
KR102109922B1 (ko) 수충격을 이용한 오수 처리용 수조 장치
KR20140094436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KR102154227B1 (ko) 수질 모니터링을 이용한 상수도 수질 관리 장치
US20130134087A1 (en)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19680B1 (ko)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KR20160039854A (ko) 수질 원격 감시 시스템용 시료 채취 장치
JP2009262065A (ja) タンク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KR20040021732A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100647994B1 (ko) 빗물 저장장치
KR102134269B1 (ko) 수질계측기용 수조 자동 청소장치
KR100459981B1 (ko) 실험용 하천수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4893022B2 (ja) 水質計測装置
CN217535529U (zh) 一种油水分离系统
JP2020200817A (ja) 水中ポン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水中ポンプシステム
CN219110906U (zh) 防止含固体粉末的液体堵塞管道的装置和废液处理系统
JP5023485B2 (ja) 水質計測方法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101773174B1 (ko) 유류정화기능을 갖는 유류저장 및 공급시스템
CN219429730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JP4341185B2 (ja) 薬液製造装置
CN114659833A (zh) 污水在线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