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280B1 -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 Google Patents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280B1
KR102109280B1 KR1020180146165A KR20180146165A KR102109280B1 KR 102109280 B1 KR102109280 B1 KR 102109280B1 KR 1020180146165 A KR1020180146165 A KR 1020180146165A KR 20180146165 A KR20180146165 A KR 20180146165A KR 102109280 B1 KR102109280 B1 KR 10210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teel box
reinforcing wire
body unit
dela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현
김응수
손상훈
엄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4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92Manual drives
    • B63B273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는 선박바디유닛 및 상기 선박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파손을 방지거나, 상기 선박바디의 파손 후 회복을 유도하는 리커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리커버리유닛은, 상기 선박바디유닛에 결합되는 강박스부 및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강박스부에 결합되되, 중앙부는 상기 강박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강박스부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결합된 보강선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Ship damage delay structure and battle ship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에 관한 것이다.
함정 등의 선박은 용골이라는 내부 지지 구조와 이의 외면에 강판이 결합되어 선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선박은 용골에 의해서 외부 충격 등에 저항하는 내구성을 확보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선체 구조에 의하면 선체의 국부 부분에 작용하는 순간적 충격 등에 의한 파손에 취약하고 선체의 절단에 의한 승조원의 생존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군함, 구축함, 잠수함 등의 함정(battle ship)의 경우에는 적함에 의한 어뢰의 폭발 또는 적함과의 충돌에 의한 선체 일부분에 대한 순간적 충격에 취약하고, 이에 따른 선체의 절단으로 승조원의 생존 확보가 불투명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10-2014-0089223호
본 발명은 선박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력에 의한 선박의 순간 파손을 방지거나, 선박의 파손 후 순간 회복을 유도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는 선박바디유닛 및 상기 선박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파손을 방지거나, 상기 선박바디의 파손 후 회복을 유도하는 리커버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리커버리유닛은, 상기 선박바디유닛에 결합되는 강박스부 및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강박스부에 결합되되, 중앙부는 상기 강박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강박스부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결합된 보강선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는, 내부에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선재부의 중앙부가 관통되는 패싱부재가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패싱부재는, 상기 강박스부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보강선재부가 관통되는 패싱홀이 형성된 패싱탭 및 상기 패싱홀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형태의 가이드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는, 내부에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선재부의 중앙부를 고정시키는 픽스부재가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보강선재부는, 상기 강박스부의 내부에 웨이브 형태 또는 스크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리커버리유닛은, 상기 강박스부에 결합되되,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게 구비되는 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릴부는, 일단부에는 돌출된 이탈방지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강박스부에 고정되는 릴축부재 및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릴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릴축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탭이 형성된 회전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릴부는, 일단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탭이 걸리도록 외측으로 회전 이동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는, 상기 보강선재부가 구비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는, 상기 보강선재부가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정은 상기 선박파손 지연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은 선박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은 외부의 충격력에 의한 선박의 순간 파손을 방지거나, 선박의 파손 후 순간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선박 하부 어뢰 폭발, 수중 폭발, 적함 충돌로 발생하는 충격파, 진동파 등에 대한 동적 휨 또는 전단에 대한 저항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또한 선박 파손 후 최종 침몰 전까지 선박의 완전한 절단을 방지함에 의한 침몰시간을 지연시켜 승조원의 대피 시간 확보에 의한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강박스부에 패싱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패싱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강박스부에 픽스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보강선재부가 웨이브 형태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보강선재부가 스크류 형태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 외부의 충격력에 의한 선박의 순간 파손을 방지거나, 선박의 파손 후 순간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박 하부 어뢰 폭발, 수중 폭발, 적함 충돌로 발생하는 충격파, 진동파 등에 대한 동적 휨 또는 전단에 대한 저항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선박 파손 후 최종 침몰 전까지 선박의 완전한 절단을 방지함에 의한 침몰시간을 지연시켜 승조원의 대피 시간 확보에 의한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이 선박바디유닛(100)에 섬유질 모사 구조를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력에 의한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순간 파손을 방지거나,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파손 후 순간 회복을 유도함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는 선박바디유닛(100) 및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파손을 방지거나, 상기 선박바디의 파손 후 회복을 유도하는 리커버리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은,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결합되는 강박스부(220) 및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강박스부(220)에 결합되되, 중앙부는 상기 강박스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결합된 보강선재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정은 상기 선박파손 지연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이 포함하는 보강선재부(210)가 구비됨에 의해서, 외부 충격이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작용하더라도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함정(battle ship)은 군함, 구축함, 잠수함 등의 전투를 위한 선박을 의미하며, 이러한 함정들이 외부 폭발이나 적함에 의한 충돌의 위험이 더 크고 승조원의 생존 확보가 중요한 점에서,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이 포함하므로, 파랑의 호깅(hogging)에 의해서 선박바디유닛(100)의 길이 방향 중앙 상부가 인장되는 경우 또는 파랑의 새깅(sagging)에 의해서 선박바디유닛(100)의 길이 방향 중앙 하부가 인장되는 경우에도,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에 의한 유연성 부가에 의해서 선박바디유닛(100)의 길이 방향 중앙 상부 또는 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이 포함하므로, 함정의 외부 폭발 또는 적함 등에 의한 외부 충돌에 의한 순간적인 충격에 대하여도,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에 의한 유연성 부가에 의해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의 부분에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선박바디유닛(100)의 외측 하부에서 발생한 폭발 등에 의한 외부충격시에 리커버리유닛(200)에 의해서 선박바디유닛(10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데, 이는 외부 충격시에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의 보강선재부(210)에 장력이 부여되지만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이러한 장력을 극복하고 원상 복귀됨에 의한 것이다.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은 바다 등의 유체 상에서 이동되는 선박의 바디로서,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이 구비됨에 의해서, 외부 충격에 대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구비되는 용골 등의 지지 구조인 격벽부와 이에 부착되는 외부 강판만으로는 강성은 일부 확보할 수 있으나, 연성의 확보는 어려운 문제를 개선하여,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은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유연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은 강박스부(220), 보강선재부(210)를 포함하며, 이러한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를 매개로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을 구성하는 격벽부, 외부 강판 등이 직접 유연성이 보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이 유연성을 구비함에 의해서 외부 충격에 대한 유연성을 보완하는 구조가 된다.
상기 강박스부(220)는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구비시키는 것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강박스부(220)의 내부에는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강박스부(220)는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220)는,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구비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강박스부(220)를 매개로 구비되는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외부 충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일부분에만 구비되는 것은 효과가 낮기 때문에, 상기 강박스부(220)를 복수 개를 구비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강박스부(220)를 상기 선박바디유닛(100)(10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시킴에 의해서, 하나의 보강선재부(210)를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구비시키는 구조와 유사한 유연성 보완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220)는,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구비시키면,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에 저항하는 반력을 더 크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구비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직접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결합하면, 외부 충격이 작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환경에서도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인장력이 직접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작용하여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을 변형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강박스부(220)를 매개로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구비시키는 경우에만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강박스부(220)의 내부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일례로 강선(steel wire) 등의 선재로 구비되며, 선재인 점에서 탄성 복원에 의한 탄성력을 포함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탄성에 의한 유연성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상기 강박스부(220)를 매개로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구비되는 형태는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 내부에 구비될 때,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결합되게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에 일자로 배치된 경우보다 상기 강박스부(220)에 배치된 영역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배치 영역 확대는, 상기 선박바디유닛(100)에 작용하는 외부 충격의 흡수 영역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탄성적 충격 완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에 구비된 패싱부재(221)에 의해서 상기 강박스부(2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는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에 구비된 픽스부재(224)에 의해서 상기 강박스부(2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강박스부(220)에 패싱부재(221)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패싱부재(22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220)는, 내부에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가 관통되는 패싱부재(221)가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상기 강박스부(220)에 배치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가 상기 강박스부(2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결합되되,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가 상기 강박스부(220)에 결합되는 것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패싱부재(221)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를 선박바디유닛(100)에 결합된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인접하게 배치시키되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일측에 외부 충격이 가격되는 경우에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가 순간적으로 일측으로 이동되되, 외부 충격의 제거 후에 다시 원상복귀되므로 탄성적인 선박바디유닛(100)의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패싱부재(221)는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관통되게 구비되되,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게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패싱부재(221)는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관통되어 이동시에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흠집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끈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패싱부재(221)는, 상기 강박스부(220)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관통되는 패싱홀(222a)이 형성된 패싱탭(222) 및 상기 패싱홀(222a)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형태의 가이드탭(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싱탭(222)이 상기 보강선재부(210)가 관통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서 패싱홀(2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탭(223)은 상기 보강선재부(210)와의 마찰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관통홀(232a)의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형태로서, 상기 가이드탭(223)은 상기 패싱홀(222a)에 결합된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개략적으로 나팔 형태 내지 깔대기 형태일 수 있으며, 곡면을 형성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강박스부(220)에 픽스부재(224)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강박스부(220)는, 내부에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를 고정시키는 픽스부재(224)가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에 구비된 픽스부재(224)에 의해서 상기 강박스부(2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고정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가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고정되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의한 흡수 내지 완충이 각각의 고정 결합 부분에서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픽스부재(224)는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가압한 상태로 볼팅, 본딩 등에 의해서 상기 강박스부(220)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중앙부를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릴부(230)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리커버리유닛(200)은, 상기 강박스부(220)에 결합되되,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게 구비되는 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릴부(230)에 의하면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상기 강박스부(220)에 구비시킬 때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구비시키면,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에 저항하는 반력을 더 크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구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인장력의 부가를 상기 릴부(230)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인장력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릴부(230)로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감아서 고정하고, 상기 보강선재부(210)에서 인장력을 완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릴부(230)에서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풀어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릴부(230)는, 일단부에는 돌출된 이탈방지플랜지(231a)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강박스부(220)에 고정되는 릴축부재(231) 및 상기 보강선재부(21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릴축부재(231)가 삽입되는 관통홀(232a)이 형성되어 상기 릴축부재(23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231a)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탭(232b)이 형성된 회전통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강박스부(220)에 고정된 릴축부재(231)를 중심으로 상기 회전통부재(232)가 회전되면서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부여되는 인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릴부(230)에 의해서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감거나 풀기 위해서, 상기 강박스부(220)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부재(225)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릴부(230)는, 일단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231a)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탭(232b)이 걸리도록 외측으로 회전 이동되는 스토퍼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부재(233)는 상기 회전통부재(232)가 회전되어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보강선재부(210)에 부여되는 인장력을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통부재(232)가 회전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부재(233)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231a)에서 외측으로 펼져지게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재(233)가 상기 이탈방지플랜지(231a)의 외측으로 펼져지게 이동되면, 상기 이탈방지플랜지(231a)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탭(232b)이 걸리게 되므로, 상기 회전통부재(232)의 회전을 방지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부재(233)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231a)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핸들탭(232b)이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보강선재부(210)가 웨이브 형태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선박파손 지연구조에서 보강선재부(210)가 스크류 형태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파손 지연구조의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의 내부에 웨이브 형태 또는 스크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 내부에 구비될 때, 상기 강박스부(220)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결합되는 웨이브 형태 또는 스크류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강선재부(210)는 상기 강박스부(220)에 일자로 배치된 경우보다 상기 강박스부(220)에 배치된 영역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6의 (a)는 웨이브 형태로 동일한 위치에 피크와 골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선재부(210)가 배치된 상태이고, 도 6의 (b)는 웨이브 형태로 서로 교차하게 피크와 골이 형성된 복수의 보강선재부(21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웨이브 형태의 배치는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평면에서의 배치 영역을 확대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도 7은 스크류 형태로 보강선재부(21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이러한 스크류 형태의 배치는 상기 보강선재부(210)를 공간에서의 배치 영역을 확대하는 실시예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선박바디유닛 200: 리커버리유닛
210: 보강선재부 220: 강박스부
221: 패싱부재 222: 패싱탭
223: 가이드탭 224: 픽스부재
225: 도어부재 230: 릴부
231: 릴축부재 232: 회전통부재
233: 스토퍼부재

Claims (11)

  1. 선박바디유닛; 및
    상기 선박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파손을 방지거나,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파손 후 회복을 유도하는 리커버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리커버리유닛은,
    상기 선박바디유닛에 결합되는 강박스부;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상기 강박스부에 결합되되, 중앙부는 상기 강박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강박스부의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가며 결합된 보강선재부; 및
    상기 강박스부에 결합되되,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연결되어 감기거나 풀리게 구비되는 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릴부는,
    일단부에는 돌출된 이탈방지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강박스부에 고정되는 릴축부재; 및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릴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릴축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탭이 형성된 회전통부재;
    를 포함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부는, 내부에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선재부의 중앙부가 관통되는 패싱부재가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싱부재는,
    상기 강박스부의 내부에 결합되되, 상기 보강선재부가 관통되는 패싱홀이 형성된 패싱탭; 및
    상기 패싱홀의 둘레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나팔 형태의 가이드탭;
    을 포함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부는, 내부에 상기 보강선재부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보강선재부의 중앙부를 고정시키는 픽스부재가 일측내벽과 타측내벽에 번갈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선재부는, 상기 강박스부의 내부에 웨이브 형태 또는 스크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부는,
    일단부는 상기 이탈방지플랜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탭이 걸리도록 외측으로 회전 이동되는 스토퍼부재;
    를 포함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부는, 상기 보강선재부가 구비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선박바디유닛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부는, 상기 보강선재부가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파손 지연구조.
  11.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선박파손 지연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정.
KR1020180146165A 2018-11-23 2018-11-23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KR10210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65A KR102109280B1 (ko) 2018-11-23 2018-11-23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65A KR102109280B1 (ko) 2018-11-23 2018-11-23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280B1 true KR102109280B1 (ko) 2020-05-11

Family

ID=7072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165A KR102109280B1 (ko) 2018-11-23 2018-11-23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2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881A (ja) * 1993-03-18 1994-09-27 Kawasaki Heavy Ind Ltd 船体桁材構造
JP2007528806A (ja) * 2003-12-17 2007-10-18 エアーバス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101029176B1 (ko) * 2008-08-14 2011-04-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로 보강된 발포 심재를갖는 경량 샌드위치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9223A (ko) 2013-01-04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20160086441A (ko) * 2015-01-09 2016-07-20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0881A (ja) * 1993-03-18 1994-09-27 Kawasaki Heavy Ind Ltd 船体桁材構造
JP2007528806A (ja) * 2003-12-17 2007-10-18 エアーバス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101029176B1 (ko) * 2008-08-14 2011-04-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로 보강된 발포 심재를갖는 경량 샌드위치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9223A (ko) 2013-01-04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20160086441A (ko) * 2015-01-09 2016-07-20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670B1 (ko) 충격에 대한 보호장치를 갖는 선박
KR102109280B1 (ko)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JP2021089122A5 (ko)
US20100089927A1 (en) Pressurised gas container
US1151607A (en) Protection against torpedoes, &c.
JP6290904B2 (ja) プロジェクタイルの衝撃による過圧に耐性があるタンク
KR102109281B1 (ko)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JP7002107B2 (ja) 侵入防止構造体
KR102011149B1 (ko) 스티프너 및 이를 구비하는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
KR20120119333A (ko)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선박
US1416950A (en) Ship protection
JP2005096551A (ja) タンクカバー及び船舶
KR101487503B1 (ko) 슬래밍 충격완화 구조의 해양구조물
KR101774879B1 (ko) 방폭 구조물
CN205872855U (zh) 海胆形鸡蛋保护盒
ES2683358T3 (es) Cuerpo de cierre para cerrar una abertura en un vehículo acuático
US2278938A (en) Armored ship construction
US3029966A (en) Submersible pressure vessel
KR20160076888A (ko) 파형 격벽을 활용한 선박의 내부폭발 강화 격벽
KR102505245B1 (ko) 잠수함
US4848262A (en) Pressure sensitive release device
NO116524B (ko)
US1773069A (en) Rotator for ship logs
KR102027280B1 (ko) 화물 탱크
KR20220126350A (ko) 스너버용 충격 대응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