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441A -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 Google Patents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441A
KR20160086441A KR1020150003163A KR20150003163A KR20160086441A KR 20160086441 A KR20160086441 A KR 20160086441A KR 1020150003163 A KR1020150003163 A KR 1020150003163A KR 20150003163 A KR20150003163 A KR 20150003163A KR 20160086441 A KR20160086441 A KR 20160086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frame
window frame
window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하
Original Assignee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6441A/ko
Publication of KR2016008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r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사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은 실내측 창틀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강철와이어가 권취된 보빈과,
상기 창틀의 상/하측 프레임 및 좌/우측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상기 강철와이어가 걸리는 걸림고리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어 상기 창틀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되 상호 교차되도록 먼저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 다음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걸린 강철와이어를 소정 장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수단과; 상기 강철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강철와이어의 선단을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에 정리하기 위한 정리후크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리후크가 걸리는 잠금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CRIME PREVENTION WINDOW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방범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사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립가옥이나, 연립주택 및 아파트의 저층에는 창문외부에 방범창이 설치되어 있다. 방범창은 창문 외벽에 철책이 삽입되어 고정설치되거나, 창문틀에 격자형의 철망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가벼운 알루미늄 소재의 경합금을 이용한 방범창문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알루미늄 소재의 방법창문은 창문이 설치되는 창문틀에 설치되는 외곽틀과, 외곽틀에 다수 개의 알루미늄 봉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 창살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044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8363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범창문은 외부인의 침입은 방지할 수 있지만, 이사하는 경우, 주 출입문으로 들어올 수 없는 대형 옷장 등의 이삿짐을 옮기기 위해서는 오히려 장애물이 되며, 내부 환기 또는 이불등의 먼지를 털기 위해서는 방범창문을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시와 같이 유사시에 주 출입문이 봉쇄되는 상황이 발생 될 경우에 방범창문을 통해 외부로 탈출을 할 수 없어서 인명 피해의 위험부담을 안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방범창문이 규격품에 못 미치고, 알루미늄 소재는 일정한 힘을 가하면 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로 방범창문을 개폐하여 유사시 방범창문을 통해 이삿짐의 운반 및 출입을 할 수 있는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은 실내측 창틀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강철와이어가 권취된 보빈과,
상기 창틀의 상/하측 프레임 및 좌/우측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상기 강철와이어가 걸리는 걸림고리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어 상기 창틀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되 상호 교차되도록 먼저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 다음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걸린 강철와이어를 소정 장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수단과;
상기 강철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강철와이어의 선단을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에 정리하기 위한 정리후크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리후크가 걸리는 잠금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 고정수단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강철와이어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고정보빈과;
상기 고정보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보빈의 동일 회전중심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보빈과 일체로 형성되어 동회전되는 래칫기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래칫기어의 외측에 간섭되어 상기 래칫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걸림쇠와;
상기 래칫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철와이어를 이용하여 방범창문을 격자형의 망형태로 차폐할 수 있으며, 유사시에는 강철와이어를 손쉽게 제거하여 방범창문을 개구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빈과 강철와이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와이어 고정수단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와이어 고정수단의 동작과정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은 실내측 창틀(10)에 구비되고, 강철와이어(20)가 권취된 보빈(30)과, 창틀(10)의 상/하측 및 좌/우측 프레임(11,12,13,14)에 구비되어 강철와이어(20)가 걸리는 다수의 걸림고리(40)와, 걸림고리(40)에 걸린 강철와이어(20)를 소정 장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수단(50)과, 고정된 강철와이어(20)의 끝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정리후크(60)와 잠금고리(7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은 종래의 방범창문과는 달리 실내에 설치된다.
보빈(30)은 직사각형 형태의 창틀(10)을 이루는 네 개의 프레임(상/하측, 좌/우측 프레임(11,12,13,14))에서 상측 프레임(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강철와이어(20)는 보빈(30)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고, 내구력과 강도가 강하면서 가벼운 티타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고리(40)는 'J'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하측 및 좌/우측 프레임(11,12,13,14)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다수 구비된다.
와이어 고정수단(50)은 창틀의 하측 프레임(12) 일측에 구비되는 고정보빈(51)과, 고정보빈(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2)과, 고정보빈(51)과 일체로 형성된 래칫기어(53)와, 래칫기어(53)에 간섭되어 래칫기어(5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걸림쇠(54)와, 래칫기어(53)를 회전시키는 손잡이(55)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프레임(52)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하측 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된다. 고정보빈(51)은 지지프레임(52)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보빈(51)의 외주면에는 강철와이어(20)가 외주방향으로 인입되어 끼워지는 'ㄴ'형 형상의 끼움홈(56)이 형성되어 있다. 강철와이어(20)의 일부분이 끼움홈(56)에 끼워지면, 강철와이어(20)는 고정보빈(51)의 중심을 관통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보빈(51)이 회전되면 강철와이어(20)를 고정보빈(51)에 고정하지 않아도 권취할 수가 있다.
래칫기어(53)는 지지프레임(52)의 외측에 설치되되, 고정보빈(51)과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고정보빈(51)과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쇠(54)는 래칫기어(53)가 설치된 지지프레임(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일단이 래칫기어(53)의 기어치에 간섭되게 설치된다.
즉, 래칫기어(53)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래칫기어(53)의 기어치에 걸림쇠(54)가 간섭되어 회전되면서 래칫기어(53)와 이격되어 래칫기어(53)의 일방향 회전에 방해를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래칫기어(53)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걸림쇠(54)의 일단이 래칫기어(53)의 기어치에 걸리게 되어 걸림쇠(54)는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됨으로써 래칫기어(53)의 역방향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손잡이(55)는 래칫기어(53) 및 고정보빈(51)과 일체로 동일축상에 설치된다.
한편, 강철와이어(20)의 끝단에 구비된 정리후크(60)와, 잠금고리(70)는 상호 걸리어 고정되도록 'J'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은 보빈(30)으로부터 강철와이어(20)를 풀어 상/하측 및 좌/우측 프레임(11,12,13,14)에 구비된 걸림고리(40)에 순차적으로 걸어 창틀의 개구된 중앙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즉, 강철와이어(20)는 상측 프레임(11)의 1,2번째 걸림고리에 걸린다음, 하측 프레임(12)을 향해 수직하게 이동되어 하측 프레임(12)의 2,3번째 걸림고리에 걸린다. 그리고 다시 상측 프레임(11)을 향해 수직하게 이동되어 상측 프레임(11)의 3,4번째 걸림고리에 걸린다. 이 과정은 여러번 반복된다.
그런 다음, 상측 프레임(11)의 최종 걸림고리에 걸린 강철와이어(20)는 우측 프레임(14)의 상측의 1,2번째 걸림고리에 걸리고, 좌측 프레임(13)을 향해 수평하게 이동되어 좌측 프레임(13)의 2,3번째 걸림고리에 걸린다. 그리고, 다시 우측 프레임(14)을 향해 수평하게 이동되어 우측 프레임(14)의 3,4번째 걸림고리에 걸린다. 이 과정도 여러번 반복된다.
이와 같이, 강철와이어(20)가 상/하측 및 좌/우측 프레임(11,12,13,14)의 걸림고리(40)에 순차적으로 교번되게 걸리게 되면, 강철와이어(20)는 창틀의 개구된 중앙부분에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과정을 거친 강철와이어(20)는 와이어 고정수단(50)의 고정보빈(51)에 도달되고, 고정보빈(51)의 끼움홈(56)에 끼워진다. 사용자는 손잡이(55)를 회전시켜 강철와이어(20)를 권취하게 되는데, 강철와이어(20)는 소정 장력으로 잡아당겨져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보빈(51)에 귄취되지 못하고 남겨진 강철와이어(20)의 끝단부분은 정리후크(60)와 잠금고리(70)를 결합하여 정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 크기의 격자형 형태로 소정 장력으로 고정된 강철와이어(20)는 창문을 차폐하여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범창문은 강철와이어(20)를 해제함으로써 방범창문을 개구할 수가 있다. 먼저, 와이어 고정수단(50)의 걸림쇠(54)를 인위적으로 회전시켜 래칫기어(53)의 기어치와 이격시킨다. 그러면, 래칫기어(53)는 역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역회전되고, 고정보빈(51)에 권취된 강철와이어(20)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강철와이어(20)에 걸린 장력이 제거되어 강철와이어(20)는 손쉽게 걸림고리(4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방범창문은 개구된다. 걸림고리(40)로부터 이탈된 강철와이어(20)는 보빈(30)에 재권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철와이어를 이용하여 방범창문을 격자형의 망형태로 차폐할 수 있고, 유사시 강철와이어를 방범창문으로부터 제거하여 방범창문을 개구할 수가 있게 된다.
10 : 창틀 20 : 강철와이어
30 : 보빈 40 : 걸림고리
50 : 와이어 고정수단 51 : 고정보빈
53 : 래칫기어

Claims (2)

  1. 실내측 창틀의 상단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강철와이어가 권취된 보빈과,
    상기 창틀의 상/하측 프레임 및 좌/우측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상기 강철와이어가 걸리는 걸림고리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고리에 걸리어 상기 창틀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되 상호 교차되도록 먼저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 다음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걸린 강철와이어를 소정 장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수단과;
    상기 강철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강철와이어의 선단을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의 타측에 정리하기 위한 정리후크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리후크가 걸리는 잠금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수단은
    상기 창틀의 상기 하측 프레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강철와이어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고정보빈과;
    상기 고정보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고정보빈의 동일 회전중심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보빈과 일체로 형성되어 동회전되는 래칫기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래칫기어의 외측에 간섭되어 상기 래칫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걸림쇠와;
    상기 래칫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KR1020150003163A 2015-01-09 2015-01-09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KR20160086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163A KR20160086441A (ko) 2015-01-09 2015-01-09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163A KR20160086441A (ko) 2015-01-09 2015-01-09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441A true KR20160086441A (ko) 2016-07-20

Family

ID=5667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163A KR20160086441A (ko) 2015-01-09 2015-01-09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64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280B1 (ko) * 2018-11-23 2020-05-11 주식회사 포스코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KR102651322B1 (ko) 2023-06-21 2024-03-26 디에스산업개발주식회사 개폐가 쉬운 방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280B1 (ko) * 2018-11-23 2020-05-11 주식회사 포스코 선박파손 지연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함정
KR102651322B1 (ko) 2023-06-21 2024-03-26 디에스산업개발주식회사 개폐가 쉬운 방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78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ing air filter
US20160014996A1 (en) Door for a pet enclosure
US20130000082A1 (en) Safety retainer for curtain cord
KR20160086441A (ko)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문
KR20180003036A (ko) 롤방충망이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방범방충망
KR100537027B1 (ko) 슬라이딩 방범창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200462728Y1 (ko) 방충 및 방범용 현관문
EP3303750A1 (en) An improved lateral withholding system for roller screens, such as mosquito nets and curtains
JP2014526003A (ja) 窓用転落防止装置
JP4934877B2 (ja) 小動物の侵入防止設備
JP2010024731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02047874A (ja) 面格子付固定網戸
KR102628503B1 (ko) 탈거 방지형 방충망 구조체
KR102651322B1 (ko) 개폐가 쉬운 방범창
KR102624651B1 (ko) 방충망 안전 시스템
KR102622622B1 (ko) 창살 설치형 방충망 구조체
RU2685738C1 (ru) Система око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детей
JP3216578U (ja) シャッター
KR102255514B1 (ko) 미세먼지차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2255516B1 (ko) 다단방충망권취구조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0893915B1 (ko) 유사시 개방이 가능한 건축물 창문용 방범틀 설치구조
JP3527553B2 (ja) ベランダ用スライドネット機構
KR102211245B1 (ko) 창호용보조연결기구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FR2993307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une porte a l'encontre des intrusions operees par belier a l'interieur d'un bati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