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436A - 초기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436A
KR20140094436A KR1020130161056A KR20130161056A KR20140094436A KR 20140094436 A KR20140094436 A KR 20140094436A KR 1020130161056 A KR1020130161056 A KR 1020130161056A KR 20130161056 A KR20130161056 A KR 20130161056A KR 20140094436 A KR20140094436 A KR 20140094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ration
water
partition wal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열
Original Assignee
곽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열 filed Critical 곽병열
Publication of KR2014009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면을 통해 유입되는 협잡물, 침전물, 미세먼지등이 포함된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배제시키고 양질의 우수만을 여과하여 빗물저장조로 수송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를 공급받는 유입구(10)와; 상기 유입구(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협잡물과 우수를 선별하는 제1스크린(20)과; 상기 제1스크린(20)으로부터 협잡물을 공급받고 제2스크린에 의해 잔류수를 선별하는 협잡물분리조(30)와; 상기 제1스크린(20)과 상기 협잡물분리조(30)로부터 우수와 침사를 공급받고 침전에 의해 침사를 선별하는 침사조(40)와; 상기 침사조(4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는 분배조(50)와; 상기 분배조(5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수조로 수송하는 여과조(60)와; 상기 여과조(60)에 수용되는 여과필터(61)와; 상기 협잡물분리조(30)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된 제1격벽(41) 및 상기 제1격벽(41)보다 더 낮게 형성된 제2격벽(51)과; 상기 분배조(50)에 연통되며 초기우수를 배출하는 제1배출구(11)와; 상기 분배조(50)에 수용되며 상단은 상기 제1격벽(41)보다 낮고 상기 제2격벽(51)보다 높게 형성되며 타단은 전동밸브(11-a)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제1배출구(11)에 연통되어 월류수를 배출하는 제3배출구(13)와; 상기 여과조(60)의 우수를 저수조로 수송하는 제2배출구(12)와; 상기 침사조(40)의 침사를 배출하기 위한 제4배출구(14)와; 상기 침사조(40)의 잔류수를 상기 분배조(50)로 수송하는 제1싸이펀관(42)과; 상기 여과조(60)의 잔류수를 상기 분배조(50)로 수송하는 제2싸이펀관(63)과; 상기 협잡물분리조(30)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제1카바(32)와; 상기 여과조(60)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제2카바(67)와; 상기 분배조(50)에 수용되어진 상기 여과필터(61)를 세척하기 위한 회전축(64) 및 전동장치(66)와; 상기 제1배출구(11)에 결합된 전동밸브(11-a)와; 상기 전동밸브(11-a)를 제어하는 콘트롤판넬(70)과; 상기 콘트롤판넬(70)에 초기우수의 양을 송신하는 우량계(80)와; 상기 우량계(80)에 초기우수를 공급하는 계량수조(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초기우수 처리장치 {FIRST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면을 통해 유입되는 협잡물, 침전물, 미세먼지등이 포함된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배제시키고 양질의 우수만을 여과하여 빗물저장조로 수송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이 점차 고갈되어 감에 따라 빗물을 저장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장치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정면적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여 버려지는 빗물을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초기우수는 높은 산성과 협잡물 및 미세먼지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그대로 집수하여 사용할 경우 장비의 수명이나 빗물의 활용도등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초기우수를 배제하거나 처리하여 사용토록 함이 바람직하며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초기우수 5mm를 배제한후 집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강우감지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밸브를 작동시켜 유로를 변경함으로써 초기우수를 배제하거나 사여과기를 이용한 방식등이 사용되어 왔다.
KR10-0998496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강우의 불규칙한 특성이 고려되지 않아 협잡물 및 미세먼지등이 포함된 초기우수가 집수되거나 역세척을 위한 동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선홈통으로부터 우수를 유입받는 유입구(10)와 낙엽이나 곤충사체등의 협잡물을 선별하는 제1스크린(20)과 상기 협잡물을 포집하는 협잡물분리조(30)와 침전에 의해 침사를 선별하는 침사조(40)와 우수의 유로를 결정하는 분배조(50)와 미세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60)와 여과필터를 회전시키는 모터(66)와 2개의 카바(32,67)와 4개의 배출구(11,12,13,14)와 3개의 싸이펀관(42,63,80-g)과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70)와 우수의 일정량을 감지하는 우량계(80)와 계량수를 집수하는 계량수조(81)로 구성되는 초기우수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조(81)와 상기 우량계(80)의 체적을 이용하여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배제하고, 상기 제1스크린(20)과 상기 협잡물분리조(30)와 상기 침사조(40)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선별하고,협잡물이 선별된 우수를 여과필터(61)로 여과하여 저수조로 수송하며, 유입되는 우수를 이용하여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콘트롤판넬(7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산성도가 높고 협잡물이 포함된 초기우수의 일정량을 배제하고 여과과정을 통하여 집수토록하며 간단히 여과필터를 세척함으로써 양질의 빗물을 집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의 일정량 배제가 가능한 우량계원리를 나타낸 체적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의 세척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량계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처리장치(100)는 건축물의 선홈통으로부터 우수를 유입받는 유입구(10)와 낙엽이나 곤충사체등의 협잡물을 선별하는 제1스크린(20)과 상기 협잡물을 포집하는 협잡물분리조(30)와 침전에 의해 침사를 선별하는 침사조(40)와 우수의 유로를 결정하는 분배조(50)와 미세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60)와 여과필터를 회전시키는 전동장치(66)와 4개의 배출구(11,12,13,14)와 3개의 싸이펀관(42,63,80-g)과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70)와 우수의 일정량을 감지하는 우량계(80)와 계량수를 집수하는 계량수조(81)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유입구(10)와 협잡물분리조(30)와 침사조(40)와 분배조(50)와 여과조(60)와 모터(65)와 배출구와 콘트롤판넬(70)과 카바와 우량계(80)와 계량수조(81)는 하나의 수처리 블록(200)으로 함께 구성되되, 콘트롤판넬과 우량계와 계량수조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우량계(80)와 계량수조(81)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나이상으로 지지되는 기둥위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수처리블록은 바닥과 바닥둘레부에 세워지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측에 구성되는 협잡물분리조(30)와 상부에 올려지는 카바로 이루어지며, 두개의 격벽(41,51)에 의해 침사조(40)와 분배조(50)와 여과조(60)로 구획된다.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이루며 결합수단에 의해 수처리블록(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침사조 청소를 위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 하부에 수용되며 우수와 협잡물을 선별하는 제1스크린(20)은 지지판(21)측에서 측벽(22)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바(bar)가 머리빗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간격을 통과하는 우수는 하부로 배출되고 협잡물은 협잡물분리조(30)로 수송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함이 마땅하다.
협잡물분리조(30)는 상기 수처리블록의 일측벽(22)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스크린(20)과 연통되고 중공부를 이룬 내부에는 바구니(미도시)가 수용되어질 수 있으며 상부에는 개방이 가능토록 구성된 제1카바(32)가 형성되므로 제1스크린을 통해 유입되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된다. 협잡물 분리조의 바닥은 제1스크린의 경사진 끝단 보다 더 낮게 형성되며 바닥둘레에 세워지는 측벽에 의해 중공부가 형성된다. 내부에는 측벽(22)에 결합되고 침사조(40)와 연통된 그물망형상의 제2스크린(31)이 구비되어지고 이를 통해 협잡물과 함께 유입된 우수를 침사조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바닥은 침사조(40)을 향해 경사지도록 구현하여 잔류수가 남지 않도록함이 타당하다.
침사조(40)는 측벽(22)과, 상기 협잡물분리조(30)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된 제1격벽(41)에 의해 구획되어지고 바닥의 일면은 밸브(14-a)가 결합된 제4배출구(14)와 연통되어질 수 있으며,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을 통해 유입된 침사 및 침전물등이 침전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포집된 침사 및 침전물은 제4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제4배출구의 위치는 침사조의 바닥면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싸이펀관(42)은 침사조에서 분배조로 우수가 수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마땅하다. 분배조(50)는 제1격벽(41)과, 제1격벽보다 낮게 형성된 제2격벽(51)에 의해 구획되어지며 바닥의 일면은 개폐수단을 갖고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동밸브(11-a)가 결합된 제1배출구(11)와 연통되어 질 수 있되, 제1배출구(11)의 위치를 바닥면 또는 측벽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분배조에 수용되어진 제3배출구(13)의 상단은 제1격벽보다 낮고 제2격벽보다 높게 형성되며, 타단은 분배조 바닥을 관통하여 제1배출구의 전동밸브(11-a)보다 하단부위에 연통될 수 있으며, 이로써 밸브가 닫혀있어도 월류수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3배출구의 위치도 분배조의 바닥이나 측벽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과조(60)는 제2격벽(51)과, 측벽(22)과 대응하는 타측벽에 의해 구획되어지며 바닥의 일면은 제2배출구와 연통되어짐으로써 저수조(미도시)에 여과수를 수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저수조에는 레벨센서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다. 역시, 제2배출구의 위치도 여과조의 바닥이나 측벽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또한, 전동밸브가 결합될 수 있다. 여과조바닥과 상방으로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필터브라켓(62)이 형성되며 필터브라켓에 의해 여과필터(61)가 결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여과필터(62)는 원형이나 각형상의 필터케이싱(미도시)과 부직포와 같은 수처리필터로 구성되며 여과조(60)에 수용되어 진다. 필터케이싱의 일측은 연결수단에 의해 제2격벽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64)의 중간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64)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한조를 이룬 하우징(65)에 의해 제2격벽과 평행한 축선을 이루며 양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일단면은 동력전달수단이 결합되며 일측벽의 외부에 결합된 전동장치(66)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여과조(60)에서 분배조(50)로 우수가 수송되어 지도록 제2싸이펀관(6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2싸이펀관(63)의 일단은 여과필터(61)의 하부면보다 낮게 형성되며, 분배조에 수용되는 타단은 이보다 더낮게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분배조(50)와 여과조(60)의 상부에는 제2카바(67)가 형성될 수 있어 점검이나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콘트롤판넬(70)은 측벽(22)에 결합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모터,우량계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가 구성된다. 도 6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우량계(80)는 바닥이 밀폐된 중공의 원통 또는 각형상으로 몸통이 형성되며, 상부는 하나이상의 접점이 연결된 단자대(80-a)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몸통에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대에는 하나이상의 접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점은 몸통에 수용되어 질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접점을 통해 감지되는 수위는 콘트롤판넬로 전송될 수 있다. 바닥의 일면에는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솔레노이드가 부착된 퇴수밸브(80-i)가 연통되어 질 수 있다.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t2)에 제3싸이펀관(80-g)이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제3싸이펀관보다 더높게 월류관(80-f)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월류관보다 더높게 계량수유입관(80-e)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이때, 월류관의 관경은 제3싸이펀관의 관경보다 크고 계량수유입관의 관경과 같거나 크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량수조(81)는 집수가 용이하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을 이루며 우수를 우량계로 수송할 수 있도록 계량수유입관과 연통될 수 있다.
초기우수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집수면을 거친 초기우수(90-a)에는 협잡물 및 미세먼지등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90-a)는 제1스크린(20)을 통과하며 협잡물과 선별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초기우수 및 미세침사는 침사조로 수송되어지고 통과하지 못한 협잡물은 경사면을 따라 협잡물분리조(30)로 수송되어진다. 한편, 상기 분리된 협잡물에 묻어있는 우수는 제2스크린(31)을 통해 침사조로 수송될 수 있다.
침사조(40)에는 제1스크린(20)과 제2스크린(31)을 통과한 우수와 미세침사등이 포집되며 점점 수위가 상승한 초기우수a(90-a)는 제1격벽(41)을 월류하여 분배조(50)로 수송되어 질 수 있다. 이때, 제1싸이펀관에도 우수가 수송되어지며 우수의 유입이 차단되면 제1싸이펀관을 통해 침사조의 우수가 분배조로 수송되어 질 수 있으므로 침사조의 잔류수가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제4배출구(14)를 개방하게 되면 침사와 우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분배조(50)에 연통된 제1배출구의 전동밸브(11-a)는 강우개시전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배조로 유입되는 초기우수(90-a)는 상기 전동밸브가 폐쇄되기 전까지 우수관거로 배출될 수 있으며 우량계에 의해 일정량의 우수가 검출되면 비로소 상기 전동밸브는 폐쇄되며 이때부터 우수는 제2격벽(51)을 월류하여 여과조(60)로 수송되어 진다. 상기 여과조에 수용되어진 여과필터(61)는 부직포등의 수처리필터로 이루어지며 침사조에서 침전되지 않은 미세먼지나 부유물질등을 포집할 수 있음으로써 여과필터를 통과한 우수는 보다 깨끗한 상태로 저수조(미도시)로 수송되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과방식은 하향류식 여과법이므로 여과필터 상부에 미세이물질이 부착하게 된다. 이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제1배출구(11)를 개방하고 전동장치(66)를 회전시켜 여과필터의 위치를 여과조(60)에서 분배조(50)로 변경하게 되면 상기 미세이물질이 부착된 필터상부는 자연스럽게 뒤집혀져 바닥을 향하도록 역전 되므로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쉽게 세척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상기 저수조가 만수되면 볼탑이나 밸브등의 차단수단에 의해 우수의 수송이 차단되어 질 수 있으며 이때, 우수는 제3배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만수시에는 전동밸브(11-a)가 개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일정량의 초기우수를 배제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집수면에 접촉되지 않은 초기우수b(90-b, 이하 '계량수'라 한다)는 계량수조(81)에 집수되어 우량계(80)으로 수송되어 진다. 초기우수의 일정한 누적높이를 t1 이라하고 우량계가 집수할수 있는 높이를 t2 라한다. 또한 계량수조의 집수단면적을 d1 이라하고 우량계의 집수단면적을 d2 라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될 수 있다.
t1*d1 = t2*d2
따라서, 도3에서 도시된 것처럼 계량수체적(V1)과 우량계집수체적(V2)는 같게되므로 일정한 높이의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d2 또는 t2를 값을 바꿔주면 우수의 일정높이인 t1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우량계로 유입되는 계량수의 수위가 고수위접점(80-c)에 도달하면 전동밸브(11)가 폐쇄되며 우수는 여과조(60)로 수송되어 질 수 있으며 저수조의 레벨센서로부터 만수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전동밸브는 폐쇄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계량수는 제3싸이펀관(80-g)과 월류관(80-f)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질 수 있다. 저수조의 레벨센서로부터 만수신호가 입력되면 전동밸브는 개방되고 우수는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더불어, 만수신호가 입력되지 않은채 강우가 중단되면, 제3싸이펀관(80-g)에 의해 우량계내부의 잔류수가 배출되고 저수위접점(80-d)까지 배수되면, 일정한 시간 경과후 전동밸브를 개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퇴수밸브(80-h)도 개방하여 우량계를 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초기우수가 저수위접점에 도달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해도 고수위접점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이때는 강수량이 부족한 경우이므로 퇴수밸브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 : 유입구 11 : 제 1 배출구
11-a : 전동밸브 12 : 제 2 배출구
13 : 제 3 배출구 14 : 제 4 배출구
14-a : 밸브 20 : 제 1 스크린
21 : 지지판 22 : 측벽
30 : 협잡물분리조 31 : 제 2 스크린
32 : 제 1 카바 40 : 침사조
41 : 제 1 격벽 42 : 제 1 싸이펀관
50 : 분배조 51 : 제 2 격벽
60 : 여과조 61 : 여과필터
62: 필터브라켓 63 : 제 2 싸이펀관
64 : 회전축 65 : 하우징
66 : 전동장치 67 : 제 2 카바
70 : 콘트롤 판넬
80 : 우량계 80-a : 단자대
80-b : 공통접점 80-c : 고수위 접점
80-d : 저수위접점 80-e : 계량수유입관
80-f : 월류관 80-g : 제 3 싸이펀관
80-h : 퇴수밸브 81 : 계량수조
90-a : 초기우수a 90-b : 초기우수b(계량수)
100 : 초기우수처리장치 200 : 수처리블록
d1 : 계량수조 단면적 d2 : 우량계 단면적
t1 : 계량수 누적고 t2 : 우량계 저수고
V1 : 계량수 체적 V2 : 우량계 집수체적

Claims (10)

  1. 우수를 공급받는 유입구(10)와;
    상기 유입구(1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협잡물과 우수를 선별하는 제1스크린(20)과;
    상기 제1스크린(20)으로부터 협잡물을 공급받고 제2스크린에 의해 잔류수를 선별하는 협잡물분리조(30)와;
    상기 제1스크린(20)과 상기 협잡물분리조(30)로부터 우수와 침사를 공급받고 침전에 의해 침사를 선별하는 침사조(40)와;
    상기 침사조(4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는 분배조(50)와;
    상기 분배조(5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아 저수조로 수송하는 여과조(60)와;
    상기 여과조(60)에 수용되는 여과필터(61)와;
    상기 협잡물분리조(30)의 바닥보다 낮게 형성된 제1격벽(41) 및 상기 제1격벽(41)보다 더 낮게 형성된 제2격벽(51)과;
    상기 분배조(50)에 연통되며 초기우수를 배출하는 제1배출구(11)와;
    상기 분배조(50)에 수용되며 상단은 상기 제1격벽(41)보다 낮고 상기 제2격벽(51)보다 높게 형성되며 타단은 전동밸브(11-a)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제1배출구(11)에 연통되어 월류수를 배출하는 제3배출구(13)와;
    상기 여과조(60)의 우수를 저수조로 수송하는 제2배출구(12)와;
    상기 침사조(40)의 침사를 배출하기 위한 제4배출구(14)와;
    상기 침사조(40)의 잔류수를 상기 분배조(50)로 수송하는 제1싸이펀관(42)과;
    상기 여과조(60)의 잔류수를 상기 분배조(50)로 수송하는 제2싸이펀관(63)과;
    상기 협잡물분리조(30)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제1카바(32)와;
    상기 여과조(60)를 유지관리하기 위한 제2카바(67)와;
    상기 분배조(50)에 수용되어진 상기 여과필터(61)를 세척하기 위한 회전축(64) 및 전동장치(66)와;
    상기 제1배출구(11)에 결합된 전동밸브(11-a)와;
    상기 전동밸브(11-a)를 제어하는 콘트롤판넬(70)과;
    상기 콘트롤판넬(70)에 초기우수의 양을 송신하는 우량계(80)와;
    상기 우량계(80)에 초기우수를 공급하는 계량수조(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처리장치는 협잡물분리조(30)와 침사조(40)와 분배조(50)와 여과조(60)가 하나의 수처리블록(200)에 함께구성되며, 바닥과 바닥둘레부에 세워지는 측벽과 상기 침사조(40)를 구획하는 제1격벽(41)과 상기 분배조를 구획하는 제2격벽(51)과 일측벽에 결합되는 상기 협잡물분리조(30)와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10)와 제1카바(32)와 제2카바(67)와 하부 또는 측벽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11)와 제2배출구(12)와 제3배출구(13)와 제4배출구(14) 및 전동장치(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4)은 제2격벽(51)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격벽(51)과 평행한 축선을 이루며 일단면이 전동장치(66)에 연결되고 , 중간부분의 일측면이 여과필터(61)의 케이싱에 결합되는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4)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된 여과필터(61)가 여과조(60)에서 분배조(50)로 또는, 상기 분배조(50)에서 상기 여과조(60)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61)는 여과조(60)에서 분배조(50)로 또는, 상기 분배조(50)에서 상기 여과조(60)로 위치가 변경되면서 여과면의 상,하가 역전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량계(80)는 계량수유입관(80-e)와 월류관(80-f)과 제3싸이펀관(80-g)과 퇴수밸브(80-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우량계(80)는 바닥이 밀폐된 중공의 원통 또는 각형상을 이루며, 내부에는 하나이상의 수위접점이 수용되어 지고 상부에 결합되는 단자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량계(80)의 집수체적(V2)과 상기 계량수조(81)을 통해 공급되는 계량수체적(V1)이 같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초기우수를 배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상기 제1격벽(41)과 상기 제2격벽(51)의 높이차에 의해 수처리과정이 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유입구(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지지판(21)측에서 측벽(22)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바(bar)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형상을 가진 제1스크린(20)과, 상기 제1스크린(20)과 연통되며 상기 제1스크린(20)보다 더 낮은 바닥과 상기 바닥둘레에 세워지는 측벽과 침사조(40)와 연통되는 제2스크린(31)으로 형성되는 협잡물분리조(30)와, 상기 제1스크린(2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스크린(20)과 상기 협잡물분리조(30)로부터 우수를 공급받는 침사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20130161056A 2013-01-22 2013-12-23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40094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6810 2013-01-22
KR1020130006810 2013-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436A true KR20140094436A (ko) 2014-07-30

Family

ID=5174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056A KR20140094436A (ko) 2013-01-22 2013-12-23 초기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4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0994A (zh) * 2017-10-26 2018-02-23 郑州仁宏医药科技有限公司 便捷式城市雨水收集系统
CN109336310A (zh) * 2018-09-27 2019-02-15 申雪丽 一种环保型楼宇建筑节能系统
KR101974535B1 (ko) * 2018-10-19 2019-05-02 주식회사 고려산업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초기빗물 배제장치
CN111186923A (zh) * 2020-01-17 2020-05-22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可移动处理雨水的回用系统及方法
CN114917654A (zh) * 2022-05-19 2022-08-19 江苏启威星装备科技有限公司 过滤装置、电镀液制备设备以及水平电镀生产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0994A (zh) * 2017-10-26 2018-02-23 郑州仁宏医药科技有限公司 便捷式城市雨水收集系统
CN109336310A (zh) * 2018-09-27 2019-02-15 申雪丽 一种环保型楼宇建筑节能系统
KR101974535B1 (ko) * 2018-10-19 2019-05-02 주식회사 고려산업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초기빗물 배제장치
CN111186923A (zh) * 2020-01-17 2020-05-22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可移动处理雨水的回用系统及方法
CN114917654A (zh) * 2022-05-19 2022-08-19 江苏启威星装备科技有限公司 过滤装置、电镀液制备设备以及水平电镀生产线
CN114917654B (zh) * 2022-05-19 2024-03-22 江苏启威星装备科技有限公司 过滤装置、电镀液制备设备以及水平电镀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20140094436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21439B1 (ko) 하수여과스크린
US20030127379A1 (en) Surface water purifying catch basin
KR101334423B1 (ko)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장치
US6832635B2 (en) Rainwater collection and bottling system
KR101558239B1 (ko) 빗물 여과장치
CA27376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dairy facilities
US20230175947A1 (en) Automated permeability test for a filter basket
KR100959373B1 (ko)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JP2009108614A (ja) 夾雑物分離マス及び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04465B1 (ko)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101932145B1 (ko) 단위면적당 강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장치
KR102154227B1 (ko) 수질 모니터링을 이용한 상수도 수질 관리 장치
US201501828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backwash to clean a bar rack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20110131868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040021732A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0295999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160039854A (ko) 수질 원격 감시 시스템용 시료 채취 장치
KR102134269B1 (ko) 수질계측기용 수조 자동 청소장치
KR101106551B1 (ko) 바닥 부분 오니 세척 지원 우수 처리 시스템
WO20101426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water from slurry, in particular for service vehicles for cleaning sumps of drainage pipes
JP5296347B2 (ja) 雨水浄化案内装置
KR101773174B1 (ko) 유류정화기능을 갖는 유류저장 및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